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2903A - 제습기의 버킷 - Google Patents

제습기의 버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2903A
KR20050102903A KR1020040028229A KR20040028229A KR20050102903A KR 20050102903 A KR20050102903 A KR 20050102903A KR 1020040028229 A KR1020040028229 A KR 1020040028229A KR 20040028229 A KR20040028229 A KR 20040028229A KR 20050102903 A KR20050102903 A KR 20050102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cover
dehumidifier
ai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8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2903A/ko
Publication of KR20050102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90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버킷은 제습기에 설치되고 제습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담겨지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상부에 걸림 장착되는 커버와, 상기 물통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커버의 탈거가 방지됨과 아울러 상기 커버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제습기의 버킷{Bucket of dehumidifier}
본 발명은 실내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통에 장착되는 커버의 탈거를 막아 제품 신뢰성을 높인 제습기의 버킷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 중 버킷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의 제습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와, 상기 베이스(2) 상측에 배치된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설치되어 제습 작용을 수행하도록 증발기(22)와 응축기(24)로 이루어진 열교환기(20)와, 상기 열교환기(20)로 실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기(30)과, 상기 열교환기(20)에 의한 제습시 발생된 응축수가 담겨지도록 상기 베이스(2) 상측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킷(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의 상부에는 베리어(4)가 세워지고, 상기 베리어(4)의 후방에는 상기 증발기(22) 및 응축기(24)에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6)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베리어(4)의 전방에는 상기 버킷(40)이 전후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베리어(4)의 상단에는 상기 열교환기(20)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아 상기 버킷(40)으로 안내하는 드레인 팬(8)이 배치된다.
상기 캐비닛(10)의 배면에는 흡입 공기 중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제거토록 필터(12)가 설치된 공기흡입구(14)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는 공기토출구(16)가 측면에 형성된 전면패널(18)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버킷(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어 응축수가 저장되는 물통(42)과, 상기 물통(42)의 상면에 장착되는 커버(4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커버(44)는 상기 물통(42)의 상면 일측을 덮도록 상기 물통(42)에 체결부재(51)로 고정되는 버킷 커버(46)와, 상기 물통(42)의 상면 타측에 올려지는 청소 커버(48)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킷 커버(46)에는 상기 버킷(40)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일측에 손잡이(45)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킷 커버(46)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 1체결공(49)이 형성되고, 상기 물통(42)에는 상기 제 1 체결공(49)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체결공(50)이 형성되며, 상기 물통(42)과 버킷 커버(46)는 상기 체결부재(51)가 상기 제 1, 2 체결공(49)(50)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습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습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압축기(6)는 구동되어 상기 응축기(22)와 증발기(24)로 냉매가 순환되게 하고, 상기 송풍기(30)는 구동된다.
상기 송풍기(30)의 구동시 제습기의 외부 공기는 상기 송풍기(30)의 송풍압에 의해 상기 캐비닛(10) 배면의 공기 흡입구(14)로 흡입되고, 상기 필터(12)를 지나면서 이물질이 걸름되며, 상기 증발기(22)와 응축기(24)를 차례로 지나면서 제습된다.
이렇게 제습된 공기는 상기 송풍기(30)에 의해 송풍되어 전면 패널(18)의 측면 토출구(16)를 통해 제습기의 옆으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22)는 냉매가 증발하면서 자체 온도가 낮아져 증발기(22) 주변의 공기 온도를 낮추는 바,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은 응축되어 증발기(22)의 표면에 이슬로 맺힌 후 상기 드레인 팬(8)에 떨어진다.
상기 드레인 팬(8)으로 떨어진 응축수는 상기 버킷(40)의 상측에서 떨어져서 버킷(40)의 물통(42)에 담수된다.
한편, 상기 물통(42)에 담수된 응축수가 만수되면, 응축수는 상기 제습기 주변으로 흐르게 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물통(42)을 비워야 한다.
사용자는 상기 제습기에서 상기 버킷(40)을 인출한 후, 상기 버킷 커버(44)에 장착된 손잡이(45)를 잡고, 상기 버킷(40)을 특정위치로 운반하며, 상기 물통(42)에서 상기 청소 커버(48)를 분리하여 상기 물통(42) 내의 응축수를 배출한다.
응축수가 배출된 버킷(40)은 다시 제습기로 장착되고, 버킷(40)의 응축수 배수 동작은 완료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버킷(42)은 상기 손잡이(45)가 상기 버킷 커버(46)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버킷(40)의 운반시, 버킷 커버(46)에 하중이 집중되어 상기 버킷 커버(46)가 물통에서 쉽게 탈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제습기의 버킷(40)은 버킷 커버(46)가 물통의 상면에 장착될 때,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므로 조립공수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버킷의 운반시 커버의 탈거를 방지함과 아울러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제습기의 버킷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공수가 저감될 수 있는 제습기의 버킷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버킷은 제습기에 설치되고 제습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담겨지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상부에 걸림 장착되는 커버와, 상기 물통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응축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물통의 상측에 배치된 버킷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물통의 상측에 배치된 청소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손잡이와 물통이 결합되도록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습기의 버킷은 상기 물통과 상기 커버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후크와, 상기 후크가 걸림되도록 상기 물통과 커버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후크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 중 버킷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62)와, 상기 베이스(62)의 상면에 올림되고,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된 캐비닛(64)과, 상기 캐비닛(64)의 개구된 전면에 장착되고 공기 흡입구(63) 및 운전조작부(65)가 형성된 전면 패널(66)과, 상기 공기흡입구(63)로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이 걸름되는 에어필터(67)와, 상기 캐비닛(64)의 개구된 후면에 장착되고 공기 토출구(68)가 형성된 후면 패널(69)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습기는 상기 베이스(62)의 상측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제습기의 내측 하부를 구획하는 베리어(70)와, 상기 베리어(70)의 상단에 수평하게 일체 형성되고 일측에 드레인 홀(미도시)이 형성된 드레인 팬(74)과, 상기 드레인 팬(74)의 상측에 장착되고 증발기(82)와 응축기(84)로 이루어져제습하는 열교환기(80)와, 상기 열교환기(80)의 배면에 위치되어 실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기(90)와, 상기 베리어(70)의 후방에 배치토록 상기 베이스(62) 위에 장착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9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습기는 상기 전면 패널(66)의 하부를 통해 베리어(70)의 전방으로 삽입되고 상기 베이스(62)의 상측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어 상기 드레인 팬(74)에서 안내된 응축수가 담수되는 버킷(1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킷(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담겨지고 상면이 개방된 물통(102)과, 상기 물통(102)의 상면을 덮는 커버(104)와, 상기 물통(102)에 결합되는 손잡이(1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물통(102)은 상기 커버(104)가 걸림 장착 되도록 내측면에 복수개의 후크(102a)가 형성되고, 상기 물통(102)에 상기 손잡이(108)가 스크류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가 체결되는 제 1 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102a)는 상기 물통(102)의 내측면 상부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커버(104)에는 상기 물통(102)에 장착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후크(102a)와 대향되는 위치에 후크홈(104a)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홈(104a)은 상기 커버(103)의 둘레면에 오목하게 파인 형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104)는 상기 물통(102)의 상면에 위치된 후, 상기 후크(102a)가 상기 후크홈(104a)에 삽입되면, 상기 물통(102)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걸림고정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108)는 하단이 개구된 "ㄷ" 형상의 부재로써, 상기 제 1체결공과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체결공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커버(104)는 상기 물통(102)의 상면 일측을 덮도록 상기 물통(102)에 걸림 장착되는 버킷 커버(105)와, 상기 물통(102)의 상면 타측에 걸림 장착되는 청소 커버(106)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킷 커버(105)에는 상기 손잡이(108)가 상기 버킷 커버(105)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108)가 관통되는 관통홀(105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습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습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압축기(92)는 구동되어 상기 응축기(82)와 증발기(84)로 냉매가 순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90)는 구동되어 제습기 전방의 실내공기를 상기 전면패널(66)의 공기 흡입구(63)를 통해 제습기 내부로 흡입시킨다.
제습기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 필터(67)를 지나면서 이물질이 걸름되고, 상기 증발기(82)와 응축기(84)를 차례로 지나면서 제습된다.
이렇게 제습된 공기는 상기 송풍기(90)에 의해 상기 후면 패널(69)의 토출구(68)를 통해 제습기의 배면으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82)는 냉매가 증발하면서 증발기(82)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증발기(82) 주변의 공기 온도를 낮추는 바,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은 응축되어 증발기(82)의 표면에 이슬로 맺힌 후 상기 드레인 팬(74)에 떨어진다.
상기 드레인 팬(74)으로 떨어진 응축수는 드레인 홀을 통해 상기 버킷(100)의 상측에서 떨어져서 상기 물통(102)에 담수된다.
담수된 응축수가 상기 물통(102)에 소정량 이상으로 채워지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버킷(20)을 제습기의 외측으로 인출하고, 상기 손잡이(108)을 잡은 후, 상기 버킷(100)을 특정위치로 운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킷(100)은 상기 손잡이(108)가 상기 물통(102)에 장착되기 때문에 응축수에 의한 버킷(100)의 하중이 상기 버킷 커버(105)에 집중되지 않게 되어 상기 버킷 커버(105)의 탈거가 방지된다.
한편, 특정위치로 운반된 상기 버킷(100)은 상기 청소 커버(106)를 분리한 후, 물통(102)내의 응축수를 배출하게 된다.
응축수가 배출된 버킷(100)은 사용자에 의해 제습기로 장착되고, 버킷(100)의 응축수 배수 동작은 완료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청소커버가 후크 걸림되지 않고 상기 물통의 상면 타측에 올려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버킷은 손잡이가 물통에 장착되어 버킷 운반시 커버의 탈거가 방지됨으로써,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버킷은 커버가 물통에 걸림 장착됨으로써, 커버 장착의 조립공수가 저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 에 도시된 버킷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 에 도시된 버킷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62 : 베이스 63 : 공기흡입구
64 : 캐비닛 65 : 운전조작부
66 : 전면패널 67 : 에어 필터
68 : 공기토출구 69 : 후면패널
70 : 베리어 74 : 드레인 팬
80 : 열교환기 82 : 증발기
84 : 응축기 90 : 송풍기
92 : 압축기 100 : 버킷
102 : 물통 102a : 후크
103 : 리브 104 : 커버
104a : 후크홈 106 : 버킷 커버
106a : 관통홀 108 : 손잡이
110 : 청소 커버

Claims (5)

  1. 제습기에 설치되고 제습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담겨지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상부에 걸림 장착되는 커버와,
    상기 물통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버킷.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응축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물통의 상측에 배치된 버킷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버킷.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물통의 상측에 배치된 청소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버킷.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손잡이와 물통이 결합되도록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버킷.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의 버킷은 상기 물통과 상기 커버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후크와, 상기 후크가 걸림되도록 상기 물통과 커버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후크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버킷.
KR1020040028229A 2004-04-23 2004-04-23 제습기의 버킷 KR200501029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229A KR20050102903A (ko) 2004-04-23 2004-04-23 제습기의 버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229A KR20050102903A (ko) 2004-04-23 2004-04-23 제습기의 버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903A true KR20050102903A (ko) 2005-10-27

Family

ID=3728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229A KR20050102903A (ko) 2004-04-23 2004-04-23 제습기의 버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29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4103A (zh) * 2014-01-06 2015-07-08 三星电子株式会社 除湿器
KR20170037356A (ko) * 2015-09-25 2017-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4103A (zh) * 2014-01-06 2015-07-08 三星电子株式会社 除湿器
KR20170037356A (ko) * 2015-09-25 2017-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507B1 (ko) 증발기 유닛용 응축물 배수 장치
KR10141705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47102A (ko) 제습기
KR20050102903A (ko) 제습기의 버킷
KR100937309B1 (ko) 증발기 유닛용 응축물 배수 팬
KR100509358B1 (ko) 제습기
KR100342670B1 (ko) 제습기
KR100400456B1 (ko)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KR100591325B1 (ko) 제습기의 배수 구조
KR100567985B1 (ko) 공기조화기
KR100409003B1 (ko)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KR200379772Y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KR100188392B1 (ko) 분리형 공조기의 실내기 응축수 배수장치
KR20130055370A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제습수 수용 구조
KR10116216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6234259A (ja) 吸込ポン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100550559B1 (ko) 제습기의 팬하우징 체결구조
KR100409002B1 (ko)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KR200465049Y1 (ko) 공기조화기
KR20070048464A (ko) 제습기
JPH07158891A (ja) 空調機
KR0127613Y1 (ko)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KR20070044214A (ko) 제습기
KR20080014333A (ko) 공기조화기의 배수장치
KR20050088605A (ko) 제습기의 배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