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101Y1 - 싱크대용 아이워셔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아이워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101Y1
KR200487101Y1 KR2020170000990U KR20170000990U KR200487101Y1 KR 200487101 Y1 KR200487101 Y1 KR 200487101Y1 KR 2020170000990 U KR2020170000990 U KR 2020170000990U KR 20170000990 U KR20170000990 U KR 20170000990U KR 200487101 Y1 KR200487101 Y1 KR 200487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le
washing water
coupled
water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애순
Original Assignee
이애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애순 filed Critical 이애순
Priority to KR2020170000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1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1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2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09Instruments for removing foreign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54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66Stands, holders or storage means for irrig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용 아이워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비상시에 아이워셔의 분사노즐(53)를 개수대(11)의 상부로 회전시켜 안구를 세척하고, 미사용시 상기 분사노즐(53)를 개수대의 측부로 제쳐 두고 싱크대(10)로 활용할 수 있는 싱크대용 아이워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싱크대용 아이워셔{EYE WASHER FOR SYNK}
본 고안은 싱크대용 아이워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눈이 이물질로 오염된 비상시 아이워셔의 분사노즐를 개수대의 상부로 회전시켜 안구를 세척하고, 미사용시 상기 분사노즐를 개수대의 측부로 제쳐 둠으로써, 싱크대로 활용할 수 있는 싱크대용 아이워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구세척기는 이물질이 사람의 안구에 들어간 경우 상기 안구의 각막이 손상되지 않도록 세척수를 적정수압으로 분사하여 이물질을 신속히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안구세척기는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해 상방향으로 배치된 분사노즐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세척수는 각막이 손상되지 않고 외부로 세척수가 분사되지 않토록 적정수압을 유지하게 된다.
최근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의 양을 가변하여 안구가 약한 사용자 또는 안구에 불순물이 많이 들어간 사용자 등 각종 상황에 맞도록 물의 양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안구세척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9653호(2013.10.21)에는 "수량분배조절수단이 구비된 안구세척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기술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안구에 세척수하는 분사노즐과, 세척수가 공급되는 공급배관에 연결되도록 하부면에 형성된 물공급연결공과, 상기 분사노즐이 연결되도록 양측면에 형성된 분사노즐연결공과, 상기 물공급연결공과 분사노즐연결공에 연결되며 상부면에 형성된 조절구연결공으로 이루어진 수량분배조절어댑터와; 상기 조절구연결공에 요입되어 상기 공급배관에서 유입되는 세척수의 양이 가변되도록 수직이동되는 수량분배조절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량분배조절구의 외주연에는 연결나사부에 체결되어 수직이동되는 조절구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수량분배조절구(20)가 회전되며 상하이동되어 세척수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수량분배조절구가 회전되며 상하이동되어 동작됨에 따라 수량분배조절구의 외주연에 형성된 조절구나사부가 고도로 정밀하게 형성되지 않으면 틈이 발생하여 세척수가 틈을 통해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은 공급배관에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어 설치됨으로써, 안구세척시에만 사용되어 활용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좌우로 회동가능토록 싱크대의 상판에 설치되어, 사용시에는 개수대의 상부로 분사노즐을 위치시켜 안구를 세척하고, 미사용시에는 상기 개수대의 측부로 제쳐 두어 싱크대로 활용할 수 있는 싱크대용 아이워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용 아이워셔는 이물질에 오염된 눈이 신속히 세척되도록 세척수의 수압을 조절하여 분사하는 아이워셔로서, 그릇이나 음식물을 씻는 개수대와, 상기 개수대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상판이 구비된 싱크대와; 상기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상판 일측에 브라켓으로 고정된 세척수공급관과, 상기 세척수공급관의 상단에 좌우로 회전가능토록 결합된 제1니플과, 상기 제1니플의 상단에 결합되어 측부로 연장된 제1엘보우관으로 이루어진 하부회전부와; 상기 제1엘보우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측부로 연장되며, 중앙에 상기 세척수의 이물질을 거르는 스트레이너가 구비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부로 연장된 제2엘보우관과, 상기 제2엘보우관의 상부에 좌우로 회전가능토록 결합된 제2니플이 구비된 상부회전부와; 상기 제2니플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세척수가 양측부로 분기되도록 내부에 분기공이 통공된 분기몸체와, 상기 분기공의 양측부에 각각 결합된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의 단부에 결합된 분사노즐이 구비된 세척수분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수공급관에는 상기 세척수공급을 개폐하는 세척수개폐밸브와, 상기 세척수공급관에 결합되어 상기 세척수개폐밸브의 개폐가 용이토록 외측으로 확장된 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니플은 상기 제1엘보우관에 요입되어 하부로 연장된 회전니플과, 상기 회전니플과 세척수공급관의 사이에 요입된 부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기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세척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수압조절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분기공에는 상기 분사노즐의 수압이 조절토록 분기조절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니플은 상기 분기몸체에 결합되어 하부로 연장된 연결니플과, 상기 연결니플의 하부에 결합된 제2회전니플과, 상기 연결니플과 제2회전니플의 사이에 요입된 제2부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싱크대에는 상기 개수대에 물을 공급하는 수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싱크대용 아이워셔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싱크대와 아이워셔로 동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싱크대의 상판에 부설됨으로써, 비상시 사용되는 아이워셔를 별도로 설치해야 되는 비용이 절감되고, 설치공간에 대한 제약이 감소되며,
둘째, 상기 싱크대의 상판에 부설시 브라켓으로 안정되게 고정되며, 하부회전부와 상부회전부를 통해 회전가능토록 구비됨으로써, 평시에는 세척수분사부의 분사노즐을 상기 싱크대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고,
셋째,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관의 내부에 구비된 세척수개폐밸브를 회동시키는 손잡이가 구비됨으로써, 이물질에 눈이 오염된 사용자가 눈의 세척시 상기 세척수개폐밸브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넷째, 상ㆍ하부회전부가 각각 안정적으로 회동되록 회전니플과, 외부로 상기 세척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토록 부싱이 부가됨으로써, 상기 세척수가 누수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량분배조절수단이 구비된 안구세척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싱크대용 아이워셔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아이워셔를 싱크대에서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아이워셔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분기몸체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싱크대용 아이워셔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에 오염된 눈이 신속히 세척되도록 세척수의 수압을 조절하여 분사하는 아이워셔로서, 그릇이나 음식물을 씻는 개수대(11)와, 상기 개수대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상판(12)이 구비된 싱크대(10)와; 상기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상판(12) 일측에 브라켓(21a)으로 고정된 세척수공급관(21)과, 상기 세척수공급관(21)의 상단에 좌우로 회전가능토록 결합된 제1니플(22)과, 상기 제1니플(22)의 상단에 결합되어 측부로 연장된 제1엘보우관(23)으로 이루어진 하부회전부(20)와; 상기 제1엘보우관(23)의 단부에 결합되어 측부로 연장되며, 중앙에 상기 세척수의 이물질을 거르는 스트레이너(31)가 구비된 연장부(30)와; 상기 연장부(3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부로 연장된 제2엘보우관(41)과, 상기 제2엘보우관(41)의 상부에 좌우로 회전가능토록 결합된 제2니플(42)이 구비된 상부회전부(40)와; 상기 제2니플(42)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세척수가 양측부로 분기되도록 내부에 분기공(51a)이 통공된 분기몸체(51)와, 상기 분기공(51a)의 양측부에 각각 결합된 분기관(52)과, 상기 분기관(52)의 단부에 결합된 분사노즐(53)이 구비된 세척수분사부(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개수대(11)는 외부로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미도시)도 구비되어, 평시에는 설거지나 과일 등을 씻는 데에 활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레이너(31)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의 이물을 거르는 역할을 하게 되며, 장기간 미사용시 침전되는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 할 수 있도록 구비되게 된다.
한편, 상기 세척수공급관(21)에는 상기 세척수공급을 개폐하는 세척수개폐밸브(21b)와, 상기 세척수공급관(21)에 결합되어 상기 세척수개폐밸브(21b)의 개폐가 용이토록 외측으로 확장된 손잡이(21c)가 구비됨으로써, 외부에서 상기 손잡이(21c)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세척수공급관(21)의 개폐가 용이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니플(22)은 상기 제1엘보우관(23)에 요입되어 하부로 연장된 회전니플(22a)과, 상기 회전니플(22a)과 세척수공급관(21)의 사이에 요입된 부싱(22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니플(22a)의 상부에는 상기 세척수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별도의 부싱이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기몸체(51)의 상부에는 상기 세척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수압조절밸브(54)가 구비되고, 상기 분기공(51a)에는 상기 분사노즐(53)의 수압이 조절토록 분기조절밸브(51b)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압조절밸브(54)와 상기 분기조절밸브(51b)의 내주연에는 누수가 방지되도록 링(R)이 추가로 외주연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니플(42)은 상기 분기몸체(51)에 결합되어 하부로 연장된 연결니플(42a)과, 상기 연결니플(42a)의 하부에 결합된 제2회전니플(42b)과, 상기 연결니플(42a)과 제2회전니플(42b)의 사이에 요입된 제2부싱(42c)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니플(42)은 상기 제1니플(22)과 같은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싱크대(10)에는 상기 개수대(11)에 물을 공급하는 수전(13)이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의 싱크대용 아이워셔를 미사용시에는 측벽에 회동시켜 배치시키고, 상기 개수대(11)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용 아이워셔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싱크대용 아이워셔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회전부(20)와 상부회전부(40)가 구비되어 싱크대(10)의 상판(12)에 부설됨으로써, 공간과 활용도가 증대되게 된다.
즉, 상기 하부회전부(20)는 상기 상판(12)에 브라켓(21a)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상부회전부(40)의 상부에는 분사노즐(53)이 구비된 세척수분사부(50)가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회전부(20)는 상기 싱크대(10)에 벽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회동되며, 상기 상부회전부(40)는 상기 세척수분사부(50)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회전부(20)와 상부회전부(40)의 사이에는 연장부(30)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30)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1엘보우관(23)과 제2엘보우관(41)이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의 싱크대용 아이워셔가 측부로 각진 형태로 연장됨으로써, 전체적인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게 된다.
한편, 상기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공급관(21)의 내부에는 세척수개폐밸브(21b)와, 상기 세척수개폐밸브(21b)의 개폐가 용이토록 외측으로 확장된 손잡이(21c)가 구비됨으로써, 눈에 이물질로 오염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1c)를 쉽게 조작하여 상기 세척수를 눈에 분사하며 세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회전부(20)에 구비된 제1니플(22)은 회전니플(22a)과 부싱(22b)이 구비됨으로써, 좌우 회전시에도 외부로 상기 세척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분기몸체(51)에는 상기 세척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수압조절밸브(54)와, 분기공(51a)을 개폐하는 분기조절밸브(51b)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분사노즐(53)에서 분사되는 상기 세척수의 수압을 각각 조절하거나 동시에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싱크대용 아이워셔는 싱크대(10)에 부설됨으로써, 순수하게 싱크대(10)로써의 활용과 아울러 아이워셔 기능까지 더해져 공간이 절약되고 설치비용도 간소화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싱크대 11 : 개수대
12 : 상판 13 : 수전
20 : 하부회전부 21 : 세척수공급관
21a : 브라켓 21b : 세척수개폐밸브
21c : 손잡이 22 : 제1니플
22a : 회전니플 22b : 부싱
23 : 제1엘보우관 30 : 연장부
31 : 스트레이너 40 : 상부회전부
41 : 제2엘보우관 42 : 제2니플
42a : 연결니플 42b : 제2회전니플
42c : 제2부싱 50 : 세척수분사부
51 : 분기몸체 51a : 분기공
51b : 분기조절밸브 52 : 분기관
53 : 분사노즐 54 : 수압조절밸브

Claims (6)

  1. 이물질에 오염된 눈이 신속히 세척되도록 세척수의 수압을 조절하여 분사하는 아이워셔에 있어서,
    그릇이나 음식물을 씻는 개수대(11)와, 상기 개수대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상판(12)이 구비된 싱크대(10)와;
    상기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상판(12) 일측에 브라켓(21a)으로 고정된 세척수공급관(21)과, 상기 세척수공급관(21)의 상단에 좌우로 회전가능토록 결합된 제1니플(22)과, 상기 제1니플(22)의 상단에 결합되어 측부로 연장된 제1엘보우관(23)으로 이루어진 하부회전부(20)와;
    상기 제1엘보우관(23)의 단부에 결합되어 측부로 연장되며, 중앙에 상기 세척수의 이물질을 거르는 스트레이너(31)가 구비된 연장부(30)와;
    상기 연장부(3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부로 연장된 제2엘보우관(41)과, 상기 제2엘보우관(41)의 상부에 좌우로 회전가능토록 결합된 제2니플(42)이 구비된 상부회전부(40)와;
    상기 제2니플(42)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세척수가 양측부로 분기되도록 내부에 분기공(51a)이 통공된 분기몸체(51)와, 상기 분기공(51a)의 양측부에 각각 결합된 분기관(52)과, 상기 분기관(52)의 단부에 결합된 분사노즐(53)이 구비된 세척수분사부(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척수공급관(21)에는 상기 세척수공급을 개폐하는 세척수개폐밸브(21b)와, 상기 세척수공급관(21)에 결합되어 상기 세척수개폐밸브(21b)의 개폐가 용이토록 외측으로 확장된 손잡이(21c)가 구비되며,
    상기 제1니플(22)은 상기 제1엘보우관(23)에 요입되어 하부로 연장된 회전니플(22a)과, 상기 회전니플(22a)과 세척수공급관(21)의 사이에 요입된 부싱(22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기몸체(51)의 상부에는 상기 세척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수압조절밸브(54)가 구비되고, 상기 분기공(51a)에는 상기 분사노즐(53)의 수압이 조절토록 분기조절밸브(51b)가 구비되며,
    상기 제2니플(42)은 상기 분기몸체(51)에 결합되어 하부로 연장된 연결니플(42a)과, 상기 연결니플(42a)의 하부에 결합된 제2회전니플(42b)과, 상기 연결니플(42a)과 제2회전니플(42b)의 사이에 요입된 제2부싱(42c)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싱크대(10)에는 상기 개수대(11)에 물을 공급하는 수전(1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아이워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70000990U 2017-03-02 2017-03-02 싱크대용 아이워셔 KR200487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990U KR200487101Y1 (ko) 2017-03-02 2017-03-02 싱크대용 아이워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990U KR200487101Y1 (ko) 2017-03-02 2017-03-02 싱크대용 아이워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101Y1 true KR200487101Y1 (ko) 2018-08-03

Family

ID=6320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990U KR200487101Y1 (ko) 2017-03-02 2017-03-02 싱크대용 아이워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1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6633A (zh) * 2022-01-22 2022-09-06 江西中医药大学附属医院 一种中医外科用伤口处理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961U (ja) * 1991-07-31 1993-02-19 能美防災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の巻下げ配管ユニツト
US5530972A (en) * 1995-01-31 1996-07-02 Encon Safety Products Emergency eyewash fountain
US5740569A (en) * 1997-02-25 1998-04-21 Haws Company Emergency eyewash unit
KR101067040B1 (ko) * 2008-11-17 2011-09-22 장상윤 샤워기가 장착된 비상용 안구세척기
KR200469653Y1 (ko) * 2012-07-11 2013-10-29 장상윤 수량분배조절수단이 구비된 안구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961U (ja) * 1991-07-31 1993-02-19 能美防災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の巻下げ配管ユニツト
US5530972A (en) * 1995-01-31 1996-07-02 Encon Safety Products Emergency eyewash fountain
US5740569A (en) * 1997-02-25 1998-04-21 Haws Company Emergency eyewash unit
KR101067040B1 (ko) * 2008-11-17 2011-09-22 장상윤 샤워기가 장착된 비상용 안구세척기
KR200469653Y1 (ko) * 2012-07-11 2013-10-29 장상윤 수량분배조절수단이 구비된 안구세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6633A (zh) * 2022-01-22 2022-09-06 江西中医药大学附属医院 一种中医外科用伤口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60097B (zh) Flush toilet
US3680780A (en) Ablutionary appliances
WO1997016106A9 (en) Cleaning and hygienic device
WO1997016106A1 (en) Cleaning and hygienic device
CN105125149B (zh) 水槽式清洗机
KR200487101Y1 (ko) 싱크대용 아이워셔
KR20110062783A (ko) 싱크대 일체형 식기세척장치
CN205712387U (zh) 一种机械式洁身器
KR20210128620A (ko)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
KR20150103492A (ko) 벽걸이식 세안장치
CN208329077U (zh) 一种带有双溢水结构的双盆水槽
WO2018126903A1 (zh) 一种排残留水切换组件
CN105064465B (zh) 一种适于公共场所使用的全自动洗手设备
KR20110057617A (ko) 분수형 세면장치
CN105133707B (zh) 一种全自动洗手设备
AU2009202961A1 (en) Water recycling system
CN206492628U (zh) 带自洁功能的顶喷装置
CN110593359A (zh) 一种冲刷自洁的智能盥洗盆
CN105019514A (zh) 一种自动化洗手机
CN108374456B (zh) 公共卫生间节水节电综合服务自动操作平台
CN212729725U (zh) 一种洗碗盖
CN217232077U (zh) 一种洗漱盆
CN214367938U (zh) 座便器智能盖板及用于人体清洗装置的防堵节流换向阀
KR20120004030U (ko) 복수 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
KR102264495B1 (ko) 미스트 분사를 위한 수전 부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