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448A - 전정용 전동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전정용 전동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448A
KR20220042448A KR1020227007650A KR20227007650A KR20220042448A KR 20220042448 A KR20220042448 A KR 20220042448A KR 1020227007650 A KR1020227007650 A KR 1020227007650A KR 20227007650 A KR20227007650 A KR 20227007650A KR 20220042448 A KR20220042448 A KR 20220042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ovable blade
uni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7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4472B1 (ko
Inventor
히데타츠 니이
Original Assignee
아루스코포레이션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루스코포레이션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루스코포레이션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42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5/00Hand-held shears with motor-driven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33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motor-driven blades
    • A01G3/037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motor-driven blades the driving means being an electric mo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칼날의 개폐 폭을 임의로 조정할 수가 있는 전동 전정 가위를 제공하여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가동 칼날(4)과 고정 칼날(5)로 대상을 끼워서 절단하는 전동 전정 가위(1)에, 최대 개방 위치 조정부(80)에 의해 변경 입력을 받아들이면 모터(6)를 동작시켜 변경 전의 개폐 폭에서의 최대 개방 각도에 있는 가동 칼날(4)을 변경 후의 개폐 폭에서의 최대 개방 각도에까지 이동시키는 설정 변경시 동작과, 조작부(60)가 조작되면 모터(6)를 동작시켜 변경 후의 개폐 폭에서의 최대 개방 각도로부터 최대 폐각도까지의 사이에서 가동 칼날(4)을 개폐시키는 가동 칼날 개폐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 기판(109)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정용 전동 절단 장치
이 발명은, 예를 들면 식물의 전정(剪定)에 이용될 수가 있는 전정용 전동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식물의 전정에는, 여러 가지 전정 가위가 이용되고 있었다. 근래에는, 전동으로 칼날이 동작하는 전정 가위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칼날을 동작시켜 전정하는 전정 가위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전정 가위는, 트리거(trigger)(29)를 인입경동(引入傾動)시키면, 스위치 레버(switch lever)(31)가 스위치(28)를 온(ON) 동작하고, 이에 의해 모터가 기동하고, 가동 칼날(18)을 고정 칼날(10)에 대해 폐색 동작시킨다.
그렇지만, 이 전정 가위는, 온(ON) 동작에 의해 가동 칼날(18)을 폐색 동작시키고, 오프(OFF) 동작에 의해 가동 칼날(18)을 복귀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전정시에 동일한 최대 개방 상태로부터 동일한 폐색 상태까지 이동시키는 것밖에 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가지와 가지의 틈새에 칼날을 통과시키고 그 사이에 있는 1개의 가지를 절단하는 것 같은 경우에, 칼날을 이용자가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켜 가지와 가지의 틈새를 통과시킨다고 하는 것을 할 수 없었다.
일본국 특허공개 1990-238819호 공보
이 발명은, 상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칼날의 개폐 폭을 임의로 조정할 수가 있는 전정용 전동 절단 장치를 제공하여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은, 적어도 일방을 가동 칼날로 하는 2매의 칼날로 대상을 끼워서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를 절단 동작시키는 절단 입력을 받아들이는 절단 조작부와, 상기 가동 칼날을 개방 방향과 폐색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동작 기구부와, 상기 동작 기구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전력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절단 조작부에 의한 상기 절단 입력을 받아 상기 동작 기구부를 동작시켜 상기 절단부에 의한 절단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가동 칼날의 개폐 폭의 변경 입력을 받아들이는 개폐 폭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폭 조작부에 의해 상기 변경 입력을 받아들이면 상기 동작 기구부를 동작시켜 변경 전의 개폐 폭에서의 최대 개방 각도에 있는 상기 가동 칼날을 변경 후의 개폐 폭에서의 최대 개방 각도에까지 이동시키는 설정 변경시 동작과, 상기 절단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동작 기구부를 동작시켜 상기 변경 후의 개폐 폭에서의 최대 개방 각도로부터 최대 폐각도까지의 사이에서 상기 가동 칼날을 개폐시키는 가동 칼날 개폐 동작을 실행하는 구성인 전정용 전동 절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해, 칼날의 최대 개방 위치를 임의로 조정할 수가 있는 전정용 전동 절단 장치를 제공하여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가동 칼날 개방 상태의 전동 전정 가위의 종단 우측면도이다.
도 2는 가동 칼날 폐색 상태의 전동 전정 가위의 종단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전동 전정 가위의 종단 사시도이다.
도 4는 트리거 버튼(trigger button) 및 개폐 폭 조작 버튼 주변의 확대 종단 사시도이다.
도 5는 개폐 각도 검지용 센서군 주변의 확대 종단면에 의한 설명도이다.
도 6은 전동 전정 가위의 전기 계통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제어 기판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전동 전정 가위(1)(전정용 전동 절단 장치)의 가동 칼날(4) 개방시에 있어서의 종단 우측면도이고, 도 2는 전동 전정 가위(1)의 가동 칼날(4) 폐색시에 있어서의 종단 우측면도이고, 도 3은 전동 전정 가위(1)의 종단 사시도이고, 도 4는 전동 전정 가위(1)의 트리거 버튼(61) 및 개폐 폭 조작 버튼(81) 주변의 확대 종단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전동 전정 가위(1)는, 옆으로 길게 쓰러뜨린 상태의 직사각 형상의 케이스(2)와, 케이스(2)의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접되는 모터 유닛(30)과, 케이스(2)와 모터 유닛(30)의 외주를 덮는 커버(7)와, 케이스(2)의 길이 방향의 타단에 고정된 고정 칼날(5)과, 고정 칼날(5)과 대향하여 개폐하는 가동 칼날(4)과, 모터 유닛(30)의 케이스(2)와는 다른 타단에 일단이 접속된 전원 케이블(8)을 가지고 있다. 이 고정 칼날(5)과 가동 칼날(4)은, 대상을 절단하는 절단부로서 기능한다.
또, 케이스(2)의 외주에는, 하면 부분의 일부에, 가동 칼날(4)을 조작하는 조작부(60)와, 가동 칼날(4)의 최대 개방 위치를 조정하는 최대 개방 위치 조정부(80)가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일부의 타방으로 되는 상면 부분에 표시부(103)가 배치되어 있다.
전원 케이블(8)의 타단에는, 도시 생략하는 제어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는, 전동 전정 가위(1)의 각종의 제어를 행함과 아울러, 전동 전정 가위(1)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전원부)로서 기능한다.
모터 유닛(3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모터 수용부(36)와, 모터 수용부(36)의 내부에 고정된 모터(6)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6)에는, 중심을 통과하는 모터 축(33)이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모터 축(33)은, 케이스(2) 측의 모터 축 베어링(31)과 전원 케이블(8) 측의 모터 축 베어링(3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지(軸支)되어 있다. 모터 축(33)의 케이스(2) 측의 단부에는, 원반 형상으로 외주에 톱니가 정렬 배치된 선기어(sun gear)(29)가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2)는,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중공(中空))이다. 케이스(2)는, 모터 유닛(30)과 역측의 외주의 일부(상면 측의 일부)에 돌출하는 고정부(56)가 설치되고, 고정부(56)에 고정 칼날(5)의 고정 칼날 동체부(52)가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56)의 모터(motor) 유닛(30) 측에는, 모터 유닛(30)을 향해 돌출량이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사부(102)가 설치되고, 경사부(102)에 표시부(103)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103)는, 케이스(2)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 기판(109)에 배치된 복수의 LED(104)와, 이 LED(104)의 표면으로부터 경사부(102)의 표면까지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도광체(10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LED(104)는, 케이스(2)의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이 실시예에서는 5개) 배치되고, LED(104)는, 동일한 수가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어 기판(109)은, 대략 직사각 형상이고, 케이스(2)의 길이 방향(나사 축(15)의 길이 방향)과 평행으로, 또한 나사 축(15)의 반경 방향이 두께 방향으로 되도록 볼나사 유닛(3)이 수납되어 있는 케이스(2)의 원기둥 형상 공간의 근접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표시부(103)는, 예를 들면 남은 전력량 표시부로서 기능할 수가 있다. 이 경우, 도시 생략하는 배터리의 남은 전력에 따른 출력을 제어 기판(109)이 받고, 잔량이 최대이면 모든 LED(104)를 점등하고, 잔량이 반이면 복수 늘어선 LED(104) 중에서 일단(一端)으로부터 반(半) 정도까지를 점등하고, 잔량이 소량이면 일단의 LED(104)만을 점등하고, 잔량이 대부분 없어져 있으면 모든 LED(104)를 소등한다고 하는 것처럼 사용자가 시인 가능하도록 발광할 수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5개소의 LED(104)의 발광 수가 배터리의 남은 전력에 대응하고 있어, 사용자는, 이 발광 수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남은 전력, 즉 전동 전정 가위(1)의 대충의 남은 가동 시간을 알 수가 있다.
케이스(2)의 내부에는, 모터 유닛(30) 측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차례로 모터 축(33)과 연접한 감속 장치(27)와, 감속 장치(27)와 연접한 볼나사 유닛(3)이 설치되어 있다.
감속 장치(27)는, 나사 축(15)의 축심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대략 원반 형상의 출력 회전체(27b)와, 출력 회전체(27b)의 모터(6) 측에 배치된 링(ring) 형상부(27a)를 가지고 있다. 링 형상부(27a)는, 원(圓) 중심의 축이 모터 축(33)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외주가 케이스(2)에 고정되고, 내면에 기어(gear) 면이 설치되어 있다.
출력 회전체(27b)는, 외주가 케이스(2)에 고정된 베어링(25)의 내측에, 모터 축(33)의 회전축의 연장선 상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출력 회전체(27b)는, 링 형상부(27a) 측으로 돌출하는 3개의 축(도시 생략)이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또한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각 축에 유성기어(28)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출력 회전체(27b)의 외주는, 베어링(25)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25)은, 외주가 케이스(2)에 고정되어 있고, 내측의 출력 회전체(27b)를 모터 축(33)의 회전축의 연장선 상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유성기어(28)는, 선기어(sun gear)(29)의 외주의 톱니와 링 형상부(27a)의 내면의 기어의 톱니에 치합(齒合)하고, 선기어(29)의 회전력을 얻어, 링 형상부(27a)의 내면의 톱니를 따라 전동(轉動)한다. 이 전동에 의해, 출력 회전체(27b)의 축도 이동하기 때문에, 출력 회전체(27b)가 선기어(29)의 회전 속도보다 늦게 회전한다.
볼나사 유닛(3)은, 나사 축(15)과 너트(13)를 가지고 있다. 너트(13)는, 외주에 설치된 너트 홀더(nut holder)(14)와, 고정 칼날(5) 측에 설치된 볼나사 커버(12)와, 고정 칼날(5) 측에 배치된 링크 로드(link rod)(11)(연결부)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모터(6), 나사 축(15), 너트(13), 및 링크 로드(11)는, 트리거 버튼(61)의 압하(押下)를 받아 가동 칼날(4)을 개폐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기구부로서 기능한다.
나사 축(15)은, 길이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외주에 나사부(15b)가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2)의 길이 방향의 중앙에 비치되어 있다. 나사 축(15)의 모터 유닛(30) 측의 일단에는 나사부(15b)가 없는 기부(15a)가 설치되고, 이 기부(15a)의 단부가 감속 장치(27)의 출력 회전체(27b)의 중심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나사 축(15)은, 감속 장치(27)의 출력 회전체(27b)와 연동하여 회전한다.
나사 축(15)의 기부(15a)는, 축심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된 볼나사 베어링(21, 22)에 의해 모터 축(33)의 회전축의 연장선 상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지(軸支)되어 있다. 볼나사 베어링(21, 22)는, 외주가 케이스(2)에 고정되어 있다.
볼나사 베어링(22)과 출력 회전체(27b)의 사이에는 기부 너트(23)가 설치되어 있고, 볼나사 베어링(22)과 출력 회전체(27b)의 간격이 변동하지 않게 위치 결정되어 있다. 나사 축(15)은, 중간으로부터 가동 칼날(4) 측의 선단에 걸쳐 나사부(15b)를 가지고, 너트(13)와 나합(螺合)하고 있다.
나사 축(15)은, 출력 회전체(27b), 볼나사 베어링(21, 22)에 의해 축심 방향으로 3개소에서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나사 축(15)의 흔들림이 경감되고, 안정성이 향상되어 있다.
너트(1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이고, 내면에 나사부(13a)를 가진다. 너트(nut)(13)의 나사부(13a)는, 나사 축(15)의 나사부(15b)와 나합하고 있다.
너트 홀더(14)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너트(13)의 외주를 덮도록 너트(13)에 고정된다. 너트 홀더(14)의 외주는, 케이스(2)의 원기둥 형상의 슬라이드 내면(2a)을 따라 슬라이드(slide) 가능하고, 또한 슬라이드 내면(2a)과의 틈새가 아주 발생하지 않는 크기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너트 홀더(14)의 외주와 케이스(2)의 슬라이드 내면(2a)에는, 일방에 나사 축(15)과 평행한 길이 방향의 슬라이드 홈(slide groove)이 설치되고, 타방에 레일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레일 볼록부와 슬라이드 홈이 계합함으로써, 너트 홀더(14)는 케이스(2)에 대해 주(周)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또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가 있도록 케이스(2)내에 격납된다. 이 구성과, 너트(13)의 나사부(13a)와 나사 축(15)의 나사부(15b)의 나합에 의해, 너트(13)는, 나사 축(15)이 정역회전함으로써, 나사 축(15)의 길이 방향(축심 방향)으로 전후 이동한다. 또한, 이 슬라이드 홈과 레일 볼록부를 설치하지 않고, 나사 축(15)의 회전에 의해 너트(13)가 나사 축(15)의 축심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볼나사 커버(12)는, 내측에 나사 축(15)을 수용할 수가 있는 크기의 원통 형상을 가지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나사 커버(12)는, 너트(13) 또는 너트 홀더(14)의 가동 칼날(4) 측의 선단 중앙에 고정되고, 너트(13)의 나사 구멍을 피복하고 있다.
볼나사 커버(12)는, 적어도 너트(13)의 이동거리보다 길고 너트 홀더(14) 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너트(13)가 나사 축(15)의 회전 운동에 의해 감속 장치(27) 측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체 범위에 있어서, 너트(13)로부터 가동 칼날(4) 측으로 돌출된 나사 축(15)을 보호한다.
링크 로드(11)는, 긴 판(板) 형상을 가지고, 길이 방향의 일단이 너트(13), 너트 홀더(14), 또는 볼나사 커버(12)에 축지되고, 타단이 구동축(47)으로 가동 칼날(4)의 가동 칼날 동체부(43)의 구동 접속부(44)에 축지되어 있다. 또한, 링크 로드(link rod)(11)의 일단은, 금속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너트(13)에 축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링크 로드(11)는, 너트(13)의 길이 방향의 운동을 가동 칼날(4)의 구동 접속부(44)에 전달한다. 이 전달에 있어서, 너트(13), 너트 홀더(14), 또는 볼나사 커버(12)에 대한 링크 로드(11)의 각도, 및 가동 칼날(4)에 대한 링크 로드(11)의 각도는, 각각의 축지 부분이 독립하여 회전 가능한 것에 의해 다소의 변동이 허용된다.
케이스(2)의 고정부(56)는, 고정 칼날(5)의 고정 칼날 동체부(52)를 고정하고 있다. 고정부(56)는, 보다 강고하게 고정 칼날(5)을 고정하기 위해, 2개소 이상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7)는, 길이 방향으로 긴 대충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케이스(2) 및 모터 유닛(30)의 외주를 덮고 있다. 커버(7)는, 전동 전정 가위(1)의 반(半)보다 후부(모터 유닛(30) 측의 후부)는 파지부(7c)로서 사용자가 잡고 사용할 수가 있다. 커버(7)는, 전동 전정 가위(1)의 반보다 전방(고정 칼날(5) 측)의 상측에, 선단을 향해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모양으로 상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7a)를 구비하고 있다.
경사부(7a)에는, 표시부(103)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7)는, 전동 전정 가위(1)의 반보다 전방(고정 칼날(5) 측)의 하측(표시부(103)와 역측(逆側))에, 만곡하는 막대 형상의 조작 손가락 보호부(7b), 조작부(60) 및 최대 개방 위치 조정부(80)를 둘러싸도록 구비하고 있다. 조작 손가락 보호부(7b)는, 조작부(60) 및 최대 개방 위치 조정부(80)와의 사이에 이용자가 충분히 손가락을 움직일 수가 있는 정도의 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 칼날(5)은, 금속제로 두께 일정한 판 형상이고, 대략 중앙에 회동축(46)(도 1 참조)이 삽통(揷通)되는 구멍(도시 생략)을 가지고, 그 구멍의 일방(케이스(2) 측)에 고정 칼날 동체부(52)가 설치되고, 타방(케이스(2)와는 역측으로 되는 선단 측)에 고정 칼날 절단부(51)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 칼날 동체부(52)는, 고정부(56)에 의해, 두께 방향이 좌우 방향(도 1의 안쪽으로 가는 방향)이 되고, 또한 고정 칼날 절단부(51)의 칼날이 위를 향하도록(가동 칼날(4) 측을 향하도록) 하여 케이스(2)에 고정된다. 고정 칼날 절단부(51)는, 가동 칼날(4)과 대향하는 변에 중앙이 오목하게 되도록 만곡한 칼날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 칼날(4)은, 금속제의 대략 L자 모양의 판 형상이고, 대략 중심에 축지(軸支) 구멍(42)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동 칼날(4)은, 고정 칼날(5)에 대해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축지 구멍(42)에 삽통된 회동축(46)에 의해 고정 칼날(5)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가동 칼날(4)은, 대략 L자 모양의 일방의 다리로 되는 가동 칼날 동체부(43)와, 타방의 다리로 되는 가동 칼날 절단부(41)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 칼날 동체부(43)는, 단부에 링크 로드(11)와 접속하는 구동축(47)을 삽통하는 구동 접속부(44)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 칼날 절단부(41)는, 고정 칼날(5)과 대향하는 변에 중앙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한 칼날이 설치되고,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해 첨예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 칼날(4)과 고정 칼날(5)은, 만곡한 칼날에 한정되지 않고, 직선의 칼날로 하거나, 혹은 파(波)형의 칼날로 하는 등 적당한 형상으로 할 수가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가동 칼날(4)의 가동 칼날 동체부(43)의 구동 접속부(44)는, 너트(13)의 길이 방향의 이동에 따라 전후 운동하는 링크 로드(11)에 의해 회동축(46)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 때, 가동 칼날(4)과 함께 가동 칼날 절단부(41)도 회동(回動)하기 때문에, 가동 칼날 절단부(41)가 고정 칼날 절단부(51)에 대해 개폐 동작한다. 가동 칼날 절단부(41)는 고정 칼날(5)에 대해 볼록면이고, 고정 칼날 절단부(51)는 가동 칼날(4)에 대해 오목면이고, 그 만곡의 곡률이 동일한 정도이기 때문에, 폐색 방향으로 회동한 가동 칼날 절단부(41)와 고정 칼날 절단부(51)와의 사이에 가지 등의 절단 대상을 끼워 넣어서 절단할 수가 있다.
조작부(60)는, 케이스(2)의 하부 전방에 위치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조작부(60)는, 트리거 버튼(61)과, 압압력(押壓力) 경감 부재(71)와 온/오프(ON/OFF) 센서(75)와, 조작 기부(79)를 구비하고 있다.
트리거 버튼(61)은, 압압력 경감 부재(71) 측의 상면을 개방한 상자 형상을 가지고 있고, 내부가 중공이고, 일반적인 사람이 조작하는 손가락 굵기의 적어도 반(半)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압압면부(62)와, 압압면부(62)(압입(押入) 조작면부)의 주위로부터 볼나사 유닛(3) 측을 향해 기립하는 주벽면부(周壁面部)(64)와, 압압면부(62)의 중앙에 볼나사 유닛(3) 측을 향해 돌출되고 변형체(74)와 접하는 지주(支柱)(63)(압압력 집약 볼록부)를 가진다. 트리거 버튼(61)은, 지주(63)가 실리콘 소재에 의해 형성되고, 신축(변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주(63)는, 압압면부(62)에 가해진 압압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실리콘 소재에 한정되지 않고 수지 소재 등 적당한 소재로 형성할 수가 있다.
압압력 경감 부재(71)는, 신축(변형) 가능한 실리콘 소재에 의해 형성되고, 조작 기부(79)에 고정되는 링 형상 기부(72)와, 링 형상 기부(72)로부터 지주(63)를 향해 직경을 작게 하면서 볼록하게 되는 브릿지(73)(브릿지부)와, 브릿지(73)의 선단 중앙에 설치된 변형체(74)를 가지고 있다.
브릿지(73)는, 원추대(圓錐臺)의 측주(側周 : side circumferential) 형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변형체(74)와 링 형상 기부(72)를 접속하고 있다. 변형체(74)는, 지주(63)의 길이 방향(압입 방향)을 축심으로 하는 원기둥 형상이고, 압입 방향의 두께가 브릿지(73)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 브릿지(73)는, 변형체(74)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브릿지(73)는, 원추대 형상이지만,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를 방사상으로 배치한 형상으로 하는 등, 중앙의 변형체(74)로부터 외주의 조작 기부(79)에 걸쳐 어느 위치에서도 균등하게 변형하는 구성이면 좋다.
변형체(74)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변형체(74)는, 브릿지(73)와 동일 소재로 일체 성형되어도 좋지만, 별도 소재의 실리콘 소재에 의해 브릿지(73)와 별체로 형성되어 연결되어도 좋다. 변형체(74)의 조작 기부(79) 측(ON/OFF 센서(75) 측)의 단면(端面)은, ON/OFF 센서(75)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변형체(74)는, 압압 방향을 축심으로 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양단면(兩端面)이 ON/OFF 센서(75)의 표면(압압되는 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압압되는 힘이 똑바로 ON/OFF 센서(75)에 전해짐과 아울러, 변형체(74)가 그 자리에서 압압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변형하여 절곡(折曲) 등이 발생하지 않게 구성되어 있다.
온/오프(ON/OFF) 센서(75)는, ON/OFF를 검지할 수가 있는 센서이면 좋고, 예를 들면 ON/OFF를 스위치로 전환하는 스위치 센서로 하거나, 혹은 압압력을 감지할 수가 있는 압전 센서에 의해 소정의 압압력 이상에서 온(ON)으로 하고 그 이하의 압압 혹은 개방이면 오프(OFF)로 하는 등 적당한 센서를 이용할 수가 있다. 온/오프(ON/OFF) 센서(75)를 압전 센서로 하는 경우는, 압압되고 있는 압압력을 검출할 수가 있는 센서이면 좋고, 예를 들면 피에조 저항(piezo-resistor)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성막 방식, 혹은 저항선 방식 등의 적당한 방식의 압전 소자에 의해 구성할 수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전동 전정 가위(1)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몇 개인가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트리거 버튼(61)을 압입함으로써, 압압력 경감 부재(71)의 브릿지(73)가 휘어 변형체(74)가 온/오프(ON/OFF) 센서(75)에 접촉하고, 또한 트리거 버튼(61)이 압입(押入)되면, 변형체(74)를 통해서 ON/OFF 센서(75)가 압하(押下)된다.
이 때, 변형체(74)가 신축하기 때문에, 트리거 버튼(61)으로부터 부여되는 하중이 가감 조정되어 천천히 가해지고, ON/OFF 센서(75)가 ON를 검출할 때까지의 스트로크(stroke)(압압력의 폭)를 길게(넓게) 할 수가 있다.
또, 변형체(74)와 ON/OFF 센서(75)의 사이는, 브릿지(73)의 길이에 따른 거리만 이간하고 있기 때문에, 트리거 버튼(61)에 손가락을 둔 정도에서는, 변형체(74)는 ON/OFF 센서(75)와는 접촉하지 않고, ON도 검지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변형체(74)와 ON/OFF 센서(75)가 이간한 공간(여유)을 설치함으로써, 트리거 버튼(61)에의 뜻하지 않은 가벼운 접촉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ON/OFF 센서(75)가 ON으로 되는 것, 및 거기에 따라 가동 칼날(4)이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ON/OFF 센서(75)가 압전 센서인 경우, 소정 이상의 압압력을 검지하고 있는 상태를 ON으로 하고, 압압력을 검지하고 있지 않든가 소정 미만의 압압력을 검지하고 있는 상태를 OFF로 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압압력으로 트리거 버튼(61)이 눌릴 때까지 동작시키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이용자가 확실하게 압압했을 때에 가동 칼날(4)을 폐색 동작시킬 수가 있다. 또, 이 ON으로 되는 소정 이상의 압압력을 조정함으로써, 가벼운 힘으로 가동 칼날(4)을 폐색 동작시켜 절단 작업할 수가 있는 설정이나, 확실하게 압압하지 않으면 가동 칼날(4)이 동작하지 않는 설정 등 적당한 설정으로 할 수가 있다.
최대 개방 위치 조정부(80)는, 케이스(2)의 하부 전방에서, 조작부(60)의 전방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최대 개방 위치 조정부(80)는, 개폐 폭 조작 버튼(81)과, 압압력 경감 부재(91)와, ON/OFF 센서(95)와, 전환 기부(9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최대 개방 위치 조정부(80)는, 조작부(6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지만, 제조측(製造側)은 최대 개방 위치 조정부(80)와, 조작부(60)의 배치를 적당히 바꿔 넣어도 좋다.
개폐 폭 조작 버튼(81)은, 압압력 경감 부재(91) 측의 상면을 개방한 상자 형상을 가지고 있고, 내부가 중공이고, 일반적인 사람의 조작하는 손가락 굵기의 적어도 반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압압면부(82)와, 압압면부(82)의 주위로부터 볼나사 유닛(3) 측을 향해 기립하는 주벽면부(周壁面部)(84)와, 압압면부(82)의 중앙에 볼나사 유닛(3) 측을 향해 돌출되고 변형체(94)와 접하는 지주(83)(압압력 집약 볼록부)을 가진다. 개폐 폭 조작 버튼(81)은, 지주(83)가 실리콘 소재에 의해 형성되고, 신축(변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주(83)는, 압압면부(82)에 가해진 압압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실리콘 소재에 한정되지 않고 수지 소재 등 적당한 소재로 형성할 수가 있다.
압압력 경감 부재(91)는, 상술한 압압력 경감 부재(71)와 동일한 형상이고, 링 형상 기부(92), 브릿지(93), 및 변형체(94)를 가지고 있다. 이 압압력 경감 부재(91)에 대해서, 상술한 압압력 경감 부재(71), ON/OFF 센서(75), 및 조작 기부(79)와 동일한 배치로 ON/OFF 센서(95) 및 전환 기부(99)가 배치되어 있다. 또, ON/OFF 센서(95)는, 상술한 ON/OFF 센서(75)와 동일한 구성이다.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전동 전정 가위(1)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검지 등을 이용하여 개폐 폭 조작 버튼(81)을 압입함으로써, ON/OFF 센서(95)가 ON으로 되어 작용하고, 미리 설정된 모드의 전환을 실행할 수가 있다. 모드의 전환으로서는, 가동 칼날(4)의 최대 개방 위치가 다른 각 모드(예를 들면 전개 모드, 반개 모드 등)로 전환하는 등 적당한 설정으로 할 수가 있고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최대 개방 위치 조정부(80)는, 상술한 조작부(60)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조작부(60)와 마찬가지로, 의도하지 않는 동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즉, 이용자가 전동 전정 가위(1)를 파지하여 개폐 폭 조작 버튼(81)에 가볍게 손가락을 걸쳐도, 그 정도에서는 반응하지 않고 개폐 폭이 변화하지 않게 할 수가 있어, 의도하지 않는 개폐 폭의 변경을 방지하여 이용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ON/OFF 센서(95)를 압전 센서로 하여 ON으로 되는 소정 이상의 압압력을 조정한 경우에는, 가벼운 힘으로 개폐 폭을 변화시켜 절단 작업할 수가 있는 설정이나, 확실하게 압압하지 않으면 개폐 폭이 변화하지 않는 설정 등 적당한 설정으로 할 수가 있다.
제어 기판(109)은, LED(104)가 설치된 표면과는 역의 이면에, 너트(13) 및 너트 홀더(14)의 위치를 검지하는 개폐 각도 검지용 센서군(105)(도 5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어 기판(109)은, 너트(13) 및 너트 홀더(14)의 위치를 검출하고, 가동 칼날(4)의 개방 각도를 파악할 수가 있다.
이 제어 기판(109)은, 각종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로서 기능하고, 가동 칼날(4)의 개폐 동작 제어 처리와, 모드 전환 처리와, 잔량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개폐 동작 제어 처리를 행하는 제어 기판(109)은, ON/OFF 센서(75)가 검지하는 트리거 버튼(61)에 의한 ON 조작(압하 조작)에 기초하여, ON 조작되면 모터(6)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 축(15)에 의해 너트(13)를 기부 측(모터 유닛(30) 측)으로 후퇴시켜 가동 칼날(4)을 폐색 동작시킨다.
개폐 동작 제어 처리는, 트리거 버튼(61)의 압하가 해제되어 ON/OFF 센서(75)가 OFF 조작(해방 조작)을 검지하면, 모터(6)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 축(15)에 의해 너트(13)를 선단 측(가동 칼날(4) 측)으로 전진시켜 가동 칼날(4)을 개방 동작시킨다.
모드 전환 처리를 행하는 제어 기판(109)은, ON/OFF 센서(75)가 ON 조작을 검지하고 있지 않는 평상 상태에서의 가동 칼날(4)의 최대 개방 위치를 전환한다. 이 전환은, 모터(6)의 회전 제어에 의해, 상기 평상 상태에서의 너트(13) 및 너트 홀더(14)의 위치를 전환하는 것에 의해 실현한다.
잔량 표시 처리를 행하는 제어 기판(109)은, 도시 생략하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잔량에 따라, LED(104)의 발광 수를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발광 수가 많을수록 잔량이 많고, 발광 수가 줄어듦에 따라 잔량이 줄어들고 있는 것을 이용자가 인식할 수가 있다.
도 5는 개폐 각도 검지용 센서군(105) 부근의 확대 종단면도에 의한 설명도이고, 도 5(a)는 완전 폐색 상태, 도 5(b)는 완전 개방 상태(개폐 폭(161)이 제1 개폐 폭 상태)를 나타낸다.
개폐 각도 검지용 센서군(105)은, 제1 센서(131), 제2 센서(132), 제3 센서(133), 제4 센서(134), 제5 센서(135), 제6 센서(136), 및 완전 폐색 검지 센서(13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센서(131)와 완전 폐색 검지 센서(137)는, 너트 홀더(14)에 설치된 피검지체(139)와의 거리를 검지하는 아날로그식의 센서이고, 제2 센서(132)~ 제6 센서(136)는, 너트 홀더(14)에 설치된 피검지체(139)가 근접했을 때에 검지하는 디지털식의 센서이다. 이들 제1 센서(131)~완전 폐색 검지 센서(137)는, 예를 들면 홀 효과(Hall effect) 센서로 할 수가 있고, 피검지체(139)는 자석(영구자석)으로 할 수가 있고, 피검지체(139)는, 예를 들면 자계의 축이 제1 센서(131)로부터 완전 폐색 검지 센서(137)까지의 정렬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영구자석에 의해 구성할 수가 있다.
제2 센서(132), 제3 센서(133), 제4 센서(134), 제5 센서(135), 및 제6 센서(136)는, 가동 칼날(4)의 개방 각도에 대한 너트 홀더(14)의 위치 관계에 대응하여, 너트 홀더(14)의 전후 이동 방향(나사 축(15)의 축심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센서(132), 제3 센서(133), 제4 센서(134), 제5 센서(135), 및 제6 센서(136)는, 각각, 가동 칼날(4)이 제2 개폐 폭의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피검지체(139)의 대향 위치, 가동 칼날(4)이 제3 개폐 폭의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피검지체(139)의 대향 위치, 가동 칼날(4)이 제4 개폐 폭의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피검지체(139)의 대향 위치, 가동 칼날(4)이 제5 개폐 폭의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피검지체(139)의 대향 위치, 및 가동 칼날(4)이 제6 개폐 폭의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피검지체(139)의 대향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개폐 폭의 변경에 수반하는 가동 칼날(4)의 개방 위치의 변경에 대해, 정확하고 확실하게 가동 칼날(4)의 개방 각도를 파악하여 정지시킬 수가 있다.
도 6은 전동 전정 가위(1)의 전기 계통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어 기판(109)에는, LED(104), 개폐 각도 검지용 센서군(105), 트리거 버튼(61), 및 개폐 폭 조작 버튼(81)이 접속되고, 전원부로서 기능하는 제어 박스(140)로부터 전원 케이블(8)을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고 있다.
제어 박스(140)에는, 모드 전환용의 모드 전환 조작부(1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모드 전환 조작부(141)는, 예를 들면 압하 스위치로 구성되고, 압하될 때마다 모드를 순차 전환하거나, 혹은 다이얼식의 스위치로 모드의 수만큼 접점이 설치되고, 그 접점의 위치에 다이얼이 정지되는지에 의해 모드를 전환하는 등 적당한 조작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환하는 모드로서는, 예를 들면 전환 가능한 개폐 폭의 단수가 다른 복수 종류의 모드, 혹은 메인터넌스용의 메인터넌스(maintenance) 모드 등 적당한 모드를 준비해 둘 수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개폐 폭을 6단계로 변경 가능한 다단 설정 모드와, 개폐 폭을 2단계로 변경 가능한 2단 설정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어 기판(109)은, 제어 박스(140)에서 설정되어 있는 모드(이 실시예에서는, 다단 설정 모드와 2단 설정 모드의 어느 쪽이든 일방)에 따라, 개폐 폭 조작 버튼(81)이 조작되었을 때에 개폐 폭을 전환하고, 트리거 버튼(61)이 조작되었을 때에 가동 칼날(4)의 개폐 동작을 하고, 이들 개폐 폭의 전환이나 개폐 동작시에 가동 칼날(4)의 위치를 개폐 각도 검지용 센서군(105)에 의해 검지하고, 제어 박스(140)의 배터리 잔량을 LED(104)에 의해 표시할 수가 있다.
도 7은 제어 기판(109)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전원이 ON으로 되어 개시하면, 우선, 제어 기판(109)은, 제어 박스(140)에서 설정되어 있는 모드가 다단 설정 모드나 2단 설정 모드인지를 확인하고, 다단 설정 모드이면(스텝 S1 : 예(Yes)), 정수 K에 수치 「6」을 대입하고, 개폐 폭으로서 6단계의 설정을 행한다(스텝 S2). 이 6단계의 설정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가 있다.
제1 개폐 폭 : 57㎜, 제1 센서(131)에서의 검지 위치까지의 제1 동작 폭(151).
제2 개폐 폭 : 50㎜, 제2 센서(132)에서의 검지 위치까지의 제2 동작 폭(152).
제3 개폐 폭 : 41㎜, 제3 센서(133)에서의 검지 위치까지의 제3 동작 폭(153).
제4 개폐 폭 : 32㎜, 제4 센서(134)에서의 검지 위치까지의 제4 동작 폭(154).
제5 개폐 폭 : 22.5㎜, 제5 센서(135)에서의 검지 위치까지의 제5 동작 폭(155).
제6 개폐 폭 : 12㎜, 제6 센서(136)에서의 검지 위치까지의 제6 동작 폭(156).
또, 다단 설정 모드가 아닌 경우(스텝 S1 : 아니오(No)), 제어 기판(109)은, 2단 설정 모드이기 때문에, 정수 K에 수치 「2」를 대입하고, 개폐 폭으로서 2단계의 설정을 행한다(스텝 S3). 이 2단계의 설정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가 있다.
제1 개폐 폭 : 57㎜, 제1 센서(131)에서의 검지 위치까지의 제1 동작 폭.
제2 개폐 폭 : 41㎜, 제3 센서(133)에서의 검지 위치까지의 제2 동작 폭.
어느 하나의 설정 모드의 설정을 한 제어 기판(109)은, 변수 i에 수치 「1」을 대입하고(스텝 S4), 개폐 폭을 최대 개폐 폭인 제1 개폐 폭으로 변경한다(스텝 S5).
제어 기판(109)은, 개폐 폭 조작 버튼(81)이 압하(조작)된 것을 ON/OFF 센서(95)로 검지하면(스텝 S6 : 예(Yes)), 변수 i에 1을 가산한다(스텝 S7).
가산 후의 변수 i가 정수 K 이하이면(스텝 S8 : 예(Yes)), 제어 기판(109)은, 개폐 폭을 제i 개폐 폭으로 변경하고(스텝 S9), 스텝 S6으로 되돌아온다. 이 제i 개폐 폭으로의 변경에서는, 피검지체(139)가 제i 번째의 센서(131~136)로 검지되는 위치까지 모터(6)를 구동시켜 가동 칼날(4)의 개폐 폭을 좁게 함으로써, 가동 칼날(4)의 개폐 폭을 폐색 방향으로 한 단계 작게 한다.
여기서, 다단계 설정 모드의 경우는, 정수 K가 6이기 때문에, 제1 센서(131)로 피검지체(139)를 검지하는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시작되어, 개폐 폭 조작 버튼(81)이 압하될 때마다 1단계씩 개폐 폭을 작게 하고, 제6 센서(136)로 검지되는 최소의 개폐 폭으로 될 때까지는 스텝 S6~S9가 반복되는 것이 가능하다.
2단계 설정 모드의 경우는, 정수 K가 2이고, 제2 개폐 폭이 제3 센서(133)에서의 검지 위치이기 때문에, 개폐 폭 조작 버튼(81)이 1회 압하되면, 피검지체(139)가 제3 센서(133)로 검지되는 개폐 폭으로 될 때까지 모터(motor)(6)를 구동시킨다.
개폐 폭의 조작은 아니고(스텝 S6 : 아니오(No)), 리셋(reset) 조작이 된 경우(스텝 S10 : 예(Yes)), 제어 기판(109)은, 변수 i에 수치 「1」을 대입하여 초기화하고(스텝 S11), 가동 칼날(4)이 최대 개폐 폭으로 될 때까지(피검지체(139)가 제1 센서(131)로 검지될 때까지) 모터(6)를 가동하고(스텝 S12), 스텝 S6으로 처리를 되돌린다. 이 리셋 조작은, 예를 들면 개폐 폭 조작 버튼(81)의 소정 시간 이상의 압하 계속을 ON/OFF 센서(75)로 검지하면, 리셋 조작되었다고 판단하고 제어 기판(109)이 실행한다.
리셋 조작이 되지 않고(스텝 S10 : 아니오(No)), 트리거 버튼(61)의 압하에 의해 절단 조작이 된 것을 ON/OFF 센서(75)가 검지하면(스텝 S13 : 예(Yes)), 제어 기판(109)은, 모터(6)를 구동하여 가동 칼날(4)을 폐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스텝 S14). 절단 조작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3 : 아니오(No)), 제어 기판(109)은, 처리를 스텝 S6으로 되돌려 다음의 액션(action)을 검지할 때까지 대기한다.
이용자가 트리거 버튼(61)으로부터 손가락을 떼어 놓는 등을 하여 조작 해방되지 않고(스텝 S15 : 아니오(No)), 또한 현재의 피검지체(139)가 최대 개방 위치에 미치지 않으면(스텝 S16 : 아니오(No)), 제어 기판(109)은, 스텝 S15로 처리를 되돌려 반복한다.
현재의 피검지체(139)가 완전 폐색 검지 센서(137)로 검지될 때까지(가동 칼날(4)이 완전 폐색 상태로 될 때까지) 모터(6)를 구동하고(스텝 S16 : 아니오(No)), 완전 폐색 검지 센서(137)에 의해 피검지체(139)가 검지되면(스텝 S16 : 예(Yes)), 제어 기판(109)은, 모터(6)의 회전을 정지하고(스텝 S17), 스텝 S15로 처리를 되돌린다.
이용자가 트리거 버튼(61)으로부터 손가락을 떼어 놓는 등을 하여 조작 해방되면(스텝 S15 : 예(Yes)), 제어 기판(109)은, 모터(6)를 구동하여 가동 칼날(4)이 개방 방향으로 펴지도록 이동시킨다(스텝 S18).
현재의 제i 센서로 피검지체(139)가 검지되는 개폐 폭 내에서의 완전 개방 위치 도달이 검지될 때까지(스텝 S19 : 아니오(No)), 제어 기판(109)은, 스텝 S18로 처리를 되돌려 반복한다.
현재의 제i 센서로 검지되는 개폐 폭 내에서의 완전 개방 위치 도달이 검지되면(스텝 S19 : 예(Yes)), 제어 기판(109)은, 모터(6)를 정지하고(스텝 S20), 스텝 S1로 처리를 되돌린다.
제어 기판(109)은, 이상의 동작을 전원 OFF로 될 때까지 반복한다.
이상의 구성 및 동작에 의해, 가동 칼날(4)의 개폐 폭(최대 개방 각도)을 임의로 조정할 수가 있는 전동 전정 가위(1)를 제공하여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이용자는, 임의의 개폐 폭으로 설정하고, 개폐에 의한 절단 작업을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개폐 폭을 최대로 하여 굵은 가지를 순차 절단하고, 개폐 폭을 작게 설정하여 좁은 공간에서 가는 가지를 순차 절단해 나갈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트리거(trigger)를 당긴 거리에 따라 칼날이 폐색되는 것 같은 트리거 연동식의 전정 가위의 경우이면, 좁은 공간의 가는 가지를 절단 할 때마다 매회 도중까지 트리거를 당겨 개폐량을 조절하지 않으면 안 되는 곳에서 상술한 전동 전정 가위(1)는 그러한 수고를 들이지 않고 연속적으로 좁은 공간의 가는 가지를 단시간에 절단해 나갈 수가 있다.
또, 최대 개방 위치 조정부(80)로 선택할 수가 있는 개폐 폭은, 0으로 되지 않기(완전 폐색 상태로 되지 않기) 때문에, 가동 칼날(4)이 폐색되어 조작부(60)를 조작해도 가지 등을 절단할 수 없는 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최대 개방 위치 조정부(80)의 조작 1회마다 개폐 폭을 1단계 좁게 해 가는 구성이고, 최소의 개폐 폭까지 진행되면 다음은 최대의 개폐 폭으로 되돌리는 구성이기 때문에, 손에 익숙해진 작업자는 현재 상태로부터 최대 개방 위치 조정부(80)를 필요 회수만 재빠르게 조작하여 목적의 개폐 폭으로 재빠르게 변경할 수가 있다.
또, 개폐 폭 조작 버튼(81)이 소정 시간 압하 계속되면 리셋 조작으로 되어 개폐 폭이 최대의 초기 상태로 되돌아오기 때문에, 현재의 개폐 폭이 몇 단째인지 몰라도, 개폐 폭 조작 버튼(81)의 소정 시간의 압하에 의해 용이하고 재빠르게 최대의 개폐 폭으로 되돌릴 수가 있다.
또, 다단 설정 모드와 2단 설정 모드를 전환하도록 단계 수를 전환할 수가 있기 때문에, 목적에 따라 사용하기 쉬운 단계 수로 하여 이용할 수가 있다. 즉, 여러 가지 개폐량이 필요한 경우에는 다단 설정 모드로 하고, 완전 개방 상태와 반절 개방 상태의 2종류가 있으면 충분한 경우에는 2단계 설정 모드로 한다고 하는 것을 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용도나 상황에 따른 설정으로 이용할 수가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트리거 버튼(61)을 압하하고 있는 동안은 가동 칼날(4)이 폐색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트리거 버튼(61)을 해방하면, 가동 칼날(4)은, 정지하는 것이 아니라 개방 방향(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절단을 도중에 그만둔다고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 트리거 버튼(61)의 개방에 의한 개방 동작에의 변경은, 순간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잘못하여 가동 칼날(4)의 폐색 동작으로 가지를 손상시킨다고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제1 센서(131)와 완전 폐색 검지 센서(137)가 아날로그식의 센서이기 때문에, 제어 기판(109)의 설정에 의해 가동 칼날(4)의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색 위치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조정은, 제2 센서(132), 제3 센서(133), 제4 센서(134), 제5 센서(135), 및 제6 센서(136)에서의 검지와는 분리하여 행할 수가 있다.
또, 제2 센서(132), 제3 센서(133), 제4 센서(134), 제5 센서(135), 및 제6 센서(136)가 디지털의 센서이기 때문에, 단계적인 개폐 폭의 위치 결정을 제도(制度) 좋게 행할 수가 있다.
또, 온/오프(ON/OFF) 센서(75, 95)를 ON/OFF 검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ON/OFF 검지부로서 기능시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즉, ON/OFF 센서(75)를 구비한 조작부(60)가 온(ON) 검지하면, 모터(6)가 일정 회전 속도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가동 칼날(4)이 일정 속도로 폐색 동작하고, 오프(OFF) 검지하면, 모터(6)가 일정 회전 속도로 역회전하고, 이에 의해 가동 칼날(4)이 일정 속도로 개방 동작한다. 따라서, 개폐 동작이 너무 빠르거나, 혹은 너무 늦다고 하는 것이 발생되지 않아 안정된 동작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모터(6)의 회전 속도를 제어 박스(140) 또는 제어 기판(109)의 조작으로 설정 변경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개폐 속도를 조절할 수가 있다.
또, ON/OFF 센서(75)((95))와 변형체(74)((94))와 압압면부(62)((82))가 검지 가능한 압압 방향으로 이 순서로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용자에 의한 압압면부(62)((82))의 압하 조작을 ON/OFF 센서(75)((95))에 적절히 전달하고, 또한 변형체(74)((94))의 변형에 의해 압압력(압하력)을 적절히 경감할 수가 있다.
또, 동작 기구부로서 모터(6), 나사 축(15), 너트(13), 및 링크 로드(1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6)의 회전력을 너트(13)의 전후 동작으로 변환하여 링크 로드(11)에 전달하고, 이 링크 로드(11)에 의해 가동 칼날(4)을 확실하고 안정되게 개폐 동작할 수가 있다.
또, 트리거 버튼(61)(개폐 폭 조작 버튼(81))은, 일반적인 사람의 조작하는 손가락 굵기의 적어도 반 이상의 폭을 가지는 압압면부(62)((82))를 가지고, 또한 변형체(74)((94))를 향해 일부가 볼록하게 되는 지주(63)((83))를 가지는 구성이기 때문에, 이용자가 손가락으로 압압하기 쉽고, 또한 그 압압력을 지주(63)((83))에 집약하여 적절히 변형체(74)((94)) 및 ON/OFF 센서(75)((95))에 전달할 수가 있다.
또, 변형체(74)((94))를 ON/OFF 센서(75)((95))로부터 이간시켜 변형체(74)((94))를 압압 방향의 주위에서 브릿지(73)((93))에 의해 지지하는 구성이고, 또한 브릿지(73)((93))가 변형 가능한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트리거 버튼(61)(개폐 폭 조작 버튼(81))을 어느 정도 압입(押入)할 때까지는 변형체(74)((94))가 ON/OFF 센서(75)((95))에 접촉하지 않고 동작하지 않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의도하지 않고 트리거 버튼(61)(개폐 폭 조작 버튼(81))에 접한 정도에서는 반응하지 않아 가동 칼날(4)이 동작하지 않게 할 수가 있어 안전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또, 브릿지(bridge)(73)((93))는, 압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직선적 또는 곡선적으로 경사지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고, 변형체(74)((94))가 지주(63)((83))로 압압됨으로써 상기 경사 형상이 변화하고, 지주(63)((83))에서의 압압으로부터 해방되면 상기 경사 형상으로 복귀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이용자가 트리거 버튼(61)(개폐 폭 조작 버튼(81))을 압하하고 나서 변형체(74)((94))가 ON/OFF 센서(75)((95))에 접촉하고 가동 칼날(4)이 움직이기 시작할 때까지의 동작과 압압을 그만두고 복귀하는 동작을 순조롭게 행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양호한 조작감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상술한 각종 구성에 의해, 이용자의 압하 조작을 검출하는 ON/OFF 센서(75)((95))에 있어서 이동 부분이 없고, 고정 위치에서 압력을 검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장기간의 반복 사용에 있어서도 검지 정밀도가 저하하지 않고, 안정되게 가동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 ON/OFF 센서(75)((95))에 이동 부분이 없는 것에 의해, 분진에 의한 불편이 발생하는 것을 아주 방지할 수가 있어 옥외에서의 여러 가지 환경에서의 이용에도 높은 내구성으로 안정되게 가동할 수가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상술의 실시 형태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많은 실시의 형태를 얻을 수가 있다.
예를 들면, 개폐 폭의 단계는, 6단계와 2단계에 한정되지 않고, 5 단계, 4 단계, 3 단계 등 적당한 단계로 할 수가 있다. 또, 모드에 대해서도, 다단계 설정 모드와 2단계 설정 모드와 같이 2개의 모드로 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3개의 모드 혹은 4개의 모드 등 복수의 모드로부터 전환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현재의 모드를 알 수가 있도록 모드를 표시하는 모드 표시부를 전동 전정 가위(1) 또는 제어 박스(140)에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전동 전정 가위(1)는, 현재의 모드를 이용자에게 용이하게 파악시킬 수가 있다.
또, 현재의 개폐 폭의 설정을 알 수가 있도록 표시하는 개폐 폭 설정 표시부를 전동 전정 가위(1)에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전동 전정 가위(1)는, 현재의 개폐 폭의 설정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고 명확하게 이용자에게 파악시킬 수가 있다.
또, 조작부(60) 및 최대 개방 위치 조정부(80)는, ON/OFF 센서(75, 95)를 이용한 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압하를 검지하는 버튼 스위치, 혹은 접촉을 검지하는 터치 센서 등 ON/OFF를 검지 가능한 적당한 센서나 스위치로 하는 검지부에 의해 형성할 수가 있다.
또, 트리거 버튼(61)을 조작하는 손가락은, 도시의 예에서는 검지를 상정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파지부(7c)를 잡는 손의 어느 쪽이든 1개의 손가락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 트리거 버튼(61)을 조작하는 손가락은, 엄지와 검지와 중지의 어느 하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검지와 중지의 어느 하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검지로 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또, 브릿지(73)((93))의 경사의 변화는,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압압 전과 압압 후를 비교하면, 경사각이 커지고 있거나, 경사각이 작아지고 있거나, 경사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수평인 상태로 되어 있거나, 혹은 수평인 상태로부터 경사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는 등 적당한 변화로 할 수가 있다. 이러한 경우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또, 브릿지(73)((93))는, 변형체(74)((94))와 접속되는 부위의 ON/OFF 센서(75)((95))와의 이간 거리를 도시한 예보다 길게 되도록 구성하고, 변형체(74)((94))를 압압 방향으로 더 길게 구성하거나, 혹은 변형체(74)((94))를 압압 방향으로 복수 연결하여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변형체(74)((94))의 압압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손가락에 의한 압압력을 보다 경감할 수가 있어 압압 조작의 스트로크(stroke)를 길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트리거 버튼(61)(개폐 폭 조작 버튼(81))의 압하 조작의 조절에 의해, 가동 칼날(4)을 폐색하는 양이나 폐색하는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실행할 수가 있다.
또, 최대 개방 위치 조정부(80)는, 조작부(60)와 나사 축(15)의 축심 방향으로 세로로 나란히 배치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장소에 배치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최대 개방 위치 조정부(80)는, 조작부(60)의 횡(橫)위치(나사 축(15)의 주(周)방향의 인접 위치)에 배치하거나, 혹은 표시부(103)의 근방 위치에 배치하는 등 적당한 장소로 할 수가 있다. 표시부(103)의 근방 위치로서는, 표시부(103)의 횡위치(나사 축(15)의 주방향의 인접 위치), 혹은 표시부(103)의 종(縱)위치(나사 축(15)의 축심 방향의 인접 위치) 등 적당한 위치로 할 수가 있고, 표시부(103)의 형상을 거기에 맞추어 소형화하거나 혹은 박형화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위치에 배치해도, 이용자는, 최대 개방 위치 조정부(80)를 적당하게 조작하여 가동 칼날(4)의 최대 개방 각도를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전동 전정 가위(1)의 파지부(7c)를 파지하는 손의 검지로 조작부(60)를 조작하여 가동 칼날(4)을 개폐시킬 수가 있다. 특히, 실시예 1, 2와 같이 세로로 늘어선 경우, 이용자는, 전동 전정 가위(1)의 파지부(7c)를 파지한 채로 검지를 펴서 최대 개방 위치 조정부(80)를 조작하여 가동 칼날(4)의 최대 개방 각도를 변경하고, 조작부(60)를 조작하여 가동 칼날(4)의 개폐를 행한다고 하는 작업을 순조롭게 행할 수가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 발명은, 식물을 전정 등에 이용하는 절단 기능을 가지는 기계 공구의 산업에 이용할 수가 있다.
1…전동 전정(剪定) 가위
4…가동 칼날 5…고정 칼날
6…모터(motor)
7c…파지부(把持部)
11…링크 로드(link rod) 13…너트(nut)
15…나사 축(軸)
60…조작부 62…압압면부
63…지주(支柱)
73…브릿지(bridge) 74…변형체
75, 110…온/오프(ON/OFF) 센서

Claims (5)

  1. 적어도 일방을 가동 칼날로 하는 2매의 칼날로 대상을 끼워서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를 절단 동작시키는 절단 입력을 받아들이는 절단 조작부와,
    상기 가동 칼날을 개방 방향과 폐색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동작 기구부와,
    상기 동작 기구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전력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절단 조작부에 의한 상기 절단 입력을 받아 상기 동작 기구부를 동작시켜 상기 절단부에 의한 절단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가동 칼날의 개폐 폭의 변경 입력을 받아들이는 개폐 폭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폭 조작부에 의해 상기 변경 입력을 받아들이면 상기 동작 기구부를 동작시켜 변경 전의 개폐 폭에서의 최대 개방 각도에 있는 상기 가동 칼날을 변경 후의 개폐 폭에서의 최대 개방 각도에까지 이동시키는 설정 변경시 동작과,
    상기 절단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동작 기구부를 동작시켜 상기 변경 후의 개폐 폭에서의 최대 개방 각도로부터 최대 폐각도까지의 사이에서 상기 가동 칼날을 개폐시키는 가동 칼날 개폐 동작을 실행하는 구성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폭 조작부에 의해 상기 변경 입력을 받아들일 때마다 상기 가동 칼날의 개폐 폭을 단계적으로 변경하고,
    상기 개폐 폭 조작부에 의해 변경할 수가 있는 상기 개폐 폭의 단계 수의 2이상의 모드로의 모드 전환을 받아들이고, 전환한 모드에서의 동작을 실행하는 구성인 전정용 전동 절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폭 조작부에 의해 선택 가능한 개폐 폭으로서 상기 가동 칼날이 완전하게 폐색된 상태인 완전 폐색 상태를 선택할 수 없는 구성인 전정용 전동 절단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폭 조작부에 의해 상기 변경 입력을 받아들일 때마다 상기 가동 칼날의 개폐 폭을 한 단계씩 짧게 변경하고, 최소의 개폐 폭의 다음은 최대의 개폐 폭으로 변경하는 구성인 전정용 전동 절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폭 조작부에 의해 상기 변경 입력과는 다른 리셋 입력을 받아들이면, 상기 동작 기구부를 동작시켜 상기 가동 칼날을 최대 개방 각도까지 개방 동작시켜, 상기 개폐 폭을 최대의 개폐 폭으로 변경하는 구성인 전정용 전동 절단 장치.
  5. 적어도 일방을 가동 칼날로 하는 2매의 칼날로 대상을 끼워서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를 절단 동작시키는 절단 입력을 받아들이는 절단 조작부와,
    상기 가동 칼날을 개방 방향과 폐색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동작 기구부와,
    상기 동작 기구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전력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절단 조작부에 의한 상기 절단 입력을 받아 상기 동작 기구부를 동작시켜 상기 절단부에 의한 절단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가동 칼날의 개폐 폭의 변경 입력을 받아들이는 개폐 폭 조작부를 구비한 전정용 전동 절단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개폐 폭 조작부에 의해 상기 변경 입력을 받아들이면 상기 동작 기구부를 동작시켜 변경 전의 개폐 폭에서의 최대 개방 각도에 있는 상기 가동 칼날을 변경 후의 개폐 폭에서의 최대 개방 각도에까지 이동시키는 설정 변경시 동작과,
    상기 절단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동작 기구부를 동작시켜 상기 변경 후의 개폐 폭에서의 최대 개방 각도로부터 최대 폐각도까지의 사이에서 상기 가동 칼날을 개폐시키는 가동 칼날 개폐 동작과,
    상기 개폐 폭 조작부에 의해 상기 변경 입력을 받아들일 때마다 상기 가동 칼날의 개폐 폭을 단계적으로 변경하는 동작과,
    상기 개폐 폭 조작부에 의해 변경할 수가 있는 상기 개폐 폭의 단계 수의 2이상의 모드로의 모드 전환을 받아들이고, 전환한 모드에서의 동작을 실행하는 구성인 전정용 전동 절단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27007650A 2019-09-13 2020-09-11 전정용 전동 절단 장치 KR1026544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67555A JP6695486B1 (ja) 2019-09-13 2019-09-13 剪定用電動切断装置
JPJP-P-2019-167555 2019-09-13
PCT/JP2020/034569 WO2021049641A1 (ja) 2019-09-13 2020-09-11 剪定用電動切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448A true KR20220042448A (ko) 2022-04-05
KR102654472B1 KR102654472B1 (ko) 2024-04-03

Family

ID=70682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650A KR102654472B1 (ko) 2019-09-13 2020-09-11 전정용 전동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684017B2 (ko)
EP (1) EP4029665A4 (ko)
JP (1) JP6695486B1 (ko)
KR (1) KR102654472B1 (ko)
CN (1) CN114401629B (ko)
AU (1) AU2020344383B2 (ko)
CL (1) CL2022000620A1 (ko)
WO (1) WO2021049641A1 (ko)
ZA (1) ZA2022030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487417U (zh) * 2020-04-02 2021-02-09 东莞市正弘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刀片可加热的电动剪刀
JP6830558B1 (ja) * 2020-04-21 2021-02-17 アルス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電動剪定鋏
JP7557971B2 (ja) * 2020-06-17 2024-09-30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自動体外式除細動器
CN112189473B (zh) * 2020-10-25 2022-11-18 厦门翔儒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园林绿化植株修剪用多功能剪枝装置
USD1000243S1 (en) * 2021-07-09 2023-10-03 Suzhou Ailixi Brushless Motor Co., Ltd. Electric scissors
AU2023285965A1 (en) * 2022-12-27 2024-07-11 Max Co., Ltd. Cutting device
CA3224768A1 (en) 2022-12-27 2024-06-27 Max Co., Ltd. Cutting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8819A (ja) 1989-03-13 1990-09-21 Makita Electric Works Ltd 剪定ハサミ
KR20130017087A (ko) * 2010-03-24 2013-02-19 인파코 에스에이에스 전지 가위-유형의 절단 공구와 같은 두 요소의 상대 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절단 공구
KR20150035840A (ko) * 2014-10-29 2015-04-07 김정훈 전동 전지가위
JP2017000322A (ja) * 2015-06-08 2017-01-05 株式会社マキタ 電動はさみ
KR20170032201A (ko) * 2015-09-14 2017-03-22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전동 가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8816A (en) * 1963-04-12 1965-04-20 Arvin E Schmid Power pruning shears
DE19616949C2 (de) * 1996-04-27 1998-04-09 Wagner Gmbh J Elektromotrisch angetriebenes Schneidwerkzeug, insbesondere Astschere
DE19616948C1 (de) * 1996-04-27 1997-11-27 Wagner Gmbh J Schneidwerkzeug, insbesondere Astschere
ES2245217B1 (es) * 2004-03-04 2006-08-01 Josep Gurri Molins Util de corte portatil accionado mecanicamente.
JP5272758B2 (ja) * 2009-01-30 2013-08-28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工具
WO2013164310A1 (fr) * 2012-05-04 2013-11-07 Felco Motion Sa Outil électroportatif
EP2682238B1 (fr) * 2012-07-06 2015-05-27 FELCO Motion SA Outil électroportatif
JP2013166244A (ja) * 2013-04-01 2013-08-29 Max Co Ltd 電動工具
JP6601082B2 (ja) * 2015-09-14 2019-11-06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はさ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8819A (ja) 1989-03-13 1990-09-21 Makita Electric Works Ltd 剪定ハサミ
KR20130017087A (ko) * 2010-03-24 2013-02-19 인파코 에스에이에스 전지 가위-유형의 절단 공구와 같은 두 요소의 상대 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절단 공구
KR20150035840A (ko) * 2014-10-29 2015-04-07 김정훈 전동 전지가위
JP2017000322A (ja) * 2015-06-08 2017-01-05 株式会社マキタ 電動はさみ
KR20170032201A (ko) * 2015-09-14 2017-03-22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전동 가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40594A (ja) 2021-03-18
CN114401629B (zh) 2023-05-23
WO2021049641A1 (ja) 2021-03-18
KR102654472B1 (ko) 2024-04-03
CL2022000620A1 (es) 2023-02-17
CN114401629A (zh) 2022-04-26
EP4029665A4 (en) 2023-11-01
EP4029665A1 (en) 2022-07-20
ZA202203045B (en) 2022-05-25
JP6695486B1 (ja) 2020-05-20
US20220312680A1 (en) 2022-10-06
AU2020344383B2 (en) 2023-06-15
AU2020344383A1 (en) 2022-03-31
US11684017B2 (en)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2448A (ko) 전정용 전동 절단 장치
CN1966345B (zh) 带有电换档控制开关的自行车操作部件
US20110062131A1 (en) Hand welding torch
EP3856088B1 (en) Mechanical hand
EP3856087B1 (en) Mechanical hand
US20180215029A1 (en) Quick double trigger configuration change
DE102015226090A1 (de) Handwerkzeugmaschine mit einem Schlagwerk
CN108633337B (zh) 具有双轴编码器的光控制操作单元
DE102015226091A1 (de) Handwerkzeugmaschine mit einem Schlagwerk
EP2292330A1 (de) Elektronische Dosiervorrichtung zum Dosieren von Flüssigkeiten
WO2020065266A1 (en) A mechanical hand
US12042931B2 (en) Mechanical hand
KR20220146635A (ko) 전동 전정 가위
JP6751808B1 (ja) 剪定用電動切断装置
WO2008064380A1 (de) Tragbare bedien- und beobachtungsvorrichtung für eine industrielle steuerungseinrichtung
EP1484779A3 (en) Control device for car-mounted electric device
WO2010006120A1 (en) Handheld electric capper and decapper
ATE312306T1 (de) Stelleinrichtung
EP3144948B1 (en) Handheld push-button device
JP2023168080A (ja) 電動式鋏
DE20116908U1 (de) Wählhandschalter für Polstermöbel
JPH04273015A (ja) 押ボタンスイッチ付ロータリエンコーダ
JP2012118127A (ja) 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