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4350A - 숏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숏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4350A
KR20170034350A KR1020167029608A KR20167029608A KR20170034350A KR 20170034350 A KR20170034350 A KR 20170034350A KR 1020167029608 A KR1020167029608 A KR 1020167029608A KR 20167029608 A KR20167029608 A KR 20167029608A KR 20170034350 A KR20170034350 A KR 20170034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age
work
opening
projection
pro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아키 가가
히로아키 스즈키
쇼이치 야마모토
마사토 우메오카
다쿠야 고야마
Original Assignee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4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1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compacting surfaces, e.g. shot-pe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24C3/1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for treating external surfaces
    • B24C3/14Apparatus using im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24C3/083Transfer or fee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24C3/085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the travelling workpieces being moved into different working positions during trav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6Impeller wheels; Rotor blad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1대의 투사기로 워크에 고르게 투사재를 투사하여 대형화가 억제된 숏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워크(W)를 반송하는 워크 반송 기구와 워크에 투사재를 투사하는 투사기(40)를 구비한 숏 처리 장치(10)이며, 워크 반송 기구가, 워크의 반송 방향(D)으로 연장되어 워크가 적재되고 길이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는 한 쌍의 롤러(28)와, 무단 체인(22)과, 워크를 반송 방향으로 밀어 반송하는 반송 부재(26)를 구비하고, 투사기가 원심식 투사기이며, 내부에 투사재가 공급되고 제1 개구(92X)와 제2 개구(92Y)가 형성된 컨트롤 케이지(92)와,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 경사진 후방 경사부(110)가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블레이드(104)를 구비하고 컨트롤 케이지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임펠러(100)를 구비하고, 컨트롤 케이지의 제1 개구 및 제2 개구는, 서로 컨트롤 케이지의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고, 또한 컨트롤 케이지의 중심 축선 방향으로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는 숏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숏 처리 장치 {SHOT PEE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숏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투사재를 처리 대상물(워크)에 투사하여 워크에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숏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워크인 코일 스프링에 투사재를 투사하여 표면 처리 가공하는 숏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장치에서는, 코일 스프링을 구성하는 스프링 선의 전체 둘레에 고르게 투사재를 투사하기 위해, 코일 스프링을, 길이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블라스트 클리닝실 내에서 반송함과 함께, 2대의 원심식 투사기를 사용하여 코일 스프링에 투사재를 투사하고 있다. 2대의 투사기는, 각각의 임펠러의 회전 방향이 역방향으로 설정되고, 투사 분포에 있어서의 피크 투사각이 상이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71219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숏 처리 장치에는, 2대의 투사기가 필요하므로, 숏 처리 장치 전체가 대형화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1대의 투사기로 워크에 고르게 투사재를 투사함으로써 대형화가 억제된 숏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워크를 반송하는 워크 반송 기구와 상기 워크에 투사재를 투사하는 투사기를 구비한 숏 처리 장치이며,
상기 워크 반송 기구가, 상기 워크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병렬 배치된 한 쌍의 롤러이며 상기 워크가 적재됨과 함께 길이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는 한 쌍의 롤러와,
상기 워크의 반송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무단 체인과,
상기 한 쌍의 롤러의 사이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무단 체인에 장착되고 상기 무단 체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롤러에 적재된 상기 워크를 반송 방향으로 밀어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투사기가, 상기 한 쌍의 롤러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롤러에 적재된 워크에 대해 투사재를 투사하는 원심식 투사기이며,
상기 투사기가, 원통 형상을 갖고 중심 축선이 상기 워크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투사재가 공급되고, 측벽에 상기 투사재의 배출구가 되는 제1 개구와 제2 개구가 형성된 컨트롤 케이지와,
상기 컨트롤 케이지의 외측에서 상기 컨트롤 케이지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 케이지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임펠러이며, 상기 블레이드는, 회전 방향 전방측의 표면에,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 경사진 후방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임펠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 케이지의 제1 개구 및 제2 개구는, 서로 상기 컨트롤 케이지의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고, 또한 상기 컨트롤 케이지의 중심 축선 방향으로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무단 체인이 회전 구동되면 무단 체인에 장착된 반송 부재가, 한 쌍의 롤러에 적재된 워크를 반송 방향으로 밀어 반송한다. 한 쌍의 롤러는 길이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므로, 한 쌍의 롤러에 적재된 워크는, 반송 부재에 의해 반송되면서, 롤러의 회전에 수반하여 롤러 상에서 회전(자전)한다. 이 결과, 투사기로부터 투사된 투사재가, 워크의 외주측으로 고르게 투사되어, 균일한 숏 처리가 달성된다.
투사기에 있어서, 컨트롤 케이지의 외주측에 배치된 임펠러의 블레이드는, 컨트롤 케이지의 주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컨트롤 케이지의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통과하여 배출된 투사재는, 블레이드에 의해 가속되어 워크에 투사된다. 이와 같이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가속되어 투사되는 투사재는, 어느 정도 분산되면서 투사되게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임펠러는, 워크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컨트롤 케이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투사되는 투사재는, 워크의 반송 방향으로 확산되도록 투사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임펠러의 블레이드의 표면에는, 임펠러의 직경 방향에 대해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 경도한 후방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컨트롤 케이지로부터 먼저 배출된 투사재가 블레이드의 표면에 접촉하기 전에, 컨트롤 케이지로부터 나중에 배출된 투사재가 블레이드의 표면에 접촉하여 블레이드의 선단부측을 향해 가속된다. 이에 의해, 먼저 배출된 투사재가 블레이드의 표면에 접촉하는 시점에서는, 나중에 배출된 투사재와 먼저 배출된 투사재가 블레이드의 표면의 가까운 위치에 모아진다. 이 결과, 투사재의 투사는, 워크의 반송 방향을 따른 분산 폭이 억제되어 집중화된다.
또한, 컨트롤 케이지는, 투사재의 배출부로서 제1 개구 및 제2 개구의 2개의 개구를 구비하고, 제1 개구 및 제2 개구는, 서로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고, 또한 상기 컨트롤 케이지의 중심 축선 방향으로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개구 및 제2 개구로부터 각각 배출되는 투사재는, 컨트롤 케이지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로부터 각각 배출되고, 각각 분산 폭이 억제되면서, 워크의 반송 방향으로 어긋나게 투사된다.
이로 인해, 전체적인 투사 분포는, 분산 폭이 억제된 2개의 투사 분포를 합성한 분포가 되어, 투사기에 의한 유효한 투사 범위에 2개의 투사 피크를 갖게 된다. 따라서, 워크는, 1대의 투사기로, 반송 방향 하류측의 경사 상방측과 반송 방향 상류측의 경사 상방측으로부터 밸런스 좋게 숏 처리된다.
상기 제1 개구 및 제2 개구는, 2변이 상기 컨트롤 케이지의 중심 축선에 평행한 직사각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워크에 투사재를 집중적으로 투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후방 경사부의 선단부측에, 상기 후방 경사부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의 경사 각도가 작은 비후방 경사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후방 경사부가 블레이드의 기단부측에 형성됨과 함께, 블레이드의 표면의 선단부측에 비후방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후방 경사부에서 집중된 투사재는 비후방 경사부에서 가속되어 투사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후방 경사부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의 경사 각도가 작은」이라 함은, 그 경사각이, 후방 경사부의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의 경사각보다 작은 경우 외에,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 및 회전 방향 전방측으로 경사져 있는 구성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상기 후방 경사부의 직경 방향 길이가, 상기 비후방 경사부의 직경 방향 길이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블레이드의 후방 경사부에서 투사재를 충분히 모으고 나서 비후방 경사부에서 투사재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상기 후방 경사부와 상기 비후방 경사부가 만곡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블레이드의 후방 경사부에서 투사재를 모은 후, 투사재의 속도를 만곡부 및 비후방 경사부에서 서서히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대의 투사기로 워크에 고르게 투사재를 투사할 수 있으므로, 숏 처리 장치의 대형화가 억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숏 피닝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숏 피닝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숏 피닝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투사기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투사기의 측면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투사기의 컨트롤 케이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숏 피닝 장치에 있어서의 스피너 롤러의 변위 조정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숏 피닝 장치에 있어서의 워크의 반송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숏 피닝 장치의 투사재의 투사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대비예의 숏 피닝 장치의 투사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따라, 본 발명의 숏 처리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인 숏 피닝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면 중, 화살표 FR은 장치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전방측을 가리키고, 화살표 UP는 장치 상방측을 가리키고, 화살표 LH는 장치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좌측을 가리키고 있다.
도 1은 숏 피닝 장치(10)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숏 피닝 장치(10)의 우측면도이고, 도 3은 숏 피닝 장치(10)의 평면도이다. 숏 피닝 장치(10)의 주된 워크(W)는, 코일 스프링이다. 또한, 도면 중의 화살표 D는, 워크(W)의 반송 방향(이하, 간단히 「반송 방향」이라고 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숏 피닝 장치(10)는, 캐비닛(12)을 구비하고 있다. 캐비닛(12)은, 투사재(숏, 숏재라고도 하며, 예를 들어 「강구」임)가 캐비닛(12)의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이격하는 외벽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장치 하부의 착지면은, 장치 상하 방향의 높이가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캐비닛(12)의 내부에는, 투사실(12A)(「투사 부스」, 「가공실」, 「블라스트 클리닝실」이라고도 함)이 형성되어 있다. 투사실(12A)은, 후술하는 투사기(40)에 의해 투사된 투사재에 의해 워크(W)에 「피닝 처리」를 행하는 부스이다.
캐비닛(12)에는, 반송 방향의 상류측(도 1의 좌측)에 투사실 입구(12B)가 형성되고, 반송 방향의 하류측(도 1의 우측)에 투사실 출구(12C)가 형성되어 있다. 투사실 입구(12B)는, 워크(W)를 투사실(12A)에 반입하기 위한 개구이고, 투사실 출구(12C)는, 워크(W)를 투사실(12A)로부터 반출하기 위한 개구이다.
캐비닛(12)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도 1의 좌측)에는, 숏 피닝 장치(10)에 도입되는 워크(W)를 세트하는 세트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워크(W)의 중량 또는 온도 등에 기인하여 사람의 손에 의한 세트 작업이 곤란한 경우에는, 세트부(14)에 반입 장치(도시 생략)를 설치하고, 이 반입 장치를 사용하여 워크(W)를 기계적으로 세트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캐비닛(12)의 내부에는, 워크(W)를 반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워크 반송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워크 반송 기구는, 반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 원기둥 형상의 한 쌍의 스피너 롤러(28)와, 체인 컨베이어(20)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스피너 롤러(28)의 각각은, 동일한 치수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스피너 롤러(28)는, 상부에 워크(W)가 적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병렬 배치된 2개의 스피너 롤러(28)의 상면의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워크(W)가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스피너 롤러(28)는, 길이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동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적재된 워크(W)를 스피너 롤러(28) 상에서 회전(자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체인 컨베이어(20)는, 무단의 체인(22)과, 체인(22)의 외측에 장착된 반송 부재로서의 복수의 어태치먼트(26)를 구비하고 있다. 체인(22)은, 투사실 입구(12B)의 상류측 및 투사실 출구(12C)의 하류측에 배치된 스프로킷(24)에 권회되어 있고, 반송 방향(화살표 D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스프로킷(24)은, 구동원(18)에 연결되고 연속적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다.
도 8은, 체인 컨베이어(20)에 의한 워크(W)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8에서는, 한 쌍의 스피너 롤러(28) 중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스피너 롤러(28)는 생략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무단의 체인(22)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는 어태치먼트(26)는, 봉형의 본체 부분이 체인(22)의 외측을 향해 한 쌍의 스피너 롤러(28)의 사이로부터 돌출되도록, 체인(22)을 따라 등간격으로 장착되어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체인(22)이 어태치먼트(26)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어 있다. 어태치먼트(26)는, 좌우 한 쌍의 체인(22)에 걸쳐져 지지된 체인 플레이트(23) 상에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어태치먼트(26)는, 체인(22)이 회전 구동되면, 봉형의 본체 부분이 한 쌍의 스피너 롤러(28)에 적재된 워크(W)의 후단부를 반송 방향(화살표 D 방향)으로 밀어, 한 쌍의 스피너 롤러(28) 상에서 워크(W)를 연속적으로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이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피너 롤러(28)는 길이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고, 적재된 워크(W)를 자전시키므로, 워크(W)는, 한 쌍의 스피너 롤러(28) 상에서 자전되면서 어태치먼트(26)에 의해 반송되게 된다.
한 쌍의 스피너 롤러(28)의 축부에는, 한 쌍의 스피너 롤러(28)의 간격을 변경 조정하는 간격 조정 기구(30)가 연결되어 있다. 간격 조정 기구(30)는, 각 스피너 롤러(28)의 하방에 배치된 한 쌍의 회동 아암(30A)을 구비하고 있다. 회동 아암(30A)의 선단부는, 한 쌍의 스피너 롤러(28)의 축부를,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각 회동 아암(30A)의 기단부는, 스피너 롤러(28)의 하방에 배치되고 스피너 롤러(28)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회전축(30B)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회전축(30B)은, 장치 프레임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무단 벨트(30C)를 통해 구동원인 구동 모터(30D)의 출력축측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간격 조정 기구(30)는, 구동 모터(30D)에 의해 회전축(30B)을 중심으로 회동 아암(30A)을 요동시키고, 도 7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피너 롤러(28)를 원호 형상 궤도를 따라 변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간격 조정 기구(30)의 회동 아암(30A)을 외측으로 요동시켜, 한 쌍의 스피너 롤러(28)를 도 7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외측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대직경의 워크(W)를 스피너 롤러(28)에 적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크기가 상이한 워크(W)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회동 아암(30A)의 선단부에는, 구동 모터(29)가 브래킷(31)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고, 구동 모터(29)의 출력축이 스피너 롤러(28)의 축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피너 롤러(2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축선 주위로 동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캐비닛(12)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는, 반출 슈트(32)가 설치되어 있다. 반출 슈트(32)는, 그 상류측 단부가, 스피너 롤러(28)의 하류측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전체적으로, 반송 방향 하류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즉, 반출 슈트(32)는, 스피너 롤러(28) 상을 반송되어 온 워크(W)를 화살표 M 방향으로 반출하는 통로부로 되어 있다.
캐비닛(12)의 상벽부에는, 1대의 원심식 투사기(40)가 장착되어 있다. 투사기(40)는, 한 쌍의 스피너 롤러(28)의 상방측에 배치되고, 한 쌍의 스피너 롤러(28) 상을 반송되는 워크(W)에 대해 투사재를 투사한다. 또한, 투사기(40)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투사기(40)의 상방측에는, 투사재 도입 파이프(44)(「도입관」이라고도 함)가 배치되어 있다. 이 투사재 도입 파이프(44)의 상단부는, 커트 게이트(46)(「유량 조정 장치」라고도 함)를 개재하여 투사재 호퍼(48)(「숏 탱크」라고도 말함)에 접속되어 있다. 투사재 호퍼(48)는, 투사재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호퍼이다. 투사재 호퍼(48)는, 내부 공간이 좌우 한 쌍의 구획벽(48D)에 의해 장치 좌우 방향으로 3분할되어 있다. 즉, 투사재 호퍼(48)는, 한 쌍의 구획벽(48D)의 사이에 위치하는 메인부(48A)와, 메인부(48A)의 좌우 양측에 인접하는 한 쌍의 사이드부(48B, 48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투사재 호퍼(48)의 메인부(48A)의 저부는, 전술한 커트 게이트(46)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커트 게이트(46)는, 투사재 호퍼(48)의 메인부(48A)로부터 공급되는 투사재의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개폐 게이트이다.
투사재 호퍼(48)의 좌측의 사이드부(48B)의 저부는, 공급 파이프(34A)를 개재하여 제1 숏 커튼 장치(36)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숏 커튼 장치(36)는, 투사실 입구(12B)의 경사 상방측에 배치되어 캐비닛(12)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숏 커튼 장치(36)는, 공급 파이프(34A)에 접속되는 용기부(36A)를 구비함과 함께, 용기부(36A)의 저부에 접속된 하향의 직사각형 파이프(36B)를 구비하고 있다. 직사각형 파이프(36B)는,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투사재의 유출용 파이프이다.
용기부(36A)는, 그 내부 공간이 상부 구획판에 의해 상부 공간과 하방의 하부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숏 커튼 장치(36)에는, 상부 구획판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한 게이트 기구(36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용기부(36A)의 내부에 있어서, 상부 구획판의 개구부의 하방측에는, 오목 형상의 수용부가 설치되고, 수용부는, 상부 구획판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투사재를 일단 받아내고 나서 하방측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숏 커튼 장치(36)는, 공급 파이프(34A)로부터 공급된 투사재를 용기부(36A) 경유로 직사각형 파이프(36B)로부터 연속적으로 낙하시키는 것(소위 숏 커튼의 생성)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투사실 입구(12B)측은, 게이트 기구(36D)의 게이트 개폐에 의해, 숏 커튼이 개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투사재 호퍼(48)의 우측의 사이드부(48C)의 저부는, 공급 파이프(34B)를 개재하여 제2 숏 커튼 장치(38)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숏 커튼 장치(38)는, 투사실 출구(12C)의 경사 상방측에 배치되어 캐비닛(12)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숏 커튼 장치(38)는, 공급 파이프(34B)에 접속되는 용기부(38A)를 구비함과 함께, 용기부(38A)의 저부에 접속된 하향의 직사각형 파이프(38B)를 구비하고 있다. 직사각형 파이프(38B)는,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투사재의 유출용 파이프이다.
용기부(38A)도, 그 내부 공간이 상부 구획판에 의해 상부 공간과 그 하방의 하부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숏 커튼 장치(38)에는, 상부 구획판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한 게이트 기구(38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용기부(38A)의 내부에 있어서, 상부 구획판의 개구부의 하방측에는, 오목 형상의 수용부가 설치되고, 수용부는, 상부 구획판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투사재를 일단 받아내고 나서 하방측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숏 커튼 장치(38)는, 공급 파이프(34B)로부터 공급된 투사재를 용기부(38A) 경유로 직사각형 파이프(38B)로부터 연속적으로 낙하시키는 것(소위 숏 커튼의 생성)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투사실 출구(12C)측은, 게이트 기구(38D)의 게이트 개폐에 의해, 숏 커튼이 개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숏 커튼 장치(36)와 제2 숏 커튼 장치(38) 사이의 캐비닛(12)의 상방 위치에는, 투사기(40)가 배치되어 있다. 투사기(40)는, 투사재 도입 파이프(44)와, 커트 게이트(46)와, 투사재 호퍼(48)의 메인부(48A)를 개재하여 순환 장치(50)에 연결되어 있다. 순환 장치(50)는, 워크(W)에 투사된 투사재를 반송하여 투사기(40)로 순환시키기 위한 장치이며, 캐비닛(12)의 내부에 있어서의 체인 컨베이어(20)의 하방측에 하부 스크루 컨베이어(52)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 스크루 컨베이어(52)는, 반송 방향(화살표 D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다. 하부 스크루 컨베이어(52)에 있어서의 스크루 날개의 나선 권취 방향은, 장치 우측(하류측)에 배치되는 부위와 장치 좌측(상류측)에 배치되는 부위에서 역방향으로 되어 있다. 즉, 하부 스크루 컨베이어(52)의 스크루 날개는, 투사된 투사재 등을 장치 좌우 방향의 중앙부측으로 반송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스크루 컨베이어(52)의 반송 하류측의 단부는, 도 2에 도시되는 버킷 엘리베이터(54)의 하부 수집부에 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버킷 엘리베이터(54)는, 하부 스크루 컨베이어(52)와 연통되고, 워크(W)에 투사된 투사재를 회수하는 회수 경로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버킷 엘리베이터(54)는, 공지 구조의 버킷 엘리베이터와 동일 구조를 구비하고, 숏 피닝 장치(10)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풀리(54A)(도면 중에서는 하부의 풀리만 도시)에 무단 벨트(54B)가 권회되고, 무단 벨트(54B)에 다수의 버킷(도시 생략)이 장착되어 있다. 풀리(54A)는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이에 의해, 버킷 엘리베이터(54)는, 장치 하부에 낙하하여 하부 스크루 컨베이어(52)에서 회수된 투사재 등(워크(W)에 투사된 투사재와 분립상의 이물의 혼합물)을 버킷에 의해 퍼올려, 장치 하부로부터 장치 상부(캐비닛(12)의 상방)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버킷 엘리베이터(54)의 상단부에는, 분배 상자(56)가 배치되고, 분배 상자(56)는 버킷 엘리베이터(54)의 상부 반출구(투출구부)에 연통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분배 상자(56)는, 버킷 엘리베이터(54)로부터 투출된 투사재를, 투사기(40)에 공급하기 위한 제1 루트(42A)와, 제1 숏 커튼 장치(36)에 공급하기 위한 제2 루트(42B)와, 제2 숏 커튼 장치(38)에 공급하기 위한 제3 루트(42C)로 분배한다.
제1 루트(42A)는, 투사재가, 분배 상자(56)로부터 세퍼레이터(60), 투사재 호퍼(48)의 메인부(48A)(도 1 참조), 커트 게이트(46) 및 투사재 도입 파이프(44)를 통과하여 투사기(40)로 이동하는 루트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되는 제2 루트(42B)는, 투사재가, 분배 상자(56)로부터 분배 파이프(58A), 투사재 호퍼(48)의 좌측의 사이드부(48B) 및 공급 파이프(34A)를 통과하여 제1 숏 커튼 장치(36)로 이동하는 루트이다.
또한, 제3 루트(42C)는, 투사재가, 분배 상자(56)로부터 분배 파이프(58B), 투사재 호퍼(48)의 우측의 사이드부(48C) 및 공급 파이프(34B)를 통과하여 제2 숏 커튼 장치(38)로 이동하는 루트이다.
버킷 엘리베이터(54)의 상단부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분배 상자(56)를 개재하여 세퍼레이터(60)에 접속됨과 함께, 분배 상자(56)를 개재하고, 또한 세퍼레이터(60)를 개재하지 않고 제1 숏 커튼 장치(36)(도 1 참조) 및 제2 숏 커튼 장치(38)에 접속되어 있다.
세퍼레이터(60)는, 워크(W)에 투사된 투사재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경로에 설치되고, 풍력 선별 기구(62)를 구비하고 있다. 풍력 선별 기구(62)는, 세틀링 챔버부(64)를 개재하여 도시하지 않은 집진기의 흡기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집진기는, 투사재에 혼입된 미분 등의 이물(불순물)을 회수하기 위한 것이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블로워)를 구비한다.
풍력 선별 기구(62)는, 투사재와 분립상의 이물의 혼합물을 자연 낙하시키면서, 낙하하는 혼합물에 상향의 기류를 분사함으로써, 기류에 태워지는 경량물과 낙하하는 중량물을 분별한다. 풍력 선별 기구(62)의 하방측에는, 투사재 호퍼(48)의 메인부(48A)(도 1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풍력 선별 기구(62)는, 자연 낙하를 이용하여 재이용 가능한 투사재를 투사재 호퍼(48)의 메인부(48A)(도 1 참조)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세틀링 챔버부(64)는, 풍력 선별 기구(62)에 있어서의 경량물의 유로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흡입된 공기 중의 입자를 우회류에 의해 분리(선별)한다. 세틀링 챔버부(64)는, 흡입된 분립물(이물) 중 입경이 더 작고 가벼운 미분(분상물) 등을 기류에 태워 집진기측으로 배출하고, 입경이 비교적 크고 무거운 미분(입상물) 등을 낙하시켜 조출 파이프(66)를 개재하여 조출 케이스(68)로 배출한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을 따라, 투사기(4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투사기(40)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투사기(40)의 측면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투사기(40)는, 케이스 본체(72)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72)는, 대략 각뿔대의 외형을 갖고, 저부측(도 4의 하방측)이 개방되어 투사재의 투사부로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72)의 저부로부터는 좌우의 베이스(72A)가 서로 이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 베이스(72A)가 캐비닛(12)(도 1 참조)의 상벽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72)의 장치 정면에서 본 안쪽측(도 5의 우측)의 측부(72B)에는, 베어링 유닛(74) 등의 선단부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 본체(72)의 장치 정면에서 본 전방측(도 5의 좌측)의 측부(72C)에는, 도입 통(70)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입 통(70)에는, 투사재 도입 파이프(44)(도 1 참조)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 본체(72)의 정상부는, 덮개(80)가 장착되고, 이 덮개(80)에는, 라이너(78)의 상방 부분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라이너(78)는, 케이스 본체(72)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72)의 내부의 중앙에는, 컨트롤 케이지(92)가 배치되어 있다. 컨트롤 케이지(92)는, 케이스 본체(72)의 장치 정면에서 본 전방측(도 5의 좌측)의 측부(72C)에, 전방면 커버(88)를 개재하여 장착되어 있다. 컨트롤 케이지(92)는, 원통 형상을 갖고, 회전축(77X)과 동심으로 배치되고, 도입 통(70)으로부터 투사재가 내부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컨트롤 케이지(92)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심 축선 CL이 장치 평면에서 보아 반송 방향(화살표 D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컨트롤 케이지(92)의 장치 정면에서 본 전방측(도 5의 좌측)의 개구 단부의 내주부와, 도입 통(70)의 외주부 사이에는, 환상의 브래킷(96)과 시일 부재(9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입 통(70)의 일부는, 도입 통 누름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투사기(40)의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컨트롤 케이지(92)의 측벽(92A)에는, 측벽(92A)을 관통하고, 투사재의 배출부가 되는 제1 개구(92X) 및 제2 개구(92Y)(도 6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컨트롤 케이지(92)의 측면도인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개구(92X) 및 제2 개구(92Y)는, 컨트롤 케이지(92)의 중심 축선 CL에 평행한 2변을 포함하는 직사각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개구(92X) 및 제2 개구(92Y)는, 동일한 치수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개구(92X) 및 제2 개구(92Y)는, 서로 컨트롤 케이지(92)의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고, 또한 컨트롤 케이지(92)의 축선 방향으로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개구(92X) 및 제2 개구(92Y)는, 컨트롤 케이지(92) 상에서, 주위 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72)의 도면 중 우측의 중앙부에는, 베어링 유닛(74)의 선단부(74A)가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베어링 유닛(74)의 선단부(74A)는, 케이스 본체(72)의 도면 중 우측의 측부(72B)에 장착되어 있다. 베어링 유닛(74)은, 베어링(74B)을 구비하고, 회전축(77X)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회전축(77X)의 기단부에는, 제2 풀리(79)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제2 풀리(79)와, 구동 모터(76)(도 2 참조)의 회전축에 장착된 제1 풀리(도시하지 않음)에는, 무단 벨트(81)가 권회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 모터(76)(도 2 참조)의 회전력이 회전축(77X)에 전달된다.
회전축(77X)의 선단부(77A)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원통체인 허브(82)의 원통부(82A)가 키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허브(82)에는, 센터 플레이트(90)가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디스트리뷰터(94)가, 센터 플레이트(90)를 개재하여 회전축(77X)의 선단부(77A)에 볼트(8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스트리뷰터(94)가, 컨트롤 케이지(9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디스트리뷰터(94)는, 내부에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94A)와,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개구를 구비하고, 컨트롤 케이지(92)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컨트롤 케이지(9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디스트리뷰터(94)는, 구동 모터(76)(도 2 참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고, 컨트롤 케이지(92)의 내측에서 회전한다.
디스트리뷰터(94)가 회전함으로써, 도입 통(70)으로부터 컨트롤 케이지(92)의 내측에 공급된 투사재가, 디스트리뷰터(94) 내에서 뒤섞여, 회전하는 디스트리뷰터(94)의 개구로부터, 원심력에 의해, 디스트리뷰터(94)의 개구를 통과하여, 디스트리뷰터(94)와 컨트롤 케이지(92)의 사이의 간극에 공급된다. 이 간극에 공급된 투사재는, 간극 중을, 컨트롤 케이지(92)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고, 컨트롤 케이지(92)의 개구(92X) 및 개구(92Y)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컨트롤 케이지(92)의 제1 개구(92X) 및 제2 개구(92Y)(도 6 참조)로부터의 투사재의 배출 방향은, 디스트리뷰터(94)의 회전 중심(후술하는 임펠러(100)의 회전 중심 C와 동일함)으로부터의 직경 방향에 대해 임펠러(100)의 회전 방향(화살표 R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이 된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허브(82)의 원통부(82A)의 축방향 일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82B)는, 측판 유닛(102)의 원환상의 제1 측판(102A)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측판 유닛(102)은, 컨트롤 케이지(92)의 외주측에 배치된 임펠러(100)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임펠러(100)는, 제1 측판(102A)과, 제1 측판(102A)과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원환상의 제2 측판(102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측판(102A)과 제2 측판(102B)은, 연결 부재(102C)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임펠러(100)는, 제1 측판(102A)과 제2 측판(102B) 사이에 컨트롤 케이지(92)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블레이드(날개)(104)를 구비하고 있다. 임펠러(100)는, 구동 모터(76)(도 2 참조)의 작동에 의해 회전력을 얻어 컨트롤 케이지(92)의 주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임펠러(100)의 회전 방향과 디스트리뷰터(94)의 회전 방향은, 동일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각 블레이드는, 컨트롤 케이지(92)의 외주측에 직경 방향 외측 단부가, 임펠러(100)의 회전 방향(화살표 R 방향)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방향으로, 컨트롤 케이지(92)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임펠러(100)는,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연장되고,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임펠러(100)의 블레이드(104)가, 체인 컨베이어(20)측(반송 경로측)에서는,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이동하도록 회전 방향(화살표 R 방향)이 설정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104)의 회전 방향 전방측의 표면(106)은, 직경 방향 내측(기단부)의 부분에,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 경사진 후방 경사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후방 경사부(110)는, 임펠러(100)의 직경 방향에 대해 30°∼50°의 각도, 회전 방향 후방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40°경사져 있다.
또한, 블레이드(104)의 표면(106)의 선단부측(즉, 후방 경사부(110)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임펠러(100)의 회전 중심 C로부터의 대략 직경 방향(직경 방향 선 L2 방향)으로 연장되는 비후방 경사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즉, 비후방 경사부(114)는, 회전 방향 후방으로의 경사 각도가, 후방 경사부(110)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후방 경사부(110)의 직경 방향 길이는, 비후방 경사부(114)의 직경 방향 길이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후방 경사부(110)와 비후방 경사부(114)는, 만곡부(11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블레이드(104)의 표면(106)과는 반대측의 면(108)은, 기단부에, 직경 방향에 대해 후방 경사부(110)보다 크게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 경사진 경사부(116)를 구비하고 있다. 블레이드(104)의 이면(108)에는, 직경 방향 중간부에 융기부(11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융기부(118)는, 임펠러(100)의 반경 방향 외측의 오목 만곡부가 연결 부재(102C)에 맞닿아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숏 처리 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워크(W)는, 체인(22)의 회전 구동 시에 어태치먼트(26)에 의해 반송 방향(화살표 D 방향)으로 밀림으로써 반송된다. 한 쌍의 스피너 롤러(28)에 적재된 워크(W)는, 어태치먼트(26)에 의한 반송 중, 스피너 롤러(28)의 회전에 의해 자전되므로, 투사기(40)로부터 투사된 투사재는, 워크(W)의 외주 전체에 충돌하고, 워크(W)는 전체가 고르게 숏 처리된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투사기(40)에서는, 컨트롤 케이지(92)의 외주측에 배치된 임펠러(100)가, 컨트롤 케이지(92)로부터 배출된 투사재를, 블레이드(104)에 의해 가속하여 투사한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임펠러(100)의 회전에 의해 가속되어 투사된 투사재는, 어느 정도, 분산되면서 투사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컨트롤 케이지(92)(도 4 참조)의 중심 축선(임펠러(100)의 회전 중심 C와 일치하는 축심)은, 장치 평면에서 보아 워크(W)의 반송 방향(화살표 D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므로, 임펠러(100)의 회전에 의해 투사되는 투사재는, 워크(W)의 반송 방향으로 확산되도록 투사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임펠러(100)의 블레이드(104)의 표면(106)에는, 임펠러(100)의 직경 방향에 대해, 회전 방향(화살표 R 방향) 후방측으로 경도하는 후방 경사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컨트롤 케이지(92)로부터 먼저 배출된 투사재가 블레이드(104)의 표면(106)에 접촉하는 타이밍을 늦출 수 있다. 이에 의해, 먼저 배출된 투사재가 블레이드(104)의 표면(106)에 접촉하는 시점에서는, 나중에 배출된 투사재와 먼저 배출된 투사재가 블레이드(104)의 표면(106)의 가까운 위치에 모아진다. 그 결과, 블레이드(104)의 표면(106)의 후방 경사부(110)에서 투사재를 더욱 효과적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즉, 컨트롤 케이지(92)의 주위 방향의 소정 위치로부터 배출된 투사재의 투사는, 워크(W)의 반송 방향으로의 분산 폭이 억제되어 집중화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컨트롤 케이지(92)는, 투사재의 배출부가 되는 제1 개구(92X) 및 제2 개구(92Y)의 2개의 개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개구(92X) 및 제2 개구(92Y)는, 서로 컨트롤 케이지(92)의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고, 또한 컨트롤 케이지(92)의 축선 방향으로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개구(92X) 및 제2 개구(92Y)는, 컨트롤 케이지(92) 상에서, 주위 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개구(92X) 및 제2 개구(92Y)로부터 각각 배출되는 투사재는, 컨트롤 케이지(92)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로부터 각각 배출되고, 각각 분산 폭이 억제되면서, 도 9에 도시되는 워크(W)의 반송 방향(화살표 D 방향)으로 어긋나게 투사된다.
이로 인해,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인 투사 분포 곡선 d는, 분산 폭이 억제된 2개의 투사 분포 곡선을 합성한 대략 M자 형상의 분포 곡선이 되고, 투사기(40)에 의한 유효한 투사 범위에 2개의 투사 피크 P1, P2를 갖게 된다. 따라서, 워크(W)는, 1대의 투사기(40)에 의한 유효한 투사 범위 내에서 반송 방향 하류측의 경사 상방측과 반송 방향 상류측의 경사 상방측으로부터 밸런스 좋게 숏 처리된다. 즉, 워크(W)의 스프링 선의 전체 둘레에 고르게 숏 처리가 된다.
또한, 도 9의 SL1은, 워크(W)에 대해 반송 방향 하류측의 경사 상방측으로부터의 투사의 투사 방향 중심선을 나타내고, 그 방향은, 제1 투사 피크 P1을 형성하는 투사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의 SL2는, 워크(W)에 대해 반송 방향 상류측의 경사 상방측으로부터의 투사의 투사 방향 중심선을 나타내고, 그 방향은, 제2 투사 피크 P2를 형성하는 투사의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를, 대비 구조와 비교하면서 보충 설명한다. 도 10에는, 대비 구조에 관한 숏 피닝 장치(200)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부에 대해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숏 피닝 장치(200)에서는, 임펠러(204)의 블레이드는, 회전 방향측을 향한 표면이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또한, 컨트롤 케이지에는 측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의 개구가 1개만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숏 피닝 장치(200)의 투사기(202)에서는, 블레이드의 표면에 후방 경사부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1개의 개구로부터 배출된 투사재의 투사는, 본 실시 형태에 비해, 워크(W)의 반송 방향으로의 분산 폭이 크다. 즉, 이 경우의 투사기(202)마다의 투사 분포 곡선 k1, k2는, 끝쪽이 넓어지고 상승이 완만한 곡선이 된다. 또한, 각 투사기(202)의 컨트롤 케이지에는 측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인 개구가 1개밖에 관통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1대의 투사기(202)에 의한 투사에서는 1개의 투사 피크밖에 형성할 수 없다.
숏 피닝 장치(200)는, 체인 컨베이어(20)의 상방측에 있어서 워크(W)의 반송 방향(화살표 D 방향)을 따라 배치된 2대의 투사기(202)를 구비하고 있다. 2대의 투사기(202)는, 임펠러(204)의 회전 중심이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임펠러(204)의 회전 방향은 서로 역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투사기(202)를 2대 배치하면, 장치 전체가 대형화되어 버린다. 또한, 1대의 투사기(202)의 유효한 투사 범위에, 간격을 둔 2개의 투사 피크를 형성하기 어렵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되는 1대의 투사기(40)에 의한 유효한 투사 범위에 2개의 투사 피크 P1, P2를 설정할 수 있어, 워크(W)의 스프링 선의 전체 둘레에 고르게 숏 처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투사기를 복수 대 배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후방 경사부(110)가, 블레이드(104)의 기단부측에 형성되고, 후방 경사부(110)의 선단부측에는 비후방 경사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후방 경사부(110)에 모아진 투사재가 비후방 경사부(114)에서 속도를 증가시키고 나서 투사된다. 이에 의해, 투사 속도를 올리기 위해, 임펠러(100)를 더욱 고속 회전시킬 필요가 없어져, 소비 전력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 경사부(110)의 직경 방향 길이가 비후방 경사부(114)의 직경 방향 길이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블레이드(104)의 후방 경사부(110)에서 투사재를 충분히 모으고 나서 비후방 경사부(114)에서 투사재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블레이드(104)의 표면(106)에는, 후방 경사부(110)와 비후방 경사부(114)가 만곡부(112)에 의해 완만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블레이드(104)의 후방 경사부(110)에서 투사재를 모은 후, 투사재의 속도를 만곡부(112) 및 비후방 경사부(114)에서 서서히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숏 피닝 장치(10)에 의하면, 스프링 등의 워크(W)의 표면 처리 가공을 1대의 투사기(40)로 양호하게 행할 수 있어, 장치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숏 처리 장치가 숏 피닝 장치이지만, 숏 처리 장치는, 숏 블라스트 장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블레이드의 후방 경사부(110)는, 임펠러(100)의 직경 방향에 대해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 40° 경도하고 있고, 후방 경사부의 경사각은, 30°∼50°가 바람직하다고 하였지만, 예를 들어 경사각을 25°, 55° 등의 다른 각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비후방 경사부는,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 경사지지만 그 경사각이 후방 경사부의 경사각보다 작은 구성, 직경 방향에 대해 회전 방향 전방측으로 경사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비후방 경사부를 형성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임펠러의 사이즈가 큰 경우 등에는, 후방 경사부의 직경 방향 길이와 비후방 경사부의 직경 방향 길이를 동등하게 설정해도 된다. 또한, 후방 경사부와 비후방 경사부가 만곡부를 개재하지 않고 접속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블레이드의 이면의 기단부에 경사부(116)가 형성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임펠러가,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허브를 개재하여 장착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투사기(40)가, 도 9에 도시된 상태와는 표리 역방향의 상태로(도면 중의 표면측이 이면측으로 되도록) 배치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술한 복수의 변형예를 적절하게 조합해도 된다.
10 : 숏 피닝 장치(숏 처리 장치)
20 : 체인 컨베이어
22 : 체인
26 : 어태치먼트(반송 부재)
28 : 스피너 롤러(롤러)
40 : 투사기
92 : 컨트롤 케이지
92A : 외주벽
92X : 제1 개구
92Y : 제2 개구
100 : 임펠러
104 : 블레이드
110 : 후방 경사부
112 : 만곡부
114 : 비후방 경사부
C : 임펠러의 회전 중심
CL : 중심 축선
D : 반송 방향
W : 워크

Claims (5)

  1. 워크를 반송하는 워크 반송 기구와 상기 워크에 투사재를 투사하는 투사기를 구비한 숏 처리 장치이며,
    상기 워크 반송 기구가, 상기 워크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병렬 배치된 한 쌍의 롤러이며 상기 워크가 적재됨과 함께 길이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는 한 쌍의 롤러와,
    상기 워크의 반송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무단 체인과,
    상기 한 쌍의 롤러의 사이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무단 체인에 장착되고 상기 무단 체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롤러에 적재된 상기 워크를 반송 방향으로 밀어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투사기가, 상기 한 쌍의 롤러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롤러에 적재된 워크에 대해 투사재를 투사하는 원심식 투사기이며,
    상기 투사기가, 원통 형상을 갖고 중심 축선이 상기 워크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투사재가 공급되고, 측벽에 상기 투사재의 배출구가 되는 제1 개구와 제2 개구가 형성된 컨트롤 케이지와,
    상기 컨트롤 케이지의 외측에서 상기 컨트롤 케이지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 케이지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임펠러이며, 상기 블레이드는, 회전 방향 전방측의 표면에,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 경사진 후방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임펠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 케이지의 제1 개구 및 제2 개구는, 서로 상기 컨트롤 케이지의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고, 또한 상기 컨트롤 케이지의 중심 축선 방향으로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 및 제2 개구는, 2변이 상기 컨트롤 케이지의 중심 축선에 평행한 직사각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숏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후방 경사부의 선단부측에, 상기 후방 경사부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의 경사 각도가 작은 비후방 경사부를 구비하고 있는, 숏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경사부의 직경 방향 길이가, 상기 비후방 경사부의 직경 방향 길이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는, 숏 처리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경사부와 상기 비후방 경사부가 만곡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숏 처리 장치.
KR1020167029608A 2014-07-15 2015-06-25 숏 처리 장치 KR201700343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45181 2014-07-15
JP2014145181 2014-07-15
PCT/JP2015/068322 WO2016009805A1 (ja) 2014-07-15 2015-06-25 ショット処理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350A true KR20170034350A (ko) 2017-03-28

Family

ID=5507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608A KR20170034350A (ko) 2014-07-15 2015-06-25 숏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010998B2 (ko)
JP (1) JP6439993B2 (ko)
KR (1) KR20170034350A (ko)
CN (1) CN106457517B (ko)
BR (1) BR112016023437B1 (ko)
DE (1) DE112015003264T5 (ko)
TW (1) TWI652144B (ko)
WO (1) WO20160098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3545B2 (ja) * 2016-09-15 2019-10-23 新東工業株式会社 ショット処理装置
US10556320B2 (en) * 2017-01-07 2020-02-11 James T. Carnathan Computerize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sand blasting
JP7016507B2 (ja) * 2017-04-21 2022-02-07 株式会社不二製作所 ブラスト加工装置の研磨材加速用インペラ,及びブラスト加工装置,並びに前記インペラの製造方法
WO2019106968A1 (ja) * 2017-11-30 2019-06-06 新東工業株式会社 ショット処理装置及びショット処理方法
CN108581851A (zh) * 2018-06-11 2018-09-28 盐城大丰大龙铸造机械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部件表面处理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1219A (ja) 1999-09-07 2001-03-21 Sintokogio Ltd コイルばねの連続式ショットブラスト設備におけるコイルばねの搬送方法並びにその装置および車輪付きケージ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2666A (en) * 1956-01-31 powell
US2224647A (en) * 1930-05-10 1940-12-10 Grocholl Karl Sand centrifuging cleaning machine
US2108210A (en) * 1934-11-03 1938-02-15 Pangborn Corp Abrading apparatus
US2132311A (en) * 1935-07-10 1938-10-04 American Foundry Equip Co Apparatus for surface treating metal articles
US2116160A (en) * 1935-10-22 1938-05-03 Pangborn Corp Abrading apparatus
US2131767A (en) * 1936-07-01 1938-10-04 American Foundry Equip Co Apparatus for treating metal
US2204634A (en) * 1936-11-17 1940-06-18 American Foundry Equip Co Abrasive-throwing wheel
US2440819A (en) * 1944-03-09 1948-05-04 Pangborn Corp Tumbling mill
US2449745A (en) * 1947-04-01 1948-09-21 Walter E Jewell Shot blasting machine
US2924911A (en) * 1959-05-07 1960-02-16 Wheelabrator Corp Blast finishing machine
US3653239A (en) * 1969-06-27 1972-04-04 Carborundum Co Centrifugal blast wheel
US3694963A (en) * 1970-03-25 1972-10-03 Wheelabrator Frye Inc Centrifugal blasting wheel
US3683556A (en) * 1970-04-13 1972-08-15 Raymond M Leliaert Centrifugal blasting wheel
JPS5032142B1 (ko) * 1971-06-28 1975-10-17
US4034516A (en) * 1974-05-17 1977-07-12 Riichi Maeda Centrifugal blasting apparatus
US3934374A (en) * 1974-08-21 1976-01-27 Wheelabrator-Frye, Inc. Sand reclamation system
JPS5333269Y2 (ko) * 1977-06-22 1978-08-16
BE861175A (fr) * 1977-11-24 1978-03-16 Cockerill Ougree Providence & Turbine de grenaillage a haute performance
US4480413A (en) * 1979-09-24 1984-11-06 Wheelabrator-Frye Inc. Bladed centrifugal blasting wheel
JPS60157166U (ja) * 1984-03-28 1985-10-19 株式会社 ニツチユ− 投射装置のデフレクタ−
JPS60157167U (ja) * 1984-03-28 1985-10-19 株式会社 ニツチユ− 投射装置のデフレクタ−
JPS6471666A (en) * 1987-09-07 1989-03-16 Taiyo Chuki Kk Shot blast material shooting device
US5688162A (en) * 1993-05-27 1997-11-18 Williams; Norman Lewis Blast wheels and cages for blast wheels
CN2438546Y (zh) * 2000-07-24 2001-07-11 任兰亮 自动调整抛丸角的双向抛丸机
JP4702485B1 (ja) * 2010-03-17 2011-06-15 新東工業株式会社 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BE1019279A3 (fr) 2010-04-08 2012-05-08 Rutten Leon Procede de grenaillage et dispositif de controle pour un tel procede.
CN202200184U (zh) * 2011-04-16 2012-04-25 无锡国达机械设备有限公司 安全型弹簧强化抛丸机
KR101652617B1 (ko) 2012-06-12 2016-08-30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쇼트 처리 장치
CN202985359U (zh) * 2012-11-03 2013-06-12 山东省高密市东兴铸造机械有限公司 一种抛丸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1219A (ja) 1999-09-07 2001-03-21 Sintokogio Ltd コイルばねの連続式ショットブラスト設備におけるコイルばねの搬送方法並びにその装置および車輪付きケー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39993B2 (ja) 2018-12-19
JPWO2016009805A1 (ja) 2017-04-27
WO2016009805A1 (ja) 2016-01-21
CN106457517A (zh) 2017-02-22
DE112015003264T5 (de) 2017-04-06
TW201609319A (zh) 2016-03-16
US20160318153A1 (en) 2016-11-03
CN106457517B (zh) 2019-07-09
TWI652144B (zh) 2019-03-01
US10010998B2 (en) 2018-07-03
BR112016023437B1 (pt)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4350A (ko) 숏 처리 장치
US20190143373A1 (en) Separator device and shot processing apparatus
US4198802A (en) Axial flow rotary separator for a combine
TWI609744B (zh) 珠擊裝置
EA034871B1 (ru) Измельчающая машина, имеющая роторную систему, и способ измельчения загружаемого материала
WO2015017116A2 (en) Feed device for linear airflow separator
CN108190548B (zh) 一种烟草均匀输送机
JP6504414B2 (ja) ショット処理装置
JP2014079809A (ja) ショット処理装置
CN103861809A (zh) 具有增压室的空气分离器
KR101195971B1 (ko) 표면가공장치
KR102395420B1 (ko) 분체의 분급 장치 및 분급 시스템
JP6504413B2 (ja) ショット処理装置
JP6821278B1 (ja) 分離装置
JP2004290792A (ja) 粉砕分別機
JP2001058160A (ja) 選別コンベヤ
EP3903940A1 (en) Cement 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grinding particulate material
EP41429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inding particulate material
RU2269887C2 (ru) Способ обмолота и очистки зер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18047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штучной подачи предметов, в частности семян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
KR20170118863A (ko) 숏 블라스트 장치
FI88589C (fi) Pulverisator
JP2010200759A (ja) 脱穀装置
JPH03256673A (ja) 成形品仕上装置
JP2006008304A (ja) エア搬送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