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220Y1 - 창문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제습장치 - Google Patents

창문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제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220Y1
KR940007220Y1 KR2019910012066U KR910012066U KR940007220Y1 KR 940007220 Y1 KR940007220 Y1 KR 940007220Y1 KR 2019910012066 U KR2019910012066 U KR 2019910012066U KR 910012066 U KR910012066 U KR 910012066U KR 940007220 Y1 KR940007220 Y1 KR 940007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plate
closing
air conditioner
uni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2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109U (ko
Inventor
차동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2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220Y1/ko
Publication of KR9300031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1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2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창문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제습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창문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일부 절개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단면도로서 (a)는 냉방상태를 보인 것이고, (b)는 제습상태를 보인 것이다.
제3도는 본 고안 개폐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A : 냉기투출통로 9 : 덕트
10 : 제어수단 91 : 유입구
92 : 투출구 11, 12 : 개폐판
13 : 연결대 14 : 조절부재
본 고안은 창문형 룸에어컨디셔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온도의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실내공기를 효과적으로 제습시킬 수 있게하는 창문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창문형 룸에어컨디셔너는 압력조절과 기화조절을 기계적으로 행하여 냉매개스를 압축→응축→팽창→증발의 4과정을 연속적으로 이루어 실내를 냉방시키게 되는 것으로, 그러한 창문형 룸에어컨디셔너는 일반적으로 실내공기를 증발기측으로 흠입하여 열교환을 이룬 후 냉기를 실내로 토출시켜서 냉방에 임하게 되는데, 이러한 창문형 에어컨디셔너는 냉방 뿐만 아니라 제습기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은 실내에서 실내온도가 냉방이 요구되지 않는 습한날씨, 즉 비가오는 날씨에 실내공기에 함유된 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창문형 에어컨디셔너를 이용한 제습은 실내의 습기는 제거할 수 있으나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어지므로써 실내온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즉, 증발기를 통과한 실내공기중의 습기는 증발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제거되고 이 증기는 차가운 냉기로 변하여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와 같이 창문형 룸에어컨디셔너를 이용하여 습한 실내공기를 제습하는 과정에서 차가운 냉기로 변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는 실내의 온도를 급격히 저하시키게 되므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추위를 느끼게할뿐만 아니라 더나아가서 제습을 위한 냉방을 계속 수행할 경우 사용자에게 감기와 같은 질병을 일으키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실내온도의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실내공기를 효과적으로 제습시킬 수 있게하는 창문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제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습 기능을 수행하는 창문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제습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 제습장치는 유입구와 토출구가 소정의 이동통로를 가지고 연통되는 덕트가 구비되어 증발기측을 향하도록 응축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덕트의 유입구와 냉기토출통로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시키면서 냉방과 제습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두개의 개폐판이 조절부재에 의해 상호 유기적으로 연동되는 제어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 일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창문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절개사시도이다.
이 창문형 에어컨디셔너는 본체(1)중앙을 길이방향으로 구획시킨 격벽(2)이 설치되고, 이 격벽(2)을 중심으로 전후방에 실내·외측이 구분되는데, 먼저 실외기측(1A)에는 중앙에 송풍모터(3)가 장착되고 그 일측에 압축기(4)가 내장되며, 이들의 후방에는 응축기(5)가 입설된다.
또한, 격벽(2)전방의 실내기측(1B)에는 상기 송풍모터(3)로부터 인출되어 격벽을 관통한 회전축에 블로우어(31)가 축설되고, 이 블로우어(31)의 전방으로 부터 소정폭 이격되게 증발기(6)가 입설되는 것이며, 증발기(6)의 일측에는 냉기토출구(7)와 콘트롤부(8)가 상하로 구비된다.
이상은 통상의 창분형 룸에어컨디셔너의 구조에 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본 고안은 실외기측(1A)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기측(1B)을 향해 관통되는 덕트(9)가 구성되고, 상기 냉기토출부(7)의 통로(7A)와 덕트(9) 유입구를 개폐시키면서 냉방과 제습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10)이 구성된 제습장치를 갖추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제습장치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덕트(9)는 응축기(5)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사각관체가 양측이 폐쇄되고 그 중앙과 일측을 실외기측(1A)의 폭을 감안한 길이로 서로 연통되게 연장시킨 소정의 이동통로가 형성되며, 이 연장된 중앙과 일측의 관체단부는 개구되어 유입구(91)와 토출구(92)가 형성되는 것이며, 이 덕트(9)는 후방이 응축기(5)의 상부에 안착되고 중앙과 일측으로 부터 연장된 유입구(91)와 토출구(92)는 격벽(2)에 관통시켜 체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10)은 덕트의 유입구(91)와 냉기 토출통로(7A)를 개폐시키는 개폐판(11)(12)들이 유기적으로 연통되도록 연결대(13)가 구비되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개폐판(11)(12)을 작동시키는 조절부재(14)가 구성되는데, 상기 유입구 개폐판(11)은 입구에서 관체내측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유입구(91)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냉기통출통로 개폐판(12)은 냉기토출통로(7A)에서 외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이 개폐판(12)의 선단하부에는 돌기(151)를 입설한 안내대(15)가 외향으로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대(13)는 소정각도 절곡되어 상기 개폐판(11)(12)의 전방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이때 연결대(13)의 절곡 각도는 증발기(6)로 부터 열교환된 냉기가 덕트(9)의 유입구(91)로 유입 또는 냉기토출통로(7A)로 토출되는 량이 적정량을 유지할 수 있는 개방각도를 감안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14)는 일단을 소정폭 상향 절곡시켜 상향 절곡된 후면에 장공의 안내홀(141)이 구비되고, 그 선단은 본체 외부로 인출시키고 이의 전방은 냉기토출부(7)의 저면 소정위치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142)로 축설 시키게 된다.
이 때 조절부재(14)의 안내홀(141)은 상기 개폐판(12)의 안내대(15) 돌기(151)에 끼워져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고안 제습장치의 작용 효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냉방전용시에는 제2도(a)에서와 같이 덕트(9) 유입구(91)가 개폐판(11)에 의해 폐쇄되고 냉기투출통로(7A)가 개방된 상태에서 에어컨디셔너를 가동시키게 되면 통상에서와 같이 증발기(6)로 흡입되어 열교환을 이룬 실내 공기가 냉기로 변하여 토출부(7)를 경유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실내온도가 냉방이 요구되지 않고 실내공기에 함유된 습기만을 제거하고자할 경우 제2도의 (b)와 제3도에서와 같이 내향으로 위치한 조절부재(14)의 선단을 외향으로 당겨서 힌지(142)를 중심으로 그 후단을 내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안내홀(141)에 끼움된 안내대(15)의 돌기(151)가 내향으로의 이동이 안내 됨과 동시에 개폐판(12)이 내향으로 회동되고 조절부재(14)후단이 밀착되어 제3도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냉기토출통로(7A)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연결대(13)에 의해 냉기토출통로 개폐판(12)과 연결된 덕트유입구 개폐판(11)은 상기 조절부재(14)의 작동에 따라 냉기토출통로 개폐판(12)이 통로측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연동되어 후방으로 회동되면서 폐쇄되어있던 덕트유입구(91)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냉기토출통로(7A)가 폐쇄되고, 덕트유입구(91)가 개방된 상태에서 에어컨디셔너가 가동되어지면 증발기(6)를 통과한 습한 실내공기는 열교환에 의해 제습됨과 동시에 냉기로 변하여 유입구(91)를 통해 덕트(9)로 유입된다.
이렇게 덕트(9)로 유입된 냉기는 응축기(5)의 상면을 지나게될 때 응축기의 열교환시 발생되는 열기를 흡수하여 상온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 상온의 공기는 덕트의 토출구(92)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임의로 제습기능을 선택하여 실내온도의 변화를 최소화시키면서 습한 실내공기를 효과적으로 제습시킬 수 있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Claims (2)

  1. 본체(1)의 내부를 실내기측(1B)와 실외기측(1A)으로 구획하는 격벽(2), 상기 실내기측에 마련된 증발기(6), 상기 실외기측에 마련된 응축기(5)를 구비하는 창문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제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측에서 상기 응축기까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실내기측에 연통되도록 소정간격 이격된 유입구(91)와 토출구(92)가 형성된 덕트(9)가 마련되고, 상기 덕트를 통과한 조화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되, 상기 증발기와 연결되도록 냉기토출통로(7)가 형성된 토출부(7A), 냉방과 제습기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덕트유입구와 상기 냉기토출통로의 개폐를 서로 역으로 수행케하는 제어수단(10)을 구비하는 창문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제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덕트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판(11), 상기 냉기토출통로를 개폐하는 개폐판(11), 상기 개폐판(11)과 상기 개폐판(12)을 서로 상반되게 개폐하도록 절곡되어 양측단이 각각 상기 개폐판(11)과 상기 개폐판(12)에 연결된 연결대(13), 상기 개폐판(12)을 개폐하기 위하여 그 일측단은 상기 개폐판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조절부재(14)를 구비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제습장치.
KR2019910012066U 1991-07-30 1991-07-30 창문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제습장치 KR940007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2066U KR940007220Y1 (ko) 1991-07-30 1991-07-30 창문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제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2066U KR940007220Y1 (ko) 1991-07-30 1991-07-30 창문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제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109U KR930003109U (ko) 1993-02-26
KR940007220Y1 true KR940007220Y1 (ko) 1994-10-14

Family

ID=1931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2066U KR940007220Y1 (ko) 1991-07-30 1991-07-30 창문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제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2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784A (ko) * 2004-06-15 2005-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환기시스템
KR20140096971A (ko) * 2013-01-29 2014-08-06 코웨이 주식회사 순환구조 공기조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784A (ko) * 2004-06-15 2005-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환기시스템
KR20140096971A (ko) * 2013-01-29 2014-08-06 코웨이 주식회사 순환구조 공기조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109U (ko) 199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65648A (zh) 除湿空调一体机
CN206410246U (zh) 除湿空调一体机
KR940007220Y1 (ko) 창문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제습장치
EP1255084B1 (en) Dehumidifier
KR100467854B1 (ko) 제습기
JP3731113B2 (ja) 空気調和機
JP2019215100A (ja) 除湿機
KR100509358B1 (ko) 제습기
JP3197596B2 (ja) 空気調和機
KR100409003B1 (ko)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JP3326193B2 (ja) 除湿器
CN215808876U (zh) 嵌入式空调室内机及空调展示样机
KR20050049953A (ko) 난방 겸용 제습기
JPS6111649B2 (ko)
KR900002681Y1 (ko) 제습 및 환풍기능을 겸한 에어콘
JPH11201545A (ja) 空調機
KR20070044219A (ko) 제습기
JPH0746340Y2 (ja) 喚気扇付除湿器
KR20020018340A (ko) 건조 호스가 구비된 제습기
JP2883490B2 (ja) 空気調和機
JPS5829805Y2 (ja) 空気調和機
KR100435887B1 (ko) 에어덕트 도어자동개폐장치
KR0139363Y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통풍장치
JPS5813218Y2 (ja) 空気調和機
JPH034714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