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3150A - 저온 저습 쌀통 - Google Patents

저온 저습 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3150A
KR20030023150A KR1020010056169A KR20010056169A KR20030023150A KR 20030023150 A KR20030023150 A KR 20030023150A KR 1020010056169 A KR1020010056169 A KR 1020010056169A KR 20010056169 A KR20010056169 A KR 20010056169A KR 20030023150 A KR20030023150 A KR 20030023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air
heat
humidity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4627B1 (ko
Inventor
임태규
Original Assignee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6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627B1/ko
Publication of KR20030023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6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을 저장하는 저장케이스 주변에 적정한 온도로 냉각된 공기와 온도차에 의한 습도를 제거할 수 있도록 흡열판과 방열판을 배치하고 공기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기순환팬을 연결하여 저장케이스 주변에 항상 일정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쌀벌레의 발생을 근원적으로 방지하고 쌀에 적정 수분이 유지될 수 있도로 하여 쌀의 맛이 유지될 수 있는 저온 저습 쌀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온 저습 쌀통{low temperature and low moist for rice storage case}
본 발명은 저온 저습 쌀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쌀을 저장하는 저장케이스 주변에 적정한 온도로 냉각된 공기와 온도차에 의한 습도를 제거할 수 있도록 흡열판과 방열판을 배치하고 공기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기순환팬을 연결하여 저장케이스 주변에 항상 일정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저온 저습 쌀통에 관한 것이다.
쌀은 주위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품질을 좌우하게 되는 데 쌀의 최적의 보존온도는 10~15℃, 환경습도60~75%가 적합하다 온도 및 습도를 상기의 조건으로 유지하면 쌀의 수분을 13~15% 정도로 유지하여 쌀의 활성화를 억제고 쌀 자체의 호흡기능을 저하시켜 쌀 자체가 가지고 있는 성분을 소모하는 것을 억제하는 동시에 곰팡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가정집이나 음식점등에서는 쌀의 물질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쌀통내의 온도 및 습도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점에서 종래의 쌀통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술로서 국내 특허출원번호 1999-3920호와 국내 특허 출원번호 1999-26787호 등에는 쌀통에 냉각수단을 장착하고 이 냉각 수단으로 쌀을 저온으로 보존하도록 한 냉동쌀통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먼저, 종래 첫 번째 특허 출원번호 1999-3920호 기술을 살펴보면, 이 기술은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냉각 유니트를 적용하여 쌀을 저온 저장하는 쌀통에 관한 것으로 쌀 저장고의 하부에 형성된 유로(순환경로)를 통하여 순환공기를 흡입하고 냉각유니트에서 순환공기를 냉각하여 제습기와 축냉기를 걷혀 송기파이프를 통해 쌀 저장고의 상단부로 냉기를 보내어 쌀을 냉각시켜 저온 보관을 할 수 있게 한기술이다.
이 기술은 열전냉각기로 냉각된 공기가 쌀의 내부를 경유하여 쌀을 냉각시키는 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냉각방법은 쌀에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제습기를 통하여 제습된 공기라도 쌀을 투입한 직후에는 특히 고온 다습한 외기가 유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습도가 높은 쌀 저장고에 제습된 저온의 공기가 유입되면 쌀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쌀통 내부로 냉각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서는 고성능 팬 모터가 요구되며 송풍에 보다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어 제품의 에너지 효율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종래 두 번째 특허 출원번호 1999-26787호 기술을 살펴보면, 이 기술은 쌀통 내부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열전소자가 설치되고 쌀통 내부의 일측에 쌀통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기와 온도 설정기 및 온도표시기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온도감지기와 온도설정기의 입력단이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제어부의 출력단이 열전소자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열전소자 구동부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기술은 열전냉각기를 부착하여 쌀을 냉각하고자 하는 방법에 관련된 기술로서, 쌀통의 벽면에 열전냉각기를 부착하면 냉각기의 표면온도가 낮기 때문에 결로 문제가 발생하며 또한 열전냉각기가 부착된 면에서 전도에 의한 열 전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저장되어 있는 쌀을 골고루 냉각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쌀을 저장하는 저장케이스 주변에 적정한 온도로 냉각된 공기와 온도차에 의한 습도를 제거할 수 있도록 흡열판과 방열판을 배치하고 공기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기순환팬을 연결하여 저장케이스 주변에 항상 일정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저습쌀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저습 쌀통의 개단면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 단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저습쌀통의 전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외부하우징2;전면도어
3;공기흡입구4;저장케이스
5;쌀계량기 6;쌀받이
7;손잡이8;이동바
9;뚜껑10;슬라이드잭
11;가스켓15;공기순환실
20;제습냉각실21;흡열판
22;응축수물받이23;열전달부재
25;공기순환팬26;방열판
27;증발팬28;증발지
29;증발수물받이30;외부공기유입실
31;단열판32;물배관호스
41;온도센서42;습도센서
43;전자제어기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저습쌀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저습 쌀통의 개단면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 단면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저습쌀통의 전기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쌀통의 쌀이 일정수분을 함유하면서 저온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일정두께로 외부를 둘러싸는 외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1)의 전면에 내부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연결된 전면도어(2)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외부하우징(1)은 상기 전면도어(2)의 아래에 외부로부터 내부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일정간격으로 배치 형성된 공기흡입구(3)와, 상기 전면도어(2)를 열어 쌀을 일정 높이로 수납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상단에 뚜껑(9)이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저장케이스(4)가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저장케이스(4)는 하단에 쌀을 일정양으로 분배하여 아래로 분사시키는 쌀계량기(5)와, 상기 저장케이스(4)의 하단에 내부의 쌀을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전후진하여 착탈시킬 수 있는 쌀받이(6)와, 상기 저장케이스(4)가 뚜껑(9)을 열어 쌀을 넣기 위해 외부하우징(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전면 상부에 사용자가 전면측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손잡이(7)가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저장케이스(4)는 좌우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외장케이스(1)로부터 전후진될 수 있도록 안착되는 이동바(8)와, 상기 이동바(8)를 안착시켜 전후진시킬 수 있도로 외부하우징(1)의 내측벽면에 연결되는 슬라이드랙(10)이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전면도어(2)는 보관되는 쌀의 보냉을 위해 일정한 두께의 단열재로 사용되는 발포물질로 채워져 있으며, 냉기의 밀폐를 위해 마그네틱 플라스틱이 삽입된 고무로 된 재질의 가스켓(11)이 내측면 테두리에 설치되어 외부하우징(1)의 전면과 일정한 힘으로 접착되어 고내의 냉기유출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쌀통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쌀을 수납하거나 쌀을 꺼내기 위해 전면도어(2)를 열게 되면 사용자는 쌀계량기(5)를 통해 원하는 만큼의 쌀의 양을 받아내기 위해 조작하게 되면 쌀계량기(5)의 내부에 일정한 쌀의 양을 저장케이스의 입구를 열어 쌀이 쌀받이(6)로 떨어져 채워지고 다시 쌀계량기(5) 내측에 연결된 장치(미도시)가 저장케이스(4)의 입구를 막아 쌀이 더 이상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쌀받이(6)에는 일정량의 쌀이 받아져 있도록 한 후 사용자는 쌀받이(6)를 조작하여 사용자 자신쪽으로 끌어당겨 쌀받이(6)가 외부하우징(1)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쌀이 수납된 쌀받이(6)를 잡아 당겨 사용하게 되는데 쌀이 저장케이스(4)에 없는 경우 투시창(4a)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전면에 연결된 손잡이(7)를 끌어당겨 저장케이스(4)의 이동바(8)가 외부하우징(1)의 슬라이드랙(10)으로부터 미끄러져 전면측으로 빠질 수 있도록 한 후 상부 상면에 연결된 뚜껑(9)을 열고 쌀을 수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쌀통은 외부하우징(1) 저면 하단에 형성된 공기흡입구(3)로 유입된 공기가 순환하여 후방으로 유출되어 습도 및 온도가 저감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전면도어(2)는 내측 벽면에 고무재질의 가스켓(11)이 부착되어 있어 외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내부의 저온 공기가 외부로 흘러나가지 못하도록 밀폐시키는 것이다.
한편, 외부하우징(1)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유입되어 냉각된 후 저장케이스(4) 후면부터 전반적으로 순환하여 저온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첨부도면 도2 또는 도 3에 서 보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진다.
본 발명은 도 2 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1)의 내측에는 상부에 공기순환실(15)을 두며, 후면 중앙에는 제습냉각실(20)이 형성되고, 상기 제습냉각실(20)의 아래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외부공기유입실(30)이 나누어 형성되어 있다.
공기순환실(15)은 외부하우징(1)의 내측 상단에는 쌀을 수납하는 저장케이스(4)와, 상기 저장케이스(4) 하단에 쌀을 일정한 양으로 분배하여 아래로 분산시키는 쌀계량기(5)와, 상기 쌀계량기(5)에서 분배한 쌀을 담아 둘 수 있는 쌀받이(6)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습냉각실(20)은 상기 외부하우징(1)의 후면 중앙에서부터 절곡 형성되어 아래로 꺽여 후면측으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전면으로 외부의 열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단열판(31)이 연결되고, 이 단열판(31)에는 상부 내측에 순환하는 습기를 모을 수 있도록 고정연결시킨 응축수물받이(22)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응축수물받이(22)는 내측 상부표면에서부터 단열판(31)까지 관통하여 긴밀하게 결합한 후 아래에서부터 전달되는 냉각공기를 유입시키고 내측의 열을 흡수할 수 있는 흡열판(21)이 고정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응축수물받이(22)는 내측 상부 표면에 상기 흡열판(21)에 전달된 냉기를 공기순환실(15)에 전달할 수 있도록 측부에 공기를 유도하는 공기순환팬(25)이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흡열판(21)는 저면에 일체 연결되어 상하로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열전반도체(100)의 양면에 접촉과 열전달을 원활히 하기 위해 열전수지(thermal grease)나 열전패드(thermal pad)로 이루어진 열전달부재(23)를 끼워 방열판(26)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열전달부재(23)는 방열판(26)과의 긴밀한 연결이 일반적으로 스크류와 단열부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열전달부재(23)와 방열판(26)사이의 열전달을 최소화시키고 다양한 체결방식이 적용가능한 것으로 한다.
상기 열전반도체(100)는 하부에 열전달부재(23) 사이로 다수의 핀이 배치되어 외부의 열이 각 핀의 표면에 전달되면서 동시에 방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열냉각핀(26)이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방열냉각핀(26)은 고온과 습도가 외부로 방출되어 냉각될 수 있도록 하단에 증발팬(2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습냉각실(20)의 바닥에는 응축수물받이(22)에 끼워진 상태에서 단열판(31)을 관통하여 길게 연결된 물배관호스(32)와, 상기 물배관호스(32)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아 둘 수 있는 증발수물받이(29)와, 상기 증발수물받이(29) 내에 연결되어 담겨진 물이 자연증발될 수 있도록 하는 증발지(28)가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2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1)의 제습냉각실(20)에 설치된 흡열판(21)이 아래의 방열냉각핀(26)으로부터 냉각된 공기가 전달되므로 이 냉기를 측부에 연결된 공기순환팬(25)에 의해 냉기의 흐름이 유도되어 저장케이스(4)의 후면의 아래에서부터 위로 상승하여 저장케이스(4) 내부의 고온을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습냉각실(20)은 흡열판(21)을 중앙에 끼운 응축수물받이(22)가 저장케이스(4)의 내부 고온공기와 흡열판(21)의 냉각된 표면과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하는 습기 및 물기를 증발수물받이(29)에 배출할 수 있도록 물배관호스(32)를 응축수물받이(22)에 한쪽을 끼워 고정시킨 후 아래로는 단열판(31)을 관통시켜 아래 끝부분이 증발수물받이(29)까지 길게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증발수물받이(29)는 물배관호스(32)로부터 떨어진 물을 내부에 연결된 증발지(28)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응축수가 스며들면서 증발된다. 이 응축수는 증발지(28) 위에 설치된 증발팬(27)에 의해 강제로 증발된다.
또한, 증발팬(27)은 공기유동을 따라 증발지(28)에서 증발된 응축수가 열전반도체(100)에 의해 데워진 방열냉각핀(26)에 부딪치면서 공기순환팬(25)의 공기의흐름에 의해 증발되어 방열냉각핀(26)의 냉각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방열냉각핀(26)은 흡열판(21)에 냉각된 냉기를 흡열판(21)에 전달하고 이 흡열판(21)은 공기순환팬(25)에 의해 저장케이스(4)로 냉기를 전달하게 되며 흡열판(21)으로부터 모여진 습기 및 물기를 응축수물받이(22)로 받아 아래의 증발수물받이(29)에 받은 후 이 증발수물받이(29)에 받아진 응축수를 증발지(28)로 증발시켜 방열냉각핀(26)이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반복하게 됨에 따라 저장케이스(4)의 온도는 적절한 온도가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제습냉각실(20)은 저장케이스(4)의 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첨부도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순환실(15)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센서(41)와, 공기순환실(15)의 습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습도센서(42)와, 상기 온도센서(41)와 습도센서(42)의 출력신호로부터 내부에 설정된 프로그램을 통해 저장케이스(4) 내의 온도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호 제어하는 전자제어기(43)와, 상기 전자제어기(4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신호에 따라 공기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팬(25)와 증발팬(27)이 병렬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장케이스(4)에 일정 온도와 습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담겨진 쌀의 상태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먼저 온도센서(41)와 습도센서(42)가 공기순환실(15)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한 후 감지한 온도값과 습도값을 전자제어기(43)로 제어하게 된다.
이때 전자제어기(43)는 온도센서(41)와 습도센서(42)에서 출력하는 현재 공기순환실(15)의 온도 및 습도의 정도를 판단한 후 내부에 설정된 온도(10~15℃) 및 습도(60~75%)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기순환팬(25)과 증발팬(27) 및 열전반도체(100)을 구동시켜 제습냉각실(20)의 습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온도가 일정온도로 냉각 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은 쌀을 저장하는 저장케이스 주변에 적정한 온도로 냉각된 공기와 온도차에 의한 습도를 제거할 수 있도록 흡열판과 방열판을 배치하고 공기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기순환팬을 연결하여 저장케이스 주변에 항상 일정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쌀벌레의 발생을 근원적으로 방지하고 쌀에 적정 수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쌀의 맛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저장케이스(4)에 쌀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전면에 개폐가 가능한 전면도어(2)와, 외부를 둘러 싸는 외부하우징(1)과, 쌀을 일정 수량으로 꺼낼 수 있도록 조작하는 쌀계량기(5)와, 쌀을 받아 꺼낼 수 있는 쌀받이(6)로 이루어진 쌀통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1)과 내측의 저장케이스(4) 사이에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 공기순환실(15)과, 상기 공기순환실(15) 하단에 냉각된 공기를 불러 넣을 수 있도록 하며 온도차에 의한 습기나 물기를 걸러 낼 수 있도록 하는 제습냉각실(20)과, 상기 제습냉각실(20)의 하단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외부공기유입실(30)이 배치되어 이루어진 저온 저습 쌀통.
  2. 제 1항에 있어서, 제습냉각실(20)은 상기 외부하우징(1)의 후면 중앙에 긴밀하게 연결되는 단열판(31)과, 상부 내측에 순환하는 습기를 모을 수 있도록 고정연결시킨 응축수물받이(22)와, 상기 응축수물받이(22)의 내측 상부표면에서부터 단열판(31)까지 관통하여 긴밀하게 결합한 후 내측의 열을 흡수할 수 있는 흡열판(21)와, 상기 응축수물받이(22) 내측 상부 표면에 상기 흡열판(21)과의 열교환에 의해 발생된 냉기를 공기순환실(15)에 전달할 수 있도록 측부에 공기를 유도하는 공기순환팬(25)과, 상기 흡열판(21) 저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하로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양면에 열전수지와 열전패드로 이루어진 열전달부재(23) 사이에 끼워져 연결되는 열전반도체(100)를 갖는 저온 저습 쌀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냉각실(20)에는 단열판 저면에 연결되어 하부에 다수의 핀이 배치되어 외부의 열이 각 핀의 표면에 전달되면서 동시에 방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열냉각핀(26)과, 상기 제습냉각실(20)의 바닥에 응축수물받이(22)에 끼워진 상태에서 단열판(31)을 관통하여 길게 연결된 물배관호스(32)와, 상기 물배관호스(32)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아 둘 수 있는 증발수물받이(29)와, 상기 증발수물받이(29) 내에 연결되어 담겨진 물이 자연증발될 수 있도록 하는 증발지(28)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저온 저습 쌀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1)은 공기순환실(15)과 제습냉각실(20)을 경계로 연결되어 제습냉각실(20)의 고온이나 습도가 공기순환실(15)에 전달되지 않도록
    외부하우징(1) 상부에서부터 후면 아래로 이어지는 끝단부에서부터 저면 후측 끝단부까지 절곡되어 길게 연결되는 단열판(31)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저온 저습 쌀통.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냉각실(20)은 상기 방열냉각핀(26)이 고온과 습도가 외부로 방출되어 냉각될 수 있도록 하단에 증발팬(27)이 더 연결되어 이루어진 저온 저습 쌀통.
KR10-2001-0056169A 2001-09-12 2001-09-12 저온 저습 쌀통 KR100424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169A KR100424627B1 (ko) 2001-09-12 2001-09-12 저온 저습 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169A KR100424627B1 (ko) 2001-09-12 2001-09-12 저온 저습 쌀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150A true KR20030023150A (ko) 2003-03-19
KR100424627B1 KR100424627B1 (ko) 2004-03-24

Family

ID=27723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169A KR100424627B1 (ko) 2001-09-12 2001-09-12 저온 저습 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6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047A (ko) * 2016-09-27 2018-04-04 주식회사 우성티앤유 간접제습방식을 이용한 제습장치
CN110057154A (zh) * 2019-05-08 2019-07-26 中山东菱威力电器有限公司 一种米柜制冷保温系统
CN117029374A (zh) * 2023-10-09 2023-11-10 江苏宝信空调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粮库粮仓自动冷却降温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419B1 (ko) * 2005-03-28 2007-05-29 최정민 쌀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955A (ko) * 1994-05-09 1995-12-18 김가산 열전판을 이용한 냉장쌀통
KR970000151A (ko) * 1995-06-30 1997-01-21 배순훈 쌀통의 환기장치
KR19990035771U (ko) * 1998-02-09 1999-09-15 윤종용 열전반도체소자를 사용하는 쌀통
KR19990038585U (ko) * 1998-03-24 1999-10-25 신정웅 냉장기능을 갖는 쌀통구조
KR20010027793A (ko) * 1999-09-15 2001-04-06 김영섭 온도자동조절 쌀통 및 그 제어방법
KR200195601Y1 (ko) * 2000-02-22 2000-09-01 합명회사신흥기업사 정온 저장쌀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047A (ko) * 2016-09-27 2018-04-04 주식회사 우성티앤유 간접제습방식을 이용한 제습장치
CN110057154A (zh) * 2019-05-08 2019-07-26 中山东菱威力电器有限公司 一种米柜制冷保温系统
CN117029374A (zh) * 2023-10-09 2023-11-10 江苏宝信空调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粮库粮仓自动冷却降温设备
CN117029374B (zh) * 2023-10-09 2023-12-15 江苏宝信空调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粮库粮仓自动冷却降温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4627B1 (ko) 2004-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8224A (en) Beverage dispenser with a dehumidifier utilizing a thermoelectric cooler
KR101200325B1 (ko) 폐열을 활용한 저에너지형 건조장치
KR102427466B1 (ko) 차량,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용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0424627B1 (ko) 저온 저습 쌀통
US11918153B2 (en) Food transportation and humidity control elements
KR20160002607A (ko) 냉각/제습부가 외부로 노출된 쿨러 겸용 위생제습기
US11604027B2 (en) Modular humidity control and heat preservation system
JP2000346524A (ja) 貯蔵庫
KR20180129181A (ko) 빌트인 제습기
WO1998034075A1 (fr) Appareil d'entreposage frigorifique
JP2014016120A (ja) 冷蔵庫
JP2011163610A (ja) 保冷米びつ装置
KR200381151Y1 (ko) 기능성 신발장
KR101221586B1 (ko) 폐열을 활용한 저에너지형 건조방법
JP3027730B2 (ja) 冷蔵装置
JP3911084B2 (ja) 保冷米びつ
CN220236038U (zh) 一种养护储存盒
JPH09243234A (ja) 冷却貯蔵庫における除霜排水蒸発装置
KR100525502B1 (ko) 쇼케이스
WO1998034076A1 (fr) Appareil frigorifique
CN220931453U (zh) 冷藏设备
CN217275043U (zh) 一种储物柜
CN218358374U (zh) 一种除湿模块及储物设备
KR200294800Y1 (ko) 냉장고의 응축수 제거구조
CN220200137U (zh) 用于储物柜的除湿装置、储物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