KR20170043135A -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3135A
KR20170043135A KR1020150142224A KR20150142224A KR20170043135A KR 20170043135 A KR20170043135 A KR 20170043135A KR 1020150142224 A KR1020150142224 A KR 1020150142224A KR 20150142224 A KR20150142224 A KR 20150142224A KR 20170043135 A KR20170043135 A KR 20170043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disposed
barrier pattern
pattern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4810B1 (ko
Inventor
김장현
김민수
김태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2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810B1/ko
Priority to US15/140,576 priority patent/US10295867B2/en
Publication of KR20170043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93Means for protecting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45Insulat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1Manufacturing of individual cells out of a plurality of cells, e.g. by di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layout of the wiring layers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e.g. scanning lines in LCD pixel circuits
    • G02F2001/133302

Abstract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절연막,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배리어 패턴, 상기 배리어 패턴 상에 상기 배리어 패턴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씰 패턴 및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액정 표시 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등 전기장 생성 전극(field generating electrode)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기판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기장을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의 방향을 결정하고 입사광의 편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액정 표시 장치가 점차 대면적화 고해상도화 되면서, 액정 표시 장치를 정교하게 제어하기 위한 각종 배선들의 필요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다만, 각종 배선들이 차지하는 공간이 많아지면 요구되는 비표시 영역의 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이렇게 되면 내로우 베젤(Narrow Bezel) 표시 장치의 구현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내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구현하면서도, 액정 표시 장치를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기술적인 시도가 행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표시 영역의 면적을 절약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절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아웃 가스가 표시 영역 내측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절단 과정에서 소요되는 면적을 줄여 비표시 영역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절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아웃 가스가 표시 영역 내측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절연막,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배리어 패턴, 상기 배리어 패턴 상에 상기 배리어 패턴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씰 패턴 및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리어 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2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리어 패턴 상에 배치되는 배향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리어 패턴의 높이는 상기 제1 기판 상면과 상기 제2 기판 상면 사이의 거리를 2로 나눈 값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리어 패턴의 높이는 상기 제1 기판 상면과 상기 제2 기판 상면 사이의 거리를 2로 나눈 값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씰 패턴은 상기 배리어 패턴을 완전하게 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리어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리어 패턴은 제1층 배리어 패턴 및 상기 제1층 배리어 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2층 배리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리어 패턴은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의 배리어 패턴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씰 패턴은 상기 비표시 영역의 외주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씰 패턴의 외측벽과 상기 제1 기판의 외측벽은 서로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으로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절연막,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배리어 패턴 및 상기 배리어 패턴 상에 상기 배리어 패턴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씰 패턴을 구비하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씰 패턴과 중첩되도록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에 의해 커팅 라인이 지정되고,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커팅 라인을 따라 절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씰 패턴과 중첩되도록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절단하는 단계;는 레이저를 조사한 후 휠 또는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리어 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1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씰 패턴은 상기 배리어 패턴을 완전하게 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리어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리어 패턴은 제1층 배리어 패턴 및 상기 제1층 배리어 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2층 배리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리어 패턴은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의 배리어 패턴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셀 및 제2 셀로서, 제1 절연막,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배리어 패턴 및 상기 배리어 패턴 상에 상기 배리어 패턴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씰 패턴을 구비하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제1 셀 및 제2 셀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씰 패턴과 중첩되도록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을 서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내로우 베젤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표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아웃가스가 표시 영역 내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Ⅱ-Ⅱ’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액정 표시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Ⅱ-Ⅱ'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NDA) 외측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하는 제1 기판(500),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되는 제1 절연막(IL1), 제1 절연막(IL1) 상에 배치되는 배리어 패턴(BP), 배리어 패턴(BP) 상에 배리어 패턴(BP)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씰 패턴(SLP) 및 제1 기판(500)과 대향하는 제2 기판(1000)을 포함한다.
제1 기판(500)은 내열성 및 투과성을 가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500)은 예컨대, 투명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기판(500) 상에는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이 정의된다.
표시 영역(DA)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며,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에서 화상을 표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각종 신호선들이 배치되는 영역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표시 영역(DA)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시 영역(DA)상에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DL)과 복수의 게이트 라인(GL)이 서로 교차하여 구획하는 복수의 화소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복수의 화소 중 하나의 화소(도 1의 'A' 부분)를 확대한 것으로서, 표시 영역(DA)은 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화소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500) 상에는 게이트 전극(GE)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게이트 전극(GE)은 게이트 라인(GL)과 함께 게이트 배선(GL, GE)으로 통칭된다.
게이트 배선(GL, GE)은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알루미늄(Al) 계열의 금속, 은 합금을 포함하는 은(Ag) 계열의 금속, 구리 합금을 포함하는 구리(Cu)계열의 금속, 몰리브덴 합금을 포함하는 몰리브덴(Mo) 계열 금속, 크롬(Cr), 티타늄(Ti), 및 탄탈륨(T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게이트 배선(GL, GE)의 재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원하는 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성능을 가진 금속 또는 고분자 물질이 게이트 배선(GL, GE)의 재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게이트 라인(GL)은 구동에 필요한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복수의 게이트 라인(GL)은 제1 방향, 예컨대, 도 2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함께 박막 트랜지스터의 삼단자를 이룰 수 있다.
게이트 배선(GL, GE)은 단일막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중막, 삼중막 또는 그 이상의 다중막일 수 있다.
제1 기판(500), 게이트 배선(GE, GL)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GI)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은 제1 기판(500), 게이트 배선(GE, GL)을 덮으며 제1 기판(500) 상에 전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은 실리콘 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 산화물(SiNx) 등의 무기 절연물질, BCB(BenzoCycloButene), 아크릴계 물질 및 폴리이미드와 같은 유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게이트 절연막(GI)의 재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 절연막(GI) 상에는 반도체 패턴층(700)이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층(700)은 후술하는 소스 전극(SE) 및/또는 드레인 전극(DE)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 상에는 반도체 패턴층(700)이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층(700)은 비정질 규소 또는 다결정 규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반도체 패턴층(700)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반도체 패턴층(700)이 산화물 반도체인 경우, 반도체 패턴층(700)은 산화아연(ZnO)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반도체 패턴층(700) 상에는 갈륨(Ga), 인듐(In), 스태튬(Sn), 지르코늄(Zr), 하프늄(Hf), 카드뮴(Cd), 은(Ag), 구리(Cu), 게르마늄(Ge), 가돌리늄(Gd), 티타늄(Ti) 및 바나듐(V)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이온이 도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인 반도체 패턴층(700)은 ZnO, ZnGaO, ZnInO, ZnSnO, GaInZnO, CdO, InO, GaO, SnO, AgO, CuO, GeO, GdO, HfO, TiZnO, InGaZnO 및 InTiZnO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산화물 반도체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반도체 패턴층(700)은 섬형, 선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반도체 패턴층(700)이 선형을 갖는 경우, 반도체 패턴층(700)은 데이터 라인(DL) 아래에 위치하여 게이트 전극(GE)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반도체 패턴층(700)은 채널부(CH)를 제외한 영역에서 후술하는 데이터 배선(DL, SE, DE, 1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반도체 패턴층(700)은 채널부(CH)를 제외한 전 영역에서 데이터 배선(DL, SE, DE, 150)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채널부(CH)는 대향하는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채널부(CH)는 소스 전극(SE)와 드레인 전극(DE)를 전기적으로 이어주는 역할을 하며, 그 구체적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반도체 패턴층(700) 상부에는 n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되어 있는 오믹 컨택층(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될 수 있다. 오믹 컨택층은 반도체 패턴층(700)의 전부 또는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다만, 반도체 패턴층(700)이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오믹 컨택층은 생략될 수도 있다.
반도체 패턴층(700) 상에는 데이터 배선(DL, SE, DE)이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DL, SE, DE)은 데이터 라인(DL),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DL)은 제2 방향, 예컨대 도 2에서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게이트 라인(GL)과 교차할 수 있다.
소스 전극(SE)은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 가지 형태로 분지되어 반도체 패턴층(700)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드레인 전극(DE)은 소스 전극(SE)과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DL, SE, DE)은 니켈(Ni), 코발트(Co), 티탄(Ti), 은(Ag), 구리(Cu),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베릴륨(Be), 니오브(Nb), 금(Au), 철(Fe), 셀렌(Se) 또는 탄탈(Ta) 등으로 이루어진 단일막 또는 다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에 티탄(Ti), 지르코늄(Zr), 텅스텐(W), 탄탈(Ta), 니오브(Nb), 백금(Pt), 하프늄(Hf), 산소(O) 및 질소(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시켜 형성한 합금도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재료는 예시적인 것으로, 데이터 배선(DL, SE, DE, 150)의 재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 배선(DL, SE, DE, 150) 상에는 패시베이션막(600)이 배치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막(600)은 평탄화막으로서, 데이터 라인(DL), 소스 전극(SE), 반도체 패턴층(700) 및 드레인 전극(DE)을 덮으며, 제1 기판(500) 상에 전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막(600)은 유기 절연 물질 또는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시베이션막(600)은 컨택홀(CNT)을 포함할 수 있다. 컨택홀(CNT)은 패시베이션막(600)을 관통하여 드레인 전극(DE)의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패시베이션막(600) 상에는 화소 전극(PE)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전극(PE)은 패시베이션막(600)을 관통하는 컨택홀(CNT)을 통해 드레인 전극(D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화소 전극(PE)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의 투명 도전체 또는 알루미늄 등의 반사성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화소 전극(PE)이 평판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시하지만, 화소 전극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 화소 전극은 하나 이상의 슬릿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화소에 화소 전극은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화소 전극에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될 수도 있다.
복수의 화소가 위치하는 제1 기판(500) 상에는 제1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향막은 제1 기판(500)과 후술하는 제2 기판(1000)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을 초기 배향하기 위한 것으로 광(예를 들어, 자외선(UV) 또는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분해(decomposition), 이합체화 반응(dimerization), 이성질체화 반응(isomerization) 중 하나의 반응이 이루어지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향막은 반응성 메조겐이 중합된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배향막은 제1 기판(500) 상에 전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배향막은 제1 기판(500)의 표시 영역(DA)와 비표시 영역(NDA)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1000)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도시하지 않음)와 컬러 필터(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는 각 화소 사이의 빛샘과 인접한 화소 사이의 광 간섭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는 제1 기판(500) 상에 배치되는 소스 전극(SE), 드레인 전극(DE) 및 반도체 패턴층(700)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블랙 매트릭스는 데이터 라인(DL) 및/또는 게이트 라인(GL)을 덮을 수도 있다.
컬러 필터는 각 화소의 화소 전극(PE)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컬러 필터는 적색 컬러 필터, 청색 컬러 필터 및 녹색 컬러 필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컬러 필터는 도 3에서 예시하는 바와 달리 제1 기판(500) 상에 형성되거나,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제2 기판(1000) 상에는 오버코트막(OC)이 배치될 수 있다. 오버코트막(OC)은 유기 또는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오버코트막(OC)은 제2 기판(1000)의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평탄화막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오버 코트막(OC) 상에는 공통 전극(CE)이 배치될 수 있다. 공통 전극(CE)은 패터닝되지 않은 전면 전극일 수 있다. 공통 전극(CE)에는 공통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통 전극(CE)은 제1 기판(500)의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되는 공통 전원 라인(도시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공통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공통 전극(CE) 상에는 제2 배향막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배향막은 제1 기판(500)과 제2 기판(1000)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을 초기 배향하기 위한 것으로 광(예를 들어, 자외선(UV) 또는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분해(decomposition), 이합체화 반응(dimerization), 이성질체화 반응(isomerization) 중 하나의 반응이 이루어지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배향막 은 반응성 메조겐이 중합된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배향막은 제2 기판(1000) 상에 배치되는 공통 전극(CE)을 덮으며, 전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통 전극(CE)과 화소 전극(PE)에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면 공통 전극(CE)과 화소 전극(PE) 사이에 일정한 전계가 형성되며, 이를 이용하여, 제1 기판(500)과 제2 기판(1000)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비표시 영역(NDA)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표시 영역(NDA)에는 표시 영역(DA)이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기 위하여 즉, 표시 영역(DA)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 및/또는 전압을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DU)가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U)는 비표시 영역(NDA)에 적어도 하나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데이터 구동부(DU)가 표시 영역(DA)의 일측에 x축 방향을 따라 정렬되어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하나, 데이터 구동부(DU)의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표시 영역(NDA)에는 데이터 구동부(DU)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배선은 예컨대, 데이터 팬아웃 라인(DFL) 또는 공통 전원 라인(도시하지 않음)일 수 있다. 데이터 팬아웃 라인(DFL)은 데이터 구동부(DU)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를 표시 영역(DA)의 데이터 라인(DL)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데이터 공통 전원 라인은 데이터 구동부(DU)로부터 공통 전압을 인가 받으며, 이를 제2 기판(1000)의 공통 전극(CE)에 인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기판(500)의 공통 전원 라인은 제2 기판(1000)의 공통 전극(C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에는 제1 절연막(IL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막(IL1)은 제1 기판(500)을 덮으며, 제1 기판(500) 상에 전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절연막(IL1)은 표시 영역(DA)의 게이트 절연막(GI)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절연막(IL1)은 게이트 절연막(GL)과 일체로서 동일층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막(IL1) 상에는 배리어 패턴(BP)이 배치될 수 있다. 배리어 패턴(BP)은 비표시 영역(NDA)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배리어 패턴(BP)이 비표시 영역(NDA)의 일측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하나, 배리어 패턴(BP)의 배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 배리어 패턴(BP)은 비표시 영역(NDA)의 하나 이상의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배리어 패턴(BP)은 비표시 영역(NDA)의 외주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DA)이 사각형 형상을 갖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배리어 패턴(BP)은 사각형 형상의 표시 영역(DA)의 네 변을 둘러 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리어 패턴(BP)은 비표시 영역(NDA)의 외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리어 패턴(BP)은 표시 영역(DA)의 외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배리어 패턴(BP)은 비표시 영역(NDA)의 외주와 표시 영역(DA)의 외주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배리어 패턴(BP)은 제1 기판(500) 상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일정 간격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리어 패턴(BP)은 표시 영역(DA)의 컬러 필터(CF)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컬러 필터(CF)가 적색 컬러 필터, 녹색 컬러 필터 및 청색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배리어 패턴(BP)은 예컨대 청색 컬러 필터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적색 컬러 필터, 녹색 컬러 필터 및 청색 컬러 필터의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고, 그 중에서 청색 컬러 필터의 높이가 가장 클 수 있는데, 이 경우 청색 컬러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배리어 패턴(BP)이 제 기능을 발휘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높이를 확보하는데 가장 유리할 수 있다.
배리어 패턴(BP)의 구체적인 높이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몇몇 용어를 정의하기로 한다. 제1 기판(500)의 상면과 제2 기판(1000)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제1 높이(h1), 제1 기판(500) 상면으로부터 제1 기판(500)과 제2 기판(1000) 사이의 거리를 양분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제2 높이(h2), 제1 기판(500) 상면으로부터 배리어 패턴(BP)의 최고점까지의 거리를 제3 높이(h3)라 지칭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높이(h3)는 제2 높이(h2) 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높이(h3)가 제2 높이(h2)보다 클 경우, 후술하는 씰 패턴(SLP)에 영향을 줘 전체적인 셀 갭(Cell gap)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높이(h1)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3 높이(h3)의 최대값은 제2 높이(h2)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배리어 패턴(BP)과 제1 절연막(IL1) 상에는 제2 절연막(IL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막(IL2)은 제1 절연막(IL1) 및 배리어 패턴(BP)을 덮으며, 비표시 영역(NDA)에 전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막(IL2)는 표시 영역(DA)의 패시베이션막(6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절연막(IL2)은 제1 절연막(IL1)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절연막(IL2)은 생략될 수도 있다.
제2 절연막(IL2) 상에는 씰 패턴(SLP) 배치될 수 있다.
씰 패턴(SLP)은 제1 기판(500)과 제2 기판(1000)을 합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은 씰 패턴(SLP)이 비표시 영역(NDA)의 일측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하나 씰 패턴(SLP)의 배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 씰 패턴(SLP)은 하나 이상의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서 씰 패턴(SLP)은 비표시 영역(NDA)의 외주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즉, 표시 영역(DA)이 사각형 형상을 갖는 실시예에서, 씰 패턴(SLP)은 사각형 형상의 표시 영역(DA)의 네 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씰 패턴(SLP)은 제1 기판(500)과 제2 기판(1000)을 합착시킬 수 있다. 즉, 씰 패턴(SLP)은 제1 기판(500)과 제2 기판(1000) 사이의 셀 갭(Cell gap)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제1 기판(500)과 제2 기판(1000)을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씰 패턴(SLP)의 외측벽은 제1 기판(500)의 외측벽과 정렬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다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씰 패턴(SLP)과 중첩되도록 커팅 라인(CL)이 형성되는 것에 기인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씰 패턴(SLP)의 외측벽은 비표시 영역(NDA)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1 기판(500), 제1 절연막(IL1) 및 제2 절연막(IL2)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구성의 외측벽과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씰 패턴(SLP)의 외측벽은 제2 기판(1000) 및 공통 전극(CE)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구성의 외측벽과 정렬될 수 있다.
씰 패턴(SLP)은 배리어 패턴(BP)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리어 패턴(BP)은 씰 패턴(SLP)과 완전하게 중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씰 패턴(SLP)은 배리어 패턴(BP)을 완전하게 덮으며, 이에 의해, 배리어 패턴(BP)은 씰 패턴(SLP)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리어 패턴(BP)이 씰 패턴(SLP)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제조 공정 상에서 발생하는 아웃 가스(Out gas)가 표시 영역(DA)으로 침투하여 표시 영역(DA)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씰 패턴(SLP)과 중첩되도록 커팅 라인(CL)을 지정하고, 여기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씰 패턴(SLP)과 고온의 레이저가 만나 아웃 가스(Out gas)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아웃 가스(Out gas)는 절연막을 타고 이동하여 표시 영역(DA)의 내측까지 침투할 수 있는데, 씰 패턴(SLP)과 중첩되도록 배리어 패턴(BP)을 배치하는 경우, 배리어 패턴(BP)이 물리적인 저항으로 작용하여 아웃 가스(Out gas)가 표시 영역(DA) 내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서 지칭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배리어 패턴(BP)과 씰 패턴(SLP) 사이에 배향막(ALN)이 배치되는 점이 도 4의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제1 기판(500) 상에는 배향막(ALN)이 배치될 수 있다. 배향막(ALN)은 제1 기판(500)과 후술하는 제2 기판(1000)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을 초기 배향하기 위한 것으로 광(예를 들어, 자외선(UV) 또는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분해(decomposition), 이합체화 반응(dimerization), 이성질체화 반응(isomerization) 중 하나의 반응이 이루어지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향막(ALN)은 반응성 메조겐이 중합된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향막(ALN)은 제1 기판(500) 상에 전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배향막(ALN)은 제1 기판(500)의 표시 영역(DA)와 비표시 영역(NDA)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배향막(ALN)은 배리어 패턴(BP)이 배치된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5는 배향막(ALN)이 배리어 패턴(BP)을 완전하게 덮는 경우를 예시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 배향막(ALN)은 배리어 패턴(BP)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을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배향막(ALN)과 씰 패턴(SLP)은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배리어 패턴이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점이 도 4의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일 실시예에서 배리어 패턴(BP1)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배리어 패턴(BP1)은 제1층 배리어 패턴(BP1_a) 및 제2층 배리어 패턴(BP1_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층 배리어 패턴(BP1_a)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층 배리어 패턴(BP1_a)은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알루미늄(Al) 계열의 금속, 은 합금을 포함하는 은(Ag) 계열의 금속, 구리 합금을 포함하는 구리(Cu)계열의 금속, 몰리브덴 합금을 포함하는 몰리브덴(Mo) 계열 금속, 크롬(Cr), 티타늄(Ti), 및 탄탈륨(T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1층 배리어 패턴(BP1_a)의 재료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층 배리어 패턴(BP1_a)은 표시 영역(DA)의 게이트 배선(GL, GE)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층 배리어 패턴(BP1_a)과 게이트 배선(GL, GE)은 동일한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동시에 얻어질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1층 배리어 패턴(BP1_a)의 형성 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층 배리어 패턴(BP1_a) 상에는 제2층 배리어 패턴(BP1_b)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층 배리어 패턴(BP1_b)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층 배리어 패턴(BP1_b)은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알루미늄(Al) 계열의 금속, 은 합금을 포함하는 은(Ag) 계열의 금속, 구리 합금을 포함하는 구리(Cu)계열의 금속, 몰리브덴 합금을 포함하는 몰리브덴(Mo) 계열 금속, 크롬(Cr), 티타늄(Ti), 및 탄탈륨(T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2층 배리어 패턴(BP1_b)의 재료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2층 배리어 패턴(BP1_b)은 표시 영역(DA)의 화소 전극(PE)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의 투명 도전체 또는 알루미늄 등의 반사성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층 배리어 패턴(BP1_b)과 화소 전극(PE)은 동일한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동시에 얻어질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배리어 패턴(BP1)이 두 개의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시히지만, 금속층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 배리어 패턴은 하나의 금속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두 개 이상의 금속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배리어 패턴(BP2)이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되, 복수개의 배리어 패턴(BP2)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점이 도 6의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일 실시예에서 배리어 패턴(BP2)은 복수개이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배리어 패턴(BP2)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배리어 패턴(BP2)은 제1층 배리어 패턴(BP2_a) 및 제2층 배리어 패턴(BP2_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층 배리어 패턴(BP2_a) 및 제2층 배리어 패턴(BP2_b)은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배리어 패턴(BP2)은 인접하는 배리어 패턴(BP2)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3개의 배리어 패턴(BP2)이 이격되는 경우를 도시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배리어 패턴(BP2)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배리어 패턴(BP2)이 비표시 영역(NDA)의 외주를 따라 연장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7과 같이 복수개의 배리어 패턴(BP2)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경우, 커팅 라인(CL)에서 발생하는 아웃 가스(Out gas)를 차단하는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배리어 패턴(BP2) 상에 배치되는 구성과의 접촉 면적을 늘려 접찹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와 같은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씰 패턴(SLP)의 접착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씰 패턴(SLP)이 비표시 영역(NDA)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점이 도 1의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일 실시예에서 씰 패턴(SLP)은 비표시 영역(NDA)의 외주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씰 패턴(SLP)의 외측벽은 제1 기판(500)의 외측벽과 정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씰 패턴(SLP)은 중공부를 갖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씰 패턴(SLP)은 개구를 갖는 액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씰 패턴(SLP)이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 경우, 배리어 패턴(BP)은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배리어 패턴(BP)은 씰 패턴(SLP)과 중첩된 상태에서 씰 패턴(SLP)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의 일부는 앞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기판 또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일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의 외측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하는 제1 기판(500)으로서,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되는 제1 절연막(IL1), 제1 절연막(IL1) 상에 배치되는 배리어 패턴(BP) 및 배리어 패턴(BP) 상에 배리어 패턴(BP)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씰 패턴(SLP)을 구비하는 제1 기판(500)과 제1 기판과(500)과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2 기판(500)을 준비하는 단계 및 제1 기판(500)의 씰 패턴(SLP)과 중첩되도록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1 기판(500)과 제2 기판(1000)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의 외측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하는 제1 기판(500)으로서,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되는 제1 절연막(IL1), 제1 절연막(IL1) 상에 배치되는 배리어 패턴(BP) 및 배리어 패턴(BP) 상에 배리어 패턴(BP)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씰 패턴(SLP)을 구비하는 제1 기판(500)과 제1 기판과(500)과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2 기판(500)을 준비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의 외측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하는 제1 기판(500)으로서,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되는 제1 절연막(IL1), 제1 절연막(IL1) 상에 배치되는 배리어 패턴(BP) 및 배리어 패턴(BP) 상에 배리어 패턴(BP)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씰 패턴(SLP)을 구비하는 제1 기판(500)은 앞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제1 기판(500) 상에 제1 절연막(IL1)을 형성한다. 제1 절연막(IL1)은 예컨대, 화학 기상 증착 또는 잉크젯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1 절연막(IL1)의 제조 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제1 절연막(IL1) 상에 배리어 패턴(BP)을 형성할 수 있다. 배리어 패턴(BP)은 예컨대, 유기 절연 물질 또는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하나의 층을 형성하고 이를 패터닝하는 방식으로 얻어질 수 있다. 배리어 패턴(BP)이 표시 영역(DA)에 배치되는 컬러 필터(CF)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어서, 제1 절연막(IL1) 상에 제2 절연막(IL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절연막(IL2)은 예컨대, 화학 기상 증착 또는 잉크젯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절연막(IL2)가 생략될수도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어서, 제2 절연막(IL2) 상에 씰 패턴(SLP)을 형성한다. 씰 패턴(SLP)은 접착 성능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씰 패턴(SLP)은 배리어 패턴(BP)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씰 패턴(SLP)은 배리어 패턴(BP)을 완전히 덮을 수도 있다.
이어서, 제1 기판(500)과 대향하도록 제2 기판(1000)을 배치할 수 있다.
제2 기판(1000) 상에는 오버코트막(OC) 및 전면 전극인 공통 전극(CE)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기판(500)과 제2 기판(1000)을 근접시켜 양자를 합착시키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즉, 제1 기판(500)과 제2 기판(1000) 사이에는 씰 패턴(SLP)이 개재되며, 씰 패턴(SLP)에 의해 제1 기판(500)과 제2 기판(1000)의 셀 갭(Cell gap)이 유지된 상태로 양자가 합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면, 제1 기판(500) 상에 배치되는 씰 패턴(SLP)과 중첩되도록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레이저는 레이저 조사 장치(L)로부터 나올 수 있다. 레이저 조사 장치(L)에서 나오는 레이저의 종류는 예컨대, 엑시머 레이저일 수 있으나, 레이저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절단에 필요한 특정 파장을 갖는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레이저는 예컨대, 제1 기판(500)의 하면에서 상면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레이저의 조사 방향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레이저에 의해 커팅 라인(CL)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기판(500)과 제2 기판(1000)은 레이저에 의해 형성된 커팅 라인(CL)을 따라 절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레이저에 의해 제1 기판(500), 제2 기판(1000) 및 제1 기판(500)과 제2 기판(1000) 사이에 개재되는 구성의 적어도 일부가 절단될 수 있다. 즉, 커팅 라인(CL)은 레이저의 조사방향과 중첩되는 가상 혹은 실제의 절단선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기판(500), 제1 절연막(IL1), 제2 절연막(IL2) 공통 전극(CE), 오버코트막(OC) 및 제2 기판(1000)이 레이저와 중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기판(500), 제1 절연막(IL1), 제2 절연막(IL2) 공통 전극(CE), 오버코트막(OC) 및 제2 기판(1000) 중 적어도 일부가 레이저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일부가 레이저에 의해 절단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레이저에 의해 형성된 커팅 라인(CL)을 따라 제1 기판(500) 및 제2 기판(1000)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예컨대, 휠(wheel)을 이용한 커팅 방식이나 블레이드(Blade)를 이용한 커팅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기계적인 커팅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제1 기판(500), 제2 기판(1000) 및 제1 기판(500)과 제2 기판(1000)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커팅 라인(CL)을 따라 절단되는 경우, 커팅 라인(CL)의 내측에는 비표시 영역(NDA) 및 표시 영역(DA)이 배치될 수 있고, 외측에는 버려지는 영역(Wasted Area, WA)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의 결과물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셀(C1) 및 제2 셀(C2)로서, 제1 절연막(IL1), 제1 절연막(IL1) 상에 배치되는 배리어 패턴(BP) 및 배리어 패턴(BP) 상에 배리어 패턴(BP)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씰 패턴(SLP)을 구비하는 제1 기판(500)과 제1 기판(500)과 대향하는 제2 기판(1000)을 포함하는 제1 셀(C1) 및 제2 셀(C2)을 준비하는 단계 및 제1 셀(C1)과 제2 셀(C2) 사이에 배치되는 씰 패턴(SLP)과 중첩되도록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1 셀(C1) 및 제2 셀(C2)을 서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셀이 서로 분리되어 하나의 셀이 하나의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셀을 포함하는 원장 기판을 절단하여 복수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셀은 인접하는 셀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셀(C1) 및 제2 셀(C2)는 각각 제1 절연막(IL1), 제1 절연막(IL1) 상에 배치되는 배리어 패턴(BP) 및 배리어 패턴(BP) 상에 배리어 패턴(BP)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씰 패턴(SLP)을 구비하는 제1 기판(500)과 제1 기판(500)과 대향하는 제2 기판(10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셀(C1) 및 제2 셀(C2)은 각각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셀(C1) 및 제2 셀(C2)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셀(C1) 및 제2 셀(C2)는 제1 기판(500), 제2 기판(1000) 및 제1 기판(500)과 제2 기판(1000)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일부의 구성을 공유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셀(C1) 및 제2 셀(C2)은 씰 패턴(SLP)을 공유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셀(C1)과 제2 셀(C2) 사이에 배치되는 씰 패턴(SLP)과 중첩되도록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레이저에 의해 커팅 라인(CL)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기판(500)과 제2 기판(1000)은 레이저에 의해 형성된 커팅 라인(CL)을 따라 절단될 수 있다. 또한, 제1 셀(C1)과 제2 셀(C2)은 커팅 라인(CL)에 의해 양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레이저에 의해 제1 기판(500), 제2 기판(1000) 및 제1 기판(500)과 제2 기판(1000) 사이에 개재되는 구성의 적어도 일부가 절단될 수 있다. 즉, 커팅 라인(CL)은 레이저의 조사방향과 중첩되는 가상 혹은 실제의 절단선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기판(500), 제1 절연막(IL1), 제2 절연막(IL2) 공통 전극(CE), 오버코트막(OC) 및 제2 기판(1000)이 레이저와 중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기판(500), 제1 절연막(IL1), 제2 절연막(IL2) 공통 전극(CE), 오버코트막(OC) 및 제2 기판(1000) 중 적어도 일부가 레이저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일부가 레이저에 의해 절단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레이저에 의해 형성된 커팅 라인(CL)을 따라 제1 기판(500) 및 제2 기판(1000)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예컨대, 휠(wheel)을 이용한 커팅 방식이나 블레이드(Blade)를 이용한 커팅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기계적인 커팅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DA: 표시 영역
NDA: 비표시 영역
DL: 데이터 라인
GL: 게이트 라인
GE: 게이트 전극
SE: 소스 전극
DE: 드레인 전극
PE: 화소 전극
DFL: 데이터 팬아웃 라인
DU: 데이터 구동부
BP: 배리어 패턴
SLP: 씰 패턴
IL: 절연막
ALN: 배향막
GI: 게이트 절연막
1000: 제2 기판
OC: 오버코트막
CE: 공통 전극

Claims (20)

  1.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절연막;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배리어 패턴;
    상기 배리어 패턴 상에 상기 배리어 패턴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씰 패턴;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2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패턴 상에 배치되는 배향막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패턴의 높이는 상기 제1 기판 상면과 상기 제2 기판 상면 사이의 거리를 2로 나눈 값과 동일한 액정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패턴의 높이는 상기 제1 기판 상면과 상기 제2 기판 상면 사이의 거리를 2로 나눈 값보다 작은 액정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씰 패턴은 상기 배리어 패턴을 완전하게 덮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패턴은 제1층 배리어 패턴 및 상기 제1층 배리어 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2층 배리어 패턴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패턴은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의 배리어 패턴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씰 패턴은 상기 비표시 영역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씰 패턴의 외측벽과 상기 제1 기판의 외측벽은 서로 정렬되는 액정 표시 장치.
  12.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으로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절연막;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배리어 패턴; 및
    상기 배리어 패턴 상에 상기 배리어 패턴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씰 패턴;을 구비하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씰 패턴과 중첩되도록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절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에 의해 커팅 라인이 지정되고,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커팅 라인을 따라 절단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씰 패턴과 중첩되도록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절단하는 단계;는 레이저를 조사한 후 휠 또는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1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씰 패턴은 상기 배리어 패턴을 완전하게 덮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패턴은 제1층 배리어 패턴 및 상기 제1층 배리어 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2층 배리어 패턴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패턴은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의 배리어 패턴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셀 및 제2 셀로서,
    제1 절연막;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배리어 패턴; 및
    상기 배리어 패턴 상에 상기 배리어 패턴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씰 패턴;을 구비하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제1 셀 및 제2 셀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씰 패턴과 중첩되도록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을 서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50142224A 2015-10-12 2015-10-12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14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224A KR102414810B1 (ko) 2015-10-12 2015-10-12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5/140,576 US10295867B2 (en) 2015-10-12 2016-04-28 LC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224A KR102414810B1 (ko) 2015-10-12 2015-10-12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135A true KR20170043135A (ko) 2017-04-21
KR102414810B1 KR102414810B1 (ko) 2022-06-30

Family

ID=58499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224A KR102414810B1 (ko) 2015-10-12 2015-10-12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95867B2 (ko)
KR (1) KR102414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4392B2 (en) 2016-09-06 2019-12-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1800B (zh) * 2017-08-16 2019-04-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8074939A (zh) * 2017-12-15 2018-05-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2566157B1 (ko) * 2018-06-28 2023-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572A (ko) * 2001-06-25 2003-01-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1587A (ko) * 2005-01-10 2006-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70356A (ko) * 2007-01-26 2008-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과 이를 포함한 액정 표시 장치
KR20120122227A (ko) * 2011-04-28 2012-1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209B1 (ko) 2000-12-27 2007-08-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KR100659931B1 (ko) 2001-02-19 2006-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를 이용한 기판 절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0701013B1 (ko) 2001-05-21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빔을 이용한 비금속 기판의 절단방법 및 장치
US7884900B2 (en) 2005-05-26 2011-02-08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partition walls made of color filter layers as a dam for the light shielding material
TWI288846B (en) * 2006-06-16 2007-10-21 Innolux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WO2009055621A1 (en) * 2007-10-26 2009-04-30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color filter on array flat panel displays
JP2010139953A (ja) * 2008-12-15 2010-06-24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KR101772702B1 (ko) 2011-04-13 2017-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992217B1 (ko) 2012-06-21 2019-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 습윤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140916B2 (en) * 2012-09-29 2015-09-22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CD panel and LCD device
US20160075949A1 (en) * 2013-03-25 2016-03-17 Dic Corporation Liquid crystal composition an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contain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572A (ko) * 2001-06-25 2003-01-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1587A (ko) * 2005-01-10 2006-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70356A (ko) * 2007-01-26 2008-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과 이를 포함한 액정 표시 장치
KR20120122227A (ko) * 2011-04-28 2012-1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4392B2 (en) 2016-09-06 2019-12-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02569A1 (en) 2017-04-13
US10295867B2 (en) 2019-05-21
KR102414810B1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554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617063B (zh) 顯示裝置
KR102436650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76428B1 (ko) 어레이 기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510428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60026019A1 (en) Mother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70087574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201013279A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14810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7004578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22858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4054569A1 (ja) 半導体装置及び表示装置
US10782580B2 (en) Array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rray substrate
US989788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70040417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61340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WO2014054563A1 (ja) 半導体装置及び表示装置
US10593842B2 (en) Display device with reduced warping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875940B1 (ko)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73573A (ko) 액정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KR20190027025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220681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광원을 구비한 표시장치
KR20140076997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