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311A -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311A
KR20170040311A KR1020177005978A KR20177005978A KR20170040311A KR 20170040311 A KR20170040311 A KR 20170040311A KR 1020177005978 A KR1020177005978 A KR 1020177005978A KR 20177005978 A KR20177005978 A KR 20177005978A KR 20170040311 A KR20170040311 A KR 20170040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fermentation
aging
plug center
s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5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오 미쓰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루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루스
Publication of KR20170040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3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2Reproductive organs; Embryos,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21/00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Cosmetic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은, 돼지, 양 또는 말의 플러센터 용액에, 발효 작용을 가지는 효모균을 더하여 플러센터를 발효 및 숙성시키는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으로서, 플러센터 용액에 대해서 중량비로 6 ~ 15%의 흑당을 플러센터 용액에 첨가하여 발효시키고, 발효 후에 숙성시키는 것으로, 플러센터 용액의 흡수성이나 유용 성분을 증가시키는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FERMENTED AND AGED PLACENTA SOLUTION}
본 발명은, 건강식품용 원료나 화장품용 원료로서 이용되는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유동물 특유의 장기인 플러센터(태반)로부터 추출한 플러센터 엑기스에는, 아미노산이나 효소류 등 여러가지 유용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러센터 엑기스는, 건강식품이나 화장품의 원료 등으로서 이용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특히, 안전성의 면으로부터 돼지나 양, 말의 플러센터로부터 추출한 플러센터 엑기스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1에서는, 돼지의 플러센터를, 수분이 50%(중량) 내지 80%(중량)가 되도록 보일(boil)한 후, 발효 작용을 가지는 효모균 및 유산균을 포함한 발효액을 더하고, 발효 전 혹은 발효 도중에 포도당을 더하여 20℃ 내지 35℃로 24시간 내지 72시간 발효시키는, 돼지의 플러센터를 함유한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85242호
그러나, 건강식품이나 화장품 등의 원료로서 이용하는 경우는, 플러센터 용액의 흡수성이나 유용 성분을 가능한 한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허문헌 1 기재의 발명과 같이, 보일한 후에 24시간 내지 72시간 발효시키는 것만으로는, 플러센터 용액의 흡수성이나 유용 성분을 증가시키기에는 불충분하다.
여기서, 본 발명은, 플러센터 용액의 흡수성이나 유용 성분을 증가시키는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제1항 기재의 본 발명의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은, 돼지, 양 또는 말의 플러센터 용액에, 발효 작용을 가지는 효모균을 더하여 플러센터를 발효 및 숙성시키는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으로서, 플러센터 용액에 대해서 중량비로 6 ~ 15%의 흑당을 플러센터 용액에 첨가하여 발효시키고, 발효 후에 숙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2항 기재의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흑당을 플러센터 용액에 첨가하는 흑당 첨가 공정과, 흑당 첨가 공정 후에, 80 ~ 100℃의 온도에서 20분 ~ 60분간 가열 살균하는 살균 공정과, 살균 공정 후에, 35℃ 이하의 온도로 강제 냉각하는 냉각 공정과, 냉각 공정 후에, 효모균을 더하여 20℃ ~ 35℃의 온도에서 1개월간 발효시키는 발효 공정과, 발효 공정 후에, 20℃ ~ 25℃의 온도에서 2개월간 숙성시키는 숙성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3항 기재의 본 발명은,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숙성 종료 후에 측정되는 SAMe 및 SA 아미노산의 농도가, 플러센터 용액에 대해서 중량비로 10%의 수크로오스(sucrose)를 흑당 대신에 플러센터 용액에 첨가하여 살균 공정에서 숙성 공정까지를 행하여 생성되는 SAMe 및 SA 아미노산의 농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4항 기재의 본 발명은,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숙성 종료 후에 측정되는 SAMe 및 SA 아미노산의 농도가, 플러센터 용액에 대해서 중량비로 10%의 글루코오스를 흑당 대신에 플러센터 용액에 첨가하여 살균 공정에서 숙성 공정까지를 행하여 생성되는 SAMe 및 SA 아미노산의 농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5항 기재의 본 발명은, 청구항 제2항 내지 청구항 제4항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숙성 공정 후의 고형분으로 계측되는 분자량 분포가, 200 미만에서는 10 ~ 20%, 1000 ~ 3000에서는 30 ~ 40%, 3000 ~ 6000에서는 20 ~ 2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6항 기재의 본 발명은, 청구항 제2항 내지 청구항 제4항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숙성 공정 후의 고형분에, 알라닌이 10 mol% 이상, 시스틴이 0.4mol%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7항 기재의 본 발명은, 청구항 제2항 내지 청구항 제4항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숙성 공정 후의 고형분에, 나트륨이 300 mg/100 g 이상, 칼슘이 100 mg/100 g 이상, 마그네슘이 15 mg/100 g 이상, 나이아신이 2 mg/100 g 이상, 아연이 2 mg/100 g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수성이 높고 유용 성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화장품에 배합하는 것으로 보습력이 향상되고, 건강식품에 배합하는 것으로 부드러운 맛이 되는 플러센터 엑기스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SA 아미노산의 활성 산소 제거 작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SA 아미노산의 과산화 지질의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SA 아미노산 배합 화장품 도포 후의 피부의 각질 수분량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SA 아미노산 배합 화장품 도포 후의 피부의 경(經)표피 수분 증산량(蒸散量)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SA 아미노산의 MMP-1 활성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플러센터 용액에 대해서 중량비로 3%, 6%, 10%, 15%의 흑당을 첨가하고, 숙성 종료 후에 측정되는 SAMe 및 SA 아미노산의 생성을 비교한 도이다.
도 7은 플러센터 용액에 대한 흑당의 첨가 타이밍을 다르게 한 실험에 있어서의, 숙성 종료 후에 측정되는 SAMe 생성 및 SA 아미노산 생성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발효 기간을 다르게 한 실험에 있어서의, SAMe 생성 및 SA 아미노산 생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숙성 기간을 다르게 한 실험에 있어서의, SAMe 생성 및 SA 아미노산 생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효 숙성 플러센터의 분자량 분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상기 발효 숙성 플러센터의 성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상기 발효 숙성 플러센터의 미네랄ㆍ비타민 함유량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은, 플러센터 용액에 대해서 중량비로 6 ~ 15%의 흑당(黑糖)을 플러센터 용액에 첨가하여 발효시키고, 발효 후에 숙성시킨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흡수성이 높고 유용 성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화장품에 배합하는 것으로 보습력이 향상되고, 건강식품에 배합하는 것으로 부드러운 맛이 되는 플러센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는,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흑당을 플러센터 용액에 첨가하는 흑당 첨가 공정과, 흑당 첨가 공정 후에, 80 ~ 100℃의 온도에서 20분 ~ 60분간 가열 살균하는 살균 공정과, 살균 공정 후에, 35℃ 이하의 온도로 강제 냉각하는 냉각 공정과, 냉각 공정 후에, 효모균을 더하여 20℃ ~ 35℃의 온도에서 1개월간 발효시키는 발효 공정과, 발효 공정 후에, 20℃ ~ 25℃의 온도에서 2개월간 숙성시키는 숙성 공정을 가지는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특히 SAMe 및 SA 아미노산의 농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SAMe는 S-아데노실메티오닌을 말하고, SA 아미노산은 슈퍼액티브 아미노산을 말한다.
SAMe(S-아데노실메티오닌)는, 1974년의 유럽에서 세계 처음으로 우울증의 치료약으로서 개발되었다. 또한, 미국에서는 특히 관절염에 효과가 있는 서플리먼트로서 인기가 있고, 관절염 외에도 우울증, 간질환에 대해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관절증 환자는 해마다 증가 경향에 있고, 관절을 서포트하는 건강식품 등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SA 아미노산(슈퍼액티브 아미노산)은 3개의 작용을 가지는 아미노산이다.
첫 번째는 활성 산소 억제 효과이다. 활성 산소는 구조적으로 불안정하기 때문에, 피부의 DNA나 지질(脂質), 단백질과 연결되어서 세포 상해를 일으키고, 피부 노화의 한 요인이 된다.
도 1은, 히포크산틴크산틴옥시다아제계에 의해서 O2 -를 생성시키고, SA 아미노산을 공존시켰을 때의 O2 -의 생성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SA 아미노산의 활성 산소 제거 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O2 -는 발색 시약인 니트로블루테트라졸리움을 이용하여 검출했다. 여기서, SA 아미노산은 농도 의존적으로 O2 -를 소거하는 것이 나타났다.
또한, 도 2는 알록산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발생시킨 O2 -를 개시제로 한 지질 과산화 반응에 대한, SA 아미노산의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알록산은 화학적으로 O2 -를 생성하고, 산화 스트레스를 부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SA 아미노산은 다른 산화 방지제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지질의 산화를 억제하는 것이 나타났다.
두 번째는 보습 효과이다. 도 3, 4는, 각질 수분량이 낮은 값을 나타내고, 거친 피부ㆍ건조 등의 자각이 있는 40 ~ 60세의 성인 여성 7명(평균 연령 47.1세)을 대상으로, 오픈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고, 도 3은 SA 아미노산 배합 화장품 도포 후의 피부의 각질 수분량[μS]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SA 아미노산 배합 화장품 도포 후의 피부의 경(經)표피 수분 증산량(蒸散量)[g/㎡ㆍh]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이다. 시험 기간을 8주간으로 하고, 아침 저녁 2회씩 세정 후에 SA 아미노산 함유 제품을 적절량 도포했다. 시험 개시일 및 시험 개시로부터 4, 8주 후에 있어서 피부의 각질 수분량 및 경(經)표피 수분 증산량을 측정하여, 평가를 행했다. 여기서, 8주간의 연속사용에 의해, 각질 수분량은 SA 아미노산 함유 제품 연속사용 부위에 있어서, 유의(有意)하게 상승했다. 이것은 각질의 수분 유지 기능 자체가 개선된 결과로 파악된다. 경(經)표피 수분 증산량에 대해서도 저하 경향이 보이고, 건조 상태의 개선이 인정되었다.
세 번째는 콜라겐 생성 효과이다. I형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1은, UVA(자외선 A파)의 노출에 의해 활성화된다. 도 5는 SA 아미노산의 MMP-1 활성 저해를 평가하기 위해서, 실제로 UVA에 의해서 항진(亢進)되는 MMP-1의 활성이 SA 아미노산에 의해 억제되는지 검증한 결과이다. 정상 사람 섬유아세포에 각종 농도의 SA 아미노산을 공존시켜서 UVA를 조사하고, 24시간 후에 배양지를 회수하여, 그 MMP-1 활성을 측정했다. 이것에 의해, SA 아미노산은 농도 의존적으로 MMP-1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나타났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숙성 종료 후에 측정되는 SAMe 및 SA 아미노산의 농도가, 플러센터 용액에 대해서 중량비로 10%의 수크로오스를 흑당 대신에 플러센터 용액에 첨가하여 살균 공정에서 숙성 공정까지를 행하여 생성되는 SAMe 및 SA 아미노산의 농도 이상의 플러센터 용액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숙성 종료 후에 측정되는 SAMe 및 SA 아미노산의 농도가, 플러센터 용액에 대해서 중량비로 10%의 글루코오스를 흑당 대신에 플러센터 용액에 첨가하여 살균 공정에서 숙성 공정까지를 행하여 생성되는 SAMe 및 SA 아미노산의 농도 이상의 플러센터 용액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숙성 공정 후의 고형분으로 계측되는 분자량 분포가, 200 미만에서는 10 ~ 20%, 1000 ~ 3000에서는 30 ~ 40%, 3000 ~ 6000에서는 20 ~ 25%의 플러센터 용액을 얻을 수 있고, 여러 가지 분자량의 아미노산이나 펩티드가 밸런스 좋게 배합되는 것에 의해서 보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숙성 공정 후의 고형분에, 알라닌이 10 mol% 이상, 시스틴이 0.4mol% 이상 포함되어 있다.
알라닌과 시스틴은 인체에 유효적인 영향을 주는 아미노산의 하나이다. 알라닌은 재첩이나 대합 등의 조개류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아미노산이며, 간기능의 개선 외에, 면역 기능을 향상시키는 아미노산으로서 많은 건강식품에 포함되어 있다. 시스틴은, 시스테인이 2분자 결합한 아미노산이며, 케라틴이라고 하는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으로서 머리카락이나 손톱, 발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미백 효과로서 흑색 멜라닌을 생성하는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화장품 등에 많이 배합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숙성 공정 후의 고형분에, 나트륨이 300 mg/100 g 이상, 칼슘이 100 mg/100 g 이상, 마그네슘이 15 mg/100 g 이상, 나이아신이 2 mg/100 g 이상, 아연이 2 mg/100 g 이상 포함되어 있다.
이들의 미네랄은 최근, 섭취량이 저하 경향에 있다. 예를 들어 칼륨은, 식사 섭취 기준 2015년판에서 설정된, 성인의 섭취 목표의 약 1 ~ 2할 정도가 부족하다고 하는 앙케이트 결과가 나오고 있다. 특히 아연은 20 ~ 60대에서의 부족이 현저하고, 식사 섭취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는 추천량으로부터 비교하면 남녀 모두 약 1 할을 하회한다. 마그네슘은 15세 이상의 연령층이 충족되어 있지 않고, 20대에 있어서는 3할 가깝게 부족하다고 한다. 이것들 미네랄의 부족에 의해, 여성의 저체중화나 골다공증 외에, 당뇨병의 감염 리스크도 높아지는 경향에 있다. 이 때문에, 미네랄의 섭취는 현대인에게 있어서 큰 과제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은, 흑당을 플러센터 용액에 첨가하는 흑당 첨가 공정과, 흑당 첨가 공정 후에, 80 ~ 100℃의 온도에서 20분 ~ 60분간 가열 살균하는 살균 공정과, 살균 공정 후에, 35℃ 이하의 온도로 강제 냉각하는 냉각 공정과, 냉각 공정 후에, 효모균을 더하여 20℃ ~ 35℃의 온도에서 1개월간 발효시키는 발효 공정과, 발효 공정 후에, 20℃ ~ 25℃의 온도에서 2개월간 숙성시키는 숙성 공정을 가진다.
플러센터 엑기스 분말은, 돼지, 양 또는 말의 태반(플러센터)으로부터 피막 조직을 제거하고, 융모 조직을 민스(mince)하여, 동결 효소 추출법으로 엑기스를 추출하고, 이 엑기스로부터 불순물을 더 제거한 것이며, 태반에 대한 중량%로 8% 정도이다.
또한, 발효 작용을 가지는 효모균에는, 예를 들면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속, 칸디다(Candida) 속, 토룰롭시스(Torulopsis) 속, 자이고사카로마이세스(Zygosaccharomyces) 속, 스키조사카로마이세스(Schizosaccharomyces) 속, 피치아(Pichia) 속, 한세눌라(Hansenula) 속, 클루이베로마이세스(Kluyveromyces) 속, 데바리오마이세스(Debaryomyces) 속을 이용할 수 있다.
흑당 첨가 공정으로 첨가하는 흑당은, 플러센터 용액에 대해서 중량비로 6 ~ 15%, 더 바람직하게는 6 ~ 10%로 한다.
도 6은, 플러센터 용액에 대해서 중량비로 3%(실시예 1), 6%(실시예 2), 10%(실시예 3), 15%(실시예 4)의 흑당을 첨가하고, 숙성 종료 후에 측정되는 SAMe 및 SA 아미노산의 생성을 측정하고, 가장 생성이 많은 것을 100으로서 비교한 것이다. 비교예로서 플러센터 용액에 대해서 중량비로 10%의 수크로오스(비교예 1), 및 10%의 글루코오스(비교예 2)를 이용했다.
SAMe의 생성에서는, 6 ~ 15%의 흑당은, 10%의 수크로오스 이상이 되고, 6 ~ 10%의 흑당은, 10%의 수크로오스, 및 10%의 글루코오스를 상회했다.
SA 아미노산의 생성에서는, 3 ~ 15%의 흑당은, 10%의 수크로오스, 및 10%의 글루코오스를 상회했는데, 특히 6 ~ 10%의 흑당은 높은 농도가 되었다.
다음에, 흑당의 첨가 타이밍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발효 개시시에 100%(전량) 첨가, 발효 개시시에 80% 첨가하고 발효 도중에 20% 첨가, 발효 개시시에 50% 첨가하고 발효 도중에 50% 첨가, 발효 개시시에 80% 첨가하고 숙성 개시시에 20% 첨가, 발효 개시시에 50% 첨가하고 숙성 개시시에 50% 첨가했을 경우의 SAMe 및 SA 아미노산의 생성을 비교한 실험 결과이다.
플러센터 용액에 대해서 중량비로 6%의 흑당을 첨가하고, 전량을 100으로서 표시하고 있다. 숙성 종료 후에 측정되는 SAMe 및 SA 아미노산의 농도는, 발효 개시시 이외에 발효 도중 또는 숙성 개시시에 일부를 첨가했을 경우 전부가, 발효 개시시에만 첨가했을 경우를 하회했다.
따라서, SAMe 및 SA 아미노산에 착안했을 경우에는, 흑당은 발효 개시시에만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흑당 첨가 공정 후에 가열 살균한다. 가열 살균 후는, 예를 들면 60분 이내에서, 냉수 순환 장치를 이용하여, 35℃ 이하, 바람직하게는 25℃로 냉각한다. 당과 아미노산이 공존하는 상태로 너무 가열하면, 당과 아미노산이 결합되고, 또는 이들의 구조가 변화하는 것으로, 발효 숙성의 효과가 저하되며, 숙성 후의 플러센터 용액이 변색되거나, 냄새에 영향을 준다.
다음으로, 발효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발효 기간을 다르게 했을 경우의 SAMe 및 SA 아미노산의 생성을 비교한 실험 결과이다. 숙성 종료 후에 측정되는 SAMe 및 SA 아미노산의 생성을 측정하고, 가장 생성이 많은 것을 100으로서 비교하고 있다. 또한, 발효 온도는 20℃ ~ 35℃이면 좋지만, 본 실험에 있어서는 25℃에서 발효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0.5개월에 비해서 1개월에서는 SAMe 및 SA 아미노산의 생성은 증가하지만, 1.5개월에서는 SAMe 및 SA 아미노산의 생성은 감소한다.
따라서, 플러센터 용액의 발효 기간은 1개월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숙성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숙성 기간을 다르게 했을 경우의 SAMe 및 SA 아미노산의 생성을 비교한 실험 결과이다. 숙성 종료 후에 측정되는 SAMe 및 SA 아미노산의 생성을 측정하고, 가장 생성이 많은 것을 100으로서 비교하고 있다. 또한, 숙성 온도는 20℃ ~ 25℃이면 좋지만, 본 실험에 있어서는 25℃에서 숙성했다. 발효 기간은 1개월로 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5개월에 비해서 2개월에서는 SAMe 및 SA 아미노산의 생성은 증가하지만, 2.5개월에서는 SAMe 및 SA 아미노산의 생성은 감소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의한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고형분의 분자량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발효 숙성시키지 않은 플러센터 용액의 고형분을 비교예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은, 플러센터 용액에 대해서 중량비로 6%의 흑당을 이용한 것이다. 또한, 발효 숙성시킨 플러센터 용액(플러센터 엑기스)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분말 상태의 고형분 (플러센터 엑기스 분말)을 얻었다.
숙성 공정 후에 계측되는 분자량 분포는, 본 실시예에 의한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고형분에서는, 발효 숙성시키지 않은 플러센터 용액의 고형분과 비교하면, 200 미만, 1000 ~ 3000, 3000 ~ 6000에서 명백한 차이가 보이고, 200 미만에서 10 ~ 20%, 1000 ~ 3000에서 30 ~ 40%, 3000 ~ 6000에서 20 ~ 25%로 되어 있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의한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고형분의 성분을 나타내고 있다. 발효 숙성시키지 않은 플러센터 용액의 고형분을 비교예로 하고 있다.
숙성 공정 후에 계측되는 성분은, 본 실시예에 의한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고형분에서는, 발효 숙성시키지 않은 플러센터 용액의 고형분과 비교하면, 특히 알라닌과 시스틴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고, 알라닌이 10 mol% 이상, 시스틴이 0.4mol% 이상 포함되어 있다.
또한, 그 외에도 필수 아미노산인 리신, 히스티딘, 발린, 트레오닌, 트립토판을 시작으로, 글루타민산, 세린, 아스파라긴, 아스파라긴산 등의 아미노산이 숙성 공정 후에 증가 경향에 있다.
리신은 간기능을 높이는 것 외에, 항체나 호르몬, 효소 등의 소재로서 신체의 조직을 수복한다. 히스티딘은 관절에 작용하고, 만성 관절 류머티즘 등의 예방ㆍ개선에 효과를 발휘한다. 발린은 간기능 개선 외에, 신체의 근육 증강이나 피로를 회복한다. 또한, 트레오닌도 간기능을 개선하고, 성장을 재촉하는 영양소로서 기능한다. 트립토판은 뇌내 신경전달물질로서 정신 기능을 안정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글루타민산은 리버(간)나 돼지고기에 많이 포함되고, 신속하게 신체에 흡수되는 것으로 에너지원이 된다. 세린은 대두 등에 포함되고, 피부의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아스파라긴 및 아스파라긴산은 유해 물질인 암모니아를 체외로 배출하고, 중추 신경계를 보호하는 것 외에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여 피로 회복을 재촉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의한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고형분의 미네랄ㆍ비타민 함유량을 나타내고 있다. 발효 숙성시키지 않은 플러센터 용액의 고형분을 비교예로 하고 있다.
숙성 공정의 후에 계측되는 성분은, 본 실시예에 의한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고형분에서는, 발효 숙성시키지 않은 플러센터 용액의 고형분과 비교하면, 특히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나이아신, 아연,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고, 나트륨이 300 mg/100 g 이상, 칼슘이 100 mg/100 g 이상, 마그네슘이 15 mg/100 g 이상, 나이아신이 2 mg/100 g 이상, 아연이 2 mg/100 g 이상, 비타민 B1이 0.1mg/100 g 이상, 비타민 B2가 0.1mg/100 g 이상, 비타민 B6가 0.05mg/100 g 이상 포함되어 있다.
SAMe의 분석에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및 HPLC 정량(定量)을 이용했다.
TLC의 샘플 조정에서는, 1.5 N 염산으로 실온하에서 1시간 추출로 했다. 전개 용매에는, 4 : 1 : 2로 1-부탄올 : 초산 : 물을 이용하여, 닌하이드린 발색으로 검출했다.
HPLC 정량은, 「지엘사이언스가부시키가이샤(GL Sciences Inc.) GL-7400형」기기를 이용하고, 컬럼(가부시키가이샤켐코(Chemco Scientific Co., Ltd.) Chemcopak Nucleosil 100-10 SA)을 이용하고, 이동상(移動相)은 유속 1.0mL/분으로, 0.05 M (NH4)2HPO4(pH3.0)에서 20분, 계속하여 5분으로 0.5 M (NH4)2HPO4(pH3.0)까지 조성을 변화시키는 리니어 경사로 행하고, 260 nm에서 검출했다. 분석 방법은 고토(後藤) 등의 방법(참고 출전: 「청주술밑 중의 S-아데노실메티오닌의 정량과 변화」니혼조조교카이시(日本釀造協會誌), 1992)에 의한다.
SA 아미노산의 분석에는 HPLC 정량을 이용했다.
「지엘사이언스가부시키가이샤 GL-7400형」기기를 이용하고, 컬럼(지엘사이언스가부시키가이샤 Inertsil ODS-4)을 이용하고, 이동상은 유속 1.0mL/분으로, 메탄올 : 0.1% H3PO4 = 2 : 98로 행하여 214 nm에서 검출했다. 분석 방법은 지엘사이언스가부시키가이샤의 분석 어플리케이션(Data. No. LB110-0919)에 의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은, 건강식품이나 화장품용 원료로서 이용된다.

Claims (7)

  1. 돼지, 양 또는 말의 플러센터 용액에, 발효 작용을 가지는 효모균을 더하여 상기 플러센터를 발효 및 숙성시키는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플러센터 용액에 대해서 중량비로 6 ~ 15%의 흑당(黑糖)을 상기 플러센터 용액에 첨가하여 발효시키고, 발효 후에 숙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흑당을 상기 플러센터 용액에 첨가하는 흑당 첨가 공정과,
    상기 흑당 첨가 공정 후에, 80 ~ 100℃의 온도에서 20분 ~ 60분간 가열 살균하는 살균 공정과,
    상기 살균 공정 후에, 35℃ 이하의 온도로 강제 냉각하는 냉각 공정과,
    상기 냉각 공정 후에, 상기 효모균을 더하여 20℃ ~ 35℃의 온도에서 1개월간 발효시키는 발효 공정과,
    상기 발효 공정 후에, 20℃ ~ 25℃의 온도에서 2개월간 숙성시키는 숙성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 종료 후에 측정되는 SAMe 및 SA 아미노산의 농도가,
    상기 플러센터 용액에 대해서 중량비로 10%의 수크로오스(sucrose)를 상기 흑당 대신에 상기 플러센터 용액에 첨가하여 상기 살균 공정으로부터 상기 숙성 공정까지를 행하여 생성되는 SAMe 및 SA 아미노산의 농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 종료 후에 측정되는 SAMe 및 SA 아미노산의 농도가,
    상기 플러센터 용액에 대해서 중량비로 10%의 글루코오스를 상기 흑당 대신에 상기 플러센터 용액에 첨가하여 상기 살균 공정으로부터 상기 숙성 공정까지를 행하여 생성되는 SAMe 및 SA 아미노산의 농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 공정 후의 고형분으로 계측되는 분자량 분포가, 200 미만에서는 10 ~ 20%, 1000 ~ 3000에서는 30 ~ 40%, 3000 ~ 6000에서는 20 ~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 공정 후의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고형분에, 알라닌이 10 mol% 이상, 시스틴이 0.4mol%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
  7.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 공정 후의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고형분에, 나트륨이 300 mg/100 g 이상, 칼슘이 100 mg/100 g 이상, 마그네슘이 15 mg/100 g 이상, 나이아신이 2 mg/100 g 이상, 아연이 2 mg/100 g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
KR1020177005978A 2015-03-11 2016-03-11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 KR201700403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48056A JP6282243B2 (ja) 2015-03-11 2015-03-11 発酵熟成プラセンタ溶液の製造方法
JPJP-P-2015-048056 2015-03-11
PCT/JP2016/001365 WO2016143357A1 (ja) 2015-03-11 2016-03-11 発酵熟成プラセンタ溶液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311A true KR20170040311A (ko) 2017-04-12

Family

ID=5688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978A KR20170040311A (ko) 2015-03-11 2016-03-11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82243B2 (ko)
KR (1) KR20170040311A (ko)
CN (1) CN106488708B (ko)
TW (1) TWI633189B (ko)
WO (1) WO2016143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3756B1 (ja) * 2017-02-09 2017-10-18 有限会社ポークランド プラセンタエキスの製造方法、プラセンタエキス含有粉体の製造方法および加工食品の製造方法
JP6373444B1 (ja) * 2017-05-10 2018-08-15 株式会社ホルス 羊膜由来原料の製造方法、化粧品の製造方法及び健康食品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5242A (ja) 2003-12-26 2005-07-14 Takashi Kondo プラセンタを含有した健康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392B1 (ko) * 2009-08-14 2012-04-03 (주)청룡수산 발효 태반 조성물 및 그 용도
CN102327291B (zh) * 2011-07-12 2013-02-13 湖州康海斯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羊胚胎及羊胎盘素原液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5242A (ja) 2003-12-26 2005-07-14 Takashi Kondo プラセンタを含有した健康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43357A1 (ja) 2016-09-15
JP2016167982A (ja) 2016-09-23
TWI633189B (zh) 2018-08-21
JP6282243B2 (ja) 2018-02-21
TW201632627A (zh) 2016-09-16
CN106488708A (zh) 2017-03-08
CN106488708B (zh)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ang et al. Production of bioactive peptides from corn gluten meal by solid-state fermentation with Bacillus subtilis MTCC5480 and evaluation of its antioxidant capacity in vivo
Chiang et al.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flavour compounds of beef bone hydrolysates after Maillard reaction
JP4854199B2 (ja) 液化酒粕を再発酵して得られる機能性素材
WO2010071132A1 (ja) 皮膚老化抑制ペプチド
TW201043150A (en) A natural taste enhancing savoury base and a process for its preparation
KR101980361B1 (ko) 콜라겐 트리펩타이드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콜라겐 가수분해물 및 이의 용도
JP2010533487A (ja) 農産業及び食品産業の余剰品に対する乳酸菌(LAB)の使用によりγアミノ酪酸(GABA)を調製する方法
KR101353628B1 (ko) 기초화장품용 배합제 및 기초화장품
WO2017195873A1 (ja) L-ヒドロキシプロリンを含有する酵母ヤロウィア・リポリティカの菌体もしくは菌体培養物又はこれらの抽出物及びその用途並びにl-ヒドロキシプロリンの製造方法
JP6482930B2 (ja) 皮膚化粧料および飲食品
JP5025254B2 (ja) 皮溝密度を改良する化粧品用配合剤及び化粧品
KR20170040311A (ko) 발효 숙성 플러센터 용액의 제조 방법
US20080153741A1 (en) Compounding ingredients for cosmetic formulation for improving skinditch density and cosmetic
CN102150866B (zh) 含胱氨酸复合体及其制造方法
US20240041072A1 (en) Non-alcoholic functional beverage with a malt base or based on non-alcoholic beer or a water-aroma base enriched with amino acids and dietary fibre as well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n-alcoholic functional beverage with a malt base or based on non-alcoholic beer or a water-aroma base, enriched with amino acids and dietary fibre
CN103747793A (zh) 含有大豆蛋白质的水解物的组合物
KR101431353B1 (ko) 혈압 강하 작용을 갖는 간장 및 그 제조법
NL9200160A (nl) Haarvoedingsmiddel en de bereiding daarvan.
WO2006078067A1 (ja) AGEs生成阻害剤、その用途および製造方法
JP6666650B2 (ja) 皮膚化粧料、頭髪化粧料および飲食品
WO2009155097A1 (en) Natural product inhibitors of 3dg
KR20070034212A (ko)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면역강화 또는 항산화용 건강기능식품
Maeda Skin-moisturizing effect of collagen peptides taking orally
JP2004016142A (ja) コラーゲンと水溶性核タンパク質分解物を含有する配合物
JP2019136027A (ja) 発酵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