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748A -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 Google Patents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748A
KR20170033748A KR1020150131932A KR20150131932A KR20170033748A KR 20170033748 A KR20170033748 A KR 20170033748A KR 1020150131932 A KR1020150131932 A KR 1020150131932A KR 20150131932 A KR20150131932 A KR 20150131932A KR 20170033748 A KR20170033748 A KR 20170033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rame
link
ro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3256B1 (ko
Inventor
서광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림
Priority to KR1020150131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256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10Ventilating-shafts; Air-sco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Abstract

본 발명은 회동개폐식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관련 조업에서 선박 등의 구조물 내부를 외부의 환경요인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회동개폐식 댐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에서 상측과 하측에 각각 복수로 배열되는 상부 블레이드 및 하부 블레이드를 갖는 블레이드부; 상기 블레이드부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부 샤프트 및 하부 샤프트를 갖는 샤프트부; 상기 상부 샤프트 및 상기 하부 샤프트가 각각 일괄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상부 링크 및 하부 링크를 갖는 링크부; 및 상기 상부 블레이드 및 상기 하부 블레이드를 독립적으로 회동 개폐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DOUBLE ROTATION OPENING AND SHUTTING TYPE DAMPER}
본 발명은 회동개폐식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관련 조업에서 선박 등의 구조물 내부를 외부의 환경요인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회동개폐식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선박 내부 공간으로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고, 외부의 환경요인으로부터 선박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댐퍼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댐퍼는 선박 내부에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되어 개방되는 블레이드를 갖는다. 그리고, 선박 외부에 파도가 높아져 선박 내부로 물이 침투할 우려가 있을 경우 블레이드를 후방으로 회동하여 댐퍼를 폐쇄한다.
그러나, 종래의 댐퍼는 블레이드가 하나의 열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외부의 환경요인에 안정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웠다.
즉, 파도가 높고 강할 경우 블레이드의 기밀성이 약해져 선박 내부로 물이 유입될 위험이 있었고, 선박 운항 중에 블레이드 자체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외부의 환경요인으로부터 선박 내부를 보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블레이드 전체가 하나의 링크 시스템에 연결되어 일괄적으로 계폐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외부 환경요인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댐퍼는 선박 외부에 파도의 높이가 낮아 하측에 위치한 블레이드만 폐쇄해도 충분히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을 경우에도, 블레이드 전체를 폐쇄해야만 했다. 즉, 효율적으로 댐퍼를 운영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선박 외부의 환경요인에 따라 효율적으로 블레이드를 개폐할 수 있으며,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다 안정적으로 선박을 보호할 수 있는 댐퍼가 필요하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6554호 (2013.04.16.)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에서 상측과 하측에 각각 복수로 배열되는 상부 블레이드 및 하부 블레이드를 갖는 블레이드부; 상기 블레이드부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부 샤프트 및 하부 샤프트를 갖는 샤프트부; 상기 상부 샤프트 및 상기 하부 샤프트가 각각 일괄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상부 링크 및 하부 링크를 갖는 링크부; 및 상기 상부 블레이드 및 상기 하부 블레이드를 독립적으로 회동 개폐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는,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프레임 상측 및 하측에 복수로 마련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리프팅러그;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되, 상부 블레이드 및 상기 하부 블레이드 사이에 마련되는 경계판; 상기 프레임 내부에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블레이드부와 접하는 지지체; 및 상기 프레임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블레이드부가 전방으로 회동되는 한계를 결정짓는 리미트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상부 접지체; 및 상기 본체 타단에 연장 형성되는 하부 접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접지체 및 상기 하부 접지체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는 상기 상부 접지체 및 상기 하부 접지체와 접하는 부분에 상기 상부 접지체 및 상기 하부 접지체와 대응되는 형상의 지지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연장 형성된 로드; 및 상기 프레임 양단에 마련되어 상기 로드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로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방, 전방 및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로드에 결합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후방 끝단에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 일단이 상기 로드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3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재의 전방 끝단은 상기 본체의 후방면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로드에 복수 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 외측면에 마련되며, 상부 블레이드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키는 제1 구동모듈; 및 상기 프레임 외측면에 마련되며, 하부 블레이드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키는 제2 구동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모듈 및 제2 구동모듈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핸들부재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블레이드와 하부 블레이드를 독립적으로 개폐할 수 있음으로, 선박 외부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박 외부에 파도의 높이에 따라 상부 블레이드를 개방할 수도 있고 폐쇄할 수도 있다.
또한, 블레이드부는 케이싱부 내측에 복수로 배열되어 선박 외부의 파도가 강할 때에도 물이 선박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외측에 위치한 블레이드에 고장이 발생할 때에도 내부에 위치한 블레이드가 선박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선박 내부를 보호할 수 있어 안정적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쇄된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내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쇄된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내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된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내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된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내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쇄된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를 도 1의 A-A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된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를 도 1의 A-A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1000)는 케이싱부(100), 블레이드부(200), 샤프트부(300), 링크부(400) 및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케이싱부(100)는 프레임(105), 플랜지(110), 리프팅러그(120), 경계판(130), 지지체(140) 및 리미트바(150)를 포함한다.
프레임(105)은 케이싱부(100)의 몸체로써, 전체 외형을 형성한다.
플랜지(110)는 프레임(105)의 전면 테두리 및 후면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110)에는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1000)가 선박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고정홈(11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리프팅러그(120)는 프레임(105)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리프팅러그(120)에 갈고리 등을 걸어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1000)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경계판(130)은 프레임(105)의 양측면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됨으로, 블레이드부(200), 샤프트부(300) 및 링크부(400)를 상부와 하부로 2등분할 수 있다. 이 때, 경계판(130)의 위치는 프레임(105) 중앙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프레임(105)에 마련되는 경계판(130)의 위치에 따라 블레이드부(200), 샤프트부(300) 및 링크부(400)의 상부와 하부의 비율이 결정될 수 있다.
지지체(140) 및 리미트바(150)는 프레임(105) 내부에 마련되며,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쇄된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내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쇄된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내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부(200)는 프레임(105)의 내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블레이드(210)는 경계판(130)을 기준으로 상부에 마련되며, 하부 블레이드(220)는 경계판(130)을 기준으로 하부에 마련된다.
또한, 블레이드부(200)는 본체(230), 상부 접지체(240) 및 하부 접지체(2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230)는 블레이드부(200)의 몸체를 형성하며, 평판 형태일 수 있다.
상부 접지체(240)는 본체(230)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며, 하부 접지체(250)는 본체(230)의 하단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접지체(240)는 본체(230)의 상단에서 소정의 각도로 길이가 연장되며, 상부 접지체(240)의 끝단이 다시 본체(230)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하부 접지체(250)는 본체(230)의 타단에서 상부 접지체(240)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 접지체(250)의 일단이 다시 본체(230)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부 접지체(240) 및 하부 접지체(25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부 접지체(240)와 하부 접지체(250)가 서로 접하였을 때, 완전히 밀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형상이라면 모두 일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부 접지체(240)와 하부 접지체(250)는 서로 접하는 부분에 씰링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상부 블레이드(210) 및 하부 블레이드(220)는 각각 복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블레이드(210) 및 하부 블레이드(220)는 프레임(105)의 폭 방향으로 전방과 후방에 두 개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한 블레이드부(200)는 서로 연동되어 구동부(500)에 의해 동시에 회동되도록 마련된다. 즉, 상부 블레이드(210) 및 하부 블레이드(220)는 각각 이중으로 회동개폐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1000)의 블레이드부(200)는 프레임(105) 내부에 복수로 배열되어 선박 외부의 파도가 강할 때에도 물이 선박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선박 외측에 위치한 블레이드부(200)에 고장이 발생할 때에도 내부에 위치한 블레이드부(200)가 선박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선박 내부를 보호할 수 있어 안정적이다.
또한, 상부 블레이드(210) 및 하부 블레이드(220)는 구동부(500)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개폐된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샤프트부(300)는 블레이드부(200)의 후방에 마련되며, 로드(330) 및 로드 하우징(340)을 포함한다.
로드(330)는 프레임(105) 내부에 마련되되 양단이 프레임(105)의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로드 하우징(340)은 로드(330)의 양단이 위치한 프레임(105)에 마련되며, 로드(330)는 로드 하우징(34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샤프트부(300)는 경계판(1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샤프트(310)는 경계판(130)을 기준으로 상부에 마련되며, 하부 샤프트(320)는 경계판(130)을 기준으로 하부에 마련된다.
한편, 링크부(400)는 블레이드부(200) 및 샤프트부(300)와 마찬가지로, 경계판(130)을 기준으로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링크(450)와 경계판(130)을 기준으로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링크(460)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링크부(400)는 회동부재(410), 제1 링크부재(420), 제2 링크부재(430) 및 제3 링크부재(440)를 포함한다.
회동부재(410)는 상방, 전방,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회동부재(410)의 상단이 로드(33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1 링크부재(420)는 프레임(105) 내부에 마련되되, 회동부재(410)의 후방 끝단에 힌지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링크부재(420)는 프레임(105)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 링크(450) 및 하부 링크(460)에 각각에 위치한 복수개의 회동부재(410)와 힌지 결합된다.
제2 링크부재(430)의 일단은 프레임(105)을 관통하여 돌출된 로드(330)의 일단에 고정 결합된다.
제3 링크부재(440)는 제2 링크부재(430)와 힌지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링크부재(440)는 프레임(105)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 링크(450) 및 하부 링크(460)에 각각에 위치한 복수개의 제2 링크부재(43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다.
또한, 회동부재(410)의 전방 끝단은 본체(230)의 후방면에 결합된다.
정리하면, 회동부재(410)는 상방, 전방,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되, 회동부재(410)의 상단은 로드(330)에 결합 고정되고, 회동부재(410)의 후방 끝단은 제1 링크부재(420)에 힌지 결합되며, 회동부재(410)의 전방 끝단은 본체(230)의 일면에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회동부재(410)는 각 로드(330) 및 본체(230)에 복수로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회동부재(410)는 각 본체(230)의 길이 방향에 복수로 배열되어 안정적으로 블레이드부(200)를 회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 샤프트부(300) 및 링크부(400)는 각 구성을 명확하게 보이기 위해 하나의 열로 나타내었지만, 실제로는 블레이드부(200)와 일치하게 프레임(105)의 폭 방향으로 전방과 후방에 두 개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일실시예에서 링크부(400)는 프레임(105)의 외부와 내부에 동시에 구비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링크부(400)는 프레임(105) 내부 및 외부 둘 중 한 곳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링크부(400)가 프레임(105)의 내부에만 마련될 경우, 블레이드부(200)는 제2 링크부재(430) 및 제3 링크부재(440) 없이 회동부재(410) 및 제1 링크부재(420)의 이동에 따라 회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링크부(400)가 프레임(105)의 외부에만 마련될 경우, 블레이드부(200)는 회동부재(410) 및 제1 링크부재(420) 없이 제2 링크부재(430) 및 제3 링크부재(440)의 이동에 따라 회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500)는 프레임(105) 일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500)는 제1 구동모듈(510), 제2 구동모듈(520) 및 핸들부재(530)를 포함한다.
제1 구동모듈(510)은 프레임(105) 외측면에 마련되어 상부 블레이드(2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 구동모듈(520)의 상측에는 스틱(511)이 결합되어 연장 형성되며, 스틱 상단에는 제1 기어(513)가 결합된다. 그리고, 제1 기어(513)와 직교하여 맞물리도록 제2 기어(515)가 마련되며, 제2 기어(515)는 일측이 로드(330)와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제2 구동모듈(520)은 프레임(105) 외측면에 마련되어 하부 블레이드(22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킨다.
핸들부재(530)는 제1 구동모듈(510) 및 제2 구동모듈(52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핸들부재(530)가 조작됨에 따라 제1 구동모듈(510) 및 제2 구동모듈(520)에 대응되는 블레이드부(200)가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동모듈(510) 및 제2 구동모듈(520)에는 핸들부재(530)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구동부(500)는 통상의 기술자가 실시하기 용이한 주지관용 기술에 해당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블레이드부(20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구동부(500)는 크랭크(미도시)와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하여 블레이드부(200)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링크부(400)가 프레임(105)의 내부 및 외부 중 어느 하나에만 마련된 경우에도 구동부(500)를 통해 블레이드부(200)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실시하기 위한 구동부(500)의 구체적인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가 실시하기에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됨으로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10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부 블레이드(210)의 폐쇄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1 구동모듈(510)에 연결된 핸들부재(53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구동모듈(510)이 핸들부재(530)의 구동력을 스틱(511)에 제공하여 회전하게 한다.
다음, 스틱(511)이 회전함에 따라, 제1 기어(513)가 스틱(511)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다음, 제1 기어(513)가 회전됨에 따라, 직교하여 맞물리는 제2 기어(515)가 회전되며, 동시에 제2 기어(515)의 일단에 결합된 로드(3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다음, 제2 기어(515)의 일단에 결합된 로드(3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동부재(410)가 로드(330)를 축으로 후방으로 회동되며, 회동부재(410)의 후방 끝단에 위치한 제1 링크부재(420)가 회동부재(410)의 회동 궤적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제1 링크부재(420)에 연결된 상부 링크(450) 전체의 회동부재(410)가 제1 링크부재(420)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동시에, 상부 링크(450)의 제2 링크부재(430)는 각 연결된 회동부재(410) 및 로드(330)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제3 링크부재(440)를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부 블레이드(210)가 후방으로 회동하며 폐쇄된다.
이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접지체(240) 및 하부 접지체(250)는 일면이 서로 밀착되어 공기 또는 물이 선박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프레임(105) 내부에서 상부 접지체(240)및 하부 접지체(250)가 접하는 부분에 각각 하부 접지체(250) 및 상부 접지체(240)와 동일한 형상의 지지체(140)가 마련됨으로써, 케이싱부(100)와 블레이드부(200)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체(140)에는 씰링부가 더 마련되어 케이싱부(100)와 블레이드부(200) 사이의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하부 블레이드(220)는 제2 구동모듈(520)에 연결된 핸들부재(5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폐쇄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폐쇄 방법은 상술한 상부 블레이드(210)의 폐쇄 과정과 유사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실시하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됨으로 생략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된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내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된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내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블레이드부(200)의 개방시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구동모듈(510)에 연결된 핸들부재(530)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구동모듈(510)이 핸들부재(530)의 구동력을 스틱(511)에 제공하여 회전하게 한다.
다음, 스틱(511)이 회전함에 따라, 제1 기어(513)가 스틱(511)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다음, 제1 기어(513)가 회전됨에 따라, 직교하여 맞물리는 제2 기어(515)가 회전되며, 동시에 제2 기어(515)의 일단에 결합된 로드(3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다음, 제2 기어(515)의 일단에 결합된 로드(3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동부재(410)가 전방으로 회동되며, 회동부재(410)의 후방 끝단에 위치한 제1 링크부재(420)가 회동부재(410)의 회동 궤적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제1 링크부재(420)에 연결된 상부 링크(450) 전체의 회동부재(410)가 제1 링크부재(420)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동시에, 상부 링크(450)의 제2 링크부재(430)는 각 연결된 회동부재(410) 및 로드(330)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제3 링크부재(440)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부 블레이드(210)가 전방으로 회동하며 개방된다.
이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5)의 내부에는 프레임(105)의 양측면을 가로지르도록 결합된 리미트바(150)가 마련된다. 이러한 리미트바(150)는 상부 블레이드(210)가 전방으로 회동될 수 있는 최대 한계를 결정한다. 그리고, 리미트바(150)는 블레이드부(200)가 개방되었을 때, 블레이드부(200)와 프레임(210) 전면이 이루는 각도는 45° 이하가 되도록 마련됨으로 블레이드부(200) 상면에 눈이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블레이드(220)는 제2 구동모듈(520)에 연결된 핸들부재(530)를 조작하여 개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개방 방법은 상술한 상부 블레이드(210)와 유사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실시하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됨으로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쇄된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를 도 1의 A-A면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된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를 도 1의 A-A면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1000)의 특징을 정리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1000)는 블레이드부(200)가 구동부(500)에 의해 후방으로 회동될 경우 각각 인접한 상부 접지체(240)와 하부 접지체(250)가 완전 밀착되어 폐쇄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1000)는 블레이드부(200)가 구동부(500)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하여 개방될 수 있다.
특히, 블레이드부(200)는 경계판(130)에 의해 상부 블레이드(210) 및 하부 블레이드(220)로 분리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됨으로, 선박 외부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박 외부에 파도의 높이에 따라 하부 블레이드(220)는 폐쇄된 상태에서 상부 블레이드(210)가 개방될 수도 있고 폐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케이싱부 105: 프레임
110: 플랜지 115: 고정홈
120: 리프팅러그 130: 경계판
140: 지지체 150: 리미트바
200: 블레이드부 210: 상부 블레이드
220: 하부 블레이드 230: 본체
240: 상부 접지체 250: 하부 접지체
300: 샤프트부 310: 상부 샤프트
320: 하부 샤프트 330: 로드
340: 로드 하우징 400: 링크부
410: 회동부재 420: 제1 링크부재

Claims (7)

  1.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에서 상측과 하측에 각각 복수로 배열되는 상부 블레이드 및 하부 블레이드를 갖는 블레이드부;
    상기 블레이드부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부 샤프트 및 하부 샤프트를 갖는 샤프트부;
    상기 상부 샤프트 및 상기 하부 샤프트가 각각 일괄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상부 링크 및 하부 링크를 갖는 링크부; 및
    상기 상부 블레이드 및 상기 하부 블레이드를 독립적으로 회동 개폐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는,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프레임 상측 및 하측에 복수로 마련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리프팅러그;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되, 상부 블레이드 및 상기 하부 블레이드 사이에 마련되는 경계판;
    상기 프레임 내부에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블레이드부와 접하는 지지체; 및
    상기 프레임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블레이드부가 전방으로 회동되는 한계를 결정짓는 리미트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상부 접지체; 및
    상기 본체 타단에 연장 형성되는 하부 접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접지체 및 상기 하부 접지체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는 상기 상부 접지체 및 상기 하부 접지체와 접하는 부분에 상기 상부 접지체 및 상기 하부 접지체와 대응되는 형상의 지지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연장 형성된 로드; 및
    상기 프레임 양단에 마련되어 상기 로드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로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인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방, 전방 및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로드에 결합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후방 끝단에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
    일단이 상기 로드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3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재의 전방 끝단은 상기 본체의 후방면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로드에 복수 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 외측면에 마련되며, 상부 블레이드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키는 제1 구동모듈; 및
    상기 프레임 외측면에 마련되며, 하부 블레이드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키는 제2 구동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모듈 및 제2 구동모듈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핸들부재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KR1020150131932A 2015-09-17 2015-09-17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KR101763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932A KR101763256B1 (ko) 2015-09-17 2015-09-17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932A KR101763256B1 (ko) 2015-09-17 2015-09-17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748A true KR20170033748A (ko) 2017-03-27
KR101763256B1 KR101763256B1 (ko) 2017-08-01

Family

ID=58496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932A KR101763256B1 (ko) 2015-09-17 2015-09-17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2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349B1 (ko) * 2018-05-09 2018-06-01 유니슨이테크(주) 하스텔로이 클래딩이 적용된 배연탈황장치의 댐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111B1 (ko) * 2018-11-30 2019-04-05 주식회사 청진 덤핑 도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6554A (ko) 2003-01-20 2004-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품손상방지를 위한 인쇄회로기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577B1 (ko) * 2006-07-31 2012-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기도입장치의 개폐구조
KR101196840B1 (ko) * 2012-05-09 2012-11-01 박양춘 덕트 취출구용 공기의 양방향 분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6554A (ko) 2003-01-20 2004-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품손상방지를 위한 인쇄회로기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349B1 (ko) * 2018-05-09 2018-06-01 유니슨이테크(주) 하스텔로이 클래딩이 적용된 배연탈황장치의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256B1 (ko)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256B1 (ko)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ES2214221T3 (es) Motor de aeronave y cubierta asociada para motor de aeronave.
US20110024213A1 (en) Hood Assembly For A Machine And A Method Of Use Thereof
US20140238760A1 (en) Machine main body and operating machine provided with same
FR2968755A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balistique deportee
CN103429824A (zh) 推土机
KR20110049584A (ko) 트랙터용 써레
JP5821872B2 (ja) 建設機械の吸気構造
CN105035329A (zh) 用于组装飞行器后部的方法
CN101749100A (zh) 发动机罩及具有此发动机罩的移动机械
KR101770421B1 (ko) 웨더 타이트 댐퍼
US20140035293A1 (en) Latch Assembly
KR101837728B1 (ko) 수직축 풍력발전기용 개폐형 블레이드
CN104114291A (zh) 高压清洁机
JP3745510B2 (ja) 建設機械
CN202925592U (zh) 工程机械
DK2992293T3 (en) Vehicle equipped with a protective device of the openable flap to optimize the opening size
CN1936294A (zh) 发动机的冷却装置以及具备发动机的冷却装置的收割机
CN210035642U (zh) 具有可翻转导风板的吸油烟机
JPH11181834A (ja) 作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
JPH06217623A (ja) トラクタモーアの連動カバー
CN219406803U (zh) 密封舱盖组件及航行设备
CN220742707U (zh) 一种汽车主动进气格栅
CN220918124U (en) Toy bucket structure with soil unloading and grabbing functions
KR102614950B1 (ko) 모터타입 멀티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