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203A - 전동 가위 - Google Patents

전동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203A
KR20170032203A KR1020160118014A KR20160118014A KR20170032203A KR 20170032203 A KR20170032203 A KR 20170032203A KR 1020160118014 A KR1020160118014 A KR 1020160118014A KR 20160118014 A KR20160118014 A KR 20160118014A KR 20170032203 A KR20170032203 A KR 20170032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ed
operating
state
release switch
lock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8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4810B1 (ko
Inventor
이시구로 히로키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2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5/00Hand-held shears with motor-driven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95De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33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motor-driven blades
    • A01G3/037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motor-driven blades the driving means being an electric mo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어린이나 기계의 사용법을 모르는 사람이 실수로 기계를 작동시켜버리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안전 기구를 구비하면서, 안전 기구를 마련해도 사용이 편한 전동 가위를 제공한다. 모터(12)의 작동을 허가하지 않는 록 상태와, 조작 부재(22)의 조작으로 모터(12)가 작동하는 대기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록 상태에서 조작 부재(22)와 록 해제 스위치(26)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조작되었을 때 상기 대기 상태가 되도록 했다.

Description

전동 가위{Electric scissors}
이 발명은, 칼날부를 전동으로 개폐시켜 사용하는 전동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전동 가위는, 예를 들면 수목의 가지치기 등에서 사용되는 것이며, 모터의 구동력으로 한쌍의 칼날부를 개폐하여 나뭇가지 등의 절단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동 가위는 실수로 조작하면 부상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어린이나 기계의 사용법을 모르는 사람이 무심코 건드렸을 때, 쉽게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기구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그립부에 서브 트리거를 마련하고, 이 서브 트리거를 쥐고 조작한 상태에서 메인 트리거를 당김 조작했을 때 모터를 구동시키도록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서브 트리거와 메인 트리거가 둘 다 조작되지 않으면 전동 가위가 절단 동작을 실행하지 않기 때문에, 어린이나 기계의 사용법을 모르는 사람이 무심코 건드리는 것만으로는 쉽게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메인 전원이 온되는 것만으로는 기계를 움직일 수 없고, 한번 트리거 스위치를 길게 누르지 않으면 기계가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지 않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13-166244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9-39034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그립부를 쥔 상태가 아니면 절단 동작을 실행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면, 작업을 하는 자세에 따라서는 그립부를 쥐기 곤란한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사용이 불편했다.
또한, 상기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구성은, 트리거 스위치를 길게 누르는 간단한 동작으로 기계가 작동하기 때문에, 어린이나 기계의 사용법을 모르는 사람이어도 무심코 작동시켜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어린이나 기계의 사용법을 모르는 사람이 실수로 기계를 작동시켜버리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안전 기구를 구비하면서, 안전 기구를 마련해도 사용이 편한 전동 가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하를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2개의 칼날부; 상기 2개의 칼날부 중의 적어도 하나를 닫음 동작시키는 동력원; 상기 동력원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 부재; 및 상기 조작 부재와는 별도로 마련된 록 해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동력원의 작동을 허가하지 않는 록 상태와,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으로 상기 동력원이 작동하는 대기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록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록 해제 스위치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조작되었을 때 상기 대기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메인 전원을 온으로 한 직후는 상기 록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록 해제 스위치는, 상기 조작 부재에 손가락을 건 손으로 접촉할 수 없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록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록 해제 스위치를 동시에 조작했을 때, 상기 대기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대기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상 조작이 검출되지 않았을 때, 상기 록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동력원의 작동을 허가하지 않는 록 상태와, 조작 부재의 조작으로 동력원이 작동하는 대기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록 상태에서 조작 부재와 록 해제 스위치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조작되었을 때 상기 대기 상태가 된다. 즉, 조작 부재와 록 해제 스위치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조작된 것을 계기로, 록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상태 이행하여, 기계를 작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스위치를 조작하는 특별한 조작을 실행하지 않으면 기계가 작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어린이나 기계의 사용법을 모르는 사람이 건드려도 기계가 작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특별한 조작을 실행하지 않으면 기계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사고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과 같이 그립부를 쥐고 조작 부재를 조작 해야 하는 제약이 없기 때문에, 그립부를 쥐기 곤란한 자세여도 문제 없어 조작할 수 있다. 즉, 안전성을 높인 결과로 기계의 사용이 불편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 전원을 온으로 한 직후는 상기 록 상태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메인 전원이 온되는 것만으로는 조작 부재를 조작해도 기계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어린이나 기계의 사용법을 모르는 사람이 실수로 조작 부재를 조작해도 위험하지 않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록 해제 스위치는, 상기 조작 부재에 손가락을 건 손으로 접촉할 수 없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록 해제 스위치와 조작 부재를 우연히 조작해버릴 가능성이 낮아진다. 즉, 어린이나 기계의 사용법을 모르는 사람이 실수로 록을 해제해버릴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더욱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록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록 해제 스위치를 동시에 조작했을 때, 상기 대기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단순한 조작으로 록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이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대기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상 조작이 검출되지 않았을 때, 상기 록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대기 상태인채로 기계가 장시간 방치되는 일이 없어진다. 작업하는 짬에 방치된 기계를, 어린이나 기계의 사용법을 모르는 사람이 실수로 조작해도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더욱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전동 가위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전동 가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전동 가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절단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a)는 칼날부를 벌린 상태의 도면이고, (b)는 칼날부를 닫은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조작 부재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a)는 조작 부재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의 도면이고, (b)는 제1조작부를 조작한 상태의 도면이고, (c)는 제2조작부를 조작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전동 가위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전동 가위의 후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록 해제 스위치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의 도면이고, (b)는 록 해제 스위치가 눌려진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 가위의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가위(10)는, 예를 들면 수목의 가지치기 등에서 사용되는 것이며, 동력원인 모터(12)의 구동력으로 한쌍의 칼날부(18, 19)를 개폐하여 나뭇가지 등의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것이다.
이 전동 가위(10)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7)과, 하우징(17)의 후단부(17d)에 마련된 케이블 접속부(11)와, 모터(12)와, 모터(12)의 회전 동작을 직진 동작으로 변환하기 위한 볼나사 기구(13)와, 볼나사 기구(13)의 직진 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 부재(16)와, 볼나사 기구(13)의 직진 운동을 2개의 칼날부(18, 19)의 개폐 동작으로 변환하기 위한 링크 기구(15)와, 링크 기구(15)에 의해 작동하는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와, 모터(12)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로서 마련된 조작 부재(22)와, 조작 부재(22)에 추종하여 요동하는 요동 부재(23)와, 요동 부재(23)에 의해 접점이 가압되는 마이크로 스위치(24)와, 조작 부재(22)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25)와, 조작 부재(22)와는 별도로 마련된 록 해제 스위치(26)를 구비한다.
하우징(17)은,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2개의 분할체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작동 기구를 수용하여 기계의 거의 전체를 덮고 있다. 이 하우징(17)은, 링크 기구(15)를 덮는 부분인 링크 커버부(17a)와, 조작 부재(22)의 주위를 덮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조작 부재 가드부(17b)와, 사용자가 쥐어 잡도록 형성된 그립부(17c)와, 그립부(17c)의 후부에 마련된 후단부(17d)를 구비한다.
링크 커버부(17a)는, 하우징(17)의 전단부에 마련되어 링크 기구(15)를 수용하고 있고, 그 전단부로부터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를 돌출시키고 있다.
조작 부재 가드부(17b)는, 링크 커버부(17a)의 후부 하방에 마련되고, 링크 커버부(17a)와 그립부(17c)의 경계선(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이 조작 부재 가드부(17b)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그립부(17c)를 쥐어 잡았을 때, 이 고리 형상의 조작 부재 가드부(17b) 안에 검지를 걸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 가드부(17b)의 내측에는, 조작 부재(22)가 조작 가능하게 노출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조작 부재(22)의 제1조작부(22b)(트리거)가 상용자에게 접근하는(그립부(17c)측) 측으로 조작 가능하게 노출되어 있고, 조작 부재(22)의 제2조작부(22d)가 전방(링크 커버부(17a)측)으로 조작 가능하게 노출되어 있다.
그립부(17c)는, 링크 커버부(17a)보다 가늘고, 또한, 후단부(17d)보다도 약간 가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쥐어 잡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그립부(17c) 내에는 볼나사 기구(13)가 내장되어 있다.
후단부(17d)는, 하우징(17)의 후단에 마련되어 모터(12) 등을 수용하고 있고, 그 후단면(17e)에는 케이블 접속부(11)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블 접속부(11)는, 도시하지 않는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부위이며, 전력선이나 신호선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블 접속부(11)에 접속된 케이블은, 도시하지 않는 전원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 장치 또는 케이블에는 전원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고, 이 전원 스위치를 온시키는 것에 의해, 케이블을 통해 전원 장치로부터 전동 가위(10)에 전력이 공급된다.
모터(12)는,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를 닫음 동작시키는 동력원이며, 전원 장치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작동한다. 이 모터(12)의 출력축은, 후술하는 볼나사 기구(13)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모터(12)의 출력축과 볼나사 기구(13) 사이에 감속 기구(14) 등을 마련해도 좋고, 모터(12)의 출력축과 볼나사 기구(13)를 직접 접속해도 좋다.
볼나사 기구(13)는, 모터(12)의 회전 동작을 직진 동작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 볼나사 기구(13)는,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모터(12)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나사축과, 나사축의 나사홈에 치합되는 너트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모터(12)의 구동력에 의해 나사축이 회전 구동되면, 너트부가 나사축을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너트부에는, 후술하는 링크 기구(15)의 구동축(15a)이 접속되어 있고, 이 구동축(15a)은 너트부와 일체적으로 전후로 직선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16)는, 볼나사 기구(13)의 직진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지지 부재(16)에는, 가이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16a)이 마련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16a)에 링크 기구(15)의 구동축(15a)이 끼워져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홈(16a)의 연장 방향을 따라 너트부 및 구동축(15a)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링크 기구(15)는, 구동축(15a)의 직진 운동을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의 개폐 동작으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이 링크 기구(15)는, 구동축(15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링크(15b) 및 제2링크(15c)를 구비하고 있다. 제1링크(15b)는, 일단이 구동축(15a)에 접속되고, 타단이 접속축(18c)을 통해 제1칼날부(1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링크(15c)는, 일단이 구동축(15a)에 접속되고, 타단이 접속축(19c)을 통해 제2칼날부(19)에 접속되어 있다.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는, 축(20)을 지점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축(20)에서 교차하도록 조립되어 있다. 제1칼날부(18)는, 축(20)보다도 선단측의 절단부(18a)에 날이 형성되어 있고, 축(20)보다도 베이스측의 베이스부(18b)는, 접속축(18c)을 통해 제1링크(15b)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칼날부(19)는, 축(20)보다도 선단측의 절단부(19a)에 날이 형성되어 있고, 축(20)보다도 베이스측의 베이스부(19b)는, 접속축(19c)을 통해 제2링크(15c)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링크 기구(15),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나사 기구(13)의 직진 운동에 의해 작동한다.
구체적으로는, 구동축(15a)이 축(20)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링크(15b) 및 제2링크(15c)가 벌림 방향으로 작동한다. 이에 의해,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의 베이스부(18b, 19b)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동시에,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의 절단부(18a, 19a)가 서로 닫음 방향으로 회동하여 절단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구동축(15a)이 축(2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에 이동하면, 제1링크(15b) 및 제2링크(15c)가 닫음 방향으로 작동한다. 이에 의해,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의 베이스부(18b, 19b)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동시에,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의 절단부(18a, 19a)가 서로 벌림 방향으로 회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작 부재(22)는, 샤프트(22a)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작 부재(22)는,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거의 L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샤프트(22a)가 마련된 위치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조작부(22b)와 제2조작부(22d)를 구비하고 있다. 제1조작부(22b)는, 모터(12)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이며, 모터(12)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에 의한 개폐(절단) 동작을 실행(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제2조작부(22d)는, 보조 동작(예를 들면 작동 모드의 전환)을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1조작부(22b) 및 제2조작부(22d)는, 각각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조작 부재 가드부(17b)의 내측에 조작 가능하게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1조작부(22b)와 제2조작부(22d)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하고,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가락을 샤프트(22a)에 대해 후방(그립부(17c)측)으로 움직이면 제1조작부(22b)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가락을 샤프트(22a)에 대해 전방(링크 커버부(17a)측)으로 움직이면 제2조작부(22d)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조작부(22b) 또는 제2조작부(22d)가 조작되면, 조작 부재(22)는 샤프트(22a)를 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전자 가위(10)는, 제1조작부(22b)가 그립부(17c)측으로 접근하도록 끌어당기는 조작이 실시되면 제1칼날부(18) 및 제2칼날부(19)에 의한 개폐 동작을 실행하고, 제2조작부(22d)가 그립부(17c)측에서 멀어지도록 가압하는 조작이 실시되면 보조 동작을 실행한다. 한편, 제1조작부(22b)와 제2조작부(22d)는 서로 상대이동하지 못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제1조작부(22b)(제2조작부(22d))가 조작되면, 제2조작부(22d)(제1조작부(22b))도 이에 연동하여 제1조작부(22b)(제2조작부(22d))와 동일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때문에, 제1조작부(22b)와 제2조작부(22d)는 동시에 조작할 수는 없고, 별도로 조작되어 제1조작부(22b)를 조작했을 때와 제2조작부(22d)를 조작했을 때는, 조작 부재(22)가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1조작부(22b)의 내부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롤러(22c)가 마련되어 있다. 이 롤러(22c)는, 후술하는 요동 부재(23)를 가압하여 움직이기 위한 것이다.
요동 부재(23)는, 조작 부재(22)의 제1조작부(22b)가 조작되었을 때, 조작 부재(22)의 회전에 추종하여 요동하는 부재이다. 이 요동 부재(23)는, 요동축(23a)을 축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조작 부재(22)가 회전했을 때 롤러(22c)에 의해 요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요동 부재(23)는, 후술하는 마이크로 스위치(24)의 접점부(24a)에 면하도록 배치된 가압부(23b)를 구비하고 있고, 롤러(22c)에 의해 요동되었을 때 가압부(23b)가 마이크로 스위치(24)의 접점부(24a)를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24)는, 조작 부재(22)의 제1조작부(22b)가 조작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22)의 제1조작부(22b)가 조작되면, 요동 부재(23)가 마이크로 스위치(24)를 온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 스위치(24)의 온/오프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조작 부재(22)의 제1조작부(22b)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센서(25)는, 조작 부재(22)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센서(25)로서는, 조작 부재(22)의 조작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종류를 불문하지만, 예를 들면 샤프트(22a)에 접속된 포텐셔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포텐셔미터를 사용한 경우, 조작 부재(22)의 조작량을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 센서(25)를 이용한 전동 가위(10)의 동작은, 전동 가위(10) 또는 전원 장치에 내장된 제어 장치(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장치는, 조작 부재(22)의 제1조작부(22b)가 조작되고, 마이크로 스위치(24)가 온으로 된 것이 검출되면, 센서(25)에 의해 조작 부재(22)의 회전 각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한 각도에 따라 모터(12)를 정회전시켜, 2개의 칼날부(18, 19)를 닫음 방향으로 작동시킨다. 조작 부재(22)의 제1조작부(22b)를 끝까지 조작하면, 2개의 칼날부(18, 19)가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된다. 한편, 제1조작부(22b)가 떼어놓아진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조작 부재(22)가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조작 부재(22)가 초기 위치로 복귀된 것을 센서(25)가 검출하면, 센서(25)는 제어 장치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이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제어 장치는, 모터(12)를 역회전시켜, 최대 벌림 각도가 될 때까지 2개의 칼날부(18, 19)를 작동시킨다. 이에 의해, 2개의 칼날부(18, 19)가 초기 위치까지 복귀하게 된다. 동시에, 조작 부재(22)가 초기 위치에 복귀했을 때 마이크로 스위치(24)가 오프가 되기 때문에, 2개의 칼날부(18, 19)는 최대 벌림 각도에서의 정지가 유지된다.
록 해제 스위치(26)는, 전동 가위(10)를 록 상태로부터 해제하여 대기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가위(10)는,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조작 부재(22)가 조작되어도 모터(12)가 작동하지 않는 록 상태와, 조작 부재(22)의 조작으로 모터(12)가 작동하는 대기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전원이 온되었을 때(즉, 전원 장치 또는 케이블에 마련된 전원 스위치가 투입되었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록 상태가 되도록 제어되고 있다. 전동 가위(10)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 록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이행시킬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록 상태에서 조작 부재(22)와 록 해제 스위치(26)를 동시에 조작했을 때 대기 상태로 이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록 해제 스위치(26)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7)의 후단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특히 록 해제 스위치(26)는 하우징(17)의 단부(17d)에 설치되어 있고, 조작 부재(22)에 손가락을 건 손으로 접촉할 수 없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7)의 후단면(17e)에 밀어넣을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7)의 후단면(17e)에는, 록 해제 스위치(26)의 주위를 가리도록 가드벽(17f)이 마련되어 있고, 의도하지 않게 록 해제 스위치(26)에 뭔가가 닿아 밀어넣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록 해제 스위치(26)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27)에 의해 외측으로 가압되어 있고, 스프링(2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어넣는 조작을 하면, 록 해제 스위치(26)의 선단에 고정된 자석(26a)이 기계 본체에 배치된 홀 IC(28)에 접근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록 해제 스위치(26)가 가압 조작되면, 그 조작을 홀 IC(28)가 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홀 IC(28)는, 록 해제 스위치(26)의 조작을 검지하면, 제어 장치에 록 해제 스위치(26)의 조작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마이크로 스위치(24)(또는 센서(25))도, 조작 부재(22)의 조작을 검지하면, 제어 장치에 조작 부재(22)의 조작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장치는, 록 해제 스위치(26)의 조작 신호와 조작 부재(22)의 조작 신호를 동시에 수신했을 때, 록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이행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즉, 사용자가 록 해제 스위치(26)를 밀어넣은 상태에서 조작 부재(22)를 조작했을 때, 또는, 사용자가 조작 부재(22)를 조작한 상태에서 록 해제 스위치(26)를 밀어넣었을 때, 록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기계의 상태를 이행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대기 상태에서 조작 부재(22)가 소정 시간 이상 조작되지 않은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록 상태가 되도록 제어되고 있다. 이 때문에, 작업의 도중에 전동 가위(10)가 방치되는 바와 같은 일이 있어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물론, 대기 상태에서 조작 부재(22)와 록 해제 스위치(26)가 동시에 조작된 경우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대기 상태에서 록 상태로 이행한다. 이 때문에, 전동 가위(10)의 사용을 중단할 때에는, 록 상태로 하여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전동 가위(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조작에 의해 전동 가위(10)를 록 상태로 해 놓으면, 2개의 칼날부(18, 19)가 닫힌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명에서는, 조작 부재(22)의 제1조작부(22b)가 조작되었을 때 상태가 이행되도록 했지만, 이 대신에, 조작 부재(22)의 제2조작부(22d)가 조작되었을 때, 즉, 조작 부재(22)가 절단 동작시와는 상이한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상태를 이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조작 부재(22)의 제2조작부(22d)가 조작되면, 이 조작은 센서(25)에 의해 검출된다. 제2조작부(22d)의 조작을 검출한 센서(25)는, 제어 장치에 조작 부재(22)의 조작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는, 록 해제 스위치(26)의 조작 신호와 조작 부재(22)의 조작 신호를 동시에 수신했을 때, 록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또는, 대기 상태에서 록 상태로 이행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록 해제를 위한 조작(제2조작부(22d)를 조작)과 절단 동작을 위한 조작(제1조작부(22b)를 조작)을 명확히 구별할 수 있기 때문에, 오조작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모터(12)의 작동을 허가하지 않는 록 상태와, 조작 부재(22)의 조작으로 모터(12)가 작동하는 대기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록 상태에서 조작 부재(22)와 록 해제 스위치(26)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조작되었을 때 상기 대기 상태가 된다. 즉, 조작 부재(22)와 록 해제 스위치(26)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조작된 것을 계기로, 록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상태 이행하여, 기계가 작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스위치를 조작하는 특별한 조작을 실행하지 않으면 기계가 작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어린이나 기계의 사용법을 모르는 사람이 건드려도 기계가 작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특별한 조작을 실행하지 않으면 기계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사고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전원을 온으로 한 직후는 록 상태이기 때문에, 메인 전원이 온되는 것만으로는 조작 부재(22)를 조작해도 기계가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어린이나 기계의 사용법을 모르는 사람이 실수로 조작 부재(22)를 조작해도 위험하지 않다.
또한, 록 해제 스위치(26)는, 상기 조작 부재(22)에 손가락을 건 손으로 접촉할 수 없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록 해제 스위치(26)와 조작 부재(22)를 우연히 조작해버릴 가능성이 낮아진다. 즉, 어린이나 기계의 사용법을 모르는 사람이 실수로 록을 해제해버릴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더욱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록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22)와 상기 록 해제 스위치(26)를 동시에 조작했을 때, 상기 대기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단순한 조작으로 록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이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다.
또한, 상기 대기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상 조작이 검출되지 않았을 때, 상기 록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대기 상태인채로 기계가 장시간 방치되는 일이 없어진다. 작업하는 짬에 방치된 기계를, 어린이나 기계의 사용법을 모르는 사람이 실수로 조작해도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더욱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록 상태에서 조작 부재(22)와 록 해제 스위치(26)를 동시에 조작했을 때 대기 상태가 되도록 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록 상태에서 조작 부재(22)와 록 해제 스위치(26)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조작되었을 때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록 상태에서 조작 부재(22)를 조작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 내에 록 해제 스위치(26)를 조작했을 때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록 상태에서 록 해제 스위치(26)를 조작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 내에 조작 부재(22)를 조작했을 때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해도 좋다. 그 때, 조작 부재(22) 및 록 해제 스위치(26)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복수회 조작하는 것이나, 조작 부재(22) 및 록 해제 스위치(26)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일정 시간 계속하여 조작하는 것을 상태 이행의 조건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록 해제 스위치(26)를 하우징(17)의 후단면(17e)에 마련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장소에 스위치를 마련해도 좋다. 조작 부재(22)에 손가락을 건 손으로 접촉할 수 없는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면, 하우징(17)의 후단부(17d)의 다른 장소나, 조작 부재 가드부(17b)보다도 전방이 임의의 장소에 스위치를 마련해도 좋다. 또한, 전동 가위(10)의 본체(소지 부분)가 케이블에 의해 전원 장치와 접속되는 경우, 록 해제 스위치(26)는 전동 가위(10)의 본체에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케이블의 도중이나 전원 장치에 록 해제 스위치(26)를 마련해도 좋다. 이와 같이 케이블의 도중이나 전원 장치에 록 해제 스위치(26)를 마련한 경우에도, 조작 부재(22)에 손가락을 건 손으로 접촉할 수 없는 위치에 록 해제 스위치(26)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22)에 손가락을 건 손으로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록 해제 스위치(29)를 마련해도 좋다. 이 록 해제 스위치(29)는, 그립부(17c)에 마련되어 있고, 그립부(17c)를 쥐었을 때 조작 신호가 검지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조작 부재(22)에 손가락을 건 손으로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록 해제 스위치(29)를 마련한 경우에는, 오조작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록 해제 스위치(29)를 복수회 조작한 후에 조작 부재(22)를 일정 시간 계속하여 조작하는 것을 상태 이행의 조건으로 하는 등, 록 해제를 위한 조작을 복잡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가위(10)는, 2개의 칼날부가 모두 움직이는 양날 가동식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쪽의 칼날부가 고정되고 다른 한쪽의 칼날부가 움직이는 한쪽 날 가동식의 전동 가위(10)에도 동일하게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10: 전동 가위
11: 케이블 접속부
12: 모터(동력원)
13: 볼나사 기구
14: 감속 기구
15: 링크 기구
15a: 구동축
15b: 제1링크
15c: 제2링크
16: 지지 부재
16a: 가이드홈
17: 하우징
17a: 링크 커버부
17b: 조작 부재 가드부
17c: 그립부
17d: 후단부
17e: 후단면
17f: 가드벽
18: 제1칼날부
18a: 절단부
18b: 베이스부
18c: 접속축
19: 제2칼날부
19a: 절단부
19b: 베이스부
19c: 접속축
20: 축
22: 조작 부재
22a: 샤프트
22b: 제1조작부
22c: 롤러
22d: 제2조작부
23: 요동 부재
23a: 요동축
23b: 가압부
24: 마이크로 스위치
24a: 접점부
25: 센서
26: 록 해제 스위치
26a: 자석
27: 스프링
28: 홀 IC
29: 록 해제 스위치

Claims (6)

  1. 2개의 칼날부;
    상기 2개의 칼날부 중의 적어도 하나를 닫음 동작시키는 동력원;
    상기 동력원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 부재; 및
    상기 조작 부재와는 별도로 마련된 록 해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동력원의 작동을 허가하지 않는 록 상태와,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으로 상기 동력원이 작동하는 대기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록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록 해제 스위치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조작되었을 때 상기 대기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메인 전원을 온으로 한 직후는 상기 록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가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 해제 스위치는, 상기 조작 부재에 손가락을 건 손으로 접촉할 수 없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가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록 해제 스위치를 동시에 조작했을 때, 상기 대기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가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상 조작이 검출되지 않았을 때, 상기 록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가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가위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록 해제 스위치는 상기 하우징의 후단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가위.
KR1020160118014A 2015-09-14 2016-09-13 전동 가위 KR102404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81256 2015-09-14
JP2015181256A JP6601082B2 (ja) 2015-09-14 2015-09-14 電動はさ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203A true KR20170032203A (ko) 2017-03-22
KR102404810B1 KR102404810B1 (ko) 2022-06-02

Family

ID=5692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8014A KR102404810B1 (ko) 2015-09-14 2016-09-13 전동 가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141357B1 (ko)
JP (1) JP6601082B2 (ko)
KR (1) KR102404810B1 (ko)
TW (1) TWI6871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4815B2 (ja) * 2012-05-04 2016-02-17 フェルコ・モーション・ソシエテ・アノニム 手持式電動工具
FR3074712B1 (fr) 2017-12-13 2020-07-31 Innovation Fabrication Commercialisation Infaco Secateur motorise electroportatif muni d’un dispositif de securite plus ergonomique et plus sur.
JP6695486B1 (ja) * 2019-09-13 2020-05-20 アルス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剪定用電動切断装置
CN112847556B (zh) * 2020-12-04 2022-09-30 深圳市亚启科技有限公司 一种花式剪刀控制系统及方法
CN112514674A (zh) * 2021-01-12 2021-03-19 东莞市嘉航实业有限公司 一种电剪刀双连杆双刀驱动机构及其电动剪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9034A (ja) * 2007-08-09 2009-02-26 Mk Seiko Co Ltd 電動はさみ
JP2014117761A (ja) * 2012-12-14 2014-06-30 Makita Corp 動力工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02877U1 (ko) * 1987-03-06 1988-05-11 Va Ri Me Srl
US5875554A (en) * 1996-12-24 1999-03-02 Rescue Technology, Inc. Rescue tool
DE602008006550D1 (de) * 2008-08-26 2011-06-09 Bosch Gmbh Robert Gemüseschneidewerkzeug
JP5272758B2 (ja) * 2009-01-30 2013-08-28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工具
DE102009019989A1 (de) * 2009-05-05 2010-11-11 Gardena Manufacturing Gmbh Handbetätigte Schere
CN201563409U (zh) * 2009-09-15 2010-09-01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电动剪刀
CN102715023B (zh) * 2011-03-31 2014-07-30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电动修枝剪
JP5741252B2 (ja) * 2011-06-28 2015-07-01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はさみ
CN102884949B (zh) * 2011-07-22 2014-07-30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电动修枝剪刀
JP2014124696A (ja) * 2012-12-25 2014-07-07 Makita Corp 電動工具
JP2013166244A (ja) 2013-04-01 2013-08-29 Max Co Ltd 電動工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9034A (ja) * 2007-08-09 2009-02-26 Mk Seiko Co Ltd 電動はさみ
JP2014117761A (ja) * 2012-12-14 2014-06-30 Makita Corp 動力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87156B (zh) 2020-03-11
EP3141357A1 (en) 2017-03-15
EP3141357B1 (en) 2024-04-10
JP6601082B2 (ja) 2019-11-06
KR102404810B1 (ko) 2022-06-02
JP2017055681A (ja) 2017-03-23
TW201725969A (zh)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2203A (ko) 전동 가위
US4879438A (en) Lock-on/lock-off switch for power tool
JP6556536B2 (ja) チェーンソー
KR101777763B1 (ko) 방아쇠로 작동하는 휴대용 전동 공구
CN210161086U (zh) 具有倾斜手柄的工具
KR102404807B1 (ko) 전동 가위
CN106514568B (zh) 用于起动带有电动机的手引导式工作器械的方法
US11015760B2 (en) Throttle lockout with dissimilar action
JP2009516553A (ja) 特に厳環境下での使用に適した引込み刃部を備えたナイフ
EP2159529B1 (en) Powered cutting tool
JP2001340023A (ja) 電動式高枝切り鋏
JP4650637B2 (ja) 電動式剪定はさみの収納機構
CN110125882B (zh) 用于电驱动式园林工具的开关装置
ES2947607T3 (es) Bloqueo de gatillo con acciones diferentes
KR20170032202A (ko) 전동 가위의 이물 검출 기구
CN216017927U (zh) 电动工具
JP6905008B2 (ja) 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2001225222A (ja) 切断工具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