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201A - 전동 가위 - Google Patents

전동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201A
KR20170032201A KR1020160117969A KR20160117969A KR20170032201A KR 20170032201 A KR20170032201 A KR 20170032201A KR 1020160117969 A KR1020160117969 A KR 1020160117969A KR 20160117969 A KR20160117969 A KR 20160117969A KR 20170032201 A KR20170032201 A KR 20170032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operating portion
operated
blad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4807B1 (ko
Inventor
이시구로 히로키
우에노 사토시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33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motor-driven blades
    • A01G3/037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motor-driven blades the driving means being an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5/00Hand-held shears with motor-driven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과제>
단순한 조작으로 보조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고, 또한, 종래의 구조나 부품 개수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전동 가위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개폐 가능한 칼날부(18, 19)와, 상기 칼날부(18, 19)의 개폐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조작 부재(22)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부재(22)가 소정의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개폐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조작 부재(22)가 상기 소정의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상기 개폐 동작과는 상이한 보조 동작을 실행한다.

Description

전동 가위{Electric scissors}
이 발명은, 칼날부를 전동으로 개폐시켜 사용하는 전동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전동 가위는, 예를 들면 수목의 가지치기 등에서 사용되는 것이며, 모터의 구동력으로 한쌍의 칼날부를 개폐하여 나뭇가지 등의 절단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최근, 이런 종류의 전동 가위에 있어서, 절단 동작 이외의 보조 동작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사용 환경이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보조 동작으로서는, 예를 들면 가지의 굵기에 맞춰 칼날의 벌림 각도를 조정하는 동작이 알려져 있다. 칼날의 벌림 각도를 조정하는 기능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굵은 가지를 자를 때에는 칼날의 벌림 각도를 크게 설정하여 한번에 절단할 수 있고, 가는 가지를 자를 때에는 칼날의 벌림 각도를 작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 동작을 진행하게 하기 위해서는, 보조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보조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 수단으로서는, 크게 2가지가 생각된다. 하나는, 기존의 조작부를 이용하여 보조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다. 또 하나는, 기존의 조작부와는 다른 별도의 조작부를 마련하고, 이 별도의 조작부를 이용하여 보조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다.
전자로서는, 예를 들면, 안전 록을 해제하기 위한 스위치와, 절단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이용하여, 이 두 조작부를 소정의 순서로 조작했을 때 보조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를 3회 연속으로 누르고, 세번째를 누른 채로 조작 부재를 길게 누르는 바와 같은 조작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보조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기존의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보조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후자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보조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서브 트리거를 마련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서브 트리거는, 절단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메인 트리거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메인 트리거와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조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전용의 조작부를 마련하면, 복잡한 조작을 하지 않아도 보조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일본국 특허 제5497039호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성중 전자의 구성, 즉, 기존의 조작부를 이용하여 보조 동작을 실행하는 구성은, 조작이 복잡하여 알기 어렵고, 또한 조작에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구성중 후자의 구성, 즉,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은, 메인 트리거와 서브 트리거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것이기 때문에, 조작부의 구조가 복잡해질 수밖에 없고, 부품수의 증가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서브 트리거용 센서도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단순한 조작으로 보조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고, 또한, 종래의 구조나 부품 개수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전동 가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하를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개폐 가능한 한쌍의 칼날부; 및 상기 칼날부의 개폐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1조작부와, 상기 개폐 동작과는 상이한 보조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2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조작부와 상기 제2조작부가 대향하도록 마련된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조작부가 소정의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상기 개폐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제2조작부가 상기 소정의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상기 보조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제2조작부는, 상기 제1조작부에 대해 상대이동하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조작 부재를 끼고 상기 칼날부의 반대측에 마련된 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조작부가 상기 그립부에 접근하도록 끌어당기는 조작이 실시되었을 때 상기 개폐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제2조작부가 상기 그립부에서 멀어지도록 가압하는 조작이 실시되었을 때 상기 보조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제1조작부가 끌어당기는 조작을 했을 때 상기 그립부에 접근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제2조작부가 가압하는 조작을 했을 때 상기 그립부에서 멀어지도록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제1조작부가 끌어당기는 조작을 했을 때 상기 그립부에 접근하도록 직진 이동하고, 상기 제2조작부가 가압하는 조작을 했을 때 상기 그립부에서 멀어지도록 직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제1조작부가 초기 위치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조작된 것과, 상기 제2조작부가 초기 위치에서 상기 소정의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조작된 것을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조작부가 초기 위치에서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조작된 것을 상기 센서에 의해 검지했을 때 상기 개폐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제2조작부가 초기 위치에서 상기 소정의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조작된 것을 상기 센서에 의해 검지했을 때 상기 보조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보조 동작은, 전동 가위의 작동 모드를 변경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보조 동작은, 상기 칼날부의 최대 벌림 각도를 변경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가 소정의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상기 개폐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소정의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상기 개폐 동작과는 상이한 보조 동작을 실행한다. 즉, 조작 부재를 어느 방향으로 조작하는지에 따라, 칼날부의 개폐 동작 또는 보조 동작 중의 어느 하나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작 부재를 한번만 조작하는 단순한 조작으로 보조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동 가위에 필수적인 구조인 조작부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보조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해 별도의 조작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종래의 구조나 부품 개수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조작 부재의 구조가 복잡해지거나,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제1조작부에 대해 상기 제2조작부가 상대이동하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개폐 동작, 보조 동작을 확실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부재가 그립부에 접근하도록 끌어당기는 조작이 실시되었을 때 상기 칼날부의 개폐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조작 부재가 그립부에서 멀어지도록 가압하는 조작이 실시되었을 때 상기 보조 동작을 실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작 부재를 한번만 조작하는 단순한 조작으로 보조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제1조작부가 끌어당기는 조작을 했을 때 상기 그립부에 접근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제2조작부가 가압하는 조작을 했을 때 상기 그립부에서 멀어지도록 회동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단순한 구조로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를 가위 본체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제1조작부가 끌어당기는 조작을 했을 때 상기 그립부에 접근하도록 직진 이동하고, 상기 제2조작부가 가압하는 조작을 했을 때 상기 그립부에서 멀어지도록 직진 이동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단순한 구조로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를 가위 본체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부재가 초기 위치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조작된 것과, 상기 조작 부재가 초기 위치에서 상기 소정의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조작된 것을,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한다. 즉, 조작 부재를 어느 방향으로 조작한 경우에도, 동일한 센서에 의해 조작을 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보조 동작에 관한 조작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를 추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순한 구조 및 염가로 보조 동작을 위한 조작부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동작은, 전동 가위의 작동 모드를 변경하는 동작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작 부재를 한번만 조작하면 용이하게 전동 가위의 작동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동작은, 상기 2개의 칼날부의 최대 벌림 각도를 변경하는 동작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작 부재를 한번만 조작하는 것으로 칼날의 벌림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절단 대상인 가지의 굵기에 상응하여 신속하게 칼날부의 벌림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굵은 가지를 자를 때에는 칼날부의 벌림 각도를 크게 설정하여 한번에 절단할 수 있고, 가는 가지를 자를 때에는 칼날부의 벌림 각도를 작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도 1은 전동 가위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전동 가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전동 가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절단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a)는 칼날부를 벌린 상태의 도면이고, (b)는 칼날부를 닫은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조작 부재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a)는 조작 부재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의 도면이고, (b)는 제1조작부를 조작한 상태의 도면이고, (c)는 제2조작부를 조작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칼날부의 벌림 각도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a)는 칼날부의 벌림 각도를 크게 설정한 상태의 도면이고, (b)는 칼날부의 벌림 각도를 작게 설정한 상태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가위(10)는, 예를 들면 수목의 가지치기 등에서 사용되는 것이며, 동력원인 모터(12)의 구동력으로 한쌍의 칼날부(18, 19)를 개폐하여 나뭇가지 등의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것이다.
이 전동 가위(10)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7)과, 하우징(17)의 후단부에 마련된 케이블 접속부(11)와, 모터(12)와, 모터(12)의 회전 동작을 직진 동작으로 변환하기 위한 볼나사 기구(13)와, 볼나사 기구(13)의 직진 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 부재(16)와, 볼나사 기구(13)의 직진 운동을 2개의 칼날부(18, 19)의 개폐 동작으로 변환하기 위한 링크 기구(15)와, 링크 기구(15)에 의해 작동하는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와, 모터(12)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로서 마련된 조작 부재(22)와, 조작 부재(22)에 추종하여 요동하는 요동 부재(23)와, 요동 부재(23)에 의해 접점이 가압되는 마이크로 스위치(24)와, 조작 부재(22)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25)를 구비한다.
하우징(17)은,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2개의 분할체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작동 기구를 수용하여 기계의 거의 전체를 덮고 있다. 이 하우징(17)은, 링크 기구(15)를 덮는 부분인 링크 커버부(17a)와, 조작 부재(22)의 주위를 덮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조작 부재 가드부(17b)와, 사용자가 쥐어 잡도록 형성된 그립부(17c)와, 그립부(17c)의 후부에 마련된 후단부(17d)를 구비한다.
링크 커버부(17a)는, 하우징(17)의 전단부에 마련되어 링크 기구(15)를 수용하고 있고, 그 전단부로부터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를 돌출시키고 있다.
조작 부재 가드부(17b)는, 링크 커버부(17a)의 후부 하방에 마련되고, 링크 커버부(17a)와 그립부(17c)의 경계선(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이 조작 부재 가드부(17b)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그립부(17c)를 쥐어 잡았을 때, 이 고리 형상의 조작 부재 가드부(17b) 안에 검지를 걸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 가드부(17b)의 내측에는, 조작 부재(22)가 조작 가능하게 노출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조작 부재(22)의 제1조작부(22b)(트리거)가 상용자에게 접근하는(그립부(17c)측) 측으로 조작 가능하게 노출되어 있고, 조작 부재(22)의 제2조작부(22d)가 전방(링크 커버부(17a)측)으로 조작 가능하게 노출되어 있다.
그립부(17c)는, 링크 커버부(17a)보다 가늘고, 또한, 후단부(17d)보다도 약간 가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쥐어 잡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그립부(17c) 내에는 볼나사 기구(13)가 내장되어 있다.
후단부(17d)는, 하우징(17)의 후단에 마련되어 모터(12) 등을 수용하고 있고, 그 후단면(17e)에는 케이블 접속부(11)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블 접속부(11)는, 도시하지 않는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부위이며, 전력선이나 신호선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블 접속부(11)에 접속된 케이블은, 도시하지 않는 전원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 장치 또는 케이블에는 전원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고, 이 전원 스위치를 온시키는 것에 의해, 케이블을 통해 전원 장치로부터 전동 가위(10)에 전력이 공급된다.
모터(12)는,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를 닫음 동작시키는 동력원이며, 전원 장치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작동한다. 이 모터(12)의 출력축은, 후술하는 볼나사 기구(13)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모터(12)의 출력축과 볼나사 기구(13) 사이에 감속 기구(14) 등을 마련해도 좋고, 모터(12)의 출력축과 볼나사 기구(13)를 직접 접속해도 좋다.
볼나사 기구(13)는, 모터(12)의 회전 동작을 직진 동작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 볼나사 기구(13)는,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모터(12)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나사축과, 나사축의 나사홈에 치합되는 너트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모터(12)의 구동력에 의해 나사축이 회전 구동되면, 너트부가 나사축을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너트부에는, 후술하는 링크 기구(15)의 구동축(15a)이 접속되어 있고, 이 구동축(15a)은 너트부와 일체적으로 전후로 직선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16)는, 볼나사 기구(13)의 직진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지지 부재(16)에는, 가이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16a)이 마련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16a)에 링크 기구(15)의 구동축(15a)이 끼워져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홈(16a)의 연장 방향을 따라 너트부 및 구동축(15a)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링크 기구(15)는, 구동축(15a)의 직진 운동을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의 개폐 동작으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이 링크 기구(15)는, 구동축(15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링크(15b) 및 제2링크(15c)를 구비하고 있다. 제1링크(15b)는, 일단이 구동축(15a)에 접속되고, 타단이 접속축(18c)을 통해 제1칼날부(1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링크(15c)는, 일단이 구동축(15a)에 접속되고, 타단이 접속축(19c)을 통해 제2칼날부(19)에 접속되어 있다.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는, 축(20)을 지점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축(20)에서 교차하도록 조립되어 있다. 제1칼날부(18)는, 축(20)보다도 선단측의 절단부(18a)에 날이 형성되어 있고, 축(20)보다도 베이스측의 베이스부(18b)는, 접속축(18c)을 통해 제1링크(15b)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칼날부(19)는, 축(20)보다도 선단측의 절단부(19a)에 날이 형성되어 있고, 축(20)보다도 베이스측의 베이스부(19b)는, 접속축(19c)을 통해 제2링크(15c)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링크 기구(15),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나사 기구(13)의 직진 운동에 의해 작동한다.
구체적으로는, 구동축(15a)이 축(20)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링크(15b) 및 제2링크(15c)가 벌림 방향으로 작동한다. 이에 의해,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의 베이스부(18b, 19b)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동시에,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의 절단부(18a, 19a)가 서로 닫음 방향으로 회동하여 절단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구동축(15a)이 축(2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에 이동하면, 제1링크(15b) 및 제2링크(15c)가 닫음 방향으로 작동한다. 이에 의해,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의 베이스부(18b, 19b)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동시에,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의 절단부(18a, 19a)가 서로 벌림 방향으로 회동한다.
조작 부재(22)는, 모터(12)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이며, 모터(12)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에 의한 절단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 조작 부재(22)는, 샤프트(22a)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작 부재(22)는,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거의 L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샤프트(22a)가 마련된 위치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조작부(22b)와 제2조작부(22d)를 구비하고 있다. 제1조작부(22b)는, 모터(12)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이며, 모터(12)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에 의한 개폐(절단) 동작을 실행(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제2조작부(22d)는, 보조 동작을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1조작부(22b) 및 제2조작부(22d)는, 각각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조작 부재 가드부(17b)의 내측에 조작 가능하게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1조작부(22b)와 제2조작부(22d)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하고,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가락을 샤프트(22a)에 대해 후방(그립부(17c)측)으로 움직이면 제1조작부(22b)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가락을 샤프트(22a)에 대해 전방(링크 커버부(17a)측)으로 움직이면 제2조작부(22d)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조작부(22b) 또는 제2조작부(22d)가 조작되면, 조작 부재(22)는 샤프트(22a)를 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전자 가위(10)는, 제1조작부(22b)가 그립부(17c)측으로 접근하도록 끌어당기는 조작이 실시되면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에 의한 개폐 동작을 실행하고, 제2조작부(22d)가 그립부(17c)측에서 멀어지도록 가압하는 조작이 실시되면 보조 동작을 실행한다. 한편, 제1조작부(22b)와 제2조작부(22d)는 서로 상대이동하지 못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1조작부(22b)가 조작되면, 제2조작부(22d)도 이에 연동하여 제1조작부(22b)와 동일 방향으로 움직인다. 제2 조작부(22d)가 조작되면, 제1 조작부(22b)도 이에 연동하여 제2 조작부(22d)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때문에, 제1조작부(22b)를 조작했을 때와 제2조작부(22d)를 조작했을 때는,d조작 부재(22)가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1조작부(22b)의 내부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롤러(22c)가 마련되어 있다. 이 롤러(22c)는, 후술하는 요동 부재(23)를 가압하여 움직이기 위한 것이다.
요동 부재(23)는, 조작 부재(22)의 제1조작부(22b)가 조작되었을 때, 조작 부재(22)의 회전에 추종하여 요동하는 부재이다. 이 요동 부재(23)는, 요동축(23a)을 축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조작 부재(22)가 회전했을 때 롤러(22c)에 의해 요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요동 부재(23)는, 후술하는 마이크로 스위치(24)의 접점부(24a)에 면하도록 배치된 가압부(23b)를 구비하고 있고, 롤러(22c)에 의해 요동되었을 때 가압부(23b)가 마이크로 스위치(24)의 접점부(24a)를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24)는, 조작 부재(22)의 제1조작부(22b)가 조작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22)의 제1조작부(22b)가 조작되면, 요동 부재(23)가 마이크로 스위치(24)를 온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 스위치(24)의 온/오프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조작 부재(22)의 제1조작부(22b)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센서(25)는, 조작 부재(22)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센서(25)로서는, 조작 부재(22)의 조작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종류를 불문하지만, 예를 들면 샤프트(22a)에 접속된 포텐셔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포텐셔미터를 사용한 경우, 조작 부재(22)의 조작량을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동 가위(10)의 동작은, 전동 가위(10) 또는 전원 장치에 내장된 제어 장치(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장치는, 조작 부재(22)의 제1조작부(22b)가 조작되고, 마이크로 스위치(24)가 온으로 된 것이 검출되면, 센서(25)에 의해 조작 부재(22)의 회전 각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한 각도에 따라 모터(12)를 정회전시켜, 2개의 칼날부(18, 19)를 닫음 방향으로 작동시킨다. 조작 부재(22)의 제1조작부(22b)를 끝까지 조작하면, 2개의 칼날부(18, 19)가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된다. 한편, 제1조작부(22b)가 떼어놓아진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조작 부재(22)가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조작 부재(22)가 초기 위치로 복귀된 것을 센서(25)가 검출하면, 센서(25)는 제어 장치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이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제어 장치는, 모터(12)를 역회전시켜, 최대 벌림 각도가 될 때까지 2개의 칼날부(18, 19)를 작동시킨다. 이에 의해, 2개의 칼날부(18, 19)가 초기 위치까지 복귀하게 된다. 동시에, 조작 부재(22)가 초기 위치에 복귀했을 때 마이크로 스위치(24)가 오프가 되기 때문에, 2개의 칼날부(18, 19)는 최대 벌림 각도에서의 정지가 유지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가위(10)는, 보조 동작으로서, 전동 가위(10)의 작동 모드를 변경하는 동작을 실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작동 모드로서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칼날부(18, 19)의 최대 벌림 각도를 크게 한 굵은 가지 모드와, 2개의 칼날부(18, 19)의 최대 벌림 각도를 작게 한 가는 가지 모드인 2개의 모드를 구비하고 있고, 이 2개의 모드를 전환하는 것에 의해, 2개의 칼날부(18, 19)의 최대 벌림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모드를 전환할 때에는, 조작 부재(22)를 절단 동작 때와는 상이한 방향으로 조작한다. 즉, 조작 부재(22)의 제2조작부(22d)를 조작한다. 조작 부재(22)의 제2조작부(22d)가 조작되면, 이 조작이 센서(25)에 의해 검출된다. 제2조작부(22d)가 조작된 것을 센서(25)가 검출하면, 센서(25)가 제어 신호를 제어 장치에 송신한다. 이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제어 장치는 보조 동작을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동작으로서, 전동 가위(10)의 작동 모드를 변경하여, 2개의 칼날부(18, 19)의 최대 벌림 각도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굵은 가지 모드이면 가는 가지 모드로 이행하고, 가는 가지 모드이면 굵은 가지 모드로 이행한다.
한편, 작동 모드 변경시에 칼날부(18, 19)를 움직이면, 절단 동작이 아닌데도 칼날부(18, 19)가 움직여서 위험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 모드 변경시에는 칼날부(18, 19)를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있다. 작동 모드를 변경후의 최초의 절단 동작에 있어서, 최대 벌림 각도를 변경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단 동작에서 조작된 제1조작부(22b)가 해방되었을 때, 2개의 칼날부(18, 19)를 초기 위치까지 복귀시키지만, 이 때 새로운 모드에 따른 최대 벌림 각도로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한편, 작동 모드는 전동 가위(10)의 전원을 끈 후에도 복원되도록 되어 있다. 즉, 가는 가지 모드의 상태에서 전동 가위(10)의 전원을 끈은 경우, 다음 전원 투입시에는 가는 가지 모드의 상태에서 전동 가위(10)가 기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굵은 가지 모드의 상태에서 전동 가위(10)의 전원을 끈은 경우, 다음 전원 투입시에는 굵은 가지 모드의 상태에서 전동 가위(10)가 기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조작 부재(22)가 초기 위치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절단 동작을 실행하고, 조작 부재(22)가 초기 위치에서 상기 소정의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상기 절단 동작과는 상이한 보조 동작을 실행한다. 즉, 조작 부재(22)를 어느 방향으로 조작하는지에 따라, 칼날부(18, 19)의 개폐 동작 또는 보조 동작 중의 어느 하나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작 부재(22)를 한번만 조작하는 단순한 조작으로 보조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동 가위(10)에 필수적인 구조인 조작 부재(22)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보조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해 별도의 조작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종래의 구조나 부품 개수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조작 부재(22)의 구조가 복잡해지거나,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조작 부재(22)가 초기 위치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조작된 것과, 상기 조작 부재(22)가 초기 위치에서 상기 소정의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조작된 것을, 검출하는 센서(25)를 구비한다. 즉, 조작 부재(22)를 어느 방향으로 조작한 경우에도, 동일한 센서(25)에 의해 조작을 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보조 동작에 관한 조작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를 추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순한 구조 및 염가로 보조 동작을 위한 조작부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동작은, 전동 가위(10)의 작동 모드를 변경하는 동작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작 부재(22)를 한번만 조작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전동 가위(10)의 작동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동작은, 상기 2개의 칼날부(18, 19)의 최대 벌림 각도를 변경하는 동작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작 부재(22)를 한번만 조작하는 것으로 칼날부(18, 19)의 벌림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절단 대상인 가지의 굵기에 상응하여 신속하게 칼날부(18, 19)의 벌림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굵은 가지를 자를 때에는 칼날부(18, 19)의 벌림 각도를 크게 설정하여 한번에 절단할 수 있고, 가는 가지를 자를 때에는 칼날부(18, 19)의 벌림 각도를 작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보조 동작으로서, 전동 가위(10)의 작동 모드를 변경하여, 2개의 칼날부(18, 19)의 최대 벌림 각도를 변경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것으로 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 동작으로서 다른 동작을 실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2개의 칼날부(18, 19)의 닫음 각도를 변경하는 동작을 보조 동작으로서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보조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면, 칼날부(18, 19)의 과도한 연마 등의 이유에 의해 칼날부(18, 19)의 형상이 변해버려, 칼날부(18, 19)가 완전히 닫히지 않게 된 경우에도, 칼날부(18, 19)의 닫음 각도를 깊게 하는 것에 의해 칼날부(18, 19)가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칼날부(18, 19)가 닫음 속도를 변경하는 동작을 보조 동작으로서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보조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면, 임의의 스피드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에러 발생시의 통지 방법을 변경하는 동작을 보조 동작으로서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보조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면, 예를 들면 주위가 시끄러운 경우에는 LED 등의 빛으로 에러를 통지하도록 하고, 주위가 밝아 LED 등의 빛이 잘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부저 등의 소리로 에러를 통지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전동 가위(10)에 조명 장치를 마련하고, 이 조명 장치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동작을 보조 동작으로서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보조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면, 어두운 곳에서의 작업시 등에 간단히 조명을 킬 수 있다.
또한, 에러가 발생했을 때, 그 에러의 종류를 통지하는 동작을 보조 동작으로서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즉, 종래의 장치에서는, 전원 장치의 표시부 등에 에러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이 많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에서는 에러의 종류를 알기 위해서는 전원 장치를 취출해야만 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보조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면, 전원 장치를 취출하지 않아도 에러의 종류를 알 수 있다. 한편, 에러의 종류를 통지하는 동작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러의 종류별로 상이한 부저음을 발해도 좋고, 에러의 종류별로 상이한 형태로 램프를 점등 또는 점멸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조작 부재(22)가 회동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 부재(22)가 직진 운동을 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센서(25)는 직진 운동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것을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조작 부재(22)를 앞으로 이동시키는지 뒤로 이동시키는지에 따라, 칼날부(18, 19)의 개폐 동작을 실행할지 보조 동작을 실행할지를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어느 방향으로 조작한 경우에도, 동일한 센서(25)에 의해 조작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조작 부재(22)의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개폐 동작을 실행할지 보조 동작을 실행할지를 전환하도록 하고 있다. 즉, 조작 부재(22)가 초기 위치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칼날부(18, 19)의 개폐 동작을 실행하고, 조작 부재(22)가 초기 위치에서 상기 소정의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보조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 부재(22)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절단 동작을 실행할지 보조 동작을 실행할지를 전환하도록 해도 좋다. 즉, 조작 부재(22)가 현재 위치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칼날부(18, 19)의 개폐 동작을 실행하고, 조작 부재(22)가 현재 위치에서 상기 소정의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보조 동작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1조작부(22b)와 제2조작부(22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들을 별도의 부품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그 때,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맞춰 제1조작부(22b)와 제2조작부(22d)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대적인 위치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가위(10)는, 2개의 칼날부(18, 19)가 모두 움직이는 양날 가동식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쪽의 칼날부가 고정되고 다른 한쪽의 칼날부가 움직이는 한쪽 날 가동식의 전동 가위(10)여도 동일하게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10: 전동 가위
11: 케이블 접속부
12: 모터(동력원)
13: 볼나사 기구
14: 감속 기구
15: 링크 기구
15a: 구동축
15b: 제1링크
15c: 제2링크
16: 지지 부재
16a: 가이드홈
17: 하우징
17a: 링크 커버부
17b: 조작 부재 가드부
17c: 그립부
17d: 후단부
17e: 후단면
18: 제1칼날부
18a: 절단부
18b: 베이스부
18c: 접속축
19: 제2칼날부
19a: 절단부
19b: 베이스부
19c: 접속축
20: 축
22: 조작 부재
22a: 샤프트
22b: 제1조작부
22c: 롤러
22d: 제2조작부
23: 요동 부재
23a: 요동축
23b: 가압부
24: 마이크로 스위치
24a: 접점부
25: 센서

Claims (8)

  1. 개폐 가능한 한쌍의 칼날부와,
    상기 칼날부의 개폐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1조작부와, 상기 개폐 동작과는 상이한 보조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2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조작부와 상기 제2조작부가 대향하도록 마련된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조작부가 소정의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상기 개폐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제2조작부가 상기 소정의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상기 보조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작부는, 상기 제1조작부에 대해 상대이동하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가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를 끼고 상기 칼날부의 반대측에 마련된 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조작부가 상기 그립부에 접근하도록 끌어당기는 조작이 실시되었을 때 상기 개폐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제2조작부가 상기 그립부에서 멀어지도록 가압하는 조작이 실시되었을 때 상기 보조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가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제1조작부가 끌어당기는 조작을 했을 때 상기 그립부에 접근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제2조작부가 가압하는 조작을 했을 때 상기 그립부에서 멀어지도록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가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제1조작부가 끌어당기는 조작을 했을 때 상기 그립부에 접근하도록 직진 이동하고,
    상기 제2조작부가 가압하는 조작을 했을 때 상기 그립부에서 멀어지도록 직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가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작부가 초기 위치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조작된 것과, 상기 제2조작부가 초기 위치에서 상기 소정의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조작된 것을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조작부가 초기 위치에서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조작된 것을 상기 센서에 의해 검지했을 때 상기 개폐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제2조작부가 초기 위치에서 상기 소정의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조작된 것을 상기 센서에 의해 검지했을 때 상기 보조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가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동작은, 전동 가위의 작동 모드를 변경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가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동작은, 상기 칼날부의 최대 벌림 각도를 변경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가위.
KR1020160117969A 2015-09-14 2016-09-13 전동 가위 KR102404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81254 2015-09-14
JP2015181254A JP6676905B2 (ja) 2015-09-14 2015-09-14 電動はさ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201A true KR20170032201A (ko) 2017-03-22
KR102404807B1 KR102404807B1 (ko) 2022-06-02

Family

ID=56925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969A KR102404807B1 (ko) 2015-09-14 2016-09-13 전동 가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141356B1 (ko)
JP (1) JP6676905B2 (ko)
KR (1) KR102404807B1 (ko)
ES (1) ES2668523T3 (ko)
TW (1) TWI69727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448A (ko) * 2019-09-13 2022-04-05 아루스코포레이션가부시키가이샤 전정용 전동 절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2440B2 (en) * 2012-05-04 2018-01-23 Felco Motion Sa Handheld power tool
JP2020069259A (ja) * 2018-11-01 2020-05-07 株式会社マキタ 充電式シャー
JP6830558B1 (ja) * 2020-04-21 2021-02-17 アルス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電動剪定鋏
IT202000023701A1 (it) * 2020-10-08 2022-04-08 Campagnola Srl Forbice elettrica per potatura e recisioni in genere
CN214924636U (zh) * 2021-01-23 2021-11-30 东莞市嘉航实业有限公司 一种刀口大小任意设置的智能控制电剪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9017A (ko) * 2008-08-22 2011-06-22 –y랑 방아쇠로 작동하는 휴대용 전동 공구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96813A (en) * 1932-10-24 1935-04-09 Chicago Flexible Shaft Co Electric scissors
ES1064828Y (es) * 2007-02-16 2007-08-01 Bellota Herramientas Sa Dispositivo de ajuste en herramientas manuales de corte
EP2159529B1 (en) * 2008-08-26 2014-06-04 Robert Bosch GmbH Powered cutting tool
TWM414816U (en) * 2011-06-10 2011-11-01 Green Guard Industry Ltd Labor-saving gardening scissor
EP2682238B1 (fr) * 2012-07-06 2015-05-27 FELCO Motion SA Outil électroportatif
DE102012024838A1 (de) * 2012-12-19 2014-06-26 Andreas Stihl Ag & Co. Kg Elektrische Schere
TWI473562B (zh) * 2013-01-07 2015-02-21 Ho Cheng Garden Tools Co Ltd 可任意調整刃口角度之園藝剪
JP2013166244A (ja) * 2013-04-01 2013-08-29 Max Co Ltd 電動工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9017A (ko) * 2008-08-22 2011-06-22 –y랑 방아쇠로 작동하는 휴대용 전동 공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448A (ko) * 2019-09-13 2022-04-05 아루스코포레이션가부시키가이샤 전정용 전동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807B1 (ko) 2022-06-02
TWI697276B (zh) 2020-07-01
TW201725970A (zh) 2017-08-01
JP6676905B2 (ja) 2020-04-08
JP2017055853A (ja) 2017-03-23
EP3141356A1 (en) 2017-03-15
ES2668523T3 (es) 2018-05-18
EP3141356B1 (en)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2201A (ko) 전동 가위
RU2492623C2 (ru) Портативный электроинструмент с управлением спусковым механизмом
JP2735218B2 (ja) 可搬式電動工具
KR20170032203A (ko) 전동 가위
JP6419653B2 (ja) 電動はさみ
JPH1033850A (ja) 工具、特に剪定鋏
CN106514568B (zh) 用于起动带有电动机的手引导式工作器械的方法
US20100071218A1 (en) Switch-operating mechanism
US2731721A (en) Power-operated shears
CN104768369B (zh) 具有状态指示器的动力工具
JP2013166244A (ja) 電動工具
JP2010173045A (ja) 電動工具
JP2005224122A (ja) 電動ハサミ
CN107222058B (zh) 带有用于起动电气驱动马达的装置的手引导式工作器械
JP2001340023A (ja) 電動式高枝切り鋏
CN110125882B (zh) 用于电驱动式园林工具的开关装置
JP2008067630A (ja) 電動式剪定はさみの収納機構
CN104742095B (zh) 电圆锯
KR102386550B1 (ko) 전동 가위
JP4125577B2 (ja) 切断機
JP3027017U (ja) 電動高枝カッター
CN116551747A (zh) 电动工具及其控制系统
JP2001225222A (ja) 切断工具の安全装置
TWM545437U (zh) 電動剪刀刀片開口控制結構
JPH0799818A (ja) 携帯式植物切断処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