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069Y1 -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 - Google Patents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069Y1
KR200475069Y1 KR2020140005837U KR20140005837U KR200475069Y1 KR 200475069 Y1 KR200475069 Y1 KR 200475069Y1 KR 2020140005837 U KR2020140005837 U KR 2020140005837U KR 20140005837 U KR20140005837 U KR 20140005837U KR 200475069 Y1 KR200475069 Y1 KR 2004750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cooling water
fitt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순
Original Assignee
이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순 filed Critical 이길순
Priority to KR2020140005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0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0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습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냉각, 순환시켜 냉풍이 토출되도록 하는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일반적인 구조의 제습기에 적용하기 용이하고 제습기의 크기가 커지지 않으면서, 제습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가 주변 공기보다 냉각된 냉풍이어서 제습기를 사용하는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Dehumidifier discharging cold wind}
본 고안은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습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냉각, 순환시켜 냉풍이 토출되도록 하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실내의 공기는 적당한 습도를 유지해야 호흡장애 및 질병을 예방할 수 있고, 건조한 계절이나 장소에서도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실내의 습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면 수분으로 인해 침구류나 의복이 눅눅해지고 곰팡이 등 세균의 번식이 용이하게 되며 사람들이 느끼는 불쾌감도 높아지게 된다.
지나치게 높아진 실내의 습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제습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제습기는 실내의 습한 공기를 흡입하여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및 응축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를 통과시켜 습도를 낮추고, 습도가 낮아진 공기를 실내로 다시 토출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과 바닥면이 개방되고 후면에 공기 흡입구(11)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2)와, 상기 본체(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송풍기(20)와, 상기 송풍기(20)와 공기 흡입구(11) 사이에 배치되어 실내 공기를 제습할 수 있도록 증발기(14)와 응축기(15)로 이루어진 열교환기(13)와, 상기 열교환기(13)를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5)와, 상기 열교환기(13)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공기가 흡입되는 오리피스(16)와, 상기 오리피스(16) 전방에 배치되고 전면 중앙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팬하우징(17)과, 상기 열교환기(13)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14)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 팬(18)과, 상기 드레인 팬(18)에 떨어진 응축수가 모이는 물통(26)과, 상기 본체(10)의 내측 하부를 압축기(25) 장착 영역과 물통(26)의 수납 영역으로 구획하는 베리어(19)와, 상기 본체(10) 전면에 결합되고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도록 전면에 그릴(24)이 형성된 전면패널(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제습기에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되지만 그 후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제습기는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해야 효율적이므로 방문과 창문을 닫은 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응축기를 통과하여 온도가 상승한 공기는 주변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결국 실내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실내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 제습기를 사용하면 실내가 더욱 더워지게 되며, 에어컨을 켠 공간에서 제습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냉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2014. 7. 한국소비자연맹의 조사에 의하면 제습기 품질에 대한 불만은 소음 39.1%(50건), 발열과 훈풍 30.5%(39건), 제습효과 불만 6.3%(8건), 기타 24.3%(31건)으로 조사된 바 있다(2014. 7. 28.자 이데일리 "제습기, 잘 나간다 했더니 … 소비자 불만 쇄도" 제하의 기사).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종래 기술도 개시된 바가 있다. 등록특허 제834191호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2008. 5. 26. 등록)에 의한 제습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 내측에 열전소자(32)를 장착한 것으로, 본체(30) 내측으로 흡입된 공기는 열전소자(32)의 발열부(34)와 맞닿아 발열되는 방열판(35) 사이를 통과하여 가온되고, 가온된 공기는 공기 순환에 의해 본체(30) 하부 측을 통과하여 타측의 흡열부(33) 측으로 흐르게 된다. 열전소자(32)의 흡열부(33)는 공기 중의 열을 흡수하여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으로, 이를 통해 가온된 공기는 냉각되어 하부측 토출홀(37)을 따라 흐른다. 이와 같이 냉각된 공기는 토출홀(37)을 통해 순환배관(36)으로 유입되고, 지그재그로 다수 반복되어 형성되는 배관을 따라 흐르면서 끝단의 토출구(31)로 배출된다.
공개특허 제2014-0019163호 "제습기 및 그 제어방법"(2014. 2. 14. 공개)에 의한 제습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2의 종래기술에 따른 제습기에 제2증발기(41)를 공기가 배출되는 측에 더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제1증발기(40)를 통과하여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응축기(42)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하게 되지만 다시 제2증발기(41)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토출구를 통해 주변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풍이 토출된다.
그런데, 도 3과 같은 제습기는 물통이 없는 등 일반적인 구조의 제습기에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며, 도 4와 같은 제습기는 증발기가 하나 더 추가됨으로써 그만큼 제습기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834191호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2008. 5. 26. 등록) 공개특허 제2014-0019163호 " 제습기 및 그 제어방법"(2014. 2. 14. 공개)
본 고안은 일반적인 구조의 제습기에 적용하기 용이하고 제습기의 크기가 커지지 않으면서 제습기를 사용하는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키지 않도록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는, 전면과 바닥면이 개방되고 후면에 공기 흡입구(11)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2)와, 상기 본체(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송풍기(20)와, 상기 송풍기(20)와 공기 흡입구(11) 사이에 배치되어 실내 공기를 제습할 수 있도록 증발기(14)와 응축기(15)로 이루어진 열교환기(13)와, 상기 열교환기(13)를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5)와, 상기 열교환기(13)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공기가 흡입되는 오리피스(16)와, 상기 오리피스(16) 전방에 배치되고 전면 중앙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팬하우징(17)과, 상기 열교환기(13)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14)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 팬(18)과, 상기 드레인 팬(18)에 떨어진 응축수가 모이는 물통(26)과, 상기 본체(10)의 내측 하부를 압축기(25) 장착 영역과 물통(26)의 수납 영역으로 구획하는 베리어(19)와, 상기 본체(10) 전면에 결합되고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도록 전면에 그릴(24)이 형성된 전면패널(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습기에 있어서, 상기 물통(26)과 연결되어 상기 물통(26)에 저장된 응축수가 흘러들어가는 냉각수통(50)과, 상기 냉각수통(50)의 하부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펠티에 효과에 의하여 냉각수통(50)에 저장된 응축수를 냉각시키는 열전소자(51)와, 상기 열전소자(51)의 하부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방열판(52)과, 상기 냉각수통(50)에 연결되어 냉각된 응축수(이하 '냉각수'라 한다)가 외부로 순환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냉각수 파이프(54)와, 상기 냉각수 파이프(54)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냉각수 파이프(54)가 주변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확장시키는 복수의 냉각판(55)과, 상기 냉각수통(50)에 저장된 냉각수를 냉각수 파이프(54)로 펌핑하도록 설치되는 펌프(56) 및 상기 펌프(56)를 동작시키는 모터(5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26)이 본체(10)에 집어넣어지는 방향의 내측 하단에는 가운데가 빈 원기둥 형상의 끼움관(58)이 물통(26) 내외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끼움관(58)의 내주면 중간에는 '복수의 통수공을 갖는 끼움관 내주면 중간의 걸림턱'(59)이 돌출 설치되며, 상기 끼움관(58)의 물통 외측 단부의 내주면을 따라 '끼움관 물통 외측 단부 내주면의 걸림턱'(60)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끼움관(58)의 물통 외측 단부의 측면에는 통수핀(61)이 돌출 설치되며, 상기 끼움관(58)의 물통 내측 단부에는 그 단부 측면을 덮을 수 있는 고무마개(62)가 형성되고, 상기 고무마개(62)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고무마개(62)에서 끼움관(58)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끼움관(58)의 내주면 중간에는 상기 '복수의 통수공을 갖는 끼움관 내주면 중간의 걸림턱'(59)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봉(63)이 설치되며, 상기 끼움봉(63) 외주면 중간에는 상기 '복수의 통수공을 갖는 끼움관 내주면 중간의 걸림턱'(59)보다 물통(26) 외측으로 설치되는 '끼움봉 외주면 중간의 걸림턱'(64)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끼움봉(63)의 단부에 형성되며 끼움봉(63)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누름판(65)이 설치되고, 상기 '끼움봉 외주면 중간의 걸림턱'(64)과 '끼움봉(63)의 누름판(65)' 사이에는 스프링(66)이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통(50)이 본체(10) 내에 집어넣어진 상기 물통(26)과 접촉하는 측면 하단에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연결관(67)이 냉각수통(50) 내외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67)의 지름은 끼움관(58)의 지름보다 크며 연결관(67) 내주면에 끼움관(58)의 외주면이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67)의 내측에는 원판형의 지지부(68)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68)에는 복수의 통수창(69)이 원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68)의 중앙에는 연결관(67)과 수평으로 돌기(70)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70)의 단부는 연결관(67)의 냉각수통(50) 외측 단부보다 연결관(67) 내측에 머무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수창(69)은 냉각수통(50) 내측으로 밀어지며, 냉각수통(50) 내측으로 밀어지지 않으면 스프링(66)에 의하여 냉각수통(50) 내측에서 지지부(68)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일반적인 구조의 제습기에 적용하기 용이하고 제습기의 크기가 커지지 않으면서, 제습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가 주변 공기보다 냉각된 냉풍이어서 제습기를 사용하는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제습기는 실내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 사용하더라도 실내 온도가 상승하지 않으며, 에어컨을 켠 공간에서 제습기를 사용하더라도 냉방 효율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의 사용상태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작동도,
도 5의 (a)는 본 고안의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 (b)는 본 고안의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의 냉각수 순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의 (a)는 본 고안의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에서 물통의 끼움관이 냉각수통의 연결관에 끼워진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b)는 본 고안의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에서 물통의 끼움관이 냉각수통의 연결관으로 부터 분리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2의 종래기술에 따른 제습기에, 물통(26)과 연결되어 상기 물통(26)에 저장된 응축수가 흘러들어가는 냉각수통(50)과, 상기 냉각수통(50)의 하부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펠티에 효과에 의하여 냉각수통(50)에 저장된 응축수를 냉각시키는 열전소자(51)와, 상기 열전소자(51)의 하부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방열판(52)과, 상기 냉각수통(50)에 연결되어 냉각된 응축수(이하 '냉각수'라 한다)가 외부로 순환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냉각수 파이프(54)와, 상기 냉각수 파이프(54)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냉각수 파이프(54)가 주변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확장시키는 복수의 냉각판(55)과, 상기 냉각수통(50)에 저장된 냉각수를 냉각수 파이프(54)로 펌핑하도록 설치되는 펌프(56) 및 상기 펌프(56)를 동작시키는 모터(57)가 구비된다.
상기 물통(26)의 바닥이 냉각수통(50)의 바닥보다 낮으면 제습 과정이 오래 지속되어 물통(26)에 응축수가 많이 고여야 냉각수통(50)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물통(26)과 냉각수통(50)의 바닥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소자는 일 방향으로 전류를 통과시키면 펠티에 효과에 의해 일 측면은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가 형성되며, 타 측면은 열을 발산하는 발열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51)의 흡열부는 열전소자(51)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열전소자(51)의 흡열부와 접촉하는 상기 냉각수통(50)의 바닥면은 열전도가 우수한 재질,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스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전소자(51)의 발열부는 열전소자(51)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열전소자(51)의 발열부에서 발생한 열은 상기 열전소자(51)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방열판(52)을 통해 방출된다. 상기 방열판(52)이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넓혀 주기 위하여 상기 방열판(52) 하부는 복수의 요홈이 형성된 방열핀(53)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수 파이프(54)에는 냉각수의 순환 경로를 길게 하기 위하여 복수의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판(55)은 냉각된 공기의 토출을 방해하지 않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나란히 냉각수 파이프(54)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펌프(56)는 냉각수통(50)에 저장된 냉각수를 냉각수 파이프(54)로 펌핑하기 위하여 냉각수통(50)과 냉각수 파이프(54)의 연결부에 설치된다.
상기 냉각수 파이프(54)와 냉각판(55)을 순환하는 냉각수에 의하여 냉각된 공기는 송풍기(20)에 의하여 전면 패널(23)로 토출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제습기에서는 냉풍이 토출된다.
이하 본 고안의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의 물통(26)의 구조와 상기 물통(26)과 연결되는 냉각수통(5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26)이 본체(10)에 집어넣어지는 방향의 내측 하단에는 가운데가 빈 원기둥 형상의 끼움관(58)이 물통(26) 내외에 걸쳐 설치된다. 상기 끼움관(58)의 내주면 중간에는 복수의 통수공을 갖는 걸림턱(이하 '복수의 통수공을 갖는 끼움관 내주면 중간의 걸림턱'이라 한다)(59)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끼움관(58)의 물통 외측 단부의 내주면을 따라 걸림턱(이하 '끼움관 물통 외측 단부 내주면의 걸림턱'이라 한다)(60)이 돌출 설치되며, 상기 끼움관(58)의 물통 외측 단부의 측면에는 통수핀(61)이 돌출 설치된다.
상기 끼움관(58)의 물통 내측 단부에는 그 단부 측면을 덮을 수 있는 고무마개(62)가 형성되고, 상기 고무마개(62)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고무마개(62)에서 끼움관(58)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끼움관(58)의 내주면 중간에는 상기 '복수의 통수공을 갖는 끼움관 내주면 중간의 걸림턱'(59)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봉(63)이 설치되며, 상기 끼움봉(63) 외주면 중간에는 상기 '복수의 통수공을 갖는 끼움관 내주면 중간의 걸림턱'(59)보다 물통(26) 외측으로 설치되는 걸림턱(이하 '끼움봉 외주면 중간의 걸림턱'이라고 한다)(64)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끼움봉(63)의 단부에 형성되며 끼움봉(63)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누름판(65)이 설치되고, 상기 '끼움봉 외주면 중간의 걸림턱'(64)과 '끼움봉(63)의 누름판(65)' 사이에는 스프링(66)이 설치된다.
상기 냉각수통(50)이 본체(10) 내에 집어넣어진 상기 물통(26)과 접촉하는 측면 하단에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연결관(67)이 냉각수통(50) 내외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67)의 지름은 끼움관(58)의 지름보다 크고 연결관(67) 내주면에 끼움관(58)의 외주면이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67)의 내측에는 원판형의 지지부(68)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68)에는 복수의 통수창(69)이 원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68)의 중앙에는 연결관(67)과 수평으로 돌기(70)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70)의 단부는 연결관(67)의 냉각수통(50) 외측 단부보다 연결관(67) 내측에 머무르도록 형성된다.
상기 통수창(69)은 냉각수통(50) 내측으로 밀어지며, 냉각수통(50) 내측으로 밀어지지 않으면 스프링(66)에 의하여 냉각수통(50) 내측에서 지지부(68)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끼움관(58) 외주면과 연결관(67) 내주면, '끼움관 물통 외측 단부 내주면의 걸림턱'(60)과 '끼움봉(63)의 누름판(65)', 상기 연결관(67)의 지지부(68)와 통수창(69) 등 서로 맞닿는 경우가 생기는 부분에는 각각 고무 등을 도포하여 누수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습기에 물통(26)을 집어넣으면 물통(26)의 끼움관(58)이 냉각수통(50)의 연결관(67)에 끼어지면서 '연결관(67)의 돌기(70)'가 '끼움봉(63)의 누름판(65)'을 밀게 된다. 그러면 스프링(66)의 작용에 의해 '끼움봉(63)의 누름판(65)'이 밀리면서 '끼움관 물통 외측 단부 내주면의 걸림턱'(60)과 '끼움봉(63)의 누름판(65)'이 서로 이격되고, 고무마개(62)와 끼움관(58)의 물통(26) 내측 단부도 이격되며, 물통(26)의 '끼움관(58)의 통수핀(61)'은 냉각수통(50)의 연결관(67)의 지지부(68)의 통수창(69)을 냉각수통(50) 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습기의 물통(26)을 본체(10)에 집어넣으면 냉각수통(50)의 '연결관(67)의 돌기(70)'가 물통(26)의 '끼움봉(63)의 누름판(65)'을 밀게 되어 '끼움관 물통 외측 단부 내주면의 걸림턱'(60)과 '끼움봉(63)의 누름판(65)', 끼움관(58)과 고무마개(62)는 서로 이격되며, 물통(26)의 '끼움관(58)의 통수핀(61)'은 냉각수통(50)의 '지지부(68)의 통수창(69)'을 밀게 되어 지지부(68)와 통수창(69)이 서로 이격됨으로써 물통(26)에 저장된 응축수가 냉각수통(50)으로 흘러들어가는 통로가 확보된다.
상기 제습기의 본체(10)에서 물통(26)을 빼내면 냉각수통(50)의 연결관(67)에서 물통(26)의 끼움관(58)이 분리되고, 끼움관(58)이 분리되면서 '연결관(67)의 돌기(70)'가 '끼움봉(63)의 누름판(65)'을 밀지 않게 된다. 스프링(66)의 탄성력에 의해 '끼움관 물통 외측 단부 내주면의 걸림턱'(60)과 '끼움봉(63)의 누름판(65)'이 맞닿게 되고 고무마개(62)는 물통(26) 내측에서 끼움관(58)을 막게 된다. 또한 냉각수통(50)도 '지지부(68)의 통수창(69)'이 닫히면서 냉각수가 냉각수통(50)의 내측에서 통수창(69)을 지지부(68) 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제습기의 본체(10)에서 물통(26)을 빼내도 물통(26)이나 냉각수통(50)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다.
일반적인 제습기는 물통에 물이 다 차게 되면 경보음이 나면서 제습기가 자동으로 멈추는데, 본 고안의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에서는 물통(26)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상당량이 냉각수통(50)으로 흘러들어 가므로 물통(26)이 조금 작아지더라도 물통(26)에 응축수가 빨리 차서 제습기가 멈추는 일은 생기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의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는 제습기의 스위치를 켜면 냉각수를 냉각, 순환시키는 부분까지 가동이 되어 냉풍이 토출되도록 형성되지만, 냉각수를 냉각, 순환시키는 부분에 별도의 스위치를 설치하여 빨래를 말릴 때 등 냉풍의 토출이 필요 없을 경우에는 냉풍이 토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물통(26)을 본체(10)에 집어넣으면 물통(26)의 끼움관(58)이 냉각수통(50)의 연결관(67)에 끼워지게 되어 냉각수통(50)의 '연결관(67)의 돌기(70)'가 물통(26)의 '끼움봉(63)의 누름판(65)'을 밀어서 물통(26) 내측으로 밀리게 하고, 이에 따라 물통(26)에 저장되는 응축수는 냉각수통(50)으로 흘러들어가게 되며, 응축수는 수압이 높은 물통(26) 쪽에서 수압이 낮은 냉각수통(50) 쪽으로 물통(26)과 냉각수통(50)의 수압이 같아지게 될 때까지 흘러들어가게 된다.
이어서 열전소자(51)의 작용으로 냉각수통(50)에 저장된 응축수가 냉각되며, 모터(57)가 작동되면 펌프(56)가 작동하여 냉각수통(50)의 냉각수가 냉각수 파이프(54)로 펌핑된다. 냉각수는 냉각수 파이프(54)를 순환하면서 냉각수 파이프(54)와 그 주변공기를 냉각시키며, 냉각수 파이프(54)에는 냉각판(55)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냉각판(55)과 그 주변공기도 따라서 냉각된다. 이때 송풍기(20)가 동작되면 냉각판(55)의 뒷면에서 바람이 발생하고 발생된 바람은 냉각판(55)을 통과하여 냉각판(55)의 앞면으로 송풍되면서 냉각수 파이프(54) 및 냉각판(55)에 의하여 냉각되어 냉풍이 발생하게 된다. 냉각수 파이프(54)를 통과한 냉각수는 다시 냉각수통(50)에서 열전소자(51)에 의하여 냉각되며, 열전소자(51)의 발열부에서 발생한 열은 방열판(52) 및 방열핀(53)을 통하여 방출된다.
10 : 본체 11 : 공기 흡입구
12 : 베이스 13 : 열교환기
14 : 증발기 15 : 응축기
16 : 오리피스 17 : 팬하우징
18 : 드레인 팬 19 : 베리어
20 : 송풍기 21 : 송풍팬
22 : 모터 23 : 전면패널
24 : 그릴 25 : 압축기
26 : 물통
50 : 냉각수통 51 : 열전소자
52 : 방열판 53 : 방열핀
54 : 냉각수 파이프 55 : 냉각판
56 : 펌프 57 : 모터
58 : 끼움관
59 : 복수의 통수공을 갖는 끼움관 내주면 중간의 걸림턱
60 : 끼움관 물통 외측 단부 내주면의 걸림턱
61 : 통수핀 62 : 고무마개
63 : 끼움봉 64 : 끼움봉 외주면 중간의 걸림턱
65 : 누름판 66 : 스프링
67 : 연결관 68 : 지지부
69 : 통수창 70 : 돌기

Claims (2)

  1. 전면과 바닥면이 개방되고 후면에 공기 흡입구(11)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2)와, 상기 본체(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송풍기(20)와, 상기 송풍기(20)와 공기 흡입구(11) 사이에 배치되어 실내 공기를 제습할 수 있도록 증발기(14)와 응축기(15)로 이루어진 열교환기(13)와, 상기 열교환기(13)를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5)와, 상기 열교환기(13)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공기가 흡입되는 오리피스(16)와, 상기 오리피스(16) 전방에 배치되고 전면 중앙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팬하우징(17)과, 상기 열교환기(13)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14)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 팬(18)과, 상기 드레인 팬(18)에 떨어진 응축수가 모이는 물통(26)과, 상기 본체(10)의 내측 하부를 압축기(25) 장착 영역과 물통(26)의 수납 영역으로 구획하는 베리어(19)와, 상기 본체(10) 전면에 결합되고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도록 전면에 그릴(24)이 형성된 전면패널(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습기에 있어서,
    상기 물통(26)과 연결되어 상기 물통(26)에 저장된 응축수가 흘러들어가는 냉각수통(50)과, 상기 냉각수통(50)의 하부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펠티에 효과에 의하여 냉각수통(50)에 저장된 응축수를 냉각시키는 열전소자(51)와, 상기 열전소자(51)의 하부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방열판(52)과, 상기 냉각수통(50)에 연결되어 냉각된 응축수가 외부로 순환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냉각수 파이프(54)와, 상기 냉각수 파이프(54)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냉각수 파이프(54)가 주변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확장시키는 복수의 냉각판(55)과, 상기 냉각수통(50)에 저장된 냉각수를 냉각수 파이프(54)로 펌핑하도록 설치되는 펌프(56) 및 상기 펌프(56)를 동작시키는 모터(5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26)이 본체(10)에 집어넣어지는 방향의 내측 하단에는 가운데가 빈 원기둥 형상의 끼움관(58)이 물통(26) 내외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끼움관(58)의 내주면 중간에는 '복수의 통수공을 갖는 끼움관 내주면 중간의 걸림턱'(59)이 돌출 설치되며, 상기 끼움관(58)의 물통 외측 단부의 내주면을 따라 '끼움관 물통 외측 단부 내주면의 걸림턱'(60)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끼움관(58)의 물통 외측 단부의 측면에는 통수핀(61)이 돌출 설치되며,
    상기 끼움관(58)의 물통 내측 단부에는 그 단부 측면을 덮을 수 있는 고무마개(62)가 형성되고, 상기 고무마개(62)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고무마개(62)에서 끼움관(58)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끼움관(58)의 내주면 중간에는 상기 '복수의 통수공을 갖는 끼움관 내주면 중간의 걸림턱'(59)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봉(63)이 설치되며, 상기 끼움봉(63) 외주면 중간에는 상기 '복수의 통수공을 갖는 끼움관 내주면 중간의 걸림턱'(59)보다 물통(26) 외측으로 설치되는 '끼움봉 외주면 중간의 걸림턱'(64)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끼움봉(63)의 단부에 형성되며 끼움봉(63)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누름판(65)이 설치되고, 상기 '끼움봉 외주면 중간의 걸림턱'(64)과 '끼움봉(63)의 누름판(65)' 사이에는 스프링(66)이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통(50)이 본체(10) 내에 집어넣어진 상기 물통(26)과 접촉하는 측면 하단에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연결관(67)이 냉각수통(50) 내외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67)의 지름은 끼움관(58)의 지름보다 크며 연결관(67) 내주면에 끼움관(58)의 외주면이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67)의 내측에는 원판형의 지지부(68)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68)에는 복수의 통수창(69)이 원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68)의 중앙에는 연결관(67)과 수평으로 돌기(70)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70)의 단부는 연결관(67)의 냉각수통(50) 외측 단부보다 연결관(67) 내측에 머무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수창(69)은 냉각수통(50) 내측으로 밀어지며, 냉각수통(50) 내측으로 밀어지지 않으면 스프링에 의하여 냉각수통(50) 내측에서 지지부(68)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
KR2020140005837U 2014-08-04 2014-08-04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 KR2004750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837U KR200475069Y1 (ko) 2014-08-04 2014-08-04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837U KR200475069Y1 (ko) 2014-08-04 2014-08-04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069Y1 true KR200475069Y1 (ko) 2014-11-05

Family

ID=52289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837U KR200475069Y1 (ko) 2014-08-04 2014-08-04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06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374B1 (ko) * 2015-08-28 2016-03-23 원성준 항온 항습 공기조화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71544A (ko) * 2014-12-11 2016-06-22 코웨이 주식회사 응결수 순환 냉각 방식 제습기
KR20160128615A (ko) * 2015-04-29 2016-11-08 재단법인 동부문화재단 제습기 및 제습 방법
KR20180099253A (ko)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위닉스 제습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5595A (ja) 1999-01-18 2000-07-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20040011127A (ko) * 2002-07-29 2004-02-05 주식회사 웃샘씨이테크 냉각수가 공급되는 공기조화기
KR20040080688A (ko) * 2003-03-13 2004-09-20 (주) 대성에너텍 냉온 소자를 이용한 수냉식 냉온풍시스템
JP5180616B2 (ja) 2007-05-15 2013-04-10 株式会社三機サービス 冷房機等の省エネル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5595A (ja) 1999-01-18 2000-07-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20040011127A (ko) * 2002-07-29 2004-02-05 주식회사 웃샘씨이테크 냉각수가 공급되는 공기조화기
KR20040080688A (ko) * 2003-03-13 2004-09-20 (주) 대성에너텍 냉온 소자를 이용한 수냉식 냉온풍시스템
JP5180616B2 (ja) 2007-05-15 2013-04-10 株式会社三機サービス 冷房機等の省エネルギ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544A (ko) * 2014-12-11 2016-06-22 코웨이 주식회사 응결수 순환 냉각 방식 제습기
KR102378368B1 (ko) * 2014-12-11 2022-03-25 코웨이 주식회사 응결수 순환 냉각 방식 제습기
KR20160128615A (ko) * 2015-04-29 2016-11-08 재단법인 동부문화재단 제습기 및 제습 방법
KR101696813B1 (ko) * 2015-04-29 2017-01-16 재단법인 동부문화재단 제습기 및 제습 방법
KR101605374B1 (ko) * 2015-08-28 2016-03-23 원성준 항온 항습 공기조화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99253A (ko)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위닉스 제습기
WO2018159872A1 (ko) * 2017-02-28 2018-09-07 주식회사 위닉스 제습기
KR101964663B1 (ko) * 2017-02-28 2019-04-03 주식회사 위닉스 제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069Y1 (ko)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
US10006650B2 (en) Energy-saved smart safety cooling/warming wind apparatus for the four seasons
US7191546B2 (en) Low temperature clothes dryer
EP2921794B1 (en) Air conditioner
KR101716089B1 (ko) 습기 및 결로 방지가 가능한 배전함
EP3026168A1 (en) Clothes drying device
KR102014233B1 (ko) 드레스룸용 제습기
JP2018036045A (ja) 外部温度を上昇させないで殺菌機能を含む除湿装置
KR101863544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고효율 고성능 제습기
KR100834191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
KR20100037419A (ko) 제습기구가 결합된 환풍기
KR102378368B1 (ko) 응결수 순환 냉각 방식 제습기
EP3578889B1 (en) Semiconductor cooling or heating air conditioner
KR20180129181A (ko) 빌트인 제습기
JP2002228186A (ja) 一体形空気調和機
JP5512020B2 (ja) 排水蒸発装置
CN208455309U (zh) 一种衣物干燥机
US2970457A (en) Self-contained air conditioning unit
KR100854627B1 (ko) 화장품 냉장고
CN217678220U (zh) 除湿柜
JPH09280591A (ja) 地下用空気調和機
KR101656770B1 (ko) 빌트인 제습기
KR20170097454A (ko) 제습기능을 가지는 에어커튼 장치
CN217519959U (zh) 空调室内机
KR20030023150A (ko) 저온 저습 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