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4075A - 새우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새우강정 - Google Patents

새우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새우강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4075A
KR20170034075A KR1020150132287A KR20150132287A KR20170034075A KR 20170034075 A KR20170034075 A KR 20170034075A KR 1020150132287 A KR1020150132287 A KR 1020150132287A KR 20150132287 A KR20150132287 A KR 20150132287A KR 20170034075 A KR20170034075 A KR 20170034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imp
weight
parts
fried
prep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옥경
Original Assignee
조옥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옥경 filed Critical 조옥경
Priority to KR1020150132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4075A/ko
Publication of KR20170034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0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우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새우강정에 관한 것으로, (S1) 새우를 세척 및 손질하는 단계; (S2) 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콩가루 5 내지 15 중량부 및 강황가루 3 내지 8 중량부를 혼합하여 튀김가루를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단계 (S1)에서 손질된 새우를 상기 단계 (S2)에서 제조된 튀김가루를 도포하는 단계; (S4) 상기 단계 (S3)에서 튀김가루가 도포된 새우를 1차적으로 3 내지 5분 동안 기름에 튀겨서 새우를 60 내지 65%까지 익히는 단계; (S5) 상기 단계 (S4)에서 1차적으로 튀긴 새우를 식힌 다음 다시 2차적으로 3 내지 5분 동안 기름에 튀겨서 새우를 85 내지 90%까지 익히는 단계; (S6) 토마토 케찹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청량고추가루 12 내지 18 중량부, 물엿 12 내지 18 중량부, 간장 12 내지 18 중량부, 고추기름 5 내지 9 중량부, 마늘 25 내지 40 중량부, 생강 10 내지 18 중량부, 양파 10 내지 18 중량부, 카레 5 내지 9 중량부, 후추 1.2 내지 2 중량부 및 황설탕 1.2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여 강정 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S7) 상기 단계 (S5)에서 튀긴 새우를 상기 단계 (S6)에서 제조된 강정 소스로 버무리는 단계; (S8) 기름에 튀긴 마늘, 더덕 및 견과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토핑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S9) 상기 단계 (S7)에서 강정 소스에 버무린 새우에 상기 단계 (S8)에서 준비된 토핑재료로 토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새우강정은 새우의 쫄깃한 식감이 보다 향상되고, 특유의 소스와 양념 구성으로 새콤 달콤한 맛 뿐만 아니라 고소한 맛이 부가되어 기호도가 매우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마늘, 더덕 및 견과류와 같은 토핑재료를 첨가함으로써 추가의 기능성이 부가될 수 있어 웰빙 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새우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새우강정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hrimp gangjeong and shrimp gangjeong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새우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새우강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새우강정 조리시 튀김 공정을 2회에 걸쳐 수행함으로써 새우의 쫄깃한 식감을 그대로 유지하여 기호도가 향상되면서 토핑재료로서 마늘, 더덕 및 견과류를 사용함으로써 기능성이 향상된 새우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새우강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정은 견병(繭餠)이라고도 하며, 약과 , 다식 등과 함께 잔칫상, 큰상, 제사상에 오르던 과자로, 찹쌀가루를 술로 반죽하여 일구어서 여러 모양으로 썰어 그늘에 말렸다가 기름에 튀겨 꿀과 고물을 묻혀서 만든 것이다.
강정의 유래는 한나라 때의 '한구(寒具)'라는 음식에서 찾을 수 있다. 당시 한나라에서는 아침식사를 하기 전에 입맛을 돋우기 위하여 '한구'라는 음식을 먹는 풍속이 있었는데, 이것이 고려시대에 널리 확산된 것으로 추측한다. 1819년 《열양세기시》에 의하면, "인가(人家)에서는 선조께 제사 드리는데 있어 강정을 으뜸으로 삼았다."고 하며, 1849년 《동국세시기》에서는 "오색 강정이 있는데, 이것은 설날과 봄철에 인가의 제물로 '실과 행례'에 들며, 세찬으로 손님을 접대할 때는 없어서는 안 될 음식이다."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강정을 응용한 식품으로 닭강정, 고구마강정, 돼지고기 강정, 견과류 강정, 두부 강정 등 다양한 식품이 개발된 바 있다.
한편, 새우는 우리나라 연안에서 대량 어획되며 이스티딘글루타민과 다량의 아미노산, 핵산 등의 풍부한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으며, 예로부터 젓갈류로 가공하거나 건조하여 식품이나 식품첨가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음식재료이다.
건강식품으로 알려진 새우의 특기할 만한 영양성분은 단백질과 칼슘으로서, 새우속의 단백질은 메티오닌, 라이신을 비롯한 8종의 필수아미노산을 골고루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필수아미노산 외에도 독특한 단맛을 주는 글라이신이라는 아미노산과 베타인이 있어 새우 고유의 맛을 낸다. 또한, 베타인이란 성분은 강장효과가 있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키는 작용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 새우의 칼슘은 멸치보다 그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새우의 단백질은 중간 크기의 생것에는 100g 당 20.1g, 말린 것에는 54.4g이 포함되어 있고, 기타 지방산을 0.6 내지 1.5%, 무기질을 1.5 내지 4% 포함하고 있다.
새우의 효능은 골다공증을 예방해 주고 타우린이 간장병을 예방해주며 저항력을 길러 주고 미각 장애를 개선시킨다. 또한, 유해한 콜레스테롤을 대폭 낮추어서 동맥과 혈관을 지켜주는 역할을 하고, 오메가-3 지방산이 고농도로 들어 있어서 혈관 내의 위험한 혈전이 만들어지는 것을 예방한다.
새우는 키토산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저칼로리 고단백질 식품으로 스테미너에 좋아 정력제로 알려져 있으며, 칼슘 함유량이 생선 이상으로 많을 뿐 아니라 식품 자체에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떨어뜨리는 타우린이 풍부하게 들어있으므로 노화방지 및 인체내 불순물 제거, 고혈압을 비롯한 각종 성인병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비타민이 풍부하여 어린이 성장발육은 물론 미용효과도 만점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새우는 식품학적 측면에서 풍부한 단백질, 아미노산,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 타우린, 베타인, 무기질, 셀레늄, 핵산 등 다양한 종류의 영양성분, 건강기능성분, 무기성분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독특한 풍미기호성이 있어 소비 기호성은 높으나 다른 식재료에 비해 소비가격이 높아 고급 외식상품으로 활용도가 높은 편이다. 또한, 새우에 들어 있는 타우린은 심근경색, 협심증,심장마비 등의 심장병 예방에 효과가 크며, 특히 타우린은 시력회복과 근육의 피로 회복에도 매우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갑각류는 다른 해산물과 같이 정신적 에너지를 높여주는데 이는 패류와 갑각류에는 지방과 탄수화물이 적고 단백질이 다른 영양분과 섞이지 않은 순수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는 새우양식이 보편화되면서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해외 수입량도 증가하면서 외식상품의 원부재료로 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새우는 갑각류 중 장미류에 속하고, 보리새우, 참새우, 범새우, 점새우, 꽃새우 등 그 종류가 다양하며, 글리신이라는 아미노산과 베타인이라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그 특유의 독특한 단맛 때문에 식용으로 널리 쓰인다.
상기와 같은 새우를 이용한 식품 중 대표적인 것에는 새우젓, 대하소금구이 등이 있다. 새우젓은 새우를 이용하여 전통식품인 젓갈을 담은 것으로 다양한 요리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대하소금구이는 새우중 대하라고 불리는 종류에 소금을 얹어 구워먹는 요리다. 이처럼, 국내의 새우 소비방법은 젓갈류, 탕류, 대하구이 등의 요리의 소재로 극히 제한적인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어 경제수준의 향상과 식문화 수준의 다양화ㅇ고급화, 기호성의 다변화 등으로 소비자들의 욕구충족을 만족시키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가공제품 형태의 기능적이고 영양성분을 첨가한 새로운 새우의 가공제품 개발이 요구된다.
일식집 등에서는 생새우 또는 냉동새우를 해동하여 튀김옷을 입혀 기름에 튀긴 새우를 디저트용으로 제공하고 있었던 것을 일반대중에게도 널리 식욕을 부가할 수 있도록 새우튀김이 다양한 방법으로 개발되어 마트 등에 냉동으로 판매되고 있지만 냉동튀김은 새우의 싱싱한 맛을 느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새우를 이용한 전통 가공식품으로서 새우의 고유한 효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새우의 쫄깃한 식감이 향상되고 새콤 달콤한 맛과 함께 고소한 맛이 부가되어 기호도가 향상되어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으면서 기능성이 부가된 새우강정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새우 고유의 효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새우의 쫄깃한 식감을 향상시키고 새콤 달콤한 맛과 함께 고소한 맛이 부가되어 기호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기능성이 부가된 새우강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새우강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강정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S1) 새우를 세척 및 손질하는 단계;
(S2) 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콩가루 5 내지 15 중량부 및 강황가루 3 내지 8 중량부를 혼합하여 튀김가루를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단계 (S1)에서 손질된 새우를 상기 단계 (S2)에서 제조된 튀김가루를 도포하는 단계;
(S4) 상기 단계 (S3)에서 튀김가루가 도포된 새우를 1차적으로 3 내지 5분 동안 기름에 튀겨서 새우를 60 내지 65%까지 익히는 단계;
(S5) 상기 단계 (S4)에서 1차적으로 튀긴 새우를 식힌 다음 다시 2차적으로 3 내지 5분 동안 기름에 튀겨서 새우를 85 내지 90%까지 익히는 단계;
(S6) 토마토 케찹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청량고추가루 12 내지 18 중량부, 물엿 12 내지 18 중량부, 간장 12 내지 18 중량부, 고추기름 5 내지 9 중량부, 마늘 25 내지 40 중량부, 생강 10 내지 18 중량부, 양파 10 내지 18 중량부, 카레 5 내지 9 중량부, 후추 1.2 내지 2 중량부 및 황설탕 1.2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여 강정 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S7) 상기 단계 (S5)에서 튀긴 새우를 상기 단계 (S6)에서 제조된 강정 소스로 버무리는 단계;
(S8) 기름에 튀긴 마늘, 더덕 및 견과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토핑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S9) 상기 단계 (S7)에서 강정 소스에 버무린 새우에 상기 단계 (S8)에서 준비된 토핑재료로 토핑하는 단계.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새우강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새우강정은 새우의 쫄깃한 식감이 보다 향상되고, 특유의 소스와 양념 구성으로 새콤 달콤한 맛 뿐만 아니라 고소한 맛이 부가되어 기호도가 매우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마늘, 더덕 및 견과류와 같은 토핑재료를 첨가함으로써 추가의 기능성이 부가될 수 있어 웰빙 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새우강정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더덕이 토핑된 새우강정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견과류가 토핑된 새우강정 사진이다.
본 발명의 새우강정은 (S1) 새우를 세척 및 손질하는 단계; (S2) 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콩가루 5 내지 15 중량부 및 강황가루 3 내지 8 중량부를 혼합하여 튀김가루를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단계 (S1)에서 손질된 새우를 상기 단계 (S2)에서 제조된 튀김가루를 도포하는 단계; (S4) 상기 단계 (S3)에서 튀김가루가 도포된 새우를 1차적으로 3 내지 5분 동안 기름에 튀겨서 새우를 60 내지 65%까지 익히는 단계; (S5) 상기 단계 (S4)에서 1차적으로 튀긴 새우를 식힌 다음 다시 2차적으로 3 내지 5분 동안 기름에 튀겨서 새우를 85 내지 90%까지 익히는 단계; (S6) 토마토 케찹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청량고추가루 12 내지 18 중량부, 물엿 12 내지 18 중량부, 간장 12 내지 18 중량부, 고추기름 5 내지 9 중량부, 마늘 25 내지 40 중량부, 생강 10 내지 18 중량부, 양파 10 내지 18 중량부, 카레 5 내지 9 중량부, 후추 1.2 내지 2 중량부 및 황설탕 1.2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여 강정 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S7) 상기 단계 (S5)에서 튀긴 새우를 상기 단계 (S6)에서 제조된 강정 소스로 버무리는 단계; (S8) 기름에 튀긴 마늘, 더덕 및 견과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토핑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S9) 상기 단계 (S7)에서 강정 소스에 버무린 새우에 상기 단계 (S8)에서 준비된 토핑재료로 토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우강정의 제조방법의 단계 (S1)은 새우를 세척 및 손질하는 단계로서, 본 발명에서는 싱싱한 홍새우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새우강정의 제조방법의 단계 (S2)는 튀김가루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콩가루 5 내지 15 중량부 및 강황가루 3 내지 8 중량부를 혼합하여 튀김가루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콩가루는 고소한 맛을 부가할 수 있으며, 강황가루는 느끼한 맛을 제어할 수 있어 기호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새우강정의 제조방법의 단계 (S3)은 상기에서 손질된 새우를 튀김가루를 도포하는 단계로서, 튀김가루를 가능한 얇게 도포하여 새우 자체의 식감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새우강정의 제조방법의 단계 (S4)는 상기에서 튀김가루가 도포된 새우를 1차적으로 튀기는 단계로서, 3 내지 5분 동안 기름에 튀겨서 새우를 60 내지 65%까지 익힐 수 있다. 어어서, 단계 (S5)는 1차적으로 튀긴 새우를 식힌 다음 2차적으로 튀기는 단계로서 3 내지 5분 동안 기름에 튀겨서 새우를 85 내지 90%까지 익힐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새우를 1차 및 2차로 나누어서 튀김으로써 새우의 쫄긱하고 생생한 식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새우강정의 제조방법의 단계 (S6)은 강정 소스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토마토 케찹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청량고추가루 12 내지 18 중량부, 물엿 12 내지 18 중량부, 간장 12 내지 18 중량부, 고추기름 5 내지 9 중량부, 마늘 25 내지 40 중량부, 생강 10 내지 18 중량부, 양파 10 내지 18 중량부, 카레 5 내지 9 중량부, 후추 1.2 내지 2 중량부 및 황설탕 1.2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여 강정 소스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정소스는 새우강정의 새콤 달콤한 맛을 부가하여 기호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우강정의 제조방법의 단계 (S7)은 튀긴 새우를 상기에서 제조된 강정 소스로 버무리는 단계로서, 강정 소스의 사용량은 기호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우강정의 제조방법의 단계 (S8)은 토핑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토핑재료는 기름에 튀긴 마늘, 더덕 및 견과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견과류로는 해바라기씨, 호박씨, 땅콩, 검은깨, 아몬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견과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우강정의 제조방법의 단계 (S9)는 강정 소스에 버무린 새우에 준비된 토핑재료로 토핑하는 단계로서, 이에 따라 기호도 및 기능성이 향상된 새우강정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새우강정은 새우의 쫄깃한 식감이 보다 향상되고, 특유의 소스와 양념 구성으로 새콤 달콤한 맛 뿐만 아니라 고소한 맛이 부가되어 기호도가 매우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마늘, 더덕 및 견과류와 같은 토핑재료를 첨가함으로써 추가의 기능성이 부가될 수 있어 웰빙 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홍새우를 준비하여 깨끗하게 세척하고 꼬리가 잘려나가지 않게 깔끔하게 손질하였다.
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콩가루 10 중량부 및 강황가루 4 중량부를 혼합하여 튀김가루를 제조한 다음 손질한 새우에 도포하였다.
이어서, 튀김가루가 도포된 새우를 1차적으로 3 내지 5분 동안 기름에 튀겨내어 새우를 60 내지 65%까지 익한 다음 식히고, 다시 2차적으로 3 내지 5분 동안 기름에 튀겨서 새우를 85 내지 90%까지 익혔다.
한편,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비에 따라 강정 소스를 제조한 다음 이어서, 상기 튀긴 새우를 제조된 강정 소스로 버무렸다.
재료 함량
토마토 케찹 3kg
청량고추가루 500g
물엿 500g
간장 200g
고추기름 200g
마늘 1kg
생강 400g
양파 400g
카레 200g
후추 50g
황설탕 50g
한편, 더덕을 길게 절단하여 상기 강정 소스에 버무린 새우에 토핑하여 새우강정을 제조하였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더덕이 토핑된 새우강정 사진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상기 토핑재료를 견과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새우강정을 제조하였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견과류가 토핑된 새우강정 사진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1> 관능적 특성 분석
본 발명에 따른 야채 족발의 관능적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새우강정에 대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식품의 관능적 식별 능력이 있는 관능검사요원 20명을 선정하여 관능적 품질의 평가 척도는 7점 척도법(7점: 아주 좋다, 6점: 좋다. 5점: 조금 좋다, 4점: 보통이다, 3점: 조금 나쁘다, 2점: 나쁘다, 1점: 아주 나쁘다)으로 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으로는 외관, 색감, 냄새, 맛, 조직감(쫄깃한 식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와 같은 총 6가지 관능항목으로 평가하였으며, 결과는 ANOVA를 이용하여 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각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평균값±표준편차)에 나타내었다.
관능 평가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외관 6.85±1.41 6.78±0.64
색감 6.32±1.25 6.86±0.76
냄새 6.87±1.56 6.23±1.45
6.67±0.62 6.68±1.30
조직감 6.82±1.11 6.56±1.21
전체적인 기호도 6.98±0.21 6.73±0.32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외관, 색감, 냄새, 맛, 조직감 평가에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새우강정이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특히 조직감에 있어서 새우의 쫄긱하고 생생한 식감을 느낄 수 있어서 전체적인 기호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새우강정은 새우의 쫄깃한 식감이 보다 향상되고, 특유의 소스와 양념 구성으로 새콤 달콤한 맛 뿐만 아니라 고소한 맛이 부가되어 기호도가 매우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마늘, 더덕 및 견과류와 같은 토핑재료를 첨가함으로써 추가의 기능성이 부가될 수 있어 웰빙 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3)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강정의 제조방법:
    (S1) 새우를 세척 및 손질하는 단계;
    (S2) 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콩가루 5 내지 15 중량부 및 강황가루 3 내지 8 중량부를 혼합하여 튀김가루를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단계 (S1)에서 손질된 새우를 상기 단계 (S2)에서 제조된 튀김가루를 도포하는 단계;
    (S4) 상기 단계 (S3)에서 튀김가루가 도포된 새우를 1차적으로 3 내지 5분 동안 기름에 튀겨서 새우를 60 내지 65%까지 익히는 단계;
    (S5) 상기 단계 (S4)에서 1차적으로 튀긴 새우를 식힌 다음 다시 2차적으로 3 내지 5분 동안 기름에 튀겨서 새우를 85 내지 90%까지 익히는 단계;
    (S6) 토마토 케찹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청량고추가루 12 내지 18 중량부, 물엿 12 내지 18 중량부, 간장 12 내지 18 중량부, 고추기름 5 내지 9 중량부, 마늘 25 내지 40 중량부, 생강 10 내지 18 중량부, 양파 10 내지 18 중량부, 카레 5 내지 9 중량부, 후추 1.2 내지 2 중량부 및 황설탕 1.2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여 강정 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S7) 상기 단계 (S5)에서 튀긴 새우를 상기 단계 (S6)에서 제조된 강정 소스로 버무리는 단계;
    (S8) 기름에 튀긴 마늘, 더덕 및 견과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토핑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S9) 상기 단계 (S7)에서 강정 소스에 버무린 새우에 상기 단계 (S8)에서 준비된 토핑재료로 토핑하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과류가 해바라기씨, 호박씨, 땅콩, 검은깨 및 아몬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새우강정.
KR1020150132287A 2015-09-18 2015-09-18 새우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새우강정 KR201700340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287A KR20170034075A (ko) 2015-09-18 2015-09-18 새우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새우강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287A KR20170034075A (ko) 2015-09-18 2015-09-18 새우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새우강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075A true KR20170034075A (ko) 2017-03-28

Family

ID=58495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287A KR20170034075A (ko) 2015-09-18 2015-09-18 새우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새우강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40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913B1 (ko) * 2019-01-24 2019-05-23 신인호 마늘새우튀김의 제조방법
CN114287572A (zh) * 2021-12-08 2022-04-08 福建御冠食品有限公司 一种小龙虾风味道地肠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913B1 (ko) * 2019-01-24 2019-05-23 신인호 마늘새우튀김의 제조방법
CN114287572A (zh) * 2021-12-08 2022-04-08 福建御冠食品有限公司 一种小龙虾风味道地肠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441B1 (ko) 비린내가 제거된 즉석취식용 갈치조림 또는 고등어조림과 그 제조방법
CN110637977A (zh) 一种配有罐头的方便面及其所用的配料
KR20130131782A (ko) 우리맛닭 1호 및 2호를 이용한 조리식품
KR20200006339A (ko) 액젓을 이용한 조미김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361551B (zh) 一种辣椒食品及其加工方法
JP2018082637A (ja) 揚げ蒲鉾用組成物および揚げ蒲鉾の製造方法
KR101251324B1 (ko) 전복포 가공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복포
KR101177252B1 (ko) 코다리 영양강정의 제조방법
KR20170034075A (ko) 새우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새우강정
KR20190005039A (ko) 김이 부착된 튀김명태껍질의 제조방법
KR101695303B1 (ko) 숙성된 굴 및 새우를 이용한 매콤한 크림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35255A (ko) 육수와 가마보꼬를 주원료로 한 라면국물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라면의 조리방법
KR100917682B1 (ko) 조미 훈제 새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한 조미 훈제 새우
KR101697756B1 (ko) 비릿한 맛이 제거된 알탕 제조방법
JPH099871A (ja) 菓 子
KR20210039027A (ko) 조미 훈제 새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한 조미 훈제 새우
CN104366402A (zh) 一种腌制竹笋
KR101771126B1 (ko) 삼채 함유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47212B1 (ko) 분말형 조미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213318B1 (ko) 갑각류 살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27139A (ko) 명태 특수부위를 포함하는 코다리조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7121B1 (ko) 참게 매운탕용 메기 다대기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메기 다대기 및 이를 이용한 참게 매운탕 및 그 제조방법
KR100996154B1 (ko) 굴비 덮밥 소스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굴비 덮밥 소스
KR100961243B1 (ko) 심황과 갈치를 첨가한 김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5130782A (ja) 新規漬物、調味液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58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620

Effective date: 2017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