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609B1 - 마늘대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늘대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609B1
KR101924609B1 KR1020180007730A KR20180007730A KR101924609B1 KR 101924609 B1 KR101924609 B1 KR 101924609B1 KR 1020180007730 A KR1020180007730 A KR 1020180007730A KR 20180007730 A KR20180007730 A KR 20180007730A KR 101924609 B1 KR101924609 B1 KR 101924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ze
garlic
ashes
pres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득
Original Assignee
김용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득 filed Critical 김용득
Priority to KR1020180007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Ingredients generally applicable to manufacture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 C03C1/002Use of waste materials, e.g. 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Ingredients generally applicable to manufacture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 C03C1/02Pretre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늘대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원소성에서는 연두색 계열의 색, 산화소성 조건에서는 아이보리색톤의 색을 내거나 매트유약 형태의 모습을 보이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마늘대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투명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마늘대재는 유백색을 내게 하는 P2O5 성분과 녹색 등 발색을 내게 하는 MgO 성분이 많기 때문에, 그 결과 도자기로 만들었을 때 유약의 투명도가 낮고 녹색 빛을 띄게 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늘을 수확한 후 용도가 없이 폐기물로 배출되는 마늘대를 재로 태워서 재활용하는 것이므로 환경오염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통상의 유약 제조방법보다 간소한 공정이 되고 비용이 적게 들어서 경제성이 높다.

Description

마늘대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GLAZE COMPOSITION CONTAINING ASHES OF GARLIC STERN AND METHOD OF MANUFACTURINFG THEREOF}
본 발명은 마늘대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원소성에서는 연두색 계열의 색, 산화소성 조건에서는 아이보리색톤의 색을 내거나 매트유약 형태의 모습을 보이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약이란 도자기나 옹기의 표면에 시유(施釉)되고 열처리에 의해 융착된 광택 또는 무광택의 유리 피막으로서 도자기의 투수성을 저하시키고 심미감을 표출시키며 도자기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은 통상 장석, 규석, 석회석 등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색소로서 산화크롬, 산화코발트, 산화철, 산화동, 이산화망간 등과 같은 금속산화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약 조성물을 생활용 도자기에 사용할 경우 색소로 사용된 상기 금속산화물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으므로, 최근에는 천연 식물성 소재를 이용한 환경 친화적 유약 조성물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식물의 재를 다양하게 유약에 재활용하는 시도가 꾸준히 있어왔다. 식물의 재는 비정질(amorpous)의 성분으로 되어있어 다른 원료와의 반응성이 좋으며 미립으로 되어 있어 따로 분쇄과정이 없어도 유약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자기 소성온도를 낮출 수 있다면 연료비를 절감하여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고, 환경 측면에서도 에너지를 절약하여 이로운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관련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285122호(대나무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서는, 대나무를 태워 만든 대나무재를 재활용함으로써, 폐자원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는 효과가 있는 도자기 유약 제조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인 제10-1384251호(콩깍지 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에 따르면, 콩깍지의 재를 포함한 도자기 유약을 도자기에 활용할 경우 청아한 백색 바탕에 은은한 청색 또는 황색 빛이 감도는 토속적인 질감을 발현하는 유약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일상 생활에서 마늘대는 마늘을 수확한 후 버려지는 폐기물일뿐, 다른 용도로 이용되는 경우는 극히 적었다. 그런데 마늘대의 재를 얻어보니, 마늘대재는 다른 식물의 재와 달리 P2O5 MgO 성분이 높아서 독특한 색을 발현하여, 특수한 분야의 유약 재료로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아직 마늘대재를 이용한 유약 조성물의 발명이 공개된 바가 없다. 이에 마늘대를 구하고 재로 만들어, 도자기 유약 중에서도 특유의 발색을 보이는 유약 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P2O5 MgO 성분이 많은 마늘대재를 이용하여, 그 결과 도자기로 만들었을 때 독특한 발색의 유약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착안하고, 이를 이용한 도자기 유약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늘대를 태운 재의 분말인 마늘대재; 및 장석과 도석, 백운석, 석회석, 규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약 원료;를 포함하는, 마늘대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마늘대재는 30~40 중량%, 상기 유약 원료는 60~7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늘대재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마늘대재와 장석과 도석, 백운석, 석회석, 규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약 원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늘대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마늘대재는 30∼40 중량%, 상기 유약 원료는 60∼70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마늘대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투명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마늘대재는 유백색을 내게 하는 P2O5 성분과 녹색 등 발색을 내게 하는 MgO 성분이 많기 때문에, 그 결과 도자기로 만들었을 때 유약의 투명도가 낮고 녹색 빛을 띄게 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늘을 수확한 후 용도가 없이 폐기물로 배출되는 마늘대를 재로 태워서 재활용하는 것이므로 환경오염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통상의 유약 제조방법보다 간소한 공정이 되고 비용이 적게 들어서 경제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늘대재 유약으로 만든, 환원소성 조건 도자기시험편.
도 2는 본 발명의 마늘대재 유약으로 만든, 산화소성 조건 도자기시험편.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마늘대를 태운 재의 분말인 마늘대재; 및 장석과 도석, 백운석, 석회석, 규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통상의 유약 원료;를 포함하는, 마늘대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통상의 도자기용 유약 원료에는 이 기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도자기 투명 유약 원료 성분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장석과 도석, 백운석, 석회석, 규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하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통상의 유약 원료의 성분 중 장석이나 도석의 알칼리 성분은 유약 원료 중 규석 성분과 반응하며 유리질을 만드는 융제 역할을 하며, 석회석과 석회석의 일종인 백운석은 유약을 더 잘 녹게 하며 경도를 높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마늘대재는 30~40 중량%, 상기 유약 원료는 60~7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늘대재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투명도나 광택도가 달라져 무광택의 매트 유약 또는 반매트 유약이 되거나, 소성이 잘 안 될 수 있다.
상기 마늘대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은 카올린, 점토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올린, 점토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의 혼합물은 마늘대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은 산화동, 산화코발트, 산화망간, 산화니켈, 산화티타늄, 산화주석 등의 발색 원료를 첨가하여 비취색, 올리브 그린색, 브라운 색 등을 나타내는 유약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마늘대재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마늘대재와 장석과 도석, 백운석, 석회석, 규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약 원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늘대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마늘대재는 30∼40 중량% 및 상기 유약 원료는 60∼7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늘대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에 카올린, 점토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올린, 점토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의 혼합물을 마늘대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0 중량부 더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마늘대재의 준비 및 성분분석
시판되는 마늘에서 마늘을 얻은 후 남은, 마늘대재를 수거하였고, 이 마늘대재를 물에 담가 잘 저어준 후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그 후 마늘대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물만 제거한 후 다시 물을 넣어 잘 저어주었다. 이 작업을 물이 매끄럽지 않을 때까지 수회 반복한 후 마늘대재를 80~100 ℃로 건조하여 유약 원료로 사용할 마늘대재를 얻었으며, 상기 마늘대재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XRF를 사용하였다(표 1 참조).
Figure 112018007377579-pat00001
(표 1)을 보면, 마늘대재는 도자기용 유약의 느낌을 부드럽게 하여주는 산화인(P2O5)이 6.04 중량% 다른 식물의 재만큼 많이 포함되어 있어 우윷빛 유약으로 만들어 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외에 산화철로 인한 푸른색 유약을 연두색 계열의 색으로 바꾸어 주는 산화마그네슘(MgO)이 16.31 중량%로 아주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연두색을 띄는 유약이 만들어 질 수 있다.
실시예 2. 마늘대재 외의 조성물
장석(feldspar; 長石)은 칼륨, 나트륨, 칼슘, 바륨을 함유한 알루미늄 규산염 광물로서, 화강암의 주요 구성성분이며, 칼륨장석, 나트륨장석, 칼슘장석의 세 가지 단성분의 계열로 주로 산출된다. 칼륨장석과 나트륨장석 및 칼슘장석과 나트륨장석은 연속 고용체를 이루는데, 각각을 알칼리장석, 사장석이라 총칭한다.
본 발명에서 장석은 융제(融劑)로서 유약의 용융점을 저하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장석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유약이 잘 녹지 않아 거친 표면이 형성되거나 유약 말림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너무 많으면 유약의 흐름성과 색상 발현에 문제가 있다. 상기 장석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충남 부여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회석(limestone; 石灰石)은 탄산칼슘(CaCO3)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성암의 일종으로서, 해수 속의 화학침전이나 탄산 석회질의 껍데기가 있는 생물의 화석 등에 의해 생성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CaCO3의 함량이 45 % 이상인 석회석이 채굴되고 있으며, 불순물로는 이산화규소, 알루미나, 마그네시아 등이 포함되어 있다. 산업적으로는 중화제로 사용할 수 있지만 탄산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장시간 교반해서 폭기를 실행할 필요가 있고, 그 외에 석탄, 시멘트, 유리, 카바이드의 원료, 제철, 화학 공업 등 용도가 다양하다.
상기 석회석은 용매제로서 용융점을 저하시키는 기능을 하며, 유약 표면 광택과 유연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상기 석회석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유약이 잘 유약이 용해되지 않아 소성 후 도자기 표면이 거칠게 될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다. 상기 석회석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충북 청주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석(silica stone; 硅石)은 화학성분이 무수규산(無水硅酸; SiO2)으로서 순도가 높고 흰색의 것을 백규석이라 하며, 페그마타이트·석영맥(石英脈)·규암·처트(chert) 등 에서 산출되고, 규산분은 95~97 % 이상이다. 특히 페그마타이트에 포함된 것은 장석과 함께 채굴되므로 장규석(長硅石)이라 하고, 백규석은 주로 유리·도자기·규소·페로실리콘의 원료로 사용된다.
한편, 연규석(軟硅石)은 석영질 암석이 풍화하여 토상(土狀)을 이룬 것으로 다소 점토가 혼합되어 있으며, 내화(耐火) 모르타르나 시멘트의 혼합재로 사용되고, 규산분이 90 % 정도이다. 노재(爐材) 규석은 처트의 일종으로, 철분을 함유하므로 적색을 띠는 각력(角礫)이 있으며 내화벽돌의 주원료가 된다.
내장석(內張石)은 규석의 작은 조각으로, 지름이 5~15cm이며, 도자기 원료 분쇄용 볼밀(ball mill)의 내장용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백규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약의 주재료로서 유리질을 형성하며 백색도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규석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 유약이 잘 녹지 않아 표면이 거칠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반대로 너무 많으면 유약이 잘 녹지 않거나 유약 말림 현상이 나타나며 노란색 반점이 너무 많이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규석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충남 부여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올린(kaolin)은 기본 화학식이 Al2Si2O5(OH)4로 표시되며, 자토(磁土) 또는 백도토(白陶土)라고도 한다. 고순도의 점토로서, 순백(純白)한 것은 도자기의 주원료로 사용된다. 광물학적으로는 카올리나이트(kaolinite)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겨져 왔었으나, 같은 화학식을 지니는 것으로서 나크라이트와 디카이트가 있으며, 카올린 광물에는 이들 3종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카올린은 유약 슬립을 현탁 시키고, 나아가 상기 유약 슬립을 소지(素地)에 점착시키며, 상기 카올린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도자기 표면에서 유약층이 박리될 우려가 있다. 상기 카올린의 산지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경남 하동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마늘대재 유약으로 만든 도자기시험편의 제조
하기 (표 2)에 따른 조합비에 따라, 상기 장석, 규석 및 각 성분을 혼합하고, 마늘대재를 혼합하여 각각 약 1.5 배량의 물에 혼합하여 합하고, 이러한 유약을, 900℃의 온도로 초벌구이한 백자 시편에 시유한 후, 가스 가마에 넣고 환원 분위기 상태와 산화 분위기 상태 각각에서, 1240 ~ 1260℃ 온도에서 1시간 유지한 후 자연냉각 하였다. (표 2)의 아래 삼각형 모양은, (표 2)의 조건에서 각 조건의 번호가 (도 1)과 (도 2)의 도편 사진에서 어떻게 배치되었는지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8007377579-pat00002
(도 1)은 본 발명의 유약 조성물을 시유하고, 환원소성 조건에서 제조한 도자기 시험편의 각 사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유약 조성물을 시유하고, 산화소성 조건에서 제조한 도자기 시험편의 각 사진이다.
환원소성 조건에서 제조한 도편들을 모은 (도 1)의 결과를 보면, 4번, 7번, 8번 도편의 경우 유약이 녹지 않았고, 1번, 2번, 5번 도편의 경우 소성이 덜 되어 안 녹았거나 매트 유약 형태가 되어 버렸다. 3번, 6번 도편의 경우는 매트 또는 반매트 유약 형태가 되었다. 9번, 10번 도편의 경우가, 마늘대재 도자기에서 원하는 광택의 도편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9번, 10번의 도편에 해당하는 조성인, 마늘대재를 30 또는 40프로로 포함시키고, 나머지 성분으로 100프로를 채웠을 때 광택의 나는 유약을 얻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산화소성 조건에서 제조한 도편들을 모은 (도 2)의 결과를 보면, 4번, 7번, 8번 도편의 경우 소성이 되지 않았고, 1번, 2번, 5번 도편의 경우 소성이 덜 되어 녹지 않았거나 매트 유약 형태가 되어 버렸다. 3번, 6번, 9번 도편의 경우는 매트 또는 반매트 유약 형태가 되었다. 10번 도편의 경우가, 마늘대재 도자기에서 원하는 광택의 도편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10번의 도편에 해당하는 조성인, 마늘대재를 40프로로 포함시키고, 나머지 성분으로 100프로를 채웠을 때 광택의 나는 유약을 얻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약 조성물은, 약간의 녹색 빛을 띄는 우유빛 광택의 도편을 제조할 수 있어서, 초벌구이를 한 생활용 도자기에 시유(施釉)할 경우 과도하지 않은 녹색계열의 우유빛 광택을 발하는 장점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마늘대를 태운 재의 분말인 마늘대재 40 중량%, 부여장석 50 중량% 및 부여규석 10 중량%를 포함하는, 마늘대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07730A 2018-01-22 2018-01-22 마늘대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924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730A KR101924609B1 (ko) 2018-01-22 2018-01-22 마늘대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730A KR101924609B1 (ko) 2018-01-22 2018-01-22 마늘대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609B1 true KR101924609B1 (ko) 2018-12-03

Family

ID=64743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730A KR101924609B1 (ko) 2018-01-22 2018-01-22 마늘대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6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079B1 (ko) * 2019-04-04 2019-12-04 김상곤 호두껍질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82645B1 (ko) * 2019-07-04 2020-02-28 유미숙 메밀 껍질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66034A (ko) * 2018-11-30 2020-06-09 유태근 마늘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
KR102377458B1 (ko) * 2021-09-08 2022-03-21 피재성 무균열 화장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251B1 (ko) 2013-08-21 2014-04-14 주식회사 도야 콩깍지 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251B1 (ko) 2013-08-21 2014-04-14 주식회사 도야 콩깍지 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ffect of Functionally-strengthened Fertilizers(Korean J. Soil Sci. Fert. 44(2), 308-315 (2011))*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034A (ko) * 2018-11-30 2020-06-09 유태근 마늘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
KR102213430B1 (ko) * 2018-11-30 2021-02-08 김상구 마늘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
KR102052079B1 (ko) * 2019-04-04 2019-12-04 김상곤 호두껍질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82645B1 (ko) * 2019-07-04 2020-02-28 유미숙 메밀 껍질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7458B1 (ko) * 2021-09-08 2022-03-21 피재성 무균열 화장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911B1 (ko) 쑥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924609B1 (ko) 마늘대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384251B1 (ko) 콩깍지 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
Rhodes Clay and Glazes for the Potter
Ke et al. Dolomite, wollastonite and calcite as different CaO sources in anorthite-based porcelain
Yanyi Raw materials for making porcelain and the characteristics of porcelain wares in north and south China in ancient times
TW200925129A (en) Glaze compositions
KR101938260B1 (ko) 동백나무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Tite The impact of electron microscopy on ceramic studies
CN101671162B (zh) 珍珠贝壳处理工艺及其利用该工艺所得原料制成的陶瓷及釉料
CN107540223A (zh) 一种高硬度的钧瓷宝石蓝釉及其制备方法
KR101208350B1 (ko) 지렁이 분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500536A (zh) 一种高硬度钧瓷铜红釉及其制备方法
CN107285635B (zh) 柴瓷豆青釉
CN109052951A (zh) 一种光致变色钧瓷釉及其制备方法
KR20180040782A (ko) 담뱃재를 포함하는 도자기 투명 유약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09053137A (zh) 红土釉下彩工艺瓷及其制备方法
CN101164961A (zh) 利用磷渣生产陶瓷砖的配方及生产方法
KR20120095106A (ko) 비산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61546A (ko) 누에 분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572823A (zh) 一种钧瓷仿古蓝釉及其制备方法
Kummoonin et al. Fabrication of ceramic floor tiles from industrial wastes
CN107500542A (zh) 一种钧瓷天蓝釉及其制备方法
Bourry A treatise on ceramic industries: a complete manual for pottery, tile, and brick manufacturers
RU2223927C1 (ru) Керамическая масс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