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6426A - 쑥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쑥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6426A
KR20170036426A KR1020150135567A KR20150135567A KR20170036426A KR 20170036426 A KR20170036426 A KR 20170036426A KR 1020150135567 A KR1020150135567 A KR 1020150135567A KR 20150135567 A KR20150135567 A KR 20150135567A KR 20170036426 A KR20170036426 A KR 20170036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ze
glaze composition
oxide
limestone
kaol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0911B1 (ko
Inventor
류선영
Original Assignee
류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선영 filed Critical 류선영
Priority to KR1020150135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9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36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86Glazes; Cold glaz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04B14/106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쑥재에 K2O와 P2O5 성분이 많아 부드러운 유백색 유약 원료로 사용 가능하며 Fe2O3 성분이 많아 유색유백 유약 재료로도 사용 가능하다는 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상기 쑥재를 장석, 석회석, 카올린 및 규석과 함께 혼합하여 도자기 유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쑥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쑥재는 장석, 석회석, 카올린 및 규석과 혼합하였을 때 식물의 재가 지니는 비정질적인 특성에 의해 소성과정에서 높은 반응성을 보이며, 인을 함유한 미립자 재료로서의 부드러운 성질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쑥재를 이용한 도자기 유약 조성물은 생활용 도자기에 시유(施釉)할 경우 은은한 청색 빛이 감도는 토속적인 질감을 발현한다.
또한 강화도 사자발약쑥이 목욕탕과 찜질방에서 사용된 후 배출되는 폐쑥재를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다른 재료와는 달리 원료를 분쇄하고 재로 만드는 데 들어가는 공정과 비용이 들어가지 않으므로 통상의 유약 제조방법보다 간소한 공정이 되고 비용이 적게 든다.

Description

쑥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GLAZE COMPOSITION CONTAINING ASHES OF WORMWOOD AND METHOD OF MANUFACTURINFG THEREOF}
본 발명은 쑥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K2O와 P2O5 성분이 많아 부드러운 유백색 유약 원료로 사용 가능하며 Fe2O3 성분이 많아 유색유백 유약 재료로도 사용 가능한 쑥재를 장석, 석회석, 카올린 및 규석과 함께 혼합하여 제조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약이란 도자기나 옹기의 표면에 시유(施釉)되고 열처리에 의해 융착된 광택 또는 무광택의 유리 피막으로서 도자기의 투수성을 저하시키고 심미감을 표출시키며 도자기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은 통상 장석, 규석, 석회석 등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색소로서 산화크롬, 산화코발트, 산화철, 산화동, 이산화망간 등과 같은 금속산화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약 조성물을 생활용 도자기에 사용할 경우 색소로 사용된 상기 금속산화물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으므로, 최근에는 천연 식물성 소재를 이용한 환경 친화적 유약 조성물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재를 도자기 유약의 원료로 하는 것의 장점으로는 인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부드럽다는 점이 있으며, 비정질(amorpous)의 성분으로 되어있어 다른 원료와의 반응성이 좋으며 미립으로 되어 있어 분쇄하지 않고도 유약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관련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285122호(대나무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서는 대나무를 태워 만든 대나무재를 재활용함으로써 폐자원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는 효과가 있는 도자기 유약 제조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인 제10-1384251호(콩깍지 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에 따르면, 콩깍지의 재를 포함한 도자기 유약을 도자기에 활용할 경우 청아한 백색 바탕에 은은한 청색 또는 황색 빛이 감도는 토속적인 질감을 발현하는 유약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재 중에서도 쑥재는 다른 식물의 재와 달리 K2O, P2O5 Fe2O3 성분이 많아 유약 재료로 유용하나 아직 쑥재를 이용한 유약 조성물의 발명이 공개된 바가 없다. 이에 강화도 사자발약쑥의 재를 구하여 도자기 유약 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쑥재가 K2O와 P2O5 성분이 많아 부드러운 유백색 유약 원료로 사용 가능하며 Fe2O3 성분이 많아 유색유백 유약 재료로도 사용 가능하다는 점에 착안함으로써, 쑥재를 장석, 석회석, 카올린 및 규석과 함께 혼합하여 도자기 유약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쑥을 태운 재의 분말인 쑥재 및 장석과 도석, 백운석, 석회석, 규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약 원료를 포함하는,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쑥재 10~60 중량% 및 상기 유약 원료 40~9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은 카올린, 점토, 탄산바륨, 도석, 활석, 백운석, 골회, 황토, 벤토나이트, 산화동, 산화코발트, 산화망간, 산화니켈, 산화티타늄, 산화주석,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올린, 점토, 탄산바륨, 도석, 활석, 백운석, 골회, 황토, 벤토나이트, 산화동, 산화코발트, 산화망간, 산화니켈, 산화티타늄, 산화주석,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의 혼합물은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5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쑥재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쑥재와 장석과 도석, 백운석, 석회석, 규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약 원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쑥재 10∼60 중량% 및 상기 유약 원료 40∼9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은 카올린, 점토, 탄산바륨, 도석, 활석, 백운석, 골회, 황토, 벤토나이트, 산화동, 산화코발트, 산화망간, 산화니켈, 산화티타늄, 산화주석,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카올린, 점토, 탄산바륨, 도석, 활석, 백운석, 골회, 황토, 벤토나이트, 산화동, 산화코발트, 산화망간, 산화니켈, 산화티타늄, 산화주석,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의 혼합물은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5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쑥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쑥재는 장석, 석회석, 카올린 및 규석과 혼합하였을 때 식물의 재가 지니는 비정질적인 특성에 의해 소성과정에서 높은 반응성을 보이며, 인을 함유한 미립자 재료로서의 부드러운 성질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쑥재를 이용한 도자기 유약 조성물은 생활용 도자기에 시유(施釉)할 경우 은은한 청색빛이 감도는 토속적인 질감을 발현한다.
또한 강화도 사자발약쑥이 목욕탕과 찜질방에서 사용된 후 배출되는 폐쑥재를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다른 재료와는 달리 원료를 분쇄하고 재로 만드는 데 들어가는 공정과 비용이 들어가지 않으므로 통상의 유약 제조방법보다 간소한 공정이 되고 비용이 적게 든다.
도 1은 쑥재의 성분분석결과 화면 사진.
도 2는 쑥재 유약으로 만든 도자기시험편.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쑥을 태운 재의 분말인 쑥재 및 장석과 도석, 백운석, 석회석, 규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통상의 유약 원료를 포함하는,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쑥재는 K2O와 P2O5 성분이 많아 부드러운 유백색 유약 원료로 사용 가능하며 Fe2O3 성분이 많아 유색유백 유약 재료로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통상의 도자기용 유약 원료에는 이 기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도자기 유약 원료 성분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장석과 도석, 백운석, 석회석, 규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하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통상의 유약 원료의 성분 중 장석이나 도석의 알카리 성분은 유약 원료 중 규석 성분과 반응하며 유리질을 만드는 융제 역할을 하며, 석회석과 석회석의 일종인 백운석은 유약을 더 잘 녹게 하며 경도를 높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의 혼합 비율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상기 쑥재 10~60 중량% 및 상기 유약 원료 40~9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쑥재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은은한 청색빛이 감도는 토속적인 질감의 발현이 미미할 수 있다.
상기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은 카올린, 점토, 탄산바륨, 도석, 활석, 백운석, 골회, 황토, 벤토나이트, 산화동, 산화코발트, 산화망간, 산화니켈, 산화티타늄, 산화주석,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올린, 점토, 탄산바륨, 도석, 활석, 백운석, 골회, 황토, 벤토나이트, 산화동, 산화코발트, 산화망간, 산화니켈, 산화티타늄, 산화주석,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의 혼합물은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5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은 산화동, 산화코발트, 산화망간, 산화니켈, 산화티타늄, 산화주석 등의 발색 원료를 첨가하여 비취색, 올리브 그린색, 브라운 색 등을 나타내는 유약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쑥재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쑥재와 장석과 도석, 백운석, 석회석, 규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약 원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쑥재 10∼60 중량% 및 상기 유약 원료 40∼9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에 카올린, 점토, 탄산바륨, 도석, 활석, 백운석, 골회, 황토, 벤토나이트, 산화동, 산화코발트, 산화망간, 산화니켈, 산화티타늄, 산화주석,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올린, 점토, 탄산바륨, 도석, 활석, 백운석, 골회, 황토, 벤토나이트, 산화동, 산화코발트, 산화망간, 산화니켈, 산화티타늄, 산화주석,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의 혼합물을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50 중량부 더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쑥재의 준비 및 성분분석
쑥(실험 대상 쑥재의 출처는 강화도 사자발약쑥이다.)을 태운 쑥재를 물에 담가 잘 저어준 후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그 후 쑥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물만 제거한 후 다시 물을 넣어 잘 저어주었다. 이 작업을 물이 매끄럽지 않을 때까지 수회 반복한 후 쑥재를 80~100 ℃로 건조하여 유약 원료로 사용할 쑥재를 얻었으며, 상기 쑥재의 성분을 분석하였다(표 1과 도 1 참조).
Figure pat00001
표 1을 보면, 쑥재는 도자기용 유약의 느낌을 부드럽게 하여주는 산화인(P2O5)이 10.97 중량% 로 다른 재보다도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맑고 따듯한 느낌을 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유약의 색상에 영향을 미치는 산화철(Fe2O3)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쑥재는 산화칼륨(K2O) 성분(23.34 중량%)과 마그네시아(MgO) 성분(9.74 중량%)을 다량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쑥재 외의 조성물
장석(feldspar; 長石)은 칼륨, 나트륨, 칼슘, 바륨을 함유한 알루미늄 규산염 광물로서, 화강암의 주요 구성성분이며, 칼륨장석, 나트륨장석, 칼슘장석의 세 가지 단성분의 계열로 주로 산출된다. 칼륨장석과 나트륨장석 및 칼슘장석과 나트륨장석은 연속 고용체를 이루는데, 각각을 알칼리장석, 사장석이라 총칭한다.
본 발명에서 장석은 융제(融劑)로서 유약의 용융점을 저하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장석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유약이 잘 녹지 않아 거친 표면이 형성되거나 유약 말림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너무 많으면 유약의 흐름성과 색상 발현에 문제가 있다. 상기 장석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충남 부여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회석(limestone; 石灰石)은 탄산칼슘(CaCO3)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성암의 일종으로서, 해수 속의 화학침전이나 탄산 석회질의 껍데기가 있는 생물의 화석 등에 의해 생성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CaCO3의 함량이 45 % 이상인 석회석이 채굴되고 있으며, 불순물로는 이산화규소, 알루미나, 마그네시아 등이 포함되어 있다. 산업적으로는 중화제로 사용할 수 있지만 탄산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장시간 교반해서 폭기를 실행할 필요가 있고, 그 외에 석탄, 시멘트, 유리, 카바이드의 원료, 제철, 화학 공업 등 용도가 다양하다.
상기 석회석은 용매제로서 용융점을 저하시키는 기능을 하며, 유약 표면 광택과 유연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상기 석회석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유약이 잘 유약이 용해되지 않아 소성 후 도자기 표면이 거칠게 될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다. 상기 석회석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충북 청주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석(silica stone; 硅石)은 화학성분이 무수규산(無水硅酸; SiO2)으로서 순도가 높고 흰색의 것을 백규석이라 하며, 페그마타이트·석영맥(石英脈)·규암·처트(chert) 등 에서 산출되고, 규산분은 95~97 % 이상이다. 특히 페그마타이트에 포함된 것은 장석과 함께 채굴되므로 장규석(長硅石)이라 하고, 백규석은 주로 유리·도자기·규소·페로실리콘의 원료로 사용된다.
한편, 연규석(軟硅石)은 석영질 암석이 풍화하여 토상(土狀)을 이룬 것으로 다소 점토가 혼합되어 있으며, 내화(耐火) 모르타르나 시멘트의 혼합재로 사용되고, 규산분이 90 % 정도이다. 노재(爐材) 규석은 처트의 일종으로, 철분을 함유하므로 적색을 띠는 각력(角礫)이 있으며 내화벽돌의 주원료가 된다.
내장석(內張石)은 규석의 작은 조각으로, 지름이 5~15cm이며, 도자기 원료 분쇄용 볼밀(ball mill)의 내장용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백규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약의 주재료로서 유리질을 형성하며 백색도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규석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 유약이 잘 녹지 않아 표면이 거칠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반대로 너무 많으면 유약이 잘 녹지 않거나 유약 말림 현상이 나타나며 노란색 반점이 너무 많이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규석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충남 부여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올린(kaolin)은 기본 화학식이 Al2Si2O5(OH)4로 표시되며, 자토(磁土) 또는 백도토(白陶土)라고도 한다. 고순도의 점토로서, 순백(純白)한 것은 도자기의 주원료로 사용된다. 광물학적으로는 카올리나이트(kaolinite)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겨져 왔었으나, 같은 화학식을 지니는 것으로서 나크라이트와 디카이트가 있으며, 카올린 광물에는 이들 3종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카올린은 유약 슬립을 현탁 시키고, 나아가 상기 유약 슬립을 소지(素地)에 점착시키며, 상기 카올린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도자기 표면에서 유약층이 박리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40 중량%를 초과하면 노란색 반점이 너무 많이 형성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카올린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경남 하동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쑥재 유약으로 만든 도자기시험편의 제조
표 2에 따른 조성비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된 유약 조성물을 각각 약 1.5 배량의 물에 혼합하고, 이러한 유약을 각각 백자 컵에 시유한 다음, 가스 가마에 넣고 환원 분위기로 1,250℃의 온도로 소성하여 백자 컵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2
도 2는 본 발명의 유약 조성물을 시유한 도자기 사진이며 윗줄의 도자기가 조성비1의 유약 조성물을 0.3mm 이하 두께로 얇게 시유한 도자기이고, 아랫줄의 도자기가 조성비2의 유약 조성물을 1mm 두께로 두껍게 시유한 도자기이다. 도 2를 보면 은은한 청색을 띠며 광택이 있는 질감을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자기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유광으로 발현되기도 하고 무광으로 발현되기도 하는데, 유광 또는 무광 발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규석과 카올린의 함량 비율의 차이인 것으로 파악된다. 즉, 규석과 카올린의 순서와 상관없이 함량 비율이 1:1~1:3 범위 내에서는 유광으로 발현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약 조성물은 특히 물 컵이나 커피잔, 접시, 사발 등과 같은 생활용 백자기에 시유할 경우, 청아한 백색 바탕에 은은한 청색 빛이 감도는 유광의 토속적인 질감을 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쑥을 태운 재의 분말인 쑥재 및
    장석과 도석, 백운석, 석회석, 규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약 원료를 포함하는,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쑥재 10~60 중량% 및 상기 유약 원료 40~9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은 카올린, 점토, 탄산바륨, 도석, 활석, 백운석, 골회, 황토, 벤토나이트, 산화동, 산화코발트, 산화망간, 산화니켈, 산화티타늄, 산화주석,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올린, 점토, 탄산바륨, 도석, 활석, 백운석, 골회, 황토, 벤토나이트, 산화동, 산화코발트, 산화망간, 산화니켈, 산화티타늄, 산화주석,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의 혼합물은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5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5. 쑥재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쑥재와 장석과 도석, 백운석, 석회석, 규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약 원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쑥재 10∼60 중량% 및 상기 유약 원료 40∼9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은 카올린, 점토, 탄산바륨, 도석, 활석, 백운석, 골회, 황토, 벤토나이트, 산화동, 산화코발트, 산화망간, 산화니켈, 산화티타늄, 산화주석,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올린, 점토, 탄산바륨, 도석, 활석, 백운석, 골회, 황토, 벤토나이트, 산화동, 산화코발트, 산화망간, 산화니켈, 산화티타늄, 산화주석,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의 혼합물은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5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50135567A 2015-09-24 2015-09-24 쑥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830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567A KR101830911B1 (ko) 2015-09-24 2015-09-24 쑥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567A KR101830911B1 (ko) 2015-09-24 2015-09-24 쑥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426A true KR20170036426A (ko) 2017-04-03
KR101830911B1 KR101830911B1 (ko) 2018-02-22

Family

ID=58588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567A KR101830911B1 (ko) 2015-09-24 2015-09-24 쑥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911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541A (ko) * 2017-10-27 2019-05-08 김정 옥수수껍질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47539A (ko) * 2017-10-27 2019-05-08 김정 땅콩껍질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56122A (ko) * 2017-11-16 2019-05-24 변현란 차 잎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3245B1 (ko) * 2018-10-16 2019-07-25 박광천 시래기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2079B1 (ko) * 2019-04-04 2019-12-04 김상곤 호두껍질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82647B1 (ko) * 2019-07-04 2020-02-28 유미숙 도토리 껍질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82645B1 (ko) * 2019-07-04 2020-02-28 유미숙 메밀 껍질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42592A (ko) * 2018-10-16 2020-04-24 김진욱 산딸기나무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61734A (ko) * 2018-11-26 2020-06-03 유용철 밤송이 재를 포함하는 유약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
KR20200070874A (ko) * 2018-12-10 2020-06-18 유용철 자두씨 재를 포함하는 유약을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 방법
KR20200097958A (ko) * 2019-02-11 2020-08-20 유태근 커피재를 이용한 도자기 유약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CN111620703A (zh) * 2020-06-09 2020-09-04 广东富强陶瓷有限公司 一种柔光镀金瓷砖制备方法及其产品
CN111892380A (zh) * 2020-06-22 2020-11-06 南平市建阳区廖铭建盏陶瓷研究所 星空油滴建盏制作工艺
KR102234769B1 (ko) * 2020-06-30 2021-04-01 변현란 호랑이콩 껍질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14628B1 (ko) * 2022-10-05 2023-03-24 변현란 십전대보탕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6102B (zh) * 2018-05-22 2021-03-12 泉州市德化县艾慕陶瓷有限公司 一种用于柴烧陶的钴蓝和闪光质地坯料、其制备方法及其制备的陶瓷及陶瓷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742B1 (ko) 2008-05-07 2009-09-29 김복한 화산재가 혼합된 청자유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85122B1 (ko) 2011-12-30 2013-07-19 이동희 대나무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4251B1 (ko) 2013-08-21 2014-04-14 주식회사 도야 콩깍지 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539A (ko) * 2017-10-27 2019-05-08 김정 땅콩껍질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47541A (ko) * 2017-10-27 2019-05-08 김정 옥수수껍질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56122A (ko) * 2017-11-16 2019-05-24 변현란 차 잎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42592A (ko) * 2018-10-16 2020-04-24 김진욱 산딸기나무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3245B1 (ko) * 2018-10-16 2019-07-25 박광천 시래기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61734A (ko) * 2018-11-26 2020-06-03 유용철 밤송이 재를 포함하는 유약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
KR20200070874A (ko) * 2018-12-10 2020-06-18 유용철 자두씨 재를 포함하는 유약을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 방법
KR20200097958A (ko) * 2019-02-11 2020-08-20 유태근 커피재를 이용한 도자기 유약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KR102052079B1 (ko) * 2019-04-04 2019-12-04 김상곤 호두껍질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82645B1 (ko) * 2019-07-04 2020-02-28 유미숙 메밀 껍질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82647B1 (ko) * 2019-07-04 2020-02-28 유미숙 도토리 껍질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620703A (zh) * 2020-06-09 2020-09-04 广东富强陶瓷有限公司 一种柔光镀金瓷砖制备方法及其产品
CN111892380A (zh) * 2020-06-22 2020-11-06 南平市建阳区廖铭建盏陶瓷研究所 星空油滴建盏制作工艺
KR102234769B1 (ko) * 2020-06-30 2021-04-01 변현란 호랑이콩 껍질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14628B1 (ko) * 2022-10-05 2023-03-24 변현란 십전대보탕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911B1 (ko)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911B1 (ko) 쑥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384251B1 (ko) 콩깍지 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
Ke et al. Dolomite, wollastonite and calcite as different CaO sources in anorthite-based porcelain
KR101924609B1 (ko) 마늘대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TW200925129A (en) Glaze compositions
KR101208350B1 (ko) 지렁이 분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671162B (zh) 珍珠贝壳处理工艺及其利用该工艺所得原料制成的陶瓷及釉料
KR101938260B1 (ko) 동백나무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90056122A (ko) 차 잎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40782A (ko) 담뱃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투명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09053137A (zh) 红土釉下彩工艺瓷及其制备方法
KR20120095106A (ko) 비산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544491A (zh) 一种骨质瓷的泥料配方及其制备工艺
KR20120061546A (ko) 누에 분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572823A (zh) 一种钧瓷仿古蓝釉及其制备方法
KR20190012692A (ko) 유약 및 컬러유약 및 이를 이용한 아트타일의 제조 방법
KR100603885B1 (ko) 성형용 황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73791B1 (ko) 화산암재를 이용한 도자기 소지 조성물
CN105967757B (zh) 一种利用宜君砂制备微晶青釉的方法
KR100429854B1 (ko) 황토와 송이를 포함하는 경량 모르타르
KR100718750B1 (ko) 시유 및 무유 자기질 타일의 제조방법
KR101819149B1 (ko) 부석을 이용한 기능성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소성방법
KR930011258B1 (ko) 파유리를 이용한 무기질 건축용 인조석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357849B1 (ko) 그림타일용 유약,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그림타일 제조방법
CN106673433A (zh) 岳州窑青瓷细碎冰裂片纹釉制品及其制作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74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004

Effective date: 20171130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