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756B1 -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756B1
KR101524756B1 KR1020140008830A KR20140008830A KR101524756B1 KR 101524756 B1 KR101524756 B1 KR 101524756B1 KR 1020140008830 A KR1020140008830 A KR 1020140008830A KR 20140008830 A KR20140008830 A KR 20140008830A KR 101524756 B1 KR101524756 B1 KR 101524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uide
lid
cap
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웅
Original Assignee
박성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웅 filed Critical 박성웅
Priority to KR1020140008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11/00Hand or desk devices of the office or personal type for applying liquid, other than ink, by contact to surfaces, e.g. for applying adhesive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도포물의 테두리 부위를 따라 접착물질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도포할 수 있으면서도 간단한 방법으로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에 관한 것으로, 풀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풀의 캡으로서, 내부에서 접착물질이 상하로 이동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가이드부가 삽입 및 인출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수용되고 가이드부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는, 삽입부에 형성되는 걸림턱부에 걸림되어 본체부와 덮개부의 밀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걸림돌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는, 걸림부재를 변형하여 삽입부와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버튼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를 따라 가이드부가 상측으로 인출되면서 덮개부가 본체부로부터 이격되면 피도포물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딩공간이 형성되는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을 제공한다. 따라서, 풀의 캡을 제거하지 않고 접착물질의 도포가 가능하고 간편하게 개폐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GLUE CAP WITH PAPER SLIDING SPACE}
본 발명은 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이와 같은 판상의 대상물의 테두리 면을 따라 풀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도포할 수 있으면서도 간단한 방법으로 슬라이딩 공간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 사용되는 바타입의 풀은 바(bar) 형상의 고형 또는 겔(Gel) 상태의 풀이 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스크류 방식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캡 형상의 풀의 캡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풀의 캡은 풀의 보관 상태에서 외부 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수분이 증발하는 형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풀의 보관상태에서는 본체의 상부를 폐쇄하고 풀의 사용 상태에서는 풀의 본체로부터 탈거하여 풀을 본체의 상측으로 인출한 다음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일반적인 풀은, 종이나 판재와 같은 피도포물의 넓은 면적의 중심부 측에 접착물질을 도포하는 데는 문제가 없으나, 테두리 부위를 접착하는 데 있어서 받침 부위와의 경계선에만 도포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즉, 피도포물이 평평한 형상의 받침 부위에 놓여진 상태에서 테두리만에 접착물질을 도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고, 받침 부위에 접착물질이 묻는 현상은 불가피하였다. 또한, 다수의 피도포물에 도포하는 과정에서 다른 피도포물의 이면에 접착물질이 묻는 현상도 발생하였다. 이로 인하여, 받침 부위나 다수의 피도포물의 이면이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현상을 피하기 위해 테두리 부위에 제대로 접착물질을 도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때, 원하는 접착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체의 상측에서만 개폐 가능한 풀의 캡의 구조를 개선하여 도포 가이드가 가능한 부위를 형성하고, 피도포물의 테두리부위만 정확하게 접착물질의 도포가 가능하면서도 사용이 간편한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풀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풀의 캡으로서, 내부에서 접착물질이 상하로 이동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가이드부가 삽입 및 인출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수용되고 가이드부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는, 삽입부에 형성되는 걸림턱부에 걸림되어 본체부와 덮개부의 밀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걸림돌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는, 걸림부재를 변형하여 삽입부와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버튼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를 따라 가이드부가 상측으로 인출되면서 덮개부가 본체부로부터 이격되면 피도포물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딩공간이 형성되는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을 제공한다. 따라서, 풀의 캡을 제거하지 않고 접착물질의 도포가 가능하고 간편하게 개폐가 가능하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단측이 가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버튼부는, 하단측이 삽입부에 연결되어 전후방으로 탄성변형되면서 가이드부를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후면이 상방 및 측방에서 절개되어 버튼부를 이루도록 개방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삽입부의 내벽에서 개방슬릿의 상측에 인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는, 외면에 형성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를 구비하는 것을 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본체부의 상단측이 삽입되는 고정홈부와, 판상의 피도포물의 면이 밀착되도록 저면에 형성된 지지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부는, 본체부와의 연결부위에서 고정홈부에 본체부 상단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하측으로 형성되는 단차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가이드부의 이동시 걸림돌부가 수용될 수 있는 가이드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측면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스토퍼부가 삽입되어 이동이 가이드되며 가이드부의 상방으로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슬릿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풀의 캡은, 본체의 상부에 개폐가능하면서도, 덮개부만 소정 간격 인출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피도포물의 테두리 부위만 정확하게 접착물질의 도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덮개부의 개방과 폐쇄가 간편하고 로킹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상의 신뢰성과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풀의 캡을 간단한 구조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풀의 캡만의 교체가 가능하여 경제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덮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5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도 5의 덮개부를 하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5의 덮개부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0은 도 5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을 후방측에서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을 후방측에서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4의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풀의 캡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풀의 본체에 대해 캡이 배치되는 부위를 상측으로 정의하고 후술될 바와 같이 삽입부에 대향되어 덮개부에 의하여 슬라이딩공간이 형성되는 측을 정면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풀의 캡은 풀의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풀 전체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이러한 형상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후술될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풀의 캡이 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러한 풀의 캡은 평면상 사각, 다각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풀의 캡은 대략 캡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풀의 캡 전체가 풀의 본체로부터 탈거가 가능하다.
상기 풀의 본체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접착물질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접착물질은 풀의 캡이 탈거되면 상측으로 인출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은 기본적으로, 풀의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는 중공의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서 평판 형태로 배치되어 가이드부에 의하여 본체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부는 본체부에 형성되는 삽입부측에 가이드부가 삽입 및 인출되면서 소정의 걸림구조를 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및 고정의 해제가 가능하며, 탄성부재를 통하여 인출된 상태에서 종이와 같은 판상의 피도포물에 대해 덮개부의 저면이 밀착된 상태로 접착물질의 도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상기한 구조에 의해, 종래기술과 같이 본체부를 포함하는 풀의 캡 전체가 풀의 본체로부터 탈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덮개부만이 본체부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여 본체부와 덮개부 사이에 피도포물의 면이 도포되면서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딩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가 제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기본개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캡은 측면의 외면을 이루며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110) 및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상측을 개폐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대략 평판 형상의 덮개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부(120)는 후술할 바와 같이 상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소정의 슬라이딩공간을 형성하거나 폐쇄하거나 그 갭을 가변할 수 있는 구조와 함께 배치된다.
상기 덮개부(120)의 후방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가이드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130)는 본체부(110)의 후방측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는 공간을 이루는 삽입부(140)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부(140)를 따라 가이드부(130)가 인입출되면서 덮개부(1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부(1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캡의 본체부(110)는 접착물질이 수용되고 인출되는 공간과 가이드부(130)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삽입부(140)로 구분된다.
상기 삽입부(140)는 풀의 캡의 후방측의 부위에서 연장되거나 일체로서 형성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30)가 하방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140)와 가이드부(130)는 본체부(110)와 덮개부(120) 상호간을 이격시키거나 밀착되도록 작동하는 인입출장치로서 작동되고, 추가적으로 본체부(110)의 상측과 이에 대응되는 덮개부(120)에는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걸림장치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부(130)는 덮개부(120)의 후방측 저면에서 연장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제작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일체로서 사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부(130)의 인입출장치로서의 배치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존의 풀의 본체에 적용될 수 있도록 덮개부(120)가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부(130)가 연장되는 부위는 후방측으로 더욱 연장되어 풀의 인출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130)는 판재의 후방측으로 연장된 부위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면서 그 일부에서 걸림부재(17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170)는 가이드부(130)의 최소한 일부가 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삽입부(140)의 소정의 부위에 걸림될 수 있는 돌기를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부재(170)가 후방측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130)의 일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재(170)에는 바람직하게는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부(도 2의 171)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부는 후술될 바와 같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소정의 걸림턱에 걸림되어 가이드부(130)의 위치를 고정하면 족하므로 홈 형태의 방식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가이드부(130)가 삽입부(140)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걸림부재(170)는 내측 즉, 전방측으로 압력을 받으면서 가이드부(130)와 걸림부재(170)의 연결부위에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삽입부(140)에 형성되는 소정의 걸림구조에서 걸림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가이드부(130)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이용자는 버튼부(150)를 조작하여 걸림부재(170)의 일부를 탄성변형시키면서 걸림 상태를 해제하여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통하여 가이드부(130)를 인출시키도록 한다.
상기 버튼부(150)는 삽입부(140)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소정의 조작장치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삽입부(140)의 후방 외면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에서 하단측이 삽입부(140)에 연결되고 상측 전후방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전방측으로 이용자가 압력을 제공함에 따라 걸림부재(170)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기능한다.
다만, 상기 버튼부(150)는 소정의 홀 형태로 이루어지고 걸림부재(170)의 일부가 상기 홀로부터 돌출되어 이용자가 직접 걸림부재(170)를 탄성변형시키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버튼부(150)의 외면에는 조작감의 향상을 위하여 후방측으로 돌출되거나 요철을 형성하는 마찰부(151)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된 제1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30)의 삽입부(140)로부터의 인출시 자동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부(130)와 삽입부(140)에서 상하방향으로 탄성부재(210)가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210)는 가이드부(130)의 삽입시 압축되면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자동적인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2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탄성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라면 다양한 형태와 재질의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210)는 삽입부(140) 또는 가이드부(130)에 함께 사출성형된 부분으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탄성부재(210)는, 가이드부(130)의 인출시 힘을 제공하는 외에 후술될 바와 같이 소정의 슬라이딩공간(121)에 종이와 같은 판상 피도포물의 삽입시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덮개부(120)의 상하 위치를 조정가능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소정의 개구를 구비하며, 이러한 개구를 통하여 풀이 인입출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따라서, 본체부(110)의 측벽인 개구를 감싸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삽입부(140)와 연결되며, 이러한 삽입부의 형상은 대략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부(130)는 삽입부(140)의 중공의 내부에 삽입되되 내부에 탄성부재(21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결합 및 제조상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상기 가이드부(130)는 하방 및 전방이 개방된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부(130)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된 걸림돌부(171)가 형성되며, 이러한 걸림돌부(171)의 전후방으로의 움직임을 위하여 걸림부재(170)가 가이드부(130)에 대해 탄성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재(170)는 가이드부(130)의 후방측의 면의 일부가 절개되고, 상측에서 가이드부(130)에 연결된 형태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돌부(171)는 삽입부(140) 측에 형성되는 걸림턱부(152)에 걸림되며, 이러한 걸림돌부(171)와 걸림턱부(152) 사이의 걸림해제는 버튼부(15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버튼부(150)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삽입부(140)의 후방측의 면이 절개된 형태로서 하측에서 삽입부(140)와 연결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측으로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걸림부재(170)에 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이용자가 버튼부(150) 또는 마찰부(151)에 전방측으로 압력을 제공하면, 버튼부(150)의 정면에서 걸림부재(170)의 후면 또는 걸림돌부(171)측에 압력을 전달하고 이에 따라 걸림부재(170)가 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걸림돌부(171)와 걸림턱부(152)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덮개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단측의 형상에 대응되어 상방으로 형성되는 링 형상의 고정홈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가이드부(130)의 삽입부(140)에의 삽입 과정에서 고정홈부(180)가 본체부(110)의 상단측에 밀착됨으로써 풀의 보관상태에서 외부의 이물이 유입되거나 수분이 유출입되는 형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링의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고정홈부(180)의 내주측은 판상 피도포물의 면이 원활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요철이 없는 평판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지지면부(1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면부(122)에 대향된 덮개부(120)의 상측은 중심측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요홈부(123)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요홈부(123)는 이용자에 의한 하방으로의 삽입동작시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210)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삽입부(140)의 내부와 가이드부(130)의 내부에는 이를 고정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가이드부(130)의 상단측에는 상측지지부(132)가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삽입부(140)의 저부에서는 하측지지부(142)가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각각 스프링의 양단측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10)의 내벽의 하부에는 풀의 본체와의 결합을 고려하여 돌출 또는 함몰되어 링 형태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에서 본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덮개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후방측에 삽입부(140)가 형성되며, 이러한 삽입부(140)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부(130)가 인입출될 수 있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측에는 삽입구(141)가 형성된다.
이때, 삽입부(140) 내부에서의 가이드부(130)의 이동시 걸림돌부(171)에 의한 과도한 마찰력으로 인하여 이동에 장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하여 걸림돌부(171)의 이동경로에 해당되는 부위에서 후방측으로 함몰된 가이드홈(14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홈(143)은 대략 걸림턱부(152) 부위에서 삽입구(141) 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143)의 상단측은 단턱 형태로 이루어져 가이드부의 상방으로의 이탈을 제한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상기된 상방으로의 덮개부(120)의 이탈을 제한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념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삽입부(140)의 측방에는 상하방향으로 절개되거나 내벽에서 외측으로 함몰된 형태로서 슬릿부(19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슬릿부(190)에는 가이드부(130)의 측방으로 돌출된 스토퍼부(191)가 삽입되어 가이드부(130)의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상측으로의 가동거리를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슬릿부(190)와 스토퍼부(191)는 삽입부(140)와 가이드부(130)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어느 일측으로만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버튼부(150) 및 걸림부재(170)는 각각 삽입부(140)와 가이드부(130)에 별도의 부재로서 결합되어 형성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으나, 제조공정상의 단순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의 일부 면이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버튼부(150)는 삽입부(140)에서 하측으로 연결되고 상측 및 양측을 따라 소정의 개방슬릿(참조번호 미표시)이 형성되며, 걸림부재(170)는 가이드부(130)의 상측으로 연결되고 양측을 따라 개방슬릿(참조번호 미표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삽입부의 내벽에서 버튼부의 상측에 인접될 수 있는데, 즉 버튼부(150)를 감싸는 개방슬릿의 상측의 내벽에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덮개부(120)의 하측에는 지지면부(122)을 감싸는 형태로서 상방으로 함몰된 고정홈부(180)가 형성되어 본체부(110)의 상단측이 삽입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때, 덮개부(120)에서 고정홈부(180)에 의하여 외벽과의 사이에 단차가 발생할 수 있고, 본체부(110)와 삽입부(140)와의 연결부위에서 작동에 장애가 될 우려가 존재한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삽입부(140)의 본체부(110)의 연결된 부위의 상측에서는 삽입부(140)의 일부가 하방으로 단차부(14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144)는 고정홈부(180)의 깊이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상기 삽입부(140)가 배치되는 부위에서 고정홈부(180)의 일부가 단절되어 지지면부(122)가 연장된 형태로 덮개부(120)의 저면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단차부(144)는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1110) 및 상기 본체부(1110)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상측을 개폐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대략 평판 형상의 덮개부(1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부(1120)는 상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소정의 슬라이딩공간을 형성하거나 폐쇄하거나 그 갭을 가변할 수 있는 구조와 함께 배치된다. 여기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의 실시예에서 걸림부재(1170)는 측면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1130)의 하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한쌍이 배치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사항과 달리 상기 걸림부재(1170)는 경우에 따라 가이드부(1130)와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걸림부재(1170)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부가 형성되며, 이러한 걸림돌부는 후술될 바와 같이 인입 및 인출 상태를 고려하여 두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삽입부(1140)에는 가이드부(113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1141)가 형성되고, 이러한 삽입부(1140)는 가이드부(113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부(1130)의 걸림부재(1170)에 대응하여 삽입구(1141)의 후면 또는 측면에는 걸림돌부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홀부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홀부는 걸림돌부의 위치에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부(1130)가 삽입구(1141)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걸림부재(1170)는 내측방으로 힘을 받으면서 가이드부(1130)와 걸림부재(1170)의 연결부위가 탄성변형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걸림돌부가 홀부에 걸림된다. 반대로 가이드부(1130)가 삽입구(1141)에서 인출되는 과정에서 이용자는 홀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돌부의 일부를 눌러 탄성변형시키면서 걸림상태를 해제하고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통하여 가이드부(1130)를 인출시키되 걸림돌부의 일부와 홀부의 일부가 상호간에 걸림될 수 있도록 하여 인출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130)의 삽입부(1140)로부터의 인출시 자동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부(1130)의 저면과 삽입부(1140)의 저면 사이에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210)가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탄성부재(1210)는 가이드부(1130)의 인입시 압축변형되면서 탄성력을 저장하고 인출시 복원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여 자동적인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덮개부(1120)의 하면과 본체부(1110)의 상면에는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로킹수단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부(1110)의 상면에는 고정돌부(11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에서 본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측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부(111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소정의 개구를 형성하며 이러한 개구를 통하여 풀이 인입출될 수 있다. 일반적인 풀의 형태를 고려하여 이러한 개구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본체부(1110)의 외벽은 이러한 개구를 감싸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후방측(도 2에서 좌측)으로 돌출되는 삽입부(1140)와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1140)의 형상은 대략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1140)의 내부는 상방이 개방된 삽입구(1141)를 구비하여 가이드부(1130)가 삽입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고, 이러한 삽입구(1141)의 형상은 가이드부(1130)의 전체적인 형상, 더욱 구체적으로는 걸림부재(1170)의 탄성변형을 고려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삽입부(1140)의 측면 또는 후면으로는 내외부를 연통하는 홀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홀부가 제1홀부(1151)와 제2홀부(1152)로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홀부(1151)와 제2홀부(1152)는 상하방향으로 열지어 배치되고 삽입구(1141)와 외부를 연통하여 형성되며, 이러한 배치는 걸림돌부의 배치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록킹장치로서, 본체부(1110)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돌부(116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고정돌부(1160)는 덮개부(1120)의 소정의 부위에 삽입되어 밀착상태를 고정하며 풀의 보관상태에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풀이 마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링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돌부(1160)는 본체부(1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링 형상 내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돌부(1160)는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의 예에서는 고정돌부(1160)의 외주방향으로 대략 측단면이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링부(1161)를 도시한다.
다만, 상기 걸림링부(1161)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원의 일부 또는 후크(hook) 또는 다각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걸림링부(1161)는 후술될 바와 같은 덮개부(1120)의 소정의 홈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돌부(1160)와 고정홈부(1180)는 상호 치환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고정돌부(1160)가 덮개부(1120)에 배치되고 고정홈부(1180)가 본체부(1110)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장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의 고정홈부(도 2의 180)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록킹은 잠금의 기능 또는 내외부를 어느 정도 분리하는 실링의 기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덮개부를 하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이를 후방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부(1120)는 전체적으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방 및 하방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1130)를 구비한다.
가이드부(1130)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탄성변형될 수 있는 걸림부재(1170)와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걸림부재(1170)는 양측으로 형성되거나 일측에만 형성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러한 걸림부재(1170)는 가이드부(1130)의 하측에서 상방의 외측 경사진 방향으로 멀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된 홀부에 삽입될 수 있는 걸림돌부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걸림돌부는 상측에 구비되는 제1걸림돌부(1171)와 상대적으로 하측에 구비되는 제2걸림돌부(1172)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실질적으로 걸림의 기능은 하측의 제2걸림돌부(1172)가 주로 함을 고려하여 제2걸림돌부(1172)가 제1걸림돌부(1171)보다 일측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걸림돌부(1171)와 제2걸림돌부(1172)는 홀부에의 걸림을 고려하여 상면이 평탄하게 이루어지고, 삽입을 고려하여 측면 및/또는 하면이 상향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117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단면상 상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더 두꺼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13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타원형의 기둥 내지는 다각 기둥 형상의 선택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삽입부(1140)에의 삽입시 걸림부재(1170)의 탄성변형에 따라 상하방향의 이동이 방해될 우려가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부(1130)는 걸림부재(1170)의 내측으로의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용공간(113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공간(1131)은 가이드부(1130)의 강성 및 걸림부재(1170)의 형상에 따라 적절한 모양과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수용공간(1131)이 대략 장방형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따라 가이드부(1130)가 'I'자 모양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부(1130)의 상측과 하측의 측면은 삽입구(1141)의 내면에 지지되면서 상하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하고, 그 사이의 수용공간(1131)은 걸림부재(1170)의 탄성변형 공간을 마련한다.
도 10은 상기된 제2실시예에서 덮개부와 본체부가 상호간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후면도이다.
가이드부(11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구(1141)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지며 이용자의 압축 즉, 하방측으로의 힘에 의하여 삽입되고, 탄성부재(1210)의 복원력에 의하여 인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1210)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삽입부(1140)의 내부와 가이드부(1130)의 하부에는 이를 고정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며, 도면의 예와 같이 가이드부(1130)에는 내부에 탄성부재(1210)가 삽입될 수 있는 상측으로 함몰된 홈 형태의 상측지지부(1132)가 형성되고, 삽입구(1141)의 저부에는 탄성부재(121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하측지지부(1142)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상측지지부(1132)와 하측지지부(1142)는 선택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부(1140)의 양측 또는 일부의 면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제1홀부(1151)와 제2홀부(1152)가 형성될 수 있고, 걸림부재(1170)의 제1걸림돌부(1171)와 제2걸림돌부(1172)는 이에 삽입되어 가이드부(1130)의 삽입부(1140)에 대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걸림돌부(1172)가 제2홀부(1152)에 위치될 때는 덮개부(1120)가 본체부(111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고, 제2걸림돌부(1172)가 제1홀부(1151)에 위치될 때는 덮개부(1120)가 본체부(1110)의 상면에서 이격되어 종이 등의 피도포물이 그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슬라이딩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부(1120)가 본체부(1110)의 상면에 밀착된 경우 그 사이의 공간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이물질의 유통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록킹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체부(111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대략 링 형상 내지는 링 상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고정돌부(1160)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어 덮개부(1120)의 저부에는 고정돌부(1160)가 삽입되는 고정홈부(118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돌부(1160)는 외주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걸림링부(1161)를 구비하며, 마찬가지로 고정홈부(1180)에는 외주방향으로 더욱 함몰된 형태의 걸림홈부(118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링부(1161)와 걸림홈부(1181)의 형상은 선택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다만, 덮개부(1120)와 본체부(1110)가 상호간에 밀착 및 이격이 반복됨에 비추어 내구성 및 작동의 신뢰성을 고려하여 상기 걸림링부(1161)와 걸림홈부(1181)는 상호 대응되는 측단면상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130)의 걸림부재(1170)는 최초 삽입시에 가이드부(1130)와의 연결부위에서 변형되어 내측으로 일부 이동되고, 삽입구(1141)의 내부로 삽입되는데, 이 과정에서 탄성부재(1210)는 가이드부(1130)의 저부와 삽입부(1140)의 내부에 고정되어 가이드부(1130)의 저면에 대해 상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도 13은 도 12의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측지지부(1132)와 하측지지부(1142)가 형성되는 예가 설명되었는데, 본 발명의 다른 설명에서는 탄성부재가 판형탄성부재(1220)로 이루어지게 된다.
판형탄성부재(1220)는 저면의 일부가 삽입구(1141)의 저부에 지지되고 일부분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가이드부(1130)의 저부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덮개부(1120)와 본체부(1110)의 사이에 종이나 판재 등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삽입공간이 형성되면 족하므로 가이드부(1130)의 가동거리가 비교적 짧다.
따라서, 제한적인 작동거리와 내구성 및 배치관계를 고려하여 판형의 판형탄성부재(1220)가 적용되는 경우 더욱 이점을 가지게 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 경우 도 11의 예와 같은 상측지지부(1132)와 하측지지부(1142)의 구조도 생략될 수 있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판형탄성부재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측지지부(도 2의 132)와 하측지지부(도 2의 142)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된 예와 관련된 도면에서는 가이드부(1130)의 걸림부재(1170)가 양측에 형성되는 경우와, 이의 가동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이드부(1130)의 양측에 수용공간(1131)이 형성되는 예가 도시되었다. 그런데, 양측에 형성되는 경우 불필요한 덮개부(1120)의 상방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확실성은 있으나 양측에서 걸림상태를 해제하여야 하므로 불편함이 존재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걸림부재(1170)가 일측에만 형성되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는데, 작동 과정에서 가이드부(1130)의 움직임이 경사져서 작동의 중심이 편심될 우려가 존재한다.
상기 가이드부(1130)와 삽입구(1141)의 전후방의 두께가 좌우의 폭보다 비교적 작음을 고려하여 상기 걸림부재(1170)가 가이드부(1130)의 후방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고, 이러한 걸림부재의 작동공간을 위하여 삽입부(1140)의 후방측 내부 및/또는 가이드부(1130)의 후방측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상기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이 적용된 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풀의 본체(200)의 내부에는 접착물질이 수용되어 인출될 수 있고, 풀의 캡(100, 1100)은 이에 결합된 상태로 도포가 이루어진다.
상기된 바와 같이 덮개부(120, 1120)가 본체부(110, 111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슬라이딩공간(121)이 형성되면, 피도포물(P)의 테두리 부위를 상기 슬라이딩공간(121)에 삽입시켜 풀 전체를 이동하거나 피도포물(P)을 이동시킴으로써 테두리 부위에만 접착물질을 도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피도포물이 놓은 받침 부위에 풀의 캡의 상면 즉, 덮개부(120, 1120)의 상면이 밀착되어 상방(풀을 거꾸로 든 상태에서의 아래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면, 상기 덮개부는 탄성부재(121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소정 깊이 삽입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슬라이딩공간(121)의 갭은 피도포물의 두께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도포의 확실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풀의 캡에 의해, 본체의 상부에 개폐가능하면서도, 덮개부만 소정 간격 인출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피도포물의 테두리 부위만 정확하게 접착물질의 도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덮개부의 개방과 폐쇄가 간편하고 로킹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상의 신뢰성과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10,1110...본체부 111...체결부
120,1120...덮개부 121...슬라이딩공간
130,1130...가이드부 132,1132...상측지지부
133...수용부 140,1140...삽입부
141,1141...삽입구 142,1142...하측지지부
143...가이드홈 144...단차부
150...버튼부 151...마찰부
152...걸림턱부 170,1170...걸림부재
171...걸림돌부 180,1180...고정홈부
190...슬릿부 191...스토퍼부
210,1210...탄성부재 1131...수용공간
1151...제1홀부 1152...제2홀부
1160...고정돌부 1161...걸림링부
1171...제1걸림돌부 1172...제2걸림돌부
1220...판형탄성부재

Claims (8)

  1. 풀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풀의 캡으로서,
    내부에서 접착물질이 상하로 이동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가이드부가 삽입 및 인출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수용되고 가이드부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는, 삽입부에 형성되는 걸림턱부에 걸림되어 본체부와 덮개부의 밀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걸림돌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는, 본체부의 상단측의 형상에 대응되고 평판 형상의 지지면부를 감싸는 형태로 상방으로 함몰되어 본체부와의 사이에 실링을 제공하는 고정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를 따라 가이드부가 상측으로 인출되면서 덮개부가 본체부로부터 이격되면 피도포물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측이 전후방으로 탄성변형되면서 가이드부를 변형시키는 버튼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단측이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후면이 상방 및 측방에서 절개되어 버튼부를 이루도록 개방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삽입부의 내벽에서 개방슬릿의 상측에 인접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외면에 형성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고정홈부에 삽입되고 외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링부가 형성되는고정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본체부와의 연결부위에서 고정홈부에 본체부 상단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하측으로 형성되는 단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가이드부의 이동시 걸림돌부가 수용될 수 있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측면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스토퍼부가 삽입되어 이동이 가이드되며 가이드부의 상방으로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슬릿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
KR1020140008830A 2014-01-24 2014-01-24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 KR101524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830A KR101524756B1 (ko) 2014-01-24 2014-01-24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830A KR101524756B1 (ko) 2014-01-24 2014-01-24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4756B1 true KR101524756B1 (ko) 2015-06-01

Family

ID=5349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830A KR101524756B1 (ko) 2014-01-24 2014-01-24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7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2219A1 (ko) * 2015-09-25 2017-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KR20180002558U (ko) * 2017-02-17 2018-08-27 주식회사 피에스산업 행거용 지주받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540Y1 (ko) * 2005-03-07 2005-05-31 박형빈 종이의 가장자리에 풀칠을 할 수 있는 뚜껑을 구비한 풀 케이스
JP2009179331A (ja) * 2008-01-29 2009-08-13 Masanari Inoue 接着剤用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接着剤
KR101051653B1 (ko) * 2011-02-28 2011-07-29 김종원 풀 뚜껑
KR101314049B1 (ko) * 2006-03-27 2013-10-01 고쿠요 에스앤티 가부시키가이샤 수납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540Y1 (ko) * 2005-03-07 2005-05-31 박형빈 종이의 가장자리에 풀칠을 할 수 있는 뚜껑을 구비한 풀 케이스
KR101314049B1 (ko) * 2006-03-27 2013-10-01 고쿠요 에스앤티 가부시키가이샤 수납 용기
JP2009179331A (ja) * 2008-01-29 2009-08-13 Masanari Inoue 接着剤用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接着剤
KR101051653B1 (ko) * 2011-02-28 2011-07-29 김종원 풀 뚜껑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2219A1 (ko) * 2015-09-25 2017-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US10823434B2 (en) 2015-09-25 2020-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humidifier
KR20180002558U (ko) * 2017-02-17 2018-08-27 주식회사 피에스산업 행거용 지주받침대
KR200487788Y1 (ko) * 2017-02-17 2018-11-02 주식회사 피에스산업 행거용 지주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9623B1 (en) Expandable partitioning device
US9732785B2 (en) Suction cup device
KR101639354B1 (ko) 재료도포장치를 포함한 키트 및 그 키트의 사용
US9829261B2 (en) Magazine carrier
KR101524756B1 (ko)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
KR200483047Y1 (ko) 화장용 도구
KR101478166B1 (ko) 도포 가이드가 가능한 풀뚜껑
KR20170002956U (ko) 화장품 용기
KR101681752B1 (ko) 선반고정장치
JP4591857B1 (ja) 点検口の開閉構造
JP2012239793A (ja) 着脱式容器
US9932196B2 (en) Packing tape dispenser
KR101051653B1 (ko) 풀 뚜껑
KR101784337B1 (ko) 쿠션 콤팩트 용기
KR101472834B1 (ko)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KR101919187B1 (ko) 신호통 점화 장치
CN210055832U (zh) 一种便于换纸的纸巾架
KR101332837B1 (ko) 누름구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저장용기
KR102329163B1 (ko) 모발 이식 장치
JP6799986B2 (ja) 衛生用薄葉紙収納容器
KR102304835B1 (ko) 모발 이식 장치
JP5241390B2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200072204A (ko) 헤어핀에 장착되는 액세서리부재
JP3183530U (ja) ワンタッチで押印可能な印鑑用ケース
KR20180114270A (ko) 봉지 밀폐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