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1867A - 도뇨관 회전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도뇨관 회전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1867A
KR20170031867A KR1020150129354A KR20150129354A KR20170031867A KR 20170031867 A KR20170031867 A KR 20170031867A KR 1020150129354 A KR1020150129354 A KR 1020150129354A KR 20150129354 A KR20150129354 A KR 20150129354A KR 20170031867 A KR20170031867 A KR 20170031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fixing
rotation
connection
attachmen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훈
명광희
전두한
Original Assignee
김용훈
전두한
명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훈, 전두한, 명광희 filed Critical 김용훈
Priority to KR1020150129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1867A/ko
Publication of KR20170031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8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0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secured by using devices worn by the patient, e.g. belt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5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straps, bands or the like secured by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6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using pads, patches, tap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도뇨관 회전지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뇨관 회전지지장치는, 도뇨관을 신체에 고정하는 부분이 도뇨관의 방향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동작을 취하더라도 도뇨관 중 요도에 삽입된 부분과 신체에 고정된 부분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에 의한 외력의 발생이 최소화 될 수 있다.

Description

도뇨관 회전지지장치{DEVICE FOR ROTATABLE SUPPORTING URETHRAL CATHETER}
본 발명은 도뇨관 회전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요도에 삽입된 도뇨관을 회전지지 함으로써 도뇨관에 임의로 이탈되거나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도뇨관 회전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뇨관은 방광 내의 소변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요도에 삽입하는 도관을 지칭한다. 넓게는 방광 내에 세정제 또는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카테터도 도뇨관으로 지칭되며,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도뇨관은 넬라톤 카테터(nelaton catheter)와 같이 일회성으로 요도관에 삽입되었다가 제거될 수도 있고, 소변을 수집하는 용기가 장착되어 장기간 삽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도 있다.
이 중 장기간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는 도뇨관을 유치도뇨관(indwelling catheter)이라 하며, 폴리카테터(Foley's catheter)를 대표적 예로 들 수 있다. 폴리카테터는 선단부에 풍선(balloon) 형상의 팽창부를 구비하고, 여기에 공기 또는 증류수를 주입하여 팽창 시킴으로써 도뇨관의 선단부가 방광, 요도 및 신우 등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유치도뇨관이 삽입된 환자가 신체를 움직이거나 다른 활동을 하는 중 우발적으로 유치도뇨관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유치도뇨관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환자에게 극심한 고통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도뇨관에 외력, 특히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뇨관을 환자의 신체에 고정시킨다. 일반적으로 남성의 경우에는 하복부에, 여성의 경우에는 대퇴부 내측에 고정되도록 하는데, 반창고 등을 이용하여 피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도뇨관을 반창고 등으로 고정시킬 경우 고정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추후 도뇨관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정시킨 반창고 등을 제거하는 과정에서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거나 도뇨관에 다양한 방향의 외력이 가해져서 환자에게 고통이 유발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도뇨관을 환자의 신체에 고정하는 다양한 방안이 제안되었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9406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고정받침판과, 상기 고정받침판에 결합되고 의료기구(의료용 관)의 일부분을 고정시키는 고정기로 이루어진 의료기구 고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에 따른 의료기구 고정장치를 환자의 하복부 또는 대퇴부에 부착한 후 일측이 요도에 삽입된 도뇨관이 고정되도록 했을 경우에도 환자가 신체를 움직이는 과정에서 도뇨관에 다양한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즉, 의료기구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된 도뇨관이 환자가 하체에 대하여 상체를 굽히거나 펴는 동작을 하거나 보행을 하는 과정에서, 도뇨관 중 요도에 삽입된 부분과 의료기구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된 부분이 서로 상대적인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도뇨관에 다양한 방향의 외력이 작용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도뇨관의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될 경우 환자에게 고통이 유발될 수도 있다.
아울러, 특허문헌 1의 의료기구 고정장치는 다양한 의료기구의 형상에 따라 상응하도록 제조되어야 하므로, 제조에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환자가 다양한 활동을 하더라도 도뇨관 중 요도에 삽입된 부분과 신체에 고정된 부분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이 최소화 될 수 있으며,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약될 수 있는 도뇨관 고정수단의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9406호(발명의 명칭: 의료기구의 고정장치, 등록일: 2005년 11월 10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체를 다양한 동작으로 움직이더라도 도뇨관 중 요도에 삽입된 부분과 신체에 고정된 부분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뇨관을 신체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고정상태의 해제 또한 용이한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형상의 도뇨관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가요성을 갖는 부착시트와, 도뇨관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부착시트 및 상기 지지수단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회전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일측 내지 전체가 가요성을 갖고 일면의 타측은 상기 회전연결수단에 고정결합 되며 타면의 중간부분에는 고정부가 형성된 고정수단본체 및 상기 고정수단본체의 타면 중 상기 고정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접할 경우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뇨관의 일부가 상기 고정부의 타면에 배치된 후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가 서로 체결되도록 상기 고정수단본체가 절곡되면 상기 고정부가 상기 도뇨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도뇨관이 상기 지지수단에 고정되는 도뇨관 회전지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표면에는 복수의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 중 상기 도뇨관의 일측 외주면에 접하는 것은 그 단부가 상기 도뇨관의 타측 방향을 향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 중 상기 도뇨관의 타측 외주면에 접하는 것은 그 단부가 상기 도뇨관의 일측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본체의 양단에는 파지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연결수단에는 일면이 상기 부착시트의 타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면에는 회전축 또는 축공이 형성된 제1 연결체 및 일면에는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축공에 상응하는 축공 또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타면은 상기 고정수단본체의 일면에 고정결합 된 제2 연결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 중 어느 하나에는 영구자석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영구자석과의 사이에 인력이 작용되도록 다른 영구자석 또는 강자성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뇨관 회전지지장치는, 상기 제1 연결체의 타면 및 상기 제2 연결체의 일면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핀이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원호의 일부 형상의 가이드그루브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는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가이드그루브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이르는 범위 내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축으로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도뇨관 회전지지장치에는, 일단부가 상기 부착시트에 연결된 복수의 벨트와, 상기 복수의 벨트 중 일부의 타단부에 설치된 수버클과, 상기 복수의 벨트 중 나머지의 타단부에 설치된 암버클을 갖는 보조부착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뇨관을 신체에 고정하는 부분이 도뇨관의 방향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동작을 취하더라도 도뇨관 중 요도에 삽입된 부분과 신체에 고정된 부분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에 의한 외력의 발생이 최소화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도뇨관의 고정 및 고정상태의 해제가 용이해지도록 하는 동시에 다양한 형상의 도뇨관도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뇨관의 고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이 절약되고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뇨관 회전지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뇨관 회전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직선에 따른 회전연결수단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전연결수단의 일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뇨관 회전지지장치에 도뇨관이 고정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뇨관 회전지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지지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B-B 직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회전연결수단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뇨관 회전지지장치의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뇨관 회전지지장치(1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도뇨관 회전지지장치(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뇨관 회전지지장치(100)에는 부착시트(110), 회전연결수단(130) 및 지지수단(150)이 포함된다.
부착시트(110)에는 부착시트본체(111)가 포함된다.
부착시트본체(111)는 그 일면이 피부(도 5의 10)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부착시트본체(111)는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면에는 피부(10)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제로는 감압성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피부에 발진 등을 유발하지 않도록 저자극성 감압성 접착제(hypoallergen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가 사용될 수 있다. 저자극성 감압성 접착제(PSA)는 피부에 직접 부착하는 패치나 반창고 등에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 자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부착시트본체(111)는 장시간 피부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으므로,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직포나 면포와 같이 통기성 및 투습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착시트본체(111)의 외각 형상은 도시된 형상 외에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면적 또한 부착시트본체(111)가 부착될 부위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착시트본체(111)의 일면에 도포된 접착제가 오염되거나 피부(10)가 아닌 다른 물체에 임의로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뇨관 회전지지장치(100)에는 이형지(1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형지(170)는 부착시트본체(111) 일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시트본체(111)로부터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복수(171, 172)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연결수단(130)에는 제1 연결체(131) 및 제2 연결체(136)가 포함된다.
제1 연결체(1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연결체(131)의 일면은 부착시트본체(111)의 타면에 형성된 접합부(113)에 고정 결합되고, 타면에는 회전축(132)이 돌출 형성된다.
제2 연결체(136)도 제1 연결체(131)와 상응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연결체(136)에는 회전축(132)에 상응하는 축공(137)이 형성된다.
축공(137)에 회전축(132)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축공(137) 및 회전축(132)이 결합되면, 제2 연결체(136)의 일면은 제1 연결체(131)의 타면에 접하게 되며, 제1 연결체(131) 및 제2 연결체(136)는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참고로, 도시된 바와는 달리 제1 연결체(131)에 축공이 형성되고, 제2 연결체(136)에 회전축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에는 도 2의 A-A 직선에 따른 회전연결수단(13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연결체(131)의 타면에 형성된 회전축(132)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133)가 돌출 형성되고, 회전축(132)의 내부에는 중공부(1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연결체(136)에 형성된 축공(137)에는 걸림돌기(133)에 상응하는 형상의 걸림턱(138)이 축공(137)이 내주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축공(137)에 회전축(132)이 삽입되면 걸림돌기(133)가 걸림턱(138)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축(132)이 축공(137)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제1 연결체(131) 및 제2 연결체(136)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지수단(150)에는 지지수단본체(151), 고정부(154) 및 복수의 체결부재(157, 158)가 포함되며, 지지수단본체(151)에는 양측에 파지돌기(152, 153)가 돌출 형성된다.
지지수단본체(151)의 일면 일부는 제2 연결체(136)의 타면에 고정 결합된다. 즉, 회전연결수단(130)은 부착시트(110)에 대하여 지지수단(150)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지지수단본체(151)는 전체 또는 제2 연결체(136)에 고정결합 되지 않은 일측이 가요성 및 충분한 인장강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54)는 지지수단본체(151)에 배치된다. 고정부(1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본체(151)와 별도로 제조된 후 지지수단본체(151)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지지수단본체(151)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54)는 도뇨관(도 5의 20)의 외주면과 접했을 때 큰 마찰력이 발생될 수 있는 소재로 제조될 수 있는데, 고정부(154)를 이루는 소재로는 고무, 합성수지, 실리콘고무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부재(157, 158)는 지지수단본체(151)의 타면 중 고정부(154)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각각 설치된다. 복수의 체결부재(157, 158)로는 벨크로(velcro), 일명 '스냅단추'라고 칭해지는 스냅(snap), 다수의 체결돌기 및 다수의 체결홈, 감압성 접착제 등이 적용되어, 복수의 체결부재(157, 158)가 서로 접한 후 가압되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미설명부호 W, LF, L1 및 L2는 각각 지지수단본체(151)의 폭, 고정부(154)의 길이, 복수의 체결부재(157, 158)의 길이를 나타내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회전연결수단의 일 변형예(230)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연결수단(230)에는 제1 연결체(231) 및 제2 연결체(236)가 포함된다. 제1 연결체(231)에는 영구자석(235)이 포함되며, 제2 연결체(236)에는 강자성체(239)가 포함된다.
제1 연결체(231)의 타면에는 회전축(232)이 돌출 형성되며, 제2 연결체(236)의 일면에는 회전축(232)에 상응하는 축공(237)이 형성된다.
축공(237)에 회전축(232)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축공(237) 및 회전축(232)이 결합되면, 제2 연결체(236)의 일면은 제1 연결체(231)의 타면에 접하게 되며, 제1 연결체(231) 및 제2 연결체(236)는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영구자석(235) 및 강자성체(239) 사이에는 자기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232)이 축공(237)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제1 연결체(231) 및 제2 연결체(236)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제1 연결체(231) 및 제2 연결체(236)에 자기력에 의한 인력보다 큰 힘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작용될 경우, 제1 연결체(231) 및 제2 연결체(236)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는 제1 연결체(231) 및 제2 연결체(236)가 필요에 따라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지지수단(150)에 고정된 도뇨관(20)이 환자의 신체로부터 분리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제2 연결체(236)에 적절한 힘을 가함으로써 지지수단(150)에 결합된 제2 연결체(236)가 제1 연결체(231)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도뇨관(20)이나 요도를 소독하는 등의 절차를 마친 후 다시 도뇨관(20)을 환자의 요도에 삽입한 후에는 제2 연결체(236)를 제1 연결체(231)에 근접시켜서 회전축(232)이 축공(237)에 삽입되도록 하면 제1 연결체(231)와 제2 연결체(236)가 자기력에 의한 인력에 의해 다시 결합된다.
따라서, 도뇨관(20)이나 요도를 소독하기 위하여 환자의 신체에 고정된 도뇨관(20)을 분리하였다가 다시 결합시키는 과정에 소요되는 노력 및 시간이 크게 절약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강자성체(239)는 영구자석(235)과의 사이에 인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배치된 다른 영구자석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제1 연결체(231)에 강자성체(239)가 설치되고 제2 연결체(236)에 영구자석(235)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뇨관 회전지지장치(100)에 도뇨관(20)이 고정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부착시트(110)의 일면이 환자의 피부(10)에 부착되어 있다.
즉, 이형지(170)를 부착시트(110)의 일면으로부터 분리하여 부착시트(110)의 일면에 도포된 접착제가 노출되도록 한 후, 부착시트본체(111)의 일면이 피부(10)에 부착되도록 적당한 힘으로 가압함으로써 도뇨관 회전지지장치(100)가 환자의 신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도뇨관 회전지지장치(100)가 고정되는 위치는 환자의 성별이나 환부의 위치 등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도뇨관 회전지지장치(100)가 피부(10)에 고정된 후에는 일측이 환자의 요도에 삽입된 도뇨관(20)의 일부가 고정부(154)의 타면에 접하며 배치되도록 한다.
그 다음, 지지수단본체(151)의 일측을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시켜 복수의 체결부재(157, 158)가 체결되도록 하면, 고정부(154)가 도뇨관(2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도뇨관(20)이 지지수단(150)에 의해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154) 및 도뇨관(20)의 외주면 사이에는 큰 마찰력이 작용되므로, 도뇨관(20)에 그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지지수단(15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지지수단본체(151)의 일측이 타측방향으로 최대한 이동된 다음 복수의 체결부재(157, 158)가 체결되도록 하면 고정부(154)가 도뇨관(20)의 외주면을 다소 가압하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도뇨관(20)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도뇨관(20)은 앞에서 언급했던 다양한 종류의 도뇨관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으로, 도뇨관(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뇨관(20)은 선단부에 구비된 벌룬(balloon)을 팽창시키거나 그 내부에 유입된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라인이 구비된 2관강(2 way) 카테터이거나, 여기에 방광 내부로 세정액이나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라인이 더 구비된 3관강(3 way) 카테터 등이 될 수 있다. 이럴 경우, 도뇨관(20)의 형상에 따라 고정부(154)와 접하게 되는 부분 및 그 면적이 변경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뇨관 회전지지장치(100)는 고정될 도뇨관(20)의 종류에 따라 지지수단본체(151)의 폭(W), 고정부(154)의 길이(LF), 복수의 체결부재(157, 158)의 길이(L1, L2)가 각각 적절한 값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지지수단(150)에 의한 도뇨관(20)의 고정효과가 최대한 높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수단(150)에 고정된 도뇨관(20)을 지지수단(15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복수의 파지돌기(152, 153)를 각각 파지한 후 체결부재(157, 158)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체결부재(157, 158)의 체결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체결되어 있던 체결부재(157, 158)가 서로 분리된 후에는 지수단본체(151)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상태로부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도뇨관(20)이 지지수단(15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뇨관 회전지지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뇨관(20)이 고정된 지지수단(150)은 부착시트(110)에 대하여 회전중심점(C)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점선으로 나타낸 지지수단(150') 및 도뇨관(20')은 실선으로 나타낸 지지수단(150) 및 도뇨관(20)이 소정의 각도(θ)만큼 회전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대적인 회전은 상술한 회전연결수단(130)에 의해 구현된다.
참고로, CL1은 도뇨관(20)이 회전되기 전 상태일 때의 도뇨관(2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의미하고, CL2는 회전된 상태의 도뇨관(2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의미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뇨관(20, 20')의 길이방향(CL1, CL2)으로 가해지는 인장력은 지지수단(150, 1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그 이외의 방향으로 도뇨관(20, 20')에 가해지는 외력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150)의 회전에 의해 해소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다양한 동작을 취하는 과정에서 요도에 삽입된 도뇨관(20)의 일측과 도뇨관 회전지지장치(100)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 사이에는 상대적인 거리 및 위치 변화가 발생되는데, 이 과정에서 도뇨관(20)에 가해지는 다양한 방향의 힘이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되는 도뇨관 회전지지장치(100)에 의해 해소되므로, 도뇨관(20)의 요도에 삽입된 부분으로 전달되는 외력이 최소화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환자는 보다 다양한 동작을 취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통증 또한 최소화 될 수 있다.
도 7에는 도 2에 도시된 지지수단의 변형예(250)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수단(250)에는 지지수단본체(251), 고정부(254) 및 복수의 체결부재(257, 258)가 포함된다. 여기서, 지지수단본체(251), 고정부(254) 및 복수의 체결부재(257, 258)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지지수단본체(151), 고정부(154) 및 복수의 체결부재(157, 158)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 고정부(254)의 표면에는 분산 배치된 복수의 고정돌기(255)가 돌출 형성된다.
고정돌기(255)는 지지수단(250)에 의해 도뇨관(20)이 고정되었을 때, 도뇨관(20)의 외주면과 고정부(254) 사이에 더욱 큰 마찰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도뇨관(20)이 그 길이방향(도 6의 CL1, CL2)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효과가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에는 도 7의 B-B 직선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부(254)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돌기(255) 중 도뇨관(20)의 일측, 즉 환자의 요도에 삽입된 방향에 배치된 것은 그 단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도뇨관(20)의 타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고정돌기(255) 중 상기 도뇨관(20)의 타측, 즉 환자의 요도에 삽입된 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된 것은 그 단부가 도뇨관(20)의 일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복수의 고정돌기(255)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도뇨관(20)외 외주면과 고정부(254)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고정돌기(255)와 도뇨관(20)의 외주면 사이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미끄러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고정돌기(255)가 고정부(254)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집합된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는 앞에서 언급한 2관강 카테터 또는 3관강 카테터 등 다양한 형상의 카테터(20)가 지지수단(250)에 의해 고정되어야 하는 경우를 상정한 것으로, 카테터(20)의 종류에 따라 고정부(254)와 접촉되는 부분의 형상 및 면적 등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정돌기(255)는 카테터(20)와 고정부(254)와의 사이에 큰 마찰력이 필요한 부위에 집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미설명부호 215는 지지수단본체이다.
도 9에는 도 1에 도시된 회전연결수단의 다른 변형예(33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회전연결수단(300)에는 제1 연결체(331) 및 제2 연결체(336)가 포함된다. 제1 연결체(331)의 타면에는 회전축(332)이 돌출 형성되며, 제2 연결체(336)의 일면에는 회전축(332)에 상응하는 축공(337)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연결체(331), 회전축(332), 제2 연결체(336) 및 축공(337)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연결체(131), 회전축(132), 제2 연결체(136) 및 축공(137)과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제1 연결체(331)의 타면에는 가이드핀(335)이 돌출 형성되고, 제2 연결체(336)의 일면에는 가이드핀(335)이 삽입되는 가이드그루브(339)가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그루브(339)는 원호의 일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축공(337)에 회전축(332)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축공(337) 및 회전축(332)이 결합되면, 제1 연결체(331) 및 제2 연결체(336)는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연결체(331) 및 제2 연결체(336)가 상대적으로 회전될 경우 가이드핀(335)이 가이드그루브(339)를 따라 이동된다. 이때 가이드핀(335)이 가이드그루브(339)의 일단(339a) 및 타단(339b)의 범위 내에서만 이동될 수 있으므로, 제1 연결체(331) 및 제2 연결체(336)의 상대적인 회전은 그 범위에 제한이 형성된다.
이는, 제1 연결체(331) 및 제2 연결체(336)의 회전범위에 제한이 없을 경우 도뇨관(2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부착시트(110)에 대한 지지수단(250)의 상대적인 회전이 과하게 발생되어 도뇨관(20) 중 환자의 요도에 삽입된 부분에 인장력이 가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이드그루브(339)의 길이를 적절히 형성하여 제1 연결체(331) 및 제2 연결체(336)가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도뇨관(20)에 필요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되는 것일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된 바와는 달리, 가이드핀(335)이 제2 연결체(336)에 형성되고 가이드그루브가 제1 연결체(33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뇨관 회전지지장치(40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뇨관 회전지지장치(400)에는 부착시트(410) 및 지지수단(450)이 포함되며, 부착시트(410) 및 지지수단(450)을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수단(도시되지 않음) 및 보조부착수단(480)이 더 포함된다.
여기서, 부착시트(410), 회전연결수단(도시되지 않음) 및 지지수단(45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부착시트(110), 회전연결수단(130) 및 지지수단(150)과 구성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보조부착수단(480)에는 복수의 벨트(481, 485), 수버클(482), 암버클(486) 및 조절버클(487)이 포함된다.
복수의 벨트(481, 485)는 부착시트(410)에 포함된 부착시트본체(411)에 일단부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시트본체(411)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복수의 벨트(481, 485)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공(412, 413)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버클(487)은 벨트(485)의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이고, 수버클(482)은 복수의 벨트(481, 485) 중 일부의 타단부에 설치되며, 암버클(486)은 복수의 벨트(481, 485) 중 나머지의 타단부에 설치된다. 수버클(482) 및 암버클(486)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뇨관(20)은 환자의 신체에 장기간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부착시트(410)는 피부(10)로부터 발생되는 땀이나 각질 등에 의해 접착제의 접착성능이 점차 저하될 수 있다. 즉, 부착시트본체(411)가 피부(10)에 부착된 후 장시간이 경과되면 부착시트(410)에 의한 도뇨관 회전지지장치(400)의 고정상태가 불량해질 수 있다.
이럴 경우, 보조부착수단(480)을 이용하여 부착시트(410)의 고장상태를 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뇨관 회전지지장치(400)가 환자의 하복부에 배치된 경우에는 벨트(481, 485)가 환자의 허리를 감게 하고 수버클(482) 및 암버클(486)을 체결시킨 다음 조절버클(487)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된 벨트(481, 485)의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서 도뇨관 회전지지장치(400)가 보조부착수단(480)에 의해 환자의 신체에 고정된 상태가 더 장기간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뇨관 회전지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피부 20: 도뇨관
100: 도뇨관 회전지지장치 110: 부착시트
111: 부착시트본체 113: 접합부
130: 회전연결수단 131: 제1 연결체
132: 회전축 133: 걸림돌기
134: 중공부 136: 제2 연결체
137: 축공 138: 걸림턱
150: 지지수단 151: 지지수단본체
152, 153: 파지돌기 154: 고정부
157, 158: 체결부재 170: 이형지
230: 회전연결수단 231: 제1 연결체
232: 회전축 235: 영구자석
236: 제2 연결체 237: 축공
239: 강자성체 250: 지지수단
251: 지지수단본체 254: 고정부
255, 256: 고정돌기 257, 258: 결합부재
330: 회전연결수단 331: 제1 연결체
332: 회전축 335: 가이드핀
336: 제2 연결체 337: 축공
339: 가이드그루브 400: 도뇨관 회전지지장치
410: 부착시트 411: 부착시트본체
412, 413: 연결공 450: 지지수단
480: 보조부착수단 481, 485: 벨트
482: 수버클 486: 암버클
487: 조절버클

Claims (8)

  1.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가요성을 갖는 부착시트;
    도뇨관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수단; 및
    상기 부착시트 및 상기 지지수단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회전연결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일측 내지 전체가 가요성을 갖고, 일면의 타측은 상기 회전연결수단에 고정결합 되며, 타면의 중간부분에는 고정부가 형성된 고정수단본체; 및
    상기 고정수단본체의 타면 중 상기 고정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접할 경우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뇨관의 일부가 상기 고정부의 타면에 배치된 후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가 서로 체결되도록 상기 고정수단본체가 절곡되면, 상기 고정부가 상기 도뇨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도뇨관이 상기 지지수단에 고정되는
    도뇨관 회전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표면에 복수의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도뇨관 회전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 중 상기 도뇨관의 일측 외주면에 접하는 것은 그 단부가 상기 도뇨관의 타측 방향을 향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 중 상기 도뇨관의 타측 외주면에 접하는 것은 그 단부가 상기 도뇨관의 일측 방향을 향하는 도뇨관 회전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본체의 양단에는 파지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된 도뇨관 회전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수단은
    일면이 상기 부착시트의 타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면에는 회전축 또는 축공이 형성된 제1 연결체; 및
    일면에는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축공에 상응하는 축공 또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타면은 상기 고정수단본체의 일면에 고정결합 된 제2 연결체;를 포함하는 도뇨관 회전지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 중 어느 하나에는 영구자석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영구자석과의 사이에 인력이 작용되도록 다른 영구자석 또는 강자성체가 설치된 도뇨관 회전지지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체의 타면 및 상기 제2 연결체의 일면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핀이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원호의 일부 형상의 가이드그루브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는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가이드그루브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이르는 범위 내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축으로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도뇨관 회전지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부착시트에 연결된 복수의 벨트;
    상기 복수의 벨트 중 일부의 타단부에 설치된 수버클; 및
    상기 복수의 벨트 중 나머지의 타단부에 설치된 암버클;을 갖는 보조부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도뇨관 회전지지장치.
KR1020150129354A 2015-09-12 2015-09-12 도뇨관 회전지지장치 KR201700318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354A KR20170031867A (ko) 2015-09-12 2015-09-12 도뇨관 회전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354A KR20170031867A (ko) 2015-09-12 2015-09-12 도뇨관 회전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867A true KR20170031867A (ko) 2017-03-22

Family

ID=58497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354A KR20170031867A (ko) 2015-09-12 2015-09-12 도뇨관 회전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186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406B1 (ko) 1997-10-17 2005-11-17 베네텍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의료기구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406B1 (ko) 1997-10-17 2005-11-17 베네텍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의료기구의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9129B2 (ja) カフアセンブリ
CN108024818B (zh) 止血器具
CA2966849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external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for women
KR20170097104A (ko) 남성용 요실금 치료기 및 그 치료 방법
WO2017039005A1 (ja) 止血器具
JP5105979B2 (ja) 腰部サポーター
WO2005094751A1 (ja) ウエスト締結手段を有する着用物品
JP4705686B2 (ja) 医療チューブ固定ベルト
US20200085604A1 (en) Orthosis, In Particular Orthosis For Gonarthrosis
JP2017518160A (ja) ソフトレトラクタ
ATE427070T1 (de) Aufblasbarer, chirurgischer retraktor
KR20170031867A (ko) 도뇨관 회전지지장치
JP6370481B2 (ja) 人工的括約筋
JP3115054U (ja) ストーマ用パウチ装着具
KR100288100B1 (ko)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JP2005218593A (ja) 止血器具
CN213491395U (zh) 一种导管固定带
KR20010053203A (ko) 통기성 피부 부착 수단을 구비한 대변 수집기
KR200490245Y1 (ko) 의료용 하지거상기의 발고정구
JP6612560B2 (ja) 止血器具
KR102476049B1 (ko) 의료용 튜브 고정장치
CN213190561U (zh) 一种新型弹力绷带
JP7240087B2 (ja) 医療用四肢ベルト
JP6769939B2 (ja) 尿失禁防止器具
JP4021657B2 (ja) 紙おむつの止着部構造および紙おむ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