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2798A - 배기가스 처리 장치 및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 방법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처리 장치 및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2798A
KR20170042798A KR1020177009050A KR20177009050A KR20170042798A KR 20170042798 A KR20170042798 A KR 20170042798A KR 1020177009050 A KR1020177009050 A KR 1020177009050A KR 20177009050 A KR20177009050 A KR 20177009050A KR 20170042798 A KR20170042798 A KR 20170042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conduit
liquid
pipe
absorptio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9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8689B1 (ko
Inventor
쿠니유키 타카하시
조에 에노모토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2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8Absorbing units; Liquid distributors therefor
    • B01D53/185Liquid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8Absorbing units; Liquid distribu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10Inorganic absorbents
    • B01D2252/103Water
    • B01D2252/1035Sea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2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1Engine exhaust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66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use in transport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81Removing sulfur dioxide or sulfur tr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01D53/501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 B01D53/504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characterised by a specific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흡수탑의 내부에 설치된 노즐은, 분사하는 액체에 의한 부식, 액체의 고압 분사에 따른 분사구의 마모에 의한 변형 등으로 인해 열화(劣化)되기 때문에 정기적인 메인터넌스가 필요하다. 통상, 노즐 및 해당 노즐에 액체를 공급하는 본관(幹管) 등을 내부에 포함하는 흡수탑(吸收塔)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노즐의 메인터넌스를 하는 경우에는, 흡수탑 전체를 배기가스 처리 장치로부터 일단 분리하여 분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작업이 커지고, 작업원, 작업시간, 작업 스페이스 등을 확보하기가 어려웠다. 배기가스에 액체를 접촉시킴으로써 배기가스 중의 대상 물질을 흡수하는 흡수통(吸收筒)과,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흡수통의 내부 공간에 액체를 분사시키는 분사부와, 분사부가 부착되며, 분사부로 액체를 인도하는, 흡수통의 내부에 배치된 도관(導管)과, 액체를 도관에 공급하는 공급관을 구비하며, 흡수통을 통과한 배기가스를 외기(外氣)로 인도하는 연도(煙道)를 따라, 분사부가 부착된 상태로 도관을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도관은, 공급관으로부터 떼어내는 분리부를 가지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기가스 처리 장치 및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 방법{EXHAUST GAS PROCESSING APPARATUS AND EXHAUST GAS PROCESSING APPARATUS MAINTENANCE METHOD}
[0001] 본 발명은, 배기가스 처리 장치 및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maintenance) 방법에 관한 것이다.
[0002] 종래에는, 흡수탑 내부로 도입한 배기가스와, 흡수탑 내부에 설치된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액체를 기액(氣液)접촉시킴으로써, 배기가스 중의 유황산화물(SOx) 등을 제거하였다.
[0003] 일본 특허공개공보 H06-190240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H08-281055호
[0004] 흡수탑의 내부에 설치된 노즐은, 분사하는 액체에 의한 부식, 액체의 고압 분사에 따른 분사구(噴射口)의 마모에 의한 변형 등으로 인해 열화(劣化)된다. 이 때문에, 노즐을 정기적으로 메인터넌스할 필요가 있다. 통상, 노즐 및 해당 노즐에 액체를 공급하는 본관(幹管, trunk pipe) 등을 내부에 포함하는 흡수탑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노즐의 메인터넌스를 하는 경우에는, 흡수탑 전체를 배기가스 처리 장치로부터 일단 분리하여 분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작업이 커지고, 작업원(作業圓), 작업 시간, 작업 스페이스 등을 확보하기가 어려웠다.
[0005] [발명의 일반적 개시(開示)]
배기가스 처리 장치는, 흡수통(吸收筒)을 구비해도 된다. 흡수통은, 배기가스에 액체를 접촉시킴으로써 배기가스 중의 대상 물질을 흡수해도 된다. 배기가스 처리 장치는,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흡수통의 내부 공간으로 액체를 분사시키는 분사부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배기가스 처리 장치는, 분사부가 부착되며, 분사부로 액체를 인도하는 도관(導管)을 구비해도 된다. 도관은, 흡수통의 내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나아가, 배기가스 처리 장치는, 액체를 도관에 공급하는 공급관을 구비해도 된다. 도관은, 연도(煙道)를 따라, 분사부가 부착된 상태로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공급관으로부터 떼어내기 위한 분리부를 가져도 된다. 연도는, 흡수통을 통과한 배기가스를 외기(外氣)로 인도해도 된다.
[0006] 배기가스 처리 장치는, 흡수통의 내부에 분사부와 도관의 조합에 의한 유닛이 복수 배치되어도 된다. 그리고, 유닛은, 연도측에 배치된 것일수록 소형이어도 된다. 복수의 유닛은, 배기가스의 배출량에 따라 공급관으로부터 액체가 공급되는 수(數)가 바뀌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유닛은, 연도측에 배치된 것일수록, 액체가 공급되고 있는 시간이 길어도 된다. 각각의 유닛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도 된다. 각각의 유닛마다 공급관과 분리부가 설치되어도 된다.
[0007] 흡수통은, 분리부의 근방에 메인터넌스 창(窓)을 가져도 된다.
[0008] 나아가, 배기가스 처리 장치는, 흡수통의 내벽에 설치된 연접부(連接部)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배기가스 처리 장치는, 연접부와 도관을 접속하는 빔(梁)을 구비해도 된다. 빔은, 연접부에 있어서의 접속이 해제되어, 도관과 일체적으로 외부로 꺼내져도 된다.
[0009] 빔에는, 걸림고정부가 설치되어도 된다. 걸림고정부는, 도관을 외부로 꺼내기 위한 외력(外力)을 받아도 된다.
[0010] 도관은, 분사부가 부착된 지관(枝管)과, 복수의 지관이 접속된 본관을 가져도 된다. 빔은, 본관으로부터 방사상(放射狀)으로 복수 설치되어도 된다. 빔은, 본관으로부터의 방사 방향에 있어서, 지관보다 길어도 된다.
[0011] 배기가스 처리 장치는, 연도를 따라 도관을 이동시키기 위한 안내부를 구비해도 된다. 안내부는, 흡수탑의 내주(內周) 방향에 있어서 빔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안내 부재를 가져도 된다.
[0012] 배기가스 처리 장치는, 연도를 형성하는 배기통(排氣筒)을 구비해도 된다. 배기통과 흡수통은, 동축(同軸)의 원통(圓筒) 형상을 이루어도 된다.
[0013] 배기가스에 액체를 접촉시킴으로써 배기가스 중의 대상 물질을 흡수하는 흡수통과,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흡수통의 내부 공간에 액체를 분사시키는 분사부와, 분사부가 부착되며, 분사부로 액체를 인도하는, 흡수통의 내부에 배치된 도관과, 액체를 도관에 공급하는 공급관을 구비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 방법은, 공급관으로부터 도관을 떼어내는 분리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 방법은, 흡수통을 통과한 배기가스를 외기로 인도하는 연도를 따라, 분사부가 부착된 상태로 도관을 외부로 꺼내는 취출(取出)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0014] 또한,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 방법은, 도관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빔과 흡수통의 내벽에 설치된 연접부와의 접속을 해제하는 해제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0015]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 방법은, 빔의 선단(先端)에 보호 부재를 장착하는 장착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0016]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 방법은, 흡수통의 내부에 복수 배치되어 있는 상기 분사부와 상기 도관의 조합에 의한 유닛 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0017]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 방법은, 도관이 연도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 부재를 삽입통과시키는 삽입통과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0018] 참고로, 상기한 발명의 개요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특징군(群)의 서브 콤비네이션 또한, 발명이 될 수 있다.
[0019]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빔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의 단면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액체 토출관의 취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에 대한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안내 유닛의 배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0020] 이하에서는,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겠으나, 이하의 실시형태는 청구범위에 따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형태 중에서 설명되고 있는 특징의 조합이 모두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0021]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 장치(1)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배기가스 처리 장치(1)는, 엔진 룸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유황산화물(SOx) 등의 환경 부하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환경 부하가 비교적 적은 배기가스로 하여 선박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0022] 배기가스 처리 장치(1)는, 흡수탑(100), 배기가스 출구통(200)을 구비한다. 참고로, 본 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표축을 정한다. 즉, 흡수탑(100)의 길이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한다. 또한, 선박 내부로부터 선박 외부로 향하는 방향을 z축의 양의 방향으로 한다. z축에 직교하며, 지면(紙面) 앞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x축의 양의 방향으로 한다. x축과 z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y축으로 하고, y축의 양의 방향은 오른손 좌표계(right-handed system, 右手系)로 규정한다.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z축의 양의 방향을 위(上)로 한다. 이후의 몇 개의 도면에 있어서는, 도 1의 좌표축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도면의 방향을 알 수 있도록 좌표축을 표시한다.
[0023] 흡수탑(100)은, 도입통(10) 및 흡수통(11)을 가진다. 도입통(10), 흡수통(11) 및 배기가스 출구통(200)은, 모두 원통 형상이며, 서로 거의 동일한 내경(內徑)을 가진다. 도입통(10)의 상단(上端)에는, 흡수통(11)이 도입통(10)과 동축이 되도록 배치되며, 수밀(水密)하고 기밀(氣密)한 상태가 되도록 서로 용접된다. 흡수통(11)의 상단에는, 배기가스 출구통(200)이 흡수통(11)과 동축이 되도록 배치되며, 수밀하고 기밀한 상태가 되도록 서로 용접된다.
[0024] 도입통(10)은, 배기가스 도입부(12), 제3 액체 도입부(18) 및 배액(排液) 도출부(20)를 가진다. 또한, 도입통(10)은, 흡수통(11)과의 접합 부분의 근방의 측면에 메인터넌스 창(24)을 가진다. 배기가스 도입부(12)는, 도입통(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엔진 룸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도입통(10) 내로 도입한다.
[0025] 배기가스 도입부(12)는, 배기가스가 흡수탑(100)의 내벽을 따라 도입되도록, 도입통(10)의 외경(外徑)의 접선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배기가스 도입부(12)의 외측의 측벽은, 도입통(10)의 외형의 접선 방향으로 연신(延伸)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의해, 배기가스는, 흡수탑(100)의 내부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선회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다.
[0026] 제3 액체 도입부(18)는, 도입통(10)의 바닥부(底部) 근방의 측면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처리액을 도입통(10) 내로 도입한다. 배액 도출부(20)는, 도입통(10)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의 세정 처리 후의 처리액을 도입통(10) 밖으로 배출한다.
[0027] 흡수통(11)은, 제1 액체 도입부(16), 제2 액체 도입부(17)를 가진다. 또한, 흡수통(11)은, 측면에 메인터넌스 창(22)을 가진다. 제1 액체 도입부(16)는, 흡수통(11)의 배기가스 출구통(200)과의 접합 부분 근방의 측면에 설치된다. 제2 액체 도입부(17)는, 흡수통(11)의 측면이면서 제1 액체 도입부(16)의 하방(下方)에 설치된다. 제1 액체 도입부(16) 및 제2 액체 도입부(1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처리액을 흡수통(11) 내로 도입한다.
[0028] 제1 액체 도입부(16), 제2 액체 도입부(17) 및 제3 액체 도입부(18)는, 흡수탑(100)의 외부로부터 액체 토출관(30)에 처리액을 공급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처리액은 선박의 주위 환경으로부터 취한 해수(海水)이다. 참고로, 처리액은, 해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처리액은, 호수, 강물, 혹은 배기가스의 세정액으로서 미리 준비된 알칼리성의 액체 등이어도 된다.
[0029] 흡수통(11)은, 원통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 공간에 액체 토출관(30)을 가진다. 액체 토출관(30)은, 공급된 처리액을, 후술하는 분사부로부터 안개상(霧狀) 혹은 액적상(液滴狀)으로 확산 분사한다. 액체 토출관(3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0030] 배기가스 출구통(200)은, 연도를 형성하는 배기통으로서 기능한다. 배기가스 출구통(200)은, 흡수통(11)을 통과한 배기가스를 외기로 인도한다. 배기가스 출구통(200)의 상단에는, 엘보(elbow)부(300)가 부착된다. 엘보부(300)는, 배기가스 출구통(200)으로의 빗물의 진입을 방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엘보부(300)는, 배기가스 출구통(2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0031] 엔진 등의 동력 장치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는, 도입통(10)의 측면에 설치된 배기가스 도입부(12)로부터 도입통(10) 내로 도입된다. 그리고, 도입통(10)에 도입된 배기가스는, 도입통(10)의 내벽을 따라, 미리 정해진 선회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하여 흡수통(11)으로 향한다.
[0032] 흡수통(11)에 도입된 배기가스는, 흡수통(11)의 내벽을 따라, 나선(螺旋) 형상의 유로를 통과하면서 상승한다. 그리고, 흡수통(11)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배기가스는, 액체 토출관(30)으로부터 분사된 처리액과 기액접촉함으로써, 환경 부하 물질이 제거된다. 흡수통(11) 내부를 통과함으로써 정화 처리된 배기가스는, 이후, 배기가스 출구통(200) 및 엘보부(300)를 지나, 선박 외부로 배출된다.
[0033] 도입통(10)의 바닥부는, 흡수통(11) 내부에 있어서 액체 토출관(30)으로부터 분사되어 낙하한 처리액을 일단 저류(貯留)하는 배액 저류부로서 기능한다. 배액 도출부(20)는, 저류된 배액을 흡수탑(100) 밖으로 배출한다.
[0034]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 장치(1)의 메인터넌스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특히, 액체 토출관(30)을 외부로 꺼내는 작업을 나타내고 있다. 액체 토출관(30)은, 특히 처리액을 분사하는 분사부에 있어서, 처리액에 의한 부식, 처리액의 고압 분사 등에 의한 분사구의 변형 등으로 인해 분사 성능이 열화된다. 액체 토출관(30)에는, 예컨대, 분사하는 처리액의 확산각(擴散角), 입경(粒徑), 단위시간 당 분사량 등의 분사 프로파일이 미리 정해져 있다. 여기서, 「분사 성능이 열화된다」란, 실제의 처리액의 분사 특성의 분사 프로파일로부터의 괴리가 커지는 것을 말한다. 이 때문에, 액체 토출관(30)의 메인터넌스를 정기적으로 행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메인터넌스란, 액체 토출관(30)을 선박 외부로 꺼내서, 액체 토출관(30)의 분사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노즐 교환 등을 행하는 작업을 말한다.
[0035]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기가스 처리 장치(1)의 메인터넌스 중, 특히 액체 토출관(30)의 외부로의 취출 작업에 대해, 도 2를 참조하면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통상, 선박의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항만(港灣)에는, 대형 크레인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해당 크레인을 이용하여, 액체 토출관(30)을 배기가스 처리 장치(1)로부터 매달아 올려서 꺼낸다.
[0036] 우선, 메인터넌스 작업자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1)로의 배기가스의 도입을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메인터넌스 작업자는, 배기가스 출구통(200)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엘보부(300)를 분리한다. 그런 다음, 메인터넌스 작업자는, 메인터넌스 창(22)을 통해 흡수통(11)의 내부로 들어가, 와이어걸이(94)를 액체 토출관(30)에 부착시킨다. 그런 다음, 메인터넌스 작업자는, 배기가스 출구통(200)을 통해 크레인 후크(96)를 삽입하여, 크레인 후크(96)를 와이어걸이(94)에 건다. 그런 다음, 메인터넌스 작업자는, 액체 토출관(30)을 흡수통(11)으로부터 떼어낸다. 그리고, 메인터넌스 작업자는, 도 2의 속이 빈 화살표 방향으로 크레인 후크(96)를 끌어올려, 배기가스 출구통(200)을 따라 액체 토출관(30)을 선박 외부로 꺼낸다.
[0037] 배기가스 처리 장치(1)에 있어서, 액체 토출관(30)은, 다른 구성 부재보다 비교적 열화되기 쉽기 때문에, 특히 정기적인 메인터넌스를 필요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액체 토출관(30)만을 배기가스 처리 장치(1)로부터 꺼내어 메인터넌스를 행한다. 이때, 배기가스 출구통(200)의 내부를 통해, 액체 토출관(30)을 선박 외부로 꺼낸다. 이 때문에, 배기가스 처리 장치(1) 전체를 꺼내는 경우와 달리, 취출을 위한 동선 스페이스를 별도로 확보할 필요가 없다. 또한, 교환이 불필요한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계속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배기가스 처리 장치(1)의 일부인 액체 토출관(30)만을 꺼내는 비교적 소규모의 작업이기 때문에, 적은 수의 작업원으로도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액체 토출관(30) 전체를 꺼내기 때문에, 액체 토출관(30)이 설치된 상태인 채로 노즐 교환 등을 행하는 것보다 작업의 수고 및 작업시간을 삭감할 수 있다.
[0038]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기가스 처리 장치(1)의 정면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특히, 도 3은, 배기가스 처리 장치(1)의 흡수탑(100)의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참고로, 도 3에 있어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입통(10) 및 흡수통(11)의 내부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단, 도입통(10) 및 흡수통(11)의 내부에 있어서의 구조물은, 단면(斷面)이 아닌 상태로 나타낸다. 또한,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0039] 도입통(10)은,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배기가스 도입부(12), 제3 액체 도입부(18) 및 배액 도출부(20)에 더하여 배플(baffle; 26)을 가진다. 배플(26)은, 도입통(10)의 중심축에 대해 대략 직교하도록 제3 액체 도입부(18)에 설치된다. 배플(26)은, 배기가스 도입부(12)보다도 하방에 설치된다. 배플(26)은, 도입통(10)의 내부를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영역과, 사용이 끝난 처리액인 배액을 저류하는 영역으로 구획하는 기능을 가진다.
[0040] 액체 토출관(30)은, 제1 유닛(40), 제2 유닛(50) 및 제3 유닛(60)을 가진다. 제1 유닛(40)과 제2 유닛(50)은, 제1 연결부(72)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유닛(50)과 제3 유닛(60)은, 제2 연결부(74)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배기가스 출구통(200)측으로부터 순차, 제1 유닛(40), 제2 유닛(50), 그리고 제3 유닛(60)의 순서로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유닛(40)은 제2 유닛(50)보다 작다. 또한, 제2 유닛(50)은 제3 유닛(60)보다 작다.
[0041] 제1 유닛(40), 제2 유닛(50) 및 제3 유닛(60)은, 흡수탑(100)에 대해, 각각의 유닛의 중량을 지지하여, 자세를 유지하도록 복수의 빔을 구비한다. 참고로, 본 도면에 있어서는, 빔의 묘사를 생략한다. 빔의 배치 등에 대한 상세(詳細)는, 도면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0042] 제1 유닛(40)은, 제1 본관(42), 복수의 제1 지관(44), 및 복수의 제1 분사부(46)를 포함한다. 제1 본관(42)은, 흡수통(11)과 대략 동축으로 배치된 중공(中空)의 원통 형상을 가진다. 제1 본관(42)은, 처리액이 흐르는 유로를 흡수통(11)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형성한다.
[0043] 제1 지관(44)은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진다. 제1 지관(44)은, 제1 본관(42)의 중심축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신되도록, 제1 본관(42)의 측면에 설치된다. 또한, 제1 지관(44)은, 제1 본관(42)의 둘레 방향(周方向)을 따라 등간격(等間隔)으로 복수 설치된다. 복수의 제1 지관(44)은, 제1 본관(42)으로부터 분기(分岐)하여, 처리액이 흐르는 유로를 제1 본관(42)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평면에 형성한다.
[0044] 제1 분사부(46)는, 제1 지관(44)의 각각에 복수 설치된다. 제1 분사부(46)는, 제1 지관(44)의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이 되도록 복수 설치된다. 제1 분사부(46)는 도 3의 X표를 붙인 면에 분사구를 가지고 있으며, 처리액을 분사구로부터 분사한다. 제1 분사부(46)는, 원뿔(圓錐) 형상으로 처리액을 확산 분사하는 스프레이 노즐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분사부(46)는, 제1 지관(44)의 각각에 대해, 2개씩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0045] 나아가, 제1 본관(42)의 중심축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신되는 복수의 제1 지관(44), 및 복수의 제1 지관(44)의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제1 분사부(46)로 구성되는 계층이, 제1 본관(42)의 z방향에 있어서 일정 간격으로 복수 설치된다. 제1 유닛(40)은, 해당 계층을 4개 가진다.
[0046] 제1 본관(42), 제1 지관(44) 및 제1 분사부(46)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SUS)이다. 스테인리스강은, 처리액인 해수에 대해 비교적 높은 내식성(耐蝕性)을 가진다. 이 때문에,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함으로써, 메인터넌스의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스테인리스강의 부식을 완전히 피할 수는 없다. 특히, 고압으로 처리액을 분사하는 제1 분사부(46)의 분사구는, 부식 및 마모로 인한 변형이 일어나기 쉽다. 이 때문에, 내식성이 비교적 높은 재질을 사용하였다 하더라도, 적어도 제1 분사부(46)의 정기적인 메인터넌스는 필요하다. 또한, 제1 본관(42), 제1 지관(44) 및 제1 분사부(46)는 각각, 용접에 의해 접속된다.
[0047] 제1 본관(42)은, 제1 액체 도입부(16)로부터 공급된 처리액을 복수의 제1 지관(44)에 유입시킨다. 제1 지관(44)은, 제1 본관(42)으로부터 유입된 처리액을 복수의 제1 분사부(46)에 유입시킨다. 각각의 제1 분사부(46)는, 제1 지관(44)으로부터 유입된 처리액을,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흡수통(11)의 내부 공간을 향해 확산 분사한다. 참고로, 제1 분사부(46)는, 배기가스의 선회류(旋回流)의 흐름에 따르도록, 선회류의 하류(下流)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처리액을 분사하도록 제1 지관(44)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제1 분사부(46)에 의한 처리액의 분류(噴流, jet flow)는, 흡수통(11) 내에 있어서 배기가스의 선회류를 방해하지 않는다.
[0048] 제2 유닛(50)은, 제2 본관(52), 복수의 제2 지관(54), 및 복수의 제2 분사부(56)를 포함한다. 제2 본관(52)은, 흡수통(11)과 대략 동축으로 배치된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진다. 제2 본관(52)은, 처리액이 흐르는 유로를 흡수통(11)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형성한다.
[0049] 제2 지관(54)은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진다. 제2 지관(54)은, 제2 본관(52)의 중심축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신되도록, 제2 본관(52)의 측면에 설치된다. 또한, 제2 지관(54)은, 제2 본관(5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 설치된다. 복수의 제2 지관(54)은, 제2 본관(52)으로부터 분기하여, 처리액이 흐르는 유로를 제2 본관(52)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형성한다.
[0050] 제2 분사부(56)는, 제2 지관(54)의 각각에 복수 설치된다. 제2 분사부(56)는, 제2 지관(54)의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이 되도록 복수 설치된다. 제2 분사부(56)는 도 3의 X표를 붙인 면에 분사구를 가지고 있으며, 처리액을 분사구로부터 분사한다. 제2 분사부(56)는, 원뿔 형상으로 처리액을 확산 분사하는 스프레이 노즐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분사부(56)는, 제2 지관(54)의 각각에 대해, 2개씩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0051] 나아가, 제2 본관(52)의 중심축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신되는 복수의 제2 지관(54), 및 복수의 제2 지관(54)의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제2 분사부(56)로 구성되는 계층이, 제2 본관(52)의 z방향에 있어서 일정 간격으로 복수 설치된다. 제2 유닛(50)은, 해당 계층을 4개 가진다.
[0052] 제2 본관(52), 제2 지관(54) 및 제2 분사부(56)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SUS)이다. 또한, 제2 본관(52), 제2 지관(54) 및 제2 분사부(56)는 각각, 용접에 의해 접속된다.
[0053] 제2 본관(52)은, 제2 액체 도입부(17)로부터 공급된 처리액을 복수의 제2 지관(54)에 유입시킨다. 제2 지관(54)은, 제2 본관(52)으로부터 유입된 처리액을 복수의 제2 분사부(56)에 유입시킨다. 각각의 제2 분사부(56)는, 제2 지관(54)으로부터 유입된 처리액을,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흡수통(11)의 내부 공간을 향해 확산 분사한다. 또한, 제2 분사부(56)는, 배기가스의 선회류의 흐름에 따르도록, 선회류의 하류를 향해 분사 중심선이 수평 방향이 되게 처리액을 분사하도록 제2 지관(54)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제2 분사부(56)에 의한 처리액의 분류는, 흡수통(11) 내에 있어서 배기가스의 선회류를 방해하지 않는다.
[0054] 제3 유닛(60)은, 제3 본관(62), 복수의 제3 지관(64), 및 복수의 제3 분사부(66)를 포함한다. 제3 본관(62)은, 흡수통(11)과 대략 동축으로 배치된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진다. 제3 본관(62)은, 처리액이 흐르는 유로를 흡수통(11)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형성한다.
[0055] 제3 지관(64)은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진다. 제3 지관(64)은, 제3 본관(62)의 중심축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신되도록, 제3 본관(62)의 측면에 설치된다. 또한, 제3 지관(64)은, 제3 본관(6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 설치된다. 복수의 제3 지관(64)은, 제3 본관(62)으로부터 분기하여, 처리액이 흐르는 유로를 제3 본관(62)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형성한다.
[0056] 제3 분사부(66)는, 제3 지관(64)의 각각에 복수 설치된다. 제3 분사부(66)는, 제3 지관(64)의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이 되도록 복수 설치된다. 제3 분사부(66)는 도 3의 X표를 붙인 면에 분사구를 가지고 있으며, 처리액을 분사구로부터 분사한다. 제3 분사부(66)는, 원뿔 형상으로 처리액을 확산 분사하는 스프레이 노즐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3 분사부(66)는, 제3 지관(64)의 각각에 대해, 2개씩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0057] 나아가, 제3 본관(62)의 중심축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신되는 복수의 제3 지관(64), 및 복수의 제3 지관(64)의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제3 분사부(66)로 구성되는 계층이, 제3 본관(62)의 z방향에 있어서 일정 간격으로 복수 설치된다. 제3 유닛(60)은, 해당 계층을 4개 가진다.
[0058] 제3 본관(62), 제3 지관(64) 및 제3 분사부(66)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SUS)이다. 또한, 제3 본관(62), 제3 지관(64) 및 제3 분사부(66)는 각각, 용접에 의해 접속된다.
[0059] 제3 본관(62)은, 제3 액체 도입부(18)로부터 공급된 처리액을 복수의 제3 지관(64)에 유입시킨다. 제3 지관(64)은, 제3 본관(62)으로부터 유입된 처리액을 복수의 제3 분사부(66)에 유입시킨다. 각각의 제3 분사부(66)는, 제3 지관(64)으로부터 유입된 처리액을,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흡수통(11)의 내부 공간을 향해 확산 분사한다. 참고로, 제3 분사부(66)는, 배기가스의 선회류의 흐름에 따르도록, 선회류의 하류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처리액을 분사하도록 제3 지관(64)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제3 분사부(66)에 의한 처리액의 분류는, 흡수통(11) 내에 있어서 배기가스의 선회류를 방해하지 않는다.
[0060] 참고로, 액체 토출관(30)을 구성하는 본관, 지관, 및 분사부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하는 처리액에 대한 내식성과 처리액의 고압 분사에 대한 내마모성을 고려하여,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지관과 분사부 간의 접속 방법은, 용접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비틀어 넣는 수단에 의해 접속되어도 된다.
[0061] 제1 액체 도입부(16)는, 제1 도입관(75), 제1 연결관(76), 및 제1 접합부(77)를 가진다. 제1 도입관(75)과 제1 연결관(76)이 서로 마주 보는 부분은, 플랜지의 이음매인 제1 접합부(77)가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또한, 플랜지끼리의 접합 부분은, 해수의 침입을 막기 위해 밀봉(sealing) 처리가 실시된다. 참고로, 밀봉 처리에는, 실리콘계의 밀봉재(材)를 적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접합 부분으로의 해수의 침입을 방지하여, 해수로 인한 접합 부분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도입관(75)은, 흡수통(11)의 측면을 관통하여 도입되며, 흡수탑(100)의 외부로부터 처리액을 제1 연결관(76)을 향해 유입시킨다. 제1 연결관(76)은, 제1 본관(42)의 측면에 수밀하게 용접되어, 제1 도입관(75)으로부터 유입된 처리액을 제1 본관(42)에 유입시킨다.
[0062] 제2 액체 도입부(17)는, 제2 도입관(78), 제2 연결관(79), 및 제2 접합부(80)를 가진다. 제2 도입관(78)과 제2 연결관(79)이 서로 마주 보는 부분은, 제1 접합부(77)와 마찬가지로, 플랜지의 이음매인 제2 접합부(80)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도입관(78)은, 흡수통(11)의 측면을 관통하여 도입되며, 흡수탑(100)의 외부로부터 처리액을 제2 연결관(79)을 향해 유입시킨다. 제2 연결관(79)은, 제2 본관(52)의 측면에 수밀하게 용접되어, 제2 도입관(78)으로부터 유입된 처리액을 제2 본관(52)에 유입시킨다.
[0063] 제3 액체 도입부(18)는, 제3 도입관(81), 및 제3 접합부(82)를 가진다. 제3 도입관(81)과 제3 본관(62)이 서로 마주 보는 부분은, 제1 접합부(77)와 마찬가지로, 플랜지의 이음매인 제3 접합부(82)가 설치되어 있다. 제3 도입관(81)은, 도입통(10)의 하부 근방에 있어서 측면을 관통하여 도입되며, 도입통(10) 및 흡수통(11)의 접합 부분 부근까지 연신된다. 제3 도입관(81)은, 제3 본관(62)의 중심축과 대략 동축으로 접합되도록, 도입통(10)의 내부에 있어서 굴곡부를 가진다. 제3 도입관(81)은, 흡수탑(100)의 외부로부터 처리액을 제3 본관(62)에 유입시킨다.
[0064]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도입관(75), 제2 도입관(78), 및 제3 도입관(81)이 각각 공급관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한다. 제1 유닛(40)에 있어서는, 제1 도입관(75)으로부터 처리액이 공급되는 제1 연결관(76), 제1 본관(42) 및 복수의 제1 지관(44)이 도관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한다. 제2 유닛(50)에 있어서는, 제2 도입관(78)으로부터 처리액이 공급되는 제2 연결관(79), 제2 본관(52) 및 복수의 제2 지관(54)이 도관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한다. 그리고, 제3 유닛(60)에 있어서는, 제3 도입관(81)으로부터 처리액이 공급되는 제3 본관(62) 및 복수의 제3 지관(64)이 도관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한다.
[0065] 액체 토출관(30)을 선박 외부로 꺼낼 때, 작업자는,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메인터넌스 창(22)을 통해 흡수통(11)의 내부로 들어가, 제1 접합부(77) 및 제2 접합부(80)의 접합을 해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메인터넌스 창(24)을 통해 흡수통(11)의 내부로 들어가, 제3 접합부(82)의 접합을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도관의 경계부인 제1 접합부(77), 제2 접합부(80) 및 제3 접합부(82)는, 각각 분리부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메인터넌스 창(22) 및 메인터넌스 창(24)은, 분리부의 근방에 설치된다.
[0066] 참고로, 제1 접합부(77), 제2 접합부(80), 및 제3 접합부(82)에 있어서의 접합은, 볼트와 너트에 의한 체결에 따른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접합부(77), 제2 접합부(80), 및 제3 접합부(82)에 있어서의 접합은, 수밀성(水密性)을 실현하는 다양한 접합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예컨대, 플랜지끼리를 용접에 의해 접합해도 된다. 용접에 의한 접합의 경우, 작업자는, 용접부를 그라인더(grinder) 등에 의해 절단함으로써, 각각의 접합부에 있어서의 접합을 해제한다.
[0067] 단위시간 당의 배기가스의 배출량은, 선박의 엔진 가동률에 따라 변화한다. 이 때문에, 선박의 엔진 가동률에 따라, 사용하는 유닛을 제한해도 된다. 예컨대, 엔진의 가동률이 30% 미만인 경우에는, 제1 유닛(40)만을 사용한다. 또한, 예컨대, 엔진 가동률이 30% 이상이며 또한 80% 미만인 경우에는, 제1 유닛(40)에 더하여, 제2 유닛(50)을 사용한다. 엔진의 가동률이 80% 이상인 경우에는, 제1 유닛(40), 제2 유닛(50), 및 제3 유닛(60)을 모두 사용한다. 이와 같이, 엔진의 가동률에 따라 사용하는 유닛을 제한함으로써, 배기가스의 세정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0068] 선박 엔진의 경우, 일반적으로 가동률은 평균 30%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항상 사용되는 제1 유닛(40)은, 제2 유닛(50) 및 제3 유닛(60)보다 사용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2 유닛(50)은, 제3 유닛(60)보다 사용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처리액에 의한 부식에 기인하는 열화나, 마모에 의한 열화는, 사용시간이 길수록 더 진행된다. 이 때문에, 일정한 기간에 있어서, 제1 유닛(40)의 열화 정도는, 제2 유닛(50) 및 제3 유닛(60)의 열화 정도보다 커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2 유닛(50)의 열화 정도는, 제3 유닛(60)의 열화 정도보다 커지는 경향이 있다.
[0069]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유닛(40), 제2 유닛(50), 및 제3 유닛(60)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열화 정도에 따라, 교환 메인터넌스를 행할 유닛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유닛(40)만 메인터넌스를 필요로 하는 경우, 작업자는, 제1 연결부(72)의 연결을 해제하고, 제1 유닛(40)만을 꺼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유닛(40) 및 제2 유닛(50)만이 메인터넌스를 필요로 하는 경우, 작업자는, 제2 연결부(74)를 해제하고, 제1 유닛(40) 및 제2 유닛(50)을 꺼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 장치(1)에 있어서, 작업자는, 유닛마다 메인터넌스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교환 등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다.
[0070] 도 4는, 빔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특히,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배기가스 처리 장치(1)의 개략도에 있어서, 빔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만을 나타내고 있다. 빔은, 액체 토출관(30)을 흡수탑(100)의 내벽에 대해 걸림고정시켜, 액체 토출관(30)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참고로, 공통의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며,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0071] 흡수통(11)은, 내벽에 복수의 제1 연접부(83), 복수의 제2 연접부(84), 및 복수의 제3 연접부(85)를 가진다. 복수의 제1 연접부(83)의 각각에는, 흡수통(11)의 중심축을 향해 제1 빔(86)이 설치된다. 제1 연접부(83)와 제1 빔(86)은, 볼트와 너트에 의한 접속 또는 용접에 의해 접속된다. 복수의 제2 연접부(84)의 각각에는, 흡수통(11)의 중심축을 향해 제2 빔(87)이 설치된다. 제2 연접부(84)와 제2 빔(87)은, 볼트와 너트에 의한 접속 또는 용접에 의해 접속된다. 복수의 제3 연접부(85)의 각각에는, 흡수통(11)의 중심축을 향해 제3 빔(88)이 설치된다. 제3 연접부(85)와 제3 빔(88)은, 볼트와 너트에 의한 접속 또는 용접에 의해 접속된다.
[0072] 제1 본관(42)은, 상단에 제1 빔 고정부(48)를 포함한다. 제1 연접부(83)로부터 연신되는 제1 빔(86)은, 제1 빔 고정부(48)에 접속된다. 복수의 제1 빔(86)은, 흡수통(11)의 중심축에 대략 직교하는 면(面) 상에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제1 빔(86)은,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십자(十字)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0073] 제2 본관(52)은, 하단(下端)에 제2 빔 고정부(58)를 포함한다. 제2 연접부(84)로부터 연신되는 제2 빔(87)은, 제2 빔 고정부(58)에 접속된다. 복수의 제2 빔(87)은, 흡수통(11)의 중심축에 대략 직교하는 면 상에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제2 빔(87)은,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십자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0074] 제3 본관(62)은, 상단에 제3 빔 고정부(68)를 포함한다. 제3 연접부(85)로부터 연신되는 제3 빔(88)은, 제3 빔 고정부(68)에 접속된다. 복수의 제3 빔(88)은, 흡수통(11)의 중심축에 대략 직교하는 면 상에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제3 빔(88)은,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십자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0075]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체 토출관(30)을 선박 외부로 꺼낼 때, 작업자는,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메인터넌스 창(22)을 통해 흡수통(11)의 내부로 들어가, 제1 연접부(83)와 제1 빔(86) 간의 접속, 및 제2 연접부(84)와 제2 빔(87) 간의 접속을 분리한다.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메인터넌스 창(24)을 통해 흡수통(11)의 내부로 들어가, 제3 연접부(85)와 제3 빔(88) 간의 접속을 분리한다. 그리고, 제1 빔(86), 제2 빔(87), 및 제3 빔(88)은 각각 제1 본관(42), 제2 본관(52), 및 제3 본관(62)과 접속된 채로, 액체 토출관(30)과 함께 선박 외부로 꺼내진다.
[0076]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빔(86), 제2 빔(87), 및 제3 빔(88)은, 흡수통(11)의 내벽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로부터 흡수통(11)의 중심축을 향해 배치된다. 환언하자면,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복수의 제1 빔(86), 복수의 제2 빔(87), 및 복수의 제3 빔(88)이 각각 형성하는 십자는, 각각이 겹쳐 보이도록 배치된다.
[0077]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연접부(83)는 제2 연접부(84)보다 짧다. 즉, 복수의 제1 빔(86)의 외주단(外周端)은, 복수의 제2 빔(87)의 외주단보다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연접부(84)는 제3 연접부(85)보다 짧다. 즉, 복수의 제2 빔(87)의 외주단은, 복수의 제3 빔(88)의 외주단보다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액체 토출관(30)을 선박 외부로 꺼낼 때, 제3 빔(88)의 단부(端部)가, 제1 연접부(83)나 제2 연접부(84)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빔(87)의 단부가, 제1 연접부(83)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078]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의 단면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또한,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도 5에는, 제1 유닛(40)의 구성만을 나타낸다. 참고로, 공통의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며,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0079]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유닛(40)은, 복수의 제1 지관(44) 및 복수의 제1 분사부(46)로 구성되는 계층을 4개 가진다. 도 5에서는, 복수의 제1 지관(44) 및 복수의 제1 분사부(46)로 구성되는 계층마다, 실선(實線), 점선(點線), 파선(破線), 및 일점쇄선(一點鎖線)으로 나타내고 있다.
[0080] 각각의 계층에 있어서, 제1 지관(44)은,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십자를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실선으로 나타낸 복수의 제1 지관(44) 및 복수의 제1 분사부(46)는, 최상단(最上段)의 계층을 나타낸다. 점선으로 나타낸 복수의 제1 지관(44) 및 복수의 제1 분사부(46)는, 위로부터 2단째의 계층을 나타낸다. 파선으로 나타낸 복수의 제1 지관(44) 및 복수의 제1 분사부(46)는, 위로부터 3단째의 계층을 나타낸다. 그리고,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복수의 제1 지관(44) 및 복수의 제1 분사부(46)는, 최하단(最下段)의 계층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최상단의 계층을 제1 계층, 위로부터 2단째의 계층을 제2 계층, 위로부터 3단째의 계층을 제3 계층, 그리고 최하단의 계층을 제4 계층이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0081]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계층의 제1 지관(44), 제2 계층의 제1 지관(44), 제3 계층의 제1 지관(44), 및 제4 계층의 제1 지관(44)은,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서로 겹치지 않게 배치된다. 예컨대, 제1 계층의 제1 지관(44), 제2 계층의 제1 지관(44), 제3 계층의 제1 지관(44), 및 제4 계층의 제1 지관(44)은, 제1 본관(42)의 중심축 둘레로 서로 18도씩 어긋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흡수통(11)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분사된 처리액의 공간 밀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0082]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본관(42)으로부터의 방사 방향에 있어서, 제1 지관(44)은, 제1 빔(86)보다 짧다. 환언하자면, 복수의 제1 지관(44)의 외주단은, 제1 연접부(83)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복수의 제1 지관(44)의 외주단은, 제1 도입관(75)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액체 토출관(30)을 선박 외부로 꺼낼 때, 액체 토출관(30)이 매달아 올리는 방향에 대해 회전하였다 하더라도, 제1 지관(44)의 단부가, 제1 연접부(83)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083] 마찬가지로, 제2 본관(52)으로부터의 방사 방향에 있어서, 제2 지관(54)은, 상방(上方)에 배치되는 제1 빔(86)보다 짧다. 환언하자면, 복수의 제2 지관(54)의 외주단은, 제1 연접부(83)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복수의 제2 지관(54)의 외주단은, 제2 도입관(78)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액체 토출관(30)을 선박 외부로 꺼낼 때, 액체 토출관(30)이 매달아 올리는 방향에 대해 회전하였다 하더라도, 제2 지관(54)의 단부가, 제1 연접부(83)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084] 마찬가지로, 제3 본관(62)으로부터의 방사 방향에 있어서, 제3 지관(64)은, 상방에 배치되는 제1 빔(86), 제2 빔(87), 및 제3 빔(88)보다 짧다. 환언하자면, 복수의 제3 지관(64)의 외주단은, 제1 연접부(83), 제2 연접부(84), 및 제3 연접부(85)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액체 토출관(30)을 선박 외부로 꺼낼 때, 액체 토출관(30)이 매달아 올리는 방향에 대해 회전하였다 하더라도, 제3 지관(64)의 단부가, 제1 연접부(83), 제2 연접부(84), 및 제3 연접부(85)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085] 제1 빔(86)은, 제1 연접부(83)와의 접속 위치 근방에, 걸림고정부(90)가 설치된다. 걸림고정부(90)는, 액체 토출관(30)을 선박의 외부로 꺼내기 위한 외력을 받는다. 걸림고정부(90)는, 예컨대, 아이볼트(eyebolt)이다.
[0086] 도 6은, 액체 토출관(30)의 취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참고로, 도 6은, 액체 토출관(30)의 메인터넌스에 있어서, 제1 유닛(40)을 선박 외부로 꺼내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0087] 액체 토출관(30)의 메인터넌스에 있어서, 작업자는, 와이어걸이(94)의 일단(一端)을 걸림고정부(90)에 걸어 고정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크레인 후크(96)에 타단(他端)을 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십자 형상으로 배치된 제1 빔(86)의 외측단(外側端)에 설치된 걸림고정부(90)를 와이어걸이(94)로 매다는 4점식이다. 이 때문에, 와이어걸이(94)에 가해지는 하중을 균등하게 할 수 있으며, 액체 토출관(30)을 선박 외부로 매달아 올리는 경우에, 액체 토출관(30)의 자세를 안정되게 할 수 있다.
[0088]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흐름은, 미리 정해진 메인터넌스 실시 기간에 실행된다. 참고로, 본 흐름은, 작업자가 배기가스 처리 장치(1)로의 배기가스의 도입을 정지시키고, 배기가스 처리 장치(1)의 동작을 정지시킨 후에 개시된다. 또한, 배기가스 처리 장치에 대해 액체 토출관(30) 등을 넣고 빼는 데 있어서는, 예컨대, 항만에 설치된 크레인을 이용한다.
[0089] 배기가스 처리 장치(1)로의 배기가스의 도입을 정지시키고, 배기가스 처리 장치(1)의 동작을 정지시킨 후에, 작업자는, 처리액을 공급하는 공급관으로부터 액체 토출관(30)을 떼어낸다(스텝 S101). 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는, 메인터넌스 창(22) 및 메인터넌스 창(24)을 통해 흡수탑(100)의 내부로 들어가, 제1 접합부(77), 제2 접합부(80), 및 제3 접합부(82)의 접합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는, 접합 부분에 도포한 밀봉재를 제거하고, 볼트와 너트의 체결을 풂으로써 플랜지의 접합을 해제한다. 이에 의해, 제1 도입관(75)과 제1 연결관(76), 제2 도입관(78)과 제2 연결관(79), 및 제3 도입관(81)과 제3 본관(62)의 각각의 접합이 해제된다.
[0090] 다음으로, 작업자는, 걸림고정부(90)에 와이어걸이(94)를 걸어 고정시킨다(스텝 S103). 그런 다음, 작업자는, 배기가스 출구통(200)으로부터 엘보부(300)를 분리한다(스텝 S105).
[0091] 다음으로, 작업자는, 배기가스 출구통(200)의 상단 개구(開口)로부터 크레인 후크(96)를 흡수탑(100)에 삽입한다(스텝 S107). 그런 다음, 작업자는, 크레인 후크(96)에 와이어걸이(94)를 건다(스텝 S109). 그런 다음, 작업자는, 빔을 연접부로부터 떼어낸다(스텝 S111). 구체적으로는, 작업자는, 제1 연접부(83)와 제1 빔(86) 간의 볼트와 너트에 의한 체결을 풀거나, 또는 용접부를 그라인더 등으로 절단함으로써, 제1 연접부(83)와 제1 빔(86)을 떼어낸다. 동일하게 하여, 작업자는, 제2 연접부(84)와 제2 빔(87) 간의 접속, 및 제3 연접부(85)와 제3 빔(88) 간의 접속을 분리한다.
[0092] 다음으로, 작업자는, 항만에 설치된 크레인에 의해 배기가스 출구통(200)을 따라 액체 토출관(30)을 외부로 꺼낸다(스텝 S113).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액체 토출관(30)과 함께, 제1 연결관(76), 제2 연결관(79), 제1 빔(86), 제2 빔(87), 및 제3 빔(88)은 외부로 꺼내진다. 이때, 도관은 분사부가 부착된 상태로 외부로 꺼내진다.
[0093] 다음으로, 작업자는, 액체 토출관(30)의 메인터넌스를 행한다(스텝 S115). 메인터넌스의 구체적인 내용은, 교환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유닛의 교환, 분사부의 교환 및 클리닝 처리가 포함된다. 나아가, 액체 토출관(30) 전체를 교환해도 된다.
[0094] 다음으로, 작업자는, 메인터넌스가 끝난 액체 토출관(30), 혹은 새로운 액체 토출관(30)을 크레인에 의해 배기가스 출구통(200)의 상단 개구로부터, 흡수탑(100)에 삽입한다(스텝 S117). 그런 다음, 작업자는, 처리액을 공급하는 공급관과 액체 토출관(30)을 연결한다(스텝 S119). 구체적으로는, 작업자는, 제1 접합부(77), 제2 접합부(80), 및 제3 접합부(82)를 접합한다.
[0095] 다음으로, 작업자는, 빔을 연접부에 접속한다(스텝 S121). 구체적으로는, 작업자는, 제1 연접부(83)와 제1 빔(86)을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거나, 또는 용접하여 접속한다. 그런 다음, 작업자는, 제2 연접부(84)와 제2 빔(87)을 용접하여 접속한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제3 연접부(85)와 제3 빔(88)을 용접하여 접속한다.
[0096] 다음으로, 작업자는, 크레인 후크(96)를 와이어걸이(94)로부터 빼내고, 걸림고정부(90)로부터 와이어걸이를 빼낸다(스텝 S123). 그런 다음, 작업자는, 배기가스 출구통(200)을 통해 크레인 후크(96)를 외부로 꺼낸다(스텝 S125).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배기가스 출구통(200)에 엘보부(300)를 부착시킨다(스텝 S127). 스텝 S127까지의 공정이 완료됨으로써, 배기가스 처리 장치(1)의 메인터넌스가 완료된다.
[0097] 참고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기가스 처리 장치(1)는, 각 유닛의 열화 정도에 따라, 꺼내는 유닛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유닛(40)만을 꺼내는 경우에는, 본 메인터넌스의 흐름에 있어서, 스텝 S109와 스텝 S111 사이에, 제1 유닛(40)과 제2 유닛(50) 사이의 제1 연결부(72)를 해제하는 공정을 설치해도 된다. 나아가, 스텝 S119와 스텝 S121 사이에, 제1 연결부(72)를 연결하는 공정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제1 유닛(40)만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스텝 S101 및 스텝 S111에 있어서, 제1 접합부(77) 및 제1 빔(86)만을 떼어내는 처리를 행하면 된다. 나아가, 작업자는, 스텝 S119 및 스텝 S121에 있어서, 제1 접합부(77) 및 제1 빔(86)만을 접속하는 처리를 행하면 된다.
[0098] 도 8은,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에 대한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특히, 본 도면은, 메인터넌스 시에 있어서의 안내 유닛의 부착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인터넌스에 있어서, 액체 토출관(30)이 매달아 올리는 방향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안내 유닛(92)을 설치한다. 참고로, 공통의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며,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0099]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액체 토출관(30)을 선박 외부로 꺼내는 공정에 앞서, 안내 유닛(92)을 설치한다. 안내 유닛(92)은, 복수의 안내 부재(92a)와 복수의 고정 부재(92b)로 구성된다. 안내 부재(92a)는 판(板) 형상의 부재이며, 배기가스 출구통(200)의 상단으로부터, 제3 유닛(60)을 지지하는 제3 빔 고정부(68)의 하단까지의 길이를 가진다. 고정 부재(92b)는 링 형상의 부재이며, 복수의 안내 부재(92a)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원주(圓周)를 따라 배치하도록 고정한다. 고정 부재(92b)는, 안내 부재(92a)의 상단으로부터 대략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0100] 도 8의 속이 빈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유닛(92)은, 배기가스 출구통(200)의 상단 개구로부터 흡수통(11)의 내부로 내벽을 따라 삽입된다. 흡수통(11)의 내부에 있어서의 안내 부재(92a)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음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0101] 도 9는, 안내 유닛(92)의 안내 부재(92a)의 배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의 (a)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에 있어서, 안내 유닛(92)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의 (b)는, 안내 유닛(92)이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배기가스 처리 장치(1)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참고로, 도 9의 (b)는, 안내 부재(92a)의 배치에 대한 설명에 필요한 부분을 발취하여 나타낸 것이다. 참고로, 공통의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며,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0102] 한 쌍의 안내 부재(92a)는, 흡수통(11)의 내주 방향에 있어서, 제1 연접부(83) 및 제1 빔(86)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다. 또한, 안내 부재(92a)는, 흡수통(11)의 내벽으로부터 제1 빔(86)의 일부를 덮는 폭을 가진다. 이 때문에, 액체 토출관(30)은, 흡수통(11) 및 배기가스 출구통(200)의 중심축 둘레의 회동(回動)이 안내 부재(92a)에 의해 제한된다.
[0103] 마찬가지로, 안내 부재(92a)는, 제1 유닛(40)의 하방에 배치되는 제2 유닛(50) 및 제3 유닛(60)의 각각에 접속된 제2 빔(87) 및 제3 빔(88)에 있어서, 흡수통(11) 및 배기가스 출구통(200)의 중심축 둘레의 회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액체 토출관(30)은 전체적으로, 흡수통(11) 및 배기가스 출구통(200)의 중심축 둘레의 회동이 억제된다. 액체 토출관(30)은, 안내 부재(92a)에 가이드됨으로써, 매달아 올리는 방향에 대해 회전하는 일 없이, 흡수통(11) 및 배기가스 출구통(200)의 내벽을 따라, 선박 외부로 꺼내진다. 이 때문에, 지관, 빔, 제1 연결관(76), 및 제2 연결관(79)과, 제1 도입관(75), 제2 도입관(78), 및 흡수통(11)의 내벽에 설치된 복수의 연접부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0104] 참고로, 안내 유닛(92)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메인터넌스의 흐름에 있어서, 스텝 S105와 스텝 S107 사이에, 안내 유닛(92)을 설치하는 공정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스텝 S125와 스텝 S127 사이에 있어서, 안내 유닛(92)을 분리하는 공정을 설치해도 된다.
[0105] 또한,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 안내 유닛(92)에 있어서는, 제1 연접부(83) 및 제1 빔(86)을 사이에 끼우도록 한 쌍의 안내 부재(92a)가 배치된 예를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한 쌍의 안내 부재(92a)의 배치는 본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한 쌍의 안내 부재(92a)를 제1 도입관(75) 및 제1 접합부(77)를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해도 된다.
[0106] 또한, 액체 토출관(30)을 선박 외부로 꺼내는 공정에 앞서, 제1 빔(86), 제2 빔(87), 및 제3 빔(88)의 단부에 완충 부재를 부착시켜도 된다. 완충 부재는, 우레탄을 사용한 완충재이다. 그러나, 완충 부재는 우레탄을 사용한 완충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완충 효과를 가지는 다양한 부재를 사용한 완충재를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고무를 사용한 완충재를 적용할 수 있다. 완충 부재를 부착시킴으로써, 액체 토출관(30)을 선박 외부로 꺼낼 때, 제1 빔(86), 제2 빔(87), 및 제3 빔(88)의 단부가 접촉하였을 경우의 흡수통(11) 및 배기가스 출구통(200)의 내벽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메인터넌스의 흐름에 있어서, 스텝 S111과 스텝 S113 사이에, 상술한 빔의 단부에 완충 부재를 부착시키는 공정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교환한 액체 토출관(30)의 빔의 단부에 완충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19와 스텝 S121 사이에, 완충 부재를 분리하는 공정을 설치해도 된다.
[0107] 이상의 설명에서는, 전체적으로 대략 동심(同心)인 원통 형상을 가지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일례를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대략 동심인 원통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예컨대, 배기가스 출구통(200)은, 액체 토출관(30)을 배기가스 출구통(200)의 내벽을 따라 빼낼 수 있을 정도의, 만곡부를 가지는 형상이어도 된다.
[0108] 이상의 설명에서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1)의 메인터넌스에 있어서, 액체 토출관(30)을 흡수통(11) 및 배기가스 출구통(200)을 따라 꺼내기 위한 안내 유닛(92)을 부착시키는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흡수통(11) 및 배기가스 출구통(200)의 내벽에 미리 안내부를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컨대, 배기가스 출구통(200)이 만곡되어 있는 경우에, 액체 토출관(30)을 배기가스 출구통(200)의 내벽을 따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또한, 안내 유닛(92)을 삽입하는 공정, 및 안내 유닛(92)을 꺼내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0109] 이상의 설명에서는, 3개의 유닛으로 분할 가능한 액체 토출관(30)을 일례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유닛 수는 3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유닛 수는, 2개여도 되고, 4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각 유닛에 있어서의 지관의 개수, 및 지관의 각각에 설치되는 분사부의 수에 대해서도,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1개의 유닛에 있어서의 지관의 개수는, 2개 이하여도 되고, 4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1개의 지관에 배치되는 분사부의 수는, 1개여도 되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0110] 이상의 설명에서는, 액체 토출관(30)의 각 유닛의 중량을 흡수통(11)의 내벽으로 지지하기 위해, 복수의 빔을 설치한 예를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각각의 유닛에 빔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예컨대, 제3 본관(62)이 제3 도입관(81)에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제2 본관(52)이 제3 본관(62)에 의해 직접 지지되고, 제1 본관(42)이 제2 본관(52)에 의해 직접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혹은, 액체 토출관(30)을 유닛이 아니라 일체로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빔의 접속을 절단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의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0111] 이상, 본 발명을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범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하는 것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이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이,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분명하다.
[0112] 청구범위, 명세서, 및 도면 중에 나타낸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방법에 있어서의 동작, 순서, 스텝, 및 단계 등의 각 처리의 실행 순서는, 특별히 「보다 전에」, 「앞서」 등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고, 또한, 전(前)의 처리의 출력을 후(後)의 처리에서 이용하는 것이 아닌 한, 임의의 순서로 실현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청구범위, 명세서, 및 도면 중의 동작의 흐름에 관하여, 편의상 「우선,」, 「다음에,」등을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하더라도, 이 순서대로 실시하는 것이 필수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0113] 1 : 배기가스 처리 장치
10 : 도입통
11 : 흡수통
12 : 배기가스 도입부
16 : 제1 액체 도입부
17 : 제2 액체 도입부,
18 : 제3 액체 도입부
20 : 배액 도출부
22 : 메인터넌스 창
24 : 메인터넌스 창
26 : 배플
30 : 액체 토출관
40 : 제1 유닛
42 : 제1 본관
44 : 제1 지관
46 : 제1 분사부
48 : 제1 빔 고정부
50 : 제2 유닛
52 : 제2 본관
54 : 제2 지관
56 : 제2 분사부
58 : 제2 빔 고정부
60 : 제3 유닛
62 : 제3 본관
64 : 제3 지관
66 : 제3 분사부
68 : 제3 빔 고정부
72 : 제1 연결부
74 : 제2 연결부
75 : 제1 도입관
76 : 제1 연결관
77 : 제1 접합부
78 : 제2 도입관
79 : 제2 연결관
80 : 제2 접합부,
81 : 제3 도입관
82 : 제3 접합부
83 : 제1 연접부
84 : 제2 연접부
85 : 제3 연접부
86 : 제1 빔
87 : 제2 빔
88 : 제3 빔
90 : 걸림고정부
92 : 안내 유닛
94 : 와이어걸이
96 : 크레인 후크
100 : 흡수탑
200 : 배기가스 출구통
300 : 엘보부

Claims (20)

  1. 배기가스에 액체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배기가스 중의 대상 물질을 흡수하는 흡수통(吸收筒)과,
    상기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상기 흡수통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액체를 분사시키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가 부착되며, 상기 분사부로 상기 액체를 인도하는, 상기 흡수통의 내부에 배치된 도관(導管)과,
    상기 액체를 상기 도관에 공급하는 공급관
    을 구비하며,
    상기 흡수통을 통과한 상기 배기가스를 외기(外氣)로 인도하는 연도(煙道)를 따라, 상기 분사부가 부착된 상태로 상기 도관을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도관은,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떼어내는 분리부를 가지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통의 내부에는, 상기 분사부와 상기 도관의 조합에 의한 유닛이 복수 배치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도측에 배치된 상기 유닛일수록 소형인
    배기가스 처리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유닛은, 상기 배기가스의 배출량에 따라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상기 액체가 공급되는 수(數)가 변화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도측에 배치된 상기 유닛일수록 상기 액체가 공급되고 있는 시간이 긴
    배기가스 처리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유닛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유닛 마다 상기 공급관과 상기 분리부가 설치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통은, 상기 분리부의 근방에 메인터넌스 창(窓)을 가지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통의 내벽에 설치된 연접부(連接部)와,
    상기 연접부와 상기 도관을 접속하는 빔(梁)
    을 구비하며,
    상기 빔은, 상기 연접부에 있어서의 접속이 해제되어, 상기 도관과 일체적으로 외부로 꺼내지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을 외부로 꺼내기 위한 외력(外力)을 받는 걸림고정부가 상기 빔에 설치된
    배기가스 처리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상기 분사부가 부착된 지관(枝管)과, 복수의 상기 지관이 접속된 본관(幹管)을 가지며,
    상기 빔은, 상기 본관으로부터 방사상(放射狀)으로 복수 설치된
    배기가스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관으로부터의 방사 방향에 있어서, 상기 빔은, 상기 지관보다 긴
    배기가스 처리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을 상기 연도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안내부를 구비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14.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을 상기 연도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안내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부는, 상기 흡수통의 내주(內周) 방향에 있어서 상기 빔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안내 부재를 가지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도를 형성하는 배기통(排氣筒)을 구비하며,
    상기 배기통과 상기 흡수통은, 동축(同軸)의 원통(圓筒) 형상을 이루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16. 배기가스에 액체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배기가스 중의 대상 물질을 흡수하는 흡수통과,
    상기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상기 흡수통의 내부 공간에 상기 액체를 분사시키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가 부착되며, 상기 분사부로 상기 액체를 인도하는, 상기 흡수통의 내부에 배치된 도관과 상기 액체를 상기 도관에 공급하는 공급관을 구비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 방법으로서,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상기 도관을 떼어내는 분리 공정과,
    상기 흡수통을 통과한 상기 배기가스를 외기로 인도하는 연도를 따라, 상기 분사부가 부착된 상태로 상기 도관을 외부로 꺼내는 취출(取出) 공정
    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빔과 상기 흡수통의 내벽에 설치된 연접부와의 접속을 해제하는 해제 공정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빔의 선단(先端)에 보호 부재를 장착하는 장착 공정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 방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통의 내부에 복수 배치되어 있는 상기 분사부와 상기 도관의 조합에 의한 유닛 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 방법.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이 상기 연도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 부재를 삽입통과시키는 삽입통과 공정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 방법.
KR1020177009050A 2015-09-14 2016-08-09 배기가스 처리 장치 및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 방법 KR101768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81250 2015-09-14
JP2015181250A JP5910785B1 (ja) 2015-09-14 2015-09-14 排ガス処理装置および排ガス処理装置のメンテナンス方法
PCT/JP2016/073463 WO2017047292A1 (ja) 2015-09-14 2016-08-09 排ガス処理装置および排ガス処理装置のメンテナンス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798A true KR20170042798A (ko) 2017-04-19
KR101768689B1 KR101768689B1 (ko) 2017-08-17

Family

ID=5580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050A KR101768689B1 (ko) 2015-09-14 2016-08-09 배기가스 처리 장치 및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187246A4 (ko)
JP (1) JP5910785B1 (ko)
KR (1) KR101768689B1 (ko)
CN (1) CN107073393B (ko)
WO (1) WO20170472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0785B1 (ja) * 2015-09-14 2016-04-27 富士電機株式会社 排ガス処理装置および排ガス処理装置のメンテナンス方法
CN110280085B (zh) * 2019-05-16 2022-04-08 上海德惠特种风机有限公司 一种喷淋式高效空气净化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4740A (en) * 1990-05-21 1991-05-14 Cameron Gordon M Distributor for packed tower
JPH06190240A (ja) * 1992-12-28 1994-07-12 Mitsubishi Heavy Ind Ltd 円筒型排煙脱硫装置
JPH08281055A (ja) * 1995-04-12 1996-10-29 Mitsubishi Heavy Ind Ltd 円筒型排煙脱硫装置
US6550751B1 (en) * 1997-11-26 2003-04-22 Marsulex Environmental Technologies Corp. Gas-liquid contactor with liquid redistribution device
CN101352652B (zh) * 2008-09-22 2011-05-18 浙江天地环保工程有限公司 可整体拆卸式脱硫烟囱
WO2014014002A1 (ja) * 2012-07-19 2014-01-23 富士電機株式会社 ガス吸収塔
JP5998915B2 (ja) * 2012-12-19 2016-09-28 富士電機株式会社 排ガス処理装置
EP2952243B1 (en) * 2013-01-29 2018-09-19 Fuji Electric Co., Ltd. Seawater quantity controller for scrubber, seawater quantity control method for scrubber, alkali quantity controller, and alkali quantity control method
CN104703675A (zh) 2013-04-17 2015-06-10 富士电机株式会社 废气处理装置、船舶以及废气处理方法
JP2015100759A (ja) 2013-11-26 2015-06-04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脱硝剤注入装置及び脱硝ユニット
CN204147741U (zh) * 2014-10-24 2015-02-11 淄博新农基农药化工有限公司 一种喷淋塔
JP5910785B1 (ja) * 2015-09-14 2016-04-27 富士電機株式会社 排ガス処理装置および排ガス処理装置のメンテナンス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10785B1 (ja) 2016-04-27
CN107073393B (zh) 2019-01-01
EP3187246A1 (en) 2017-07-05
EP3187246A4 (en) 2017-09-06
KR101768689B1 (ko) 2017-08-17
CN107073393A (zh) 2017-08-18
WO2017047292A1 (ja) 2017-03-23
JP2017056385A (ja)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689B1 (ko) 배기가스 처리 장치 및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 방법
EP2752269B1 (en) Device and method for underwater welding
JP2010260019A (ja) パルスジェット式集塵機
JP2019076798A (ja) 排ガス処理装置
CN106139829A (zh) 一种可独立拆卸的烟气脱硫喷头装置
CN107731319B (zh) 一种用于压水堆的整体成型式堆芯围筒结构
WO2017203837A1 (ja) 排ガス処理装置
JP5910789B1 (ja) 排ガス処理装置および幹管の分割体を吸収塔から取り出す方法
KR20170054549A (ko) 가스 흡수탑, 가스 흡수탑의 제조 방법 및 선박
CA2586088C (en) Method and scrubber for scrubbing flue gas flows
KR102310398B1 (ko) 탈황 장치
CA2513084C (en) Cleaning apparatus for exhaust system and method
CN208130799U (zh) 活动式喷氨格栅
CN214486371U (zh) 一种烟气除尘除酸塔
JP5958594B1 (ja) 排ガス処理装置および排ガス処理装置のメンテナンス方法
CN107000441B (zh) 用流体对表面进行印刷的方法和装置
WO2022065082A1 (ja) 排煙脱硫装置のスプレ配管構造
CN216841778U (zh) 煤仓除尘装置及煤仓总成
AU2019368954A1 (en) Gas Purification Apparatus, Ship Including the Same, and Gas Purification Method
KR102527136B1 (ko) 파이프 설치 방법
KR101222425B1 (ko) 소음저감장치
CN207592054U (zh) 焊渣捕获装置
KR101834484B1 (ko) 소음기 및 소음기의 유지보수방법
CN104399720A (zh) 一种煤气环缝洗涤塔内壁冲洗装置
CN103979236B (zh) 粉粒物料运输车及其储料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