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591A -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591A
KR20170029591A KR1020177003746A KR20177003746A KR20170029591A KR 20170029591 A KR20170029591 A KR 20170029591A KR 1020177003746 A KR1020177003746 A KR 1020177003746A KR 20177003746 A KR20177003746 A KR 20177003746A KR 20170029591 A KR20170029591 A KR 20170029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supply
path
main engine
pressu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3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9459B1 (ko
Inventor
데쓰고 후쿠다
Original Assignee
고쿠리츠겐큐카이하츠호진 가이죠·고완·고쿠기쥬츠겐큐죠
가부시키가이샤 마리타임 이노베이션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오시마 조우센죠
닛뽕 유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리츠겐큐카이하츠호진 가이죠·고완·고쿠기쥬츠겐큐죠, 가부시키가이샤 마리타임 이노베이션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오시마 조우센죠, 닛뽕 유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쿠리츠겐큐카이하츠호진 가이죠·고완·고쿠기쥬츠겐큐죠
Publication of KR20170029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63B1/38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4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relating to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04Engines with exhaust drive and other drive of pumps, e.g. with exhaust-driven pump and mechanically-driven second pump
    • F02B37/10Engines with exhaust drive and other drive of pumps, e.g. with exhaust-driven pump and mechanically-driven second pump at least one pump being alternatively or simultaneously driven by exhaust and other drive, e.g. by pressurised fluid from a reservoir or an engine-driven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12Control of the pumps
    • F02B37/24Control of the pumps by using pumps or turbines with adjustable guide 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63B1/38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 B63B2001/385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using exhaus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63B1/38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 B63B2001/387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using means for producing a film of air or air bubbles over at least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hull surface
    • B63B2758/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Y02T70/1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percharger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주기관(1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의해 구동되고, 주기관(10)에 가압 공기를 공급하는 과급기(20)와, 과급기(20)와 주기관(10)의 사이로부터 가압 공기의 일부를 취출하는 취출수단(32)과, 취출수단(32)에 의해 취출한 가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경로(31)와, 공기 공급 경로(31)를 거쳐 공급되는 가압 공기를 방출하는 선체(1)의 선저(3)에 형성된 공기 공급구(4)와, 가압 공기의 공급시에 과급기(20)의 회전을 가세하는 모터수단(3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주기관(10)의 저부하 운전시에 있어서도, 공기 윤활에 필요한 가압 공기를 과급기(20)로부터 효율적으로 취출할 수 있는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AIR SUPPLY SYSTEM FOR AIR-LUBRICATED SHIP}
본 발명은, 항행 중의 선박의 흘수선 이하의 선체의 외면을 따르는 물의 마찰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한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항행 중의 선박에서는, 일반적으로 선체의 몰수(immersion) 표면에 물의 마찰 저항을 받고 있고, 특히 대형선의 경우에는, 선체 저항의 대부분이 몰수 표면에 있어서의 외수(外水)의 상대류에 의해 생기는 마찰 저항을 차지되고 있다.
선체 주위에 공기를 방출하여 마찰 저항을 저감하는 공기 윤활에 의한 선체 마찰 저항의 경감은 에너지 절약 효과가 크고, 선박으로부터의 CO2 배출 삭감에 유효한 수단이다.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방법에는, 주로 전동 블로어로 공기를 보내는 방법과 소기(掃氣) 바이패스에 의한 방법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전동 블로어로 공기를 보내는 방법과 소기 바이패스에 의한 방법을 병용하는 공기공급 제어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한편, 엔진 저부하시에 상기 과급기를 전기나 유압으로 어시스트하고, 엔진의 기동이나 저 부하성능을 개선하는 전동기 부착 터보차저(tubocharger)는 이미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또, 가변 노즐을 구비한 과급기도 이미 제안되어 있고, 특허문헌 3은, 연소용 공기를 빼내어 선체 외표면으로 방출하는 경우는 가변 노즐을 조이고, 또, 연소용 공기를 빼서 선체 외표면으로 방출하지 않는 경우는 가변 노즐을 열도록 제어하는 선박의 압축공기공급 제어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공기를 빼서 선저에 공기를 보내는 경우에는, 터빈 노즐을 조이고, 과급기 터빈의 출력을 증가시켜 기포 방출에 필요한 공기량을 확보하며, 또한, 선저에 공기를 보낼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터빈 노즐을 열어 공기를 빼내지 않는 경우의 소기 압력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9362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4058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71582호
그런데, 전동 블로어로 공기를 보내는 방법에서는, 고성능의 전동 블로어(터보식)가 필요한 것에 더하여, 에어 쿨러도 필요하다.
또, 소기 바이패스에 의한 방법에서는, 선박의 감속 운전시에는 주기관(主機關)의 부하가 낮고, 배기가스 에너지가 낮기 때문에 과급기로부터 충분히 공기를 취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근래에는, 감속 운전을 채용하는 것이 많기 때문에, 과급기로부터 충분히 공기를 취출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진다.
특허문헌 1에서는, 주기관의 부하가 낮은 경우에는 과급기로부터 충분히 공기를 취출할 수 없다.
특허문헌 2와 같이 전동기 부착 터보차저는 많이 제안되고, 또 특허문헌 3과 같이 가변 노즐을 구비한 과급기도 이미 제안되어 있지만, 소기 등의 가압 공기의 취출에 따라서 과급기를 가세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주기관의 저부하 운전시에 있어서도, 공기 윤활에 필요한 가압공기를 과급기로부터 효율적으로 취출할 수 있는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공급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기재에 대응한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는, 선체 주위에 공기를 방출하여 마찰 저항을 저감하는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으로서, 주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의해 구동되고, 주기관에 가압 공기를 공급하는 과급기와, 과급기와 주기관의 사이로부터 가압 공기 또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취출(extract)하는 취출수단과, 취출수단에 의해 취출된 가압 공기 또는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경로와, 공기 공급 경로를 거쳐 공급되는 취출된 가압 공기 또는 배기가스를 방출하는 선체의 선저에 형성된 공기 공급구와, 가압 공기 또는 배기가스의 공급시에 과급기의 회전을 가세(加勢:assist)하는 모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취출수단에 의한 가압 공기 또는 배기가스의 공급시에 모터수단에 의하여 과급기의 회전을 가세함으로써, 주기관의 저부하 운전시에 있어서도, 공기 윤활에 필요한 가압 공기 또는 배기가스를 과급기로부터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주기관에 배기 재순환을 행하는 경우에 순환 경로가 열려 가압 공기량 또는 배기가스량이 감소하거나, 가압 공기압 또는 배기가스압이 저하해도, 모터수단으로 과급기의 회전을 가세함으로써 양(量)이나 압(壓)을 회복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은, 주기관의 부하를 판정하는 부하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부하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모터수단을 운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주기관의 부하에 따라 모터수단을 운전함으로써, 주기관의 저부하 운전시에 있어서도, 모터수단을 운전하여 과급기로부터 충분한 가압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은, 부하 판정 수단으로서 주기관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수단을 가지고, 회전수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모터수단을 운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주기관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모터수단을 운전함으로써, 과급기로부터 충분한 가압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수 검출수단으로 검출한 회전수로부터 주기관이 저부하 운전인 것을 판정하고, 이 판정 결과에 따라서 모터수단을 운전하여 과급기의 회전을 가세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은, 과급기로부터 가압 공기를 공급하는 주기관까지의 사이의 경로에 공기 냉각기를 설치하고, 공기 냉각기보다 하류측의 소기(掃氣)를 가압 공기로 하여 취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냉각기보다 하류측의 소기를 공기 윤활에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도막(塗膜) 열화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은, 공기 공급 경로가 복수로 분기한 분기로를 가지고, 복수로 분기한 분기로의 각각에 공기 공급구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공기 공급구를 형성함으로써, 선체 주위로 방출하는 공기를 많게 할 수 있고, 또 필요에 따라서 임의의 공기 공급구로부터 취출한 가압 공기를 방출함으로써, 마찰 저항을 더욱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은, 분기로의 도중에 분기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밸브의 조작에 의하여, 공기를 방출하는 공기 공급구를 선택할 수 있고, 또 공기 윤활을 행하지 않을 때에는 개폐밸브로 분기로를 폐쇄하여, 물의 역류를 막을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본 발명은, 공기 공급 경로에, 취출한 가압 공기를 더 가압하는 어시스트 블로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어시스트 블로어에 의하여 공기 윤활에 적절한 압력까지 취출한 가압 공기를 더 가압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본 발명은, 공기 공급 경로로부터 분기하여 어시스트 블로어를 바이패스하여 다시 공기 공급 경로로 합류하는 바이패스 경로와, 공기 공급 경로와 바이패스 경로를 선택하는 바이패스 경로 선택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취출한 가압 공기를 더 가압할 필요가 없을 때 등은, 어시스트 블로어를 바이패스하는 경로를 선택하여 취출한 가압 공기만을 공급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본 발명은, 어시스트 블로어로 대기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대기흡입경로와, 공기 공급 경로와 대기흡입경로를 선택하는 대기흡입경로 선택 수단을 마련하고, 대기흡입경로가 선택된 경우에 대기로부터의 공기를 어시스트 블로어로 가압하여 공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대기로부터의 공기를 가압하여 이용함으로써, 취출한 가압 공기와는 별도로, 대기로부터의 공기를 선저에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흘수압이 낮은 경우에는, 대기로부터의 공기를 직접 선저에 형성된 공기 공급구로 공급하여, 에너지 효율이나 에너지 절약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본 발명은, 과급기가 가압 공기의 가압 특성을 개선하는 가변 노즐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가변 노즐에 의하여 가압 공기의 가압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본 발명은, 과급기와 주기관까지의 사이의 가압 공기를 공급하는 경로에 트랩을 마련하고, 공기 공급 경로를 트랩의 하부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 공기를 트랩에 통과시킴으로써, 가압 공기에 포함되는 수분을 분리하여 가압 공기를 취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본 발명은, 모터수단을, 전동모터 또는 유압모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하는 것이 용이한 전동모터 또는 유압모터를 모터수단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취출수단에 의한 가압 공기 또는 배기가스의 공급시에 모터수단에 의하여 과급기의 회전을 가세함으로써, 주기관의 저부하 운전시에 있어서도, 공기 윤활에 필요한 가압 공기 또는 배기가스를 과급기로부터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주기관에 배기 재순환을 행하는 경우에 순환 경로가 열려 가압 공기량 또는 배기가스량이 감소하거나 가압 공기압 또는 배기가스압이 저하해도, 모터수단으로 과급기의 회전을 가세함으로써 양이나 압을 회복할 수 있다.
또, 주기관의 부하를 판정하는 부하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부하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모터수단을 운전한 경우에는, 주기관의 부하에 따라 모터수단을 운전함으로써, 주기관의 저부하 운전시에 있어서도, 모터수단을 운전하여 과급기로부터 충분한 가압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 부하 판정 수단으로서 주기관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수단을 가지고, 회전수 검출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모터수단을 운전한 경우에는, 주기관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모터수단을 운전함으로써, 과급기로부터 충분한 가압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수 검출수단으로 검출한 회전수로부터 주기관이 저부하 운전인 것을 판정하며, 이 판정 결과에 따라서 모터수단을 운전하여 과급기의 회전을 가세할 수 있다.
또, 과급기로부터 가압 공기를 공급하는 주기관까지의 사이의 경로에 공기 냉각기를 설치하고, 공기 냉각기보다 하류측의 소기를 가압 공기로서 취출하는 경우에는, 공기 냉각기보다 하류측의 소기를 공기 윤활에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도막 열화도 방지할 수 있다.
또, 공기 공급 경로가 복수로 분기한 분기로를 가지고, 복수로 분기한 분기로의 각각에 공기 공급구를 접속한 경우에는, 복수의 공기 공급구를 형성함으로써, 선체 주위로 방출하는 공기를 많게 할 수 있고, 또 필요에 따라서 임의의 공기 공급구로부터 취출한 가압 공기를 방출함으로써, 더욱 마찰 저항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 분기로의 도중에 분기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마련한 경우에는, 개폐밸브의 조작에 의하여, 공기를 방출하는 공기 공급구를 선택할 수 있고, 또 공기 윤활을 행하지 않을 때에는 개폐밸브로 분기로를 폐쇄하여, 물의 역류를 막을 수 있다.
또, 공기 공급 경로에, 취출한 가압 공기를 더 가압하는 어시스트 블로어를 구비한 경우에는, 어시스트 블로어에 의하여 공기 윤활에 적절한 압력까지 취출한 가압 공기를 더 가압할 수 있다.
또, 공기 공급 경로로부터 분기하여 어시스트 블로어를 바이패스하고 다시 공기 공급 경로로 합류하는 바이패스 경로와, 공기 공급 경로와 바이패스 경로를 선택하는 바이패스 경로 선택 수단을 마련한 경우에는, 취출한 가압 공기를 더 가압할 필요가 없을 때 등은, 어시스트 블로어를 바이패스하는 경로를 선택하여 취출한 가압 공기만을 공급할 수 있다.
또, 어시스트 블로어로 대기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대기흡입경로와, 공기 공급 경로와 대기흡입경로를 선택하는 대기흡입경로 선택 수단을 마련하고, 대기흡입경로가 선택된 경우에 대기로부터의 공기를 어시스트 블로어로 가압하여 공급한 경우에는, 대기로부터의 공기를 가압하여 이용함으로써, 취출한 가압 공기와는 별도로, 대기로부터의 공기를 선저로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흘수압이 낮은 경우에는, 대기로부터의 공기를 직접 선저에 형성된 공기 공급구로 공급하고, 에너지 효율이나 에너지 절약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또, 과급기가 가압 공기의 가압 특성을 개선하는 가변 노즐을 가진 경우에는, 가변 노즐에 의하여 가압 공기의 가압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 과급기와 주기관까지의 사이의 가압 공기를 공급하는 경로에 트랩을 마련하고, 공기 공급 경로를 트랩의 하부에 접속한 경우에는, 가압 공기를 트랩에 통과시킴으로써, 가압 공기에 포함되는 수분을 분리하여 가압 공기를 취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이용하는 것이 용이한 전동모터 또는 유압모터를 모터수단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공기 공급 시스템을 탑재한 공기 윤활식 선박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상기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상기 주기관과 과급기의 개략 구성도.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공기 공급 시스템을 탑재한 공기 윤활식 선박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상기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상기 주기관과 과급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공기 윤활식 선박은, 선체(1)의 선수부(2)의 선저(3)에는, 공기 공급구(4)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 공급구(4)는, 선체(1)의 흘수하에 형성되어 있다. 공기 공급구(4)로부터 선체(1)의 선저(3)에 가압 공기를 기포로서 방출하고, 해면(S.L.)보다 아래의 선저(3)의 넓은 영역에 기포를 공급하여 공기 윤활함으로써, 높은 마찰 저항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공기 공급구(4)는, 선저(3)의 선수부뿐만 아니라, 중앙부나 복수 부위에 조합하여 형성해도 좋다.
선체(1)의 선미(5)측에는, 프로펠러(6)를 구동하는 구동원(7)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원(7)은, 내연기관인 주기관(10)과 과급기(20)를 가진다. 과급기(20)는, 주기관(10)으로부터의 배기가스에 의해 구동되며, 주기관(10)으로 가압 공기를 공급한다.
주기관(10)으로 공급되기 전의 가압 공기의 일부는, 공기 공급 경로(31)를 통하여 공기 공급구(4)로 보내진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과급기(20)는, 주기관(10)의 배기 경로에 설치되어 배기가스로부터 동력을 취출하는 터빈(21)과, 이 터빈(21)에 의하여 동작하는 압축기(22)와, 터빈(21)의 배기가스 도입 측에 배치되는 가변 노즐(23)을 가진다.
가변 노즐(23)은, 노즐 날개의 방향이나 각도 혹은 배기가스 통로를 변화시켜 주기관(10)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유속을 조정하여 가압 공기의 가압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가변 노즐(23)을 이용하지 않고 공기 공급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과급기(20)로부터 주기관(10)까지의 사이의 경로에는 공기 냉각기(24)를 가지고 있다.
압축기(22)로 가압되어 고온이 된 공기는, 공기 냉각기(24)로 냉각되어 주기관(10)으로 도입된다.
공기 공급 경로(31)의 일단은, 과급기(20)와 주기관(10)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과급기(20)와 주기관(10) 사이로부터 가압 공기의 일부가 취출된다. 공기냉각기(24)보다 하류측의 소기를 가압 공기로서 취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류측의 급기를 가압 공기로서 취출해도 좋다. 공기냉각기(24)보다 하류측의 소기를 공기 윤활에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고온의 공기가 공급되는 것에 의한 선체의 도막 열화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과급기(20)와 주기관(10)까지의 사이의 경로에 트랩(25)을 마련하고 공기 공급 경로(31)를 트랩(25)의 하부에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압 공기를 트랩(25)에 통과시킴으로써, 가압 공기를 취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특히, 공기 냉각기(24)에 의해 냉각된 것에 의한 결로수나 외래(外來)의 물방울이 가압 공기 중에 존재하는 경우에, 트랩(25)으로 분리할 수 있다. 트랩(25)의 최하부에는 물이 고여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공기 공급 경로(31)는 트랩(25)의 하부라도 물이 고여 있는 부분을 피한 부위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취출된 가압 공기는, 공기 공급 경로(31)를 통과하여 공기 공급구(4)로 공급된다.
공기 공급 경로(31)에는, 과급기(20)와, 주기관(10)의 사이로부터 가압 공기의 일부를 취출하는 취출 밸브(32)와, 공기 공급 경로(31)가 취출한 가압 공기를 더 가압하는 어시스트 블로어(33)를 마련하고 있다. 취출 밸브(32)는 통상의 개폐밸브로 구성되고, 가압 공기의 공급이 필요한 경우는 취출 밸브(32)를 개방하며, 불필요해진 경우는 취출 밸브(32)를 폐쇄함으로써, 공기 윤활의 실행, 정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 과급기(20)에서 가압된 가압 공기를 취출한 후에 어시스트 블로어(33)로 더 가압함으로써, 적재 부하량이 많아 흘수압이 높아진 경우나 많은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압력이 부족한 경우에 대응을 할 수 있다.
이 어시스트 블로어(33)는, 흘수압의 변동이 있어도 공기량의 변동이 적은 루트형 등의 용적형 블로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공기 공급 시스템은, 공기 공급 경로(31)로부터 분기하여 어시스트 블로어(33)를 바이패스하고 다시 공기 공급 경로(31)에 합류하는 바이패스경로(35)와, 공기 공급 경로(31)와 바이패스경로(3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바이패스 경로 선택수단(36)을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바이패스 경로 선택수단(36)을 마련함으로써, 취출한 가압 공기를 더 가압할 필요가 없을 때 등은, 바이패스 경로 선택수단(36)으로 바이패스경로(35)측을 선택하여, 어시스트 블로어(33)를 바이패스할 수 있다.
또, 어시스트 블로어(33)로 대기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대기흡입경로(37)와, 공기 공급 경로(31)와 대기흡입경로(37)를 선택하는 대기흡입경로 선택수단(38)을 마련하고 있다. 대기로부터의 공기를 어시스트 블로어로 가압하여 공급한 경우에는, 대기로부터의 공기를 가압하여 이용함으로써, 취출한 가압 공기와는 별도로, 대기로부터의 공기를 선저(3)로부터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흘수압이 낮은 경우에는, 대기로부터의 공기를 직접, 선저(3)에 형성된 공기 공급구(4)로 공급하여, 에너지 효율이나 에너지 절약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공기 공급 시스템은, 과급기(20)의 회전을 가세하는 모터수단(34)을 구비하고 있다.
모터수단(34)은 외부 부착형으로서 과급기(20)의 터빈(21)과 압축기(22)의 구동축을 직접 구동해도 좋지만, 구동축 상에 직접 로터를 형성하고 주위에 마련한 스테이터에 의하여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가세가 불필요한 경우는 모터수단(34)을 발전기로서 이용하여, 회생 전력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압축기(22)측만을 가세하여 터빈(21)보다 회전속도를 높이는 목적으로, 구동축으로 일 방향 클러치적인 기구를 장비할 수도 있다.
한편, 모터수단(34)으로서는, 공기모터나 수압모터 등도 있을 수 있지만, 전동모터 또는 유압모터를 이용하는 편이, 이용의 용이성의 면에서 적합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공기 윤활이 필요하게 된 경우에 취출 밸브(32)를 개방하여 가압 공기를 취출하고, 공기 공급 경로(31)를 거쳐 공기 공급구(4)로 공급한다. 이 취출 밸브(32)에 의한 가압 공기의 공급시에, 모터수단(34)에 의하여 과급기(20)의 회전을 가세함으로써, 주기관(10)의 저부하 운전시에 있어서도, 공기 윤활에 필요한 가압 공기를 과급기(20)로부터 효율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이 모터수단(34)에 의한 과급기(20)의 회전의 가세는, 주기관(10)에 배기 재순환을 행하는 경우에 순환 경로가 열려 가압 공기량이 감소하거나, 가압 공기압이 저하했을 때의 양이나 압의 회복에도 대응이 가능하다.
취출 밸브(32)를 개방하고 가압 공기를 취출하는 경우, 모터수단(34) 이외에 가변 노즐(23)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취출 밸브(32)의 개도나 가압 공기의 취출량 등의 가압 공기의 취출 상황에 따라 가변 노즐(23)의 노즐 날개의 방향이나 각도 등을 변화시켜 가압 공기의 가압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 모터수단(34)이나 가변 노즐(23)에 의해서도, 흘수압이 높아져 가압 공기가 부족한 경우에는, 공기 공급 경로(31)의 취출한 가압 공기를 더 가압하는 어시스트 블로어(33)에 의해 보충할 수 있다.
주기관(10)의 부하는, 부하 판정수단(43)으로 검출한다. 한편, 부하 판정수단(43)은, 주기관(10)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수단을 포함한다. 부하 판정수단(43)의 회전수 검출수단으로 검출되는 주기관(10)의 회전수로부터, 주기관(10)의 부하를 추정한다. 또한, 주기관(10)의 토오크를 검출하여 회전수와 조합하면, 보다 확실하게 주기관(10)의 부하를 판정할 수 있다.
부하 판정수단(43)으로 판정된 주기관(10)의 부하가 높은 경우는, 과급기(20)도 고속으로 회전하여 가압 공기의 양이나 압도 충분한 경우가 많지만, 부하가 낮은 경우는, 가압 공기의 양이나 압이 부족하기 쉽다. 이러한 경우에, 모터수단(34)으로 과급기(20)의 회전을 가세함으로써 보충할 수 있다.
또, 주기관(10)의 시동시에 부하 판정수단(43)으로 부하의 상승을 판정하고, 모터수단(34)으로 주기관(10)의 시동에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승시나 정상시에 있어서 주기관(10)에서 요구되는 공기량을 확실하게 공급하도록 모터수단(34)으로 과급기(20)의 회전을 가세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공기 공급 시스템은, 공기 공급 경로(31)가 복수로 분기한 분기로(39)를 가지고, 복수로 분기한 분기로(39)의 각각에 공기 공급구(4)를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공기 공급구(4)를 형성함으로써, 선체(1) 주위에 방출하는 공기를 많게 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취출한 가압 공기를 임의의 공기 공급구(4)로부터 방출함으로써, 더욱 마찰 저항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 분기로(39) 도중에 분기로(39)를 개폐하는 개폐밸브(40)를 마련하고 있다. 개폐밸브(40)의 조작에 의하여, 공기를 방출하는 공기 공급구(4)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물을 적재하고 있지 않는 밸러스트 상태의 경우에, 도 2에 있어서 개폐밸브(40)를 조작하여, 취출한 가압 공기를 중앙부 2개의 공기 공급구(4)로부터 방출하고, 좌우 양측의 공기 공급구(4)로부터의 취출한 가압 공기의 방출을 멈추거나 할 수 있다. 또, 파랑 중에 있어서 선체(1)가 기울어, 도 2에 있어서 우측이 들어올려진 경우, 공기 윤활에 별로 기여하지 않는 우측 끝단에 있는 개폐밸브(40)를 폐쇄하고, 우측 끝단에 있는 공기 공급구(4)로부터의 취출한 가압 공기의 방출을 멈추어, 쓸데없이 취출한 가압 공기가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공기 윤활을 행하지 않을 때에 개폐밸브(40)의 조작에 의해 분기로(39)를 폐쇄함으로써, 공기 공급구(4)로부터 어시스트 블로어(33)나 주기관(10)으로의 물의 역류를 막을 수 있다.
개폐밸브(40)의 조작에 의한 공기 공급구(4)의 증감에 수반하는, 가압 공기압의 변동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 가변 노즐(23), 어시스트 블로어(33), 또는 모터수단(34)을 적절히, 조절 혹은 운전하여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흘수압 변동의 영향에 대처하기 위한 여력을 가지게 함으로써 고가이며 고성능인 전동 블로어(터보식)를 장비하지 않고, 주기관(10)의 저부하 운전시에 있어서도, 공기 윤활에 필요한 가압 공기를 과급기(20)로부터 효율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과급기(20)와 주기관(10)의 사이로부터 가압 공기의 일부를 취출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과급기(20)와 주기관(10)의 사이로부터 배기가스의 일부를 취출하는 것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즉, 배기가스를 취출함으로써 터빈(21)에 더해지는 배기가스의 압력이나 터빈(21)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양이 감소한다. 이 결과, 터빈(21)과 압축기(22)는 동축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압축기(22)의 압력이 낮아져, 주기관(10)에서 필요한 가압 공기량이 부족하다. 이러한 경우에, 모터수단(34)으로 과급기(20)를 가세함으로써, 주기관(10)에서 필요한 가압 공기량을 확보한 후에,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마찰 저항을 저감하는 공기 윤활을 실현할 수 있다.
배기가스를 공기 윤활에 사용한 경우는, 공기 공급구(4)로부터 방출되는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한 도막 열화의 대책이 필요하지만, 배기가스가 고온이기 때문에 물의 마찰 계수가 낮아져 공기 윤활의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은, 고성능인 전동 블로어(터보식)를 장비함이 없이, 주기관의 저부하 운전시에 있어서도, 공기 윤활에 필요한 가압 공기를 과급기로부터 효율적으로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으로부터 소형의 선박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 선체
4: 공기 공급구
10: 주기관
20: 과급기
23: 가변 노즐
24: 공기 냉각기
25: 트랩
31: 공기 공급 경로
32: 취출 밸브(취출수단)
33: 어시스트 블로어
34: 모터수단
35: 바이패스 경로
36: 바이패스 경로 선택수단
37: 대기흡입경로
38: 대기흡입경로 선택수단
39: 분기로
40: 개폐밸브
43: 부하 판정 수단(회전수 검출수단)

Claims (12)

  1. 선체 주위에 공기를 방출하여 마찰 저항을 저감하는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으로서,
    주기관(主機關)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주기관에 가압 공기를 공급하는 과급기와,
    상기 과급기와 상기 주기관의 사이로부터 상기 가압 공기 또는 상기 배기가스의 일부를 취출(extract)하는 취출수단과,
    상기 취출수단에 의해 취출된 상기 가압 공기 또는 상기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경로와,
    상기 공기 공급 경로를 거쳐 공급되는 취출된 상기 가압 공기 또는 상기 배기가스를 방출하는 상기 선체의 선저에 형성된 공기 공급구와,
    상기 가압 공기 또는 상기 배기가스의 공급시에 상기 과급기의 회전을 가세(加勢:assist)하는 모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관의 부하를 판정하는 부하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부하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모터수단을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판정 수단으로서 상기 주기관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수단을 가지고, 상기 회전수 검출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모터수단을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급기로부터 상기 가압 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주기관까지의 사이의 경로에 공기 냉각기를 설치하고, 상기 공기 냉각기보다 하류측의 소기(掃氣)를 상기 가압 공기로서 취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 경로가 복수로 분기한 분기로를 가지고, 복수로 분기한 상기 분기로의 각각에 상기 공기 공급구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로 도중에 상기 분기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 경로에, 취출한 상기 가압 공기를 더 가압하는 어시스트 블로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 경로로부터 분기하여 상기 어시스트 블로어를 바이패스하여 다시 상기 공기 공급 경로에 합류하는 바이패스 경로와, 상기 공기 공급 경로와 상기 바이패스 경로를 선택하는 바이패스 경로 선택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시스트 블로어로 대기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대기흡입경로와, 상기 공기 공급 경로와 상기 대기흡입경로를 선택하는 대기흡입경로 선택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대기흡입경로가 선택된 경우에 대기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어시스트 블로어로 가압하여 공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
  10.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급기가 상기 가압 공기의 가압 특성을 개선하는 가변 노즐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
  11. 제 4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급기와 상기 주기관까지의 사이의 상기 가압 공기를 공급하는 경로에 트랩을 마련하고, 상기 공기 공급 경로를 상기 트랩의 하부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수단을, 전동모터 또는 유압모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
KR1020177003746A 2014-07-11 2015-07-10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 KR102359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43416 2014-07-11
JP2014143416 2014-07-11
PCT/JP2015/003507 WO2016006258A1 (ja) 2014-07-11 2015-07-10 空気潤滑式船舶の空気供給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591A true KR20170029591A (ko) 2017-03-15
KR102359459B1 KR102359459B1 (ko) 2022-02-09

Family

ID=55063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746A KR102359459B1 (ko) 2014-07-11 2015-07-10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47630B2 (ko)
KR (1) KR102359459B1 (ko)
CN (1) CN106660612B (ko)
WO (1) WO201600625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96159U1 (ru) * 2019-11-01 2020-02-18 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Тараненко Быстроходное судно с газовой смазкой днища
RU2721023C1 (ru) * 2019-11-01 2020-05-15 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Тараненко Быстроходное судно с газовой смазкой днищ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5957A1 (ja) * 2017-04-07 2018-10-11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
CN108016566A (zh) * 2017-11-30 2018-05-11 重庆中电大宇卫星应用技术研究所 一种船舶气膜减阻装置
NL2026471B1 (en) * 2020-09-15 2021-10-13 Maersk As Air supply system for a hull of a vessel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air supply system
WO2022073900A1 (en) * 2020-10-09 2022-04-14 Maersk A/S Steam assisted air supply system for a hull of a vessel and a vessel comprising the air supply system
CN112810747A (zh) * 2021-02-19 2021-05-18 中船重工(上海)节能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适用于气层减阻船舶的供气系统及船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0585A (ja) 2007-03-27 2008-10-09 Ihi Corp 電動機付ターボチャージャ
JP2012171582A (ja) 2011-02-24 2012-09-10 Mitsubishi Heavy Ind Ltd 船体抵抗低減装置
KR20130023391A (ko) * 2010-11-09 2013-03-07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엔진 배기가스 정화 장치
JP2013193624A (ja) 2012-03-22 2013-09-30 Nishishiba Electric Co Ltd 船舶の圧縮空気供給システムとその装置
KR20140084273A (ko) * 2011-10-25 2014-07-04 내셔널 매리타임 리서치 인스티튜트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96C (zh) * 1993-05-07 2000-02-16 三井造船株式会社 在有浸水部分结构物浸水表面上形成空气膜的方法及构造
WO1994026583A1 (en) * 1993-05-11 1994-11-24 Ishikawajima-Harima Heavy Industries Co., Ltd. Method of reducing friction on cruising body, cruising body with reduced fric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icrobubbles for use in reduction of friction
JPH09207874A (ja) * 1996-02-02 1997-08-12 Yoji Kato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
US5906098A (en) * 1996-07-16 1999-05-25 Turbodyne Systems, Inc. Motor-generator assisted turbocharging systems for use with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H1149080A (ja) * 1997-08-01 1999-02-2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気泡発生方法並びに摩擦低減船及び摩擦低減方法
AR055208A1 (es) * 2006-06-30 2007-08-15 Schoo Raul Alberto Iglesias Medio neumatico facilitador del deslizamiento superficial de cascos de embarcaciones en la masa de agua
JP5311565B2 (ja) * 2009-03-27 2013-10-09 独立行政法人海上技術安全研究所 船舶の摩擦抵抗低減方法及び装置
KR20140047167A (ko) * 2008-04-01 2014-04-21 내셔널 매리타임 리서치 인스티튜트 선박의 마찰 저항 저감 장치
JP5022345B2 (ja) * 2008-11-21 2012-09-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体摩擦抵抗低減装置
JP2013129406A (ja) * 2011-12-22 2013-07-04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の空気潤滑システム
JP5805044B2 (ja) * 2012-10-12 2015-11-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体抵抗低減システムおよび船体の抵抗低減方法
JP5581369B2 (ja) * 2012-12-07 2014-08-27 株式会社大島造船所 空気潤滑装置及び船舶
JP5697000B2 (ja) * 2013-06-28 2015-04-08 独立行政法人海上技術安全研究所 船舶の摩擦抵抗低減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0585A (ja) 2007-03-27 2008-10-09 Ihi Corp 電動機付ターボチャージャ
KR20130023391A (ko) * 2010-11-09 2013-03-07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엔진 배기가스 정화 장치
JP2012171582A (ja) 2011-02-24 2012-09-10 Mitsubishi Heavy Ind Ltd 船体抵抗低減装置
KR20140084273A (ko) * 2011-10-25 2014-07-04 내셔널 매리타임 리서치 인스티튜트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공급장치
JP2013193624A (ja) 2012-03-22 2013-09-30 Nishishiba Electric Co Ltd 船舶の圧縮空気供給システムとその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96159U1 (ru) * 2019-11-01 2020-02-18 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Тараненко Быстроходное судно с газовой смазкой днища
RU2721023C1 (ru) * 2019-11-01 2020-05-15 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Тараненко Быстроходное судно с газовой смазкой днищ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60612A (zh) 2017-05-10
JPWO2016006258A1 (ja) 2017-07-20
KR102359459B1 (ko) 2022-02-09
CN106660612B (zh) 2019-10-01
JP6647630B2 (ja) 2020-02-14
WO2016006258A1 (ja)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9591A (ko)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
JP5538991B2 (ja) 船外機
WO2014058008A1 (ja) 船体抵抗低減システムおよび船体の抵抗低減方法
KR101115861B1 (ko) 선박용 디젤 기관
US20090101444A1 (en) Gas turbine oil scavenging system
KR102295284B1 (ko) 공기 윤활식 선박의 공기공급 제어시스템 및 공기 윤활식 선박
JP5167326B2 (ja) エンジン排気エネルギー回収装置
JP7428722B2 (ja) 船舶用の空気供給装置、空気供給装置を含む船舶および空気潤滑装置に空気を供給するための方法
CN104471228A (zh) 发动机升压系统以及用于该发动机升压系统的方法
JP2012097716A5 (ko)
JP2011047393A (ja) 舶用ディーゼル機関
JP6364691B2 (ja) 内燃機関の過給機余剰動力回収装置
JP6539703B2 (ja) 舶用ディーゼルエンジン
EP3112631A1 (en) Air supply arrangement, internal combustion engine, method for additional air supply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of refit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11594296A (zh) 内燃发动机和机动车辆
JP2005188359A (ja) 過給機付内燃機関
JP6165796B2 (ja) 内燃機関の負荷変動時の過給補助装置
JP6963975B2 (ja) 舶用ディーゼルエンジン
KR20170140999A (ko) 선박 엔진의 소기를 이용한 기포 배출시스템 및 방법
CN116323384A (zh) 用于船舶的船体的供气系统和包括所述供气系统的船舶
KR20190042016A (ko) 내연 기관의 과급기 잉여 동력 회수 장치 및 선박
KR20190026944A (ko) 내연 기관의 과급기 잉여 동력 회수 장치 및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