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6355A -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6355A
KR20170026355A KR1020167034423A KR20167034423A KR20170026355A KR 20170026355 A KR20170026355 A KR 20170026355A KR 1020167034423 A KR1020167034423 A KR 1020167034423A KR 20167034423 A KR20167034423 A KR 20167034423A KR 20170026355 A KR20170026355 A KR 20170026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sheet
surface sheet
gel
gel composition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5170B1 (ko
Inventor
교 기쿠치
에이스케 다케다
마이카 후나바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6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0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characterized by the length of the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3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having improved touch or feeling, e.g. smooth fil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로서, 캘린더 롤 등에 의해 표면을 평활화하지 않아도, 단섬유에 의한 보풀 형성이 억제된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표면 시트(2)는, 단섬유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와, 38℃에서 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소수성의 겔상 조성물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에, 상기 겔상 조성물이 도공된 도공 영역(6)과 상기 겔상 조성물이 도공되어 있지 않은 비도공 영역(7)을 갖고, 상기 도공 영역(6)은, 상기 겔상 조성물이 상기 부직포의 단섬유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되어 상기 표면 시트(2)의 피부면측의 면에 노출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OUTER-SURFACE SHEET FOR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단섬유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표면 시트는, 열가소성 섬유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이 주류이다. 이러한 부직포로는, 구성 섬유가 장섬유가 되는 스펀본드법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그 중에는, 벌키한 부직포가 얻어지는 에어스루법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이하, 「에어스루 부직포」라고 함) 등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에어스루 부직포는, 단섬유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로서 사용할 때에는, 통상,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는 쪽의 면(피부 접촉면)을 캘린더 롤 등에 의해 평활화하여, 상기 피부 접촉면이 단섬유에 의해 보풀이 형성되지 않도록 처리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복수의 볼록형부 및 홈부를 갖는 부직포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에어젯을 이용하여 부직포 내의 단섬유를 부분적으로 치우치게 하거나, 혹은, 엠보스 가공 등으로 부직포의 표면을 부형하거나 함으로써 상기 볼록형부에 존재하는 단섬유가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배향되기 때문에, 상기 단섬유의 단부가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으로부터 돌출되기 쉬워지는(즉, 보풀이 형성되기 쉬워지는)데, 이러한 복수의 볼록형부 및 홈부를 갖는 부직포는, 캘린더 롤 등에 의해 표면을 평활화할 수 없기 때문에, 전술한 단섬유에 의한 보풀 형성을 억제할 수 없어,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에게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 액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이면 시트 및 이들 양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관하여, 상기 표면 시트는,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다수의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흡수체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갖고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정상부에 있어서의 피부 대향면 및 피부 비대향면의 양면에 스킨 케어제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정상부에 있어서의 피부 비대향면보다 피부 대향면 쪽이, 단위 면적당 스킨 케어제량이 많은,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에 의하면, 이와 같이 스킨 케어제가 부착된 흡수성 물품은, 피부로 이행시키기 쉬운 부위에 스킨 케어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우수한 스킨 케어 효과가 얻어진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문헌 2의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고 있는 스킨 케어제는, 상온에서는 유동성을 갖는 액체이기 때문에, 이러한 스킨 케어제를 표면 시트에 도공하더라도, 전술한 단섬유에 의한 보풀 형성을 억제할 수는 없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532808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43543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단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로서, 캘린더 롤 등에 의해 표면을 평활화하지 않아도, 단섬유에 의한 보풀 형성이 억제된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로서, 상기 표면 시트는, 단섬유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와, 38℃에서 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소수성의 겔상 조성물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에, 상기 겔상 조성물이 도공된 도공 영역과 상기 겔상 조성물이 도공되어 있지 않은 비도공 영역을 갖고, 상기 도공 영역은, 상기 겔상 조성물이 상기 부직포의 단섬유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되어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에 노출되어 있는, 표면 시트이다.
본 발명의 표면 시트는, 겔상 조성물이 도공된 도공 영역에 있어서, 겔상 조성물이 부직포의 단섬유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되어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부직포 내의 단섬유가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에 노출될 수 없어, 상기 단섬유에 의한 보풀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겔상 조성물이 38℃에서도 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표면 시트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을 착용해도, 착용자의 체온 등에 의해 겔상 조성물이 용융되지 않고,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에 유지되기 때문에, 전술한 보풀 형성을 지속적으로 또한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에 노출되어 있는 겔상 조성물의 표면은 평활하기 때문에,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의 촉감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표면 시트를 적용한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쾌적한 장착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겔상 조성물은,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에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있고,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즉, 비피부면측의 면)까지 침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으로부터 비피부면측으로 침투하는 액상 배설물이, 비피부면측의 면을 향함에 따라 상기 표면 시트의 면 방향으로 확산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기 표면 시트의 면 방향으로 확산되면서 상기 표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의 면에 도달한 액상 배설물을, 상기 표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의 면에 배치되어 있는 코어랩 시트를 통해, 광범위한 개소로부터 흡수 코어에 흡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액상 배설물의 흡수체에 대한 흡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시트는, 친수성의 단섬유 등으로 구성되는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에, 소수성의 겔상 조성물이 도공된 도공 영역과 상기 겔상 조성물이 도공되어 있지 않은 비도공 영역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도공 영역에 있어서의 소수성의 발수 작용과 표면 시트 내부에 있어서의 친수성의 흡수 작용의 상승 작용에 의해,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 상에 공급된 뇨 등의 액상 배설물이, 겔상 조성물의 비도공 영역을 통해, 상기 표면 시트의 내부에 인입되기 쉬운 상태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표면 시트의 두께 방향의 액침투성을 유지하면서 액빠짐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에 착용자의 체압 등이 가해져, 표면 시트의 내부로 침투한 액상 배설물이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을 향하여 이행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소수성의 겔상 조성물이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에 존재함으로써, 상기 액상 배설물이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으로 침출하는 것이 저해되기 때문에, 한번 내부로 침투한 액상 배설물의 액복귀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표면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을 표면에 있어서의 드라이성 및 두께 방향의 액침투성이 우수한 흡수성 물품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캘린더 롤 등에 의해 표면을 평활화하지 않아도, 단섬유에 의한 보풀 형성이 억제된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표면에 있어서의 드라이성 및 두께 방향의 액침투성이 우수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된 표면 시트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의 신장된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된 표면 시트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겔상 조성물이 도공된 부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표면 시트에 관해서, 도면 등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된 표면 시트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일회용 기저귀)의 신장된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된 표면 시트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겔상 조성물이 도공된 부분의 폭 방향(DW)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된 표면 시트를 이용한 일회용 기저귀(1)는, 외형 형상이, 신장된 상태의 평면에서 보아, 길이 방향(DL)으로 긴 형상을 갖고, 길이 방향(DL)의 중앙부가 폭 방향(DW)의 내방측을 향하여 가늘게 잘록해진 대략 장고형(혹은, 역크라운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 본 발명의 표면 시트가 적용되는 흡수성 물품은, 이러한 외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표주박 형상이나 장방형 등의 사각 형상, 타원형, 장원형 등의 길이 방향(DL)으로 긴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는, 그 두께 방향(DT)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면측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2)와, 상기 피부면측의 반대측(즉, 비피부면측)에 위치하는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3)와, 상기 표면 시트(2) 및 상기 이면 시트(3)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4)를 구비한 적층 구조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표면 시트(2)를 평면에서 보아 폭 방향(DW)의 외방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하여, 상기 표면 시트(2)의 피부면측에 배치되는, 개더부 형성용의 한쌍의 측부 시트 부재(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표면 시트(2)의 피부면측의 면에는, 후술하는 겔상 조성물이 도공된 영역으로서, 일회용 기저귀(1)의 길이 방향(DL)으로 연장되며, 또한 폭 방향(DW)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대략 직선형의 겔상 조성물의 도공 영역(6)(이하, 「선형 도공 영역」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과, 상기 겔상 조성물이 도공되어 있지 않은 비도공 영역(7)을 갖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표면 시트에 있어서는, 상기 겔상 조성물이, 38℃에서 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소수성의 겔상 조성물이다. 이하, 본 발명의 표면 시트에 이용되는 겔상 조성물에 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겔상 조성물]
본 발명의 표면 시트에 이용되는 겔상 조성물은, 38℃에서 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소수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및 탄화수소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탄화수소유 및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겔상 조성물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이상 18만 미만이며, 또한 트리블록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1)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8만 이상 30만 이하이며, 또한 트리블록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2)를, (A1)/(A2)=95/5∼50/50의 질량비로 포함하며, 또한 분자량의 분산도(Mw/Mn)가 1.25∼1.60인,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혼합물(A) 100 질량부에 대하여, 37.8℃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5∼50 mm2/s인 탄화수소유(B)를 500∼4800 질량부와, 25℃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50∼200 mm2/s인 실리콘 오일(C)을 20∼60 질량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겔상 조성물에 이용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1, A2)는, 폴리스티렌계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트리블록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이고, 바람직하게는 스티렌계 하드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블록 성분을 분자쇄 중에 2개 이상 갖는 블록 공중합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자쇄에 있어서의 적어도 양말단의 블록 성분이, 상기 스티렌계 하드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블록 성분인 블록 공중합체이다. 상기 폴리스티렌계 하드 세그먼트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폴리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폴리(o-메틸스티렌), 폴리(m-메틸스티렌), 폴리(p-메틸스티렌) 등의 폴리스티렌계 폴리머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1, A2)로서 이용되는 공중합체는, 트리블록 이상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이소프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 스티렌-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EPS), 및 이들의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표면 시트에 도공한 후의 겔 상태의 유지성(특히, 38℃에 있어서의 유지성)이나 겔의 경도, 신장 등의 면에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 및 스티렌-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EPS)가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1, A2)로서 디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경우에는, 스티렌계 하드 세그먼트의 상호 작용(π-π 스태킹)이 약해지기 때문에, 표면 시트에 도공한 후의 겔 상태의 유지성(특히, 38℃에 있어서의 유지성)이나 겔의 경도, 신장 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상기 스티렌계 하드 세그먼트의 상호 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응집 도메인과, 상기 복수의 응집 도메인을 연결하는 올레핀계 소프트 세그먼트에 의해 메시형의 네트워크 구조가 형성되기 때문에, 탄성체로서의 기능을 발현함과 동시에, 체온(약 35℃∼약 38℃) 정도의 온도 조건하에서도 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메시형의 네트워크 구조는, 후술하는 유제(즉, 탄화수소유(B) 및 실리콘 오일(C)) 등을 적절히 서방시키면서 유지하는 기능을 더불어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10∼50 질량%의 스티렌계 블록 성분과 50∼90 질량%의 올레핀계 블록 성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15∼40 질량%의 스티렌계 블록 성분과 60∼85 질량%의 올레핀계 블록 성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18∼35 질량%의 스티렌계 블록 성분과 65∼82 질량%의 올레핀계 블록 성분을 포함한다. 스티렌계 블록 성분의 비율이 10 질량%를 하회하면, 상기 응집 도메인을 형성하는 스티렌계 블록 성분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전술한 메시형의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스티렌계 블록 성분의 비율이 50 질량%를 초과하면, 상기 유제 등을 유지하는 올레핀계 블록 성분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유지할 수 있는 유제 등의 양이 적어지고, 또한, 상기 스티렌계 하드 세그먼트에 의해 형성되는 응집 도메인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표면 시트에 적용한 후의 겔이 딱딱해져, 흡수성 물품의 착용시에 있어서, 착용자에게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다.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혼합물(A)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이한 2종류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1, A2)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2종류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1, A2) 중의 한쪽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1)(이하, 「저분자량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1)」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이상 18만 미만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10만∼15만의 범위 내이다. 이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미만이면, 표면 시트에 적용한 후의 겔의 경도나 신장이 낮아지기 때문에, 표면 시트의 유연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또한, 다른쪽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2)(이하, 「고분자량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8만 이상 30만 이하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22만∼28만의 범위 내이다. 이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만을 초과하면, 표면 시트에 적용한 후의 겔의 표면에 점착성이 생기기 쉬워지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착용시에 있어서, 착용자에게 끈적임을 느끼게 하고,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다.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혼합물(A)은, 분산도(즉,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Mw/Mn))가 1.25∼1.60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1.35∼1.55의 범위 내이다. 분산도가 1.25 미만이면, 겔상 조성물의 물성이 단일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경우와 다름이 없기 때문에, 표면 시트에 적용한 후의 겔의 신장이 불충분해져, 표면 시트의 유연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한편, 분산도가 1.60을 초과하면, 상기 2종류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1, A2)의 냉각 고화 시간의 차에 의해, 표면 시트에 적용한 후의 겔이 불균질해지기 때문에, 겔의 신장이나 취약함 등의 물성이 저하되고, 흡수성 물품에 품질의 편차가 생길 우려가 있다.
상기 2종류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1, A2) 및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혼합물(A)의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혼합물(A)의 분산도(Mw/Mn)는, 테트라히드로푸란(THF)을 이동상으로 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GPC 측정을 행하고,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GPC 측정 조건]
장치: GPC-8220(도소(주) 제조)
컬럼: SHODEX KF-804(쇼와 덴꼬(주) 제조)
온도: 40℃
용매: THF
유량: 1.0 mL/분
시료 농도: 0.05∼0.6 질량%
주입량: 0.1 mL
검출: RI(시차 굴절계)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겔상 조성물이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이한 2종류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1, A2)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저분자량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1)와 고분자량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2)의 질량비로, (A1)/(A2)=95/5∼50/50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90/10∼60/40, 더욱 바람직하게는 80/20∼70/30이다. 상기 질량비에 있어서, 저분자량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1)의 배합 비율이 95를 초과하면, 표면 시트에 적용한 후의 겔의 경도나 신장이 불충분해지기 때문에, 표면 시트의 유연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고, 상기 배합 비율이 50 미만이면, 표면 시트에 적용한 후의 겔의 표면에 점착성이 생기기 쉬워져, 착용자에게 끈적임을 느끼게 하고,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겔상 조성물은, 37.8℃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5∼50 mm2/s인 탄화수소유(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유(B)는,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지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직쇄, 분기 또는 환형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고, 포화 또는 불포화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탄화수소유(B)로는, 예컨대, 올레핀계 탄화수소(이중 결합을 1개 포함하는 알켄), 파라핀계 탄화수소(이중 결합도 삼중 결합도 포함하지 않는 알칸), 아세틸렌계 탄화수소(삼중 결합을 1개 포함하는 알킨), 이중 결합 및/또는 삼중 결합을 2개 이상 포함하는 탄화수소, 및 방향족 탄화수소, 지환식 탄화수소 등의 환형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스쿠알렌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은, 표면 시트에 적용한 후의 겔에 점착성이 생기지 않고, 또한, 서방된 유제에 의한 끈적임도 생기지 않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유(B)는, 37.8℃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5∼50 mm2/s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10∼30 mm2/s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mm2/s의 범위 내이다. 이 동점도가 5 mm2/s 미만이면, 탄화수소유(B)가 겔상 조성물의 제조시에 휘발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표면 시트에 적용한 후의 겔의 물성에 편차가 생길 우려가 있다. 한편, 이 동점도가 50 mm2/s를 초과하면, 표면 시트에 적용한 후의 겔이 딱딱해지고, 점착성도 생기기 쉬워진다. 또, 탄화수소유(B)의 동점도는, JIS K 2283:2000의 「5. 동점도 시험 방법」에 따라, 캐논 펜스케 역류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37.8℃의 시험 온도에서 측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유(B)의 배합량은,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혼합물(A) 100 질량부에 대하여, 500∼4800 질량부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800∼3000 질량부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1500 질량부의 범위 내이다. 이 배합량이 500 질량부 미만이면, 표면 시트에 적용한 후의 겔이 딱딱해지고, 신장도 저하되기 때문에, 표면 시트의 유연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한편, 이 배합량이 4800 질량부를 초과하면, 겔이 지나치게 유연해져, 표면 시트에 적용한 후에 겔이 상기 표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으로 침투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겔상 조성물은, 25℃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50∼200 mm2/s인 실리콘 오일(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C)은, 실리콘 오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공지된 실리콘 오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C)로는, 예컨대,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등의 디오르가노폴리실록산, 시클로펜타실록산 등의 환형 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디메틸폴리실록산은, 겔상 조성물에 유제 등의 적절한 서방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C)은, 25℃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50∼200 mm2/s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70∼150 mm2/s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80∼120 mm2/s의 범위 내이다. 이 동점도가 50 mm2/s 미만이면, 실리콘 오일(C)이 겔상 조성물의 제조시에 휘발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표면 시트에 적용한 후의 겔의 물성에 편차가 생길 우려가 있다. 한편, 이 동점도가 200 mm2/s를 초과하면, 유제 등의 서방량이 적어지고, 점착성도 생기기 쉬워진다. 또, 실리콘 오일(C)의 동점도에 관해서도, JIS K 2283:2000의 「5. 동점도 시험 방법」에 따라, 캐논 펜스케 역류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25℃의 시험 온도에서 측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C)의 배합량은,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혼합물(A) 100 질량부에 대하여, 20∼60 질량부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30∼50 질량부의 범위 내이다. 이 배합량이 20 질량부 미만이면, 유제 등의 서방량이 적어진다. 한편, 이 배합량이 60 질량부를 초과하면, 유제 등의 서방량이 지나치게 많아져, 겔의 표면이 기름지게 된다.
또한, 겔상 조성물은, 원하는 제품 특성 등에 따라, 안정제, 산화 방지제(예컨대, BHT(2,6-디-t-부틸-p-크레졸), BHA(부틸화히드록시아니솔), 갈산프로필 등), 광안정제, 착색제, 안료(예컨대, 산화티탄, 산화아연 등), 향료, 무기 분체(예컨대, 알루미나, 탈크, 마이카, 탄산칼슘, 클레이 등), 유기 분체(예컨대, PE, PP, 실리콘 수지의 파우더 등) 등의 임의의 첨가제 또는 다른 성분을 적어도 1종,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성분으로는, 예컨대, 스킨 케어 작용을 갖는 오일류(예컨대, 호호바 오일, 동백 오일 등), 비타민류, 각종 아미노산, 펩티드, 제올라이트, 콜레스테롤, 히알루론산, 레시틴, 세라미드, 피부 수렴제, 항여드름제, 항주름제, 항셀룰라이트제, 미백제, 항균제, 항곰팡이제, 항염증 성분, pH 조정제, 보습제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겔상 조성물은, 38℃의 온도 조건하에서도 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겔상 조성물을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에 도공한 흡수성 물품은, 흡수성 물품의 착용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체온 등에 의해 상기 겔상 조성물이 용융되는 일이 없어, 후술하는 단섬유에 의한 보풀 형성을 지속적으로 또한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겔상 조성물은,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에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즉, 비피부면측의 면)까지 침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으로부터 비피부면측으로 침투하는 액상 배설물이, 비피부면측의 면을 향함에 따라 상기 표면 시트의 면 방향으로 확산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기 표면 시트의 면 방향으로 확산되면서 상기 표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의 면에 도달한 액상 배설물을, 상기 표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의 면에 배치되어 있는 코어랩 시트를 통해, 광범위한 개소로부터 흡수 코어에 흡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액상 배설물의 흡수체에 대한 흡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흡수성이 우수한 흡수성 물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겔상 조성물은, 전술한 각종 배합 성분을, 임의의 공지된 혼합 수단을 이용하여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각종 배합 성분을, 동시에 혹은 임의의 순서로 혼합 장치 내에 공급하고, 상기 혼합 장치 내에서 용융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용융 혼합의 수단에 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고, 임의의 공지된 혼합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그러한 혼합 수단으로는, 예컨대, 단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롤, 밴버리 믹서, 각종 니더, 배합 킬른 등의 혼합 장치를 들 수 있다.
전술한 겔상 조성물은, 적절한 경도와 신장을 갖는 것에 더하여, 서방성도 갖기 때문에, 각종 도공 장치 또는 성형 장치에 대한 부착을 억제하면서, 표면 시트 상에 도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겔상 조성물이, 고분자량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보다, 저분자량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많이 함유하는 것이면, 100℃ 전후의 온도 조건에 있어서도 적절한 유동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에 대하여, 다양한 도공 패턴으로 또한 용이하게 도공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시트에 있어서, 겔상 조성물의 도공 패턴은, 겔상 조성물이 도공된 도공 영역과, 겔상 조성물이 도공되어 있지 않은 비도공 영역이 형성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표면 시트의 액빠짐성이나 액침투성, 겔상 조성물의 작용 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도공 패턴으로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에 도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시트는, 전술한 소수성의 겔상 조성물을, 친수성의 단섬유로 구성되는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에, 간헐적으로 도공함으로써,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에, 도 1 및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겔상 조성물이 도공된 도공 영역(6)과, 겔상 조성물이 도공되어 있지 않은 비도공 영역(7)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도공 영역(6)은, 겔상 조성물이, 표면 시트(2)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단섬유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되어, 상기 표면 시트(2)의 피부면측의 면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부직포 내의 단섬유가 피부면측의 면에 노출될 수 없어, 상기 단섬유에 의한 보풀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표면 시트(2)의 피부면측의 면에 노출되어 있는 겔상 조성물의 표면은 평활하기 때문에, 상기 표면 시트(2)의 피부면측의 면의 촉감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표면 시트를 적용한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겔상 조성물이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에 도공되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소수성을 갖는 겔상 조성물의 도공 영역(6)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표면 시트(2)의 내부는 친수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도공 영역(6)에 있어서의 소수성의 발수 작용과 상기 표면 시트(2)의 내부에 있어서의 친수성의 흡수 작용의 상승 작용에 의해, 표면 시트(2)의 피부면측의 면 상에 공급된 뇨 등의 액상 배설물(U)이, 상기 겔상 조성물이 도공되어 있지 않은 비도공 영역(7)을 통해, 상기 표면 시트(2)의 내부에 인입되기 쉬운 상태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두께 방향(DT)의 액침투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표면 시트(2)의 액빠짐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2)에 착용자의 체압 등이 가해져, 표면 시트(2)의 내부로 침투한 액상 배설물(U)이 표면 시트(2)의 피부면측을 향하여 이행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소수성의 겔상 조성물이 표면 시트(2)의 피부면측의 면에 존재함으로써, 상기 액상 배설물(U)이 표면 시트(2)의 피부면측의 면으로 침출하는 것이 저해되기 때문에, 한번 내부로 침투한 액상 배설물(U)의 액복귀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표면 시트를 적용한 흡수성 물품은, 표면의 드라이성 및 두께 방향의 액침투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액빠짐성」이란,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 상에 공급된 액상 배설물이, 상기 피부면측의 면 상으로부터 비피부면측으로 빠져나갈 때의 빠짐 용이성을 의미하며, 상기 액상 배설물이,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 상으로부터 비피부면측으로 빠져나가, 상기 표면 시트 내로부터 없어지는 데에 걸리는 시간(즉, 「빠짐 속도」)에 의해 정량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액침투성」이란,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 상에 공급된 액상 배설물이, 상기 피부면측의 면 상으로부터 상기 표면 시트 내로 침투할 때의 침투 용이성을 의미하며, 상기 액상 배설물이,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 상으로부터 상기 표면 시트 내로 다 침투하는 데 걸리는 시간(즉, 「침투 속도」)에 의해 정량 평가할 수 있다.
상기 빠짐 속도 및 상기 침투 속도는, 이하의 흡수성 평가 시험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흡수성 평가 시험에 있어서는, 우선, 유니참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시판되고 있는 베이비용 종이 기저귀, 무니 「에어 피트」 S 사이즈로부터 표면 시트를 제거하고, 이 표면 시트를 제거한 부분에 평가 대상이 되는 표면 시트(예컨대, 겔상 조성물을 도공한 표면 시트 등)를 접합함으로써, 흡수성 평가 시험용 샘플을 제작한다. 그리고, 이 흡수성 평가 시험용 샘플의 표면 시트 상에, 40 ml의 모의 뇨를 1회 적하하여, 이 모의 뇨가 전부 상기 표면 시트 내로 이행한 시간(초)을 계측하고, 이 계측된 시간을 침투 속도(초)로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모의 뇨가 표면 시트를 통과하여, 전부 흡수체측으로 이행한 시간(초)을 계측하고, 이 계측된 시간을 빠짐 속도(초)로 한다. 또, 상기 모의 뇨는, 이온 교환수 10 L에, 우레아 200 g, 염화나트륨 80 g, 황산마그네슘 8 g, 염화칼슘 3 g 및 색소(청색 1호) 약 1 g을 용해시킴으로써 조제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같이, 전술한 겔상 조성물은, 흡수성 물품을 신장된 상태의 평면에서 보아,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DL)으로 연장되며, 또한 폭 방향(DW)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대략 직선형의 도공 패턴으로,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에 도공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표면 시트에 있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술한 대략 직선형은, 물결 형상이나 지그재그형, 점선형 등의 선형이어도 좋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겔상 조성물이 이와 같이 선형으로 도공되어 이루어지는 영역을 「선형 도공 영역」이라고 한다. 또한, 상기 폭 방향(DW)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선형 도공 영역의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전술한 표면 시트의 액빠짐성 및 두께 방향의 액침투성의 효과 면에서, 1 mm∼10 mm가 바람직하고, 2 mm∼5 mm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각 선형 도공 간격은, 등간격이어도 좋고, 상이한 간격이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선형이 연장되는 방향에 관해서도,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DL) 이외의 방향(예컨대, 폭 방향(DW) 등)이어도 좋고, 각 선형 패턴이 교차하는 방향(즉, 격자형의 도공 패턴이 되는 방향)이어도 좋다. 또한, 겔상 조성물의 도공 패턴은,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의 소정 영역으로 퍼지는 복수의 도트형이어도 좋고(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겔상 조성물이 이와 같이 도트형으로 도공되어 이루어지는 영역을 「점형 도공 영역」이라고 함), 기하학적 형상이나 디자인성이 있는 모양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겔상 조성물의 도공 패턴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표면 시트에 있어서, 액빠짐성이 높은 개소를 원하는 개소에 설정하거나, 의장성을 부여하거나 할 수 있고, 다양한 요구에 대응한 제품 설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시트에 있어서, 겔상 조성물의 도공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공지된 도공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그러한 도공 수단으로는, 예컨대, 다이 또는 토출 노즐을 구비한 압출 장치; 스파이럴 코터, 커튼 코터, 스프레이 코터, 딥 코터 등의 비접촉식의 코터; 접촉식의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표면 시트 상의 겔상 조성물이 도공되는 범위(즉,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의 면적에 대한 도공 영역의 면적의 비율)에 관해서는,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의 면적(이하, 간단히 「표면 시트의 면적」이라고 함)에 대하여, 약 1%∼약 50%의 면적률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약 30%의 면적률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0%∼약 15%의 면적률이다. 상기 겔상 조성물이 표면 시트의 면적에 대하여 1% 미만의 면적률로 도공되어 있으면, 상기 겔상 조성물의 도공 영역이 적어,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에 있어서의 소수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전술한 액빠짐성 및 두께 방향의 액침투성의 효과가 잘 얻어지지 않게 되고, 또한, 표면 시트 상의 겔상 조성물의 양이 적기 때문에, 상기 겔상 조성물이 갖는 효과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 한편, 상기 겔상 조성물이 표면 시트의 면적에 대하여 50%를 초과하는 면적률로 도공되어 있으면, 겔상 조성물이 도공되어 있지 않은 표면 시트 상의 영역(즉, 비도공 영역)이 적기 때문에,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 상에 공급된 액상 배설물이, 상기 표면 시트 내로 침투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에 도공되는 겔상 조성물의 도공량은, 통상 1∼30 g/m2의 범위 내이지만, 바람직하게는 6∼15 g/m2의 범위 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10 g/m2의 범위 내이다. 상기 겔상 조성물의 도공량이 6 g/m2 미만이면, 상기 겔상 조성물의 도공량이 적어,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에 있어서의 소수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전술한 액빠짐성 및 두께 방향의 액침투성의 효과가 잘 얻어지지 않게 되고, 또한, 상기 겔상 조성물의 도공량이 15 g/m2를 초과하면, 상기 겔상 조성물의 소수성에 의해 튀는 정도가 증대되기 때문에, 전술한 두께 방향의 액침투성의 효과가 잘 얻어지지 않게 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겔상 조성물의 도공량은,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한다.
(1) 겔상 조성물이 도공된 표면 시트의 측정 대상이 되는 소정 범위를, 예컨대, 커터의 교체날 등의 예리한 날붙이를 이용하여, 그 두께를 변화시키지 않도록 잘라내어, 도공량 측정용의 샘플을 얻는다.
(2) 잘라낸 샘플의 면적: SA(m2) 및 질량: SM0(g)을 측정한다.
(3) 측정 후의 샘플을, 방향족계 용매(예컨대, 톨루엔 등) 등의 겔상 조성물이 가용인 용매 중에 침지하고, 적어도 3분간 교반하여, 상기 겔상 조성물을 용매 중에 용출시킨다.
(4) 미리 질량을 측정한 여과지를 이용하여 상기 용매 중의 샘플을 여과한 후, 그대로 여과지 상에서, 샘플을 용매로 충분히 세정한다. 세정 후의 샘플을 여과지마다 100℃의 오븐 내에서 충분히 건조시킨다.
(5) 건조 후의 여과지 및 샘플의 질량을 측정하고, 그 값으로부터 미리 측정한 여과지의 질량을 빼는 것에 의해, 건조 후의 샘플의 질량: SM1(g)을 산출한다.
(6) 겔상 조성물의 도공량 GBS(g/m2)를, 다음 식 (1)에 의해 산출한다.
Figure pct00001
또, 상기 겔상 조성물의 도공량은, 측정 오차를 적게 하기 위해, 샘플의 총면적이 100 cm2를 초과하도록 복수의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복수의 샘플을 잘라내어, 각각의 샘플에 관해서 상기 (2)∼(6)의 측정 작업을 행하고, 각각의 측정 작업으로부터 얻어진 도공량 GBS의 평균치를 채용한다.
또한, 겔상 조성물은, 표면 시트를 형성하는 부직포를 제조할 때에 도공해도 좋고, 부직포를 제조한 후에 도공해도 좋다. 설비 투자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상기 겔상 조성물은, 흡수성 물품의 제조 라인에 있어서 표면 시트 상에 도공할 수도 있지만, 그 경우, 유제 등의 탈락에 의한 오염을 억제한다는 점에서, 제조 라인의 하류 공정(예컨대, 제품을 개별로 곤포하는 공정의 직전 등)에 있어서 표면 시트 상에 도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된 표면 시트(2)는, 일회용 기저귀(1)의 두께 방향(DT)의 피부면측에 있어서, 일회용 기저귀(1)의 길이 방향(DL)으로 연장되는 중앙 축선(CL) 상에 배치되고, 착용자의 피부면에 직접 접촉할 수 있는 액투과성의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에 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부직포]
본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2)를 구성하는 부직포로는, 단섬유에 의해 형성된 에어스루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에어스루 부직포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웹에 열풍을 통과시켜,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점을 열융착시킴으로써 얻어진 부직포이다.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웹은, 카드기 등을 사용한 공지된 웹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웹 형성 방법으로는, 예컨대, 단섬유를 공기의 흐름에 의해 반송하여 네트 상에 퇴적시키는 방법(에어레이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웹은, 부직포화 전의 섬유 집합체이고, 부직포 제조 과정에서 가해지는 처리(예컨대, 에어스루법, 캘린더법 등에 있어서의 가열 융착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고, 섬유끼리가 매우 느슨하게 얽혀 있는 상태에 있다.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웹에 대한 에어스루 처리는, 예컨대, 열풍 분사 장치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에어스루 처리에서는, 소정 온도(예컨대 120∼160℃)로 가열된 열풍이 웹에 대하여 분사되고, 이 열풍이 웹을 빠져나감으로써, 웹 중의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점이 열융착된다. 이러한 에어스루 처리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로는, 예컨대, 시스(sheath) 성분이 고밀도 폴리에틸렌이고, 코어 성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복합 섬유로서, 섬유 길이가 20∼80 mm, 바람직하게는 35∼65 mm이고, 섬도가 1.1∼8.8 dtex, 바람직하게는 2.2∼5.6 dtex인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를 주체로 한 부직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시트에 있어서, 부직포는, 전술한 에어스루 부직포에 한정되지 않고, 단섬유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이면, 종래부터 공지된 임의의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한 부직포로는, 예컨대, 전술한 에어스루 부직포 외에, 예컨대, 스펀레이스 부직포나 습식 부직포 등의 소위 단섬유 부직포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단섬유 부직포를 구성하는 단섬유의 섬유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부직포의 촉감이나 액투과성, 유연성, 통기성, 부피,강도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 mm∼80 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mm∼65 mm이다. 이 섬유 길이가 20 mm 미만이면, 섬유가 지나치게 짧아 섬유끼리가 얽히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표면 시트로서의 강도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고, 또한, 시트형으로 형성하는 것 자체가 어려워진다. 또한, 이 섬유 길이가 80 mm를 초과하면, 섬유가 길고 표면 시트로서의 강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기 때문에, 요철 형상 등이 형성되기 어려워지고, 또한 촉감이 악화될 우려도 있다.
또한,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천연 섬유나 화학 섬유 등을 들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분쇄 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레이온, 피브릴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열융착성 복합 섬유,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섬유, PE 및 PP의 그래프트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부직포는, 부직포를 형성한 후에 친수화 처리되어도 좋다.
또한,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직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부직포의 촉감이나 액투과성, 통기성, 부피,강도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5 dtex∼10.0 dtex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dtex∼5.0 dtex이다. 이 섬유 직경이 0.5 dtex 미만이면, 섬유가 지나치게 가늘어 표면 시트로서의 강도가 불충분해지는 것에 더하여, 섬유가 가벼운 것에서 기인하여 섬유끼리가 얽히기 쉽고, 예컨대, 에어스루 제법에 의해 적층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이 섬유 직경이 10.0 dtex를 초과하면, 표면 시트가 딱딱해지기 때문에, 촉감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또, 섬유 직경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섬유를 확대 관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면 시트(2)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평면에서 보아, 길이 방향(DL)을 장변으로 하는 대략 장방형의 외형 형상을 갖고 있지만, 본 발명의 표면 시트에 있어서는,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부직포는, 장방형 이외의 사각 형상이어도 좋고, 타원형이나 장원형, 표주박 형상 등의 곡선을 포함하는 것과 같은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시트에 있어서, 부직포는, 단섬유에 의해 형성된 단층 구조의 부직포여도 좋고, 단섬유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의 비피부면측에 다른 부직포가 적층된, 2층 이상의 적층 구조를 갖는 부직포여도 좋다.
또한, 표면 시트의 사이즈는, 표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배치되는 흡수체의 피부면측 표면의 전면을 피복할 수 있는 사이즈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흡수성 물품의 착용 대상자의 사이즈나 성별, 용도 등에 따라, 임의의 사이즈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의 두께에 관해서도, 흡수성 물품으로서 필요한 액투과성, 강도 및 유연성 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두께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표면 시트의 두께는, 0.001 mm∼5.0 mm의 범위 내로 할 수 있지만, 적합한 액투과성, 쿠션성, 촉감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0.01 mm∼3.0 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mm∼1.0 mm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면 시트(2)는, 적어도 피부면측의 면이 평탄한 구조를 갖고 있지만, 본 발명의 표면 시트에 있어서는,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면 시트는, 피부면측의 면에, 복수의 볼록부 및 복수의 오목부 중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것 등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표면 시트로서 피부면측의 면에 복수의 볼록부를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의 적어도 일부의 볼록부에, 전술한 겔상 조성물이 도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볼록부는, 착용자의 피부면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지만, 이러한 부분에 전술한 겔상 조성물이 도공되어 있으면, 상기 부분이 소수성이 되기 때문에, 상기 부분에 있어서 뇨 등의 액상 배설물이 잔류하거나, 액복귀하거나 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배출된 액상 배설물이 착용자에게 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상기 볼록부는, 원하는 액빠짐성이나 액침투성, 쿠션성, 촉감 등에 따라, 임의의 구조의 것을 채용할 수 있고, 예컨대, 상기 볼록부는, 표면 시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랑(畝)부(볼록조부)여도 좋고, 혹은 능선이 둥글려진 편평한 직방체 또는 절두 사각뿔체, 정점이 둥글려진 각뿔형(예컨대, 삼각뿔형, 사각뿔형 등), 정점이 둥글려진 원뿔형, 아치형 등의 입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돌출부여도 좋다.
또한, 상기 볼록부 이외의 부분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고랑(溝)부여도 좋고, 평탄부여도 좋고,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면 시트에 있어서는, 전술한 복수의 볼록부 및 복수의 오목부 중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구조가, 복수의 이랑부 및 복수의 고랑부를 포함하는 구조(즉, 이랑고랑 구조)이다. 이러한 이랑고랑 구조로는, 예컨대, 복수의 이랑부가, 표면 시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며, 또한 폭 방향(DW)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직선형의 이랑부로서 형성되며, 또한 인접하는 2개의 이랑부 사이의 부분이, 표면 시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고랑부로서 형성된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랑부 및 고랑부가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DL)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양태의 이랑고랑 구조를 채용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 상에 공급된 뇨 등의 액상 배설물이, 이랑부 및 고랑부를 따라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DL)으로 확산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액상 배설물이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DW)으로 퍼지는 것이 억제되고, 이것에서 기인하는 폭 방향(DW)으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DL)으로 확산되면서 표면 시트를 투과한 액상 배설물을, 흡수체의 넓은 영역으로부터 흡수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액상 배설물의 흡수 효율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이랑고랑 구조에 있어서, 이랑부의 높이, 즉, 이랑부의 정상부를 포함하는 수평면과 고랑부의 바닥부를 포함하는 수평면 사이의 거리는, 표면 시트 상에 공급된 뇨 등의 액상 배설물을 소정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이랑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했을 때에, 착용자에게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통상 0.1∼1.2 mm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0.2 mm∼1.0 mm의 범위 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mm∼0.8 mm의 범위 내이다. 또, 이랑부의 높이는, 레이저 변위계(예컨대, 키엔스 주식회사 제조의 고정밀도 2차원 레이저 변위계 LJ-G 시리즈(형식: LJ-G030))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비접촉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100 mm×100 mm의 사이즈로 잘라낸 표면 시트의 샘플을 수평의 측정대 상에 얹어 놓고, 상이한 5개의 이랑부에 관해서, 측정대로부터의 변위를 레이저 변위계로 측정하여, 5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이랑부의 두께(mm)로 한다. 마찬가지로, 상이한 5개의 고랑부에 관해서, 측정대로부터의 변위를 레이저 변위계로 측정하여, 5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고랑부의 두께(mm)로 한다. 상기 이랑부의 두께(mm)와 상기 고랑부의 두께(mm)의 차로부터, 이랑부의 높이(mm)를 산출한다.
또한, 전술한 이랑고랑 구조의 이랑부 및 고랑부의 각 폭에 관해서도, 이랑부의 폭은, 통상 1.0∼5.0 mm의 범위 내의 폭으로 할 수 있지만, 액상 배설물의 확산성이나 액빠짐성, 쿠션성, 촉감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2.0∼4.0 mm이다. 또, 이랑부의 폭이 5.0 mm를 초과하면, 액상 배설물이 이랑부에 잔류하기 쉬워지고, 액빠짐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마찬가지로, 고랑부의 폭은, 통상 1.0∼3.0 mm의 범위 내의 폭으로 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1.0∼2.0 mm이다.
또한, 이랑고랑 구조의 피치(즉, 인접하는 2개의 이랑부의 정상부 중심끼리의 간격(mm))는, 2.0 mm∼8.0 mm의 범위 내로 할 수 있지만, 액상 배설물의 확산성이나 액빠짐성, 쿠션성, 촉감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2.0 mm∼6.0 mm이다. 또, 이랑부의 폭은, 무가압 상태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의 평면 사진 또는 평면 화상에 기초하여, 이랑부와, 상기 이랑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고랑부의 사이의 경계선끼리간의 거리로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고랑부의 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표면 시트에 있어서, 표면 시트의 구조로서 채용할 수 있는 이랑고랑 구조는, 전술한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이랑고랑 구조의 이랑부 및 고랑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DL) 이외의 방향(예컨대,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DW) 등)으로 연장되는 양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향을 변화시키면서(예컨대, 물결형이나 지그재그형 등) 연장되는 양태,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DL)으로 비연속적(즉,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양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접하는 2개의 이랑부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양태, 또는 이들 양태의 2가지 이상을 임의로 조합한 양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랑부 및 고랑부의 연장되는 방향이나 형태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표면 시트 상에 공급된 액상 배설물의 확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요구에 대응한 제품 설계를 실현할 수 있다.
표면 시트에 전술한 이랑고랑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507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332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30218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섬유 웹에 연속적으로 기체(통상은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이랑고랑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이나, 진공 성형을 이용하는 방법, 기어 연신을 이용하는 방법, 열신장성 섬유의 열신장 및/또는 열수축성 섬유의 열수축을 이용하는 방법 등의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표면 시트로서 이러한 이랑고랑 구조를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이랑부 중의 적어도 일부의 이랑부에 있어서, 전술한 겔상 조성물이, 상기 이랑부를 따른 선형 도공 영역 또는 점형 도공 영역으로서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이랑부는, 착용자의 피부면에 접촉하는 부분이지만, 이러한 부분에 전술한 겔상 조성물이 도공되어 있으면, 상기 부분이 소수성이 되기 때문에, 상기 부분에 있어서 뇨 등의 액상 배설물이 잔류하거나, 액복귀하거나 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배출한 액상 배설물이 착용자에게 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음과 동시에, 이랑고랑 구조를 가짐으로써 발휘되는 전술한 효과, 즉, 액상 배설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액상 배설물의 흡수 효율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누릴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표면 시트의 평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액투과성이나 강도, 유연성 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평량을 채용할 수 있다. 그러한 평량으로는, 예컨대, 10 g/m2∼100 g/m2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g/m2∼50 g/m2이다. 이 평량이 10 g/m2 미만이면, 표면 시트로서의 표면 강도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흡수성 물품의 착용 중에 찢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이 평량이 100 g/m2를 초과하면, 과도한 뻣뻣함이 생겨,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에게 불쾌감이나 위화감 등을 줄 우려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표면 시트가 적용되는 흡수성 물품의 다른 구성 부재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된 표면 시트를 이용한 일회용 기저귀(1)에 있어서, 흡수체(4)는, 표면 시트(2)의 비피부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표면 시트(2)를 투과한 뇨 등의 액상 배설물을 흡수, 유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수체는, 흡수성이나 장착시의 쾌적성 등을 고려하면, 벌키하고, 형붕괴되기 어렵고, 화학적 자극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점에서, 흡수체(4)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액상 배설물을 흡수, 유지하기 위한 흡수 코어(41)와, 상기 흡수 코어(41)를 둘러싸는 코어랩 시트(42)를 포함하는 것이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체(4)의 피부면측에 배치되는 표면 시트(3)와 상기 코어랩 시트(42)는,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임의의 접착제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상기 흡수 코어로는, 예컨대, 플러프 펄프, 스펀본드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셀룰로오스계 섬유 등의 친수성 섬유, 친수화 처리된 열가소성 섬유 등의 섬유재와, 아크릴산나트륨 코폴리머 등의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흡수 코어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좋고, 예컨대, 전술한 섬유재만을 코어랩 시트로 둘러싼 것을 흡수체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코어랩 시트로는, 뇨 등의 액상 배설물이 투과할 수 있는 정도의 액투과성을 가지며, 또한 내포하는 흡수 코어의 구성 요소가 투과하지 않는(즉, 흡수 코어를 구성하는 섬유재가 누출되지 않는) 정도의 배리어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천연 섬유나 화학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직포, 편포 등의 시트형의 섬유 구조체를 들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평량이 약 10 g/m2∼약 30 g/m2 정도인 티슈나 액투과성 부직포, 친수성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흡수체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원하는 흡수 성능이나 사이즈, 용도 등에 따라, 임의의 구조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1)에 있어서,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3)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부터 공지된 임의의 시트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한 시트 부재로는, 예컨대, PE, PP 등을 포함하는 필름, 통기성을 갖는 수지 필름, 스펀본드 또는 스펀레이스 등의 부직포에 통기성을 갖는 수지 필름을 접합한 적층체, SMS 등의 복층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시트가 적용되는 흡수성 물품은, 원하는 제품 특성이나 용도 등에 따라, 임의의 구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시트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일회용 기저귀 외에, 예컨대, 실금 패드,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등의 여러가지 흡수성 물품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시트는, 전술한 실시형태 등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시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3 mm 피치의 이랑고랑 구조를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 상에, 폴리스티렌-블록-폴리(에틸렌-코-부틸렌)-블록-폴리스티렌(SEBS) 5 질량%와, 폴리스티렌-블록-폴리에틸렌-블록-폴리(에틸렌-코-프로필렌)-블록-폴리스티렌(SEPS) 2 질량%와, 파르림(PARLEAM) 6(니치유 주식회사 제조, 유동 이소파라핀, 이소부텐 및 n-부텐을 공중합하고, 계속해서 수소를 부가함으로써 생성된 분기쇄 탄화수소, 중합도: 약 5∼약 10, 중량 평균 분자량: 약 330) 90 질량%와, 실리콘 오일(100 cst) 3 질량%로 이루어지는 겔상 조성물을, 도공 폭 2 mm, 도공 간격 2 mm로 도공하여, 복수의 선형 도공 영역을 갖는 표면 시트 샘플을 제작했다. 이 작성한 표면 시트 샘플을, 유니참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시판되고 있는 베이비용 종이 기저귀, 무니 「에어 피트」 S 사이즈로부터 표면 시트를 제거한 부분에,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여, 실시예 1의 흡수성 물품을 제작했다.
비교예 1
전술한 표면 시트 상에 겔상 조성물을 도공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의 흡수성 물품을 제작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흡수성 물품에 관해서, 빠짐 속도, 침투 속도 및 리웨트량을 이하의 요령으로 측정하고, 또한, 각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의 촉감을 10인의 평가자에 의해 관능 평가했다. 각각의 측정치 등은 표 1에 나타낸다.
침투 속도는, 각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상에, 40 ml의 모의 뇨를 1회 적하하여, 이 모의 뇨가 전부 상기 표면 시트 내로 이행한 시간(초)을 계측하고, 이 계측된 시간을 침투 속도(초)로 했다. 마찬가지로, 빠짐 속도는, 상기 모의 뇨가 표면 시트를 통과하여, 전부 흡수체측으로 이행한 시간(초)을 계측하고, 이 계측된 시간을 빠짐 속도(초)로 했다. 이들 빠짐 속도 및 침투 속도의 측정은, 각각 연속하여 3회 실시했다. 또, 상기 모의 뇨는, 이온 교환수 10 L에, 우레아 200 g, 염화나트륨 80 g, 황산마그네슘 8 g, 염화칼슘 3 g 및 색소(청색 1호) 약 1 g을 용해시킴으로써 조제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각 흡수성 물품에 관해서, 리웨트량(g)을 다음 시험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1) 샘플의 모의 뇨 적하 위치에 표시를 한다.
(2) 샘플의 중량 및 모의 뇨 적하 위치의 두께를 측정한다. 두께의 측정에는 두께계(PEACOCK DIAL THICKNESS GAUGE, 직경 50 mm)를 사용한다.
(3) 샘플을 고정한다.
(4) 모의 뇨 적하 위치의 상측 10 mm의 위치에 뷰렛을 고정한다.
(5) 일단 뷰렛을 제거하고, 모의 뇨 적하 위치의 표시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샘플 상에 원통(직경 60 mm, 무게 200 g)을 설치한다.
(6) 뷰렛을 모의 뇨 적하 위치(원통의 중앙)에 복귀시키고, 1회째의 모의 뇨 적하를 개시한다(T=0).
(7) 모의 뇨 70 mL를 적하한다.
(8) 원통 내에서, 표면 시트의 표면으로부터 모의 뇨가 없어질 때까지 기다린다.
(9) 여과지(아도반테크 No.2, 100 mm×100 mm)의 중량(g)을 측정하고, 이것을 「중량 A(g)」로 한다.
(10) 모의 뇨 적하 개시 5분 후(T=5분)에, 중량 측정이 완료된 여과지(아도반테크 No.2, 100 mm×100 mm)를, 여과지의 중앙과 모의 뇨 적하 위치가 일치하도록 샘플 상에 설치하고, 그 위에 추(3.5 kg)를 설치한다.
(11) 모의 뇨 적하 개시 8분 후(T=8분)(추를 설치하고 나서 3분 후), 추를 제거하고, 여과지의 중량(g)을 측정하고, 이것을 「중량 B(g)」로 한다.
(12) 여과지의 중량의 변화량(중량 B(g)-중량 A(g))을 산출하고, 이것을 「제1 리웨트량(g)」으로 한다.
(13) 1회째의 모의 뇨 적하 개시로부터 10분 후(T=10분)에 2회째의 모의 뇨 적하를 개시한다.
(14) 모의 뇨 70 mL를 적하한다.
(15) 상기 (8)∼(12)와 동일하게 하여, 원통 내에서, 표면 시트의 표면으로부터 모의 뇨가 없어질 때까지 기다려, 여과지의 중량의 변화량(g)을 산출하고, 이것을 「제2 리웨트량(g)」으로 한다.
(16) 2회째의 모의 뇨 적하 개시로부터 10분 후(T=20분)에 3회째의 모의 뇨 적하를 개시한다.
(17) 모의 뇨 70 mL를 적하한다.
(18) 상기 (8)∼(12)와 동일하게 하여, 원통 내에서, 표면 시트 표면으로부터 모의 뇨가 없어질 때까지 기다려, 여과지의 중량의 변화량(g)을 산출하고, 이것을 「제3 리웨트량(g)」으로 한다.
(19) 제1∼제3 리웨트량의 측정을 각각 5회 반복하고, 이들의 평균치를 산출한다.
Figure pct00002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흡수성 물품은, 겔상 조성물을 도공하지 않은 비교예 1의 흡수성 물품과 동등한 침투 속도를 유지하면서, 빠짐 속도 및 리웨트량의 모두가, 비교예 1의 흡수성 물품과 비교하여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면 시트의 촉감의 관능 평가에서는, 비교예 1의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 상의 촉감이 따끔거림을 느낀다는 사람이 많았던 반면, 실시예 1의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 상의 촉감을 매끄럽게 느낀다는 사람이 많았다.
1: 일회용 기저귀, 2: 표면 시트, 3: 이면 시트, 4: 흡수체, 41: 흡수 코어, 42: 코어랩 시트, 5: 측부 시트 부재, 6: 도공 영역, 7: 비도공 영역

Claims (8)

  1.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로서,
    상기 표면 시트는, 단섬유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와, 38℃에서 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및 탄화수소유를 포함하는 소수성의 겔상 조성물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에, 상기 겔상 조성물이 도공된 도공 영역과 상기 겔상 조성물이 도공되어 있지 않은 비도공 영역을 갖고,
    상기 도공 영역은, 상기 겔상 조성물이 상기 부직포의 단섬유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부에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충전되어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의 면에 노출되어 있는 표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가, 피부면측의 면에, 복수의 볼록부 및 복수의 오목부 중의 한쪽 또는 둘다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고 있는 표면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볼록부 및 복수의 오목부 중의 한쪽 또는 둘다를 포함하는 구조가, 복수의 이랑부 및 복수의 고랑부를 포함하는 이랑고랑 구조이고, 상기 복수의 이랑부 중의 일부 또는 전부의 이랑부에, 상기 겔상 조성물이 도공되어 있는 표면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섬유의 섬유 직경이 0.5 dtex∼10.0 dtex인 표면 시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섬유의 섬유 길이가 20 mm∼80 mm인 표면 시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공 영역이, 상기 표면 시트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선형 도공 영역이고, 상기 선형 도공 영역의 간격이 1 mm∼10 mm인 표면 시트.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겔상 조성물이,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이상 18만 미만이며, 또한 트리블록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1)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8만 이상 30만 이하이며, 또한 트리블록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2)를, (A1)/(A2)=95/5∼50/50의 질량비로 포함하며, 또한 분자량의 분산도(Mw/Mn)가 1.25∼1.60인,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혼합물(A) 100 질량부에 대하여, 37.8℃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5∼50 mm2/s인 탄화수소유(B)를 500∼4800 질량부와, 25℃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50∼200 mm2/s인 실리콘 오일(C)을 20∼60 질량부를 함유하는 표면 시트.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면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167034423A 2014-06-30 2015-01-13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 KR102305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35458A JP6418818B2 (ja) 2014-06-30 2014-06-30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JPJP-P-2014-135458 2014-06-30
PCT/JP2015/050661 WO2016002234A1 (ja) 2014-06-30 2015-01-13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355A true KR20170026355A (ko) 2017-03-08
KR102305170B1 KR102305170B1 (ko) 2021-09-28

Family

ID=55018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423A KR102305170B1 (ko) 2014-06-30 2015-01-13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JP (1) JP6418818B2 (ko)
KR (1) KR102305170B1 (ko)
CN (1) CN106470652A (ko)
AU (1) AU2015285821A1 (ko)
MY (1) MY183098A (ko)
PH (1) PH12016502465A1 (ko)
SG (1) SG11201610064QA (ko)
TW (1) TW201617049A (ko)
WO (1) WO20160022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886A (ko) * 2019-04-19 2022-01-07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스킨 케어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35533C2 (ru) * 2016-05-31 2020-11-03 Као Корпорейшн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US20230089492A1 (en) * 2020-03-25 2023-03-23 Daio Paper Corporation Disposable wearable article
JP2021154123A (ja) * 2020-03-25 2021-10-07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8088B2 (ko) 1973-03-27 1978-08-12
JP2002085451A (ja) * 2000-05-10 2002-03-26 Uni Charm Corp 油性成分を含んだ層を有するシート、および前記シートを用いた製品
JP2008503323A (ja) * 2004-06-21 2008-02-0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ローション含有トップシートを伴う吸収性物品
JP2012143543A (ja) 2010-12-20 2012-08-02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13208419A (ja) * 2012-02-29 2013-10-10 Unicharm Corp 吸収性物品
JP2014068954A (ja) * 2012-09-30 2014-04-21 Uni Charm Corp 不織布及び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25865A1 (en) * 1999-02-02 2000-08-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adhesive for attachment to the skin to facilitate adhesion in oily conditions
MY133783A (en) * 1999-07-28 2007-11-30 Dow Global Technologies Inc Hydrogenated block polymers having elasticity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3995388B2 (ja) * 2000-04-21 2007-10-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208433B2 (ja) * 2000-05-12 2009-01-1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060062816A1 (en) * 2001-10-01 2006-03-23 Gatto Joseph A Sanitary napkins with hydrophobic lotions
CN1820034B (zh) * 2002-10-15 2010-10-27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聚烯烃粘合剂组合物和由其制成的制品
DK2441420T3 (en) * 2009-06-12 2015-01-26 Sumitomo Seika Chemicals water-absorbent shee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8088B2 (ko) 1973-03-27 1978-08-12
JP2002085451A (ja) * 2000-05-10 2002-03-26 Uni Charm Corp 油性成分を含んだ層を有するシート、および前記シートを用いた製品
JP2008503323A (ja) * 2004-06-21 2008-02-0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ローション含有トップシートを伴う吸収性物品
JP2012143543A (ja) 2010-12-20 2012-08-02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13208419A (ja) * 2012-02-29 2013-10-10 Unicharm Corp 吸収性物品
JP2014068954A (ja) * 2012-09-30 2014-04-21 Uni Charm Corp 不織布及び吸収性物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886A (ko) * 2019-04-19 2022-01-07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스킨 케어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02234A1 (ja) 2016-01-07
KR102305170B1 (ko) 2021-09-28
CN106470652A (zh) 2017-03-01
MY183098A (en) 2021-02-13
JP2016013208A (ja) 2016-01-28
TW201617049A (zh) 2016-05-16
JP6418818B2 (ja) 2018-11-07
SG11201610064QA (en) 2016-12-29
AU2015285821A1 (en) 2016-12-22
PH12016502465A1 (en) 2017-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161B1 (ko) 흡수성 물품
EP3434239B1 (en) Absorbent article
JP6987767B2 (ja) 失禁用吸収性物品
KR20060126612A (ko) 액체 흡수성 열가소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에지 차단부를구비한 흡수용품
KR20170026355A (ko)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
TWI659731B (zh) 吸收性物品及不織布
AU2016364173B9 (en) Absorbent article
AU2016285644B2 (en) Surface sheet for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article using same
JP6157447B2 (ja) 吸収性物品
JP6678718B2 (ja) 吸収性物品
JP2019042520A (ja) 吸収性物品
JP7063551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