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861A -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 Google Patents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861A
KR20220146861A KR1020210053641A KR20210053641A KR20220146861A KR 20220146861 A KR20220146861 A KR 20220146861A KR 1020210053641 A KR1020210053641 A KR 1020210053641A KR 20210053641 A KR20210053641 A KR 20210053641A KR 20220146861 A KR20220146861 A KR 20220146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water curtain
opening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5720B1 (ko
Inventor
김영록
Original Assignee
김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록 filed Critical 김영록
Priority to KR1020210053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720B1/ko
Publication of KR20220146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는 상면에 타원형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타원형 개구부와 통하는 공간인 좌변기 보울(bowl)이 구비되며 상기 타원형 개구부를 둘러싸는 개구턱 및 변기시트가 구비되는 좌변기와, 상기 좌변기의 상단 후측에 설치되는 세척수조와, 상기 좌변기의 상면 중 상기 세척수조와 상기 타원형 개구부의 사이 부분에 횡방향으로 장착되는 수막커튼 설치 브라킷으로서 상기 수막커튼 설치 브라킷의 전단부 중 중간에 있는 일부분은 상기 개구턱 중 후단부에 걸쳐지도록 꺽어진 다음 상기 개구턱 중 후단부의 앞쪽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 연장부의 하단부에는 와샤형 브라킥이 형성되는 수막커튼 설치 브라킷과, 외부의 수막수 공급원과 연결되는 수막수 펌프와, 일단이 상기 수막수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수막수 펌프의 작동에 의해 펌핑 송수되는 수막수의 이송 통로인 수막수 공급관 및 상기 수막수 공급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와샤형 브라킷에 의해 고정 장착되어 상기 좌변기 보울 내에서 수막수 를 분사하되 수막수를 환형의 포물선을 이루도록 분출함으로써 상기 좌변기 보울 내부 공간의 상부를 덮어씌우는 수막커튼을 형성하는 수막커튼 분사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TOILE SEAT WITH WATER SCREEN SYSTEM FOR PREVENTING SCATTERING}
본 발명은 좌변기 사용 시 악취와 미세 배설물과 세균, 바이러스 등의 병원균이 포함된 배설물을 좌변기에서 물내림 세척 후 외부 정화조로 배출할 때 배설물과 오염된 세척수를 밀폐함으로써 주위로 튀거나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좌변기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좌변기 사용 시 착석 후 용변을 보게 되는데 배설된 용변에는 악취와 미세 배설물과 세균과 바이러스 등의 병원균이 포함되어 있으며, 변기 내에서도 대장균, 살모넬라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박테리아 등의 유해균이 증식되어 오염된 상태에서 용변을 보게 되는데, 배설된 용변의 병원균과 변기 내의 유해균과 잔류세척수와 혼합된 상태의 오물을 세척수의 물내림에 의해 외부로 배출 시 대기 중으로 비산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불쾌감을 주고 이들 병원균이 증식되어 감염됨으로써 질병이 발병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물리적인 구동차단 장치 설치, 악취 포집과 약품처리, 변기 내 에어블로워 환기, 에어커튼, 필터 방식 등의 수단이 개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10217호, 제10-2019-0119254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93220호, 등 다수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 개시된 기술들은 대부분 악취 제거나 병원균 등의 제거를 위해 물리적인 장치의 설치로 살균, 멸균, 탈취를 하거나 약품이나 자외선처리 등의 방식을 체택하고 있어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어려워서 완벽한 위생에 대한 기대 효과를 얻기 어렵고 제조비용이 높은 데 비하여 그 효과가 크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변 후 덮개를 덮는 소극적인 방식은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크지 않아 사용자의 인식과 습관이 뒤따르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1021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1925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3220호
본 발명은 좌변기 사용 시의 방역 및 위생 문제를 경제성을 고려하여 완벽하게 해결하고저 고안된 것으로서, 좌변기 세척수를 물내림에 의해 배출 시 세척수를 수막커튼이 감싸서 밀폐하여 대기로 비산하지 못하게 하면서 외부의 정화조로 배출하게 함으로써 좌변기의 방역 위생과 쾌적한 환경의 화장실 문화를 이루도록 하는, 좌변기 배설물의 악취와 미세 배설물과 세균, 병원균 등의 비산방지 수막커튼을 형성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는 상면에 타원형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타원형 개구부와 통하는 공간인 좌변기 보울(bowl)이 구비되며 상기 타원형 개구부를 둘러싸는 개구턱 및 변기시트가 구비되는 좌변기와, 상기 좌변기의 상단 후측에 설치되는 세척수조와, 상기 좌변기의 상면 중 상기 세척수조와 상기 타원형 개구부의 사이부분에 횡방향으로 장착되는 수막커튼 설치 브라킷으로서 상기 수막커튼 설치 브라킷의 전단부 중 중간에 있는 일부분은 상기 개구턱 중 후단부에 걸쳐지도록 꺾어진 다음 상기 개구턱 중 후단부의 앞쪽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극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 연장부의 하단부에는 와샤형 브라킷이 형성되는 수막커튼 설치 브라킷과, 외부의 수막수 공급원과 연결되는 수막수 펌프와, 일단이 상기 수막수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수막수 펌프의 작동에 의해 펌핑 송수되는 수막수의 이송 통로인 수막수 급수관 및 상기 수막수 급수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와샤형 브라킷에 의해 고정 장착되어 상기 좌변기 보울 내에서 수막수를 분사하되 수막수를 환형의 포물선을 이루도록 분출함으로써 상기 좌변기 보울 내부 공간의 상부를 덮어씌우는 수막커튼을 형성하는 수막커튼 분사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막커튼 분사체는, 상기 와샤형 브라킷을 관통하도록 상기 와샤형 브라킷에 끼워져 지지되며 하부는 외측면의 상부에 환형으로 돌출된 플랜지가 형성된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는 뱉브 뱌디시트 및 바닥이 폐쇄되고 상면이 개구되먹 상기 파이프 구조를 측방향 주위로 둘러싸고 상단이 상기 플랜지와 틈새를 두고 설치되는 용기 구조를 가지는 환형 외측 플러그로서 바닥의 중심부가 상기 밸브 바디시트와 연결되고, 상기 밸브 바디시트로 부터 쏟아져 내려오는 수막수를 밑에서 막은 다음 가장자리로 보내어 상기 환형 외측 플러그의 내측면과 상기 파이프 구조의 외측면 사이의 틈새로 올려 보낸 후 상기 환형 외측 플러그의 상단부와 상기 플랜지 사이의 틈새를 통해 환형의 포물선을 이루며 외부로 분출하도록 구성된 환형 외측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환형 외측 플러그의 바닥면의 가장자리는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을 그리면서 바깥쪽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하면은 위로 볼록한 포물선을 그리면서 안쪽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 바디시트와 상기 환형 외측 플러그는 개폐 조절 볼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개폐 조절 볼트에 의해 상기 밸브 바디시트와 상기 환형 외측 플러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막수 급수관과 상기 수막커튼 분사체는 볼조인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수막커튼 분사체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기시트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착석과 탈석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센서 및 상기 인식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수막수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막수 설치 브라킷의 좌측단부 또는 우측단부는 상기 좌변기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다가 하부로 절곡된 다음 상기 좌변기 쪽으로 절곡되어 "ㄷ"자로 꺾인 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ㄷ"자로 꺾인 부분의 내부 공간에 상기 수막수 펌프와 상기 작동 제어부가 수용되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에 의하면 좌변기에서 용변을 보기 위해 착석 시 좌변기의 보울(bowl) 내에서 타원형 포물선의 수막커튼을 형성하여 수막커튼이 용변자가 배설한 배설물을 좌변기의 공간 상부에서 감싸 밀폐하여 대기로의 비산을 방지한다. 이로써 좌변기 사용 시 발생되는 악취와 미세 배설물과 세균, 바이러스 등의 병원균이 비산 방지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외부 정화조로 배출함으로써 화장실의 방역 위생 환경을 청결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를 사용하면 가정 내 화장실의 오염된 위생 환경 개선에 도움을 줌은 물론, 상대적으로 위생에 취약하며 사용 빈도가 높은 병원 및 업무빌딩 , 다중시설, 공공시설 등의 화장실 방역 위생을 청결케 하여 질병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를 나타낸 투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의 설치 브라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의 수닥커튼 분사체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b는 도 6a에서 분사 각도를 조정한 모습을 나타낸 측단먼도.
도 6c는 도 6a에서 분사량 을 조정한 모습을 나타 낸 측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산 방지 수막커튼 장치의 세척수 배수버튼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배수 자동 작동버튼의 측단면도.
도 7c는 도 7a의 배수 수등 작동버튼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 배설물의 비산방지 배출 수막커튼 작동 전자희로도.
이하 ,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를 나타낸 투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의 설치 브라킷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좌변기(501)의 상단 후측에 결합되는 세척수조(502)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좌변기의 상면에 수막커튼 설치 브라킷 (801)이 횡방향으로 장착되는데, 수막커튼 설치 브라킷(801)의 전단부 중 중간에 있는 일부분이 좌변기(501)의 상부에 있는 타원형 개구부를 둘러싸는 개구턱(501-1)의 뒤쪽 중앙부분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90°절곡되어 연장된 부분의 하단에서 다시 앞쪽으로 90°절곡되어 절곡 연장부에 'C'자형 와샤(801-1)가 내재된 브라킷(801-a)이 형성된다.
또한 수막커튼 설치 브라킷(801)의 좌측 말단부는 하부로 90°절곡된 다음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부에서 다시 안쪽으로 90°절곡되어 'ㄷ'자로 꺾인 부분이 형성되며 'ㄷ'자 로 꺾인 부분의 내부 공간(801-b)에 수막수 펌프(110)와 작동 제어부(200)가 수용되어 장착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막커튼 설치 브라킷(801)의 하향 절곡부인 'C'자 와샤형 브라킷(801-a)이 개구턱(501-1)의 후측 중앙부의 앞면 및 윗면에 밀착 설치되고, 수막커튼 설치 브라킷(801)의 상부에 변기시트(601)와 덮개(602)의 조립 브라킷(701)이 좌우에 하나씩 한 쌍이 구비되며, 조립 브라킷(701)의 각각에는 결합 힌지(701-1)가 구비되어 변기시트 힌지(601-1)와 변기덮개 힌지(602-1)가 결합된다. 좌변기(501)의 상부에 있는 타원형 개구부의 후측 부위에 체결공(501-2)이 형성되고 수막커튼 설치 브라킷(801)과 조립 브라킷(701)에 4각 머리의 체결볼트(208, 208e, 208-1)가 삽입되어 체결너트(208-3)에 의해 각각 취합 결합되어 장착된다.
체결볼트 중 하나는 전기 배선이 가능하도록 관통된 구조를 가진 종류의 체결볼트(208-e)이다. 또한 좌변기(501)와 세척수조(502)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볼트(209)가 좌우에 하나씩 구비되는데 그 중 하나는 수직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배선이 가능하며 방수 처리가 된 파이프(210) 삽입용 볼트(209-e)로 구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변기(501)의 상단 후측이면서 세척수조(502) 앞에 설치되는 수막커튼 설치 브라킷 (801)이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C'자 와샤형 브라킷 (801-a)에는 수막수 급수관(102)과 볼조인트(105)에 의해 연결된 수막커튼 분사체(120)가 상기 하향 삽입되고 볼조인트(105)를 좌변기(501) 내의 보울(bowl)의 구배 형상에 따라 수막커튼 분사체(120)의 각도를 조정하여 상하 한 쌍의 체결나사(106)로 체결하여 수막수 펌프(110)에서 공급되는 수막수(100)를 수막커튼 분사체(120)가 특수한 형상의 타원형 포물선으로 분사하여 수막커튼(108)을 형성한다
도 6a에 도시된 수막커튼 분사체(120)는 수막커튼(108)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의 밸브로서 밸브 바디시트(103)와 환형 외측 플러그(104)와 개폐 조절 볼트(107)로 구성된다.
수막커튼 분사체(120)의 밸브 바디시트(103)는 외측면에 하향 R 구배가 형성되고 환형 외측 플러그(104)는 환형의 내측면에 상향 R 구배가 형성되어 있어서 밸브 바디시트(103)에 환형 외측 플러그(104)가 삽입되며, 수막커튼수가 환형의 포물선을 이루며 분출하여 수막커튼(108)을 이루게 된다.
이때 좌변기 보울(bowl)의 형상에 따라 환형의 수막커튼수의 분사각을 상하로 조정하여 타원형 포물선의 수막커튼(108)을 형성하며, 수막커튼(108)의 크기는 밸브 바디시트(103)와 환형 외측 플러그(104)의 개폐 조절 볼트(107)를 조절하여 분사량을 조정함으로써 설정한다.
타원형 포물선의 수막커튼(108)의 생성은 변기시트(601)의 인식센서(203)의 신호에 따라 수막수 펌프(110)의 작동으로 이송되는 수막수(100)가 수막수 급수관(102)과 볼조인트(105)를 지나서 수막커튼 분사채(120)로 송수된다. 수막커튼 분사체(120)는 좌변기(501)의 개구턱(501-1) 하단의 'C'자 와샤형 브라킷(801-a)에 하향 삽입되어 수막커튼 분사체(120)의 벨브 바디시트(103)와 환형 외측 플러그(104)의 구조에 의해 수막수(100)가 타원형 포물선을 이루면서 분사되어 수막커튼(108)을 형성한다.
수막커튼(108)의 생성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200)는 세척수 배수 작동버튼(301)을 자동 작동케 하기 위하여 변기시트(601)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착석과 탈석을 인식하는 인식센서(20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식센서(203)의 착석 인식신호는 작동 제어부(200)에서 수막수 펌프(110)의 릴레이(205)를 작동시켜 외부의 수막수(101)를 폄핑 송수하여 좌변기(501) 내에서 수막커튼(108)을 형성하며, 변기시트(601)에서 사용자의 탈석 시 생성되는 오프(off) 신호에도 좌변기(501) 내의 수막 형성이 지속되며, 이와 동시에 탈석 신호를 세척수 배수 작동버튼(301)의 자동 작동버튼 코어(302)의 작동 솔레노이드(207)로 송신하면 세척수 배수 작동버튼(301)의 자동 작동버튼 코어(302)가 작동하여 세척수수조(502)의 개폐발브(406)가 열려 세척수(409)를 배수하여 좌변기(501) 내로 배설하여 적체된 배설물의 악취와 오물과 세균 병원균 등을 완전히 배출한 후에 수막커튼수 펌프(110)는 설정된 시간(Off Time Delay) 후에 정지되고 수막커튼(108)도 일정 시간 후 정지하여 좌변기(501) 내의 공간과 좌변기(501) 외부에 잔류하는 악취와 세균 및 병원균을 완전히 밀폐시켜 외부의 정화조로 배출하여 좌변기 내 배변 시 악취와 미세 배설물과 세균, 병원균의 비산을 방지한다.
도 6b는 도 6a의 수막커튼 분사체(120)의 분사 각도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로서, 좌변기(501) 내의 보울(bowl)의 구배 형상에 따라 수막커튼 분사체(120)의 각도를 볼조인트(ball joint)(105)에서 임의로 조정하여 타원형 포물선을 이루도록 한다.
도 6c는 도 6a의 수막커튼 분사체(120)의 분사량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로서, 밸브 바디시트(103)와 환형 외측 플러그(104)와 환형 외측 플러그(104)의 개폐도를 설정하는 분사량 설정볼트(107)로 구성되어 타원형의 포물선 수막커튼(108)의 각도와 분사량을 설정하게 된다.
도 7a는 배수작동 버튼(300)의 측단면도로서, 배수작동 버튼(300)은 좌변기(501)의 세척수조(502) 상부에 장착되어 세척수조(502)에 저장된 세척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배출하여 좌변기(501) 내에 배설된 오물을 배출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7b는 도 7a의 배수작동 버튼(300) 이 자동으로 작동될 때의 측단면도로서, 배변자가 좌변기(501)의 좌변기시트(601)에 착석 시 인식샌서(203)가 작동되면 세척수조(502)의 배수작동 버튼(300)의 솔레노이드(207)에 방수배관(210)을 통과하는 전선(206)을 통해 전력이 공급되어 자동 작동버튼 코어(302)가 자장력에 의하여 배수버튼(301)을 밀어내어 배수밸브 레버 힌지(307)에 결속된 배수레버(308)가 작동되어 배수밸브 케이블(309)이 당겨져 세척수조(502) 내 세척수 개폐 밸브(301)가 열려서 세척수조(502)의 저장 세척수(409)가 좌변기 (501) 내부의 개구턱(501-1)밑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세척수 분사노즐(408)로 세척수(409)가 배출되어 좌변기 내의 배설물(901)을 외부의 정화조로 배출한다.
도 7b는 도 7a의 배수작동 버튼(300)이 수동으로 작동될 때의 측단면도로서, 용변자가 좌변기(501)의 좌변기시트(601)에서 탈석 시 정전이나 인식센서 (203) 등의 고장으로 저장 세척수(409)가 자동으로 배출되지 못할 때 용변자가 임의로 배수 작동 버튼(300)의 배수 수동작동 버튼(303)을 수동으로 가압하면 수동작동 버튼(303)의 구성체가 작동하여 세척수(409)가 배수되어 좌변기(501) 내의 배설물(901)을 정화조로 배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 배설물의 비산방지 수막커튼 작동 전자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수막커튼 공급수 101 : 수막 공급수
102 : 수막수 공급 배관 103 : 밸브 바디시트
104 : 환형 외측 플러그 105 : 분사각조절 볼조인트
106 : 분사체 조립 볼트너트 107 : 개폐 조절볼트
108 : 수막커튼 110 : 수막수 펌프
120 : 수막커튼 분사체
200 : 작동제어부 201 : 전원
202 : 작동 단자 203 : 착석 인식센서
204 : 인식 신호선 205 : 펌프 제어릴레이
206 : 세척수 배수 신호선 207 : 배수 솔레노이드
208 : 브라킷 결합 볼트 208e : 브라킷 결합, 배선 중공볼트
208-1 : 브라킷 조립 너트
209 : 수조 결합 볼트 209e: 수조 결합, 배선 중공 볼트
210 : 수조내 방수 배선관
300 : 배수 작동버튼부
301 : 배수버튼 302 : 배수 자동작동 솔레노이드 코아
303 : 배수 수동작동 버튼 304 : 수동버튼 조립슬라이더
305 : 솔레노이드 코일 보빙 306 : 버튼체결 하우징
307 : 배수밸브 레버힌지 308 : 배수레버
309 : 배수밸브 케이블
400 : 세척수 공급라인 401 : 세척수 외부 라인
402 : 세척수 외부 밸브 403 : 세척수 수조 공급관
404 : 수조내 세척수 개폐 밸브 405 : 세척수 레벨 플로트
406 : 세척수 배출 밸브 407 : 세척수 오버홀
408 : 세척수 토출노즐 409 : 저장 및 분사 세척수
501 : 좌변기 501-1 : 좌변기 상단 타원형 개구턱
501-2 : 좌변기 브라킷 조립공 502 : 세척수조
601 : 변기시트 601-1 : 시트 힌지
602 : 변기덮개 602-1 : 덮개 힌지
701 : 변기시트, 덮개 조립 브라킷 701-1 : 변기시트, 덮개 조립 브라킷 잔공
701-2 : 브라킷 조립 잔공
702 : 701-브라킷 조립 힌지
801 : 수막커튼 설치 브라킷 801-a : C형 절곡 브라킷
801-b : 콘트롤시스템, 펌프 설치 브라킷 801-1 : 수막 분사체 설치 C형와샤
801-2 : 수막 송수관 배관홀 801-3 : 801-설치 잔공
901 : 잔류 배설물

Claims (7)

  1. 상면에 타원형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타원형 개구부와 통하는 공간인 좌변기 보울(bowl)이 구비되며 상기 타원형 개구부를 둘러싸는 개구턱 및 변기 시트가 구비되는 좌변기;
    상기 좌변기의 상단 후측에 설치되는 세척수조;
    상기 좌변기의 상면 중 상기 세척수조와 상기 타원형 개구부의 사이 부분에 횡방향으로 장착되는 수막커튼 설치 브라킷으로서, 상기 수막커튼 설치 브라킷의 전단부 중 중간에 있는 일부분은 상기 개구턱 중 후단부에 걸쳐있도록 꺽어진 다음 상기 개구턱 중 후단부의 앞쪽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곡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 연장부의 하단부에는 와샤형 브라킷이 형성되는 수막커튼 설치 브라킷;
    외부의 수막수 공급원과 연결되는 수막수 펌프;
    일단이 상기 수막수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수막수 펌프의 작동에 의해 펌핑 송수되는 수막수의 이송 통로인 수막수 공급광; 및
    상기 수막수 급수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와샤형 브라킷에 의해 고정 장착되어 상기 좌변기 보울 내에서 수막수를 분사하되 수막수를 환형의 포물선을 이루도룩 분출함으로써 상기좌변기 보울 내부 공간의 상부를 덮어씌우는 수막커튼을 형성하는 수막커튼 분사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막커튼 분사체는,
    상기 와샤형 브라킷을 관통하도록 상기 와샤형 브라킷에 끼워져 지지되며 하부는 외측면의 상부에 환형으로 동출된 플랜지가 형성된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는 밸브 바디시트; 및
    바닥이 폐쇄되고 상면이 개구되며 상기 파이프 구조를 측방향 주위로 둘러싸고 상단이 상기 플랜지와 틈새를 두고 설치되는 용기 구조를 가지는 환형 외측 플러그로서, 바닥의 중심부가 상기 밸브 바디시트와 연결되고, 상기 밸브 바디시트로 부터 ™“아져 내려오는 수막수를 밑에서 막은 다음 가장자리로 보내어 상기 환형 외측 플러그의 내측면과 상기 파이프 구조의 외측면 사이의 틈새로 올려 보낸 후 상기 환형 외측 플러그의 상단부와 상기 플랜지 사이의 틈새를 통해 환형의 포물선을 이루며 외부로 분출하도록 구성된 환형 외측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외측 플러그의 바닥면의 가장자리는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을그리면서 바깥쪽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하면은 위로 볼록한 포물선을 그리면서 안쪽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4. 졔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뱉브 바디시트와 상기 환형 외측 플러그는 개폐 조절 볼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개폐 조절 볼트에 의해 상기 밸브 바다시트와 상기 환형 외측 플러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
    상기 수막수 급수관과 상기 수막커튼 분사체는 볼조인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수막커튼 분사체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
  6. 제1항 또는 졔2항에 있어서 ,
    상기 변기시트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착석과 탈석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센서; 및 상기 인식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수막수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
  7. 제6항에 있어서 ,
    상기 수막수 설치 브라킷의 좌측단부 또는 우측단부는 상기 좌변기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다가 하부로 절곡된 다음 상기 좌변기 쪽으로 절곡되어 "ㄷ"자로 꺾인 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ㄷ"자로 꺾인 부분의 내부 공간에 상기 수막수 펌프와 상기 작동 제어부가 수용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
KR1020210053641A 2021-04-26 2021-04-26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KR102495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641A KR102495720B1 (ko) 2021-04-26 2021-04-26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641A KR102495720B1 (ko) 2021-04-26 2021-04-26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861A true KR20220146861A (ko) 2022-11-02
KR102495720B1 KR102495720B1 (ko) 2023-02-06

Family

ID=8408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641A KR102495720B1 (ko) 2021-04-26 2021-04-26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72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9329A (ja) * 1993-12-27 1995-07-28 Yuukoushiya:Kk 小便器用スプレッダ
KR19980027759A (ko) * 1996-10-18 1998-07-15 이덕언 좌변기용 국부세척장치
KR200393220Y1 (ko) 2005-05-30 2005-08-22 백승익 양변기용 악취 및 세균 제거 탈취기
KR20090090110A (ko) * 2008-02-20 2009-08-25 양명훈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데 장치
JP2012149512A (ja) * 2012-03-30 2012-08-09 Panasonic Corp トイレ装置
KR20140013724A (ko) * 2012-07-26 2014-02-05 곽연수 비데
KR20190110217A (ko) 2018-03-20 2019-09-30 한국과학기술원 좌변기에 장착되는 물 튀김 방지 비데 장치
KR20190119254A (ko) 2018-04-12 2019-10-22 안지환 위생 좌변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9329A (ja) * 1993-12-27 1995-07-28 Yuukoushiya:Kk 小便器用スプレッダ
KR19980027759A (ko) * 1996-10-18 1998-07-15 이덕언 좌변기용 국부세척장치
KR200393220Y1 (ko) 2005-05-30 2005-08-22 백승익 양변기용 악취 및 세균 제거 탈취기
KR20090090110A (ko) * 2008-02-20 2009-08-25 양명훈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데 장치
JP2012149512A (ja) * 2012-03-30 2012-08-09 Panasonic Corp トイレ装置
KR20140013724A (ko) * 2012-07-26 2014-02-05 곽연수 비데
KR20190110217A (ko) 2018-03-20 2019-09-30 한국과학기술원 좌변기에 장착되는 물 튀김 방지 비데 장치
KR20190119254A (ko) 2018-04-12 2019-10-22 안지환 위생 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720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1836A (en) Pet commode
US6332229B1 (en) Automated flap and cup cleaner water-saving toilet
US4196693A (en) Water closets for pet use
US20060021121A1 (en) Self-cleaning toilet with an optional self flushing system
US20080295237A1 (en) No water/graywater/selfsanitizing, valve toilet, waste recycling system
KR101059127B1 (ko) 다기능 소변수집 배출기
KR102249345B1 (ko) 세척 및 살균 기능을 가진 양변기
JP4064994B2 (ja) バキューム式トイレ装置
CN212689116U (zh) 一种排污装置、马桶和排污系统
KR20220146861A (ko)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KR102468557B1 (ko)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WO2013100428A1 (ko) 수조가 없는 초절수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KR101282200B1 (ko)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KR20180134187A (ko) 자동문 소변기
KR200426389Y1 (ko) 소변 튐 방지용 보조기구가 구비된 좌변기
KR200463634Y1 (ko) 애완견 소변기
KR200463633Y1 (ko) 애완견 소변기
KR101176412B1 (ko)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CN105569144A (zh) 一种应用于厕所的除臭方法及实现该方法的装置
CA2347273C (en) System for directly venting odour air from toilet bowl
KR101853381B1 (ko) 변기 커버 부착용 소변기
KR20150142383A (ko) 변기 악취제거장치
WO2005116352A1 (fr) Toilette a chasse sans formation de bouchon
CN215736300U (zh) 一种宠物粪便的冲水装置
CN214833201U (zh) 一种感应大便冲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