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9002B1 -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 Google Patents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9002B1
KR100409002B1 KR10-2001-0023967A KR20010023967A KR100409002B1 KR 100409002 B1 KR100409002 B1 KR 100409002B1 KR 20010023967 A KR20010023967 A KR 20010023967A KR 100409002 B1 KR100409002 B1 KR 100409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housing
dehumidifier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4580A (ko
Inventor
손양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23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9002B1/ko
Priority to ES02253013T priority patent/ES2256414T3/es
Priority to PT02253013T priority patent/PT1255084E/pt
Priority to DE60209443T priority patent/DE60209443D1/de
Priority to AT02253013T priority patent/ATE319052T1/de
Priority to EP02253013A priority patent/EP1255084B1/en
Priority to JP2002128636A priority patent/JP2002349896A/ja
Priority to CN02118949.8A priority patent/CN1186566C/zh
Publication of KR20020084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9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90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2Induction nozzles without swir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공기가 흡입되는 오리피스와, 상기 오리피스와 결합되고 송풍기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된 주 토출부와, 상기 오리피스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원하는 특정위치로 토출시키도록 하우징 일측에 연결되어 특정위치까지 연장된 호스가 설치된 보조 토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 토출부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위치로 제습 공기를 집중적으로 토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물 등을 용이하게 집중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A outlet structure of dehumidifier}
본 발명은 실내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주 토출부와 보조 토출부로 나누고, 보조 토출부를 통해 사용자가 희망하는 특정 위치까지 제습된 공기를 집중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종래 기술의 제습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과 후면과 저면이 개방된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2)와 응축기(3)로 이루어져 제습 작용을 수행하는 열교환기(4)와, 상기 증발기(2) 및 응축기(3)에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0)와, 상기 열교환기(4)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1) 내부로 흡입한 후 실내로 다시 토출시키는 송풍력을 발생하는 송풍팬(5a) 및 모터(5b)와, 상기 모터(5b)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송풍팬(5a)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캐비닛(1)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전면 패널(7)의 그릴 측으로 안내하도록 중앙에 토출홀부가 형성된 하우징(6)과, 상기 열교환기에서 제습 도중에 발생한 응축수를 저장하는 수조(11)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1)의 전면에는 제습기 내부의 제습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그릴이 형성된 전면 패널(7)이 결합되고, 상기 캐비닛(1)의 후면 상부에는 제습기 내로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거르는 에어 필터(19)가 설치되며, 상기 캐비닛(1)의 저면에는 상기 압축기(10)가 장착되고 상기 수조(11)가 올려 놓여지는 받침판(8)이 결합된다.
상기 받침판(8)의 상측에는 상기 압축기(10)가 설치되는 영역과 상기 수조(11)가 수납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배리어(9)가 세워지고, 상기 배리어(9)의 상측에는 상기 열교환기(4)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받아 상기 수조(11)로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6)을 지지하는 드레인 팬(13)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는 실내의 공기가 상기 모터(5b)의 구동에 따른 송풍팬(5a)의 회전으로 상기 필터(19)를 통과하면서 캐비닛(1)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열교환기(4)를 지나면서 제습된 후, 상기 하우징(6)의 토출홀부와 전면 패널(7)의 그릴을 차례로 지나 실내측으로 다시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에서의 공기 토출구조는 상기 하우징(6)의 토출홀부와 전면 패널의 그릴(7)을 통해 실내에 제습 공기를 분산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습 공기를 이용하여 세탁물 등을 건조시키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위치로 제습 공기를 집중적으로 제공하는 등 제습기를 다용도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주 토출와와 보조 토출부로 나누고, 보조 토출부를 통해 사용자가 희망하는 특정 위치까지 제습된 공기를 집중적으로 토출시켜, 세탁물 등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음은 물론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제습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제습기가 도시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 선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 선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하우징에 호스를 내장하고 통상의 제습기로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하우징에서 호스가 인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제습된 공기를 집중 토출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호스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다른 실시예의 하우징에 호스를 내장하고 통상의 제습기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다른 실시예의 하우징에서 호스가 인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제습된 공기를 집중 토출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다른 실시예에서 호스가 하우징의 측방향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1: 캐비닛 51a: 흡입구
51b: 토출구 51c: 에어필터
51d: 호스관통홀부 51e: 개폐 판
58: 전면패널 60: 열교환기
61: 증발기 62: 응축기
63: 압축기 64: 송풍기
65: 모터 66: 터보팬
70: 오리피스 76: 가이드
80: 하우징 86: 수조
87: 드레인팬 88: 받침판
89: 베리어부 90: 주 토출부
98: 격벽 98a: 여유공간부
99: 루버 100: 보조 토출부
106: 호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공기가 흡입되는 오리피스와, 상기 오리피스와 결합되고 송풍기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된 주 토출부와, 상기 오리피스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원하는 특정위치로 토출시키도록 하우징 일측에 연결되어 특정위치까지 연장된 호스가 설치된 보조 토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 선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 선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후면에 흡입구(51a)가 형성되고 상면에 토출구(51b)가 형성된 캐비닛(51)과, 상기 캐비닛(51)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터보팬(66)과 모터(65)로 이루어진 송풍기(64)와, 상기 터보팬(66)과 흡입구(51a)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제습할 수 있도록 증발기(61)와 응축기(62)로 이루어진 열교환기(60)와, 상기 증발기(61)와 응축기를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63)와, 상기 열교환기(60)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공기가 흡입되는 오리피스(70)와, 상기 오리피스(70)와 결합되고 상기 송풍기(64)를 지지하는 하우징(80)과, 상기 하우징(80)의 상부에 형성된 주 토출부(90)과, 상기 오리피스(70)를 통해 하우징(80)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원하는 특정위치로 토출시키도록 상기 하우징(80)에 형성된 보조 토출부(100)와, 상기 하우징(80) 일측에 연결되어 특정위치까지 연장되어 건조된 공기를 유도하는 호스(10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51)의 흡입구(51a)에는 캐비닛(51)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에어필터(51c)가 장착되고, 상기 캐비닛(51)의 전면 상부에는 제습기의 각종 운전 상태를 외부로 알리기 위한 표시부(58a)와 제습기의 운전을 위한 운전조작용 버튼(58b)이 설치되는 전면 패널(58)이 결합되고, 상기 캐비닛(51)의 하측에는 상기 압축기(63)가 장착되고 상기 열교환기(60)에서 제습 도중에 발생한 응축수를 저장하는 수조(86)가 수납되며 중앙에 상기 압축기(63) 장착 영역과 수조(86)의 수납 영역을 구획하는 베리어부(89)가 일체로 형성된 받침판(88)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수조(86)는 상부가 개방된 상자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리어부(89)의 전방측으로 수납되어 상기 캐비닛(51)의 전방 측으로 인출되는 물통부(86a)와, 상기 물통부(86a)의 수위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물통부(86a) 전면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된 투명부(86b)와, 상기 물통부(86a)의 전면 양측 가장자리와 전면 하측 가장자리에 결합된 장식부(86c)로 구성된다.
상기 베리어부(89)의 상측에는 상기 오리피스(80)와 하우징(90)과 상기 열교환기(60)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열교환기(60)에서 떨어진 응축수를 받아 상기 수조(86)로 안내하는 드레인 팬(87)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80)에는 상기 보조 토출부(100)가 상기 하우징(80)의 상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주 토출부(90)와 보조 토출부(100)를 나누는 격벽(98)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토출부(100)에는 호스(106)가 연결되어 상기 호스(106) 일부의 인출시 하우징(80) 내부의 제습 공기를 제습기 외부의 특정 위치까지 안내한다.
즉, 상기 주 토출부(90)는 격벽(98)과 하우징(80) 일측벽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이고, 상기 보조 토출구(100)는 격벽(98)과 하우징(80) 타측벽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로서, 상기 격벽(98)에 의해 하우징(80) 상부가 2개의 토출 영역으로 구분된다.
상기 주 토출부(90)에는 상기 주 토출부(90)를 통한 제습 공기의 토출시 주 토출부(90)를 개방시키고 상기 보조 토출부(100) 및 호스(106)를 통한 제습 공기의 토출시 상기 주 토출부(90)를 밀폐할 수 있도록 루버(99)가 설치되고, 상기 루버(99)에는 루버용 모터(미도시)가 연결되어 상기 루버(99)를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캐비닛(51)의 상면에는 상기 토출구(51b) 옆에 상기 호스(106)가 관통되어 인출되는 호스관통홀부(51d)가 형성되고, 상기 호스관통홀부(51d)에는 상기 호스(106)의 일부의 인출시 상기 호스관통홀부(51d)를 개방하고 상기 호스(106)의 수납시 상기 호스관통홀부(51d)를 밀폐하는 개폐 판(51e)이 설치된다.
상기 오리피스(70)는 상기 열교환기(60)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공기가 상기 오리피스(70)와 하우징(80) 내측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홀부(75)가 형성되고 상기 홀부(75)에는 제습된 공기의 유입을 돕는 가이드(76)가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하우징에 호스를 내장하고 통상의 제습기로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하우징에서 호스가 인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제습된 공기를 집중 토출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호스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분해 사시도,
상기 격벽(98)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80)의 양 측벽 내측에 양 측벽과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호스(106)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상부에 여유공간부(98a)가 형성된다.
상기 호스(106)은 일단이 상기 제 2 토출부(100)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캐비닛(51)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캐비닛(51) 내부에 수납되고, 사용시 원하는 특정 위치까지 인출되는 플렉시블 호스로서, 상기 제 2 토출부(10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스(106)가 상기 제 2 토출부(100)에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호스(106)와의 사이에 체결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호스(106)의 하부 외둘레면에 형성된 돌출부(106a)와, 상기 돌출부(106a)가 끼움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토출부(100) 하측에 형성된 돌출홈부(10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상의 제습기로 사용하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스(106)를 상기 보조 토출부(100) 내부에 수납하고 상기 개폐 판(51e)을 이용하여 상기 호스관통홀부(51d)를 막은 상태에서 상기 루버(99)에 의해 상기 주 토출부(90)를 개방시킨 채, 상기 압축기(63) 및 모터(65)를 작동시키면, 실내의 공기는 에어필터(51c)와 캐비닛(51)의 흡입구(51a)를 통해 캐비닛(51) 내부로 유입된 다음 열교환기(60)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후 상기 주 토출부(90)와 캐비닛(51)의 토출구(51b)를 통해 실내로 분산 토출된다.
상기와 다르게 상기 호스(106)를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공간으로 제습된 공기를 토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버(99)를 이용해 상기 주 토출부(90)를 막고, 상기 개폐 판(51e)을 연 다음 상기 호스(106)를 호스관통홀부(51d)에 관통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연장시킨 후, 상기 압축기(63) 및 모터(65)를 작동시키면, 실내의 공기는 에어필터(51c)와 캐비닛(51)의 흡입구(51a)를 통해 캐비닛(51) 내부로 유입된 다음 열교환기(60)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후, 상기 보조 토출부(100)에 고정된 호스(106) 내측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위치로 집중 토출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다른 실시예의 하우징에 호스를 내장하고 통상의 제습기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다른 실시예의 하우징에서 호스가 인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제습된 공기를 집중 토출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다른 실시예에서 호스가 하우징의 측방향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는 보조 토출부(122)가 상기 하우징(80)의 좌측벽과 우측벽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 토출부(122)의 옆으로 호스(130)가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기 호스(130)가 관통되는 호스인출홀부(136)가 상기 캐비닛(51)의 측면에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보조 토출부(122)는 상기 하우징(80)의 좌측벽 상부나 우측벽 상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개구부이고, 상기 호스(130)는 일단이 상기 보조 토출부(12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캐비닛(51)의 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하우징(80)의 측벽과 캐비닛의 측면 사이에 수납되고, 사용시 일부가 상기 캐비닛(51)의 호스인출홀부(136)을 통해 제습기 외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51)의 측면에는 상기 호스인출홀부(136)를 개폐하는 개폐 판(140)이 설치되고, 상기 호스(130)와 보조 토출부(122)의 연결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스(130)의 일단 외둘레면에 끼움홈부(138)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 토출부(122)에 끼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보조 토출부(122)가 하우징(80)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호스(130)가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 2 토출부(122)에 끼움연결되며, 상기 개폐 판(140)이 상기 캐비닛(51)의 측면에 설치되는 이외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상의 제습기로 사용하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스(130)를 상기 캐비닛(51) 내부에 수납하고 상기 개폐 판(140)을 이용하여 상기 호스관통홀부(136)를 막은 상태에서 루버(121)에 의해 상기 주 토출부(90)를 개방시킨 채 압축기 및 모터를 작동시키면, 실내의 공기는 캐비닛(51)의 흡입구를 통해 캐비닛(51) 내부로 유입된 다음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후 상기 주 토출부(90)와 캐비닛(51)의 토출구(51b)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와 다르게 상기 호스(130)를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공간으로 제습된 공기를 토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루버(121)을 이용해 주 토출부(90)를 닫고, 상기 개폐 판(140)을 연 다음 상기 호스(130)를 호스관통홀부(136)에 관통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연장시킨 후, 압축기 및 모터를 작동시키면, 실내의 공기는 캐비닛(51)의 흡입구를 통해 캐비닛(51) 내부로 유입된 다음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후, 상기 보조 토출부(122)에 고정된 호스(130) 내측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위치로 집중 토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습기는 열교환기에서 제습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주 토출부 이외에 하우징의 상측, 좌우측 및 전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보조 토출부를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보조 토출부에는 사용시 일부가 원하는 특정 위치까지 인출되고, 미사용시 제습기 내에 수납되는 호스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위치로 제습 공기를 집중적으로 토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물 등을 용이하게 집중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주 토출부와 보조 토출부를 나누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상부에는 여유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호스의 수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공기가 흡입되는 오리피스와, 상기 오리피스와 결합되고 송풍기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된 주 토출부와, 상기 오리피스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원하는 특정위치로 토출시키도록 하우징 일측에 연결되어 특정위치까지 연장된 호스가 설치된 보조 토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보조 토출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주 토출부와 보조 토출부를 나누는 격벽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호스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상부에 여유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토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좌측벽과 우측벽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호스는 상기 하우징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 제습기 캐비닛에는 상기 호스가 관통되어 인출되는 호스관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호스관통홀부에는 상기 호스의 인출시 상기 호스관통홀부를 개방하고 상기 호스의 수납시 상기 호스관통홀부를 밀폐하는 개폐 판이 설치되며, 상기 주 토출부에는 루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KR10-2001-0023967A 2001-05-03 2001-05-03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KR100409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967A KR100409002B1 (ko) 2001-05-03 2001-05-03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ES02253013T ES2256414T3 (es) 2001-05-03 2002-04-29 Deshumidificador.
PT02253013T PT1255084E (pt) 2001-05-03 2002-04-29 Desumidificador
DE60209443T DE60209443D1 (de) 2001-05-03 2002-04-29 Entfeuchter
AT02253013T ATE319052T1 (de) 2001-05-03 2002-04-29 Entfeuchter
EP02253013A EP1255084B1 (en) 2001-05-03 2002-04-29 Dehumidifier
JP2002128636A JP2002349896A (ja) 2001-05-03 2002-04-30 除湿機
CN02118949.8A CN1186566C (zh) 2001-05-03 2002-04-30 减湿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967A KR100409002B1 (ko) 2001-05-03 2001-05-03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580A KR20020084580A (ko) 2002-11-09
KR100409002B1 true KR100409002B1 (ko) 2003-12-06

Family

ID=2770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967A KR100409002B1 (ko) 2001-05-03 2001-05-03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90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580A (ko) 200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4446A (ko) 공기조화시스템
EP1255084B1 (en) Dehumidifier
JP2607844B2 (ja) エアコンの室内機
KR100409002B1 (ko)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KR100409003B1 (ko)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KR101820377B1 (ko) 공기조화시스템
KR100400456B1 (ko)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KR100509358B1 (ko) 제습기
JP3258971B2 (ja) 除湿機
KR100342669B1 (ko) 공기조화기
KR101144801B1 (ko) 제습기
KR100591325B1 (ko) 제습기의 배수 구조
KR101158581B1 (ko) 제습기
KR100565510B1 (ko) 제습기
KR20070044216A (ko) 제습기
KR20070044219A (ko) 제습기
KR200146150Y1 (ko) 에어콘의 실내기
JP2883490B2 (ja) 空気調和機
KR940007220Y1 (ko) 창문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제습장치
JP2001293321A (ja) 除湿装置
KR20050088605A (ko) 제습기의 배수 구조
KR20070044217A (ko) 제습기
KR20050102903A (ko) 제습기의 버킷
JPH0544652Y2 (ko)
JPH08261499A (ja) 一体形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