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6716A - 경화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경화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6716A
KR20170036716A KR1020177004405A KR20177004405A KR20170036716A KR 20170036716 A KR20170036716 A KR 20170036716A KR 1020177004405 A KR1020177004405 A KR 1020177004405A KR 20177004405 A KR20177004405 A KR 20177004405A KR 20170036716 A KR20170036716 A KR 20170036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component
group
resin composition
curabl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4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9663B1 (ko
Inventor
가즈히로 고다
히로시 다시로
도시노부 후지무라
Original Assignee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6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02Polythioethers
    • C08G75/04Polythioethers from mercapto compounds or metallic derivatives thereof
    • C08G75/045Polythioethers from mercapto compounds or metallic derivatives thereof from mercapto compounds and unsaturat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02Polythioethers
    • C08G75/04Polythioethers from mercapto compounds or metallic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다관능 티올 화합물 및 특정 티오에테르 함유 알콕시실란 유도체를,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중 결합을 복수개 갖는 다관능 폴리엔과 혼합한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무기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고, 수지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지만, 한랭지에 있어서는 경화막이 유연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경화막의 굴곡 시에 크랙이 생기기 쉽고, 또한 밀착성이 부족하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한랭지에 있어서도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얻어진 경화막이 유연성을 갖는 재료를 제공한다. (A) 특정 구조의 티오에테르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와, (B)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 ∼ 50000 인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다. (A) 성분과 (B) 성분의 질량비 ((A)/(B)) 는 0.05 ∼ 30 이다.

Description

경화성 수지 조성물 {CURABL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한랭지에 있어서도 기재에 대한 밀착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경화막을 얻을 수 있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에폭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료 등의 무기 기재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실란 커플링제를 첨가하는 기술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그러나, 실란 커플링제의 상당수는 비점이 낮아, 열 경화 수지에 대해서는 다량으로 첨가할 필요가 있었다. 또, 실란 커플링제의 첨가에 의한 밀착성 향상 효과는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고, 예를 들어 티탄·지르코늄 등의 염이나, 인산에스테르, 우레탄 수지 등의 밀착성 보조제도 동시에 첨가함으로써 비로소 실용 레벨에서 요구되는 밀착성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도 많았다. 이 경우, 이들 밀착성 보조제의 배합은 공정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도료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밀착성 보조제의 선정이나, 그 첨가량의 엄밀한 최적화 작업도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특허문헌 2 에는, 다관능 티올 화합물과 특정 티오에테르 함유 알콕시실란 유도체를,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중 결합을 복수개 갖는 다관능 폴리엔과 혼합한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이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기타 밀착성 보조제 등을 첨가할 필요가 없고, 무기 기재에 대해 우수한 밀착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30049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46464호
그러나, 특허문헌 2 와 같이 다관능 티올 화합물 및 특정 티오에테르 함유 알콕시실란 유도체를,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중 결합을 복수개 갖는 다관능 폴리엔과 혼합한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무기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고, 수지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지만, 한랭지에 있어서는 경화막이 유연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경화막의 굴곡 시에 크랙이 생기기 쉽고, 또한 밀착성이 부족하다는 과제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상을 감안하여 완수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한랭지에 있어서도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얻어진 경화막이 유연성을 갖는 재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A)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티오에테르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와, (B)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 ∼ 50000 인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고, 상기 (A) 성분과 상기 (B) 성분의 질량비 ((A)/(B)) 가 0.05 ∼ 30 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의 a 는 1 ∼ 3 의 정수이고, b 는 0 또는 1 이며, c 는 1 ∼ 3 의 정수이고, a 와 b 와 c 의 합은 4 이다. R1 은, 메틸렌기, 에틸렌기 또는 이소프로필렌기이다. R2 는, 하기 식 2 또는 하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2 가의 관능기이다. R3 은,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다. R4 는, 탄소수가 1 ∼ 12 인 탄화수소기이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R5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R5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분자량이란 별도 기재가 없는 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본 발명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A) ∼ (B) 성분에 더해, 추가로 (C)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당해 (C) 성분은, 상기 (A) 성분과 상기 (B) 성분의 합계 질량 100 질량부에 대해 0.01 ∼ 10 질량부 배합한다.
본 발명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A) ∼ (B) 성분, 또는 (A) ∼ (C) 성분에 더해, 추가로 (D) 중량 평균 분자량이 90 ∼ 700 인 아민 화합물을 함유시킬 수 있다. 당해 (D) 성분은, 상기 (A) 성분과 상기 (B) 성분의 합계 질량 100 질량부에 대해 0.01 ∼ 50 질량부 배합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 쌍방을 포함하는 총칭을 의미한다. 동일하게, 「(메트)아크릴옥시기」란, 아크릴옥시기와 메타크릴옥시기 쌍방을 포함하는 총칭을 의미하고, 「(메트) 아크릴」이란, 아크릴과 메타크릴 쌍방을 포함하는 총칭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 ∼ ××」 란, 별도 기재가 없는 한 그 하한값 (「○○」) 이나 상한값 (「××」) 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정확하게는 「○○ 이상 ×× 이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특정 (A) 티오에테르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를 밀착성 향상 작용의 유효 성분으로 하면서, 특정 분자량의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밸런스 양호하게 배합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종래의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기타 밀착성 보조제 등을 첨가하는 일 없이, 기재에 대한 우수한 밀착성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한랭지에 있어서도, 얻어진 경화막이 기재에 대한 우수한 밀착성 및 유연성을 발휘한다.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 (A) 및 (B) 성분을 필수 성분으로 하고, 임의로 (C) 및 (D) 성분 중 적어도 일방을 추가로 함유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다.
<티오에테르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 ((A) 성분)>
(A) 성분인 티오에테르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란,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식 중의 a 는 1 ∼ 3 의 정수이고, b 는 0 또는 1 이며, c 는 1 ∼ 3 의 정수이고, a 와 b 와 c 의 합은 4 이다. R1 은, 메틸렌기, 에틸렌기 또는 이소프로필렌기이다. R2 는, 하기 식 2 또는 하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2 가의 관능기이다. R3 은,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다. R4 는, 탄소수가 1 ∼ 12 인 탄화수소기이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5
(R5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R5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상기 식 1 중의 R4 인 탄소수가 1 ∼ 12 인 탄화수소기로는, 직사슬의 알킬기, 측사슬을 갖는 알킬기, 고리형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 1 중의 R1 은, 메틸렌기, 에틸렌기, 이소프로필렌기이고, 밀착성 향상 효과가 높아지는 점에서 에틸렌기, 이소프로필렌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B) 성분)>
(B) 성분인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말단에 (메트)아크릴옥시기를 가지고 있고, 그 바람직한 예로서 하기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B) 성분인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 종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도 있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7
(식 중의 d 는 2 ∼ 30 의 정수이고, R6 은 탄소수 2 ∼ 200 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2 ∼ 300 의 에테르산소 (-O-) 와 탄화수소기만으로 이루어지는 기, 또는 이소시아누레이트 고리 혹은 이소시아누레이트 고리와 탄화수소기만으로 이루어지는 기이고, R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또,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폴리머 타입의 것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폴리머 타입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독 혹은 공중합체에, (메트)아크릴산과 같이 에폭시기와 반응하는 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머,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독 혹은 공중합체에, 2-메틸프로펜산 2-이소시아네이트에틸과 같이 수산기와 반응하는 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머, (메트)아크릴산 등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독 혹은 공중합체에,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이 카르복실기와 반응하는 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0 ∼ 50000 이다.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 보다 작아도 밀착성에 관해서는 문제 없지만, 휘발성이 높아져 악취가 강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 보다 크면 밀착성에 관해서는 문제 없지만, 다른 성분에 대한 용해성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당량은 80 ∼ 6000 g/㏖ 이다. (메트)아크릴레이트 당량이 80 g/㏖ 보다 작으면 단위 체적당의 (메트)아크릴옥시기가 과잉으로 되어 (A) 티오에테르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의 티올기와 미반응의 (메트)아크릴옥시기가 다량으로 잔존함으로써,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화막의 인성이 저하하고, 밀착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한편, (메트)아크릴레이트 당량이 6000 g/㏖ 보다 커지면, (메트)아크릴옥시기 농도가 현저하게 낮으므로 (A) 티오에테르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의 티올기와의 반응 효율이 저하함으로써,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화막의 인성이 저하하고, 밀착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광 중합 개시제 ((C) 성분)>
(C) 성분인 광 중합 개시제는, 티올기와 (메트)아크릴옥시기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서 첨가되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에 필요한 광 조사를 적게 할 수 있다. 광 중합 개시제로는,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 광 카티온 중합 개시제, 광 아니온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반응 시간을 단축할 때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 카티온 중합 개시제는, 경화 수축을 작게 할 때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 아니온 중합 개시제는, 전자 회로 등의 분야에서의 접착성을 부여할 때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2-하이드록시-1-[4-[4-(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프로판-1-온,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광 카티온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비스(4-tert-부틸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비스(4-tert-부틸페닐)요오드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시클로프로필디페틸술포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디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아르세네이트, 2-(3,4-디메톡시스티릴)-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트리페닐술포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트리페닐술포늄브로마이드, 트리-p-톨릴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트리-p-톨릴술포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광 아니온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아세토페논 o-벤조일옥심, 니페디핀, 2-(9-옥소크산텐-2-일)프로피온산 1,5,7-트리아자비시클로[4,4,0]데카-5-엔, 2-니트로페닐메틸 4-메타크릴로일옥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2-디이소프로필-3-[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구아니듐 2-(3-벤조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 1,2-디시클로헥실-4,4,5,5-테트라메틸비구아니듐 n-부틸트리페닐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아민 화합물 ((D) 성분)>
(D) 성분인 아민 화합물은, 티올기와 (메트)아크릴옥시기의 반응을 촉진 (촉매) 하기 위해서 첨가된다. 구체적으로는, (D)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티올기와 (메트)아크릴옥시기를 저온에서 반응시킬 수 있으므로, (A) 성분과 (B) 성분을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저온 경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 성분인 아민 화합물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90 ∼ 700 인 단관능 아민이나 복수개의 아미노기를 갖는 폴리아민을 들 수 있다. 아민 화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90 미만에서는, 아민의 휘발성이 높아져, 악취나 보이드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가열 경화 시의 아민 농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가교 반응이 진행되기 어려워져 밀착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아민 화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700 을 초과하면, 내수성이 낮아져 밀착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단관능 아민으로는, 1 급 아민, 2 급 아민, 또는 3 급 아민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민으로는, 1 급 아민, 2 급 아민, 3 급 아민, 복합 아민을 들 수 있다. 복합 아민이란, 1 급 아미노기, 2 급 아미노기, 3 급 아미노기 중 2 종 이상을 갖는 아민이다. 이와 같은 복합 아민으로는, 이미다졸린 화합물, 이미다졸 화합물, N 치환 피페라진 화합물, N,N-디메틸우레아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민 화합물은,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 종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아민 화합물은, 촉매 활성을 조정하기 위해서 미리 유기산과의 염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아민 화합물과 미리 반응시키는 유기산으로는, 탄소수 1 ∼ 20 이고 카르복실기를 분자 중에 1 ∼ 5 개 갖는 지방족 카르복실산, 탄소수 7 ∼ 20 이고 카르복실기를 분자 중에 1 ∼ 10 개 갖는 방향족 카르복실산, 또는 이소시아누르산을 들 수 있다.
아민 화합물 중에서도, 염기성이 높은 이미다졸 화합물이 가장 저온에 있어서의 경화에 적합하다. 또, 페놀 수지 등으로 코팅한 이미다졸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당해 이미다졸 화합물은, 하기 식 5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8]
Figure pct00008
(R9 는 시아노기, 탄소수 1 ∼ 10 의 탄화수소기, 2,3-디아미노트리아진으로 치환된 탄소수 1 ∼ 10 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또는 수소 원자이고, R8, R10, R11 은 탄소수 1 ∼ 20 의 탄화수소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또는 수소 원자이며, R8 ∼ R11 이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탄소수 2 ∼ 8 의 탄화수소기이다)
구체적으로는, 2-메틸이미다졸, 2-운데실이미다졸, 2-헵타데실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 1,2-디메틸이미다졸, 2-페닐-4-메틸이미다졸, 1-벤질-2-메틸이미다졸, 1-벤질-2-페닐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1-(2-시아노에틸)-2-메틸이미다졸, 1-(2-시아노에틸)-2-운데실이미다졸, 1-(2-시아노에틸)-2-에틸-4-메틸이미다졸, 1-(2-시아노에틸-2-페닐이미다졸, 1-(2-시아노에틸)-2-에틸-4-메틸이미다졸, 2,3-디하이드로-1H-피롤로[1,2-a]벤즈이미다졸, 2,4-디아미노-6-[2-메틸이미다졸릴-(1)]에틸-s-트리아진, 2,4-디아미노-6-[2'-운데실이미다졸릴-(1')]-에틸-s-트리아진, 2,4-디아미노-6-[2'-에틸-4'-메틸이미다졸릴-(1')]-에틸-s-트리아진, 2-페닐-4,5-디하이드록시메틸이미다졸, 2-페닐-4-메틸-5-하이드록시메틸이미다졸을 들 수 있다.
<조성비 (배합 밸런스)>
본 발명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A) 티오에테르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와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질량비 ((A)/(B)) 가 0.05 ∼ 30 이 되도록 배합한다. 여기서, 「(A)/(B)」란, (A) 티오에테르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의 질량을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질량으로 나눈 값이다. (A)/(B) 가 0.05 미만 또는 30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밀착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최적의 (A)/(B) 의 값은,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요구되는 특성이나, (A) 티오에테르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나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다.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한 후의 특성은, 엄밀하게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단위 중량 중의 (티올기수)/((메트)아크릴옥시기수)(이하, 티올/엔비라고 칭한다) 의 값에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티올/엔비가 0.5 ∼ 1.5 의 범위에 있으면, 조밀한 가교를 형성하기 쉽고, 또한 강인한 경화물이 되기 쉽다. 한편, 티올/엔비가 0.1 이상 0.5 미만, 혹은 1.5 를 초과하고 2.0 이하이면, 유연하고 점착질인 경화물을 얻을 수 있다. 티올/엔비가 0.1 미만, 혹은 2.0 을 초과하면 겔화하기 어려워지고, 밀착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 본 발명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대해 (C) 광 중합 개시제를 배합하는 경우에는, (A) 티오에테르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와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합계 질량 ((A) + (B)) 100 질량부에 대해 (C) 광 중합 개시제가 0.01 ∼ 10 질량부가 되도록 배합한다. ((A) + (B)) 100 질량부에 대해 (C) 성분의 배합량이 0.01 질량부 미만에서는, 티올기와 (메트)아크릴옥시기의 반응이 진행되는 데에 많은 적산광량이 필요해지고, 10 질량부를 초과하면 가교 밀도가 낮아져 밀착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대해 (D) 아민 화합물도 배합하는 경우에는, (A) 티오에테르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와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합계 질량 ((A) + (B)) 100 질량부에 대해 (D) 아민 화합물이 0.01 ∼ 50 질량부가 되도록 배합한다. ((A) + (B)) 에 대해 (D) 성분의 배합량이 0.01 미만에서는, 촉매로서의 기능이 불충분해져, 가열에 의한 경화 촉진에는 이르지 않고, 50 질량부를 초과하면,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이 저하한다.
<경화막의 형성>
본 발명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기재 상에 도공하고, 경화시킴으로써, 경화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A) 티오에테르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의 티오에테르기에서 기인하여 기재에 대해 밀착성을 발휘한다. 따라서, 티오에테르기와 화학적인 결합을 형성하는 (화학적인 친화력이 높은) 기재, 예를 들어 천이 금속 혹은 그 합금이나 규소 화합물, 인 화합물, 황 화합물, 또는 붕소 화합물 등의 무기 기재, 불포화 결합 (방향 고리를 포함한다) 을 갖는 유기물, 수산기나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물, 또는 플라즈마나 UV 오존 처리된 유기물 등의 유기 기재에 대한 밀착성 향상 효과가 우수하다. 구체적으로는, 무기 기재로는, 유리, 실리콘, 각종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기재로서, 폴리(메트)아크릴계 수지, 트리아세테이트셀룰로오스 (TAC) 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ABS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아세탈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A) 티오에테르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가 특정 탄화수소기를 가짐으로써, 경화막이 유연성이 우수하다. 그 때문에, 한랭 조건하에서도 경화막이 기재에 추종하기 쉬워,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특히 한랭 조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플렉시블한 기재의 코팅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시킬 수 있다. 조사하는 광으로는, UV (자외선) 나 EB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 등을 들 수 있다. 또,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C)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통상 2500 mJ/㎠ 정도 필요로 되는 광 조사량을 100 mJ/㎠ 정도까지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D)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80 ℃ 정도의 저온에서 경화가 가능해져, 광의 조사에 의한 경화 공정과, 가열에 의한 경화 공정의 2 단계의 공정을 거쳐 경화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반응계를 균일하게 하여, 도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유기 용매로 희석해 사용해도 된다. 그러한 유기 용매로는, 알코올계 용제,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에테르계 용제, 에스테르계 용제, 에테르에스테르계 용제, 케톤계 용제, 및 인산에스테르계 용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용매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해 10000 질량부 미만의 배합량으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본적으로 용제는 경화막으로 되는 시점에서는 휘발되어 있으므로 경화막의 물성에 큰 영향은 주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점도를 조정할 목적으로 실리카 분말 등의 점도 조정제를 배합해도 된다. 이들 점도 조정제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해 300 질량부 미만의 배합량으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 조정제의 배합량이 300 질량부를 초과하면, 밀착성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
또, 본 발명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적인 도료나 접착제에 사용되는 각종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이와 같은 첨가제로는, 도공면을 평활하게 하기 위한 계면활성제, 사용 가능 시간을 길게 하기 위한 알루미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해 80 질량부 미만의 배합량으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첨가제의 배합량이 80 질량부를 초과하면, 밀착성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각 성분은 다음과 같다. 또한, Mw 는 중량 평균 분자량을 나타낸다.
<(A) 성분>
(A-1 : 티오에테르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화학식 9]
Figure pct00009
(A-2 : 티오에테르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A-3 : 티오에테르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A-4 : 티오에테르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화학식 12]
Figure pct00012
(A'-5 : 다가 티올 화합물)
[화학식 13]
Figure pct00013
(A'-6 : 다가 티올 화합물)
[화학식 14]
Figure pct00014
(A'-7 : 티오에테르 함유 알콕시실란 유도체)
[화학식 15]
Figure pct00015
(A'-8 : 티오에테르 함유 알콕시실란 유도체)
[화학식 16]
Figure pct00016
(A'-9 : 티오에테르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화학식 17]
Figure pct00017
<(B) 성분 :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학식 18]
Figure pct00018
(B-1, Mw : 5000)
(n 은 평균 13)
(B-2, Mw : 246)
[화학식 19]
Figure pct00019
(B-3, Mw : 352)
[화학식 20]
Figure pct00020
(B-4, Mw : 22000)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와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에 하기 D-3 을 촉매로 하여 메타크릴산을 당몰 부가한 폴리머 (50 wt% 메틸이소부틸케톤 용액을 헥산으로 재침전한 백색 고체).
(B-5, Mw : 45000)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와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에 하기 D-3 을 촉매로 하여 메타크릴산을 당몰 부가한 폴리머 (50 wt% 메틸이소부틸케톤 용액을 헥산으로 재침전한 백색 고체).
<(C) 성분 : 광 중합 개시제>
(C-1, Mw : 204)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C-2, Mw : 348)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C-3, Mw : 407)
2-(9-옥소크산텐-2-일)프로피온산 1,5,7-트리아자비시클로[4.4.0]데카-5-엔
<(D) 성분 : 아민 화합물>
(D-1, Mw : 110)
[화학식 21]
Figure pct00021
(D-2, Mw : 102)
N,N-디메틸-1,3-프로판디아민
(D-3, Mw : 680)
[화학식 22]
Figure pct00022
(n1, n2, n3 은 1 ∼ 5 의 정수이고, 평균이 3.5 인 혼합물)
표 1 ∼ 표 4 에 나타내는 배합비로 (A) ∼ (D) 성분을 각각 혼합하고, 스패튤라로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샘플에 대해 이하의 밀착성 1 (실온 밀착성), 밀착성 2 (한랭지 밀착성), 유연성 및 보존 안정성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 표 4 에 나타낸다.
[평가용 시험편의 제작]
밀착성 1, 밀착성 2, 및 유연성의 평가용 시험편은, 다음과 같이 얻었다.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각 샘플을, 25 ㎜ 폭의 PET 필름 상에 다이 코터로 100 미크론의 두께로 도포하고, 그 위에 별도의 PET 필름을 겹친 후, 표 1 ∼ 표 4 에 나타내는 경화 조건으로 경화시켜 평가용 시험편을 얻었다. 또한, PET 필름으로는, 토오레 (주) 제조, 루미러 U46-100 을 사용하였다. 광 조사에는, 헤레우스 노블라이트 퓨전 유브이 주식회사 제조 UV 램프 시스템 「라이트 해머 6」을 이용하고, 램프 벌브는 H 벌브를 사용하였다.
[밀착성 1 (실온 밀착성)]
상기 평가용 시험편을, 25 ℃ 에서 24 시간 가만히 정지시킨 후, JIS K6854-3 에 준한 T 형 박리법으로 측정하고,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 : 인장 강도가 5 N/25 ㎜ 이상 (PET 필름이 파단)
○ : 인장 강도가 5 N/25 ㎜ 이상 (PET 필름은 파단되지 않음)
× : 5 N/25 ㎜ 미만
[밀착성 2 (한랭지 밀착성)]
상기 평가용 시험편을, -10 ℃ 에서 24 시간 가만히 정지시킨 후, JIS K6854-3 에 준한 T 형 박리법으로 측정하고,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 : 인장 강도가 5 N/25 ㎜ 이상 (PET 필름이 파단)
○ : 인장 강도가 5 N/25 ㎜ 이상 (PET 필름은 파단되지 않음)
× : 5 N/25 ㎜ 미만
[유연성]
상기 평가용 시험편을, -10 ℃ 에서 24 시간 가만히 정지시킨 후, 직경 8 ㎜ 의 봉에 1 분간 감고,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 : 크랙 없음
× : 크랙 있음
[보존 안정성]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샘플에 대해, 혼합한 직후에 25 ℃ 에 있어서의 점도 (혼합 직후의 점도) 를 측정함과 함께, 40 ℃ 에서 12 시간 가열한 후 재차 점도 (가열 후의 점도) 를 측정하고, 가열 후의 점도를 혼합 직후의 점도로 나누어 증점률을 산출하고,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또한, 점도는, 토키 산업 주식회사 제조의 R 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하기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사용 로터 : 1°34' × R24
측정 범위 : 0.5183 ∼ 103.7 ㎩·s
◎ : 증점률 1.0 ∼ 1.8
○ : 증점률 1.8 ∼ 10
× : 증점률 상기 범위 밖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실시예 1-1 ∼ 1-12 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실온 및 한랭 조건하에 있어서의 높은 밀착성, 양호한 유연성, 및 우수한 보존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1 ∼ 2-5 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적은 광 조사로 경화하고, 실온 및 한랭 조건하에 있어서의 높은 밀착성, 양호한 유연성, 및 우수한 보존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1 ∼ 3-6 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적은 광 조사와 저온 가열에 의해 경화하고, 실온 및 한랭 조건하에 있어서의 높은 밀착성, 양호한 유연성, 및 우수한 보존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한편, (B) 성분에 대해 (A) 성분이 지나치게 적은 비교예 1-1, 및 (B) 성분에 대해 (A) 성분이 지나치게 많은 비교예 1-2 에서는, 한랭 조건하뿐만 아니라 상온에서도 밀착성이 열등하였다. 상기 식 1 의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을 (A) 성분으로서 사용한 비교예 1-3 ∼ 1-7 에서는, 한랭 조건하에 있어서의 밀착성이 열등하였다.

Claims (3)

  1. (A)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티오에테르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와,
    (B)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 ∼ 50000 인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고,
    상기 (A) 성분과 상기 (B) 성분의 질량비 ((A)/(B)) 가 0.05 ∼ 30 인 경화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00027

    (식 중의 a 는 1 ∼ 3 의 정수이고, b 는 0 또는 1 이며, c 는 1 ∼ 3 의 정수이고, a 와 b 와 c 의 합은 4 이다. R1 은, 메틸렌기, 에틸렌기 또는 이소프로필렌기이다. R2 는, 하기 식 2 또는 하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2 가의 관능기이다. R3 은,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다. R4 는, 탄소수가 1 ∼ 12 인 탄화수소기이다.)
    [화학식 2]
    Figure pct00028

    (R5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화학식 3]
    Figure pct00029

    (R5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C) 광 중합 개시제를, 상기 (A) 성분과 상기 (B) 성분의 합계 질량 100 질량부에 대해 0.01 ∼ 10 질량부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D) 중량 평균 분자량이 90 ∼ 700 인 아민 화합물을, 상기 (A) 성분과 상기 (B) 성분의 합계 질량 100 질량부에 대해 0.01 ∼ 50 질량부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20177004405A 2015-05-22 2016-05-16 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869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4325A JP6609993B2 (ja) 2015-05-22 2015-05-22 硬化性樹脂組成物
JPJP-P-2015-104325 2015-05-22
PCT/JP2016/064515 WO2016190158A1 (ja) 2015-05-22 2016-05-16 硬化性樹脂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716A true KR20170036716A (ko) 2017-04-03
KR101869663B1 KR101869663B1 (ko) 2018-06-20

Family

ID=57393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4405A KR101869663B1 (ko) 2015-05-22 2016-05-16 경화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609993B2 (ko)
KR (1) KR101869663B1 (ko)
CN (1) CN106687505B (ko)
TW (1) TWI585137B (ko)
WO (1) WO20161901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65788B2 (ja) * 2017-03-02 2021-11-10 日油株式会社 剥離シート用硬化性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工程基材、および基材を保護する方法
JP7227631B2 (ja) * 2019-03-13 2023-02-22 互応化学工業株式会社 焼成用スラリー組成物、グリーンシート、グリーンシートの製造方法、焼結体の製造方法、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0491A (ja) 1994-05-02 1995-11-14 Nippon Unicar Co Ltd シランカップリング剤組成物
JP2012246464A (ja) 2011-05-31 2012-12-13 Nof Corp 硬化性樹脂組成物
WO2014203779A1 (ja) * 2013-06-17 2014-12-24 昭和電工株式会社 エンチオール系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9572A (ja) * 2008-04-09 2009-10-29 Seiko Epson Corp 放射線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記録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セ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TWI572624B (zh) * 2012-03-06 2017-03-01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A polyfunctional sulfur (meth) acrylate resin, an active energy ray-hardening hard coat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 hardened film obtained by hardening the plastic film, a plastic film having a hardened film, a plastic film And processed products
JP5926598B2 (ja) * 2012-04-11 2016-05-25 株式会社カネカ 光硬化性組成物
JP6424475B2 (ja) * 2014-06-04 2018-11-21 日油株式会社 チオエーテル含有(メタ)アクリレート誘導体、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密着性向上剤
JP6467946B2 (ja) * 2015-01-28 2019-02-13 日油株式会社 硬化性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0491A (ja) 1994-05-02 1995-11-14 Nippon Unicar Co Ltd シランカップリング剤組成物
JP2012246464A (ja) 2011-05-31 2012-12-13 Nof Corp 硬化性樹脂組成物
WO2014203779A1 (ja) * 2013-06-17 2014-12-24 昭和電工株式会社 エンチオール系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85137B (zh) 2017-06-01
KR101869663B1 (ko) 2018-06-20
JP6609993B2 (ja) 2019-11-27
CN106687505B (zh) 2019-02-05
WO2016190158A1 (ja) 2016-12-01
CN106687505A (zh) 2017-05-17
TW201641560A (zh) 2016-12-01
JP2016216640A (ja) 201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1317B2 (ja) 剥離シート用硬化性樹脂組成物、剥離シート、これを用いた工程基材、及び基材を保護する方法
KR101841894B1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JP6569409B2 (ja) 剥離シート用硬化性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工程基材、及び基材を保護する方法
KR101869663B1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850257B1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TWI586729B (zh) 固化性樹脂組合物
KR101886981B1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797902B1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JP2018145415A (ja) 剥離シート用硬化性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工程基材、および基材を保護する方法
JP6710892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
JP6582774B2 (ja) 剥離シート用硬化性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工程基材、及び基材を保護する方法
JP6569410B2 (ja) 剥離シート用硬化性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工程基材、及び基材を保護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