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4244A - 오염원 비산방지방법 및 그 방지기능을 갖춘 변기 - Google Patents

오염원 비산방지방법 및 그 방지기능을 갖춘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4244A
KR20170024244A KR1020150119259A KR20150119259A KR20170024244A KR 20170024244 A KR20170024244 A KR 20170024244A KR 1020150119259 A KR1020150119259 A KR 1020150119259A KR 20150119259 A KR20150119259 A KR 20150119259A KR 20170024244 A KR20170024244 A KR 20170024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ter
seat
slope
toilet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보문
Original Assignee
강보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보문 filed Critical 강보문
Priority to KR1020150119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4244A/ko
Publication of KR20170024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막형성 기능을 갖는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유입된 물이 변기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된 좌대안착부(12)에서 좌우로 분기 및 내부로 유입되어 좌대안착부(12)의 배출공(12a)을 통해 용변부(11)로 배출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10)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물을 좌대안착부(12)로 유도하면서 가속시키는 제1슬로프(13)와; 상기 좌대안착부(12)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게 절개되어 내부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면서 용변부(11)의 상부에 수막이 형성되도록 하는 분사구(12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변기에 물을 내려 용변을 배출할 때에 분사구에 의해 형성된 수막이 용변부의 상부를 차단시켜 줌에 따라 용변으로부터의 각종 오염물이 공기 중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보다 위생적으로 변기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분사구와 제1슬로프가 변기본체에 일체로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별도의 수막형성을 위한 장치를 설치해 줄 필요가 없어 구조적으로 매우 단순해지고, 이에 의해 변기의 제조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오염원 비산방지방법 및 그 방지기능을 갖춘 변기{The toilet having liquid layer forming and method for preventing pollution source scattering}
본 발명은 물을 내려 용변을 배출할 때에 좌대안착부에 일체로 형성된 분사구를 통해 선행적으로 수막을 형성한 상태에서 용변이 배출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구조적으로도 매우 단순해 제조가 용이한 오염원 비산방지방법 및 그 방지기능을 갖춘 변기에 관한 것이다.
양변기는 일명 좌변기라고도 명명되어 않은 상태에서 대소변을 볼 수 있는 서양식 변기로서, 과거 쪼그리고 않은 상태에서 대소변을 보는 재래식 변기의 불편한 점을 해소하고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현대 필수 욕실 아이템이라 할 수 있다.
양변기는 항시 변기 본체에 물이 차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배관이 구부러진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화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배관에서 악취가 역류하거나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용변을 끝마친 후 물을 내리게 되면, 이 과정에 용변으로부터의 각종 오염물이 공기 중으로 비산하게 됨에 따라 위생적으로 문제가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13724호(비데/이하 종래기술 1이라 칭함)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18283호(수막노즐 형성 양변기/이하 종래기술 2라 칭함)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 1은 기존의 양변기에 별도의 본체와 연결관, 세정노즐, 배수밸브 등을 설치하여 세정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수막을 매개로 용변부의 상부를 막아 줌으로서 각종 오염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 2는 양변기좌석 하면에 수막노즐과 다수의 급수파이프 및 밸브를 설치하여 용변부의 상부에 반구형 수막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각종 오염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 1·2는 기존의 변기에 수막형성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반드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물을 내려 용변을 배출할 때에 수막형성을 위한 별도의 동작버튼을 함께 내지는 먼저 눌러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별도의 설치공간과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13724호(비데/2014.02.05)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18283호(수막노즐 형성 양변기/2000.10.16)
본 발명은 용변 후 물 내림 시 선행적으로 수막이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용변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용변으로부터의 오염원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염원 비산방지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수막형성을 위한 장치 없이도 변기자체적으로 수막이 형성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구조적으로도 매우 단순해 제조가 용이한 수막형성 기능을 갖는 변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변 후 변기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변기물을 내리는 제1단계;
용변으로부터의 오염원에 비산을 차단하도록 내부로 유입된 변기물을 분출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수막이 형성된 상태에서 용변이 배출되고, 이후에 수막이 사라지면서 비산된 오염원과 함께 배출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입된 물이 변기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좌대안착부에서 좌우로 분기 및 내부로 유입되어 좌대안착부의 배출공을 통해 용변부로 배출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물을 좌대안착부로 유도하면서 가속시키는 제1슬로프와;
상기 좌대안착부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게 절개되어 내부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면서 용변부의 상부에 수막이 형성되도록 하는 분사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좌대안착부의 내부는 일단이 제1슬로프와 상호 연통되고, 타단이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좌대안착부의 내부에는,
상기 좌대안착부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나선구조의 제2슬로프가 더 보강 구비되고;
상기 좌대안착부에 형성되는 분사구는 제2슬로프를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구는 물 배출시 포물선을 그리며 배출될 수 있도록 사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변기에 물을 내려 용변을 배출할 때에 분사구에 의해 형성된 수막이 용변부의 상부를 차단시켜 줌에 따라 용변으로부터의 각종 오염물이 공기 중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보다 위생적으로 변기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분사구와 제1슬로프가 변기본체에 일체로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별도의 수막형성을 위한 장치를 설치해 줄 필요가 없어 구조적으로 매우 단순해지고, 이에 의해 변기의 제조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좌대안착부의 내부 일단(좌측)을 제1슬로프와 상호 연통시켜 주고, 타단(우측)을 통해서는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막아 줌에 따라 제1슬로프를 따라 유동된 물은 가속된 상태에서 좌대안착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분사구를 통한 수막형성이 보다 유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실시 예에 의하며, 좌대안착부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나선모양의 제2슬로프를 일체로 형성하여 제1슬로프에서 1차 가속된 물을 제2슬로프를 매개로 2차 가속시켜 줌으로서 분사구를 통한 원활한 수막형성 및 수막유지시간을 길게 할 수 있어 더욱더 위생적으로 변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성 기능을 갖는 변기의 제1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 단면도.
도 3은 평면상태에서의 요부 단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제1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성 기능을 갖는 변기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 - B' 단면도.
도 7은 제2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성 기능을 갖는 변기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C - C'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D - D' 단면도.
도 11은 제3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성 기능을 갖는 변기의 제1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 단면도이며, 도 3은 평면상태에서의 요부 단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제1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막형성 기능을 갖는 변기는, 유입된 물이 변기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된 좌대안착부(11)에서 좌우로 분기되어 좌대안착부(11)의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된 물은 좌대안착부(11)의 배출공(12a)을 통해 용변부(11)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상기 물은 변기본체(10)에 일측 상면에 설치되는 저수탱크(20)에 수용되어 사용자가 마개(21)를 개폐하는 레버(미도시)를 조작시켜 줌에 따라 변기본체(10)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저수탱크(20) 대신 물 공급용 관로가 직접 변기본체(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상기 변기본체(10)의 내부에는 유입되는 물을 좌대안착부(12)로 유도하면서 가속시키는 제1슬로프(13)가 보강되고, 상기 좌대안착부(12)에는 좌대안착부(12)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게 절개되어 제1슬로프(13)를 매개로 내부로 유입된 물을 배출해 용변부(11)의 상부에 수막이 형성되도록 하는 분사구(12b)를 보강해 주었다는 점이다.
일 예로서, 변기본체(10)에 일측 상면에 설치되는 저수탱크(20)의 레버(미도시)를 조작시켜 줌에 따라 저수탱크(20)에 내설된 마개(21)가 개방되고, 이에 의해 저수탱크(20)에 저수된 물이 배출되게 된다.
이때, 물은 변기본체(1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1슬로프(13)에 의해 좌대안착부(12)로 유도되는데, 이 과정에 물은 제1슬로프(13)의 경사면을 타고 내려가면서 점진적으로 가속되어 좌대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좌대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좌우로 분기되면서 좌대안착부(12)에 형성된 분사구(12b)에 의해 얇은 막 형태로 배출됨에 따라 용변부(11)의 상부에는 자연스럽게 수막이 형성되고(도 2 및 도 4 참조), 용변부(11)의 벽면에 부착된 오물은 좌대안착부(12)의 배출공(12a)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의해 떨어지게 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막은 서서히 사라지고 용변부(11)의 내부로 일정량의 물이 유입됨에 따라 물과 함께 용변은 트랩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변기에 물을 내려 용변을 배출할 때에 분사구(12b)에 의해 형성된 수막이 용변부(11)의 상부를 먼저 차단한 상태에서 용변부(11)에 수용된 용변이 트랩을 통해 배출되므로 용변으로부터의 각종 오염물이 공기 중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보다 위생적으로 변기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분사구(12b)와 제1슬로프(13)가 변기본체(10)에 일체로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별도의 수막형성을 위한 장치를 설치해 줄 필요가 없어 구조적으로 매우 단순해지고, 이에 의해 변기의 제조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좌대안착부(12)의 내부에 유로를 전체적으로 형성시켜 주거나, 또는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좌대안착부(12)의 내부에 절반만 유로를 형성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좌대안착부(12)의 내부에 유로 형상을 사각형태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단면이 원형이거 이밖에 공지의 다양한 형태를 갖는 유로로도 얼마든지 변형실시가능하다.
게다가, 본 실시 예에서는 좌대안착부(12)에 분사구(12b)를 절개된 형태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일정간격으로 구멍을 형성하여 분사구의 용도로 이용할 수도 있고, 이와 같이 형성한 구멍에 노즐을 끼워넣어 분무형태로 수막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여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성 기능을 갖는 변기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 - B' 단면도이며, 도 7은 제2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한편, 상기 좌대안착부(12)에서 물이 좌우로 분기되면서 내부로 유입되면 유속이 줄어들어 분사구(12b)를 통한 원활한 수막형성의 어려움과 수막유지시간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좌대안착부(12)의 내부 좌·우측 중 어느 하나를 제1슬로프(13)와 상호 연통시켜주는 대신 말단은 막아 줌으로서 좌대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된 일정량의 물이 일 방향으로만 유동하도록 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좌대안착부(12)의 내부 일단(좌측)을 제1슬로프(13)와 상호 연통시켜 주고, 타단(우측)을 통해서는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막아 줌에 따라 제1슬로프(13)를 따라 유동된 물은 가속된 상태에서 좌대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어 일정한 유량을 가지고 반 시계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 분사구(12b)는 내부로 공급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면서 용변부(11)의 상부에 수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사구(12b)에 의해 형성되는 수막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의 합력에 의해 대각선방향으로 분사되어 주변의 수막과 중첩됨에 따라 용변으로부터의 각종 오염물이 공기 중으로 비산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해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성 기능을 갖는 변기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C - C'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D - D' 단면도이며, 도 11은 제3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는 앞서 언급한 제2실시 예와 비교했을 때 좌대안착부(12)의 내부에 제2슬로프(14)가 더 보강된다는 점만 상이하다.
이를 좀 더 상세하세 설명하면, 상기 좌대안착부(12)에는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나선모양의 제2슬로프(14)가 일체로 형성되며, 여기서 제2슬로프(14)는 제1슬로프(13)에 의해 가속된 물을 재차 가속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좌대안착부(12)에 형성되는 분사구(12b)는 제2슬로프(14)를 기준으로 하부에 형성되어 재차 가속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면서 용변부(11)의 상부에 수막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슬로프(13)를 매개로 물을 1차 가속하고, 1차 가속시킨 물을 제2슬로프(14)를 매개로 2차 가속시켜 줌으로서 분사구(12b)를 통한 원활한 수막형성 및 수막유지시간을 길게 할 수 있어 더욱더 위생적으로 변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분사구(12b)를 좌대안착부(12)에 평행하게 형성해 주는 것보다는 물 배출시 포물선을 그리며 배출될 수 있도록 사선으로 형성시켜 주는 것이 수막을 형성하는데 보다 유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오염원 비산방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제1단계(S1)
상기 제1단계(S1)는 용변 후 변기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변기물을 내리는 단계이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변기본체(10)에 설치된 저수탱크(20)의 레버(미도시)를 조작하게 되면, 이에 의해 마개(21)가 개방되면서 저수탱크(20) 내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변기본체(10)의 제1슬로프(13)를 통해 좌대안착부(12)로 유입된다.
이때, 물은 제1슬로프(13)에 의해 가속된다.
2) 제2단계(S2)
상기 제2단계(S2)는 수막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변기본체(10)의 좌대안착부(12)로 유입된 물은 좌대안착부(12)에 형성된 분사구(12b)를 통해 용변부(11)의 상부에 수막을 형성하게 되고, 이때 좌대안착부(12)의 배출공(12a)을 통해 일부 물이 유출되면서 용변부(11)의 벽면을 따라 흐르게 되며, 이 과정에 용변으로부터 오염원 및 물방울이 비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산되는 오염원 및 물방울은 용변부(11)에 상부에 형성된 수막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3)제3단계(S3)
상기 제3단계(S3)는 용변을 배출단계이다.
이를 좀 더 명확하게 설명하면, 분사구(12b)를 통해 수막이 형성된 상태에서 용변부(11)의 내부에는 물이 점진적으로 차오르게 되면서 자중에 의해 용변은 물과 함께 트랩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분사구(12b)를 통한 수막 서서히 사라지게 되면서 비산된 오염원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용변 후 물 내림 시 선행적으로 수막이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용변이 외부로 배출되므로 용변으로부터의 오염원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매우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변기본체 11: 용변부 12: 좌대안착부
12a: 배출공 12b: 분사구 13: 제1슬로프
14: 제2슬로프 20: 저수탱크 21: 마개

Claims (5)

  1. 용변 후 변기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변기물을 내리는 제1단계;
    용변으로부터의 오염원에 비산을 차단하도록 내부로 유입된 변기물을 분출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수막이 형성된 상태에서 용변이 배출되고, 이후에 수막이 사라지면서 비산된 오염원과 함께 배출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원 비산방지 방법.
  2. 유입된 물이 변기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좌대안착부에서 좌우로 분기 및 내부로 유입되어 좌대안착부의 배출공을 통해 용변부로 배출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물을 좌대안착부로 유도하면서 가속시키는 제1슬로프와;
    상기 좌대안착부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게 절개되어 내부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면서 용변부의 상부에 수막이 형성되도록 하는 분사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원 비산방지 기능을 갖춘 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안착부의 내부는 일단이 제1슬로프와 상호 연통되고, 타단이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원 비산방지 기능을 갖춘 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안착부의 내부에는,
    상기 좌대안착부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나선구조의 제2슬로프가 더 보강 구비되고;
    상기 좌대안착부에 형성되는 분사구는 제2슬로프를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원 비산방지 기능을 갖춘 변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물 배출시 포물선을 그리며 배출될 수 있도록 사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원 비산방지 기능을 갖춘 변기.
KR1020150119259A 2015-08-25 2015-08-25 오염원 비산방지방법 및 그 방지기능을 갖춘 변기 KR20170024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259A KR20170024244A (ko) 2015-08-25 2015-08-25 오염원 비산방지방법 및 그 방지기능을 갖춘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259A KR20170024244A (ko) 2015-08-25 2015-08-25 오염원 비산방지방법 및 그 방지기능을 갖춘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244A true KR20170024244A (ko) 2017-03-07

Family

ID=5841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259A KR20170024244A (ko) 2015-08-25 2015-08-25 오염원 비산방지방법 및 그 방지기능을 갖춘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424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283U (ko) 1999-03-16 2000-10-16 송기석 수막노즐 형성 양변기.
KR20140013724A (ko) 2012-07-26 2014-02-05 곽연수 비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283U (ko) 1999-03-16 2000-10-16 송기석 수막노즐 형성 양변기.
KR20140013724A (ko) 2012-07-26 2014-02-05 곽연수 비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7312B1 (en) Automatic cleaning assembly for a toilet bowl
KR101114960B1 (ko) 수세식 변기
KR100483510B1 (ko) 분사펌프를 이용한 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EP3225756B1 (en) Flush toilet bowl
JP7441872B2 (ja) 水洗大便器
US20180155912A1 (en) Flush toilet bowl
JP6049197B2 (ja) 小便器
JP2010236276A (ja) 水洗大便器
JP5821082B2 (ja) 洗浄タンクの給水装置
KR20170024244A (ko) 오염원 비산방지방법 및 그 방지기능을 갖춘 변기
US10323396B2 (en) Way out valve for urinals with double little ball
JP6187759B2 (ja) 水洗大便器装置
JP2021175873A (ja) 水洗大便器
WO2017026202A1 (ja) 水洗大便器
JP2015169004A (ja) 水洗大便器
JP2015183484A (ja) 水洗大便器
JP2005232936A (ja) 排水トラップ
JP5034168B2 (ja) 洗浄装置
JP2019027214A (ja) 水洗大便器
KR20160081050A (ko) 플로우트 볼을 갖는 일자형 배수트랩 및 이를 구비한 싱크대
KR20210004537A (ko) 싱크대의 버블장치
JP6629029B2 (ja) 水洗式便器
JP2015178729A (ja) 水洗大便器
JP2016003453A (ja) 水洗大便器
KR20130033855A (ko)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72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929

Effective date: 2019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