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135A -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135A
KR20170033135A KR1020150131076A KR20150131076A KR20170033135A KR 20170033135 A KR20170033135 A KR 20170033135A KR 1020150131076 A KR1020150131076 A KR 1020150131076A KR 20150131076 A KR20150131076 A KR 20150131076A KR 20170033135 A KR20170033135 A KR 20170033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cken
receiving portion
cooking
upper plat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8042B1 (ko
Inventor
안재섭
Original Assignee
태현에프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현에프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현에프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1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042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써, 개시된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저면 사방에 설치되는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조리용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일측에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제1수용부와, 타측에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제2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용기 안착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수용부에는 전면을 통해 출입되는 트레이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Work table for multi-type chicken cooking}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치킨 조리시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우선 이하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후술되는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에 대한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배경이 되는 기술에 언급된 내용이 선행기술로 단정될 필요는 없다.
일반적으로 닭고기는 가격이 저렴하고, 풍부한 양질의 단백질 및 불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그 맛이 담백하고, 소화흡수가 잘되는 육류 식품 중 하나이다.
이러한 닭고기의 조리방법으로는 삼계탕이나 닭백숙과 같이 열수에 삶는 방법, 기름에 튀기는 방법, 양념과 함께 찜 조리를 하는 방법이 있으며, 치킨의 표면에 양념을 발라 오븐에서 구워내는 방법 등이 있다.
대표적인 닭고기 조리방법으로 기름에 튀기는 프라이드치킨은 닭고기를 조각 내거나 통째로 뜨거운 기름에 튀겨내는 것으로써, 밀가루를 기본으로 한 가루 형태 또는 반죽 형태의 옷을 입혀서 튀긴다. 중세시대 지중해 유역에서 시작된 닭튀김 요리가 여러 국가로 전해지며 발달 되다가 미국으로 전해졌으며, 스코틀랜드 이민자들이 전한 튀김 닭 요리에 아프리카로부터 온 흑인들이 먹던 향신료가 더해져 지금의 프라이드치킨이 탄생했다. 지역에 따라 만드는 방법이 달라 맛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바삭바삭한 껍질과 간이 잘 배인 부드러운 속살이 특징이며, 이러한 프라이드치킨은 튀긴 상태 그대로 섭취하기도 하지만, 표면에 다양한 양념 소스나 부재료를 가미하여 섭취하기도 한다.
또한, 기름을 사용하지 않고, 오븐을 이용하여 구워내는 오븐치킨은 닭고기의 표면에 간단히 간을 맞춘 후 오븐에 넣고 구워서 조리하는 로스트치킨이 있고, 풍미를 높이기 위해 닭의 표면에 곡물가루를 입혀 오븐에 넣고 구워서 조리하는 베이크치킨 등이 있으며, 로스트치킨의 표면에 양념 소스 또는 부재료를 가미하여 섭취하기도 한다.
한편, 프라이드치킨이나 오븐치킨을 조리함에 있어서, 튀겨진 닭고기의 표면에 양념 소스를 바르거나, 베이크 치킨을 만들기 위하여 닭고기의 표면에 파우더와 함께 곡물가루를 입히는 작업 등을 수행시 작업의 편의성을 위하여 작업대를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조리실 공간에 프라이드치킨용 작업대와 오븐치킨용 작업대가 별도로 구성되어 설치되면서 복수의 작업대가 조리실 공간을 넓게 차지하게 됨에 따라 조리실의 공간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고, 조리과정에 필요한 동선이 커지게 되며, 조리과정 또한 복잡해져 조리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실안 제20-0362589호(2004년09월18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프라이드치킨과 오븐치킨의 조리에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작업대를 구성함으로써, 작업대에 의한 조리실의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프라이드치킨 및 오븐치킨의 조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판과, 그러한 상판의 저면 사방에 설치되는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조리용 작업대에 있어서, 상판은 일측에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제1수용부와, 타측에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제2수용부와,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용기 안착공을 포함하며, 제2수용부에는 전면을 통해 출입되는 트레이가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 제1수용부에 근접하는 조리용 작업대의 한쪽에는 닭고기를 튀기기 위한 튀김장치가 접면되어 설치되고, 제2수용부에 근접하는 조리용 작업대의 다른 한쪽에는 닭고기를 굽기 위한 오븐장치가 접면되어 설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판에는 튀김장치와 접면되는 측면 및 후면에 수직 상방으로 돌출된 방지턱이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제2수용부의 상측 내면에는 오븐구이그릴이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대향된 양측에 걸림턱이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판의 하부에는 상판과 평행을 이루며, 사방 모서리가 다리부재에 연결되는 선반이 더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 제1수용부에는 배수부가 더 구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배수부는 제1수용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수공과, 배수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재와, 일단이 배수공과 연결되어 배수공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다리부재의 저면에는 높이조절구가 설치되어 상판의 수평 내지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다리부재의 저면에는 구름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작업대를 통해 프라이드치킨의 조리를 위하여 튀겨진 닭고기의 표면에 양념 소스를 버무리거나, 오븐치킨의 조리를 위하여 닭고기 표면에 파우더를 이용하여 곡물가루를 입히는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치킨의 조리에 따른 작업 동선이 단축되고, 조리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하나의 작업대를 통해 프라이드치킨과 오븐치킨의 조리작업을 개별적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조리실의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작업대의 청소 및 유지 관리를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의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기재된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기재된 내용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기재된 내용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의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는 크게 상판(100)과, 그러한 상판(100)의 저면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상판(100)이 이격될 수 있도록 해주는 다리부재(200)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상판은 구체적으로 프라이드치킨의 조리를 위한 제1수용부(110)와, 오븐치킨의 조리를 위한 제2수용부(120)와, 용기(400)가 안착 되는 용기 안착공(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와 함께 제2수용부(120)의 내외부를 출입하는 트레이(14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 예시된 도 1 및 도 2 를 통해 전술한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판(100)은 편평한 소정 두께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프라이드치킨을 조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오븐치킨을 조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판(100)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보면, 상판(100)의 한쪽에는 소정 깊이로 함몰된 제1수용부(110)가 형성된다.
제1수용부(110)는 상측만 개방되고 나머지는 폐쇄되는 구조가 될 수 있으며, 제1수용부(110)의 내부에는 필요에 따라 격판이나 받침대를 설치하여 제1수용부(110) 내부에 수용되는 프라이드치킨을 종류별, 시간별, 크기별로 구분시킬 수도 있다.
제1수용부(110)는 상판(100)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몰됨에 따라 제1수용부(110)의 아래쪽이 상판(100)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면서 다리부재(200) 사이에서 그대로 노출되므로 외관의 미려함을 위해 상판(100)의 전면과 측면에는 제1수용부(110)의 돌출된 하부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가려주기 위한 가림판(160)이 설치될 수 있다.
제1수용부(110)에는 내부의 청소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배수부의 실시 예는 도면으로 예시되지 않았지만, 제1수용부(110)의 바닥면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이때 바닥면은 배수공을 향하여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으며, 배구공의 아래쪽에는 연결관의 일측이 고정되고, 연결관의 타측은 작업대의 외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면서 배수공으로 배수되는 물이 연결관을 통해 작업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배수공에는 배수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덮개와 같은 개폐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제1수용부(110)와 대향되는 상판(100)의 다른 한쪽 또한 소정 깊이로 함몰된 제2수용부(120)가 형성된다.
제2수용부(120)는 상측과 함께 전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제2수용부(120)의 상측에는 오븐구이그릴(500)이 안착 고정되고, 전면으로는 트레이(140)가 출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수용부(120)의 상측 내면에는 오븐구이그릴(500)이 안정되게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대향된 전후면 또는 대향된 양측면 또는 사방에 걸림턱(121)이 형성될 수도 있다.
트레이(140)는 사방의 테두리가 상측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면서 상측이 개방되는 함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전면에는 트레이(140)를 제2수용부(120)에 용이하게 출입시키기 위하여 손잡이(14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판(100)의 제1수용부(110)와 제2수용부(120)의 사이에는 용기(400)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용기 안착공(130)이 형성되며, 용기 안착공(130)은 사용되는 용기(400)와 상응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용기 안착공(130)의 실시 예는 보울 형상의 용기(4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판(100)에 원형으로 구멍이 관통 형성된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용기 안착공(130)의 안쪽에 용기(400)가 걸려 빠지지 않도록 걸림돌기(도면중 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용기 안착공(130)은 상판(100)에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으며, 크기는 동일 또는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용기 안착공(130)의 내주면에는 실리콘과 같은 마찰부재가 설치되어 용기 안착공(130)이 끼워진 용기(400)가 용기 안착공(130) 내에서 불필요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판(100)의 아래쪽에는 상판(100)과 평행을 이루면서 사방 모서리가 다리부재(200)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편평한 선반(300)을 설치하여 프라이드치킨 및 오븐치킨의 조리에 필요한 재료나 도구 등을 정리하여 보관할 수도 있다.
다리부재(200)의 하단에는 높이조절(도면부호 미표기)를 설치하여 상판(100)의 수평을 맞추거나 설치면으로부터 상판(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다리부재(200)의 하단에는 로울러와 같은 구름부재(도면중 미도시)가 설치되어 작업대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때 구름부재에는 구름이 방지될 수 있는 방지수단이 함께 구비될 수 있다.
다리부재(200)의 하단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름부재가 설치되어 구름작용 및 높이조절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작업대는 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튀김장치(도면중 미도시)와 오븐장치(도면중 미도시)의 사이에 놓이게 되며, 이때, 튀김장치는 작업대의 제1수용부(110)와 근접하도록 작업대의 측면에 배치시키고, 오븐장치는 작업대의 제2수용부(120)와 근접하도록 작업대의 반대쪽 측면에 배치시킴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튀김장치가 제1수용부(110)와 근접하는 작업대의 측면에 위치하는 경우 튀감장치의 기름이 튀어 상판(100)으로 이동되거나, 기름에 의한 뜨거운 열기가 상판(100)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튀김장치를 향하는 상판(100)의 측면에 상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소정 높이의 방지턱(150)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판(100)의 후면 또한 상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소정 높이의 방지턱(150)을 함께 구비함으로써, 상판(100)의 후면쪽으로 재료나 조리기구 등이 넘어가면서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상판(100)의 측면과 후면에 형성되는 방지턱(150)은 개별적 각각 또는 일체형태로 함께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작업대가 프라이드치킨과 오븐치킨의 조리에 사용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작업대의 이용 형태는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하면 먼저 프라이드치킨의 경우, 튀겨진 닭고기에 양념 소스를 입히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제1수용부(110)와 근접하는 작업대의 측면에 위치한 튀김장치로부터 튀겨진 닭고기는 양념 소스를 입히기 위하여 상판(100)의 제1수용부(110)로 이동되며, 이때 튀겨진 닭고기에서 배출되는 기름은 안전하게 제1수용부(110)의 내부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통상적으로 튀김장치에서는 닭고기가 튀김망에 담겨진 상태로 튀겨지게 되므로 닭고기가 정해진 시간 동안 튀겨진 후, 튀겨진 닭고기가 수용된 튀김망을 그대로 제1수용부로 간단히 이동시킬 수 있으며, 다른 예로 튀겨진 닭고기가 빠지지 않을 정도의 격자형태 받침망(도면중 미도시)에 구비하여 제1수용부에 설치하고, 그러한 받침망에 튀겨진 닭고기를 올려놓을 수도 있다.
제1수용부(110)에 튀겨진 닭고기를 수용시킨 상태에서 일측 용기(400)에 선택된 양념 소스를 일정량 넣은 다음 그러한 양념 소스의 양과 비례하여 튀겨진 닭고기를 일측 용기(400)에 함께 집어넣은 후, 양념 소스가 튀겨진 닭고기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입혀지도록 버무림으로써, 양념 소스가 가미된 프라이드치킨 요리가 완성될 수 있다.
한편, 오븐치킨의 경우, 타측 용기(400)에 물과 밀가루와 소정의 양념이 가미된 파우더를 일정량 넣은 다음 그러한 파우더의 양과 비례하여 손질과 숙성과 칼집이 난 1차 조리된 닭고기를 타측 용기에 함께 넣은 후, 파우더가 1차 조리된 닭고기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입혀지도록 버무려 둔다. 이때 일정 시간 숙성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수용부(120)의 상측에는 오븐구이그릴(500)을 설치하여 오븐구이그릴(500)의 대향된 양단이 걸림턱(121)에 걸리도록 한 후, 그러한 오븐구이그릴(500) 위에 이전에 파우더가 입혀진 닭고기를 겹치지 않도록 고르게 펼쳐 놓는다.
이후, 파우더가 입혀진 닭고기에 준비된 현미가루와 같은 곡식가루를 고르게 뿌려주면서 토핑을 한다.
이 과정에서 곡식가루의 일부는 파우더가 입혀진 닭고기에 붙게 되고, 일부는 아래쪽으로 떨어지게 되며 떨어진 곡식가루는 제2수용부(120)의 아래쪽에 위치한 트레이(140)의 내부에 쌓여 진다.
곡식가루가 입혀진 상태로 오븐구이그릴(500)에 놓여진 닭고기는 이후 분무기를 이용하여 표면에 수분을 가미한 후, 제2수용부(120)와 근접하는 작업대의 다른 측면에 위치한 오븐장치로 바로 이동되어 오븐장치에 의해 오븐치킨 요리로 완성된다.
한편, 트레이(140)에 쌓여 진 곡식가루는 다시 회수될 수 있으며. 회수된 이후 오븐 구이를 위해 새롭게 준비되는 파우더가 입혀진 닭고기에 다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프라이드치킨의 양념 소스를 버무리는 작업과 오븐치킨을 위해 파우더가 발라진 닭고기에 곡물가루를 입히는 작업은 작업대에서 개별적 또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작업대의 제1수용부(110)는 프라이드치킨 전용으로 사용되고, 제2수용부(120)는 오븐치킨 전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예를 들어 제2수용부(120)의 오븐구이그릴(500)에 튀겨지지 않은 1차 조리된 닭고기를 올려놓고 그 위에 빵가루를 입히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다량의 오븐치킨을 위한 다량 파우더에 많은 양의 닭고기를 버무리기 위하여 제1수용부(110)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수용부(110)에 배수부가 구비되는 경우, 배수부를 이용하여 용기(400)나 오븐구이그릴(500)을 세척할 수도 있으며, 그 밖의 조리에 필요한 도구를 세척할 수도 있어 작업대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상판 110 : 제1수용부
120 : 제2수용부 121 : 걸림턱
130 : 용기 안착공 140 : 트레이
141 : 손잡이 150 : 방지턱
160 : 가림판 200 : 다리부재
300 : 선반 400 : 용기
500 : 오븐구이그릴

Claims (9)

  1.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저면 사방에 설치되는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조리용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일측에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제1수용부;
    타측에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제2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용기 안착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2수용부에는 전면을 통해 출입되는 트레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에 근접하는 상기 조리용 작업대의 한쪽에는 닭고기를 튀기기 위한 튀김장치가 접면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수용부에 근접하는 상기 조리용 작업대의 다른 한쪽에는 닭고기를 굽기 위한 오븐장치가 접면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상기 튀김장치와 접면되는 측면 및 후면에 수직 상방으로 돌출된 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부의 상측 내면에는 오븐구이그릴이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대향된 양측에 걸림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하부에는 상기 상판과 평행을 이루며, 사방 모서리가 상기 다리부재에 연결되는 선반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에는 배수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1수용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수공;
    상기 배수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재; 및
    일단이 상기 배수공과 연결되어 상기배수공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결관;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의 저면에는 높이조절구가 설치되어 상기 상판의 수평 내지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의 저면에는 구름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
KR1020150131076A 2015-09-16 2015-09-16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 KR101768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076A KR101768042B1 (ko) 2015-09-16 2015-09-16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076A KR101768042B1 (ko) 2015-09-16 2015-09-16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135A true KR20170033135A (ko) 2017-03-24
KR101768042B1 KR101768042B1 (ko) 2017-08-14

Family

ID=5850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076A KR101768042B1 (ko) 2015-09-16 2015-09-16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0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725B1 (ko) * 2019-10-01 2020-06-29 공동관 베이크치킨 제조 방법
KR20210137805A (ko) 2020-05-11 2021-11-18 교촌 에프 앤 비(주) 조리용 작업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571B1 (ko) 2020-11-17 2021-04-22 (주)곱창114 식자재 손질 작업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589Y1 (ko) 2004-06-29 2004-09-18 정동은 조리용 다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046Y1 (ko) * 2000-11-24 2001-05-15 박성배 전기튀김기용 작업대
CN201219834Y (zh) * 2008-05-20 2009-04-15 刘正雄 静电诱导煎烤炉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589Y1 (ko) 2004-06-29 2004-09-18 정동은 조리용 다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725B1 (ko) * 2019-10-01 2020-06-29 공동관 베이크치킨 제조 방법
KR20210137805A (ko) 2020-05-11 2021-11-18 교촌 에프 앤 비(주) 조리용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042B1 (ko) 201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042B1 (ko)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
US20180103800A1 (en) Cookware with attached multipurpose receptacle assembly
AU2016284684A1 (en) Cooking splatter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US20060054157A1 (en) Smokeless grill
US20170273505A1 (en) Non-Electric, Non-Steaming Stove Top/Grill Adapter and Method of Use
KR101404928B1 (ko) 다용도 냄비
KR101841579B1 (ko) 다용도 양면 냄비
KR20170122967A (ko) 회전 냄비
CN219088976U (zh) 一种多功能煎烤机
KR101580876B1 (ko) 밥을 이용한 요리 제조 방법
JP2021078952A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
KR200335328Y1 (ko) 양면 조리기구
KR200272449Y1 (ko) 한지 황토구이판
KR200365191Y1 (ko) 3가지 이상의 복합메뉴를 제공하는 로스터
CN209863444U (zh) 一种新型多功能烘烤、蒸、煮、焖器皿
KR20170098404A (ko) 기름배출구가 있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후라이팬
KR20130080590A (ko) 구이기
JP3205046U (ja) 焼き魚の調理容器
CN201205200Y (zh) 一种多功能火锅
CA3091425C (en) A multi-purpose cooking set
KR200339348Y1 (ko) 다목적 조리기구
JP5852362B2 (ja) 調理器具
KR20150005255A (ko) 기름 튀김 방지 후라이팬
KR200274690Y1 (ko) 한지 게르마늄 맥반석 구이판
KR200478266Y1 (ko)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