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270A - 마이크로 캡슐 제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캡슐 제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270A
KR20170027270A KR1020160077296A KR20160077296A KR20170027270A KR 20170027270 A KR20170027270 A KR 20170027270A KR 1020160077296 A KR1020160077296 A KR 1020160077296A KR 20160077296 A KR20160077296 A KR 20160077296A KR 20170027270 A KR20170027270 A KR 20170027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acid
peptide
acid
physiologically active
active sub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6892B1 (ko
Inventor
야수아키 오가와
나오키 타하라
토모야 야마시타
슈조 코지마
펠리스 쳉
성-은 첸
주이-메이 루
Original Assignee
닛끼 가부시끼가이샤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끼 가부시끼가이샤,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filed Critical 닛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7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89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7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A61K38/1774Immunoglobulin superfamily (e.g. CD2, CD4, CD8, ICAM molecules, B7 molecules, Fc-receptors, MHC-molec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7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A61K38/1793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cytokines; for lymphokines; for interfe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8Albumins
    • A61K38/385Serum alb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15Organic compounds, e.g. fats, sug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2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3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y(lactide-co-glycol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2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6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by phase separation
    • B01J13/12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by phase separation removing solvent from the wall-forming material sol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Abstract

[과제]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직접적인 유기 용매 층과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이용한,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봉입{封入} 효율이 높은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중금속염을 포함하는 수성{水系} 용매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첨가해서,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얻는 공정 A,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기 용매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첨가해서,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을 얻는 공정 B,
상기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상기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인 유상{油相}에 분산해서, S/W/O형 에멀전을 얻는 공정 C,
상기 S/W/O형 에멀전을 수상{水相}에 분산해서, S/W/O/W형 에멀전을 얻는 공정 D, 및
상기 S/W/O/W형 에멀전에서의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 공정 E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마이크로 캡슐 제제 및 그 제조 방법{MICROCAPSULE FORMUL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 함유 마이크로 캡슐 제제{製劑}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호르몬, 사이토카인, 증혈{增血} 인자, 증식 인자, 효소, 가용성 또는 가용화 수용체, 항체, 펩티드성 항원, 혈액 응고 인자 또는 접착 인자 등과 같은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은, 생체내 소화 효소에 의한 소화되기 쉬움{소화 용이성}, 친수성{親水性} 및 불안정성 등으로 인해, 그 투여 형태로서는, 주사 등에 의한 비경구적 투여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주사에 의한 투여에서는 투여 시에 동통{疼痛}을 수반하기 때문에, 환자의 QOL(Quality of Life)의 개선 및 컴플라이언스의 향상의 관점으로부터, 투여 간격을 넓혀 빈번한 투여를 피하기 위해서, 상기와 같은 생리 활성 물질 등에 대해서는 서방성{徐放性; sustained release} 제제화가 요망된다(비특허 문헌 1 및 2).
이와 같은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생리 활성 작용 및/또는 약리 활성 작용을 갖는 단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형 서방성 제제에 관한 연구가 다수 보고되어 있고,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무정형{無晶型} 수용성 생리 활성 물질과 고분자 중합체{重合物; polymer}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캡슐이 기재되어 있고, 실시예로서, 무정형의 항혈소판약(S)-4-[(4-아미디노벤조일)글리실]-3-메톡시카르보닐메틸-2-옥소피페라진-1-아세트산을 미리 L-아르기닌을 용해한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의 디클로로메탄 용액에 분산하고, 폴리트론으로 미립화{微粒化}한 후, 염화 나트륨 수용액 중에서 S/O/W형 에멀전으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는, 생리 활성 물질을 함유한 매트릭스와 양이온성 물질 및/또는 폴리올류를 조합해서 이루어지는 생리 활성 물질의 초기 방출이 억제된 서방성 제제가 기재되어 있고, 생리 활성 물질 용액을 동결 건조해서 얻어지는 분체{粉體}(S상{Solid phase})를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용해한 유기 용매액(O상{Oil phase})에 분산시킨, S/O형 분산액을 또 수성 용매(W상{Water phase})에 첨가해서 S/O/W형 에멀전을 형성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 밖에도, 생리 활성 작용 및/또는 약리 활성 작용을 갖는 단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형 서방성 제제 등이 다수 보고되어 있다(특허 문헌 3 및 4와 비특허 문헌 3 및 4).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08-151321호
[특허 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2-255857호
[특허 문헌 3] 미국특허공보 US6, 083, 534호
[특허 문헌 4]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08-217691호
[비특허 문헌]
[비특허 문헌 1] Drug Discovery Today. 7; 1184-1189 (2002)
[비특허 문헌 2] J. Control. Rel. 87; 187-198 (2003)
[비특허 문헌 3] European Journal of Pharmaceutics and Biopharmaceutics, 86; 393-403 (2014)
[비특허 문헌 4] Pharmaceutical Research, 14; 730-735 (1997)
[비특허 문헌 5]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 88; 1320-1325 (1999)
[비특허 문헌 6] Journal of the Chinese Medical Association, 74; 544-551 (2011)
상기한 기술에서는, 수상{水相} 중에 PLA 또는 PLGA를 포함하는 유상{油相}을 분산시키는 공정에 의해, 유수{油水} 계면이 형성되기 때문에, 그곳에서 단백의 주변부와 내부에서 비틀림이 생겨, 3차 구조가 파괴되고, 변성이 생겨, 생리 활성 작용을 발휘할 수 없다고 하는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다(비특허 문헌 5). 따라서,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변성을 회피할 수 있는 방법이 요망된다. 또,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이용한,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봉입{封入} 효율이 높은 제조 방법의 기술적인 유용성은 높다고 생각된다. 또, 거의 일정 비율로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을 방출하는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과제를 감안해서 예의{銳意} 연구를 실시한 결과,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중금속염을 포함하는 수성{水系; aqueous} 용매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염기성 아미노산 및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에 분산해서, S/W/O형 에멀전으로 하고, 이것을 수상에 분산해서 얻어지는 S/W/O/W형 에멀전으로부터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생리 활성 물질이 유수 계면에 직접 노출된 경우이더라도 그 변성을 회피할 수 있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이용한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으로서, 또한, 생리 활성 물질 등의 봉입 효율이 높은 제조 방법이 제공되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중금속염」이란,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과 중금속염을 혼합해서 생성되는, 물 및 유기 용매 어느것에도 불용성{不溶性}인 침전물 또는 응집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知見}에 근거하여 더욱더 검토를 실시해서 완성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 함유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項} 1.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중금속염을 포함하는 수성 용매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첨가해서,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얻는 공정 A,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기 용매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첨가해서,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을 얻는 공정 B,
상기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상기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인 유상에 분산해서, S/W/O형 에멀전을 얻는 공정 C,
상기 S/W/O형 에멀전을 수상에 분산해서, S/W/O/W형 에멀전을 얻는 공정 D, 및
상기 S/W/O/W형 에멀전에 포함되는 유기 용매를 제거해서 마이크로 캡슐 제제를 얻는 공정 E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
항 2. 상기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에서의 염기성 아미노산의 함유량과, 상기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에서의 염기성 아미노산의 함유량의 몰비(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에서의 염기성 아미노산의 함유량: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에서의 염기성 아미노산의 함유량)가, 1:5~5:1인, 항 1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3. 상기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중금속염이, 평균 입자사이즈{粒徑; particle size}가 1㎛ 이하로서, 물 및 유기 용매의 어느것에도 불용{不溶; insoluble}인, 항 1 또는 항 2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4. 상기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성 용매에, 중금속염을 첨가하고,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중금속염을 포함하는 수성 용매를 얻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항 1 내지 항 3 중 어느것인가 한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5. 상기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이 IgG 구조를 가지는, 항 1 내지 항 4 중 어느것인가 한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6. 상기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이 TuNEX인, 항 1 내지 항 5 중 어느것인가 한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7. 상기 중금속염이 아연염인, 항 1 내지 항 6 중 어느것인가 한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8.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이, L-아르기닌 또는 L-히스티딘인, 항 1 내지 항 7 중 어느것인가 한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9. 상기 공정 E에서 S/W/O/W형 에멀전으로부터 유기 용매를 제거하고 얻어진 마이크로 캡슐을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해서 분말을 얻는 공정 F를 더 포함하는, 항 1 내지 항 8 중 어느것인가 한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10. 상기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가, 폴리락트산,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항 1 내지 항 9 중 어느것인가 한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11. 상기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에서의, 락트산 및 글리콜산의 몰비(락트산:글리콜산)가 99:1~50:50인, 항 10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12. 상기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에서의, 락트산 및 글리콜산의 몰비(락트산:글리콜산)가 75:25~50:50인, 항 11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13. 상기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200000인, 항 1 내지 항 12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14. 상기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50000인, 항 13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15. 상기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20000인, 항 14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16. 항 1 내지 항 15 중 어느것인가 한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마이크로 캡슐 제제.
본 발명에 의하면,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직접적인 유기 용매 층과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봉입 효율이 높은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도 1] 실시예 1 및 4에서 얻어진 마이크로 캡슐의 표면 및 단면의 주사형 현미경(SEM) 화상이다.
[도 2] 실시예 1 및 4를 래트에게 피하 투여했을 때의 혈청중 약물 농도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실온」이란, 1~30℃ 범위의 온도를 의미한다.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은,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중금속염을 포함하는 수성 용매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첨가해서,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얻는 공정 A,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기 용매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첨가해서,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을 얻는 공정 B,
상기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상기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인 유상에 분산해서, S/W/O형 에멀전을 얻는 공정 C,
상기 S/W/O형 에멀전을 수상에 분산해서, S/W/O/W형 에멀전을 얻는 공정 D, 및
상기 S/W/O/W형 에멀전에서의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 공정 E를 포함한다. 이하, 각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공정 A
공정 A에서는,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중금속염(이하, 본 명세서 중에서 「펩티드염」이라고 하는 일이 있다.)을 포함하는 수성 용매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첨가해서,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얻는다.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복수의 아미노산 잔기{殘基; residues}로 이루어지는 펩티드를 가지고, 생체 내에서 유용한 생리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분자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5만을 넘는 바와 같은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이라도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호르몬, 사이토카인, 증혈 인자, 증식 인자, 효소, 가용성 또는 가용화 수용체, 항체, 항체를 구성하는 일부 영역, 펩티드성 항원, 혈액 응고 인자, 접착 인자 혹은 이들의 결합에 의해서 얻어지는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또, 일실시 형태에서,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은 혈청알부민(예를 들면, 인간 혈청 알부민(HSA))이더라도 좋다.
호르몬으로서는, 예를 들면 인슐린, 성장 호르몬, 나트륨 이뇨 펩티드, 가스트린, 프로락틴,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ACTH),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 황체형성 호르몬(LH), 난포 자극 호르몬(FSH), 인간 융모돌기 고나도트로핀(HCG), 모틸린, 칼리크레인 등을 들 수 있다.
사이토카인으로서는, 예를 들면 림포카인, 모노카인 등을 들 수 있다. 림포카인으로서는, 예를 들면 인터페론(알파, 베타, 감마), 인터류킨(IL-2 내지 IL-12) 등을 들 수 있다. 모노카인으로서는, 예를 들면 인터류킨 1(IL-1), 종양 괴사 인자 등을 들 수 있다.
조혈 인자로서는, 예를 들면 에리스로포이에틴, 과립구{顆粒球} 콜로니 자극 인자(G-CSF), 매크로퍼지 콜로니 자극 인자(M-CSF), 트롬보포이에틴, 혈소판 증식 자극 인자, 거핵구 증식인자{megakaryocyte potentiator} 등을 들 수 있다.
증식 인자로서는, 예를 들면 염기성 혹은 산성의 섬유아세포{纖維芽細胞} 증식 인자(FGF) 혹은 이들의 패밀리(예를 들면, FGF-9 등), 신경세포 증식 인자(NGF) 혹은 이들의 패밀리, 인슐린유사{insulin-like} 성장 인자(예를 들면, IGF-1, IGF-2 등), 뼈 증식에 관여하는 인자(BMP), 간세포 증식 인자(HGF) 혹은 이들의 패밀리 등을 들 수 있다.
효소로서는, 예를 들면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아제(SOD), 티슈 플라스미노겐 액티베이터(tPA) 등을 들 수 있다.
가용성 수용체로서는, 가용성 인터류킨 6(IL-6) 수용체, 인슐린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IGFBP), 가용성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 가용성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가용성 인터류킨 1 수용체 등을 들 수 있다.
가용화 수용체로서는, 공지의 수용체, 예를 들면 인터류킨 1 수용체, 인터류킨 6 수용체,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 파스(Fas) 리간드 등을 유전자 공학적 수법으로 가용화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항체로서는, 예를 들면 인간 모노클로날 항체, 마우스 유래의 가변부와 인간 유래의 정상부{定常部}로 이루어지는 인간 마우스 키메라 모노크로날 항체 등을 들 수 있다. 항체의 타입으로서는, 예를 들면 IgM, IgG, IgE 등을 들 수 있다. 항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항체에 의해서 인식되는 것 등을 들 수 있고, 또 혈소판, 바이러스 등도 들 수 있다. 또, 항체와 세포의 결합에 의해서 얻어지는 물질, 항체와 그 밖의 화합물의 결합에 의해서 얻어지는 물질 등도 들 수 있다.
혈액 응고 인자로서는, 예를 들면 제Ⅷ 인자 등을 들 수 있다.
접착 인자로서는, 피브로넥틴, ICAM-1 등을 들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또 엔도셀린, Arg-Gly-Asp-Ser (RGDS), 뇌하수체 아데닐레이트 시클라아제 활성화 폴리펩티드(PACAP) 등도 들 수 있다.
상기한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 중에서, IgG 항체를 이용하는 경우의 일실시 형태로서는, 유전자조작{遺傳子組換; recombinant} TNF-α 수용체 단백으로서, 에타너셉트{etanercept} 또는 에타너셉트와 유사한 아미노산 배열을 가지는 분자량 약 15만의 항체인 TuNEX를 이용할 수가 있다. 에타너셉트 및 TuNEX는, 생체 내에서의 반감기{半減期}가 짧고, 특히 서방성 제제화의 개발이 요구되는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하나이다(비특허 문헌 6).
또한,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상기 중에서, 1종만을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좋다.
또, 펩티드염을 형성하는 중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2가, 3가 또는 4가의 금속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土類金屬; earth metal}, 철,구리, 아연 등의 전이 금속{遷移金屬;transition metal}, 알루미늄, 주석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알칼리 토금속 또는 전이 금속이 바람직하고, 아연이 특히 바람직하다.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르기닌, 리신, 히스티딘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성 아미노산은, D체 및 L체의 어느것이더라도 좋고, D체와 L체가 혼합되어 있어도 좋다. 이들 중 L-아르기닌 또는 L-히스티딘이 바람직하고, L-아르기닌이 특히 바람직하다. 공정 A에서 얻어지는 S/W형 현탁액은, 이들 염기성 아미노산 중, 1종류만을 함유해도 좋고, 2종 이상을 함유해도 좋다. 염기성 아미노산은, 염의 형태가 아니라, 유리형{遊離型}이어야 한다.
펩티드염을 포함하는 수성 용매는,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수용액에, 중금속염(이하, 본 명세서에서 「첨가용 중금속염」이라고 하는 일이 있다.)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것에 의해서 얻어진다.
펩티드염의 조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단, 이하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용액과 첨가용 중금속염을, 교반{攪拌; stirring}하면서 혼합하고,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중금속염을 침전시킨다. 이것을 원심분리에 의해서 분리하는 것에 의해서 펩티드염을 얻을 수가 있다. 원심분리의 조건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7400rpm 및 4℃에서 10분간으로 할 수가 있다.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의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농도는, 통상 5w/v%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용 중금속염의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에 대한 몰비(첨가용 중금속염/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000 이하의 범위 내이면 좋다. 그 하한값으로서는, 10이 바람직하고, 30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상한값으로서는 650이 바람직하고, 400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한값이 10인 경우는, 상한값은 650이 바람직하고, 400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한값이 30인 경우는, 상한값은 650이 바람직하고, 400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이 특히 바람직하다.
얻어진 펩티드염은, 동결 건조하고, 분말상{粉末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보다 장기간의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그 펩티드염을 수성 용매에 분산한다. 그리고, 그 펩티드염을 분산한 수성 용매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것에 의해서, 하기의 공정 B에 제공하는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얻는다.
첨가용 중금속염은, 그 첨가용 중금속염을 포함하는 수용액으로서 첨가할 수가 있다. 이 때, 그 첨가용 중금속염을 포함하는 수용액에서의 중금속염의 농도는,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하한값으로서는 0.01w/v%로 할 수가 있고, 상한값으로서는 1w/v%로 할 수가 있고, 0.5w/v%가 바람직하다. 즉, 0.01~1w/v%로 할 수가 있고, 0.01~0.5w/v%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용 중금속염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중금속과 유기산의 염 또는 중금속과 무기산의 염을 들 수 있고, 무기산과의 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산과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할로겐화염(예를 들면, 염화 아연, 염화 칼슘 등), 황산염, 질산염, 티오시안산염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염화 아연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산과의 염에서의 유기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족 카복실산, 방향족 산을 들 수 있다. 지방족 카복실산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9의 지방족 카복실산이다. 지방족 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족 모노카복실산, 지방족 디카복실산, 지방족 트리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지방족 카복실산은, 포화 혹은 불포화의 어느것이더라도 좋다.
펩티드염에서의,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함유량은, 펩티드염의 양을 100w/w%로 한 경우에, 1~30w/w%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펩티드염의 입자사이즈로서는,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미세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펩티드염의 입자사이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하한값으로서는 100㎚이더라도 좋고, 그 상한값으로서는 600㎚가 바람직하다.
상기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용액 및 상기 첨가용 중금속염을 포함하는 수용액의 어느것인가 한쪽 또는 양쪽{둘다}은, 또 다른 첨가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그 첨가물로서는, 폴리비닐 알콜(PVA), 폴리소르베이트80 등을 들 수 있고, 이 중, PVA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첨가물을 더 포함하는 것에 의해, 상기 펩티드염을 포함하는 수성 용매에서의 펩티드염의 입자사이즈를 보다 작게 할 수가 있다. 펩티드염의 입자사이즈를 보다 작게 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마이크로 캡슐 제제 중에서,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이 보다 균일하게 분산된 제제를 얻을 수가 있다.
PVA를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용액 및 첨가용 중금속염을 포함하는 수용액의 어느것인가에 첨가하는 경우의, PVA의 농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0.05~2w/v%로 할 수가 있다.
첨가용 중금속염의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에 대한 몰비(첨가용 중금속염/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0~12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펩티드염을 수성 용매에 분산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단속 진탕법{斷續振蕩法; intermittent shaking method}, 프로펠러형 교반기{攪拌機; agitator} 혹은 터빈형 교반기 등의 믹서에 의한 방법, 콜로이드 밀법, 호모지나이저법, 초음파 조사법 등을 들 수 있다.
수성 용매로서는, 상기 펩티드염을 용해할 수 있는 수성 용매(예를 들면, 생리 식염수 등)가 아닌 수성 용매이면 좋고, 물, pH 완충액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상기 펩티드염을 수성 용매에 분산시킬 때는, 상기 펩티드염을 포함하는 수성 용매에 초음파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얻어지는 펩티드염의 입자사이즈를 작게 할 수가 있다. 초음파 조사의 조사 조건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5초 간격으로 20초간씩 합계 20분간, 즉, 합계의 초음파 조사 시간으로서는 16분간, 주파수 20㎑로 조사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펩티드염을 분산시킨 수성 용매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첨가하고, 혼합할 때,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이 가지는 활성 및 본원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을 정도로 상기 수성 용매를 가온{加溫}할 수가 있다. 가온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성 용매의 점도를 저하시켜,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의 용해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 등이 보다 균일하게 분산된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얻을 수가 있다.
가온하는 것 대신에 또는 그에 더하여,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이 가지는 활성 및 본원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을 정도로 초음파 조사하는 것도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 등을 보다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 유효하다.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이 마이크로 캡슐 제제 중에서 보다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은, 일정 속도로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을 방출하는 것에 기여하기 때문에, 이러한 가온 조건 하 및/또는 초음파 조사 조건 하에서의 염기성 아미노산의 첨가 및 혼합은 유용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가온할 때의 온도 범위의 하한값으로서는 25℃로 하면 좋고, 30℃가 바람직하고, 35℃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그 상한값으로서는 45℃로 하면 좋고, 40℃가 보다 바람직하다. 하한값이 25℃인 경우는, 상한값은 45℃로 하면 좋고,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한값이 30℃인 경우는, 상한값은 45℃로 하면 좋고,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한값이 35℃인 경우는, 상한값은 45℃로 하면 좋고,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온도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활성을 유지하면서, 보다 균일성이 높은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조제할 수가 있다.
상기 펩티드염은, 물 및 유기 용매의 어느것에도 불용이지만, 생리 식염수에는 용해된다. 상기 펩티드염을 생리 식염수에 용해하는 것에 의해 용출{溶出; elute}된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은, 펩티드염으로 되기 전의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에 대해서 동등한 생리 활성을 나타낼 수가 있다. 즉, 펩티드염이 생체 내에 투여된 경우, 펩티드염은 생체 내에서 용해하고, 용출된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은 소망하는{원하는} 생리 활성을 나타낼 수가 있다.
공정 B
공정 B에서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기 용매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첨가해서,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을 얻는다.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로서는, 생체 내에서 서서히 분해되어 소망하는 서방 성능이 얻어지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α-시아노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이다. 이들은, 적당한 비율로 혼합해서 이용해도 좋다. 중합 형식은 랜덤, 블록, 그라프트의 어느것이라도 좋지만 랜덤 중합이 가장 바람직하다.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로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PLGA), 폴리구연산, 폴리사과산, 락트산-아스파라긴산 공중합체, 락트산-히드록시카프로산 공중합체, 글리콜산-히드록시카프로산 공중합체, 폴리프로피오락톤, 폴리부티로락톤, 폴리발레로락톤,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폴리(p-디옥사논), 폴리(a-시아노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β-히드록시낙산), 폴리트리메틸렌 옥살레이트, 폴리오르토에스테르, 폴리오르토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카보네이트, 폴리γ-벤질-L-글루타민산, 폴리L-알라닌 및 폴리아르긴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폴리아미노산, 폴리알킬렌 알킬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우레탄 등의 단독 중합체 및 이들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락트산 및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PLGA)가 바람직하다. 이들의 생체 분해성 폴리머는,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이용해도 좋다. 
폴리락트산 또는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PLGA)를 사용하는 경우, 그 중량 평균 분자량은, 넓은 범위로부터 적당히 선택하면 좋지만, 예를 들면, 3000~200000 정도, 바람직하게는 3000~5000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20000 정도이다.
또, 상기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에서의 락트산:글리콜산(lactic acid:glycolic acid)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넓은 범위로부터 적당히 선택하면 좋지만, 일반적으로는 락트산:글리콜산(lactic acid:glycolic acid)의 몰비는, 99:1~50:50 정도, 바람직하게는 75:25~50:50 정도이다.
폴리락트산은, 폴리-D-락트산, 폴리-L-락트산, 폴리-DL-락트산의 어느것이라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폴리-DL-락트산이다. 또,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PLGA)는, D-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L-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DL-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의 어느것이라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DL-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이다.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말단에 유리의 카르복실기를 가진다. 유리의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것에 의해, 후술하는 공정 C에서,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가,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과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의 계면에서 계면 활성 작용을 발휘하여, 보다 안정된 S/W/O형 에멀전을 형성할 수가 있다고 생각된다.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농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하한값은 5w/v%로 하면 좋고, 20w/v%가 바람직하고, 40w/v%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그 상한값은 30w/v%로 하면 좋고, 40w/v%가 바람직하고, 60w/v%가 보다 바람직하다. 하한값이 5w/v%인 경우는, 상한값은 30w/v%로 하면 좋고, 40w/v%가 바람직하고, 60w/v%가 보다 바람직하다. 하한값이 20w/v%인 경우는, 상한값은 30w/v%로 하면 좋고, 40w/v%가 바람직하고, 60w/v%가 보다 바람직하다. 하한값이 40w/v%인 경우는, 상한값은 60w/v%가 바람직하다.
유기 용매로서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용해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클로로포름, 디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탄, 디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 탄화 수소;에틸 에테르, 이소프로필 에테르 등의 에테르류;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 수소;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콜류;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디메틸 케톤, 메틸 에틸 케톤 등의 아세톤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물에 비혼화성{非混和性; immiscible}의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고, 특히 디클로로메탄이 바람직하다. 이들 유기 용매는, 1종만을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이용해도 좋다. 또, 에테르류 및 알콜류는 2종 이상의 혼합 용매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는, 상기에 예시하는 것을 1종만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좋다. 또, 공정 B에서 이용하는 염기성 아미노산과 공정 A에서의 염기성 아미노산의 종류가 달라도 좋지만,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기 용매는, 예를 들면, 유기 용매에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첨가하고, 교반하는 것에 의해서 얻어진다. 본원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을 정도로 초음파 조사하는 것에 의해,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용해가 용이해지는 경우가 있다.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은, 예를 들면, 상기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기 용매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첨가하고, 용해시키는 것에 의해서 조제할 수가 있다.
염기성 아미노산을 용해시킬 때, 예를 들면,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기 용매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첨가하고, 실온 조건 하에서 하룻밤 방치하는 것도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 및 염기성 아미노산의 용해를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장시간에 걸쳐 용해시키는 것은,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와 염기성 아미노산 양쪽{모두}이 균일하게 용해된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을 얻기 위해서 유효하다. 또, 하룻밤 방치 후에 또 초음파 조사하는 것도 상기한 균일한 용액을 얻기 위해서 유효하다. 초음파 조사의 조사 조건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5초 간격으로 20초간씩 합계 20분간, 즉, 합계의 초음파 조사 시간으로서는 16분간, 주파수 20㎑로 조사할 수가 있다.
공정 C
공정 C에서는, 상기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상기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인 유상에 분산해서, S/W/O형 에멀전을 얻는다.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에서의 유기 용매가 물에 비혼화성의 용매인 경우, 상기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은,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 중에 미세한 액적{液滴; droplets}으로 되어 분산된다.
분산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단속 진탕법, 프로펠러형 교반기 혹은 터빈형 교반기 등의 믹서에 의한 방법, 콜로이드 밀법, 호모지나이저법, 초음파 조사법 등을 들 수 있다.
S/W/O형 에멀전의 조제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호모지나이저 등으로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과 상기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의 혼합물을 적당한 회전 속도로 교반하고, 수성 용매 중에서 S/W형 현탁액을 미세화해서 S/W/O형 에멀전으로 하는 방법, 세라믹 필터 등의 미세한 관통구멍을 가지는 필터에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과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의 혼합물을 일정 속도로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용액을 미세화해서 S/W/O형 에멀전으로 하는 방법, 세라믹 필터 등의 미세한 관통구멍을 가지는 필터에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일정 속도로 통과시켜 상기 용액을 미세화한 후,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과 혼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면 좋다.
S/W/O형 에멀전의 조제 방법의 보다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단, 이하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상기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상기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에 천천히 적하{滴下}한다.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첨가한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을 호모지나이저를 이용해서 9600rpm으로 교반하고, S/W/O형 에멀전을 얻는다.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과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의 혼합비로서는, S/W/O형 에멀전이 얻어지는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적비로서 1:3~1:30의 범위내가 바람직하고, 1:5~1:20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S/W/O형 에멀전 중의 염기성 아미노산의 함유량으로서는, 상기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에 대해서 1~10w/w%인 것이 바람직하고, 1~8w/w%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6w/w%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공정 C에서는,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이 가지는 활성 및 본원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을 정도로,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첨가한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에 초음파 조사하는 것도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을 보다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 유효하다. 초음파 조사하는 것에 의해, 공정 C에서 얻어지는 S/W/O형 에멀전 중의 액적의 입자사이즈가 작아지기 때문에,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이,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 중에 보다 균일하게 분산되기 쉬워진다.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이 마이크로 캡슐 제제 중에서 보다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은, 일정 속도로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을 방출하는 것에도 기여하기 때문에, 공정 C를, 이러한 가온 조건 하 및/또는 초음파 조사 조건 하에서 실시하는 것의 유용성은 높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 및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 양쪽{둘다}에 염기성 아미노산이 함유된다.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 및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에 함유되는 염기성 아미노산의 분배비는, 몰비(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에 함유되는 염기성 아미노산: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에 함유되는 염기성 아미노산)로서, 1:5~5:1의 범위로 할 수가 있고, 1:3~3:1이 바람직하고, 1:1이 특히 바람직하다.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을 이용한 경우,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 및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에 함유되는 염기성 아미노산의 농도는, 예를 들면,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에서는 0.05~0.075w/v%,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에서는 0.01~0.03w/v%로 할 수가 있다. 공정 C에서 얻어지는 S/W/O형 에멀전에 포함되는 염기성 아미노산의 농도의 하한값은, 0.01w/v%로 하면 좋고, 0.03w/v%가 바람직하고, 0.05w/v%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그 상한값은, 0.1w/v%로 하면 좋고, 0.5w/v%가 바람직하고, 1w/v%가 보다 바람직하다. 하한값이 0.01w/v%인 경우는, 상한값은 0.1w/v%로 하면 좋고, 0.5w/v%가 바람직하고, 1w/v%가 보다 바람직하다. 하한값이 0.03w/v%인 경우는, 상한값은 0.1w/v%로 하면 좋고, 0.5w/v%가 바람직하고, 1w/v%가 보다 바람직하다. 하한값이 0.05w/v%인 경우는, 상한값은 0.1w/v%로 하면 좋고, 0.5w/v%가 바람직하고, 1w/v%가 보다 바람직하다.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로서, PLGA를 이용한 경우, S/W/O형 에멀전에 함유되는 염기성 아미노산과 수평균{數平均} 분자량을 이용해서 산출한 PLGA의 몰비(염기성 아미노산: PLGA)가 2:1~1:5인 것이 바람직하고, 2:1~1:2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의 분배비를 상기한 범위로 함으로써, S/W/O/W형 에멀전에서의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봉입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가 있다고 하는, 놀랄 만한 효과가 얻어진다.
공정 D
공정 D에서는, 상기 S/W/O형 에멀전을 수상에 분산해서, S/W/O/W형 에멀전을 얻는다.
상기 수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수성 용매를 이용할 수가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을 이용할 수가 있다.
상기 수상은 유화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유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안정한 S/W/O/W형 에멀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것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올레인산 나트륨, 스테아린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나트륨 등의 음이온성{anionic} 계면활성제;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유도체 등의 비이온성{nonionic} 계면활성제;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콜(PVA),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레시틴, 젤라틴, 히알루론산 등이 이용된다. 이들, 유화제는, 1종만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2종 이상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수상이 유화제를 포함하는 경우, 그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화제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다. 임계 미셀 농도 이상의 농도가 바람직하고, 수상에 대해서 예를 들면, 비이온성 계면활성의 경우는, 0.005~0.5w/v% 정도, 바람직하게는 0.01~0.1w/v%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05w/v% 정도이다. PVA의 경우는, 0.01~0.5w/v% 정도, 바람직하게는 0.01~0.1w/v%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0.1w/v% 정도이다.
S/W/O/W형 에멀전의 조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호모지나이저 등으로 S/W/O형 에멀전과 수상인 수성 용매의 혼합물을 적당한 회전 속도로 교반하고, 수성 용매 중에서 S/W/O형 에멀전을 미세화해서 S/W/O/W형 에멀전으로 하는 방법, 세라믹 필터 등의 미세한 관통구멍을 가지는 필터에 S/W/O형 에멀전과 수상인 수성 용매의 혼합물을 일정 속도로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용액을 미세화해서 S/W/O/W형 에멀전으로 하는 방법, 세라믹 필터 등의 미세한 관통구멍을 가지는 필터에 S/W/O형 에멀전을 일정 속도로 통과시켜 상기 용액을 미세화한 후, 수상인 수성 용매와 혼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면 좋다. 이 때, 수상의 온도는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S/W/O/W형 에멀전의 조제 방법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단, 이하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수상을 미리 15℃ 이하로 하고, 이것을 호모지나이저를 이용해서 교반하면서, S/W/O형 에멀전을, 상기 수성 용매에 천천히 로우터 바로아래에 적하한다. S/W/O형 에멀전을 첨가한 수상을 또 부드럽게 교반하고, S/W/O/W형 에멀전을 얻을 수가 있다.
S/W/O형 에멀전을 분산시키기 위한 수상의 양은, S/W/O/W형 에멀전이 얻어지는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S/W/O형 에멀전의 양에 대해서 과잉량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5배 당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0배 당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정 E
공정 E에서는, 공정 D에서 얻어진 S/W/O/W형 에멀전에서의 유기 용매를 제거해서 마이크로 캡슐 제제를 얻는다.
공정 E에서의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통상 이용되는 수중 건조법 등이 채용되고, 예를 들면, 패들 믹서 또는 마그네틱 교반기{stirrer} 등으로 교반하는 방법, 패들 믹서 또는 마그네틱 교반기 등으로 교반하면서 서서히 감압하는 방법, 회전 증발기{evaporator} 등을 이용해서, 진공도를 조절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 때, S/W/O/W형 에멀전의 온도는 실온이면 좋고,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S/W/O/W형 에멀전에서의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단, 이하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공정 D에서 얻어진 S/W/O/W형 에멀전을 실온에서 3시간, 패들 믹서를 이용해서 650rpm으로 교반한다.
공정 E에서 S/W/O/W형 에멀전으로부터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이 내부에 분산된 마이크로 캡슐이 형성된다.
공정 F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또 공정 F를 포함할 수가 있다.
공정 F에서는 그 마이크로 캡슐을 세정하고, 이것을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해서 분말을 얻는다.
상기 공정 E에서 형성된 마이크로 캡슐은, 원심분리 등의 방법에 의해 포집할 수가 있다. 포집한 마이크로 캡슐은 물에 의해 세정할 수가 있다.
마이크로 캡슐의 동결 건조 조건 및 분무 건조 조건은, 적당히 설정할 수가 있다. 마이크로 캡슐을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해서 얻어진 분말은, 사용 시에, 주사용 증류수, 주사용 생리 식염수, 기타 적당한 분산제를 더하는{첨가하는} 것에 의해, 보다 투여에 적합한 주사제인 마이크로 캡슐 제제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마이크로 캡슐 제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안정하고, 또한, 봉입 효율이 높은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마이크로 캡슐 제제는, 제제 중에서의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이 보다 균일하게 분산된 것일 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세한 펩티드염이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매트릭스 중에 균일하게 분산되고, 펩티드염과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매트릭스의 계면에 염기성 아미노산이 개재하는 구조를 가진다고 생각된다.
매우 적합한 일실시 형태에서는, 거의 일정 비율로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을 방출하는 마이크로 캡슐 제제를 얻을 수가 있다.
측정 방법 등
<마이크로 캡슐 제제로부터의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추출 방법>
마이크로 캡슐 제제를 5~10㎎ 취하고, 1mL의 아세톤에 분산시킨다. 이 용액{液}을 아이스배스{氷浴; ice bath} 내에서 20분간 초음파 조사한다. 얻어진 용액을 9mL의 0.9w/v% 염화 나트륨 수용액에 더하여 혼화한다. 얻어진 용액을 아이스배스 내에서 20분간 초음파 조사한다. 이 용액을 원심분리하고, 침전물을 제거한다. 얻어진 용액을, 이하의 마이크로 BCA 단백질 정량법 및 ELISA법의 측정 대상으로 한다.
펩티드염으로부터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을 추출하는 경우는, 그 펩티드염을 0.9w/v% 염화 나트륨 수용액에 더하여 혼화한다. 얻어진 용액을 아이스배스 내에서 20분간 초음파 조사한다. 이 용액을 원심분리하고, 침전물을 제거한다. 얻어진 용액을, 이하의 마이크로 BCA 단백질 정량법 및 ELISA법의 측정 대상으로 한다.
<생리 활성 물질 함유량> 측정 방법: 마이크로 BCA(Bicinchoninic Acid) 단백질 정량법
측정 조건:마이크로 BCA 단백질 정량법 시약 A, B 및 C를 A:B:C=25:24:1의 비율로 혼합했다. 2~50㎍/mL의 범위에서 TuNEX의 5단계 농도의 표준 용액을 조제한 측정 대상 및 표준 용액을 각각 150μL씩, 96웰 플레이트에 적하하고, 또 각 웰에, 150μL의 염료{染色液; dye reagent}를 첨가하고 혼화한다. 37℃에서 2시간 배양한 후, 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해서 570㎚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표준 용액의 흡광도에 의해 얻어진 검량선{檢量線; calibration curve}에 근거해서, 단백질량을 산출한다.
<결합 활성>
측정 방법:ELISA법
측정 기기:Thermo Scientific Multiskan Ascent(Thermo사제 플레이트 리더)
측정 조건:마우스 항인간{anti-human} TNF RII/TNFRSF1B 모노클로날 항체를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코팅한다. 1% 소{牛} 혈청 알부민 인산 완충 생리 식염수(BSA-PBS)를 따로 취하고, 이것에 TuNEX(100㎍/mL)를 더해 표준 용액을 조제하고, 측정 대상 및 표준 용액을 각 웰에 100μL씩 적하한다. 1% BSA-PBS를 따로 취하고, 이것에 항인간 IgG Fc-HRP를 더하고, 이 용액을 각 웰에 100μL씩 적하하고, 37℃에서 1시간 배양{incubate}한다. 각 웰을 세정 후, 오르토페닐디아민(OPD) 용액을 각 웰에 100μL씩 적하하고, 37℃에서 부드럽게 교반하면서 10분간 배양한다. 각 웰에 황산을 50μL씩 적하해서 효소 반응을 정지하고,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해서 파장 490㎚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얻어진 시그모이드 곡선으로부터, 결합 활성을 산출한다.
<평균 입자사이즈의 측정>
측정 기기:Beckmann Coulter Multisizer Ⅲ(Beckmann사제)
측정 조건:측정 대상의 적량{適量}을 생리 식염수 중에 분산시키고, 전기 저항 나노 펄스 방식(electronic sensing zone method)에 의해 측정한다.
<봉입 효율(EE)>
산출 방법:TuNEX의 봉입 효율은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한다.
즉, 이하의 식(1):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식 중,
DL: 초기 약물 부하량(㎎)
Mmc: TuNEX의 아연염 및 PLGA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의 중량(㎎)
Mt: TuNEX의 중량(㎎)
Mp: PLGA의 중량(㎎)
Mtz: TuNEX의 아연염의 중량(㎎)
Mar: 염기성 아미노산의 중량(㎎)]
에 의해, 약물 부하량을 산출하고, 이것을 이용해서 이하의 식(2):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식 중,
EE:봉입 효율(%)
Md: 마이크로 BCA 단백질 정량법에 의해 측정된 약물량(㎎)
DL: 초기 약물 부하량(㎎)]
에 의해 산출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각종 평가 파라미터는, 상기한 측정 방법에 근거해서 측정했다.
실시예 1(TPM048)
TuNEX(3.5㎎/mL) 20mL와 염화 아연 수용액(1.0㎎/mL) 4mL를 혼합하고, TuNEX의 아연염을 얻었다. 이 용액을 원심분리해서 그 아연염을 분리시키고, 물로 세정 후 동결 건조했다. 동결 건조한 그 아연염 550㎎을 물 1.1mL 중에 분산시키고, 그 아연염을 포함하는 수성 용매를 얻었다. 그 아연염의 평균 입자사이즈는 약 170㎚였다.
상기 아연염을 포함하는 수성 용매에, L-아르기닌(Sigma-Ardrich사제)을 71.8㎎ 첨가했다. 이것을 40℃로 가온하고, 초음파를 조사해서 L-아르기닌을 용해하고,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얻었다. 이것과는 별도로,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PLGA)(와코 순약사{和光純藥社;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LTd.}제, 중량 평균 분자량 약 10000, 락트산-글리콜산 조성비 50:50, 유리 카르복실기를 포함한다.) 2750㎎을 디클로로메탄(DCM) 5.5mL에 용해하고, 또 L-아르기닌(Sigma-Ardrich사제)을 71.8㎎ 첨가했다. 이것을 하룻밤 방치해서 L-아르기닌을 용해하고,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다음에, 상기 S/W형 현탁액을 상기 폴리머 용액에 첨가해서 호모지나이저(Homogenizer T10)를 이용해서 스케일 6으로 1 분간 교반하고, S/W/O형 에멀전을 얻었다. 다음에, 상기 S/W/O형 에멀전을, 수상인 0.1w/v%의 폴리비닐 알콜(PVA)을 포함하는 수용액 330mL에 첨가해서 호모지나이저(Homogenizer T10)를 이용해서 18000rpm으로 3분간 교반하고, S/W/O/W형 에멀전을 얻었다. 상기 S/W/O/W형 에멀전을 실온에서 3시간, 패들 믹서를 이용해서 650rpm으로 교반해서 디클로로메탄을 기화시켜 제거하고, 6000rpm으로 2분간 원심분리해서 마이크로 캡슐을 회수하고, 물로 세정 후, 동결 건조해서 분말상의 마이크로 캡슐 제제로 했다.
실시예 2( TPM051R )
상기 아연염을 포함하는 수성 용매에, L-아르기닌(Sigma-Ardrich사제)을 35.9㎎ 첨가한 것, 및, 상기 PLGA가 용해된 DCM에 L-아르기닌(Sigma-Ardrich사제)을 107.7㎎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조했다.
실시예 3( TPM052R )
상기 아연염을 포함하는 수성 용매에, L-아르기닌(Sigma-Ardrich사제)을 107.7㎎ 첨가한 것, 및, 상기 PLGA가 용해된 DCM에 L-아르기닌(Sigma-Ardrich사제)을 35.9㎎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조했다.
실시예 4( TPM045 )
TuNEX(3.5㎎/mL) 20mL와 염화 아연 수용액(1.0㎎/mL) 4mL를 혼합하고, TuNEX의 아연염을 얻었다. 이 용액을 원심분리해서 그 아연염을 분리하고, 물로 세정 후 동결 건조했다. 동결 건조한 그 아연염 302.5㎎을 물 1.1mL 중에 분산시키고, 그 아연염을 포함하는 수성 용매를 얻었다. 그 아연염의 평균 입자사이즈는 약 170㎚였다. 상기 아연염을 포함하는 수성 용매에, L-아르기닌(Sigma-Ardrich사제)을 47.9㎎ 첨가했다. 이것을 40℃로 가온하고, 초음파를 조사해사 L-아르기닌을 용해하고,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얻었다. 이것과는 별도로,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PLGA)(와코 순약사제, 중량 평균 분자량 약 10000, 락트산-글리콜산 조성비 50:50, 유리 카르복실기를 포함한다.) 2750㎎을 디클로로메탄(DCM) 5.5mL에 용해하고, 또 L-아르기닌(Sigma-Ardrich사제)을 47.9㎎ 첨가했다. 이것을 40℃로 가온하고, 초음파를 조사해서 L-아르기닌을 용해하고,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다음에, 상기 S/W형 현탁액을 상기 폴리머 용액에 첨가해서 호모지나이저를 이용해서 교반하고, S/W/O형 에멀전을 얻었다. 다음에, 상기 S/W/O형 에멀전을, 수상인 0.1w/v%의 폴리비닐 알콜(PVA)을 포함하는 수용액 330mL에 첨가해서 호모지나이저를 이용해서 교반하고, S/W/O/W형 에멀전을 얻었다.
상기 S/W/O/W형 에멀전을 실온에서 3시간, 패들 믹서를 이용해서 천천히 교반해서 디클로로메탄을 기화시키고, 물로 세정 후, 동결 건조해서 분말상의 마이크로 캡슐 제제로 했다.
비교예 1( TP053R )
상기 아연염을 포함하는 수성 용매에, L-아르기닌(Sigma-Ardrich사제)을 144㎎ 용해하고,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얻은 것, 및, 상기 PLGA가 용해된 DCM에 L-아르기닌(Sigma-Ardrich사제)을 더하지 않고,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을 얻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조했다.
비교예 2( TPM026 )
TuNEX(3.5㎎/mL) 20mL와 염화 아연 수용액(1.0㎎/mL) 4mL를 혼합하고, TuNEX의 아연염을 얻었다. 이 용액을 원심분리해서 그 아연염을 분리하고, 물로 세정 후 동결 건조했다. 동결 건조한 그 아연염 60㎎을 물 0.6mL 중에 분산시키고, 그 아연염을 포함하는 수성 용매를 얻었다. 상기 아연염을 포함하는 수성 용매에, L-아르기닌(Sigma-Ardrich사제)을 90㎎ 첨가했다. 이것을 40℃로 가온하고, 초음파를 조사해서 L-아르기닌을 용해하고,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얻었다. 이것과는 별도로,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PLGA)(와코 순약사제, 중량 평균 분자량 약 10000, 락트산-글리콜산 조성비 50:50, 유리 카르복실기를 포함한다.) 300㎎을 디클로로메탄(DCM) 6mL에 용해하고,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다음에, 상기 S/W형 현탁액을 상기 폴리머 용액에 첨가해서 호모지나이저를 이용해서 교반하고, S/W/O형 에멀전을 얻었다. 다음에, 상기 S/W/O형 에멀전을, 수상인 0.1w/v%의 폴리비닐 알콜(PVA)을 포함하는 수용액 660mL에 첨가해서 호모지나이저를 이용해서 교반하고, S/W/O/W형 에멀전을 얻었다. 상기 S/W/O/W형 에멀전을 실온에서 3시간, 패들 믹서를 이용해서 천천히 교반해서 디클로로메탄을 기화시키고, 물로 세정 후, 동결 건조해서 분말상의 마이크로 캡슐 제제로 했다.
시험예 1
상기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얻어진 분말상의 마이크로 캡슐 제제에서의, TuNEX의 봉입 효율을 산출했다. 각각의 봉입 효율 및 L-아르기닌의 분배비(몰비)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at00003
아르기닌을 S/W형 현탁액 상{相}과 폴리머 용액 상 양쪽{모두}에 분배해서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TuNEX의 높은 봉입 효율이 얻어졌다.
시험예 2
실시예 1 및 실시예 4의 분말을, 분산매{分散媒}에 분산시키고, 이것을 체중 230~240g의 Lewis 웅성{雄性} 래트에게 100㎎/㎏의 투여량으로 피하 투여했다. 또, 대조로서, TuNEX(수용액)를 마찬가지로 5㎎/㎏의 투여량으로 피하 투여했다. 상기 분산매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1.25w/v% 및 폴리소르베이트80 0.05w/v%를 포함하는 인산 완충 생리 식염수를 오토클레이브로 멸균한 것을 사용했다. 투여된 TuNEX의 양은, 100㎎/㎏이다. 투여 후 경시적{經時的}으로 채혈을 실시하고, 혈청 중의 TuNEX를 ELISA법에 의해 측정했다. 투여 후의 시간에 대해서 혈청 중의 TuNEX 농도(㎍/mL)를 플롯한 약물 동태 프로파일을 도 1에 도시한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4 어느것에서도{모두에서}, 장기간에 걸쳐서, 거의 일정한 혈청중 TuNEX 농도가 인정되었다.
시험예 3
이하의 조제예 1~10에 나타내는, 여러 가지 조제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TuNEX의 아연염에 대해서, 상기한 방법에 의해, 그 평균 입자사이즈를 측정했다. 또, 조제예 1, 2, 4 및 5에 대해서는, 상기 TuNEX의 아연염을 생리 식염수에 용해했을 때의 TuNEX의 역가{力價}(결합 활성)의 활성비를 평가했다.
조제예 1
TuNEX(3.5㎎/mL) 1mL에, 염화 아연 수용액(1.0㎎/mL)을 TuNEX를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고, 불용성 물질을 생성했다. 염화 아연의 TuNEX에 대한 몰비(염화 아연/TuNEX)는 31이었다. 이 불용성 물질을 원심분리(14000rpm, 30min)에 의해서 침강시키고, 분리했다. 이것을 세정하여, 과잉의 염화 아연 등을 제거하고, 동결 건조함으로써 분말상의 TuNEX 아연염을 얻었다.
조제예 2
TuNEX(3.5㎎/mL) 1mL에, 염화 아연 수용액(1.0㎎/mL)을 TuNEX를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고, 불용성 물질을 생성했다. 염화 아연의 TuNEX에 대한 몰비(염화 아연/TuNEX)는 62였다. 이 불용성 물질을 원심분리(14000rpm, 30min)에 의해서 침강시키고, 분리했다. 이것을 세정하여, 과잉의 염화 아연 등을 제거하고, 동결 건조함으로써 분말상의 TuNEX 아연염을 얻었다.
조제예 3
TuNEX(3.5㎎/mL) 1mL에 폴리비닐 알콜(PVA)을 0.05w/v%로 되도록 용해했다. 이 용액을 교반하면서, 이것에 염화 아연 수용액(10㎎/mL)을 천천히 첨가하고, 불용성 물질을 생성했다. 염화 아연의 TuNEX에 대한 몰비(염화 아연/TuNEX)는 63이었다. 이 불용성 물질을 원심분리(14000rpm, 30min)에 의해서 침강시키고, 분리했다. 이것을 세정하여, 과잉의 염화 아연 등을 제거하고, 동결 건조함으로써 분말상의 TuNEX 아연염을 얻었다.
조제예 4
TuNEX(3.5㎎/mL) 1mL에, 염화 아연 수용액(1.0㎎/mL)을 TuNEX를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고, 불용성 물질을 생성했다. 염화 아연의 TuNEX에 대한 몰비(염화 아연/TuNEX)는 67이었다. 이 불용성 물질을 원심분리(14000rpm, 30min)에 의해서 침강시키고, 분리했다. 이것을 세정하여, 과잉의 염화 아연 등을 제거하고, 동결 건조 함으로써 분말상의 TuNEX 아연염을 얻었다.
조제예 5
TuNEX(3.5㎎/mL) 1mL에, 염화 아연 수용액(1.0㎎/mL)을 TuNEX를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고, 불용성 물질을 생성했다. 염화 아연의 TuNEX에 대한 몰비(염화 아연/TuNEX)는 314였다. 이 불용성 물질을 원심분리(14000rpm, 30min)에 의해서 침강시키고, 분리했다. 이것을 세정하여, 과잉의 염화 아연 등을 제거하고, 동결 건조함으로써 분말상의 TuNEX 아연염을 얻었다.
조제예 6
TuNEX(3.5㎎/mL) 1mL에, 염화 아연 수용액(50.0㎎/mL)을 TuNEX를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고, 불용성 물질을 생성했다. 염화 아연의 TuNEX에 대한 몰비(염화 아연/TuNEX)는 377이었다. 이 불용성 물질을 원심분리(14000rpm, 30min)에 의해서 침강시키고, 분리했다. 이것을 세정하여, 과잉의 염화 아연 등을 제거하고, 동결 건조함으로써 분말상의 TuNEX 아연염을 얻었다.
조제예 7
TuNEX(3.5㎎/mL) 1mL에, 염화 아연 수용액(10.0㎎/mL)을 TuNEX를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고, 불용성 물질을 생성했다. 염화 아연의 TuNEX에 대한 몰비(염화 아연/TuNEX)는 628이었다. 이 불용성 물질을 원심분리(14000rpm, 30min)에 의해서 침강시키고, 분리했다. 이것을 세정하여, 과잉의 염화 아연 등을 제거하고, 동결 건조함으로써 분말상의 TuNEX 아연염을 얻었다.
조제예 8
TuNEX(3.5㎎/mL) 1mL에, 염화 아연 수용액(20.0㎎/mL)을 TuNEX를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고, 불용성 물질을 생성했다. 염화 아연의 TuNEX에 대한 몰비(염화 아연/TuNEX)는 1257이었다. 이 불용성 물질을 원심분리(14000rpm, 30min)에 의해서 침강시키고, 분리했다. 이것을 세정하고, 과잉의 염화 아연 등을 제거하고, 동결 건조함으로써 분말상의 TuNEX 아연염을 얻었다.
조제예 9
TuNEX(3.5㎎/mL) 1mL에, 염화 아연 수용액(30.0㎎/mL)을 TuNEX를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고, 불용성 물질을 생성했다. 염화 아연의 TuNEX에 대한 몰비(염화 아연/TuNEX)는 1885였다. 이 불용성 물질을 원심분리(14000rpm, 30min)에 의해서 침강시키고, 분리했다. 이것을 세정하여, 과잉의 염화 아연 등을 제거하고, 동결 건조함으로써 분말상의 TuNEX 아연염을 얻었다.
조제예 10
TuNEX(3.5㎎/mL) 1mL에, 염화 아연 수용액(40.0㎎/mL)을 TuNEX를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고, 불용성 물질을 생성했다. 염화 아연의 TuNEX에 대한 몰비(염화 아연/TuNEX)는 2514였다. 이 불용성 물질을 원심분리(14000rpm, 30min)에 의해서 침강시키고, 분리했다. 이것을 세정하여, 과잉의 염화 아연 등을 제거하고, 동결 건조함으로써 분말상의 TuNEX 아연염을 얻었다.
이상의 조제예에 의해 조제한 분말상의 TuNEX 아연염의 평균 입자사이즈, 및 조제 시에 혼합한 TuNEX에 대한 염화 아연의 몰비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pat00004
조제예 1, 2, 4 및 5에서의, TuNEX의 아연염을 생리 식염수에 용해했을 때의 TuNEX의 역가(결합 활성)의 활성비는, 각각 90%, 100%, 100% 및 100%였다.
실시예 5(L-His)
TuNEX 아연염 550㎎ 대신에 TuNEX 아연염 412.4㎎을 이용하고, L-아르기닌 대신에 L-히스티딘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마이크로 캡슐 제제를 얻었다. 이 마이크로 제제에 대해서 시험예 1과 마찬가지로 봉입 효율을 측정했더니 43.94%였다.
비교예 3
PLGA가 용해된 DCM에 L-히스티딘을 첨가하지 않는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해서 마이크로 캡슐 제제를 얻었다. 이 마이크로 캡슐 제제에 대해서 시험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봉입 효율을 측정했더니 5.52%였다.
실시예 6( HSA )
HSA(3.5㎎/mL) 10mL와 염화 아연 수용액(30㎎/mL) 2mL를 혼합하고, HSA의 아연염을 얻었다. 이 용액을 원심분리해서 그 아연염을 분리하고, 물로 세정 후 동결 건조했다. 동결 건조한 그 아연염 481.9㎎을 물 1.1mL 중에 분산시키고, 그 아연염을 포함하는 수성 용매를 얻었다.
상기 아연염을 포함하는 수성 용매에, L-아르기닌(Sigma-Ardrich사제)을 71.8㎎ 첨가했다. 이것을 40℃로 가온하고, 초음파를 조사해서 L-아르기닌을 용해하고,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얻었다. 이것과는 별도로,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PLGA)(와코 순약사제, 중량 평균 분자량 약 10000, 락트산-글리콜산 조성비 50:50, 유리 카르복실기를 포함한다.) 2750㎎을 디클로로메탄(DCM) 5.5mL에 용해하고, 또 L-아르기닌(Sigma-Ardrich사제)을 71.8㎎ 첨가했다. 이것을 하룻밤 방치해서 L-아르기닌을 용해하고,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다음에, 상기 S/W형 현탁액을 상기 폴리머 용액에 첨가해서 호모지나이저(Homogenizer T10)를 이용해서 스케일6으로 1분간 교반하고, S/W/O형 에멀전을 얻었다. 다음에, 상기 S/W/O형 에멀전을, 수상인 0.1w/v%의 폴리비닐 알콜(PVA)을 포함하는 수용액 330mL에 첨가해서 호모지나이저(Homogenizer T10)를 이용해서 18000rpm으로 3분간 교반하고, S/W/O/W형 에멀전을 얻었다. 상기 S/W/O/W형 에멀전을 실온에서 3시간, 패들 믹서를 이용해서 650rpm으로 교반해서 디클로로메탄을 기화시켜 제거하고, 6000rpm으로 2분간 원심분리해서 마이크로 캡슐을 회수하고, 물로 세정 후, 동결 건조해서 분말상의 마이크로 캡슐 제제로 했다. 얻어진 마이크로 캡슐 제제에 대해서 시험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봉입 효율을 확인했더니, 48%였다.
비교예 4( HSA )
L-아르기닌을 첨가하지 않는 것 이외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해서 마이크로 캡슐 제제를 얻었다. 이 마이크로 캡슐 제제에 대해서 시험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봉입 효율을 측정했더니 8%였다.

Claims (16)

  1.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중금속염을 포함하는 수성{水系} 용매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첨가해서,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얻는 공정 A,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기 용매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첨가해서,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을 얻는 공정 B,
    상기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을, 상기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인 유상{油相}에 분산해서, S/W/O형 에멀전을 얻는 공정 C,
    상기 S/W/O형 에멀전을 수상{水相}에 분산해서, S/W/O/W형 에멀전을 얻는 공정 D, 및
    상기 S/W/O/W형 에멀전에 포함되는 유기 용매를 제거해서 마이크로 캡슐 제제{製劑}를 얻는 하는 공정 E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에서의 염기성 아미노산의 함유량과, 상기 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에서의 염기성 아미노산의 함유량의 몰비(아미노산 함유 S/W형 현탁액에서의 염기성 아미노산의 함유량:아미노산 함유 폴리머 용액에서의 염기성 아미노산의 함유량)가, 1:5~5:1인,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중금속염이, 평균 입자사이즈가 1㎛ 이하로서, 물 및 유기 용매의 어느것에도 불용{不溶}인,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성 용매에, 중금속염을 첨가하고,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의 중금속염을 포함하는 수성 용매를 얻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이 IgG 구조를 가지는,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성 생리 활성 물질이 TuNEX인,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중금속염이 아연염인,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이, L-아르기닌 또는 L-히스티딘인,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E에서 S/W/O/W형 에멀전으로부터 유기 용매를 제거하고 얻어진 마이크로 캡슐을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해서 분말을 얻는 공정 F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가, 폴리락트산,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에서의, 락트산 및 글리콜산의 몰비(락트산:글리콜산)가 99:1~50:50인,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에서의, 락트산 및 글리콜산의 몰비(락트산:글리콜산)가 75:25~50:50인,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200000인,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50000인,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20000인, 마이크로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마이크로 캡슐 제제.
KR1020160077296A 2015-09-01 2016-06-21 마이크로 캡슐 제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1836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71786A JP5938762B1 (ja) 2015-09-01 2015-09-01 マイクロカプセル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5-171786 2015-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270A true KR20170027270A (ko) 2017-03-09
KR101836892B1 KR101836892B1 (ko) 2018-03-09

Family

ID=56148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296A KR101836892B1 (ko) 2015-09-01 2016-06-21 마이크로 캡슐 제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68563B2 (ko)
EP (1) EP3138554B8 (ko)
JP (1) JP5938762B1 (ko)
KR (1) KR101836892B1 (ko)
CN (1) CN106474088A (ko)
TW (1) TWI630929B (k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3255B2 (ja) 1990-02-13 1997-09-17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長期徐放型マイクロカプセル
MY107937A (en) * 1990-02-13 1996-06-29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Prolonged release microcapsules.
US6087324A (en) * 1993-06-24 2000-07-11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Sustained-release preparation
JP3862304B2 (ja) * 1994-09-09 2006-12-27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徐放性製剤
PT779806E (pt) 1994-09-09 2001-02-28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Preparacao de libertacao sustentada contendo um sal metalico de um peptido
JP3790567B2 (ja) * 1994-09-30 2006-06-28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徐放剤
IL112834A (en) 1995-03-01 2000-12-06 Yeda Res & Dev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controlled release of soluble receptors
US6287587B2 (en) * 1997-07-15 2001-09-11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Process for producing sustained-release preparation by in-water drying
JP4758525B2 (ja) * 1998-03-20 2011-08-31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生理活性ポリペプチドの徐放性製剤およびその製造法
US6444223B1 (en) * 1999-05-28 2002-09-03 Alkermes Controlled Therapeutics, Inc. Method of producing submicron particles of a labile agent and use thereof
US6743446B2 (en) * 1999-12-15 2004-06-01 The Ohi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Methods for stabilizing biologically active agents encapsulated in biodegradable controlled-release polymers
JP5160005B2 (ja) * 2000-12-28 2013-03-13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徐放性製剤
TWI225416B (en) * 2001-06-29 2004-12-21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Sustained-releas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8808746B2 (en) * 2004-04-30 2014-08-19 Fresenius Kabi Usa, Llc Sustained-release microspher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N101721377B (zh) * 2010-01-18 2013-04-17 上海交通大学 乙醇包亲水油-亲水油包油-油包固体微球制备的方法
EP2642984B1 (en) * 2010-11-24 2017-01-11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Method for encapsulating particles
WO2013059406A1 (en) * 2011-10-18 2013-04-25 Coherus Biosciences, Inc. Etanercept formulations stabilized with metal ions
SG11201500227SA (en) * 2012-08-16 2015-02-27 Univ Nanyang Tech Floating capsules encapsulating particles loaded with one or more dr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56330A1 (en) 2017-03-02
EP3138554A1 (en) 2017-03-08
US9968563B2 (en) 2018-05-15
EP3138554B8 (en) 2020-04-29
CN106474088A (zh) 2017-03-08
TWI630929B (zh) 2018-08-01
KR101836892B1 (ko) 2018-03-09
EP3138554B1 (en) 2020-03-18
JP5938762B1 (ja) 2016-06-22
TW201709902A (zh) 2017-03-16
JP2017048138A (ja)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33020B1 (en) Method of producing sustained-release preparation
FI96278B (fi) Menetelmä mikrokapselin valmistamiseksi, josta vapautuu pidennetysti luteinisoivaa hormonia vapauttavaa hormonia
AU712351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orphologically uniform microcapsules and microcapsules that are produced according to this process
CA2196184C (en) Sustained release preparation containing metal salt of a peptide
DK2251006T3 (en) Microparticl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JPH0769929A (ja) 薬剤学的又は獣医学的認容性で、両親媒性の非架橋線状、枝分れ又はグラフトブロックコポリマーの製造方法
CA2435415A1 (en) Microparticles of biodegradable polymer encapsulating a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
KR20180130344A (ko) 미립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미립구
KR20030051687A (ko) 분자량이 감소된 정제 아밀로펙틴-기제 녹말을 갖는서방투여용 생분해성 미세입자
Singh et al. Biodegradable polymeric microspheres as drug carriers; A review
JP3862304B2 (ja) 徐放性製剤
KR101836892B1 (ko) 마이크로 캡슐 제제 및 그 제조 방법
JP6587942B2 (ja) マイクロカプセル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40052855A1 (en) Microparticles of biodegradable polymer encapsulating a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 and sustained 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s containing same
WO2018038461A1 (ko) C18:1, c18:1(oh) 또는 c18:2의 장쇄 지방산이 포함된 오일류를 포함한 방출억제제를 적용한 서방출성 마이크로스피어 및 이의 제조방법
JP3761594B2 (ja) 徐放性製剤の製造法
AU2002224721A1 (en) Microparticles of biodegradable polymer encapsulating a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
EP1333815A1 (en) Process for producing micro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