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404A - 단말 및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및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404A
KR20170029404A KR1020167015657A KR20167015657A KR20170029404A KR 20170029404 A KR20170029404 A KR 20170029404A KR 1020167015657 A KR1020167015657 A KR 1020167015657A KR 20167015657 A KR20167015657 A KR 20167015657A KR 20170029404 A KR20170029404 A KR 20170029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determined
smart
rotation command
video imag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8496B1 (ko
Inventor
챵 푸
양 왕
엔싱 호우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029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및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나타낸다.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때,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수신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검출되면,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가 회전된 후,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2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으로, 스마트 사진 장치는 회전 명령에 따라서 회전할 수 있다. 스마트 사진 장치가 회전 후 다른 범위들 내에서 비디오 이미지들을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비디오 이미지의 커버리지는 확장되고, 따라서 사용자 경험은 향상한다.

Description

단말 및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IMAGE AND TERMINAL}
본 출원은 2015년 8월 11일에 피. 알. 차이나의 국가 특허청(State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of P. R. China)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CN 201510491289.6에 기반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기술 분야(communication technology field)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 및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과 그와 관련된 스마트 사진 장치가 네트워크와 각각 연결된 후,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비디오 이미지들은 스마트 폰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사진 장치의 광각(wide-angle)의 한계 때문에 촬영된 비디오 이미지의 범위가 한정된다.
관련 분야에 존재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 및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1 측면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사진 장치(smart photographic device)와 관련된 스마트 단말(smart terminal)에 적용되고,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때,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수신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검출되면,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가 회전된 후,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2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때,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을 수신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미리 결정된 위치에 회전 옵션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 옵션을 통하여 미리 결정된 제1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수신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미리 결정된 위치에 회전 옵션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 미리 결정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제2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제2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기 제1 미리 결정된 위치에 상기 회전 옵션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회전 옵션을 출력한 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3 미리 결정된 위치에 제3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제3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회전 옵션을 감추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수신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터치 이벤트가 싱글-클릭 이벤트이면, 수신된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에 의해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명령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터치 이벤트가 롱-프레스 이벤트이면, 수신된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명령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2 측면에 따라서, 카메라 및 크래들 헤드(cradle head)를 포함하는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적용되는,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스마트 단말로부터 송신된 회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 명령에 따라서 상기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고(drive), 회전 후 비디오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에 상기 비디오 이미지를 반환하는(returning)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회전 명령에 따라서 상기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여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에 의해 상기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단계; 또는
상기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여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3 측면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스마트 사진 장치와 관련된 스마트 단말에 적용되고,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때,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수신되는지를 검출하는 검출 유닛;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검출되면,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을 송신하는 송신 유닛; 및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가 회전된 후,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2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미리 결정된 위치에 회전 옵션을 출력하는 출력 서브-유닛; 및
상기 회전 옵션을 통하여 미리 결정된 제1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수신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결정 서브-유닛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출력 서브-유닛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 미리 결정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제2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는지를 검출하는 제1 검출 모듈;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제2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기 제1 미리 결정된 위치에 상기 회전 옵션을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출력 서브-유닛은,
상기 회전 옵션을 출력한 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3 미리 결정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제3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는지를 검출하는 제2 검출 모듈;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제3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회전 옵션을 감추는 감추기 모듈을 더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결정 서브-유닛은,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터치 이벤트가 싱글-클릭 이벤트이면, 수신된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에 의해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명령인 것으로 결정하는 제1 결정 모듈;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터치 이벤트가 롱-프레스 이벤트이면, 수신된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명령인 것으로 결정하는 제2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4 측면에 따라서, 카메라 및 크래들 헤드를 포함하는 스마트 사진 장치,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적용되는,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송신된 회전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 및
상기 회전 명령에 따라서 상기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회전 후 비디오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에 상기 비디오 이미지를 반환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여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에 의해 상기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제1 제어 서브 유닛(first control sub-unit); 또는
상기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여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제2 제어 서브 유닛(second control sub-unit)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5 측면에 따라서, 단말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때,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수신되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검출되면,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을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송신하고; 및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가 회전된 후,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2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는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5 측면에 따라서, 단말에 있어서,
크래들 헤드; 카메라;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송신된 회전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회전 명령에 따라서 상기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회전 후 비디오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에 상기 비디오 이미지를 반환하도록 구성되는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된 기술 해법들(technical solutions)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으로,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때, 만일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수신되면, 회전 명령은 스마트 사진 장치에 송신되고, 스마트 사진 장치는 회전 명령에 따라서 회전할 수 있다. 스마트 사진 장치가 회전 후 다른 범위들 내에서 비디오 이미지들을 촬영할(photograph) 수 있기 때문에, 비디오 이미지의 커버리지(coverage)는 확장되고(expanded), 따라서 사용자 경험은 향상한다.
본 발명으로, 회전 옵션이 비디오 이미지에 디스플레이 되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터치 이벤트는 회전 옵션을 통해 수신되고, 이는 회전 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빠르게 결정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회전 명령을 입력하기가 사용자에게 편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작동에 대해 단순화가 향상되고 사용자 경험은 좋다.
본 발명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비디오 이미지만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 미리 결정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제2 터치 이벤트가 수신될 때, 즉, 사용자가 회전 명령을 입력해야 할 때, 사용자들에 의해 선택하는 회전 옵션을 출력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회전 명령을 입력할 필요가 없을 때 전체 비디오 이미지(full video image)는 디스플레이 되어서, 비디오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효과(displaying effect)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으로, 사용자가 회전 명령을 입력한 후, 제3 터치 이벤트는 트리거되고(triggered), 단말이 제3 터치 이벤트를 검출할 때, 전체 비디오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된 회전 명령이 감춰져서, 비디오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으로, 사용자가 회전 옵션을 싱글-클릭하면, 스마트 단말은 싱글-클릭을 검출하고, 그러면 수신된 회전 명령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에 의해 스마트 사진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명령인 것으로 결정된다; 만일 사용자가 회전 명령을 롱-프레스하면, 스마트 단말은 롱-프레스 이벤트를 검출하고, 그러면 수신된 회전 명령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스마트 사진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명령인 것이 결정된다. 이 방식으로, 스마트 사진 장치의 회전 각을 조절하기가 사용자에게 편리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작동에 대해 단순화를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 경험은 좋다.
본 발명으로, 카메라는 크래들 헤드 위에(on) 설치될 수 있고, 크래들 헤드는 임의의 각도에 의해 그리고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만일 스마트 단말에 의해 송신된 회전 명령이 수신되면, 크래들 헤드는 회전 명령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어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비디오 이미지는 회전 후 촬영되고 스마트 단말에 반환된다. 카메라가 회전 후 더 큰 범위 내에서 비디오 이미지들을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모니터링 범위는 증가된다.
본 발명으로, 사용자는 더 작은 범위 내에서(within a smaller range) 회전하는 스마트 사진 장치를 요구할 때 미리 결정된 방향에서 미리 결정된 각도에 의해 스마트 사진 장치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더 큰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스마트 사진 장치를 요구할 때 스마트 사진 장치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어, 모니터링 범위가 빠르게 변경되고 사용자 경험이 강화된다(enhanced).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예시적(exemplary)이고 설명적인(explanatory) 것이며 청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한(restrictive)을 하는 것은 아니다.
첨부하는 도면들은, 병합되어 상세한 설명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발명과 일치하는(consistent)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a는 일실시예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b는 일실시예에 따라서,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장면(common application scene)을 보여주는 개략도(schematic diagram)이다.
도 1c는 일실시예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스마트 단말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a는 일실시예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다른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b는 일실시예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다른 스마트 단말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10은 일실시예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다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참조(Reference)는 첨부하는 도면들에 도시된 예시들, 실시예들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설명은 달리 표현되지 않는 한 동일거나 또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들에서의 동일한 번호들로 첨부하는 도면을 나타낸다. 실시예들의 다음의 설명에 기재된 구현들은 본 발명과 일치하는 모든 구현들을 대변하지 않는다. 대신, 그들은 청구된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한 측면들(aspects)과 일치하는 장치들 및 방법들의 예시에 불과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의 목적일 뿐이지만, 본 발명을 한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일(a/an)", "상기(the)"와 같은 단수 형태 및 청구된 청구항들은 문맥에서 명백하게(distinctly)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 또한 포함한다.
다양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제2, 제3 용어들(the terms the first, the second, the third)이지만, 정보가 이들 용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들 용어들은 정보의 동일한 종류의 구별을 위한 것일 뿐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제1 정보는 제2 정보로 지칭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정보 또한 제1 정보로 지칭될 수 있다. 문맥에 따라서, 여기 사용된 단어 "만일(if)"는 또한 "동안(during)" 또는 "때(when)" 또는 "결정에 응답(responding determining)"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a는 일실시예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상기 방법은 스마트 사진 장치와 관련된 스마트 단말에 적용되고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101)에서,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때,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predetermined rotating instruction)이 수신되는지가 검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스마트 사진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기능(wireless network access function) 및 비디오 촬영 기능(video shooting function)을 모두 가지는 스마트 장치일 수 있고, 스마트 사진 장치는 필요에 따라서 모니터링이 요구되는 임의의 장소에(at any site with the monitoring demand as needed)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사진 장치의 구조는 카메라 및 카메라를 회전하도록 하는(driving) 크래들 헤드(cradle head)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시예에 관련된 스마트 단말은 비디오 재생 기능 및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기능을 모두 가지는 스마트 장치, 예컨대, 스마트 폰(smart phone), 패널 컴퓨터(pane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portable terminal)일 수 있다.
스마트 단말은 사전에 스마트 사진 장치와의 연계(association)를 설정할(establish) 수 있다. 만일 스마트 단말 및 스마트 사진 장치가 각각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스마트 단말은 스마트 사진 장치와 무선 연결을 설정하고, 그러면 무선 연결을 통해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전송된 비디오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사진 장치는 설정된 스마트 단말과의 무선 연결 후 스마트 단말에 실시간으로 촬영된 비디오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02)에서, 회전 명령이 검출되면, 회전 명령은 스마트 사진 장치에 송신된다.
스마트 사진 장치로부터 비디오 이미지를 획득한 후, 스마트 단말은 볼(to view) 단말의 사용자를 위해 단말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b는 일실시예에 따라서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장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이는 스마트 단말로서 모바일 폰(mobile phone) 및 스마트 사진 장치로서 샤오이(XiaoYi)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그/그녀의 집의 거실에 스마트 사진 장치를 설치하고, 무선 연결을 통해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전송된 비디오 이미지를 수신하는 스마트 단말을 사용함으로써 원격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사진 장치의 촬영의 시각(visual angle)은 110°에서 180° 사이와 같이, 한정된다. 도 1b의 스마트 사진 장치는 샤오이 카메라 및 샤오이 카메라 아래에 설치된 크래들 헤드를 포함한다. 샤오이 카메라의 광각(wide angle)은 110°이다. 그러므로, 만일 샤오이 카메라가 비디오 이미지를 수집하기 위해 특정 위치에 고정되면, 샤오이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도 1b에서의 스마트 단말에 의해 디스플레이 된 비디오 이미지로부터 알(known)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로 회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회전 명령을 수신할 때, 스마트 단말은 스마트 사진 장치에 회전 명령을 송신할 수 있고, 스마트 사진 장치는 회전 명령에 따라서 크래들 헤드를 회전시킬 수 있어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그러므로, 카메라의 회전 때문에, 더 큰 범위(larger range) 내에서 비디오 이미지들은 촬영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스마트 단말로 반환될(returned) 수 있어서, 모니터링 범위를 증가시키고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향상시킨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c는 본 발명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스마트 단말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b의 스마트 단말의 개략도와 비교하면, 도 1c는 회전 후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비디오 이미지를 보여준다는 것이 공지될 수 있어, 모니터링 범위를 증가시킨다.
다른 구현(alternative implementation,)에서,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때,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수신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미리 결정된 위치(predetermined location)에 회전 옵션(rotation option)을 출력하는 단계; 및
회전 옵션을 통하여 미리 결정된 제1 터치 이벤트(predetermined first touch event)가 수신되면,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수신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미리 결정된 위치는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임의의 위치,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네 모서리들(four edges) 각각에서의 중간 위치(midpoint position)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정점 위치(vertex position)일 수 있다.
회전 옵션은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선택 박스(choice box) 또는 아이콘(icon)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아이콘 또는 선택 박스를 클릭할 때, 회전 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결정된다.
제1 터치 이벤트는 싱글-클릭 이벤트(single-click event), 더블-클릭 이벤트(double-click event) 또는 롱-프레스 이벤트(long-press event) 등일 수 있다.
상술한 제1 미리 결정된 위치, 회전 옵션 및 제1 터치 이벤트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실제적인 요구들(actual demands)에 따라서 당업자에 의해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로, 회전 옵션이 비디오 이미지에 디스플레이 되기 때문에, 회전 옵션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터치 이벤트를 수신함으로써, 회전 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빠르게 결정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회전 명령을 입력하기가 사용자에게 편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작동(user's operation)에 대해 단순화(simplification)가 향상되고 사용자 경험은 좋다.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미리 결정된 위치에 회전 옵션을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 미리 결정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제2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제2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미리 결정된 위치에 회전 옵션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미리 결정된 위치는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임의의 위치,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중간점(midpoint),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중앙 영역 내 위치(central region of the user interface) 등일 수 있다.
제2 터치 이벤트는 싱글-클릭 이벤트, 더블-클릭 이벤트 또는 롱-프레스 이벤트 등일 수 있다.
상술한 제2 미리 결정된 위치 및 제2 터치 이벤트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실제적인 요구들에 따라서 당업자에 의해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비디오 이미지만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 미리 결정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제2 터치 이벤트가 수신될 때, 즉, 사용자가 회전 명령을 입력해야 할 때, 사용자들이 선택하기 위한 회전 옵션을 출력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회전 명령을 입력할 필요가 없을 때 전체 비디오 이미지(full video image)는 디스플레이 되어서, 비디오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효과(displaying effect)를 향상시킨다.
회전 옵션을 출력한 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3 미리 결정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제3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는지가 검출된다; 제3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면, 회전 옵션은 감춰진다(hidden).
제3 미리 결정된 위치는 비디오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on the user interface) 임의의 위치,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중간점,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중앙 영역 내 위치, 등일 수 있다.
제3 터치 이벤트는 싱글-클릭 이벤트, 더블-클릭 이벤트 또는 롱-프레스 이벤트 등일 수 있다.
상술한 제3 미리 결정된 위치 및 제3 터치 이벤트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실제적인 요구들에 따라서 당업자에 의해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회전 명령을 입력한 후, 제3 터치 이벤트는 트리거되고(triggered), 단말이 제3 터치 이벤트를 검출할 때, 전체 비디오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된 회전 명령이 감춰져서, 비디오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킨다.
다른 구현에서, 회전 명령이 수신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제1 터치 이벤트가 싱글-클릭 이벤트이면, 수신된 회전 명령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에 의해 스마트 사진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명령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제1 터치 이벤트가 롱-프레스 이벤트이면, 수신된 회전 명령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continuously) 스마트 사진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명령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마일 사용자가 회전 옵션을 싱글-클릭하면, 스마트 단말은 싱글-클릭을 검출하고, 그러면 수신된 회전 명령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에 의해 스마트 사진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명령인 것으로 결정된다; 만일 사용자가 회전 명령을 롱-프레스하면, 스마트 단말은 롱-프레스 이벤트를 검출하고, 그러면 수신된 회전 명령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스마트 사진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명령인 것이 결정된다. 이 방식으로, 스마트 사진 장치의 회전 각을 조절하기가 사용자에게 편리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작동에 대해 단순화를 향상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강화시킨다.
단계(103)에서,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2 비디오 이미지는 회전 명령에 따라서 스마트 사진 장치가 회전된 후 디스플레이 된다.
회전 명령에 따라서 스마트 사진 장치가 회전된 후, 스마트 사진 장치의 촬영 범위(shooting range)는 변경되고(changed), 회전 후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비디오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를 위해 스마트 사진 장치에 송신되어서, 스마트 사진 장치의 모니터링 범위(monitoring range)를 증가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a는 일실시예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다른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201)에서,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비디오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되고, 이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 미리 결정된 위치가 미리 결정된 제2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는지가 검출된다.
단계(202)에서, 제2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면, 회전 옵션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미리 결정된 위치에 출력된다.
단계(203)에서, 회전 옵션을 통해 미리 결정된 제1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면, 회전 명령이 수신되는 것으로 결정된다.
단계(204)에서, 회전 명령이 검출되면, 회전 명령은 스마트 사진 장치에 송신된다.
단계(205)에서, 회전 명령에 따라서 스마트 사진 장치가 회전된 후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비디오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된다.
단계(206)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3 미리 결정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제3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는지가 검출된다.
단계(207)에서, 제3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면, 회전 옵션은 감춰진다.
예를 들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b는 본 발명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스마트 단말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스마트 폰이 카메라에 의해 현재(currently) 촬영된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도면으로부터 보여질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비디오 이미지의 중앙을 클릭하면, 단말은 제2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고, 회전 옵션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네 모서리들의 각각에서 중간 위치들에서 출력된다. 네 개의 회전 옵션들(four rotation options)은 도면에서 아이콘의 형태로 보여지고, 이 네 개의 아이콘들은 상측(upward), 하측(downward), 좌측(leftward) 및 우측(rightward) 회전 방향에 각각 대응한다. 만일 사용자가 우측 아이콘을 싱글-클릭하면, 스마트 폰은 제1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고, 회전 명령이 생성된 것으로 결정하고, 스마트 사진 장치에 회전 명령을 송신한다; 회전 명령을 수신하면, 스마트 사진 장치는 크래들 헤드가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미리 결정된 각도에 의해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카메라는 스마트폰에 촬영된 비디오 이미지를 출력한다. 만일 사용자가 회전 명령을 입력할 필요가 없다면, 비디오 이미지의 중앙은 다시 클릭될 수 있고, 스마트 폰은 제3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고, 그러면 회전 옵션은 감춰진다. 이 방식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회전 옵션을 디스플레이 하지 않아서, 비디오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효과가 더 좋아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상기 방법은 스마트 사진 장치에 적용된다. 스마트 사진 장치는 크래들 헤드 및 카메라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301)에서, 스마트 단말로부터 송신된 회전 명령이 수신된다.
단계(302)에서, 크래들 헤드는 회전 명령에 따라서 제어되어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회전 후 비디오 이미지는 촬영되고, 스마트 단말에 반환된다.
이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크래들 헤드 위에(on) 설치될 수 있고, 크래들 헤드는 임의의 각도에 의해 그리고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만일 스마트 단말에 의해 송신된 회전 명령이 수신되면, 크래들 헤드는 회전 명령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어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비디오 이미지는 회전 후 촬영되고 스마트 단말에 반환된다. 카메라가 회전 후 더 큰 범위 내에서 비디오 이미지들을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모니터링 범위는 증가된다.
회전 명령에 따라서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여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단계는: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여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에 의해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단계; 또는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여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카메라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방향은 수평으로 좌측(horizontally leftward) 또는 수직으로 상측과 같은, 임의의 방향일 수 있고, 미리 결정된 각도는 10°, 12° 또는 15°일 수 있다. 두 개의 회전 방식들로(With the two rotating manners), 사용자는 더 작은 범위 내에서(within a smaller range) 회전하는 스마트 사진 장치를 요구할 때 미리 결정된 방향에서 미리 결정된 각도에 의해 스마트 사진 장치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더 큰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스마트 사진 장치를 요구할 때 스마트 사진 장치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어, 모니터링 범위가 빠르게 변경되고 사용자 경험이 강화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장치는 스마트 사진 장치와 관련된 스마트 단말에 적용된다. 상기 장치는 검출 유닛(detecting unit)(410), 송신 유닛(sending unit)(420) 및 디스플레이 유닛(displaying unit)(430)을 포함한다.
검출 유닛(410)은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때,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수신되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유닛(420)은 회전 명령이 검출되면, 스마트 사진 장치에 회전 명령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유닛(430)은 회전 명령에 따라서 스마트 사진 장치가 회전된 후,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2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으로,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때, 만일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수신되면, 회전 명령은 스마트 사진 장치에 송신되고, 스마트 사진 장치는 회전 명령에 따라서 회전할 수 있다는 것을, 상기 실시예들로부터 알 수 있다. 스마트 사진 장치가 회전 후 다른 범위들 내에서 비디오 이미지들을 찍을(take) 수 있기 때문에, 비디오 이미지의 커버리지(coverage)는 확장되고(expanded), 따라서 사용자 경험은 향상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다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 실시예에서 검출 유닛(410)은 출력 서브-유닛(outputting sub-unit)(411) 및 결정 서브-유닛(determining sub-unit)(412)을 포함한다.
출력 서브-유닛(411)은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미리 결정된 위치에 회전 옵션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결정 서브-유닛(412)는 회전 옵션을 통하여 미리 결정된 제1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면, 회전 명령이 수신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으로, 회전 옵션이 비디오 이미지에 디스플레이 되기 때문에, 회전 옵션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터치 이벤트를 수신함으로써, 회전 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빠르게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상기 실시예들로부터 알 수 있다. 이 방식으로, 회전 명령을 입력하기가 사용자에게 편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작동에 대해 단순화가 향상되고 사용자 경험은 좋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다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 실시예에서 출력 서브-유닛(411)은 제1 검출 모듈(first detecting module)(4111) 및 출력 모듈(outputting module)(4112)을 포함한다.
제1 검출 모듈(411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 미리 결정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제2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출력 모듈(4112)은 제2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미리 결정된 위치에 회전 옵션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비디오 이미지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 미리 결정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제2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면, 즉, 사용자가 회전 명령을 입력해야 할 때, 사용자들이 선택하기 위한 회전 옵션을 출력한다는 것을 상기 실시예들로부터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회전 명령을 입력할 필요가 없으면 전체 비디오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되어서, 비디오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다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 실시예에서 출력 서브-유닛(411)은 제2 검출 모듈(second detecting module)(4113) 및 감추기 모듈(hiding module)(4114)을 더 포함한다.
제2 검출 모듈(4113)은 회전 옵션을 출력한 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3 미리 결정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제3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감추기 모듈(4114)은 제3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면, 회전 옵션을 감추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으로, 사용자가 회전 명령을 입력한 후, 제3 터치 이벤트는 트리거되고, 단말이 제3 터치 이벤트를 검출할 때, 전체 비디오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된 회전 명령이 감춰져서, 비디오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상기 실시예들로부터 알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다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 실시예에서 결정 서브-유닛(412)은 제1 결정 모듈(first determining module)(4121) 및 제2 결정 모듈(second determining module)(4122)을 더 포함한다.
제1 결정 모듈(4121)은 제1 터치 이벤트가 싱글-클릭 이벤트이면, 수신된 회전 명령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에 의해 스마트 사진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명령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2 결정 모듈(4122)은 제1 터치 이벤트가 롱-프레스 이벤트이면, 수신된 회전 명령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스마트 사진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명령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으로, 마일 사용자가 회전 옵션을 싱글-클릭하면, 스마트 단말은 싱글-클릭을 검출하고, 그러면 수신된 회전 명령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에 의해 스마트 사진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명령인 것으로 결정된다; 만일 사용자가 회전 명령을 롱-프레스하면, 스마트 단말은 롱-프레스 이벤트를 검출하고, 그러면 수신된 회전 명령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스마트 사진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명령인 것이 결정된다는 것을 상기 실시예들로부터 알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스마트 사진 장치의 회전 각을 조절하기가 사용자에게 편리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작동에 대해 단순화를 향상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강화시킨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장치는 스마트 사진 장치에 적용되고, 스마트 사진 장치는 크래들 헤드 및 카메라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수신 유닛(receiving unit)(910) 및 제어 유닛(control unit)(920)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910)은 스마트 단말로부터 송신된 회전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유닛(920)은 회전 명령에 따라서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여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회전 후 비디오 이미지를 촬영하고, 스마트 단말에 비디오 이미지를 반환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으로, 카메라는 크래들 헤드 위에(on) 설치될 수 있고, 크래들 헤드는 임의의 각도에 의해 그리고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는 것을 상기 실시예들로부터 알 수 있다. 만일 스마트 단말에 의해 송신된 회전 명령이 수신되면, 크래들 헤드는 회전 명령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어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비디오 이미지는 회전 후 찍히고(taken) 스마트 단말에 반환된다. 카메라가 회전 후 더 큰 범위 내에서 비디오 이미지들을 찍을 수 있기 때문에, 모니터링 범위는 증가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다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920)은 제1 제어 서브-유닛(first control sub-unit)(921) 및 제2 제어 서브-유닛(second control sub-unit)(922)을 포함한다.
제1 제어 서브-유닛(921)은 상기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에 의해 상기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제2 제어 서브-유닛(922)은 상기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본 발명으로, 사용자는 더 작은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스마트 사진 장치를 요구할 때 미리 결정된 방향에서 미리 결정된 각도에 의해 스마트 사진 장치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더 큰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스마트 사진 장치를 요구할 때 스마트 사진 장치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어, 모니터링 범위가 빠르게 변경되고 사용자 경험이 강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단말을 제공하며: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프로세서는: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때,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수신되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검출되면,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을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송신하고; 및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가 회전된 후,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2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단말을 제공하며:
크래들 헤드; 카메라;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프로세서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송신된 회전 명령을 수신하고;
회전 명령에 따라서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여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회전 후 비디오 이미지를 촬영하고, 스마트 단말에 비디오 이미지를 반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들에서의 장치에 대하여, 상기 방법에 관한 실시예들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각 유닛들에 대한 작동들(operations)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식들은, 본 명세서에 상술되지(elaborated) 않을 것이다.
장치들의 실시예들은 방법들의 실시예들에 대응한다. 관련된 콘텐츠를 위해, 참조는 방법들의 실시예들의 일부 설명들로 이루어진다. 장치들의 상기 실시예들은 실례(exemplary)이다. 분리된 컴포넌트들(separate components)로서 설명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유닛들로서 보여진 컴포넌트들은 물리적 유닛들(physical units)일 수 있거나 아닐 수 있고, 다시 말해,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들에 분포되거나 하나의 위치에 통합될 수 있다. 모듈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제 요구 사항들(actual requirements)에 따라서 실시예들의 해법(solution)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당업자는 창조적인 노력들 하지 않고 본 발명을 구현하고 이해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라서,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장치(1100)는 모바일 폰(mobile phone), 컴퓨터(computer), 디지털 방송 단말(digital broadcast terminal), 메시지 장치(messaging device), 게임 콘솔(gaming console), 태블릿(tablet), 의학 장치(medical device), 운동 장비(exercise equipment), 개인 디지털 어시스턴트(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장치(device)(1100)는 하나 이상의 다음의 컴포넌트들(components)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컴포넌트(processing component)(1102), 메모리(memory)(1104), 전력 컴포넌트(power component)(1106), 멀티미디어 컴포넌트(multimedia component)(1108), 오디오 컴포넌트(audio component)(1110), 입력/출력 인터페이스(I/O interface: input/output interface)(1112), 센서 컴포넌트(sensor component)(1114), 및 통신 컴포넌트(communication component)(1116).
프로세싱 컴포넌트(1102)는 장치(1100)의 녹음 작동들(recording operations), 카메라 작동들(camera operations), 데이터 통신들(data communications), 전화 통화들(telephone calls), 및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작동들과 같은 전반적인 작동들(overall operations)을 일반적으로 제어한다. 프로세싱 컴포넌트(1102)는 상술한 방법들의 단계들에서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컴포넌트(1102)는 프로세싱 컴포넌트(1102)와 다른 컴포넌트들 사이의 인터랙션을 가능하게 하는(facilitate)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컴포넌트(1102)는 멀티미디어 컴포넌트(1108)와 프로세싱 컴포넌트(1102) 사이의 인터랙션을 가능하게 하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4)는 장치(1100)의 작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다양한 유형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시들(Examples of such data)은 장치(1100)에서 작동되는 방법들 또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한 명령들, 컨택트 데이터(contact data), 전화번호부 데이터(phonebook data), 메시지들, 사진들,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104)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전기적 소거 프로그램가능 읽기-전용 메모리(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소거 프로그램가능 읽기-전용 메모리(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프로그램가능 읽기-전용 메모리(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읽기-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magnetic memory),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자기 또는 광 디스크(magnetic or optical disk)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volatile or non-volatile memory devices)의 임의의 유형, 또는 이들의 조합(combination thereof)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력 컴포넌트(1106)는 장치(11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제공한다. 전력 컴포넌트(1106)는 전력 관리 시스템(power management system), 하나 이상의 전원들(power sources), 및 장치(1100)에서의 전력의 배포, 관리 및 생성과 관련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컴포넌트(1108)는 장치(1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및 터치 패널(TP: touch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면, 스크린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터치 패널 상의 터치들(touches), 스와이프들(swipes), 및 제스쳐들(gestures)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터치 센서들을 포함한다. 터치 센서들은 터치 또는 스와이프 액션(action)의 바운더리(boundary)를 감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스와이프 액션과 관련된 압력 및 시간의 주기(period)를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멀티미디어 컴포넌트(1108)는 전면 카메라(front camera) 및/또는 후면 카메라(rear camera)를 포함한다.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는 장치(1100)가 촬영 모드(photographing mode) 또는 비디오 모드(video mode)와 같은 작동 모드(operation mode)에 있는 동안 외부 멀티미디어 데이텀(external multimedia datum)을 수신할 수 있다.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 각각은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fixed optical lens system)일 수 있거나 또는 포커스 및 광학 줌 기능(focus and optical zoom capability)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컴포넌트(1110)는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장치(1100)가 전화 모드(call mode), 녹음 모드(recording mode), 및 음성 인식 모드(voice recognition mode)와 같은 작동 모드일 때, 오디오 컴포넌트(1110)는 외부 오디오 신호(external audio signal)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폰(microphone)("MIC")을 포함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1104)에 추가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통신 컴포넌트(1116)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오디오 컴포넌(1110)는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112)는 프로세싱 컴포넌트(1102)와 키보드, 클릭 휠, 버튼들 등과 같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들(peripheral interface modules)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버튼들은 홈 버튼, 볼륨 버튼, 시작 버튼 및 잠금 버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센서 컴포넌트(1114)는 장치(1100)의 다양한 측면들(various aspects)의 상태 평가들(status assessments)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컴포넌트(1114)는 장치(1100)의 오픈/클로즈 상태(open/closed status), 컴포넌트들의 상대적 위치(relative positioning of components), 예컨대, 장치(1100)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 장치(1100)의 컴포넌트 또는 장치(1100)의 위치 변화, 장치(1100)와의 사용자 접속의 존재 또는 부재(presence or absence), 장치(1100)의 가속/감속(acceleration/deceleration) 또는 방향(orientation), 및 장치(11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컴포넌트(1114)는 임의의 물리적 접촉 없이(without any physical contact) 근처 객체들(nearby objects)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컴포넌트(1114)는 이미지 어플리케이션들(imaging applications)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CMOS or CCD image sensor)와 같은 광 센서(light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에들에서, 센서 컴포넌트(1114)는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sensor), 자이로 센서(gyroscope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또는 열 센서(temperature sensor)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1116)는 장치(1100) 및 다른 장치들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장치(1100)는 와이파이(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 표준(communication standard)에 기초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액세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컴포넌트(1116)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정보와 관련된 방송 또는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컴포넌트(1116)는 단거리 통신(short-range communications)을 가능하게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NFC 모듈은 전파 식별(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 적외선 통신 규격(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기술, 초광대역 무선(UWB: ultra-wideband) 기술, 블루투스(BT: Bluetooth) 기술 및 다른 기술들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장치(1100)는 하나 이상의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들(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디지털 신호 처리기들(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디지털 신호처리 장치들(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프로그램 가능 로직 장치들(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들(controllers), 마이크로-제어기들(micro-controllers), 마이크로프로세서들(microprocessors) 또는 상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전자 컴포넌트들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104)에 포함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장치(1100)에서 프로세서(1120)에 의해 실행 가능한(executable),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또한 제공된다. 예를 들면,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는 롬(ROM), 램(RAM), 씨디-롬(CD-ROM),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c), 광 데이터 저장 장치(optical data storage device), 등일 수 있다.
저장된 명령들을 가지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는,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단말이 상술한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여기에 개시된 발명의 실시(practice) 및 명세서의 고찰(consideration)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출원은 당업계에 공지 또는 관습 내에 있는 본 발명에서의 변경들(departures)을 포함하고 이들의 일반적인 원리들을 따르는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들(variations), 사용들(uses), 또는 적용들(adaptations)을 커버하도록(cover) 의도된다. 명세서 및 실시예들은 다음의 청구항들에 의해 의도되는 본 발명의 기질(spirit) 및 진정한 범위(true scope)로, 단지 예시로서 고려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들에 도시되고 상술된 정확한 구성(exact construction)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다양한 수정들(modifications) 및 변경들(changes)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이 의도된다.
상술한 설명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임의의 수정, 등가물(equivalent) 및 개선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6)

  1.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사진 장치와 관련된 스마트 단말에 적용되고,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때,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수신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검출되면,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가 회전된 후,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2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때,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을 수신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미리 결정된 위치에 회전 옵션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 옵션을 통하여 미리 결정된 제1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수신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미리 결정된 위치에 회전 옵션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 미리 결정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제2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제2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기 제1 미리 결정된 위치에 상기 회전 옵션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옵션을 출력한 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3 미리 결정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제3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제3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회전 옵션을 감추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수신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터치 이벤트가 싱글-클릭 이벤트이면, 수신된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에 의해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명령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터치 이벤트가 롱-프레스 이벤트이면, 수신된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명령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카메라 및 크래들 헤드를 포함하는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적용되는,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스마트 단말로부터 송신된 회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 명령에 따라서 상기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회전 후 비디오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에 상기 비디오 이미지를 반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 명령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여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에 의해 상기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단계; 또는
    상기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여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스마트 사진 장치와 관련된 스마트 단말에 적용되고,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때,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수신되는지를 검출하는 검출 유닛;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검출되면,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을 송신하는 송신 유닛; 및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가 회전된 후,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2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을 포함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미리 결정된 위치에 회전 옵션을 출력하는 출력 서브-유닛; 및
    상기 회전 옵션을 통하여 미리 결정된 제1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수신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결정 서브-유닛
    을 포함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서브-유닛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 미리 결정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제2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는지를 검출하는 제1 검출 모듈;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제2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기 제1 미리 결정된 위치에 상기 회전 옵션을 출력하는 출력 모듈
    을 포함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서브-유닛은,
    상기 회전 옵션을 출력한 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3 미리 결정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제3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는지를 검출하는 제2 검출 모듈;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제3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회전 옵션을 감추는 감추기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서브-유닛은,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터치 이벤트가 싱글-클릭 이벤트이면, 수신된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에 의해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명령인 것으로 결정하는 제1 결정 모듈;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터치 이벤트가 롱-프레스 이벤트이면, 수신된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명령인 것으로 결정하는 제2 결정 모듈
    을 포함하는 장치.
  13. 카메라 및 크래들 헤드를 포함하는 스마트 사진 장치,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적용되는,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송신된 회전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 및
    상기 회전 명령에 따라서 상기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회전 후 비디오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에 상기 비디오 이미지를 반환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여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에 의해 상기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제1 제어 서브 유닛; 또는
    상기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여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제2 제어 서브 유닛
    을 포함하는 장치.
  15. 단말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1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때,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수신되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이 검출되면,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을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송신하고; 및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 명령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가 회전된 후, 상기 스마트 사진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2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16. 단말에 있어서,
    크래들 헤드;
    카메라;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송신된 회전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회전 명령에 따라서 상기 크래들 헤드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회전 후 비디오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에 상기 비디오 이미지를 반환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KR1020167015657A 2015-08-11 2015-12-17 단말 및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88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491289.6A CN105049813A (zh) 2015-08-11 2015-08-11 控制视频画面的方法、装置及终端
CN201510491289.6 2015-08-11
PCT/CN2015/097761 WO2017024713A1 (zh) 2015-08-11 2015-12-17 控制视频画面的方法、装置及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404A true KR20170029404A (ko) 2017-03-15
KR101788496B1 KR101788496B1 (ko) 2017-10-19

Family

ID=54455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657A KR101788496B1 (ko) 2015-08-11 2015-12-17 단말 및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70048451A1 (ko)
EP (1) EP3131282A1 (ko)
JP (1) JP2017536024A (ko)
KR (1) KR101788496B1 (ko)
CN (1) CN105049813A (ko)
MX (1) MX360569B (ko)
RU (1) RU2666136C2 (ko)
WO (1) WO20170247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790A1 (ko) * 2017-09-15 2019-03-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9813A (zh) * 2015-08-11 2015-11-1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控制视频画面的方法、装置及终端
CN107273014A (zh) * 2016-04-06 2017-10-20 阿尔卡特朗讯 一种用于控制摄像头旋转的方法和装置
CN105898228B (zh) * 2016-04-29 2019-07-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用于摄像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CN107370945A (zh) * 2017-07-25 2017-11-21 广东虹勤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摄像头控制方法和摄像头控制装置
CN108803669B (zh) * 2018-07-05 2021-08-24 北京淳中科技股份有限公司 云台转向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970548B (zh) * 2020-08-07 2022-10-21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及调整摄像头角度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6677B2 (en) * 1996-10-25 2003-11-1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mage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and storage means storing program that implements the method
AUPP990199A0 (en) * 1999-04-22 1999-05-13 Griffith University Wireless video surveillance system
GB2384933A (en) * 2002-02-01 2003-08-06 Nec Technologies Wireless CCTV system
US7385624B2 (en) * 2003-01-17 2008-06-10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Remote image display method, image captur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therefor
KR20050000276A (ko) * 2003-06-24 2005-01-03 주식회사 성진씨앤씨 감시 카메라 제어용 가상 조이스틱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3989473B2 (ja) * 2004-08-03 2007-10-10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06330593A (ja) 2005-05-30 2006-12-07 Canon Inc 雲台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0438624C (zh) * 2006-01-24 2008-11-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第三代移动通讯平台上的无线视频监控方法及系统
JP4943899B2 (ja) * 2007-03-05 2012-05-30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US8159363B2 (en) * 2009-02-16 2012-04-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Using gravity to direct a rotatable camera i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5402075B2 (ja) * 2009-02-23 2014-01-29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の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携帯型端末
CN102196087A (zh) * 2010-03-12 2011-09-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镜头控制方法及终端
JP5682168B2 (ja) * 2010-07-30 2015-03-11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装置、カメラ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48564B1 (ko) * 2011-03-15 2016-08-1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휴대 단말, 원격 카메라, 및 휴대 단말에 의한 원격 카메라의 팬/틸트/줌 제어 방법
CN102098499B (zh) * 2011-03-24 2013-01-30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云台摄像机控制方法及其装置和系统
US9513799B2 (en) * 2011-06-05 2016-12-0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control of a touch-based user interface absent physical touch capabilities
EP3518527A1 (en) * 2011-11-14 2019-07-3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3214822A (ja) * 2012-03-30 2013-10-17 Jvc Kenwood Corp 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遠隔制御方法
US9479698B2 (en) * 2012-12-17 2016-10-25 Egos Ventures Inc. Vibration-induced rotation of electronic devices
JP6209868B2 (ja) * 2013-06-06 2017-10-1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端末、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CN103336534A (zh) * 2013-06-07 2013-10-02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一种在监控终端的触摸屏上进行云台摄像机控制的方法
KR101990366B1 (ko) * 2013-06-24 2019-06-1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네트워크 카메라 제어 방법
US20150022674A1 (en) * 2013-07-18 2015-01-22 Koss Corporation Wireless video camera
KR101773116B1 (ko) * 2013-07-26 2017-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촬영 방법
US8903568B1 (en) 2013-07-31 2014-12-02 SZ DJI Technology Co., Ltd Remote control method and terminal
CN103426282A (zh) * 2013-07-31 2013-12-04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遥控方法及终端
CN106095271A (zh) * 2013-08-21 2016-11-09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文件播放角度的调整方法及电子终端
CN104581030A (zh) * 2013-10-25 2015-04-29 山东科技大学 便携式智能监控系统
JP6325250B2 (ja) * 2013-12-26 2018-05-16 Kddi株式会社 ツール画面制御装置、携帯端末装置、ツール画面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5849635B (zh) * 2013-12-27 2018-07-10 富士胶片株式会社 摄像装置及延时摄像方法
CN104063170B (zh) * 2014-04-09 2017-08-25 上海惠诚科教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手势控制屏幕画面移动的方法
CN104378598A (zh) * 2014-11-25 2015-02-25 管晨光 一种基于云服务的视频监控系统
CN104486543B (zh) * 2014-12-09 2020-11-27 北京时代沃林科技发展有限公司 智能终端触控方式控制云台摄像头的系统
KR20160133328A (ko) * 2015-05-12 2016-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5049813A (zh) * 2015-08-11 2015-11-1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控制视频画面的方法、装置及终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790A1 (ko) * 2017-09-15 2019-03-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216165B2 (en) 2017-09-15 2022-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496B1 (ko) 2017-10-19
RU2017102727A (ru) 2018-07-31
EP3131282A1 (en) 2017-02-15
CN105049813A (zh) 2015-11-11
RU2666136C2 (ru) 2018-09-06
US20170048451A1 (en) 2017-02-16
MX2017005835A (es) 2017-06-30
JP2017536024A (ja) 2017-11-30
WO2017024713A1 (zh) 2017-02-16
MX360569B (es) 2018-11-08
RU2017102727A3 (ko)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496B1 (ko) 단말 및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08702446B (zh) 一种拍照方法和终端
US1024216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smart device
RU2619466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состояния сетевого канала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17034419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live videos
US9800666B2 (en) Method and client terminal for remote assistance
EP3182716A1 (en) Method and device for video display
US20160352661A1 (en) Video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EP31367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wakening electronic device
EP314517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sitioning of camera device, camera device and terminal device
EP3786778A1 (en) Method and device for screen projection,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20170064242A (ko) 영상통화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652823B2 (e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of video image
US201700315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ication interaction
US201902357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descriptive information
EP31478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US20180139790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a wireless connection
EP42034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data,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4284093A (zh) 全景拍摄方法及装置
CN111373730B (zh) 全景拍摄方法及终端
EP2924568A1 (en) Execution method and device for program string
CN107564038B (zh) 偏移参数确定方法和装置以及偏移控制方法和装置
EP40404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an anim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3230829A1 (zh) 一种触控检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5700447A (zh) 屏幕模组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