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1074A - 개선된 연결 탭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시이트 금속 부품 - Google Patents

개선된 연결 탭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시이트 금속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1074A
KR20170031074A KR1020160116591A KR20160116591A KR20170031074A KR 20170031074 A KR20170031074 A KR 20170031074A KR 1020160116591 A KR1020160116591 A KR 1020160116591A KR 20160116591 A KR20160116591 A KR 20160116591A KR 20170031074 A KR20170031074 A KR 20170031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etal
tab
metal part
connection tab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0953B1 (ko
Inventor
폴커 사이펠
에릭 글롬비차
옌스 니켈
소움야 시바난다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티이 커넥티버티 인디아 프라이빗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티이 커넥티버티 인디아 프라이빗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31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방향(7)을 따라 배향되는 시이트 커넥터 부분(5)을 갖는 금속 부품, 및 연결 탭(23)에 관한 것이며, 이 연결 탭(23)은 커넥터 부분(5)에 연결되고, 그리고 커넥터 방향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되는 연결 탭 횡단면(63) 면적을 가진다. 본 발명은 개선된 연결 탭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시이트 금속 부품(1)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시이트 금속 부품(1) 및 상기 시이트 금속 부품들(1)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캐리어-스트립(25)을 갖는 시이트 금속 부품(1)을 연결시키는 연결 탭(23)의 전단 저항이 결국, 더 견고한, 즉 더 두꺼운 상부 전단부 아암들(105)을 요구하는 시이트 금속 두께(33)에 의해 증가하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연결 탭(23) 내에 하나 이상의 약화된 부위(53)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과제들을 해결하며, 이 약화된 부위에서, 연결 탭(23)의 전단 저항이 동일한 구조 유형 및 크기의 프로세싱되지 않은 연결 탭(23)에 비해, 그리고 연결 탭(23) 내의 상기 약화된 부위 또는 부위들(53)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감소된다.

Description

개선된 연결 탭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시이트 금속 부품 {SHEET METAL PART WITH IMPROVED CONNECTION TAB GEOMETRY}
본 발명은 커넥터 방향을 따라 배향되는 시이트 커넥터 부분을 갖는 금속 부품, 및 연결 탭에 관한 것이며, 이 연결 탭은 커넥터 부분에 연결되고, 그리고 커넥터 방향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되는 연결 탭 횡단면 면적을 가진다.
게다가, 본 발명은 커넥터 부분 및 연결 탭을 갖는 시이트 금속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이트 금속 부품들은 종래 기술로부터 주지되어 있다. 상기 시이트 금속 부품들의 저장, 수송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 시이트 금속 부품들은, 연결 탭이 캐리어-스트립(carrier-strip)을 갖는 시이트 금속 부품을 연결하기 위해 적응되도록, 일반적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특징들은 릴(reel) 상의 캐리어-스트립에 연결되는 시이트 금속 부품들의 릴링(reeling)을 허용하며, 이는 이후에 큰 양의 시이트 금속 부품들에 대한 용이한 수송 또는 저장을 허용한다.
게다가, 펄형(furled) 시이트 금속 부품들을 갖는 실제품(real)은 개별적인 시이트 금속 부품들을 제조 프로세스로 공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반면에, 시이트 금속 부품들의 배향은 모든 개별적인 시이트 금속 부품들에 대해 동일하며, 그리고 시이트 금속 부품들의 적합한 배향을 위한 예방들이 필요하지 않다.
제조 프로세스 동안, 프로세싱될 개별적인 시이트 금속 부품들은 캐리어-스트립으로부터 제거되어야 하며, 이는 전단부에 의해 연결 탭을 절단함으로써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크림핑 접촉들의 경우에, 시이트 금속 부품의 제거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제조 단계에 의해 동시에 수행된다.
연결 탭을 절단하는 단계 및 따라서 캐리어-스트립으로부터 시이트 금속 부품을 제거하는 단계는 플로팅 전단부(floating shear)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반면에, 플로팅 전단부의 전단 부분에 의해 연결 탭에 가해지는 전단력은 프로세싱될 시이트 금속의 재료 두께에 의존한다.
재료 두께 및 연결 탭을 절단하는데 필요한 그 결과로 초래된 전단력에 따라, 전단 부분은 재료 두께에 적응되어야 하고 그리고 의존된다.
전단 부분의 증가된 두께는, 그러나, 시이트 금속 부분에 연결될 엘리먼트들(elements)을 위한 이용가능한 공간을 감소시키며, 이 엘리먼트는, 예를 들어 절연체(insulation) 및 노출된 리드 와이어들(lead wires)을 갖는 케이블일 수 있다. 리드 와이어들 및 절연체를 크림핑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연결 탭을 절단하는 것과 동시에 수행된다. 상기 케이블을 위한 감소된 공간은 크림핑에 네티브하게(negatively)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이는 케이블이 더 두꺼운 전단 부분으로 인해 적합하게 위치될 수 없기 때문이다.
절단하는 것 그리고 동시에 시이트 금속 부품을 프로세싱하는 것은, 따라서, 시이트 금속 두께를 증가함으로써 더 어려워질 수 있으며, 이는, 플로팅 전단부가 보다 높은 하중에 노출되기 때문에, 결국, 플로팅 전단부의 수명을 또한 감소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따라서, 연결 탭의 안정성을 감소시킴 없이 연결 탭을 잘라내는데(cut off) 필요한 전단력(shearing force)을 감소시키는 시이트 금속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개선된 연결 탭 기하학적 형상, 연결 탭을 잘라내는데 필요한 감소된 전단력, 및 연결 탭의 유지된 안정성을 갖는 시이트 금속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시이트 금속 부품은 하나 이상의 약화된 부위를 포함하는 연결 탭에 의해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며, 이 약화된 부위 내에서, 연결 탭의 전단 저항은 동일한 구조 유형 및 크기의 프로세싱되지 않은 연결 탭에 비해 감소된다.
발명의 방법은 이러한 과제를 시이트 금속을 공급하는 단계, 시이트 금속으로부터 커넥터 부분, 상기 연결 탭 및 선택적으로 캐리어-스트립을 형성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약화된 부위 내에 연결 탭의 전단 저항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해결한다.
다음으로,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부가적인 개선들 및/또는 특징들은, 특정한 개선의 특정한 장점이 특정한 적용에서 요구되는지 여부에 따라,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결 탭이 시이트 금속 부품에 모놀리스식으로 연결된다면 바람직하며, 이 연결 탭은 시이트 금속 부품과 함께 초기에 스탬핑된다.
발명의 시이트 금속 부품의 제 1 실시예에서, 연결 탭 횡단면 면적은 약화된 부위에서 하나 이상의 리세스에 의해 감소된다. 리세스는 연결 탭의 기계식 처리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되는 약화 엘리먼트의 간단한 실시예이다.
프로세싱되지 않은 연결 탭의 연결 탭 횡단면 면적은 4 개의 에지들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갖는 동일한 구조 유형 및 크기의 연결 탭의 횡단면 면적은 직사각형 형상과 상이할 수 있다. 4 개의 에지들 중 하나 이상의 에지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본질적으로 오목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 전단부의 수명은 연결 탭 횡단면 면적의 감소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발명의 시이트 금속 부품의 유리한 제 2 실시예에서, 연결 탭 횡단면 면적이 동일한 구조 유형 및 크기의 프로세싱되지 않은 연결 탭의 연결 탭 횡단면에 비해 적어도 30%만큼 감소된다. 30% 초과 만큼의 횡단면 면적의 감소는 동일한 비교적인 양만큼 전단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절단 전단부의 수명은 이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횡단면 면적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만큼,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만큼 감소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50% 초과 만큼, 예를 들어 75% 만큼의 연결 탭 횡단면 면적의 감소는 연결 탭의 기계적인 안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약화된 부위는 프로세싱되지 않은 연결 탭과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기계적인 안정성을 갖는 구조를 형성하는 다수의 약화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약화 엘리먼트들은, 예를 들어, 연결 탭 내에 배열될 수 있어, 연결 탭의 잔여 시이트 금속은 허니콤(honeycomb)과 유사한 구조물을 형성한다.
발명의 시이트 금속 부품의 유리한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리세스는 노치(notch)이다. 노치는 연결 탭의 기계식 처리에 의해 간단히 획득될 수 있다.
노치는 연결 탭 횡단면 면적의 1 개 또는 2 개 또는 3 개 또는 모든 에지들에서 로케이팅될 수 있다. 노치는 연결 탭 횡단면 면적의 모든, 예를 들어, 4 개의 에지들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로케이팅되는 연속적인 노치로서 또한 구체화될 수 있다.
게다가, 임의의 수의 노치들이 횡단면 면적 에지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존재할 수 있다.
시이트 금속 부품의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리세스가 홀(hole)이라면, 유리하다. 홀은 드릴링(drilling), 스탬핑(stamping)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1 개 초과의 홀이 연결 탭 내에 제공될 수 있어, 횡단면 면적은 1 개의 개별적인 홀을 갖는 것과 동일한 양만큼 감소될 수 있다. 다수의 홀들은 1 개의 개별적인 홀보다 연결 탭의 더 큰 기계적인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체가 배향되는 방향이 바람직하게는 시이트 금속의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지만, 그러나 이러한 배향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러 개의 홀들이 연결 탭 내에 제공된다면, 상기 홀들은 대칭으로, 즉 연결 탭의 서로 마주하는 측들에 배열될 수 있다.
발명의 시이트 금속 부품의 유리한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홀은 관통 홀(through hole)이다.
연결 탭의 단지 일 측으로 개방되는 홀 개구뿐만 아니라, 관통 홀의 배향은 바람직하게는 시이트 금속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다. 연결 탭을 통과하지 않는 홀에 비하여, 관통 홀은 연결 탭 횡단면 면적의 보다 큰 감소를 유발시킬 수 있다.
게다가, 관통 홀은 홀의 깊이, 예를 들어 드릴링/스탬핑 깊이를 제어하기 위한 덜 엄격한 요건들을 요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관통 홀은 미리결정된 깊이의 홀보다 제조하기에 상당히 더 용이하다.
발명의 시이트 금속 부품의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서, 연결 탭은 캐리어-스트립에 연결된다. 캐리어-스트립은 시이트 금속 부품의 배향에 대한 기준(reference)로서 간주될 수 있다.
캐리어-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연결 탭에 모놀리스식으로(monolithically) 부착될 수 있다.
캐리어-스트립은 연결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될 수 있다. 그러나, 캐리어-스트립의 배향과 커넥터 방향 사이의 상이한 각도가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시이트 금속 부품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캐리어-스트립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하나의 캐리어-스트립에 연결되는 동일하게 배향되며 그리고/또는 동일하게 이격된 시이트 금속 부품들의 체인을 형성할 수 있다.
캐리어-스트립은 캐리어 스트립에 연결되는 모든 시이트 금속 부품들의 배향을 유지시킬 수 있고, 그리고 적합한 펄링 엘리먼트, 예를 들어 릴(reel) 상에서 캐리어-스트립 및 부착된 시이트 금속 부품들을 펄링(furling)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시이트 금속 부품들을 유리하게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싱 장치 내로 개별적인 시이트 금속 부품들을 공급한다면, 캐리어-스트립은, 첫째로, 정확한 위치에 개별적인 시이트 금속 부품들을 공급하기 위한 정확한 기준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둘째로, 캐리어-스트립은 개별적인 시이트 금속 부품들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시이트 금속 부품들이 캐리어-스트립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동되기 때문이다.
발명의 시이트 금속 부품의 유리한 다른 실시예에서, 약화된 부위는 하나 이상의 약화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약화 엘리먼트는 연결 탭을 잘라내는데 필요한 전단력을 충분히(already) 감소시킬 수 있다.
약화 엘리먼트는, 예를 들어, 연결 탭 내에 로케이팅되는 중공형 캐비티일 수 있다. 상기 캐비티는 외측으로부터 보이지 않을 수 있고, 그리고 연결 탭의 횡단면이 보이는 경우에, 오직 보일 수 있다.
약화된 부위에서의 하나 이상의 약화 엘리먼트는, 절단을 수행하는 절단 전단부의 수명이 증가될 수 있는 방식으로, 연결 탭을 절단하기 위해 필요한 전단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단력은 적어도 10%만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만큼,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만큼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만큼 감소될 수 있다. 절단 전단부의 수명은 전단력이 감소되는 동일한 상대적인 양만큼 증가될 수 있다.
발명의 시이트 금속 부품의 유리한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약화 엘리먼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는 커넥터 방향으로 또는 이 방향의 반대로 연결 탭으로부터 커넥터 부분 내로 그리고/또는 캐리어-스트립 내로 연장한다.
하나 이상의 약화 엘리먼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가 커넥터 부분 내로 연장한다면, 절단 전단부가 감소된 전단 저항을 갖는 약화된 부위에서 연결 탭을 절단하는 것은 보장될 수 있다.
연결 탭을 향하여 직면하는 시이트 금속 부품 구역의 기계적인 안정성 요건들이 수 밀리미터들에 걸쳐 커넥터 부분 내로의 노치, 홀 또는 관통 홀들의 연장을 허용한다면, 시이트 금속 부품은 시이트 금속 부품의 감소된 중량의 부가적인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결 탭 내에 리세스를 생성하는 것은 캐리어-스트립 길이 당 또는 시이트 금속 부품들의 갯수 당 중량뿐만 아니라 재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부가적인 폐기 재료가 발명의 시이트 금속 부품들의 제조 동안 제거될 수 있고, 그리고 연결 탭으로부터 제거된 후 곧바로(directly) 재활용될 수 있다.
게다가, 연결 탭에 의해 시이트 금속 부품들에 연결되는 캐리어-스트립은, 적합한 수단, 예로서는 릴(reel) 상에서 펄링될(furled) 때, 캐리어-스트립, 시이트 금속 부품들 및 하나 이상의 리세스가 없는 동일한 구조의 유형 및 크기의 연결 탭들의 조합에 비하여 전체 중량의 감소를 나타낼 수 있다. 중량 감소는 1% 내지 2%에 해당할(amount) 수 있다.
시이트 금속 부품의 유리한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약화 엘리먼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는, 연결 탭 길이의 적어도 대략 50%에 걸쳐, 커넥터 방향으로 또는 이 방향의 반대로 연장한다.
약화 엘리먼트 및/또는 리세스는 연결 탭의 전체 길이에 걸쳐, 즉 캐리어-스트립으로부터 시이트 금속 부품의 커넥터 부분으로 연장할 수 있다.
연결 탭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홀 또는 관통 홀은 실질적으로 타원형인 형상(oval shape)을 갖는 슬롯 홀(slot hole) 또는 기다란 홀(elongated hole)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시이트 금속 부품을 제조하는 이전에-언급된 발명의 방법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전단 저항은 리세스를 형성함으로써 기계식으로 감소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커넥터 부분, 연결 탭 및 선택적으로 캐리어-스트립을 형성하는 단계와 동시에 리세스를 기계식으로 형성하는 단계에 적용할 수 있다.
시이트 금속 부품을 제조하는 이전에-언급된 발명의 방법의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서, 리세스는 다음의 방법들 중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조합에 따라 형성된다:
홀 또는 관통 홀을 스탬핑하는 단계;
홀 또는 관통 홀을 드릴링하는 단계;
리세스를 베벨링하거나(beveling) 밀링하는(milling) 단계.
개선된 연결 탭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시이트 금속 부품을 제조하는 발명의 방법에 따라, 약화 엘리먼트는 위에서 개시된 여러 개의 방법들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수의 조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약화 엘리먼트를 발생하는 방법들이 시이트 금속 부품들에 대한 스탬핑하는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며, 따라서 약화 엘리먼트로서 홀, 관통 홀 또는 리세스를 스탬핑하는 단계는 약화 엘리먼트를 발생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방법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시이트 금속 부품을 제조하는 위에서-언급된 발명의 방법의 유리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단 저항은 하나 이상의 약화된 부위 내의 연결 탭의 재료 강도를 감소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재료 강도는, 연결 탭 재료를 화학적으로, 열적으로 (예를 들어, 어닐링(annealing)), 그리고/또는 야금학적으로 처리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열적 처리가, 예를 들어 에너지 빔, 예컨대 예를 들어 레이저 빔(laser beam) 또는 전자 빔(electron beam)에 대한 유도 또는 적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연결 탭은 에칭 프로세스 또는 레이저 작동에서 화학적 물질들로 처리될 수 있다. 게다가, 연결 탭 재료의 전단 저항은 야금학적인 프로세스들에 의해 감소될 수 있으며, 이 야금학적인 프로세스들은, 예를 들어, 연결 탭 재료의 경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재료 컴포넌트들의 조성(composition)을 변경한다.
시이트 금속 부품을 제조하는 위에서 언급된 발명의 방법의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서, 시이트 금속 부품들의 위에서 언급된 실시예들에 따른 발명의 시이트 금속 부품이 제조된다.
다음으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더 상세하게 발명 및 이의 개선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들에서 도시되는 다양한 특성들은 특정한 적용들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 및/또는 동일한 구조물을 가지는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에 의해 참조될 것이다.
도 1은 캐리어-스트립에 연결되는 종래 기술의 시이트 금속 부품을 도시한다.
도 2는 스탬핑되고 그리고 벤딩되고 여전히, 크림핑되지 않은 상태의 시이트 금속 부품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스탬핑되고 그리고 평탄한(벤딩되지 않음) 상태의 시이트 금속 부품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여러 개의 시이트 금속 부품 실시예들에 대한 연결 탭 횡단면들을 도시한다(도 1의 종래 기술에 대한 연결 탭 횡단면(도 4f)뿐만 아니라 도 4a 내지 도 4e).
도 5는 크림핑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 기술의 연결 탭 또는 연결 탭을 절단하도록 적응되는 플로팅 전단부(floating shear)를 개략적으로 그리고 단면으로 도시한다.
도 7은 시이트 금속 부품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대한 개략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사이트 금속(2)으로부터 스탬핑되고 그리고 벤딩되는, 종래 기술의 시이트 금속 부품(1)을 도시한다. 시이트 금속 부품(1)은 스탬핑되고(또는 이와 달리 성형된) 그리고 벤딩된 상태(3)에서 도시된다. 시이트 금속 부품(1)은 커넥터 방향(7)을 따라 배향되는 커넥터 부분(5)을 포함한다.
커넥터 부분(5)은, 도 5에서 도시되지 않은, 크림핑 구역(9) 및 커넥터 구역(11)을 포함한다.
시이트 금속 부품(1)은 2 개의 절연 크림핑 아암들(13) 및 2 개의 와이어 크림핑 아암들(15)을 더 포함하는 반면에, 크림핑 아암들(13, 15)의 수 및/또는 형상이 시이트 금속 부품(1)의 예시적인 실시예로 도시되고, 그리고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변경될 수 있다.
크림핑 아암들(13, 15) 사이에서, 크림프 저부(17)는 시이트 금속 부품(1)의 케이블 단부(19)로부터 커넥터 구역(11) 내로 커넥터 방향으로 연장한다.
스탬핑되고 그리고 벤딩되는 상태(3)에서, 크림핑 아암들(13, 15)은 절연부를 포함하는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적응되는 리셉터클(21)을 형성하며(양자 모두의 엘리먼트들이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음), 상기 엘리먼트들은 도 5에서 설명될 것이다.
시이트 금속 부품(1)은, 게다가, 연결 탭(23) 및 캐리어-스트립(25)을 더 포함하며, 커넥터 부분(5) 및 캐리어-스트립(25)은 도 1에서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연결 탭(23)에 모놀리식으로(monolithically) 연결된다.
연결 탭(23)은 연결 탭 폭(27), 연결 탭 깊이(29 및 연결 탭 두께(31)을 가지며, 여기서 연결 탭 두께(31)는 시이트 금속 두께(33) 및 캐리어-스트립 두께(35)와 동일하다.
캐리어-스트립(25)은 캐리어-스트립 방향(37)을 따라 배향되며, 이 캐리어-스트립 방향은 도 1에서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커넥터 방향(7)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하다. 커넥터 방향(7) 및 캐리어-스트립 방향(37)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에서 0° 내지 90°까지보다 더 큰 임의의 각도로 걸쳐질 수 있다.
캐리어-스트립(25)은 다수의 공급 개구들(39)을 포함한다. 예로서, 공급 개구들(feeding openings)(39)은 도 1 에서 도시되는 시이트 금속 부품(1)의 실시예에서 도시되는 본질적으로 정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공급 개구들(39)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급 개구들(39)은 비용들을 줄이는(cut down), 공급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공급 개구들(39)은, 캐리어-스트립 방향(37)을 따라 또는 이에 반대로 캐리어-스트립(25) 및 이에 부착되는 시이트 금속 부품(1)을 운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탭-구역(41) 내에서, 캐리어-스트립(25)은 이의 형상이 공급 개구들(39)과 완전히 다른(distinct from) 검출 개구(detection opening)(43)를 포함하며, 이는 도 1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원형이다.
검출 개구(43)는, 캐리어-스트립(25) 및 이 캐리어-스트립에 부착되는 시이트 금속 부품(1)의 공급 동안, 탭-구역(41)을 검출하는데, 그리고 커넥터 부분(5)을 정밀히 위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개구(43)(또한 파일롯 홀(pilot hole)로 불림)는 공급 작동 자체를 위해 또한 취해질 수 있다.
도 2에서, 발명의 시이트 금속 부품(1)이 도시된다. 시이트 금속 부품(1)은 또한 시이트 금속(2)으로부터 스탬핑되고 그리고 벤딩되고, 그리고 성형된 그리고 벤딩된 상태(3)로 도시되고, 그리고 도 1에서 도시되는 최신식의(state-of-the-art) 시이트 금속 부품(1)과 같은 유사한 특징들을 포함한다.
연결 탭(23)은, 그러나, 약화 엘리먼트(weakening element)(45)를 포함하며, 이 약화 엘리먼트는 도 2에서 도시되는 관통 홀(through hole)(47)로서 구체화된다.
연결 탭(23)은, 따라서, 제 1 탭 부분(49) 및 제 2 탭 부분(51)에 의한 연결 부분(5) 및 캐리어-스트립(25)에 대한 다수 연결부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시이트 금속 부품(1)의 도시되는 실시예는, 그러나, 약화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들(45)의 수 및 형상에 따라 상기 2 개의 탭 부분들(49, 51)을 포함하며, 탭 부분들(49, 51)의 임의적인(arbitrary) 수가 획득된다.
관통 홀(47)은 도 2에서의 파선형 직사각형에 의해 표시되는 약화된 부위(53)를 규정한다. 시이트 금속 부품(1)의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약화된 부위(53)뿐만 아니라 관통 홀(47)은 캐리어-스트립(25) 및 크림핑 구역(9)의 크림핑 저부(17) 내로 연장한다. 관통 홀(47)은 슬롯형 홀(55)로서 구체화된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금속 부품들(1)의 세트(57)를 도시한다. 도시되는 세트(57)는 시이트 금속(2)으로부터 스탬핑되고 그리고 스탬핑된 상태(59)에 있으며, 이 스탬핑된 상태에서, 크림핑 아암들(13, 15)은 벤딩되지 않지만, 커넥터 방향(7) 및 캐리어-스트립 방향(37)에 의해 걸쳐지는 평면 내에 놓인다.
도 3에서 도시는 바와 같이 시이트 금속 부품들(1)의 세트(57)는 2 개의 시이트 금속 부품들(1) 중 하나의 시이트 금속 부품(selection)을 포함하는, 반면에 다수의 추가적인 시이트 금속 부품들(1)은 캐리어-스트립(25)에 존재하고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도 3의 좌측 및 우측 내에 캐리어-스트립(25)의 중단(interruption)에 의해 표시된다.
도 3에서 도시되는 평면도에서, 약화된 부위(53)는 표시되며, 그리고 캐리어-스트립(25) 및 크림프 구역(9)의 크림프 저부(17) 내로의 슬롯형 홀(55)의 연장부는 보일 수 있으며, 약화된 부위(53)의 길이(61)가 연결 탭 깊이(29)보다 더 큰 것을 유발한다.
도 3은 개별적인 시이트 금속 부품들(1)이 캐리어-스트립(25)에 반복적으로 부착되는 주기성(periodicity)(P)을 또한 도시한다. 도 3에서, 시이트 금속 부품(1)은 모든 각각의 10 개의 개구들(39, 43)마다 캐리어-스트립(25)에 부착되며, 그러므로, 주기성(P)은 10 개의 개구들(39, 43) 당 1 개의 시이트 금속 부품(1)이다. 주기성(P)은 관련된 시이트 금속 부품(1)의 크기 및/또는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개구들(39)은 비용 절약을 위해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그리고 또한 생략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예시적인 약화 엘리먼트들(45)은 도 3에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선(A-A)을 따라 절단부(cut) 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여기서 시야 방향은 커넥터 방향(7)에 반대이다.
도 4에서 도시되는 절단부들은, 따라서, 약화 엘리먼트(45)의 상이한 실시예들을 위해 도시된 연결 탭(23)의 횡단면(63)을 나타낸다. 횡단면(63)은 해칭(hatching)에 의해 표시된다.
도 4a에서, 약화 엘리먼트(45) 또는 리세스(46)는 관통 홀(47)이며, 이 관통 홀은 또한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발명의 시이트 금속 부품(1)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슬롯형 홀(55)일 수 있다.
도 4b는 2 개의 관통 홀들(47)을 포함하는 발명의 시이트 금속 부품(1)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a에서 도시되는 제 1 실시예가 제 1 탭 부분(49) 및 제 2 탭 부분(51)을 포함하는 반면에, 도 4b에서 도시되는 제 2 실시예는 부가적인 제 3 탭 부분(51a)을 포함한다. 도 4b의 관통 홀들(47)은 또한 슬롯형 홀들(55)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도 4c에서 도시되는 약화 엘리먼트(45)는 홀(47a)로서 구체화되며, 이 약화 엘리먼트는 또한 슬롯형 홀(55)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도 4d에서, 약화 엘리먼트(45)는 노치(notch)(65)로서 구체화되며, 여기서, 이러한 제 4 실시예에서, 2 개의 노치들(65)은 연결 탭(23)의 벽들 내에 대칭으로 제공된다. 도시되는 2 개의 노치들(65)은 예시적이며, 따라서 여러 개의 노치들(65)이 연결 탭(23)의 벽 내에 각각 존재할 수 있으며, 그리고 부가적으로 노치들(65)은 비-대칭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e에서, 약화 엘리먼트(45)는 캐비티(67)로서 구체화될 수 있으며, 이 약화 엘리먼트는 연결 탭(23)의 재료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고 그리고 도시되는 절단부에서 오직 보인다.
연결 탭(23)의 가능한 횡단면(63)의 5 개의 도시되는 실시예들은, 약화 엘리먼트(45)가 상이한 구조물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을 단지 예시적으로 도시하며, 상이한 구조물들의 조합이 또한 고려가능하다.
도 5에서, 크림핑 장치(69)(이 크림핑 장치는 또한 크림프 공구 또는 어플리케이터(applicator)로 불릴 수 있음)가 측단면도로 도시된다. 크림핑 장치(69)는 어플리케이터 기초부(71), 앤빌(anvil)(73), 터미널 지지부(terminal support)(75), 와이어 크림퍼(wire crimper)(77), 절연 크림퍼(insulation crimper)(79) 및 플로팅 전단부(floating shear)(81)를 포함한다.
시이트 금속 부품(1)은, 크림프 구역(9)이 앤빌(73)에 접하고 그리고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커넥터 구역(11)이 터미널 지지부(75)에 부분적으로 접하도록 위치된다.
도 5에서, 전체 시이트 금속 부품(1)이 도시되며, 즉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연결 구역(11)이 보이며, 그리고 전체 커넥터 부분(5)이 또한 도시된다.
크림프 구역(9)의 케이블 단부(19)가 앤빌 에지(83)에 또는 앤빌 에지 가까이에 로케이팅된다(located). 플로팅 전단부(81)는 상기 앤빌 에지(83)의 근처에(in the proximity) 로케이팅된다. 연결 탭(23)은 앤빌 에지(83)에 걸쳐 플로팅 전단부(81)의 전단부 리세스(shear recess)(85) 내로 연장하며, 여기서 전단부 리세스(85)는 앤빌(73)을 향하여 개방되는 그리고 캐리어-스트립 방향(37)으로 그리고 이 방향의 반대로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슬롯으로서 구체화된다.
연결 탭(23)은 앤빌 에지(83)에 로케이팅되고, 그리고 전단부 리세스(85) 내로 연장하는 반면에, 커넥터 방향(7)을 고려하면, 캐리어-스트립(25)은 전단부 리세스(85) 내에 완전히 로케이팅되고, 그리고 캐리어-스트립 방향(37)을 따라 상기 전단부 리세스(85) 내에서 안내된다.
앤빌(73) 및 플로팅 전단부(81)는 서로를 따라 글라이딩한다glide). 앤빌(73)과 플로팅 전단부(81) 사이에서, 갭(87)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방향(7)으로의 시이트 금속(1)의 위치를 규정하기 위한 크림핑 장치(69)의 조절은 연결 탭(23) 재료가 연결 탭(23)을 절단한 후 커넥터 부분(5)에 얼마나 많이 남았는지를 결정한다.
도 5에서 도시되는 크림핑 장치(69)는 2 개의 프로세싱 단계들을 동시에 수행하며, 양자 모두의 단계들은 화살표들(89)에 의해 표시되는, 와이어 크림퍼(77), 절연 크림퍼(79) 및 플로팅 전단부(81)의 운동에 의해, 개시된다. 이러한 엘리먼트들(77, 79, 81)은 크림핑 장치(69)의 다른 엘리먼트들에 대해 이동된다.
상기 3 개의 엘리먼트들(77, 79, 81)이 화살표들(89)에 따른 운동을 수행할 때, 전단부 에지(91) 및 앤빌 에지(83)는 연결 탭(23)을 전단시키고 그리고 시이트 금속 부품(1)으로부터 연결 탭(23) 및 캐리어-스트립(25)을 잘라낸다(cut off).
동일한 운동 내에서, 절연 크림핑 아암들(13)과 커넥터 구역(11)을 향하여 직면하는 와이어 크림핑 아암들(15)의 단부 사이의 구역 내에서 스트리핑되는, 케이블(93)은 또한 화살표들(89)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케이블(93)은 밀봉부(95) 및 케이블 절연부(96)를 더 포함한다. 밀봉부(95)는 선택적이고, 그리고 마찬가지로 생략될 수 있다. 화살표들(89)을 따른 운동 동안, 케이블(93), 밀봉부(95) 및 전도체(또는 스트리핑 와이어)(97)가 리셉터클(또는 크림프 배럴(crimp barrel))(21) 내로 이동되며, 이 리셉터클은 절연 크림핑 아암들(13) 및 와이어 크림핑 아암들(1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엘리먼트들(93, 95, 97)이, 존재한다면, 화살표들(89)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21)(마찬가지로, "크림프 배럴", "와이어 크림프 배럴" 또는 "전도체 크림프 배럴"로 불릴 수 있음) 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 와이어 크림퍼(77)는 전도체(97) 둘레에 와이어 크림핑 아암들(15)을 크림핑하고/벤딩하며, 여기서 동시에 절연 크림퍼(79)는 밀봉부(95) 및/또는 케이블 절연체(96) 둘레에 절연 크림핑 아암들(13)을 크림핑한다.
플로팅 전단부(81)의 상향 운동은 스프링 부재(99)에 의해 지원된다.
크림핑 장치(69)는, 따라서, 밀봉부(95) 및/또는 절연체(96)에 각각 부착되는, 주위에서 크림핑된 절연 크림핑 아암들(13)에 의해 그리고 전도체(97) 둘레에서 크림핑된 와이어 크림핑 아암들(15)에 의해 케이블(93)과 시이트 금속 부품(1) 사이에 기계식 그리고 전기식 연결을 설립하며, 케이블 코어(cable core)(리드 와이어들(lead wires)(97))와 시이트 금속 부품(1) 사이의 전기식 접속을 설립한다.
절단 및 크림핑의 프로세스가 수행된 후, 캐리어-스트립(25)이 추가적인 시이트 금속 부분(1)을 도 5에서 도시되는 프로세싱 위치(101) 내로 공급하는 캐리어-스트립 방향(37)을 따라 더 이동될 수 있다.
도 5에서, 시이트 금속 부품(1), 연결 탭(23) 및 캐리어-스트립(25)은 종래 기술의 실시예들에 속한다. 시이트 금속 부품(1) 및 연결 탭(23)의 발명의 실시예들의 크림핑 장치(69) 내에서 각각 프로세싱에서의 차이점들은 도 6에서 설명될 것이다.
원형부(103)에서, 전도체(97), 밀봉부(95), 케이블 절연체(96) 및 리셉터클(21)의 사시도는, 절연 부재(95)가 절연 크림핑 아암들(13) 사이에서 삽입되고 그리고 전도체(97)가 와이어 크림핑 아암들(15) 사이에서 삽입되는 것을 예시하기 위해 도시된다.
도 6에서, 종래 기술의 연결 탭(23)과 발명의 연결 탭(23) 사이의 차이점이 예시된다. 도면은 앤빌(73), 상부 전단부 아암(105) 및 상응하는 연결 탭 횡단면(63)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부 전단부 아암(105)(도 5 참조)은 전단부 에지(91)를 포함하며, 그리고 앤빌(73)은 앤빌 에지(83)를 포함하며, 여기서 연결 탭(23)은 방향(89)을 따른 상부 전단부 아암(105)의 운동 동안 이러한 2 개의 에지들(83, 91)에 의해 전단된다.
도 6으로부터, 종래 기술의 연결 탭(23)을 절단하는데 적응된 전단부 에지(91)(도 6a)가 발명의 연결 탭(23)을 절단하는데 적응된 전단부 에지(91)(도 6b)와 동일한 높이(107)(앤빌 에지(83)에 대해 측정됨)에 로케이팅되는 것이 명백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과 같이, 연결 탭(23)은 발명의 연결 탭(23)보다 더 높은 전단 저항을 가지며, 상부 전단부 아암(105)의 두께(109)는 전단 저항을 따라 적응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 결과, 상부 전단부 아암(105)의 포지셔닝(positioning) 높이(111)는 발명의 연결 탭(23)에 대해서보다 종래 기술의 연결 탭(23)에 대해 더 크다.
포지셔닝 높이(111)는 밀봉부(95)(존재한다면)가 얼마나 멀리 있는지를 결정하며, 케이블 절연체(96) 및 리드 와이어들(97)이 프로세싱 위치(101)(도 5 참고)에서 리셉터클 또는 크림프 베럴(21) 내에 초기에 삽입될 수 있다.
상부 전단부 아암(105)의 더 작은 두께(109)는, 따라서, 리셉터클(21) 내로의 엘리먼트들(95, 96, 97)의 더 깊은 삽입을 유발하는 더 작은 포지셔닝 높이(111)를 유발하며, 이는 와이어 크림핑 아암들(15) 사이에서의 전도체(97)의 최적화된 포지셔닝을 나타내고, 그리고 절연 크림핑 아암들(13) 사이에서의 밀봉부(95)(존재한다면) 및/또는 절연체(96)의 최적화된 포지셔닝을 나타낸다.
도 6c에서 도시되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슬롯(201)은 상부 전단부 아암(105)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슬롯(201)은 크림핑, 용접, 등 동안 슬롯(201) 내에 배치될 수 있는 케이블(93)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d에서 도시되는 추가적인 대안예에서, 상부 전단부 아암(105)에는 연결 탭(23) 위에 놓이는 상부 전단부 아암(105)의 영역 내에 배열되는 오목부(depression)(202)가 제공될 수 있다. 오목부(202)는 연결 탭(23) 반대편에 배치되는 상부 전단부 아암(105)의 상부 면(106) 내에 설계된다.
도 7에서, 발명의 시이트 금속 부품(1)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시이트 금속 부품(1)은 성형된 그리고 벤딩된 상태(3)로 도시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되는 실시예와 달리, 도 7에서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커넥터 부분(5) 및 이의 연결 탭(23)을 갖는 시이트 금속 부품(1)은 캐리어 스트립 없이 종결-공급 터미널들(end-feed terminals)로서 배열된다. 시이트 금속 부품(1)은 직렬로 이후의 시이트 금속 부품(1)의 연결 탭(23)에 연결되는 연결 탭(23) 반대편에 있는 커넥터 부분(5)의 종결부(203)와 커넥터 방향(7)으로 직렬로 연결된다.
게다가, 도 7의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연결 탭(23)에는 약화된 부위(53)가 제공되며, 이 약화된 부위에서, 연결 탭(23)의 전단 저항이 프로세싱되지 않은(unprocessed) 연결 탭(23)에 비해 감소된다.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전단 저항은, 하나 이상의 약화된 부위(53) 내에서 연결 탭(23)의 재료 강도를 감소시킴으로써, 감소된다.
도 7에서, 연결 탭(23)에서의 재료 강도의 감소는 레이저 빔(204)을 사용하여 커넥터 탭을 열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예시적으로 달성된다. 물론, 단지 예시적인 레이저 빔(204) 대신에, 하나 이상의 약화된 부위(53) 내의 연결 탭(23)의 감소된 재료 강도를 유발하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에너지 빔, 또는 다른 열적 처리, 예컨대, 예를 들어 유도 또는 임의의 종류의 화학적 또는 야금학적(metallurgical) 처리가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1 시이트 금속 부품
2 시이트 금속
3 성형된 그리고 벤딩된 상태
5 커넥터 부분
7 커넥터 방향
9 크림프 구역
11 커넥터 구역
13 절연 크림핑 아암
15 와이어 크림핑 아암
17 크림프 저부
19 케이블 단부
21 리셉터클/크림프 배럴
23 연결 탭
25 캐리어-스트립
27 연결 탭 폭
29 연결 탭 깊이
31 연결 탭 두께
33 시이트 금속 두께
35 캐리어-스트립 두께
37 캐리어-스트립 방향
39 공급 개구들
41 탭 구역
43 검출 개구
45 약화 엘리먼트
46 리세스
47 관통 홀
47a 홀
49 제 1 탭 부분
51 제 2 탭 부분
51a 제 3 탭 부분
53 약화된 부위
55 슬롯형 홀
57 세트
59 스탬핑된 상태
61 길이
63 횡단면
65 노치
67 캐비티
69 크림핑 장치
71 애플리케이터 기초부
73 앤빌
75 터미널 지지부
77 와이어 크림퍼
79 절연 크림퍼
81 플로팅 전단부
83 앤빌 에지
85 전단부 리세스
87 갭
89 화살표
91 전단부 에지
93 케이블
95 밀봉부
96 케이블/와이어 절연체
97 전도체/스트리핑된 와이어
99 스프링 부재
101 프로세싱 위치
103 원형부
105 상부 전단부 아암
106 상부 전단부 아암의 상부 면
107 높이
109 상부 전단부 아암의 두께
111 포지셔닝 높이
201 슬롯
202 오목부
203 커넥터 부분의 단부
204 레이저 빔
P 주기성

Claims (15)

  1. 커넥터 방향(connector direction)(7)을 따라 배향되는 커넥터 부분(connector portion)(5), 및 연결 탭(connection tab)(23)을 갖는 시이트 금속 부품(sheet metal part)(1)으로서,
    상기 연결 탭(23)은 상기 커넥터 부분(5)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커넥터 방향(7)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되는 연결 탭 횡단면(connection tab cross-section)(63) 면적을 가지는, 시이트 금속 부품에 있어서,
    상기 연결 탭(23)은 적어도 하나의 약화된 부위(weakened zone)(53) 포함하며, 상기 약화된 부위에서, 연결 탭(23)의 전단 저항(shear resistance)이 동일한 구조 유형 및 크기의 프로세싱되지 않은(unprocessed) 연결 탭(23)에 비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금속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화된 부위(53)에서, 상기 연결 탭 횡단면 면적이 하나 이상의 리세스(recess)(46)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금속 부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탭 횡단면(63) 면적이 동일한 구조 유형 및 크기의 프로세싱되지 않은 연결 탭(23)의 연결 탭 횡단면(63)에 비해 적어도 30%만큼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금속 부품.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리세스(46)는 노치(notch)(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금속 부품.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리세스(46)는 홀(hole)(47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금속 부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홀(hole)(47a)은 관통 홀(through hole)(4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금속 부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탭(23)은 캐리어-스트립(carrier-strip)(2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금속 부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화된 부위(53)는 하나 이상의 약화 엘리먼트(weakening element)(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금속 부품.
  9.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리세스(46)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약화 엘리먼트(45)는 커넥터 방향(7)으로 또는 상기 커넥터 방향의 반대로 상기 연결 탭(23)으로부터 상기 커넥터 부분(5) 내로 그리고 또는 상기 캐리어-스트립(25) 내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금속 부품.
  10.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약화 엘리먼트(45)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리세스(46)는 커넥터 방향(7)으로 또는 상기 커넥터 방향의 반대로 연결 탭 깊이(connection tab depth)(29)의 적어도 대략 50%에 걸쳐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금속 부품.
  11. 커넥터 부분(5) 및 커넥터 탭(23)을 갖는 시이트 금속 부품(1)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이트 금속(2)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시이트 금속(2)으로부터 상기 커넥터 부분(5), 상기 연결 탭(23) 및 선택적으로 캐리어-스트립(25)을 형성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약화된 부위(53) 내에 상기 연결 탭(23)의 전단 저항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금속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저항은 리세스(46)를 형성함으로써, 기계식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금속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46)는 다음의 단계들:
    홀(hole)(47a) 또는 관통 홀(through hole)(47)을 스탬핑하는(stamping) 단계;
    홀(47a) 또는 관통 홀(47)을 드릴링하는(drilling) 단계;
    리세스(46)를 베벨링하거나(beveling) 밀링하거나(milling) 스탬핑하는 단계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금속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저항이 하나 이상의 약화된 부위(53) 내에 연결 탭(23)의 재료 강도를 감소시킴으로써 감소되며, 상기 재료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탭(23) 재료를 열적으로, 화학적으로, 그리고/또는 야금학적으로(metallurgically), 처리함으로써 감소되며, 그리고 상기 열적 처리가,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너지 빔(energy beam), 예컨대 레이저 빔(laser beam) 또는 전자 빔(electron beam)의 유도(induction) 또는 적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금속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이트 금속 부품(1)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금속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60116591A 2015-09-10 2016-09-09 개선된 연결 탭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시이트 금속 부품 KR102670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84752.2A EP3142199B1 (en) 2015-09-10 2015-09-10 Sheet metal part with improved connection tab geomet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5184752.2 2015-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074A true KR20170031074A (ko) 2017-03-20
KR102670953B1 KR102670953B1 (ko) 2024-05-30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42199B1 (en) 2020-04-15
JP2017054812A (ja) 2017-03-16
JP6906281B2 (ja) 2021-07-21
US9882289B2 (en) 2018-01-30
EP3142199A1 (en) 2017-03-15
US20170077619A1 (en) 2017-03-16
CN106532308A (zh) 2017-03-22
CN106532308B (zh)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2199B1 (en) Sheet metal part with improved connection tab geomet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A1088172A (en) Universal solderless termination system
EP2808948A1 (en) Crimp terminal, crimp connection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for crimp connection structure
JP2003031274A (ja) 圧着端子
EP2808947A1 (en) Crimp terminal, crimp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rimp connection structure
US11784426B2 (en) Electrical cable assembl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and electrical terminal for same
US9537227B1 (en) Female electrical termin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0049843A (ja) 端子金具
JP2021128937A (ja) 弾性接続端子
EP0320310B1 (en) High contact pressure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for multi-strand wire
KR102670953B1 (ko) 개선된 연결 탭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시이트 금속 부품
WO2013110503A1 (en) Electrical contact terminal comprising a crimping section
JP4894734B2 (ja) 端子金具
EP3525288B1 (en) Tip structure of flat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ip structure
JPH0756812B2 (ja) 電気コネクタ
US6406336B1 (en) Contact with anti-skiving feature
JP2009123597A (ja)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と導体の接続構造
US20200350702A1 (en)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JP7380462B2 (ja) 圧接端子及び電子装置
JP7439650B2 (ja) 電子装置
EP3637564B1 (en) Process of manufacturing an electrical wiring assembly
JP7334648B2 (ja) 圧接端子及び電子装置
JP6528808B2 (ja) 端子および端子を製造する方法
JP5051071B2 (ja) 端子金具
JP5138471B2 (ja) 車両用電気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