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356A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356A
KR20170037356A KR1020150136844A KR20150136844A KR20170037356A KR 20170037356 A KR20170037356 A KR 20170037356A KR 1020150136844 A KR1020150136844 A KR 1020150136844A KR 20150136844 A KR20150136844 A KR 20150136844A KR 20170037356 A KR20170037356 A KR 20170037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connection port
stopp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6410B1 (ko
Inventor
신문선
김권진
서형준
조성준
최강호
명성렬
안종철
이동윤
최정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6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410B1/ko
Priority to PCT/KR2016/010570 priority patent/WO2017052219A1/ko
Priority to US15/761,634 priority patent/US10823434B2/en
Priority to CN201680056031.6A priority patent/CN108139092B/zh
Publication of KR20170037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습기는 본체와, 본체의 상측에 장착되는 물통을 포함하며, 본체는 그 상측에 마련되어 물통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안착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중공의 연결포트를 포함하며, 물통은 연결포트가 삽입되는 연결구와, 물통이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연결구를 개방하는 밸브를 포함하여, 물통이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연결구를 통해 물통 내부의 응축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습기{DEHUMIDIFIER}
본 발명은 실내 공간에 배치되어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실내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 크게 건조식 제습기와 냉각식 제습기로 구분된다.
건조식 제습기는 화학물질인 흡습제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하여 제습을 수행하며, 냉각식 제습기는 내부에 포함된 냉동 사이클을 통해 공기를 냉각하여 응축수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제습을 수행한다.
냉각식 제습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를 등과 같은 냉동사이클 구성 요소들이 수용되는 본체와,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저장하는 물통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물통은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자중에 의해 물통에 전달될 수 있도록 본체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물통을 본체의 하부에 배치할 경우, 응축수 배출을 위해 물통의 분리할 필요가 있을 물통이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물통을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물통을 본체의 상측에 장착하고,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펌프를 통해 물통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물통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체의 상부에 물통이 장착되는 가습기에 있어서, 물통이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연결구를 통한 누수를 예방할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체의 상부에 물통이 장착되는 가습기에 있어서, 물통의 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습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장착되는 물통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그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물통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중공의 연결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물통은 상기 연결포트가 삽입되는 연결구와, 상기 물통이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연결구를 개방하는 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상기 연결구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포트의 상단에 의해 탄성 변형하며 상측으로 이동하는 밸브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내부에 상기 연결포트가 삽입되는 홀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단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의 상기 홀을 덮는다.
또한, 상기 밸브는 상기 연결구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 포트가 삽입되는 홀이 마련된 밸브관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관의 상부에는 상기 밸브관이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물통 내부와 연통되는 밸브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밸브는 상기 밸브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관의 하측으로의 이동이 일정 범위 이하에서 이루지도록 하는 스토퍼와, 상기 밸브관의 하단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밸브관의 상측으로의 이동이 일정 범위 이하에서 이루지도록 하는 걸림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통은 그 하부에 마련되어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수부와, 상기 물통의 상부에 상기 저수부에 대해 단차지게 마련된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단차부에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습기는 본체와,상기 본체의 상측에 장착되는 물통을 포함하며, 상기 물통은 물을 배출하기 위해 그 상면에 마련된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마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통은 내측에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가 마련되며 상면이 개방된 저수통과, 상기 저수통의 상측에 설치되어 개방된 상기 저수통의 상면을 폐쇄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구 및 상기 마개는 상기 덮개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마개는 상기 배수구를 막는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수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부들과, 상기 가이드부들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마개가 상측으로 일정 이상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통은 상기 배수구 인접부에 단차지게 마련되어 상기 마개부의 외곽측을 지지하는 지지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수구 및 상기 마개부는 서로 대응하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구 및 상기 마개부는 서로 대응하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개는 상기 배수구를 막는 마개부와, 상기 물통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힌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습기는 물통이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연결구를 통해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습기는 물통의 상면에 배수구가 마개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물통 내에 채워진 응축수를 간단히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있어서, 물통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있어서, 연결포트와 물통의 결합 부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있어서, 연결포트와 물통의 결합 부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있어서, 배수구가 마개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있어서, 마개가 이동하여 배수구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있어서, 배수구가 마개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적용된 마개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적용된 마개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냉동사이클 구성요소들을 포함한 본체(10)와, 본체(10)의 상측에 장착되어 제습에 따라 발생한 응축수를 저장하는 물통(20)을 포함한다.
본체(10)에 포함된 냉동사이클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와, 압축기(11)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며 냉각되어 응축되도록 하는 응축기(12)와, 응축기(12)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감압 팽창 시키는 팽창장치(미도시)와, 팽창장치에 의해 감압 팽창된 냉매가 본체(10) 내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13)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10)는 본체(10)의 일 측면에 마련되어 실내 공기가 본체(10) 내로 흡입되도록 하는 흡기구(10a)와, 본체(10)의 상면에 마련되어 제습된 공기가 다시 실내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기구(10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증발기(13) 및 응축기(12)는 흡기구(10a) 내측에 차례로 배치되어 흡기구(10a)를 통해 흡입된 실내 공기는 증발기(13)를 통과하며 냉각되었다가, 응축기(12)를 통과하며 다시 가열된다.
본체(10)의 상부에는 물통(20)이 안착되는 안착부(10c)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물통(20)은 대략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안착부(10c)는 물통(20)과 대응하도록 대략 사각 링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본체(10)는 회전하며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켜 실내 공기가 본체(10) 내부로 흡입되어 제습된 후 다시 실내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팬(15)과, 회전력을 발생시켜 송풍팬(15)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6)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10) 내부에는 증발기(13) 하측에 배치되어 증발기(13)에서 낙하한 응축수를 받아 모으는 드레인팬(14)과, 드레인팬(14)과 연결되어 드레인팬(14)으로부터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17)와, 펌프(17)에 의해 펌핑된 응축수를 물통(20)으로 전달하는 전달관(18)을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모터(16)에 의해 송풍팬(15)이 회전하면, 송풍팬(15)에 의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흡기구(10a)를 통해 실내 공기가 본체(10) 내부로 흡입된다. 흡기구(10a) 내측에는 증발기(13)와 응축기가 차례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본체(1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13)를 통과하며 냉각되었다가 응축기(12)를 통과하며 다시 가열된다. 증발기(13) 및 응축기(12)를 통과하며 제습된 공기는 계속해서 송풍팬(15)을 통과하여 배기구(10b)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가 증발기(13)에 의해 냉각되는 과정에서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던 습기는 증발기(13)의 표면에서 응축되어 증발기(13)에서는 응축수가 발생한다. 증발기(13)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그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낙하하여 증발기(13) 하측에 배치된 드레인팬(14)에 모이며, 드레인팬(14)에 모인 응축수는 펌프(17)에 의해 펌핑되어 전달관(18)을 통해 물통(20)으로 전달된다.
물통(20)은 응축수를 담는 저수부(21a)를 형성하며 상면이 개방된 저수통(21)과, 저수통(21)의 상측에 결합되어 개방된 저수통(21)의 상측을 덮는 덮개(22)와, 저수통(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물통(20)을 본체(10)에 설치하거나 본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2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물통(20)은 대략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물통(20)을 형성하는 저수통(21) 및 덮개(22) 또한 대략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손잡이(23)는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된 물통(20)의 내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물통(20)에 응축수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체(10)의 안착부(10c)에는 후술할 물통(20)의 연결구(21c)로 삽입되는 연결포트(10d)가 마련된다. 연결포트(10d)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하단이 본체(10) 내부로 돌출되어 상술한 전달관(18)이 연결되고 그 상단이 안착부(10c) 상측으로 돌출되어 연결구(21c)에 삽입된다.
물통(20)의 하부에는 상술한 저수부(21a)가 마련되며, 물통(20)의 상부에는 저수부에 대해 단차지게 마련된 단차부(21b)가 형성된다. 단차부(21b)에는 연결포트(10d)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물통(20)이 안착부(10c)에 안착됨에 따라 연결구(21c)에 연결포트(10d)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물통(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통(20)이 물통(20)의 안착부(10c)에 안착된 상태에서 연결구(21c)를 통해 응축수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물통(20)이 본체(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연결구(21c)를 통해 물통(20)으로부터 응축수가 누설되는 것을 막는 밸브(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24)는 내측에 연결포트(10d)가 삽입되는 홀이 마련되며 연결구(21c)에 설치되는 결합부(24b)와, 결합부(24b)의 상단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결합부(24b)에 마련된 홀 상측을 덮는 밸브부(24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24)의 결합부(24b) 및 밸브부(24a)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부(24b)는 탄성 변형되면서 연결구(21c)에 억지 끼움되며, 밸브부(24a)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하면서 상측으로 이동 가능하다. 그러므로 물통(20)이 본체(10)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밸브부(24a)가 결합부(24b)의 홀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물통(20)이 본체(10)의 안착부(10c)에 안착되면, 결합부(24b)의 홀 내에 삽입되는 연결포트(10d)의 상단에 의해 상측으로 탄성 변형하고, 그에 따라 결합부(24b)의 홀은 개방되어 응축수가 물통(20) 내에 전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적용된 밸브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25)는 내부에 연결포트(10d)가 삽입되는 홀이 마련되며 연결구(21c)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관(25a)과, 밸브관(25a)의 상부에 마련되어 밸브관(25a)이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물통(20) 내부와 연통되는 밸브홀(25b)과, 밸브관(25a)의 상단에 결합되며 단차부(21b)의 연결구(21c) 인접부에 지지되어 밸브관(25a)의 하측으로의 이동을 일정 이하로 제한하는 스토퍼(25d)와, 밸브관(25a)의 하단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밸브관(25a)의 상측으로 이동을 일정 이하로 제한하는 걸림턱(25c)을 포함한다.
따라서 물통(20)이 본체(10)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밸브관(25a)이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스토퍼(25d)는 밸브관(25a)이 일정 이상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과, 물통(20) 내의 응축수가 연결구(21c)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밸브홀(25b)과 물통(20) 내부는 연통되지 않으므로, 연결구(21c)를 통해 물통(20) 내부의 응축수가 누설되는 것은 차단된다.
물통(20)이 본체(10)의 안착부(10c)에 안착되면, 밸브관(25a) 내의 홀에 연결포트(10d)가 삽입되면서 밸브관(25a)이 상측으로 이동한다. 밸브관(25a)이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밸브관(25a)의 상부에 마련된 밸브홀(25b)은 물통(20) 내부에 배치되므로 물통(20) 내부와 밸브홀(25b)은 연통된다. 따라서 연결포트(10d)를 통해 전달된 응축수은 밸브홀(25b)을 통해 물통(20) 내에 전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물통(20)은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물통(20) 내에 모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수구(22a)와, 배수구(22a)를 개폐하는 마개(2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수구(22a)는 덮개(22)에 대략 L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마개(26)는 덮개(22)과 대응하도록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덮개(22)에는 배수구(22a) 인접부에 단차지게 마련되어 마개(26)의 외곽측을 지지하는 지지턱(22b)이 마련된다.
마개(26)는 배수구(22a)를 폐쇄하는 마개부(26a)와, 마개부(26a)의 외곽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부(26b)와, 가이드부(26b)의 하단을 연결하여 대략 L자 형상의 링을 형성하며 배수구(22a) 인접부에 걸려 마개(26)가 물통(20)으로부터 이탈하는 방지하는 걸림부(26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26b)들은 배수구(22a)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통(20)을 기울여 물통(20) 내부의 응축수가 마개(26)에 수압을 가하도록 하면, 마개(26)는 상측으로 밀려 나오면서 배수구(22a)는 개방된다. 또한 사용자가 물통(20)을 대략 수평한 상태가 되도록 하면, 마개(26)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배수구(22a)를 다시 폐쇄한다.
즉, 사용자가 마개(26)에 직접 힘을 가할 필요 없이 물통(20)을 배수구(22a)측을 향해 기울임으로써 물통(20) 내부에 채워진 응축수를 간단히 배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개(26)는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1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구(22a) 및 마개(27)가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에서 마개(25 또는 26)는 배수구(22a)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물통(20)을 기울일 경우 마개부(26a)에 가해지는 수압에 의해 마개(25 또는 26)가 상측으로 밀려 나오면서 배수구(22a)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2에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개(28)가 마개부(28a)와 마개부(28a)의 양측에 마련된 힌지부(28b)를 포함하도록 하여, 마개(28)가 힌지부(28b)들을 통해 덮개(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마개(26)는 힌지부(28b)들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배수구(22a)를 개폐한다. 이러한 마개(28)는 마개(28)가 수압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는 방식과 사용자가 직접 마개(28)에 힘을 가해 회전시키는 방식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에서 물통(20)은 대략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의 실시예들에서 개시한 밸브 및 마개h는 물통(20)의 형상에 관계 없이 본체(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여러 다른 형태의 물통(20)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여러 실시예들을 통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본체 10c: 안착부
10d: 연결포트 20: 물통
21: 저장통 22: 덮개
22a: 배수구 23: 손잡이
24, 25: 밸브 26, 27, 28: 마개

Claims (12)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장착되는 물통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그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물통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중공의 연결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물통은 상기 연결포트가 삽입되는 연결구와, 상기 물통이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연결구를 개방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제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상기 연결구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포트의 상단에 의해 탄성 변형하며 상측으로 이동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제습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내부에 상기 연결포트가 삽입되는 홀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단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의상기 홀을 덮는 제습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연결구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 포트가 삽입되는 홀이 마련된 밸브관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관의 상부에는 상기 밸브관이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물통 내부와 연통되는 밸브홀을 포함하는 제습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밸브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관의 하측으로의 이동이 일정 범위 이하에서 이루지도록 하는 스토퍼와, 상기 밸브관의 하단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밸브관의 상측으로의 이동이 일정 범위 이하에서 이루지도록 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제습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그 하부에 마련되어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수부와,
    상기 물통의 상부에 상기 저수부에 대해 단차지게 마련된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단차부에 마련되는 제습기.
  7.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장착되는 물통을 포함하며,
    상기 물통은 물을 배출하기 위해 그 상면에 마련된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마개를 포함하는 가습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내측에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가 마련되며 상면이 개방된 저수통과, 상기 저수통의 상측에 설치되어 개방된 상기 저수통의 상면을 폐쇄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구 및 상기 마개는 상기 덮개에 마련되는 가습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배수구를 막는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수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부들과, 상기 가이드부들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마개가 상측으로 일정 이상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통은 상기 배수구 인접부에 단차지게 마련되어 상기 마개부의 외곽측을 지지하는 지지턱을 포함하는 가습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및 상기 마개부는 서로 대응하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습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및 상기 마개부는 서로 대응하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습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배수구를 막는 마개부와, 상기 물통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힌지부를 포함하는 가습기.
KR1020150136844A 2015-09-25 2015-09-25 제습기 KR102506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844A KR102506410B1 (ko) 2015-09-25 2015-09-25 제습기
PCT/KR2016/010570 WO2017052219A1 (ko) 2015-09-25 2016-09-22 제습기
US15/761,634 US10823434B2 (en) 2015-09-25 2016-09-22 Dehumidifier
CN201680056031.6A CN108139092B (zh) 2015-09-25 2016-09-22 除湿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844A KR102506410B1 (ko) 2015-09-25 2015-09-25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356A true KR20170037356A (ko) 2017-04-04
KR102506410B1 KR102506410B1 (ko) 2023-03-07

Family

ID=58386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844A KR102506410B1 (ko) 2015-09-25 2015-09-25 제습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23434B2 (ko)
KR (1) KR102506410B1 (ko)
CN (1) CN108139092B (ko)
WO (1) WO20170522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48947B (zh) * 2017-10-06 2021-03-16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装置的室内机以及空调装置
US11741370B2 (en) * 2019-08-28 2023-08-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nsfer learning based on cross-domain homophily influences
USD945584S1 (en) * 2020-05-25 2022-03-08 Ningbo CRM Electric Appliance, Inc. Dehumidifier
JP1691882S (ko) * 2020-06-05 2021-08-02
USD961059S1 (en) * 2020-09-29 2022-08-16 Hyku Home Inc Room humidifier
USD947333S1 (en) * 2020-09-29 2022-03-29 WenGu Huang Dehumidifier
USD965756S1 (en) * 2020-09-29 2022-10-04 Xiaoqin Huang Dehumidifier
USD979026S1 (en) * 2020-09-29 2023-02-21 Ximei Wen Dehumidifier
USD959627S1 (en) * 2020-09-29 2022-08-02 Xiaozhou Huang Dehumidifier
USD921864S1 (en) * 2020-11-05 2021-06-08 Shenzhen Vantop Technology & Innovation Co., Ltd. Humidifier
USD947334S1 (en) * 2020-12-07 2022-03-29 Ximei Wen Dehumidifier
USD936197S1 (en) * 2020-12-09 2021-11-16 ShenZhen ChangLin Houseware Co., Ltd Dehumidifier
USD921865S1 (en) * 2021-01-12 2021-06-08 Zhongtao Han Humidifier
USD947335S1 (en) * 2021-04-14 2022-03-29 Weika Electric (Guangdong) Co., Ltd. Dehumidifier
USD984620S1 (en) * 2022-09-26 2023-04-25 Gaboss International Limited Dehumidifier
USD994100S1 (en) * 2022-09-26 2023-08-01 Gaboss International Limited Dehumidifier
JP1744175S (ja) * 2022-11-29 2023-05-16 除湿機
USD1026189S1 (en) * 2023-11-13 2024-05-07 Xiukun WU Heater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213A (ja) * 1998-12-24 2000-07-04 Sharp Corp 除湿機
JP2004181279A (ja) * 2002-11-29 2004-07-02 Tiger Vacuum Bottle Co Ltd 除湿機
JP2004278952A (ja) * 2003-03-17 2004-10-07 Tiger Vacuum Bottle Co Ltd 除湿機
KR20050102903A (ko) * 2004-04-23 2005-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의 버킷
KR20090087475A (ko) * 2006-12-11 2009-08-1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수증기 제조용 개인용 장치의 디자인, 제조 및 이용 방법
KR20130055372A (ko) * 2011-11-18 2013-05-2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 제습 복합기의 제습물통 구조
JP2014171918A (ja) * 2013-03-06 2014-09-22 Panasonic Corp 除湿装置
KR20150075749A (ko) * 2013-12-26 2015-07-0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07158Y (zh) * 1997-06-24 1999-02-10 李彦毅 止水阀
JP2001221470A (ja) 2000-02-09 2001-08-17 Denso Corp 加湿方法および加湿装置
CN2490948Y (zh) * 2001-03-21 2002-05-15 于孝海 瓶塞自动启闭保温瓶
KR20090087560A (ko) * 2008-02-13 2009-08-18 한광호 가습기와 제습기를 내장한 공기청정기
CN201637001U (zh) * 2010-03-09 2010-11-17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带自动排水功能的除湿机
CN203477476U (zh) * 2013-09-25 2014-03-12 百强阀门集团有限公司 旋启式止回阀
KR101524756B1 (ko) * 2014-01-24 2015-06-01 박성웅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
CN203869282U (zh) * 2014-04-23 2014-10-08 开平威技电器有限公司 除湿机防滴漏水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213A (ja) * 1998-12-24 2000-07-04 Sharp Corp 除湿機
JP2004181279A (ja) * 2002-11-29 2004-07-02 Tiger Vacuum Bottle Co Ltd 除湿機
JP2004278952A (ja) * 2003-03-17 2004-10-07 Tiger Vacuum Bottle Co Ltd 除湿機
KR20050102903A (ko) * 2004-04-23 2005-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의 버킷
KR20090087475A (ko) * 2006-12-11 2009-08-1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수증기 제조용 개인용 장치의 디자인, 제조 및 이용 방법
KR20130055372A (ko) * 2011-11-18 2013-05-2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 제습 복합기의 제습물통 구조
JP2014171918A (ja) * 2013-03-06 2014-09-22 Panasonic Corp 除湿装置
KR20150075749A (ko) * 2013-12-26 2015-07-0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410B1 (ko) 2023-03-07
US20190049127A1 (en) 2019-02-14
CN108139092B (zh) 2020-11-10
US10823434B2 (en) 2020-11-03
WO2017052219A1 (ko) 2017-03-30
CN108139092A (zh)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7356A (ko) 제습기
US10082302B2 (en) Dehumidifier
CN105605686B (zh) 用于除湿的装置以及用于除湿或加湿的多功能装置
US8615895B2 (en) Clothes dryer
KR101560694B1 (ko) 제습기
KR102466276B1 (ko) 가습기 및 가전기기
KR102521510B1 (ko) 제습기
KR101680425B1 (ko) 제습기
CN113195989B (zh) 排水软管组件和包括其的冰箱
KR20170009044A (ko) 제습기
JP7087800B2 (ja) 除湿機
US11155955B2 (en) Dryer
KR200475069Y1 (ko)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
KR20140000929A (ko) 냉장고 야채실의 과진공 방지장치 및 이를 장착한 야채실
KR20110031934A (ko)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KR20150056246A (ko) 응축수의 누수가 방지되는 제습기
CN110345558A (zh) 顶吸式空调室内机、空调器及冷凝水排出方法
JP2009019794A (ja) ドレンパン及びこのドレンパンを備えた空調機用室内機
KR20100033719A (ko)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JP7382846B2 (ja) 調湿装置
KR102360877B1 (ko) 가습기 및 가전기기
JPH11248193A (ja) 空気調和機用の排水タンク及びこの排水タンク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3199150U (ja) 水封式コネクタおよび水封式コネクタを備えた空調装置
JP2000334254A (ja) 除湿器
JP2016173190A (ja) ドレン水排水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