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286A - 슬라이드 스위치를 포함한 전동 공구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스위치를 포함한 전동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286A
KR20170032286A KR1020177000586A KR20177000586A KR20170032286A KR 20170032286 A KR20170032286 A KR 20170032286A KR 1020177000586 A KR1020177000586 A KR 1020177000586A KR 20177000586 A KR20177000586 A KR 20177000586A KR 20170032286 A KR20170032286 A KR 20170032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switch
gripping
tool
slide
geome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만프레트 루츠
토마스 쇼미쉬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32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20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wherein an auxiliary movement thereof, or of an attachment thereto, is necessary before the main movement is possible or effective, e.g. for unlatching, for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6Casing of switch constituted by a handle serving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by the handle of a vacuum clea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Portable Power Tools In General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구 수용부(20)와, 상기 공구 수용부(20)의 구동을 위한 구동 모터(12)가 배치된 공구 하우징(24)을 포함하는 전동 공구(10)에 관한 것이며, 공구 하우징(24) 상에는 구동 모터(12)를 수동으로 스위치 온 및 오프하기 위해 제공되어 리턴 스프링에 의해 축 방향으로 예응력을 받는 슬라이드 스위치가 공구 하우징(24)의 종축(32)의 방향으로 길이방향 변위 가능하게, 및/또는 종축(32)과 관련하여 선회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자가 슬라이드 스위치에 사전 설정된 파지력(F)을 수동으로 가할 때 슬라이드 스위치를 파지 상태에서 파지하고 사용자가 슬라이드 스위치를 파지 해제할 때에는 자동으로 슬라이드 스위치를 비작동 상태로 변위시키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 기하구조가 제공되며, 구동 모터(12)는 파지 상태에서 스위치 온되고 비작동 상태에서는 스위치 오프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스위치를 포함한 전동 공구{ELECTRIC POWER TOOL HAVING A SLIDE SWITCH}
본 발명은, 공구 수용부와, 상기 공구 수용부의 구동을 위한 구동 모터가 배치된 공구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동 공구에 관한 것이며, 공구 하우징 상에는 구동 모터를 수동으로 스위치 온 및 오프하기 위해 제공되어 리턴 스프링에 의해 축 방향으로 예응력을 받는 슬라이드 스위치가 공구 하우징의 종축의 방향으로 길이방향 변위 가능하게, 및/또는 종축과 관련하여 선회 가능하게 배치된다.
종래 기술에는, 예컨대 로드 형태의 공구 하우징을 구비하고 앵글 그라인더(angle grinder)의 방식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유형의 전동 공구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유형의 앵글 그라인더는 보통 슬라이드 스위치에 의해 조작되며, 이런 슬라이드 스위치는 작업의 용이함을 위해 그 스위치 온 위치에서 예컨대 조합된 슬라이딩 및 틸팅 이동에 의해 지속적으로 잠금 고정(locking)되며, 그럼으로써 슬라이드 스위치의 끊임없는 작동, 또는 리턴 스프링의 힘 작용에 대항한 사용자에 의한 눌러 내림은 생략된다. 그러나 앵글 그라인더를 스위치 오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능동적인 틸팅 및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슬라이드 스위치의 잠금 고정을 다시 취소해야만 한다.
종래 기술에서 단점은, 상기 유형의 앵글 그라인더의 경우 슬라이드 스위치의 잠금 고정부가 공구 하우징 상에 자체 파지(self-holding) 방식으로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는, 전동 공구의 작동 중에 고장이 발생한 후에, 예컨대 상응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단시간 중단 후에, 전동 공구의 통제되지 않는 자동 재시동과, 그에 따른, 예컨대 장착된 삽입 공구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할당된 전원 공급 장치의 중단 후 통제되지 않는 재시동이 방지될 수 있는 신규의 전동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공구 수용부와, 상기 공구 수용부의 구동을 위한 구동 모터가 배치된 공구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동 공구에 의해 해결된다. 공구 하우징 상에는, 구동 모터를 수동으로 스위치 온 및 오프하기 위해 제공되어 리턴 스프링에 의해 축 방향으로 예응력을 받는 슬라이드 스위치가 공구 하우징의 종축의 방향으로 길이방향 변위 가능하게, 및/또는 종축과 관련하여 선회 가능하게 배치된다. 사용자가 슬라이드 스위치에 사전 설정된 파지력을 수동으로 가할 때 파지 상태로 슬라이드 스위치를 파지하고 사용자가 슬라이드 스위치를 파지 해제(release)할 때에는 슬라이드 스위치를 자동으로 비작동 상태로 변위시키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 기하구조가 제공되며, 구동 모터는 파지 상태에서 스위치 온되고 비작동 상태에서는 스위치 오프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구동 모터가 스위치 온된 연속 작동 모드는 사용자가 슬라이드 스위치에 비교적 적은 파지력을 가하는 것을 통해 가능하고 슬라이드 스위치의 파지 해제 후 슬라이드 스위치의 자체 파지식 차단(self-holding blocking)은 확실하면서도 신뢰성 있게 방지될 수 있는 전동 공구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구동 모터와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되는 전기 온/오프 스위치는 슬라이드 부재에 의해 슬라이드 스위치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그에 따라, 간단한 유형 및 방식으로, 구동 모터의 온/오프 스위칭 기능은 슬라이드 스위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슬라이드 스위치와 전기 온/오프 스위치 간의 공간상 분리도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슬라이드 부재는 할당된 선회점(pivot point)에서 슬라이드 스위치의 선회형 관절식 연결(pivotable articulated link)을 위한 연결 기하구조를 포함한다.
그 결과, 슬라이드 스위치의 공간적으로 규정된 이동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슬라이드 스위치는 공구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작동 측과 공구 하우징으로 향해 있는 기능 측을 포함하며, 기능 측 상에는 슬라이드 부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활주 기하구조(sliding geometry) 및 하나의 구동 부재가 제공된다.
슬라이드 스위치의 바람직하게 인체공학적으로 형성되는 작동 측으로 인해, 사용자에 의한 편리한 조작이 이루어진다. 슬라이드 스위치의 기능 측은 사용자가 슬라이드 스위치를 작동할 때 온/오프 스위치의 활성화 및 소정의 이동 시퀀스를 가능하게 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활주 기하구조는 공구 하우징 상에서 안내되는 기능 측의 만곡부에 의해 형성되고, 이 만곡부는 공구 수용부로 향해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의 제 1 축 방향 단부의 영역 내에 배치되며, 공구 수용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의 제 2 축 방향 단부의 에지부이면서 공구 하우징으로 향한 상기 에지부, 및 공구 하우징 내의 함몰부의 파지면이면서 공구 하우징의 종축에 대해 경사진 상기 파지면은 파지 상태에서 슬라이드 스위치의 잠금 고정을 위한 파지 기하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공구 하우징 상에서 슬라이드 스위치의 특히 간단하면서도 복잡하지 않은 파지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활주 기하구조는 공구 하우징 상에서 안내되는 기능 측의 만곡부에 의해 형성되고, 이 만곡부는 공구 수용부로 향해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의 제 1 축 방향 단부의 영역 내에 배치되고, 축 방향으로 만곡부에 대해 이격되어 공구 수용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의 제 2 축 방향 단부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스위치 상에 공구 하우징으로 향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공구 하우징 상의 돌출부의 안착면, 및 공구 하우징 내의 함몰부의 파지면이면서 상기 안착면에 대응하면서 공구 하우징의 종축에 대해 경사진 상기 파지면은 파지 상태에서 슬라이드 스위치의 잠금 고정을 위한 파지 기하구조를 형성한다.
그 결과, 전동 공구의 공구 하우징 상에 슬라이드 스위치의 상응하는 후방 에지부와는 무관한 슬라이드 스위치의 파지 기능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만곡부와 슬라이드 스위치의 돌출부의 안착면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한다.
그 결과, 사용자가 눌러 내릴 때 슬라이드 스위치의 파지 기능성이 특히 효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만곡부와 슬라이드 스위치의 제 2 축 방향 단부 사이에 사전 설정된 레버 길이가 형성되며, 간격과 레버 길이 간의 비율은 0.2 내지 0.8이다.
그 결과, 사용자에 의해 가해질 파지력은, 전동 공구의 인체공학적이면서 특히 피로 없는 연속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구 하우징 내의 함몰부의 파지면과 공구 하우징의 종축 간의 각도는 35° 내지 85°이다.
그에 따라, 돌출부가 공구 하우징의 파지면으로부터 통제되지 않은 채로 미끄러져 빠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공구 하우징 내의 함몰부의 단차 높이(step height)는 슬라이드 스위치의 돌출부의 높이보다 더 작거나 같다.
그 결과, 공구 하우징의 너무 심한 재료 약화가 방지된다.
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기능 측의 축 방향 단부 에지부는 활주 기하구조를 형성하며, 슬라이드 스위치의 선회 시에 선회점을 형성한다.
그 결과, 슬라이드 스위치의 구조적으로 특히 간단한 구성이 제공된다.
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공구 하우징 상에는 슬라이드 스위치의 활주 기하구조를 위한 출발 램프(starting ramp)가 형성된다.
출발 램프의 결과로서, 종축과 관련하여 슬라이드 스위치의 분명한 선회 이동이 실현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파지 기하구조는, 슬라이드 스위치 상의 돌출부의 안착면이면서 공구 하우징의 종축에 대해 경사진 상기 안착면과, 공구 하우징의 함몰부의 파지면이면서 공구 하우징의 종축에 대해 경사진 상기 파지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돌출부는 공구 수용부로 향해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의 제 1 축 방향 단부의 영역에서 슬라이드 스위치의 기능 측 상에 형성되고, 활주 기하구조를 형성하는 만곡부는 슬라이드 스위치의 제 2 축 방향 단부의 영역 내에 배치된다.
그 결과, 슬라이드 스위치 상에 파지 기하구조 및 활주 기하구조의 거울상(mirror image)의 배치가 가능해질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선회점은 슬라이드 스위치의 제 1 축 방향 단부와 제 2 축 방향 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선회점의 양측에는 각각 하나의 파지 기하구조가 제공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전동 공구의 구동 모터의 연속 작동을 위해 파지 상태에서 슬라이드 스위치를 잠금 고정하기 위해, 슬라이드 스위치의 제 1 또는 제 2 축 방향 단부의 영역에 또는 선회점의 양측에 파지력을 가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선회점은 슬라이드 스위치의 제 1 또는 제 2 축 방향 단부 상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3개의 파지 기하구조가 제공된다.
그 결과, 파지 상태에서 슬라이드 스위치의 특히 신뢰성 있는 잠금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 상에 슬라이드 스위치의 단부 측 관절식 연결로 인해, 비교적 적은 파지력을 요구하는 효과적인 지렛대 작용이 제공된다.
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슬라이드 스위치는 공구 하우징의 종축에 대해 평행하게 변위 가능하게 형성되며, 파지 기하구조는 슬라이드 스위치의 제 1 및 제 2 축 방향 단부의 영역에 각각 제공된다.
그 결과, 슬라이드 스위치의 구조적 구성은 간소화되는데, 그 이유는 선회점이 생략되고 하나의 파지 기하구조는 예컨대 공 모양인 활주 기하구조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구동 모터에 장착되는 모터 하우징 상에 반경 방향에서 내부로 향한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는 공구 하우징의 종축에 대해 경사진 파지면을 포함하며, 이 파지면은 슬라이드 부재 상에 반경 방향에서 외부로 향한 돌출부의 안착면이면서 공구 하우징에 대해 상응하게 경사진 상기 안착면과 함께 파지 기하구조를 형성한다.
그 결과, 파지 기하구조는 슬라이드 스위치와 무관하게, 그리고 전동 공구의 공구 하우징 내의 안쪽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추가 실시형태에 따라서, 공구 수용부로 향해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의 제 1 축 방향 단부 상에 파지 후크(holding hook)가 형성되고, 이 파지 후크는 공구 하우징 상에 형성되는 차단 후크(blocking hook) 상에서 차단될 수 있으며, 상기 파지 후크 및 상기 차단 후크는 파지 기하구조를 형성한다.
공구 하우징 상에서 안쪽에 형성되는 차단 후크로 인해, 슬라이드 스위치용 은폐된 파지 기하구조가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라서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앵글 그라인더로서 형성되는 전동 공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앵글 그라인더를 부분적으로 개방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비작동 상태에서 도 1의 전동 공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파지 상태에서 도 3의 슬라이드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파지 상태에서 도 1의 전동 공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비작동 상태에서 도 5의 슬라이드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도 1의 전동 공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들의 추가 실시형태들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비작동 상태에서 파지 상태로의 전환 동안 도 1의 전동 공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의 대안적 추가 실시형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수동 앵글 그라인더의 방식에 따라 형성되고 임의의 모터 유형, 예컨대 전자 정류식 모터 또는 직류 모터일 수 있는 구동 모터(12)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전동 공구(10)가 도시되어 있다. 구동 모터(12)는, 앵귤러 기어(16) 및 피동 샤프트(18)를 통해 공구 수용부(20)와 연결되는 구동 샤프트(14)의 구동을 위해 사용되며, 공구 수용부(20)는 회전 구동형 삽입 공구(22), 예컨대 연삭 디스크, 거친 연삭 디스크 또는 절단 디스크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구동 모터(12)는 전동 공구(10)의 바람직하게는 로드 형태인 공구 하우징(24) 상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스위치(30)에 의해 적어도 스위치 온 및 오프될 수 있다. 슬라이드 스위치(30)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공구 하우징(24)의 종축(32)을 따라서 변위 가능하게 형성된다. 구동 모터(12)의 에너지 공급은 전력 공급 라인(34)을 통해, 또는 그 대안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장착되는 축전지 팩으로 수행된다.
적합한 구동 모터 또는 적합한 앵글 그라인더의 작동 방식 및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종래 기술로부터 충분히 공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설명의 간소화를 위해 추가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 공급망에 따라 작동될 수 있는 수동 앵글 그라인더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매우 일반적으로는, 장착된 구동 모터를 스위치 온 및 오프하기 위한 슬라이드 스위치를 포함하여, 전력 공급망에 의존하여, 또는 전력 공급망과 무관하게, 예컨대 장착된 축전지 팩으로 작동될 수 있는 전동 공구들에서, 예컨대 연마기, 연삭기, 밀링기, 막대형 톱(pole saw), 지그 톱(jig saw) 등에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된 슬라이드 스위치를 통해 스위치 온 및 오프될 수 있는 비-전기 작동형 수공구 기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는, 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전기 온/오프 스위치(40)를 포함하는 도 1의 전동 공구(10)가 도시되어 있으며, 전기 온/오프 스위치는 슬라이드 부재(50)에 의해 도 1의 슬라이드 스위치(30)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슬라이드 스위치(30)는 슬라이드 부재(50) 상에 배치되는 리턴 스프링(52)에 의해 축 방향으로, 다시 말해 종축(32)에 대해 평행하게 예응력을 받으며, 그럼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파지 해제되는 슬라이드 스위치(30)는 자동으로 전력 공급 라인(34)의 방향으로 후퇴된다. 온/오프 스위치(40)는 예시로서 2개의 라인(42, 44)을 통해 구동 모터와, 그리고 전력 공급 라인(34)의 2개의 추가 라인(46, 48)과 전기 접촉되며, 그럼으로써 구동 모터는 리턴 스프링(52)에 의해 가해지는 복원력에 대항하여 슬라이드 스위치(30)를 변위하고, 및/또는 종축(32)과 관련하여 슬라이드 스위치를 경동하는 것을 통해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될 수 있게 된다.
계속되는 하기의 설명에서도 동시에 참조되는 도 3 및 도 4에는, 도 1의 전동 공구(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100)의 제 1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는 바람직하게는 도 1의 전동 공구의 공구 하우징(24)으로부터 멀리 향하면서 바람직하게는 인체공학적으로 형성되는 작동 측(102)과, 활주 기하구조(106)를 구비하여 공구 하우징(24)으로 향해 있는 기능 측(104)을 포함한다. 도 2의 전기 온/오프 스위치와 슬라이드 스위치(100)의 기계식 연결을 위한 슬라이드 부재(108)는 선회점(112)에서 슬라이드 스위치(100)의 선회형 관절식 연결을 위한 연결 기하구조(110)를 포함한다.
활주 기하구조(106)는 바람직하게는 공구 하우징(24) 상에서 안내되는 기능 측(104)의 만곡부(116)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만곡부(116)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거의 반원형인 횡단면 기하구조를 포함하여 슬라이드 스위치(100)의 제 1 축 방향 단부(118)의 영역에 배치되며, 제 1 축 방향 단부는 예시로서 도 1의 공구 수용부(20)로 향해 있다. 제 1 축 방향 단부(118)로부터 떨어진 슬라이드 스위치(100)의 제 2 축 방향 단부(120)의 영역에서, 에지부(122), 및 공구 하우징(24)의 함몰부(126)의 파지면이면서 종축(32)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되는 상기 파지면(124)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슬라이드 스위치(100)에 종축(32)에 대해 수직으로 충분히 큰 파지력(F)을 수동으로 작용하는 경우 구동 모터의 스위치 온 시에 파지 상태에서 슬라이드 스위치(100)의 잠금 고정을 위한 파지 기하구조(128)를 형성한다(도 4 참조).
도 1의 전동 공구(10)의 구동 모터를 스위치 온하기 위해,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비작동 상태에서 출발하여 화살표(130)의 방향으로 종축(32)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도 2의 리턴 스프링(52)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슬라이드 스위치(100)의 도 4에 도시된 파지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슬라이드 스위치(100)를 변위시켜야만 하며, 파지 상태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져서 종축(32)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슬라이드 스위치(100)에 작용하는 파지력(F)에 의해 에지부(122)가 파지면(124) 상에 안착된다. 슬라이드 부재(108)와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슬라이드 스위치(100)의 지렛대 작용으로 인해, 슬라이드 스위치(100)의 파지 상태에서는, 단지 비교적 적은 수동 파지력(F)만이 사용자에게 의해 가해지며, 그럼으로써 구동 모터가 스위치 온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스위치(100)의 파지 상태는 도 1의 전동 공구(10)의 연속 작동 모드를 위해 오랜 시간에 걸쳐 피로감 없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슬라이드 스위치(100)를 의도치 않게, 또는 통제하면서 파지 해제한다면, 파지력(F)은 더 이상 슬라이드 스위치(100)에 작용하지 않으며, 도 2의 리턴 스프링(52)은, 슬라이드 스위치(100)의 도 3에 도시된 비작동 상태에 다시 도달하고 도 1의 전동 공구(10)의 구동 모터가 스위치 오프될 때까지, 슬라이드 스위치의 도 4의 파지 상태로부터 슬라이드 부재(108)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스위치(100)를 다시 잡아당기며, 에지부(122)는 존재하지 않는 파지력(F) 및 리턴 스프링(52)의 힘 작용으로 인해 파지면(124)에 걸쳐서 복귀 활주한다. 이 경우, 슬라이드 스위치(100)는 종축(32)과 관련하여 우선적으로 틸팅 이동에 중첩되는 길이방향 이동을 실행한다. 이 경우, 슬라이드 스위치(100)의 가이드는 만곡부(116)의 형태인 활주 기하구조(106) 및 연결 기하구조(110)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함께 파지 기하구조(28)를 형성하면서 함몰부(126)의 경사진 파지면(124)을 따라서 활주하는 에지부(122)에 의해서도 수행된다.
계속되는 하기의 설명에서도 동시에 참조되는 도 5 및 도 6에는, 도 1의 전동 공구(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200)의 제 2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는 바람직하게는 도 1의 전동 공구(10)의 공구 하우징(24)으로부터 멀리 향하면서 바람직하게는 인체공학적으로 형성되는 작동 측(202)과, 활주 기하구조(206)를 구비하여 공구 하우징(24)으로 향해 있는 기능 측(204)을 포함한다. 도 2의 전기 온/오프 스위치(40)와 슬라이드 스위치(200)의 기계식 연결을 위한 슬라이드 부재(208)는 선회점(212)에서 슬라이드 스위치(200)의 선회형 관절식 연결을 위한 연결 기하구조(210)를 포함한다.
활주 기하구조(206)는 바람직하게는 공구 하우징(24) 상에서 안내되고 실례로서 공 모양인 기능 측(204)의 만곡부(216)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만곡부(216)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거의 반원형인 횡단면 기하구조를 포함하고 슬라이드 스위치(200)의 제 1 축 방향 단부(218)의 영역에 배치되며, 제 1 축 방향 단부는 이 경우 도 1의 전동 공구(10)의 공구 수용부로 향해 있다. 제 1 축 방향 단부(218)로부터 떨어진, 슬라이드 스위치(200)의 제 2 축 방향 단부(220)의 영역 내에서, 안착면(224)을 구비하여 공구 하우징(24)으로 향하는 돌출부(222)는, 공구 하우징(24)의 함몰부(228)의 파지면이면서 종축(32)에 대해 경사져 형성되는 상기 파지면(226)과 함께,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예컨대 손가락으로 슬라이드 스위치(200)에 종축(32)에 대해 수직으로 파지력(F)을 수동으로 작용하는 경우 구동 모터의 스위치 온 시에 파지 상태에서 슬라이드 스위치(200)의 잠금 고정을 위한 파지 기하구조(230)를 형성한다. 돌출부(222)의 안착면(224) 및 함몰부(228)의 파지면(226)은 종축(32)과 관련하여 각각 상응하게 각도(α)만큼 경사져 있으며, 그럼으로써 구동 모터가 스위치 온된 도 5에 따르는 슬라이드 스위치(200)의 파지 상태에서 돌출부(222)의 안착면(22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구 하우징(24)의 함몰부(228)의 파지면(226) 상에 안착되고,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적은 파지력(F)만으로도 충분히 파지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슬라이드 스위치(200)를 통제하면서, 또는 경우에 따라 통제하지 않으면서 파지 해제한다면, 돌출부(222)의 안착면(224)은, 이 돌출부(222)의 안착면(224)이 축 방향으로 함몰부(228)의 파지면(226)을 지나 이동될 수 있을 때까지, 선회점(212)을 중심으로 슬라이드 스위치(200)가 선회하면서 함몰부(228)의 파지면(226)을 따라서 활주하며, 그럼으로써 슬라이드 스위치(200)는 도 5에 따르는 파지 상태에서 출발하여 도 2의 리턴 스프링(52)의 힘 작용으로 인해 종축(32)에 대해 평행하게 도 6에 도시된 비작동 상태로까지 복귀될 수 있고, 도 1의 전동 공구(10)의 구동 모터는 스위치 오프된다. 이 경우, 슬라이드 스위치(200)는 반원형 만곡부(216)의 형태인 그 활주 기하구조(206)를 이용하여 공구 하우징(24)을 따라서 활주한다. 파지 상태로부터 비작동 상태로, 그리고 그 반대로의 전환 동안, 슬라이드 스위치(200)는 바람직하게는 종축(32)을 따라서 공구 하우징(24) 상에서 만곡부(216)의 선형 이동과 함께 선회점(212)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 및 틸팅 이동을 각각 실행한다.
슬라이드 스위치(200) 자체가 비교적 적은 파지력(F)이 가해지는 조건에서 도 1의 구동 모터(12)가 스위치 온된 파지 상태에서 여전히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지만, 사용자가 통제하면서, 또는 통제하지 않으면서 파지 해제한 경우에는, 즉시, 그리고 절대적인 신뢰성으로 구동 모터를 스위치 오프하기 위한 비작동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기 위해, 만곡부(216)의 정점(232)과 돌출부(222)의 안착면(224)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간격(A)이 존재하는 한편, 만곡부(216)와 슬라이드 스위치(200)의 제 2 축 방향 단부(220)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사전 설정된 레버 길이(L)가 형성된다. 이 경우, 간격(A)과 레버 길이(L) 간의 수치상 비율은 상응하는 간격 한계를 포함하면서 0.2 내지 0.8이다. 공구 하우징(24) 내의 함몰부(228)의 파지면(226)과 공구 하우징(24)의 종축(32) 간의 각도(α)는 도 6에 따라서 간격 한계를 포함하면서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85°이다. 이 경우, 공구 하우징(24)의 함몰부(228)의 단차 높이(h)는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 스위치(200) 상에서 실례로서 하측에 형성되는 돌출부(222)의 높이(H)보다 더 작거나 같다.
도 7에는, 도 1의 전동 공구(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300)의 추가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는 바람직하게는 도 1의 전동 공구(10)의 공구 하우징(24)으로부터 멀리 향하면서 바람직하게는 인체공학적으로 형성되는 작동 측(302)과, 공구 하우징(24)으로 향해 있는 기능 측(304)을 포함한다. 슬라이드 스위치(300)의 기능 측(304) 상에서, 도 1의 공구 수용부(20)로 향해 있는 축 방향 단부 에지부(306)는 활주 기하구조(308) 및 선회점(310)으로서 동시에 사용된다. 단부 에지부(306)로부터 멀리 향하는 슬라이드 스위치(300)의 축 방향 단부(312)의 영역에는, 바람직하게는 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기능 측(304) 상에 형성되는 돌출부(316) 및 공구 하우징(24) 내의 함몰부(318)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파지 기하구조(314)가 형성된다. 돌출부(316) 및 함몰부(318)는 각각 일면에서 경사져 형성된다. 파지 기하구조(314)의 상세한 작동 방식은 도 3 및 도 4의 슬라이드 스위치(100) 및 도 5 및 도 6의 슬라이드 스위치(200)의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의 파지 기하구조들의 작동 방식에 상응하며, 그에 따라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도 3 내지 도 6의 설명이 참조된다.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스위치(300)는 비작동 상태에 있으며, 그럼으로써 도 1의 전동 공구(10)의 구동 모터(12)는 스위치 오프되거나 전류를 공급받지 않는다. 구동 모터가 스위치 온되는 파지 상태에서 돌출부(316)는 바람직하게는 함몰부(318)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맞물리며, 그럼으로써 상기 상태는, 다시금 사용자 측에서 수동으로 가하게 될 파지력(F)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적은 힘을 사용해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2의 전기 온/오프 스위치(40)의 기계식 활성화는 슬라이드 스위치(300)의 기능 측(304) 상에 통합 형성되는 구동 부재(320)에 의해 수행되며, 이 구동 부재는 다시금 슬라이드 부재(324)의 적합한 연결 기하구조(322)에 의해 맞물림으로써 전기 온/오프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도 8에는, 도 1의 전동 공구(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400)의 추가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는, 도 7의 실시형태와 달리, 바람직하게는 인체공학적으로 형성되는 작동 측(402)에 대향하는 기능 측(404) 상에서, 도 1의 공구 수용부(20)로 향해 있는 제 1 축 방향 단부(406)의 영역에 바람직하게는 반원형인 공 모양의 만곡부(408)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활주 기하구조(410)를 포함한다. 만곡부(408)는 바람직하게는 공구 하우징(24)에 통합 형성되고 실례로서 오목하게 만곡된 출발 램프(412) 상에서 안내된다. 파지력(F)이 작용할 때, 실선으로 도시된 슬라이드 스위치(400)의 비작동 상태로부터 점선으로 상징적으로 도시된 슬라이드 스위치(400)의 파지 상태로의 전환 동안, 만곡부(408)는 출발 램프(412)에 걸쳐서 활주한다. 제 2 축 방향 단부(414) 상에서 기능 측(404) 상에는 다시금 파지 기하구조(416)가 형성되며, 이 파지 기하구조의 구조적인 구성 및 작동 방식은 재차 전술한 파지 기하구조들에 상응한다.
도 9에는, 도 1의 전동 공구(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500)의 추가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는 바람직하게는 도 1의 공구 하우징(24)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작동 측(502)과 공구 하우징(24)으로 향해 있는 기능 측(504)을 포함한다.
슬라이드 스위치들의 도 3 내지 도 8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들과 달리, 공구 수용부(24)로 향해 있는 제 1 축 방향 단부(506)의 영역에는, 종축(32)과 관련하여 경사진 안착면(510)을 포함하는 돌출부(508)가 제공되며, 안착면은 공구 하우징(24)의 함몰부(514)의 상응하게 경사진 파지면(512)과 상호작용하면서 다시금 파지 기하구조(516)를 형성한다. 이와 달리, 제 2 축 방향 단부(518)의 영역에는 바람직하게는 반원형인 만곡부(520)가 활주 기하구조(522)로서 제공된다.
도 1의 전동 공구(10)의 구동 모터가 스위치 온 될때 도 9의 파지 상태에서, 파지력(F)은, 돌출부(508)의 안착면(51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함몰부(514)의 파지면(512) 상에 안착되게 하며, 그럼으로써 상기 상태는 사용자에 의해 도 2의 리턴 스프링(52)의 힘에 대항하는 최소의 힘 적용하에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슬라이드 스위치(500)를 파지 해제하면, 돌출부(508)의 경사진 안착면(510)은 도 2의 리턴 스프링(52)의 힘 작용으로 인해 함몰부(514)의 파지면(512)에 걸쳐서, 돌출부(508)와 함몰부(514)가 맞물림 해제되고 슬라이드 스위치(500)가 점선으로 도시된 비작동 상태에 도달하며 도 1의 전동 공구(10)의 구동 모터가 스위치 오프될 때까지, 활주한다. 도 2의 전기 온/오프 스위치(40)의 작동은, 연결 기하구조(526)에 의해 기능 측(504) 상에 형성된 구동 부재(528)와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드 부재(524)에 의해 수행된다.
도 10에는, 도 1의 전동 공구(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600)의 추가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스위치는 제 1 및 제 2 축 방향 단부(602, 604)를 포함한다. 도 2의 전기 온/오프 스위치(40)의 기계식 작동을 위한 슬라이드 부재(606)는 선회점(610)에서 슬라이드 스위치(600)의 선회형 관절식 연결을 위한 연결 기하구조(608)를 포함한다. 상기 선회점(610)은 도 1의 공구 하우징(24)으로 향해 있는 기능 측(612) 상에서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 단부들(602, 604) 사이의 중심에 포지셔닝된다. 선회점(610)의 양측에서는 제 1 및 제 2 파지 기하구조(614, 616)가 슬라이드 스위치(600)의 기능 측(612) 상에 제공되고, 상기 파지 기하구조들은 여기에 도시된 비작동 상태에서 출발하여 파지 상태에 도달한 후에 파지력(F)의 작용 동안 상기 파지 상태를 유지하며, 파지력(F)은 각각 단지 제 1 또는 제 2 파지 기하구조(612, 614) 및 제 1 또는 제 2 축 방향 단부(602, 604)의 영역에서만 슬라이드 스위치(600)에 작용한다. 파지 기하구조(614, 616)는 그 구조적인 구성 및 그 작동 방식과 관련하여 앞에서 이미 설명된 파지 기하구조들에 상응하며, 그에 따라 추가의 구조적인 세부사항과 관련해서는 도 5 내지 도 9의 설명이 참조된다.
시소(seesaw) 유형으로 선회점(610)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고 화살표(618)의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드 스위치(600)의 조작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동 측(620)은 제 1 축 방향 단부(602)의 영역에, 그리고 선회점(610)의 영역에,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촉각 감지될 수 있고 인체공학적으로 형성된 램프(ramp) 형태의 상승부(622, 624)를 각각 하나씩 포함한다. 슬라이드 스위치(600)의 여기에 도시된 비작동 상태에서 출발하여 슬라이드 스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종축(32)에 대해 평행한 변위를 통해 화살표(618)의 방향으로 파지 상태로 변위될 수 있으며, 파지 기하구조들(614, 616)은 각각 서로 맞물림 상태가 되어 파지력(F)을 일측에서 가하는 것을 통해 지속적으로 상기 맞물림 상태에서 파지된다.
도 11에는, 도 1의 전동 공구(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700)의 추가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스위치는 제 1 및 제 2 축 방향 단부(702, 704)를 포함한다. 도 2의 전기 온/오프 스위치(40)의 기계식 작동을 위한 슬라이드 부재(706)는 선회점(710)에서 슬라이드 스위치(700)의 선회형 관절식 연결을 위한 연결 기하구조(708)를 포함한다. 상기 선회점(710)은 도 1의 공구 하우징(24)으로 향해 있는 기능 측(712) 상에서 바람직하게는 제 1 축 방향 단부(702)의 영역에 포지셔닝된다. 슬라이드 스위치들의 도 3 내지 도 10에서 설명되는 모든 실시형태와 달리, 슬라이드 스위치(700)는 그 기능 측(712)의 영역에 바람직하게는 3개의 파지 기하구조(714, 716, 718)를 포함한다. 파지 기하구조들(714, 716, 718)의 작동 방식 및 구조적인 구성은 그 밖의 점에서 도 3 및 도 4의 슬라이드 스위치(100) 및 도 5 및 도 6의 슬라이드 스위치(200)의 파지 기하구조들에 상응하며, 그에 따라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도 3 내지 도 6의 설명이 참조된다.
도 11에 도시된 비작동 상태 및 도 1의 전동 공구(10)의 스위치 오프된 구동 모터에서 출발하여, 파지 상태는 화살표(720)의 방향으로 종축(32)에 대해 평행한 슬라이드 스위치(700)의 병진 이동에 의해 달성되며, 그리고 공구 하우징(24)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오목한 작동 측(722) 상에서 파지력(F)의 작용에 의해 유지된다. 슬라이드 스위치(700)의 파지 상태에서, 총 3개의 파지 기하구조(714, 716, 718)는 맞물림 상태에 있으며, 그럼으로써 파지력(F)이 비교적 작을 때도 슬라이드 스위치(700) 자체의 파지 상태에서 탁월한 잠금 고정 작용이 제공된다.
도 12에는, 도 1의 전동 공구(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800)의 추가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스위치는 제 1 및 제 2 축 방향 단부(802, 804)를 포함한다. 공구 하우징(24)으로 향해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800)의 기능 측(806) 상에는 구동 부재(808)가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통합 형성된다. 슬라이드 부재(810)는 종축(32)과 관련하여 슬라이드 스위치(800)의 미미한 선회형 또는 경동형 관절식 연결을 위한 연결 기하구조(812)를 포함한다. 구동 부재(808)는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 단부들(802, 804) 사이에서 기능 측(806) 상에 적어도 거의 중심에 포지셔닝된다. 구동 부재(808) 또는 제 1 및 제 2 축 방향 단부(802, 804)의 양측에서는 제 1 및 제 2 파지 기하구조(814, 816)가 슬라이드 스위치(800)의 기능 측(806) 상에 제공되고, 파지 기하구조들은 슬라이드 스위치(800)의 여기에 도시된 비작동 상태에서 출발하여 파지 상태에 도달한 후에 파지력(F)의 작용 동안 상기 파지 상태를 유지하며, 파지력(F)은 각각 단지 제 1 또는 제 2 파지 기하구조(814, 816) 또는 제 1 또는 제 2 축 방향 단부(802, 804)의 영역에서만 슬라이드 스위치(800)에 작용한다. 파지 기하구조들(814, 816)은 그 구조적인 구성 및 그 작동 방식과 관련하여 앞에서 이미 설명한 파지 기하구조들에 상응하며, 그에 따라 추가의 구조적인 세부 사항과 관련해서는 마찬가지로 도 5 및 도 6의 설명이 참조된다.
선회 가능하고 화살표(818)의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드 스위치(800)의 조작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동 측(820)은 제 1 축 방향 단부(802)의 영역에, 그리고 구동 부재(808)의 영역에, 사용자에 의해 촉각으로 바람직하게는 용이하게 감지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인체공학적으로 형성된 램프 형태의 상승부(822, 824)를 각각 하나씩 포함한다. 슬라이드 스위치(800)의 여기에 도시된 비작동 상태에서 출발하여 슬라이드 스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종축(32)에 대해 평행한 변위에 의해 화살표(818)의 방향으로 파지 상태로 변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파지 기하구조들(814, 816)은 각각 서로 맞물림 상태가 되고, 파지력(F)을 일측에서 가하는 것을 통해 지속적으로 상기 맞물림 상태에서 파지된다.
도 13에는, 도 1의 전동 공구(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850)의 추가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는 도 1의 전동 공구(10)의 구동 모터(12)의 모터 하우징(852)으로 향해 있는 기능 측(854) 상에 슬라이드 부재(858)를 위한 정방형 구동 부재(856)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858)는 슬라이드 스위치(850)에 의한 도 2의 전기 온/오프 스위치(40)의 기계식 활성화를 위해 사용되며, 이를 위해 연결 기하구조(860)를 포함한다. 모터 하우징(852)은 종축(32)과 관련하여 경사져서 형성되는 파지면(864)을 구비하여 반경 방향에서 내부로 향한 돌출부(862)를 포함한다.
도 1의 공구 수용부(20)로부터 멀리 향하는 슬라이드 부재(858)의 단부(866) 상에는, 파지면(864)의 기울기에 적어도 거의 상응하게 형성되는 안착면(870)을 구비하여 반경 방향에서 외부로 향한 돌출부(868)가 바람직하게는 통합 형성된다. 모터 하우징 측 돌출부(862)의 파지면(864)은 슬라이드 부재 측 돌출부(868)의 안착면(870)과 상호작용하면서 여기서는 실선으로 도시된 슬라이드 스위치의 파지 상태에서 슬라이드 스위치(850)의 잠금 고정을 위한 파지 기하구조(872)를 형성하며, 상기 파지 상태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질 파지력(F)이 종축(32)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슬라이드 스위치(850)의 작동 측(874)에 작용한다.
사용자가 슬라이드 스위치(850)를 파지 해제하면,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는 이 경우 존재하지 않는 파지력(F)으로 인해, 점선으로 상징적으로 도시된 슬라이드 스위치(850)의 비작동 상태에 도달하고 도 1의 전동 공구(10)의 구동 모터가 스위치 오프될 때까지, 도 2의 리턴 스프링(52)의 힘 작용과 함께 자동으로 화살표(876)의 방향으로 당겨진다. 비작동 상태로부터 다시 파지 상태로 슬라이드 스위치(850)를 변위시켜 이 파지 상태에서 파지하기 위해, 슬라이드 스위치(850)는, 구동 모터가 스위치 온되는 실선으로 도시된 슬라이드 스위치(850)의 파지 상태에 도달하고 이 파지 상태가 파지력(F)을 가하는 것을 통해 유지될 수 있을 때까지, 화살표(876)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종축(32)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변위된다. 슬라이드 스위치(850)의 파지 상태에서, 파지 기하구조(872)는 맞물림 상태가 되며, 다시 말하면 모터 하우징 측 돌출부(862)의 파지면(86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슬라이드 부재 측 돌출부(868)의 안착면(870) 상에 안착된다. 그 밖의 점에서는 파지 기하구조(872)의 작동 방식 및 구조적인 실시는 예컨대 도 5 및 도 6에서 설명된 슬라이드 스위치의 파지 기하구조에 상응하며, 그에 따라 반복을 피하기 위해 도 5 및 도 6의 파지 기하구조에 대한 설명이 참조될 수 있다.
종축(32)과 관련하여 선회 가능하거나 경동 가능하면서 변위 가능한 슬라이드 스위치(850)의 작동의 추가 향상을 위해, 작동 측(874)은, 도 1의 공구 수용부(20)로 향해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850)의 제 1 축 방향 단부(878)의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특히 손가락 또는 엄지손가락 작동을 위해 인체공학적으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램프 형태이거나 일측이 오목하게 만곡된 상승부(880)를 포함한다. 상기 상승부(880)는 제 1 축 방향 단부(878)로부터 멀리 향하는 슬라이드 스위치(850)의 제 2 단부(882)로 평탄하게 이어진다. 슬라이드 스위치(850)의 제 2 축 방향 단부(882)의 영역에서 기능 측(85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회 가능하거나 경동 가능한 슬라이드 스위치(850)의 가이드를 위해 모터 하우징(852) 상에 안착되는 활주 기하구조로서 작용하며, 그럼으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활주 기하구조로서 기능 측(854)의 공 모양 만곡부는 불필요하게 된다.
계속되는 하기의 설명에서도 동시에 참조되는 도 14 내지 도 16에는, 도 1의 전동 공구(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900)의 대안적 추가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는 도 2의 전기 온/오프 스위치(40)의 기계식 작동을 위한 도 10의 슬라이드 부재(606)를 포함하고, 할당된 선회점에서는 슬라이드 스위치(900)의 선회형 관절식 연결을 위한 도 10의 연결 기하구조(608)를 포함한다. 상기 선회점은 도 10의 선회점(610)과 유사하게 도 1의 공구 하우징(24)으로 향해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900)의 기능 측(902) 상에 배치되며, 기능 측(902)과 연결 기하구조(608) 사이의 전이 영역에 포지셔닝되지만, 도면의 간단함 및 명확성을 위해 별도로 표시되어 있지는 않다.
슬라이드 스위치(900)의 제 1 축 방향 단부(910)는 도 1의 공구 수용부(20)로 향해 있다. 상기 단부(910)의 영역에서, 기능 측(902)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슬라이드 스위치(900)의 작동 측(912) 상에는 파지 후크(914)가 형성되며, 이 파지 후크는 슬라이드 스위치(900)의 파지 상태에서 반경 방향에서 내부로 향하면서 공구 하우징(24)의 개구부(918) 내에 형성되는 차단 후크(916)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맞물릴 수 있다. 슬라이드 스위치(900)의 파지 후크(914)는 공구 하우징(24)의 차단 후크(916)와 상호작용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파지 기하구조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축 방향 단부(910)의 영역에서 기능 측(902)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슬라이드 스위치(900)의 작동 측(912) 상에는, 바람직하게는 인체공학적으로 형성되는 제 1 램프 형태 상승부(926)가 바람직하게는 통합 형성된다. 제 1 축 방향 단부(910)로부터 멀리 향하는 슬라이드 스위치(900)의 제 2 축 방향 단부(928) 상에는 제 2 램프 형태 상승부(930)가 형성되며, 이 상승부는 제 1 램프 형태 상승부(926)에 비해 감소된 높이를 갖는다. 그 결과, 상승부들(926, 930) 사이에는 슬라이드 스위치(900)의 작동 측(912)의 적어도 거의 오목한 연장부가 형성되며, 이 연장부는 사용자의 편리한 작동을 허용한다.
이제, 사용자가, 도 14에 도시된 비작동 상태에서 출발하여 화살표(932)의 방향으로 공구 하우징(24)의 종축(32)에 대해 평행하게 슬라이드 스위치(900)를 변위시키면, 차단 후크(914)는 도 15에 따라 파지 후크(916)의 하부에 위치하고, 파지 기하구조는 거의 그 맞물림 상태를 달성하였다. 도 16에 따르면, 슬라이드 스위치(900)는 종축(32)에 대해 평행하게 화살표(930)의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파지력(F)을 가하는 것을 통해 슬라이드 스위치(900)는, 차단 후크(914)에 파지 후크(916)가 걸리고 도 1의 전동 공구(10)의 구동 모터의 스위치 온 시에 후크들(914, 916)이 완전하게 맞물림 상태가 되도록, 선회된다. 이런 파지 상태는 파지력(F)의 작용을 통해 지속적으로, 그리고 비교적 적은 힘 적용으로 피로감 없이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슬라이드 스위치(900)를 통제하면서, 또는 통제하지 않으면서 다시 파지 해제하면, 파지력(F)은 영(0)이 되고, 슬라이드 스위치(900)는, 슬라이드 부재(606)에 작용하는 도 2의 리턴 스프링(52)의 힘 작용으로 인해, 도 16에 따르는 파지 상태에서 출발하여, 도 15의 중간 상태를 지나, 도 1의 전동 공구(10)의 구동 모터가 스위치 오프되는 도 14에 따르는 비작동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종축(32)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그리고 화살표(930)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당겨진다. 슬라이드 스위치의 파지 해제 후에 슬라이드 스위치(900)의 수월한 복귀를 달성하기 위해, 슬라이드 스위치(900) 상의 파지 후크(914)는 경사진 기울기를 갖는 파지면(934)을 포함하고, 이 파지면은 슬라이드 스위치(900)의 파지 해제 시, 다시 말하면 파지력(F)의 중단 시 공구 하우징(24)의 차단 후크(916) 너머로 활주되며, 슬라이드 스위치(900)는 종축(32)에 대해 평행한 그 병진 이동과 더불어 선회 이동을 동시에 실행한다.
10: 전동 공구
12: 구동 모터
14: 구동 샤프트
16: 앵귤러 기어
18: 피동 샤프트
20: 공구 수용부
22: 삽입 공구
24: 공구 하우징
30: 슬라이드 스위치
32: 공구 하우징(24)의 종축
34: 전력 공급 라인
40: 온/오프 스위치
42, 44: 라인
46, 48: 추가 라인
50: 슬라이드 부재
52: 리턴 스프링
100: 슬라이드 스위치
102: 작동 측
104: 기능 측
106: 활주 기하구조
108: 슬라이드 부재
110: 연결 기하구조
112: 선회점
116: 만곡부
118: 제 1 축 방향 단부
120: 제 2 축 방향 단부
122: 에지부
124: 파지면
126: 함몰부
128: 파지 기하구조
130: 화살표
200: 슬라이드 스위치
202: 작동 측
204: 기능 측
206: 활주 기하구조
208: 슬라이드 부재
210: 연결 기하구조
212: 선회점
216: 만곡부
218: 제 1 축 방향 단부
220: 제 2 축 방향 단부
222: 돌출부
224: 안착면
226: 파지면
228: 함몰부
230: 파지 기하구조
232: 정점
300: 슬라이드 스위치
302: 작동 측
304: 기능 측
306: 축 방향 단부 에지부
308: 활주 기하구조
310: 선회점
312: 축 방향 단부
314: 파지 기하구조
316: 돌출부
318: 함몰부
320: 구동 부재
322: 연결 기하구조
324: 슬라이드 부재
400: 슬라이드 스위치
402: 작동 측
404: 기능 측
406: 제 1 축 방향 단부
408: 만곡부
410: 활주 기하구조
412: 출발 램프
414: 제 2 축 방향 단부
416: 파지 기하구조
500: 슬라이드 스위치
502: 작동 측
504: 기능 측
506: 제 1 축 방향 단부
508: 돌출부
510: 안착면
512: 파지면
514: 함몰부
516: 파지 기하구조
518: 제 2 축 방향 단부
520: 만곡부
522: 활주 기하구조
524: 슬라이드 부재
526: 연결 기하구조
528: 구동 부재
600: 슬라이드 스위치
602: 제 1 축 방향 단부
604: 제 2 축 방향 단부
606: 슬라이드 부재
610: 선회점
612: 기능 측
614: 제 1 파지 기하구조
616: 제 2 파지 기하구조
618: 화살표
620: 작동 측
622, 624: 상승부
700: 슬라이드 스위치
702: 제 1 축 방향 단부
704: 제 2 축 방향 단부
706: 슬라이드 부재
708: 연결 기하구조
710: 선회점
712: 기능 측
714, 716, 718: 파지 기하구조
720: 화살표
722: 작동 측
800: 슬라이드 스위치
802: 제 1 축 방향 단부
804: 제 2 축 방향 단부
806: 기능 측
808: 구동 부재
810: 슬라이드 부재
812: 연결 기하구조
814, 816: 파지 기하구조
818: 화살표
820: 작동 측
822, 824: 상승부
850: 슬라이드 스위치
852: 모터 하우징
854: 기능 측
856: 구동 부재
858: 슬라이드 부재
860: 연결 기하구조
862: 돌출부
864: 파지면
866: 단부
868: 돌출부
870: 안착면
872: 파지 기하구조
874: 작동 측
876: 화살표
878: 제 1 축 방향 단부
880: 상승부
882: 제 2 축 방향 단부
900: 슬라이드 스위치
902: 기능 측
910: 제 1 축 방향 단부
912: 작동 측
914: 파지 후크
916: 차단 후크
918: 개구부
926: 상승부
928: 제 2 축 방향 단부
930: 상승부
932: 화살표
934: 파지면
A: 간격
F: 파지력
L: 레버 길이

Claims (18)

  1. 공구 수용부(20)와, 상기 공구 수용부(20)의 구동을 위한 구동 모터(12)가 배치된 공구 하우징(24)을 포함하는 전동 공구(10)로서, 상기 공구 하우징(24) 상에는, 상기 구동 모터(12)를 수동으로 스위치 온 및 오프하기 위해 제공되어 리턴 스프링(52)에 의해 축 방향으로 예응력을 받는 슬라이드 스위치(100, 200)가 상기 공구 하우징(24)의 종축(32)의 방향으로 길이방향 변위 가능하게, 및/또는 상기 종축(32)과 관련하여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기 전동 공구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100, 200)에 사전 설정된 파지력(F)을 수동으로 가할 때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100, 200)를 파지 상태에서 파지하고,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100, 200)를 파지 해제할 때에는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100, 200)를 자동으로 비작동 상태로 변위시키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 기하구조(128, 230)가 제공되며, 상기 구동 모터(12)는 파지 상태에서 스위치 온되고 비작동 상태에서는 스위치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12)와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되는 전기 온/오프 스위치(40)는 슬라이드 부재(50, 108, 208)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100, 200)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50, 108, 208)는 할당된 선회점(112, 212)에서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100, 200)의 선회형 관절식 연결을 위한 연결 기하구조(110, 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100, 200)는 상기 공구 하우징(24)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작동 측(102, 202)과, 상기 공구 하우징(24)으로 향해 있는 기능 측(104, 204)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 측(104, 204) 상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50, 108, 208)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활주 기하구조(106, 206) 및 하나의 구동 부재(114, 214)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 기하구조(106)는 상기 공구 하우징(24) 상에서 안내되는 상기 기능 측(104)의 만곡부(116)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공구 수용부(20)로 향해 있는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100)의 제 1 축 방향 단부(118)의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공구 수용부(20)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100)의 제 2 축 방향 단부(120)의 에지부이면서 상기 공구 하우징(24)으로 향한 상기 에지부(122), 및 상기 공구 하우징(24) 내의 함몰부(126)의 파지면이면서 상기 공구 하우징(24)의 종축(32)에 대해 경사진 상기 파지면(124)은 파지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100)의 잠금 고정을 위한 파지 기하구조(12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 기하구조(206)는 상기 공구 하우징(24) 상에서 안내되는 상기 기능 측(204)의 만곡부(216)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공구 수용부(20)로 향해 있는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200)의 제 1 축 방향 단부(218)의 영역에 배치되고, 축 방향에서 상기 만곡부(216)에 대해 이격되어 상기 공구 수용부(20)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200)의 제 2 축 방향 단부(220)의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200) 상에 상기 공구 하우징(24)으로 향하는 돌출부(222)가 형성되며, 상기 공구 하우징(24) 상의 상기 돌출부(222)의 안착면(224), 및 상기 공구 하우징(24) 내의 함몰부(228)의 파지면이면서 상기 안착면에 상응하게 상기 공구 하우징(24)의 종축(32)에 대해 경사진 상기 파지면(226)은 파지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200)의 잠금 고정을 위한 파지 기하구조(2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216)와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200)의 돌출부(222)의 상기 안착면(224) 사이에 간격(A)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216)와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200)의 제 2 축 방향 단부(220) 사이에 사전 설정된 레버 길이(L)가 형성되며, 상기 간격(A)과 상기 레버 길이(L) 간의 비율은 0.2 내지 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하우징(24) 내의 상기 함몰부(228)의 상기 파지면(226)과 상기 공구 하우징(24)의 종축(32) 간의 각도(α)는 35° 내지 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하우징(24) 내의 상기 함몰부(228)의 단차 높이(h)는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200)의 돌출부(222)의 높이(H)보다 더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측(304)의 축 방향 단부 에지부(306)는 상기 활주 기하구조(308)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300)의 선회 시에 선회점(31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하우징(24) 상에는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400)의 활주 기하구조(410)를 위한 출발 램프(4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기하구조(516)는,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500) 상의 돌출부(508)의 안착면이면서 상기 공구 하우징(24)의 종축(32)에 대해 경사진 상기 안착면(510), 및 상기 공구 하우징(24)의 함몰부(514)의 파지면이면서 상기 공구 하우징(24)의 종축(32)에 대해 경사진 상기 파지면(512)을 구비하여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508)는 상기 공구 수용부(20)로 향해 있는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500)의 제 1 축 방향 단부(506)의 영역에서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의 기능 측(504) 상에 형성되고, 상기 활주 기하구조(522)를 형성하는 만곡부(520)는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500)의 제 2 축 방향 단부(518)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점(610)은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600)의 제 1 축 방향 단부(602)와 제 2 축 방향 단부(604)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선회점(610)의 양측에는 각각 하나의 파지 기하구조(614, 616)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점(710)은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700)의 제 1 축 방향 단부(702) 또는 제 2 축 방향 단부(704)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3개의 파지 기하구조(714, 716, 71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1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800)는 상기 공구 하우징(24)의 종축(32)에 대해 평행하게 변위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파지 기하구조(814, 816)는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800)의 제 1 및 제 2 축 방향 단부(802, 804)의 영역에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1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12)에 장착되는 모터 하우징(852) 상에는 반경 방향에서 내부로 향한 돌출부(86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공구 하우징(24)의 종축(32)에 대해 경사진 파지면(864)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면은 슬라이드 부재(858) 상에서 반경 방향에서 외부로 향한 돌출부(868)의 안착면이면서 상기 공구 하우징(24)에 대해 상응하게 경사진 상기 안착면(870)과 함께 파지 기하구조(87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수용부(20)로 향해 있는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900)의 제 1 축 방향 단부(910) 상에 파지 후크(914)가 제공되고, 상기 파지 후크는 상기 공구 하우징(24) 상에 형성된 차단 후크(916) 상에서 차단될 수 있으며, 상기 파지 후크(914) 및 상기 차단 후크(916)는 파지 기하구조(91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KR1020177000586A 2014-07-10 2015-05-05 슬라이드 스위치를 포함한 전동 공구 KR201700322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13394.7A DE102014213394A1 (de) 2014-07-10 2014-07-10 Elektrowerkzeugmaschine mit einem Schiebeschalter
DE102014213394.7 2014-07-10
PCT/EP2015/059778 WO2016005072A1 (de) 2014-07-10 2015-05-05 Elektrowerkzeugmaschine mit einem schiebeschal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286A true KR20170032286A (ko) 2017-03-22

Family

ID=5318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586A KR20170032286A (ko) 2014-07-10 2015-05-05 슬라이드 스위치를 포함한 전동 공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20170032286A (ko)
CN (1) CN106488831B (ko)
AU (1) AU2015287069A1 (ko)
DE (1) DE102014213394A1 (ko)
WO (1) WO20160050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247A2 (ko) 2017-03-15 2018-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4481B2 (ja) * 2017-03-31 2021-05-19 工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動工具
EP3812089A1 (en) 2019-10-23 2021-04-28 Black & Decker Inc. Pole sander
US11867224B2 (en) 2021-01-27 2024-01-09 Black & Decker Inc. Locking mechanism for two telescoping poles of a power too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3590B2 (ja) * 2000-12-15 2006-12-06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
CA2397024C (en) * 2002-08-07 2008-02-19 Edward M. Turley Switch mechanism for reversible grinder
DE10360251A1 (de) * 2003-12-20 2005-07-21 Robert Bosch Gmbh Elektrowerkzeugmaschine
CN102015218B (zh) * 2008-05-09 2012-07-11 博世电动工具(中国)有限公司 具有开关机构的动力设备
DE102011089717A1 (de) * 2011-12-23 2013-06-27 Robert Bosch Gmbh Werkzeugmaschinenschaltvor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247A2 (ko) 2017-03-15 2018-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88831B (zh) 2021-03-09
AU2015287069A1 (en) 2016-12-01
DE102014213394A1 (de) 2016-01-14
WO2016005072A1 (de) 2016-01-14
CN106488831A (zh)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5335B1 (en) Disc grinder
CN106573368B (zh) 电动工具机
KR20170032286A (ko) 슬라이드 스위치를 포함한 전동 공구
US20110005905A1 (en) Locking switch device for a power tool
EP2285535B1 (en) Powered device having an on-off mechanism
US20070277987A1 (en) Power tool, battery pack,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H09183083A (ja) 手持ち工具機械
US20080244916A1 (en) Hand-Held Power Tool with a Rod-Shaoed Grip
JP2000061867A (ja) 電動工具
CN109483486B (zh) 手持式工具机
EP1448333B1 (en) Electrical working machine
JP2015164754A (ja) 電動工具
JP2005059205A (ja) 手持式電動工具
JP5265397B2 (ja) 電動工具のスイッチ
US6259047B1 (en) Power tools with improved switch devices
CN112334271B (zh) 带式砂光机
EP2365502A1 (en) Power tools and switching apparatus therefor
JP2788271B2 (ja) 電動式の鋏
US7767918B2 (en) Power tool
US20120055032A1 (en) Hedge trimmer
EP3974110A1 (en) Switch assembly and power tool
JP5225018B2 (ja) 延長ハンドル付き手持ち式電動工具及び手持ち式電動工具用の延長ハンドル
JP2018014953A (ja) ロングヘッジトリマ
JP3572665B2 (ja) 携帯用電動工具
CN110744504A (zh) 手持式电动工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