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749A - 탄소발열체를 구비한 황토불판 - Google Patents

탄소발열체를 구비한 황토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749A
KR20170029749A KR1020150126714A KR20150126714A KR20170029749A KR 20170029749 A KR20170029749 A KR 20170029749A KR 1020150126714 A KR1020150126714 A KR 1020150126714A KR 20150126714 A KR20150126714 A KR 20150126714A KR 20170029749 A KR20170029749 A KR 20170029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p
heating element
loess
carbon
carb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돈
김정석
Original Assignee
박정돈
김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돈, 김정석 filed Critical 박정돈
Priority to KR1020150126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9749A/ko
Publication of KR20170029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7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1Conductive ceramics, e.g. metal oxides, metal carbides, barium titanate, ferrites, zirconia, vitrous compou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1Conductive ceramics, e.g. metal oxides, metal carbides, barium titanate, ferrites, zirconia, vitrous compounds
    • H05B3/143Conductive ceramics, e.g. metal oxides, metal carbides, barium titanate, ferrites, zirconia, vitrous compounds applied to semiconductors, e.g. wafers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발명은 탄소발열체를 구비한 황토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황토99%와 펄프 1%를 혼합하여 소성공정 없이 제조된 구이용 황토불판 ;
상기 황토불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탄소발열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체를 구비한 황토불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소발열체를 구비한 황토불판{YELLOW SOIL ROASTING PLATE WITH CARBON HEATER}
본발명은 탄소발열체를 구비한 황토불판에 관한 것이다
불을 이용하기 시작하면서 인류는 음식물을 익혀서 먹어 왔다. 그러나, 예컨대 꼬치등에 꽂아서 직접 불에 익혀서 먹는 경우 익히는 데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불꽃에 직접 음식물이 닿으므로 음식물의 표면이 타서 먹기에 나쁘고 건강에 해로우며 연기로 인해서 주위환경을 오염시킨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석쇠와 같은 그물형상으로 된 판을 발명하여 그 위에 음식물을 얹어서 조리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단점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하였다.
이를 해결하고자, 음식물이 불꽃과 직접 접촉하여 조리되지 않도록 금속과 같이 열전도도가 높은 물질이나 돌과 같은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진 조리용 불판을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금속으로 된 불판의 경우에는 열전도도가 좋은 반면에 과도한 열전달과 불균일한 열전달이 이루어지기 쉬웠다. 그러므로, 예컨대 음식물이 불판에 늘어붙어서 세척하기 곤란하다는 점과 같이 열에 의해서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단점 이 있었고 늘어붙은 음식물이 타서 건강에 해로우며 부식 등이 쉬우므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데에 곤란한 점이 많았다.
그래서, 근래에는 열전도도가 낮고 비교적 무겁다는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열전달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고 음식물을 조리하기에 알맞은 온도로 유지되어 음식물이 타거나 눌러 붙지도 않으며 열에 의한 영향도 크지 않고 부식도 어려워, 돌과 같은 세라믹 재료로 불판을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불판은 일반적으로 열원과 분리되어 있어서 단순히 열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불판에 얹어진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만을 하도록 되어 있었다.
대개의 경우 불판의 열원은 연료와 산화제의 화학반응인 연소를 통해서 열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고, 그 대표적인 예로는 재래식 열원인 숯불과, 석유나 석탄 등의 화석연료 및 LPG나 LNG 등을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도시와 같은 환경에서는 숯불과 같은 재래식 열원의 경우에는 불을 피울 장소도 마땅치 않거니와 연기가 많이 나며 남은 재를 처리하는 장소도 마땅치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가스를 연료로 쓰는 경우에는 상기 열원의단점은 해결하였으나, 보통 높은 압력의 저온의 액체로 연료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화재나 폭발의 위험성이 커서 이의 설비나 장치에 제약이 많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공해가 없고 취급이 간단하며 화재의 위험도 덜하고 설비도 간편할 뿐만 아니라 효율도 타에너지보다 좋아서 전기에너지가 차세대 에너지로서 각광받고 있으며 열원으로서도 그 사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황토는 일부 북미에도 분포되어 있으나, 한반도를 비롯하여 중국의 화북지방 황하연안 등 주로 동북아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주로 석영을 함유하면서 휘석, 각섬석 등을 함유하는 황갈색의 석회질로써, 실리카 60~65%, 철분 5~6%, 알루미나 10~13%, 마그네슘과 나트륨 각 2% 내외, 칼리 1.5%, 석회 8% 내외의 화학적 조성을 가지며, 분해력, 자장력, 흡수력 등이 뛰어나며 인체에 유익한 약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에, 예로부터 가옥의 건축자제로써 중요하게 쓰여졌으며, 식기나 기구로 만들어져 생활의 도구로도 활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황토는 해독과 질병치료에도 탁월한 약효를가지고 있어, 동양의학에서는 중요한 약제로 쓰여졌다. 그 중 대표적인 동양의서들인 본초강목, 동의보감 및 향약집성방등에는 황토가 본디 색을 지닌 흙으로 약성이 가장 뛰어나 널리 중요하게 쓰이는 것으로써 맛은 달고 독이 없으며 부인병과 소아병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본초강복의 중수부편에는 황토에 물을 부어 우러나온 물을 지장또는 토장이라 하며, 이는 각종 독을 해독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최근 들어서는 황토에 대한 과학적 규명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황토가 많은 양의 원적외선이 방출되고 유해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으며, 황토 1g에 수억마리의 미생물과 다양한 효소들이 촘촘히 들어있어 이들이 순환작용을 하여 여러면에서 인체에 매우 유익한 영향을 준다는 것이 과학적으로도 입증되었다. 이에 황토가 건축자재, 생활용품, 가구, 화장품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구이용 불판으로도 그 활용범위는 급속히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구이용 불판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전기를 열에너지로 전환하여 안전하고 건강에 유익한 탄소발열체를 구비한 황토불판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서, 본발명 탄소발열체를 구비한 황토불판에 있어서, 상기불판은 황토99%와 펄프 1%를 혼합하여 소성 공정없이 제조된 불판의 일면에 탄소발열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불판은 황토의 원적외선 효과와 함께 소성공정시 소멸되는 황토의 미생물을 보존하고, 연기가 발생하지 않으며 탄소발열체는 안정적인 발열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열손실이 적은데다가 온열효과가 우수하고 축적된 열에너지의 시간대비 소모량이 적어 에너지절감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배면도이다.
본발명 탄소발열체(101)를 구비한 황토불판(100)에 있어서, 상기불판은 황토99%와 펄프 1%를 혼합하여 소성 공정없이 제조된 불판의 일면에 탄소발열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구이용 불판의 주재료인 황토는, 입자의 지름이 0.002~0.0005mm 정도되는 퇴적물로서 60 이상으로 가열시 많은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며, 수분 조절 기능이 우수하여 건축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흙으로서, 성형 건조 후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가열에 의해 갈라지면서 형성되는 틈과 성형 가공시 생성된 내외부의 수 많은 기공에 의해 육류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신속히 흡수하여 육질을 담백하게 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황토는 가열됨으로써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육류 내부의 육질을 부드럽게 하는 역할을 하는 바, 그 함량이 70중량%에 미치지 못하면 기름 흡수 능력이 떨어지고 원적외선 방사량 감소에 의해 유질이 떨어지게 되고, 9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과 같은 역할을 하는 첨가물의 부족에 의해 구이 불판의 강도가 떨어져 보관이나 운반시 부스러지기 쉬우며 구이 불판에 부수적으로 부여하고자 하는 첨가물에 의한 효과가 미미하게 된다.
또한, 황토에 혼합되는 첨가물은 황토와 함께 육류의 기름을 흡수하고 냄새를 제거하는 동시에 육류에 식욕을돋구는 향을 스며들게 하는 효과를 얻기 위한 것으로, 그 함량이 10중량%에 미치지 못하면 그 효과가 미미할 뿐만아니라 구이 불판의 보강재로서 역할이 부족하여 건조 후 구이 불판이 파손되기 쉽고, 3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첨가물이 표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이 불판의 표면이 지나치게 거칠어지며 거칠어진 표면의 돌출부가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쉽게 부스러져 육류에 묻게 되는 동시에 황토 함량의 감소로 원적외선 방사량이 적어지게 되어 육류의 맛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탄소발열체(101)를 구비한 황토불판(100)은 구이 불판의 강도 향상과 효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펄프가 첨가된다. 펄프는 목재나 그 밖의 섬유 식물에서 기계적, 화학적 또는 그 중간 방법에 의하여 얻는 셀룰로오스 섬유의 집합체를 나타낸다.
원래는 많은 수분을 포함하고 있어서 죽 모양으로 되어 있거나, 압착 등의 방법에 의하여 탈수한 습윤물(濕潤物)을 말하는데, 좁은 의미로는 식물을 구성하고 있는 섬유를 추출하여 모은 것을 말한다. 현재 이용되는 펄프의 원료로는 솜 같은 종모섬유(種毛纖維)와 대나무짚에스파르토버개스 등과 같은 벼과식물의 줄기, 마닐라삼의 줄기, 대마아마닥삼아안피 등의 나무껍질[靭皮部]과 나무의 가지나 잎을 제외한 줄기등 매우 다양하다. 분류법에는 사용한 원료의 이름을 따서 분류하는 법과 제조법에 의하여 분류하는 법이 있다.
원료에 따른 분류로는 먼저 목재펄프와 비목재펄프로 구분하고, 목재펄프는 다시 침엽수펄프(NP)와 활엽수펄프(LP)로, 비목재펄프는 짚펄프(straw pulp)버개스펄프(bagasse pulp)갈대펄프대나무펄프인피섬유(靭皮纖維)펄프넝마펄프면펄프 등으로 구분한다.
제조법에 의한 분류는 먼저 기계펄프(MP)와 화학펄프(CP)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생산한 것이 있는데, 기계펄프는 다시 쇄목펄프(GP)리파이너펄프(RGP)열처리기계펄프(TMP) 등으로 구분하며, 화학펄프는 아황산펄프(SP)크라프트펄프(KP)소다펄프(soda plup)로 구분한다. 기계와 화학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는 것은 화학쇄목펄프(CGP)세미케미컬펄프(SCP)로 구분한다. 제조법에 의하여 구분할 경우는 펄프의 표백 정도에 따라 명칭의 앞에 표백(B)반표백(S)미표백(U) 등을 붙여서 사용한다. 또 펄프를 용도에 따라 구분할 때에는 제지용과 용해용(DP)으로 나눈다.
본 발명에 의한 탄소발열체(101)를 구비한 황토불판(100)은 황토의 원적외선 효과와 함께 소성공정시 소멸되는 황토의 미생물을 보존하고,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소정의 크기와 두께로 형성되는 상기 황토불판(100) 일면에 형성되는 탄소발열체(101)는 탄소나노튜브, 탄소섬유, 그라파이트, 탄화규소, 천연흑연, 카본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황토불판(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탄소발열체(101)는 부착을 위하여 바인더를 첨부 할 수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내열성바인더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열성바인더 기재는 알루미나 및 실리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탄소발열체(101)에 전원을 인가하면 전기 에너지는 탄소발열체(101)에 의해 유해물질 없는 청정한 열원으로 전환되고 구이용 황토불판(100)의 목적을 달성 할 수있다.
또한 탄소발열체(101)는 직류전원에서도 발열할 수 있는데, 교류전원이 없는 야외에서 2차전지 또는 아답터를 통해서도 구이용 황토불판의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황토불판 101 : 탄소발열체

Claims (4)

  1. 황토99%와 펄프 1%를 혼합하여 소성공정 없이 제조된 구이용 황토불판 ;
    상기 황토불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탄소발열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체를 구비한 황토불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발열체는, 탄소나노튜브, 탄소섬유, 그라파이트, 탄화규소, 천연흑연, 카본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형성되는, 탄소발열체를 구비한 황토불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발열체에 내열성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체를 구비한 황토불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발열체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을 더 포함하는, 탄소발열체를 구비한 황토불판.

KR1020150126714A 2015-09-08 2015-09-08 탄소발열체를 구비한 황토불판 KR201700297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714A KR20170029749A (ko) 2015-09-08 2015-09-08 탄소발열체를 구비한 황토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714A KR20170029749A (ko) 2015-09-08 2015-09-08 탄소발열체를 구비한 황토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749A true KR20170029749A (ko) 2017-03-16

Family

ID=5849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714A KR20170029749A (ko) 2015-09-08 2015-09-08 탄소발열체를 구비한 황토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97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881A (ko) 2017-10-11 2019-04-19 (주)보은 다중 열선을 이용한 세라믹 가열 플레이트 및 이의 제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881A (ko) 2017-10-11 2019-04-19 (주)보은 다중 열선을 이용한 세라믹 가열 플레이트 및 이의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1200C2 (ru) Одноразовый гриль
CN103274399B (zh) 花椒枝木热解生产活性炭的方法
CN105316068A (zh) 一种用于室内取暖的保健型木炭
KR20170029749A (ko) 탄소발열체를 구비한 황토불판
CN202035975U (zh) 智能保健节能锅
KR20130007720A (ko) 황토를 섞은 훈제용 연료의 제조방법
Oyelaran et al.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groundnut shell and waste paper admixture briquettes
CN209331746U (zh) 一种旋风式电饭煲瓦胆
CN204722808U (zh) 一种电能水蒸汽加热烹饪锅
CN2230557Y (zh) 具有自动物汤分离之蒸煮锅具
CN201048841Y (zh) 一种石材蒸汽锅
CN206995075U (zh) 大型节能压力锅
KR20140002994U (ko) 황토를 이용한 불판
CN201189110Y (zh) 电饭锅内用滤水锅
CN201000106Y (zh) 美满生活炉
KR20000073829A (ko) 내열 도자기제 음식물 조리용 용기 제조방법 및 그 용기
CN1775153A (zh) 蒸气烹调装置
CN205125889U (zh) 一种用于泉烹的锅体
CN205125914U (zh) 一种蒸汽烹饪装置
CN2840866Y (zh) 蒸气烹调装置
CN109681931A (zh) 一种利用灶具余热制备热水的集成灶
CN201285204Y (zh) 一次性泥制窑锅
KR20180056903A (ko) 왕겨분말 뜸봉과 그 제조방법
US20220041947A1 (en) Coconut shell charcoal log
CN208988471U (zh) 一种竹制电蒸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