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724A - 비데 - Google Patents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724A
KR20140013724A KR1020120081960A KR20120081960A KR20140013724A KR 20140013724 A KR20140013724 A KR 20140013724A KR 1020120081960 A KR1020120081960 A KR 1020120081960A KR 20120081960 A KR20120081960 A KR 20120081960A KR 20140013724 A KR20140013724 A KR 20140013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ter
bidet
injection nozzl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연수
Original Assignee
곽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연수 filed Critical 곽연수
Priority to KR1020120081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3724A/ko
Publication of KR20140013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에 물을 내려 용변을 배출할 때 미세한 물방울과 오염물질이 공기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비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데는 분사노즐(10)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용변부(1a)의 상측에 수막을 형성하므로써, 용변부(1a) 내부의 물방울과 오염물질이 공기중으로 비산되는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비데{bidet}
본 발명은 변기에 물을 내려 용변을 배출할 때 미세한 물방울과 오염물질이 공기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비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등록특허 10-0576077 호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비데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비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변기(1)에 형성된 용변부(1a)의 상측에 설치되는 본체(2)와, 좌변기(1)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b)의 중간부에서 분기된 연결관(3)과, 상기 본체(2)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3)에 연결된 세정노즐(4)로 구성되어, 용변 후 상기 세정노즐(4)을 통해 항문과 국부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 및 세정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비데의 본체(2)는 상기 좌변기(1)의 상면 후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2a)와, 상기 좌변기(1)의 상면 테두리에 대응되는 링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2a)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좌변기(1)의 상부에 올려지는 좌대(2b)로 구성되며, 상기 세정노즐(4)은 상기 고정부(2a)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결관(3)은 상기 급수관(1b)의 중간부에 구비된 분기용 티에 연결되어, 급수관(1b)을 통해 좌변기(1)로 공급되는 물의 일부가 연결관(3)을 통해 세정노즐(4)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3)의 중간부에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필터(5)와, 세정노즐(4)로 공급되는 물을 가압하는 펌프(6)와, 세정노즐(4)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7) 등이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2a)의 일측에는 상기 펌프(6)와 히터(7) 또는 세정노즐(4)을 제어하는 도시 안된 컨트롤러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변이 끝난 후 상기 컨트롤러를 조작하면, 상기 세정노즐(4)이 전방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관(3)을 통해 공급된 물이 필터(5)를 통과하면서 정수되고, 히터(7)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 후 세정노즐(4)을 통해 사용자의 항문과 국부에 강한 압력으로 분사되어, 세척 및 세정작용을 하게 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2c는 상기 고정부(2a)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좌대(2b)의 상부를 덮는 덮개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이때, 상기 좌변기(1)에는 배수밸브가 구비되어, 용변을 본 후 상기 배수밸브를 조작하여 좌변기(1)의 용변부(1a) 내부로 물을 공급하면 용변부(1a) 내부의 용변이 배출된다.
그런데, 이와같이 변기에 물을 내려 용변을 배출할 때, 미세한 물방울과 오염물질이 공기중으로 비산되어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비데는 사용자의 항문과 국부를 세척 및 세정하는 기능만 있을 뿐, 물방울과 오염물질이 공기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변기에 물을 내려 용변을 배출할 때 미세한 물방울과 오염물질이 공기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비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좌변기(1)에 형성된 용변부(1a)의 상측에 설치되는 본체(2)와, 좌변기(1)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b)의 중간부에서 분기된 연결관(3)과, 상기 본체(2)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3)에 연결된 세정노즐(4)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2)는 상기 좌변기(1)의 상면 후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2a)와, 상기 좌변기(1)의 상면 테두리에 대응되는 링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2a)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좌변기(1)의 상부에 올려지는 좌대(2b)로 구성되고, 상기 세정노즐(4)은 상기 고정부(2a)에 구비되는 비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a) 또는 좌대(2b)에는 분사노즐(1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용면을 마친 후 좌변기(1)에 구비된 배수밸브(50)를 조작하여 용변부(1a)에 물을 공급하여 용변을 배출할 때, 상기 분사노즐(10)을 통해 용변부(1a)로 물을 분사하여 용변부(1a) 내부의 물방울과 오염물질이 공기중으로 비산되는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사노즐(10)의 전방 상면에는 둘레면에 장공형태의 분사공(11a)이 다수개 형성된 노즐팁(11a)이 구비되어 상기 분사공(11a)을 통해 둘레부 전체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사노즐(1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좌대(2b)의 둘레면에 좌대(2b)의 중앙부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관(3)에서 분기되어 상기 분사노즐(10)에 연결되는 분기관(20)과, 상기 분기관(20)의 중간부에 구비된 전자제어밸브(30)와, 상기 배수밸브(5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배수밸브(50)를 조작하는 것을 감지하는 조작감지수단(50)과, 상기 조작감지수단(50)의 신호를 감시하여 전자제어밸브(3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유닛(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40)은 사용자가 배수밸브(50)를 조작하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전자제어밸브(30)를 개방하여 분기관(20)을 통해 분사노즐(10)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2a)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좌대(2b)의 상부를 덮는 덮개(2c)와, 상기 덮개(2c)에 연결되어 덮개(2c)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40)은 상기 개폐감지수단(60)의 신호를 감시하여 사용자가 덮개(2c)를 덮으면 상기 전자제어밸브(30)를 제어하여 분기관(20)을 통해 분사노즐(10)로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데는 분사노즐(10)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용변부(1a)의 상측에 수막을 형성하므로써, 용변부(1a) 내부의 물방울과 오염물질이 공기중으로 비산되는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를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분사노즐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를 도시한 것으로, 좌변기(1)에 형성된 용변부(1a)의 상측에 설치되는 본체(2)와, 좌변기(1)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b)의 중간부에서 분기된 연결관(3)과, 상기 본체(2)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3)에 연결된 세정노즐(4)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2)는 상기 좌변기(1)의 상면 후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2a)와, 상기 좌변기(1)의 상면 테두리에 대응되는 링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2a)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좌변기(1)의 상부에 올려지는 좌대(2b)로 구성되고, 상기 세정노즐(4)은 상기 고정부(2a)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연결관(3)의 중간부에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필터(5)와, 세정노즐(4)로 공급되는 물을 가압하는 펌프(6)와, 세정노즐(4)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7)가 연결되어, 급수관(1b)을 통해 공급된 물을 정수 및 가열, 가압하여 상기 세정노즐(4)을 통해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2a)에는 상기 좌대(2b)의 상부를 덮는 덮개(2c)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2a)에는 분사노즐(1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용면을 마친 후 좌변기(1)에 구비된 배수밸브(50)를 조작하여 용변부(1a)에 물을 공급하여 용변을 배출할 때, 상기 분사노즐(10)을 통해 용변부(1a)로 물을 분사하여 용변부(1a) 내부의 물방울과 오염물질이 공기중으로 비산되는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상기 분사노즐(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a)에 구비되어 용변부(1a)의 상부에 넓게 물을 분사하므로써, 용변부(1a)의 상부에 수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10)의 전방 상면에는 둘레면에 장공형태의 분사공(11a)이 다수개 형성된 노즐팁(11a)이 구비되어 상기 분사공(11a)을 통해 둘레부 전체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10)은 상기 고정부(2a)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도시안된 액츄에이터가 연결되어 분사노즐(10)을 통해 물을 분사할 때는 분사노즐(10)이 상기 용변부(1a)의 중앙부 쪽으로 돌출되고, 물의 분사가 끝나면 후퇴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10)에는 상기 연결관(3)에서 분기된 분기관(20)이 연결된다.
상기 분기관(20)은 상기 펌프(6)의 후단에 연결되어 펌프(6)에 의해 가압된 고압의 물이 분사노즐(10)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기관(20)의 중간부에는 전자제어밸브(30)가 구비되고, 상기 전자제어밸브(30)에는 전자제어밸브(30)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유닛(40)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배수밸브(50)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유닛(40)에 의해 전자제어밸브(30)가 개방되어 고압의 물이 분기관(20)을 통해 분사노즐(10)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수밸브(50)에는 사용자가 배수밸브(50)를 조작하는 것을 감지하는 조작감지수단(50)이 연결되고, 상기 덮개(2c)에는 덮개(2c)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60)이 연결된다.
상기 전자제어밸브(30)는 전기신호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분기관(20)을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으로, 유체제어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조작감지수단(50)과 개폐감지수단(60)은 상기 조작감지수단(50)과 개폐감지수단(60)의 회동중심축에 연결된 리미트스위치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40)은 상기 조작감지수단(50)과 개폐감지수단(60)의 신호를 감시하여, 사용자가 배수밸브(50)를 조작하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전자제어밸브(30)를 개방하여 분기관(20)을 통해 분사노즐(10)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덮개(2c)를 덮으면 상기 전자제어밸브(30)를 제어하여 분기관(20)을 통해 분사노즐(10)로 공급되는 물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40)은 상기 전자제어밸브(30)를 개방하여 분사노즐(10)로 물이 공급되도록 할 때는 상기 펌프(6)를 작동시켜 분사노즐(10)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상승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비데는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후 좌변기(1)에 구비된 배수밸브(50)를 조작하여 용변부(1a)에 물을 공급하여 용변을 배출하면, 상기 제어유닛(40)이 상기 전자제어밸브(30)를 개방함과 동시에 펌프(6)를 작동시켜 분기관(20)을 통해 분사노즐(10)로 고압의 물이 공급되도록 하며, 물은 상기 분사노즐(10)을 통해 용변부(1a)로 분사되어 용변부(1a)의 상부에 수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용변부(1a) 내부의 물방울과 오염물질이 공기중으로 비산되는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3)에서 분기되어 상기 분사노즐(10)에 연결되는 분기관(20)에는 전자제어밸브(3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밸브에 전자제어밸브(30)에 연결된 제어유닛(40)은 배수밸브(50)에 연결된 조작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배수밸브(50)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유닛(40)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전자제어밸브(30)를 개방하여 분기관(20)을 통해 분사노즐(10)로 물이 공급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분사노즐(10)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수동으로 제어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2c)에는 덮개(2c)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60)이 연결되고, 상기 제어유닛(40)은 상기 개폐감지수단(60)의 신호를 감시하여 사용자가 덮개(2c)를 덮으면 상기 전자제어밸브(30)를 제어하여 분기관(20)을 통해 분사노즐(10)로 공급되는 물을 차단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덮개(2c)를 닫으면 용변부(1a) 내부의 물방울과 오염물질이 공기중으로 비산되지 않으므로, 덮개(2c)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분사노즐(10)을 통해 물을 분사할 경우 불필요하게 물을 낭비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덮개(2c)가 닫히면 분사노즐(10)로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므로, 불필요하게 물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분사노즐(1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좌대(2b)의 둘레면에 좌대(2b)의 중앙부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비데는 상기 분사노즐(10)에서 분사된 물이 상호 교차되면서 수막의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용변부(1a) 내부의 물방울과 오염물질이 공기중으로 비산되는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좌변기. 2. 본체
3. 연결관 4. 세정노즐
5. 필터 6. 펌프
7. 히터 10. 분사노즐
20. 분기관 30. 전자제어밸브
40. 제어유닛 50. 조작감지수단
60. 개폐감지수단

Claims (5)

  1. 좌변기(1)에 형성된 용변부(1a)의 상측에 설치되는 본체(2)와,
    좌변기(1)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b)의 중간부에서 분기된 연결관(3)과,
    상기 본체(2)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3)에 연결된 세정노즐(4)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2)는 상기 좌변기(1)의 상면 후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2a)와, 상기 좌변기(1)의 상면 테두리에 대응되는 링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2a)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좌변기(1)의 상부에 올려지는 좌대(2b)로 구성되고,
    상기 세정노즐(4)은 상기 고정부(2a)에 구비되는 비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a) 또는 좌대(2b)에는 분사노즐(1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용면을 마친 후 좌변기(1)에 구비된 배수밸브(50)를 조작하여 용변부(1a)에 물을 공급하여 용변을 배출할 때, 상기 분사노즐(10)을 통해 용변부(1a)로 물을 분사하여 용변부(1a) 내부의 물방울과 오염물질이 공기중으로 비산되는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10)의 전방 상면에는 둘레면에 장공형태의 분사공(11a)이 다수개 형성된 노즐팁(11a)이 구비되어 상기 분사공(11a)을 통해 둘레부 전체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1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좌대(2b)의 둘레면에 좌대(2b)의 중앙부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3)에서 분기되어 상기 분사노즐(10)에 연결되는 분기관(20)과,
    상기 분기관(20)의 중간부에 구비된 전자제어밸브(30)와,
    상기 배수밸브(5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배수밸브(50)를 조작하는 것을 감지하는 조작감지수단(50)과,
    상기 조작감지수단(50)의 신호를 감시하여 전자제어밸브(3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유닛(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40)은 사용자가 배수밸브(50)를 조작하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전자제어밸브(30)를 개방하여 분기관(20)을 통해 분사노즐(10)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a)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좌대(2b)의 상부를 덮는 덮개(2c)와,
    상기 덮개(2c)에 연결되어 덮개(2c)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40)은 상기 개폐감지수단(60)의 신호를 감시하여 사용자가 덮개(2c)를 덮으면 상기 전자제어밸브(30)를 제어하여 분기관(20)을 통해 분사노즐(10)로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KR1020120081960A 2012-07-26 2012-07-26 비데 KR20140013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960A KR20140013724A (ko) 2012-07-26 2012-07-26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960A KR20140013724A (ko) 2012-07-26 2012-07-26 비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724A true KR20140013724A (ko) 2014-02-05

Family

ID=50264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960A KR20140013724A (ko) 2012-07-26 2012-07-26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372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244A (ko) 2015-08-25 2017-03-07 강보문 오염원 비산방지방법 및 그 방지기능을 갖춘 변기
KR102405598B1 (ko) * 2022-02-07 2022-06-03 이상윤 물내림시 비말 튐을 방지할 수 있는 양변기용 비데
KR20220146861A (ko) * 2021-04-26 2022-11-02 김영록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WO2023068451A1 (ko) * 2021-10-19 2023-04-27 이상윤 양변기 물내림시 비말 튐을 방지할 수 있는 비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244A (ko) 2015-08-25 2017-03-07 강보문 오염원 비산방지방법 및 그 방지기능을 갖춘 변기
KR20220146861A (ko) * 2021-04-26 2022-11-02 김영록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WO2023068451A1 (ko) * 2021-10-19 2023-04-27 이상윤 양변기 물내림시 비말 튐을 방지할 수 있는 비데
KR102405598B1 (ko) * 2022-02-07 2022-06-03 이상윤 물내림시 비말 튐을 방지할 수 있는 양변기용 비데
WO2023149600A1 (ko) * 2022-02-07 2023-08-10 주식회사 쿼스 물내림시 비말 튐을 방지할 수 있는 양변기용 비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006B1 (ko) 진공 흡입식 변기 및 진공 흡입식 변기의 작동제어방법
TWI660097B (zh) Flush toilet
KR20140013724A (ko) 비데
JP6741219B1 (ja) 衛生洗浄装置
TWI724849B (zh) 衛生洗淨裝置
KR20160003378U (ko) 수전부의 손 건조장치
WO2015161667A1 (zh) 洗衣机
KR101020836B1 (ko) 온수세정기의 세척장치
KR20170008521A (ko) 비데
KR20160012363A (ko) 변기시트의 세정장치
KR20150145761A (ko) 노즐 세척부를 구비한 비데 장치
JP2005087921A (ja) 排水管洗浄装置
JP2011024943A (ja) 浴槽自動洗浄装置
KR20100047082A (ko) 좌변기용 비데
KR20100027550A (ko) 좌변기용 비데의 변기 세척장치
KR102180146B1 (ko) 건조 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비데
KR200487101Y1 (ko) 싱크대용 아이워셔
KR102180145B1 (ko) 건조 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비데
KR100992774B1 (ko) 변기시트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데
JP7439574B2 (ja) 局部洗浄装置
JP2008038535A5 (ko)
JP2013032645A (ja) 温水洗浄装置及び便器装置
KR200424277Y1 (ko) 비데의 노즐팁 구조
JP2995932B2 (ja) ノズル装置
JP2008284223A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