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571B1 - 식자재 손질 작업대 - Google Patents

식자재 손질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571B1
KR102243571B1 KR1020200153245A KR20200153245A KR102243571B1 KR 102243571 B1 KR102243571 B1 KR 102243571B1 KR 1020200153245 A KR1020200153245 A KR 1020200153245A KR 20200153245 A KR20200153245 A KR 20200153245A KR 102243571 B1 KR102243571 B1 KR 102243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cutting board
support unit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봉호
Original Assignee
(주)곱창114
노봉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곱창114, 노봉호 filed Critical (주)곱창114
Priority to KR1020200153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47B77/022Work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곱창 등과 같은 육가공 식자재 뿐만 아니라, 채소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식자재를 손질할 수 있도록 구현한 식자재 손질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식자재로부터 분리된 잔여물을 담기 위한 싱크보울; 상기 싱크보울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보울 지지대; 및 식자재를 손질하기 위한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싱크보울의 상측 개구부를 덮으면서 상기 보울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작업 도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자재 손질 작업대{FOOD PREPARATION WORKBOARD}
본 발명은 식자재 손질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곱창 등과 같은 육가공 식자재 뿐만 아니라, 채소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식자재를 손질할 수 있도록 구현한 식자재 손질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급식소나 식당 등의 주방에서는 다량의 야채나 식품재료를 세척하거나 조리하는 경우가 허다하며, 이런 경우 종래에는 여러개의 큰그릇을 주방의 바닥에 늘어놓고 수세작업을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서 주방에서 다량의 김치를 담글 때나 다량의 야채 또는 나물류를 조리하려면 수세, 탈수, 버무림 등의 작업을 하여야 하는바, 주방에는 다량의 야채를 수용할 만한 대형용기가 없기 때문에 함지와 같은 소형용기를 수도가에 다수로 배열하여 수세할 수밖에 없었으며, 특히 비좁은 주방에서 수세된 다량의 야채나 각종 재료를 올려놓고 절단하거나 버무림 작업할만한 작업대가 없었기 때문에 주방에서의 수세 및 조리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8-006874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6804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곱창 등과 같은 육가공 식자재 뿐만 아니라, 채소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식자재를 손질할 수 있도록 구현한 식자재 손질 작업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자재 손질 작업대는, 식자재로부터 분리된 잔여물을 담기 위한 싱크보울; 상기 싱크보울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보울 지지대; 및 식자재를 손질하기 위한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싱크보울의 상측 개구부를 덮으면서 상기 보울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작업 도마;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 도마는, 식자재를 손질하기 위한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도마 본체; 상기 도마 본체에서 손질 중인 식자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도마 본체의 전단 및 후단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 바아; 상기 도마 본체의 상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도마 본체의 후단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후단 출구가 상기 도마 본체의 후단면을 관통하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물 이동홈; 및 외부 물 공급 장치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상기 도마 본체의 전단 내측을 관통하고 형성되어 상기 다수 개의 물 이동홈의 전단으로 각각 공급하는 물 공급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울 지지대는, 상기 작업 도마가 안착되는 상부 일측 및 상부 다른 일측을 따라 다수 개의 상부 안착홈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안착홈 마다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작업 도마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기 위한 도마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마 지지부는, 상기 작업 도마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모듈;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2 지지 모듈; 및 상기 제1 지지 모듈이 상기 제2 지지 모듈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 지지 모듈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 모듈을 지지하는 제3 지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지지 모듈은, 상기 제2 지지 모듈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 유닛;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대향하며 상기 제2 지지 모듈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 유닛; 상측이 상기 제1 지지 모듈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사이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제3 지지 유닛;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모듈의 내부 일측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 유닛을 상기 제2 지지 유닛 방향으로 밀착시켜 주는 제1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모듈의 내부 다른 일측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 유닛을 상기 제1 지지 유닛 방향으로 밀착시켜 주는 제2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유닛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유닛 본체; 상기 제3 지지 유닛의 하부 전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 유닛과 대향하는 상기 제1 유닛 본체의 후단 상부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본체 경사면; 상기 제2 지지 모듈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에 상기 제1 유닛 본체의 하부가 안착된 뒤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닛 본체의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 유도 돌기; 상기 본체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유도홈; 및 상기 제1 유닛 본체의 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면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지지 유닛은, 상측이 상기 제1 지지 모듈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고, 하부가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각 본체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는 역삼각형 형태의 공간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제3 유닛 본체; 상기 이동 유도홈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 유도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유도 돌기; 및 상기 제3 유닛 본체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후면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3 유닛 본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유닛 하부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닛 하부 지지부는, 상기 제3 유닛 본체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가 하측으로 뾰족한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2 지지 모듈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 역삼각형 형태에 대응하는 역삼각형 형태의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경사면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부 공간의 전단 및 후단 경사면의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을 지지하는 간격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곱창 등과 같은 육가공 식자재 뿐만 아니라, 채소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식자재를 손질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식자재 손질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자재 손질 작업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작업 도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는 보울 지지대에 의한 작업 도마의 지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8는 도 4의 도마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6의 제1 지지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제3 지지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유닛 하부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자재 손질 작업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자재 손질 작업대(10)는, 싱크보울(100), 보울 지지대(2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 도마(300)를 포함한다.
싱크보울(100)은, 보울 지지대(200)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며, 식자재로부터 분리된 잔여물을 담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보울 지지대(200)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 개의 직선형 프레임들이 연결 설치에 의해 형성되며, 하측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220)가 설치되며, 싱크보울(100)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한다.
작업 도마(300)는, 식자재를 손질하기 위한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싱크보울(100)의 상측 개구부를 덮으면서 보울 지지대(200)의 상측에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자재 손질 작업대(10)는, 곱창 등과 같은 육가공 식자재 뿐만 아니라, 채소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식자재를 손질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식자재 손질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작업 도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작업 도마(300)는, 도마 본체(310), 테두리 바아(320-1, 320-2), 다수 개의 물 이동홈(330) 및 물 공급 라인(340)을 포함한다.
도마 본체(310)는, 식자재를 손질하기 위한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보울 지지대(200)의 상측에 안착되며, 전단 및 후단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 바아(320-1, 320-2)가 형성되고, 상측을 따라 물 이동홈(330)이 형성된다.
테두리 바아(320-1, 320-2)는, 도마 본체(310)에서 손질 중인 식자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마 본체(310)의 전단 및 후단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물 이동홈(330)은, 도마 본체(310)의 상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물 공급 라인(340)으로부터 공급되어 내측을 따라 흐르는 물이 도마 본체(310)의 후단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예를 들어, 5 내지 10° 등)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후단 출구가 도마 본체(310)의 후단면을 관통하고 형성된다.
물 공급 라인(340)은, 외부 물 공급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도마 본체(310)의 전단 내측을 관통하고 형성되어 다수 개의 물 이동홈(330)의 전단으로 각각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작업 도마(300)는, 식자재로부터 흘러내리는 액상의 이물질을 물 이동홈(330)을 따라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싱크보울(100)로 배출시킴으로써, 식자재가 안착되어 있는 도마 본체(310)의 상측이 항상 청결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울 지지대(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도마(300)가 안착되는 상부 일측 및 상부 다른 일측을 따라 다수 개의 상부 안착홈(210)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부 안착홈(210) 마다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되는 작업 도마(3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기 위한 도마 지지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는 도 4의 도마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마 지지부(400)는, 제1 지지 모듈(410), 제2 지지 모듈(420) 및 제3 지지 모듈(430)을 포함한다.
제1 지지 모듈(410)은, 제3 지지 모듈(430)에 의해 지지되며, 작업 도마(300)의 하측을 지지한다.
이때, 제1 지지 모듈(410)은, 작업 도마(30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2 지지 모듈(420)에 의해 지지되어 상부 안착홈(21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제2 지지 모듈(420)은,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안착홈(210)에 안착되며, 내부 공간(423)에 제3 지지 모듈(430)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지지 모듈(420)은, 하측면의 상부를 따라 제1 지지 유닛(431)의 하부가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제1 슬라이딩홈(421) 및 제2 지지 유닛(432)의 하부가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제2 슬라이딩홈(4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지지 모듈(430)은, 제1 지지 모듈(410)이 제2 지지 모듈(42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제2 지지 모듈(420)의 내부 공간(423)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 지지 모듈(410)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지지 모듈(430)은, 제1 지지 유닛(431), 제2 지지 유닛(432), 제3 지지 유닛(433), 제1 지지 스프링(434) 및 제2 지지 스프링(4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유닛(431)은, 제2 지지 모듈(420)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서 제2 지지 유닛(432)과 대항하며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지지 스프링(434)에 의해 지지되어 제3 지지 유닛(433)의 전단을 지지한다.
제2 지지 유닛(432)은, 제1 지지 유닛(431)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제1 지지 유닛(431)과 대향하며 제2 지지 모듈(420)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지지 스프링(435)에 의해 지지되어 제3 지지 유닛(433)의 후단을 지지한다.
제3 지지 유닛(433)은, 상측이 제1 지지 모듈(410)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고, 하부가 제1 지지 유닛(431)과 제2 지지 유닛(432)의 사이에 안착되어 제1 지지 유닛(431)과 제2 지지 유닛(432)에 의해 지지된다.
제1 지지 스프링(434)은, 제1 지지 유닛(431)과 제2 지지 모듈(420)의 내부 일측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지지 유닛(431)을 제2 지지 유닛(432) 방향으로 밀착시켜 준다.
제2 지지 스프링(435)은, 제2 지지 유닛(432)과 제2 지지 모듈(420)의 내부 다른 일측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 유닛(432)을 제1 지지 유닛(431) 방향으로 밀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도마 지지부(400)는, 도 8의 (a) 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 지지대(200)와 작업 도마(300) 사이에 경사 방향의 힘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제3 지지 유닛(433)이 해당 경사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 지지 유닛(431) 또는 제2 지지 유닛(432)만을 이동시키면서 보울 지지대(200)와 작업 도마(30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 지지대(200)와 작업 도마(300) 사이에 상하 수직 방향의 힘이 전달되는 경우는 제3 지지 유닛(433)이 제1 지지 유닛(431)과 제2 지지 유닛(432) 모두를 이동시키면서 보울 지지대(200)와 작업 도마(30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제1 지지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지지 유닛(431)은, 제1 유닛 본체(4311), 본체 경사면(4312), 슬라이딩 유도 돌기(4313),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유도홈(4314) 및 후면 안착홈(4315)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지지 유닛(432)은, 제1 지지 유닛(431)과 전후 방향의 대칭 구조로서 제1 지지 유닛(431)의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유닛 본체(4311)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지지 스프링(434)에 의해 지지되어 제2 지지 유닛(432)과 밀착된다.
본체 경사면(4312)은, 제3 지지 유닛(433)의 하부 전단(L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2 지지 유닛(432)과 대향하는 제1 유닛 본체(4311)의 후단 상부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딩 유도 돌기(4313)는, 제2 지지 모듈(420)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홈(421)에 제1 유닛 본체(4311)의 하부가 안착된 뒤 체결될 수 있도록 제1 유닛 본체(4311)의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돌출 형성된다.
이동 유도홈(4314)은, 슬라이딩 유도 돌기(4332)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본체 경사면(431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후면 안착홈(4315)은, 유닛 하부 지지부(4333)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유닛 본체(4311)의 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지지 유닛(431)은, 제2 지지 유닛(432)과 함께 제3 지지 유닛(433)의 하측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제3 지지 유닛(433)이 상하 방향 또는 경사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3 지지 유닛(433)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제3 지지 유닛(433)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10은 도 6의 제3 지지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지지 유닛(433)은, 제3 유닛 본체(4331), 슬라이딩 유도 돌기(4332) 및 유닛 하부 지지부(4333)를 포함한다.
제3 유닛 본체(4331)는, 상측이 제1 지지 모듈(410)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고, 하부가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지지 유닛(431)과 제2 지지 유닛(432)의 각 본체 경사면(4312)에 의해 형성되는 역삼각형 형태의 공간에 안착되어 제1 지지 유닛(431)과 제2 지지 유닛(432)에 의해 지지된다.
슬라이딩 유도 돌기(4332)는, 이동 유도홈(4314)에 안착되어 이동 유도홈(431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유닛 하부 지지부(4333)는, 제3 유닛 본체(4331)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후면 안착홈(4315)에 안착되어 제3 유닛 본체(4331)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3 지지 유닛(433)은, 제1 지지 유닛(431)과 제2 지지 유닛(432)에 의해 지지되어 제1 지지 모듈(410)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제1 지지 모듈(410)으로부터 전달되는 경사 방향 또는 상하 수직 방향의 힘에 따라 제1 지지 유닛(431) 또는 제2 지지 유닛(432)을 개별적으로 밀면서 하강하거나, 제1 지지 유닛(431)과 제2 지지 유닛(432) 모두를 밀면서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제1 지지 모듈(4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유닛 하부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유닛 하부 지지부(434)는, 제1 프레임(4341), 제2 프레임(4342) 및 간격 지지체(4343)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4341)은, 제3 유닛 본체(4331)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4341a)가 하측으로 뾰족한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간격 지지체(4343)에 의해 지지된다.
제2 프레임(4342)은, 제2 지지 모듈(420)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부에 제1 프레임(4341)의 하부 역삼각형 형태에 대응하는 역삼각형 형태의 공간(4342a)을 형성한다.
간격 지지체(4343)는, 제1 프레임(4341)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경사면과 제2 프레임(4342)의 상부 공간의 전단 및 후단 경사면의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제1 프레임(4341)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유닛 하부 지지부(434)는, 제3 유닛 본체(433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경사 방향으로 이동되는 모두의 경우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제3 유닛 본체(4331)를 지지함으로써, 제3 유닛 본체(4331)의 이동을 유도하거나 제3 유닛 본체(4331)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역시 간격 지지체(4343)를 이용하여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식자재 손질 작업대
100: 싱크보울
200: 보울 지지대
300: 작업 도마
400: 도마 지지부

Claims (2)

  1. 식자재로부터 분리된 잔여물을 담기 위한 싱크보울;
    상기 싱크보울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보울 지지대; 및
    식자재를 손질하기 위한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싱크보울의 상측 개구부를 덮으면서 상기 보울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작업 도마;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 도마는,
    식자재를 손질하기 위한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도마 본체;
    상기 도마 본체에서 손질 중인 식자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도마 본체의 전단 및 후단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 바아;
    상기 도마 본체의 상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도마 본체의 후단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후단 출구가 상기 도마 본체의 후단면을 관통하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물 이동홈; 및
    외부 물 공급 장치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상기 도마 본체의 전단 내측을 관통하고 형성되어 상기 다수 개의 물 이동홈의 전단으로 각각 공급하는 물 공급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보울 지지대는,
    상기 작업 도마가 안착되는 상부 일측 및 상부 다른 일측을 따라 다수 개의 상부 안착홈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안착홈 마다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작업 도마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기 위한 도마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마 지지부는,
    상기 작업 도마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모듈;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2 지지 모듈; 및
    상기 제1 지지 모듈이 상기 제2 지지 모듈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 지지 모듈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 모듈을 지지하는 제3 지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지 모듈은,
    상기 제2 지지 모듈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 유닛;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대향하며 상기 제2 지지 모듈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 유닛;
    상측이 상기 제1 지지 모듈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사이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제3 지지 유닛;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모듈의 내부 일측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 유닛을 상기 제2 지지 유닛 방향으로 밀착시켜 주는 제1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모듈의 내부 다른 일측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 유닛을 상기 제1 지지 유닛 방향으로 밀착시켜 주는 제2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 유닛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유닛 본체;
    상기 제3 지지 유닛의 하부 전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 유닛과 대향하는 상기 제1 유닛 본체의 후단 상부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본체 경사면;
    상기 제2 지지 모듈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에 상기 제1 유닛 본체의 하부가 안착된 뒤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닛 본체의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 유도 돌기;
    상기 본체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유도홈; 및
    상기 제1 유닛 본체의 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면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지 유닛은,
    상측이 상기 제1 지지 모듈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고, 하부가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각 본체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는 역삼각형 형태의 공간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제3 유닛 본체;
    상기 이동 유도홈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 유도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유도 돌기; 및
    상기 제3 유닛 본체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후면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3 유닛 본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유닛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식자재 손질 작업대.
  2. 삭제
KR1020200153245A 2020-11-17 2020-11-17 식자재 손질 작업대 KR102243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245A KR102243571B1 (ko) 2020-11-17 2020-11-17 식자재 손질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245A KR102243571B1 (ko) 2020-11-17 2020-11-17 식자재 손질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571B1 true KR102243571B1 (ko) 2021-04-22

Family

ID=75731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245A KR102243571B1 (ko) 2020-11-17 2020-11-17 식자재 손질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5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746U (ko) 1998-09-09 1998-12-05 김병연 싱크대 및 조리대,가스렌지대로 형성된 주방용 작업대
JP2004223006A (ja) * 2003-01-23 2004-08-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JP3115468U (ja) * 2005-03-23 2005-11-10 峰弘 三國 シンク専用まな板
KR101768042B1 (ko) 2015-09-16 2017-08-14 태현에프씨 주식회사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746U (ko) 1998-09-09 1998-12-05 김병연 싱크대 및 조리대,가스렌지대로 형성된 주방용 작업대
JP2004223006A (ja) * 2003-01-23 2004-08-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JP3115468U (ja) * 2005-03-23 2005-11-10 峰弘 三國 シンク専用まな板
KR101768042B1 (ko) 2015-09-16 2017-08-14 태현에프씨 주식회사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3571B1 (ko) 식자재 손질 작업대
US20140203033A1 (en) Debris Receiving Receptacle for Attachment to a Work Surface Edge
FR2702949A1 (fr) Porte-vaisselle pour machines à laver la vaisselle.
KR200451342Y1 (ko) 김밥 절단기
KR20180001414U (ko)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
KR200484786Y1 (ko) 수저 받침대
JP2020108755A (ja) キッチンツールホルダー
JP3501092B2 (ja) 流し台シンク装置
JP6241707B2 (ja) 厨房装置
KR20160084610A (ko)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
KR102431168B1 (ko) 주방용 받침대
US1416767A (en) Receptacle for barbers' equipment
JP6292498B2 (ja) 物品棚
KR200479854Y1 (ko) 커버 분리형 밥상
CN210520855U (zh) 一种厨房用新型置物水槽架
KR200496552Y1 (ko) 세척된 식기의 물기 건조가 가능하며 주방용품 거치가 가능한 싱크볼 어셈블리
KR20140005224U (ko) 싱크대용 수납장치
JP6888197B1 (ja) キッチンツールホルダー
JP3333820B2 (ja) キッチンのカウンター構造
CN209285437U (zh) 一种新型洗碗机上碗篮组件
CN216724333U (zh) 一种使用方便的沥水碗碟架
CN214433946U (zh) 一种洁厕置物架
JPH1132849A (ja) 台所用品整理装置
KR20170061503A (ko) 다기능 도마
CN201342116Y (zh) 可提式多功能调节碗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