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030U - 복수 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복수 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4030U KR20120004030U KR2020100012346U KR20100012346U KR20120004030U KR 20120004030 U KR20120004030 U KR 20120004030U KR 2020100012346 U KR2020100012346 U KR 2020100012346U KR 20100012346 U KR20100012346 U KR 20100012346U KR 20120004030 U KR20120004030 U KR 2012000403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hole
- housing
- valve
- jet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allow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spout or the outlet nozz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저부에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00)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관(200)과, 상기 유입관(200)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0)에 하나 이상 형성된 토수부(3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토수부(300) 중 하나의 토수부(300)로 물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제1,2밸브홀(400)(500) 및 상기 제1,2밸브홀(400)(500)에 각각 삽입 체결되는 복수의 밸브체(600)로 구성되되, 상기 토수부(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상면에 수직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토수공(310)과,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 중앙에 수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토수공(320)과,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 전방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3토수공(330)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수도꼭지에 복수의 토수구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용도에 맞게 사용하도록 편의성을 높인 복수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수도꼭지에 복수의 토수구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용도에 맞게 사용하도록 편의성을 높인 복수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복수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꼭지에 복수의 토수구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용도에 맞게 사용하도록 편의성을 높인 복수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 내에는 토출구를 통한 냉.온수 토출 또는 샤워 헤드를 통한 냉.온수 토출이 가능한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가 마련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벽면 내부의 수도관(도시생략)과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어 물을 운반하는 샤워호수(120')와, 상기 샤워호수(120')로 부터 공급된 물을 일정 크기의 입자로 분사하는 샤워헤드(3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대야 등의 수용체에 물을 수용하도록 낙하 형태로 물을 배출하는 토출구(110')와, 상기 토출구(110') 및 샤워헤드(300)로 공급되는 물길을 개폐하는 토출레버(200') 및 상기 토출레버(200')를 동작하여 물길을 개방시 상기 토출구(110') 및 샤워헤드(300) 중 하나로 물의 방향을 조절하는 조절레버(400')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아파트 및 빌라의 경우 주로 지반 또는 옥상에 위치한 물탱크를 통해 물이 공급됨으로써, 이러한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는 샤워헤드(300)를 이용한 샤워시 저층 또는 고층에 위치한 가정에 수압이 부족한 문제가 더러 발생하였다.
상기 토출구(110')를 통한 물 공급에 있어서는 수직 낙하 방식이라 크나큰 불편함이 존재하지 않지만 샤워헤드(300)의 경우 샤워시 양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벽면에 위치한 샤워헤드고리부(도시생략)에 샤워헤드(300)를 걸어 사용하는데 수압이 약한 경우 사용자가 직접 한손으로 샤워헤드(300)를 파지하고 핸드샤워를 해야 함으로 샤워편의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샤워헤드(300)의 앞에 위치할 때 사용자 신체의 앞 또는 뒷부분만 물이 접촉되어 물 에너지의 낭비또한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근래에는 낙하방식의 별도의 샤워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 상측에 물이 수직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낙하방식의 샤워기를 추가적으로 마련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상기 케이스(10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는 물의 방향이 두곳에 불과하여 별도의 조절레버(400)를 추가적으로 상기 샤워호수(120')의 일측에 마련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와같은 방법은 설치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함은 물론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량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도꼭지에 복수방향으로 물을 분배하고 토수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복수 방향의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는 수도꼭지자체에서 물을 복수 방향으로 토수 함은 물론 별도의 장치를 수도꼭지외에 마련하지 않는 일체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부대비용의 현저한 절감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복수 방향의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의 특징은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저부에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00)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관(200)과, 상기 유입관(200)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0)에 하나 이상 형성된 토수부(3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토수부(300) 중 하나의 토수부(300)로 물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제1,2밸브홀(400)(500) 및 상기 제1,2밸브홀(400)(500)에 각각 삽입 체결되는 복수의 밸브체(600)로 구성되되, 상기 토수부(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상면에 수직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토수공(310)과,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 중앙에 수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토수공(320)과,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 전방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3토수공(330)으로 구섬됨을 특징으로 하여 기존의 양방향 토출이 아닌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사용토록 토수방식을 더 구비함은 물론 별도의 장치를 추가적으로 구입 및 설치하여야 하는 불필요한 부대비용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복수 방향의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는 수직 낙하방식의 샤워, 핸드 샤워는 물론 대야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토수방향을 갖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물의 방향 전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양방향 수도꼭지에 별도의 물 방향전환 밸브를 장착할 필요가 없어 이에 따른 부대비용의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복수 방향의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복수 방향의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의 제3토수공으로의 물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복수 방향의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의 제 2토수공으로의 물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복수 방향의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의 유입관으로 물이 유입되어 제2,3토수공 방향으로의 물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복수 방향의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의 유입관으로 물이 유입되어 제1토수공으로의 물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복수 방향의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 요부를 분해한 도면,
도 5는 종래의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복수 방향의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의 제3토수공으로의 물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복수 방향의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의 제 2토수공으로의 물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복수 방향의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의 유입관으로 물이 유입되어 제2,3토수공 방향으로의 물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복수 방향의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의 유입관으로 물이 유입되어 제1토수공으로의 물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복수 방향의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 요부를 분해한 도면,
도 5는 종래의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복수 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복수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복수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의 제3토수공으로의 물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복수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의 제 2토수공으로의 물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복수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의 유입관으로 물이 유입되어 제2,3토수공 방향으로의 물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복수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의 유입관으로 물이 유입되어 제1토수공으로의 물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복수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 요부를 분해한 도면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일 실시 예로 도시한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복수 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저부에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00)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관(200)과, 상기 유입관(200)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0)에 하나 이상 형성된 토수부(3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토수부(300) 중 하나의 토수부(300)로 물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제1,2밸브홀(400)(500) 및 상기 제1,2밸브홀(400)(500)에 각각 삽입 체결되는 복수의 제1,2밸브체(600)(700)로 구성된다.
상기 토수부(300)는,
상기 토수부(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상면에 수직상방으로 연장 형성되 제1토수공(310)과,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 중앙에 수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밸브체(600)와 체결 가능하도록 나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토수공(320)과,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 전방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3토수공(330)으로 형성된다.
더욱 자세하게 설면하면, 상기 제1토수공(310)은 내측이 관통된 원통 형상으로써, 물을 수직 낙하로 분사해주는 고정식샤워기(S)와 연결된 연결관(도시생략)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너트로 조임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토수공(320)은 내측이 관통된 원통형상으로써, 핸드샤워를 위한 핸드샤워기(SH)와 연결된 호수(R)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3토수공(330)은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부 저면에 형성되어 물을 수직 낙하 방식으로 배출가능하며, 내주연 하부에 매쉬 형태의 철망(필터)을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여 물튀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홀(400)은,
하우징(100)의 일측 측면의 후방부에 위치하여 복수의 홀로 형성되되, 외면에 형성된 제1차홀(410)과, 상기 제1차홀(410)로부터 상기 하우징(100) 내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차홀(420)과, 상기 제2차홀(42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더 안쪽에 위치한 제3차홀(4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밸브홀(500)은,
하우징(100)의 상면부 중앙에 위치하여 복수의 홀로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제1차홀(510)과, 상기 제1차홀(510)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2차홀(520)과, 상기 제2차홀(520)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3차홀(5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밸브체(600)는,
내측이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주연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610)와, 상기 몸체(6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체결되고 회전에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회전체(620)로 구성되어 제1밸브홀(400)에 삽입되어 상기 유입관(200)으로 유입된 물을 상방에 위치한 제1토수공(310) 또는 제2토수공(320)과 제3토수공(330)이 위치한 전방으로 물의 방향을 전환하며, 제2밸브홀(500)에 삽입된 제2밸브체(700)는 유입관(200)을 통해 제1밸브홀(400)로 유입되어 제1밸브홀(400)에 삽입된 제1밸브체(600)가 물을 전방으로 흘려보내면 제2토수공(320) 및 제3토수공(330)으로 물의 방향을 전환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밸브체(600)의 몸체(610)는 하부 외주연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밸브홀(400)의 제2차홀(420)과 체결되며, 상기 몸체(610)의 하부 외주연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의 상부에 홈부(도시생략)가 형성되어 링 형상의 제1차패킹(612)이 끼움되고, 상기 제1차패킹(612)의 상부로 일정간격을 두고 또 하나의 홈부(도시생략)가 형성되어 링 형상의 제2차패킹(614)이 끼움되며 상기 제1,2차패킹(612)(614)은 제1밸브홀(400)의 제1차홀(410) 및 제2차홀(420)을 밀폐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610)에 형성되되, 제1,2차패킹(612)(614)의 중간 위치에 수공(61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밸브체(700)의 몸체(710)는 하부 외주연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2밸브홀(500)의 제2차홀(520)과 체결되며, 상기 몸체(710)의 하부 외주연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의 상부에 홈부(도시생략)가 형성되어 링 형상의 제1차패킹(712)이 끼움되고, 상기 제1차패킹(712)의 상부로 일정간격을 두고 또 하나의 홈부(도시생략)가 형성되어 링 형상의 제2차패킹(714)이 끼움되며 상기 제1,2차패킹(712)(714)은 제2밸브홀(500)의 제1차홀(510) 및 제2차홀(520)을 밀폐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710)에 형성되되, 제1,2차패킹(712)(714)의 중간 위치에 수공(716)이 형성된다.
상기 제1밸브체(600)의 회전체(62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610)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되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막대(622)와, 상기 원형막대(622)의 최상부에 형성되는 헤드부(624)와, 상기 헤드부(624)의 하방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누수방지부(626)와, 상기 누수방지부(626)의 최하부에 형성되는 주판알형상의 밀폐부(628)로 구성되되,
상기 헤드부(624)는 외주연을 따라 톱니 형태의 돌기(도시생략)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커버(도시생략)를 체결할 수 있도록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누수방지부(626)는 상기 몸체(610)와 체결시 몸체(610)의 외주연에 형성된 수공(616)을 개폐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또한, 밀폐부(628)는 상기 제1밸브홀(400)의 제3차홀(430)을 개폐하여 물의 방향을 전환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2밸브체(700)의 회전체(72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710)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되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막대(722)와, 상기 원형막대(722)의 최상부에 형성되는 헤드부(724)와, 상기 헤드부(724)의 하방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누수방지부(726)와, 상기 누수방지부(726)의 최하부에 형성되는 주판알형상의 밀폐부(728)로 구성되되,
상기 헤드부(724)는 외주연을 따라 톱니 형태의 돌기(도시생략)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커버(도시생략)를 체결할 수 있도록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누수방지부(726)는 상기 몸체(710)와 체결시 몸체(710)의 외주연에 형성된 수공(716)을 개폐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또한, 밀폐부(728)는 상기 제2밸브홀(500)의 제3차홀(530)을 개폐하여 물의 방향을 전환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복수 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조립과정은 당업자에 따라 변형 및 다양한 타 실시 예가 시행될 수 있다.
먼저, 욕실 또는 기타 장소의 벽면 내부에 설치된 수도관에 연결되어 물을 수용하는 케이스(K)의 상면에 하우징(100)을 체결하되,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저부에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우징(100)으로 물을 유입하는 유입관(200)과 체결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구조는,
유입관(200)으로부터 유입된 물은 제1밸브홀(400)의 제2,3차홀(420)(430)의 저부 사이로 유입되고, 제1밸브홀(400)의 제3차홀(430)을 통한 물은 하우징(100)의 상부에 형성된 제1토수공(310)과 연결되도록 수로(도시생략)가 형성되며, 제1밸브홀(400)의 제1,2차홀(410)(420) 전방으로부터 제2밸브홀(500)의 제2,3차홀(520)(530)의 후방이 연결되게 수로가 형성되고, 제2밸브홀(500)의 제1,2차홀(510)(520)의 전방부에 수로가 형성되어 제3토수공(330)으로 배출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관(200)을 통해 유입된 물이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배출될 수 있도록 토수부(300)의 제1토수공(310) 내측면 외주연에 연결관(도시생략)을 삽입하여 너트로 체결한 후 상기 연결관의 상부에 고정식샤워기(S)를 체결한다.
그리고 제2토수공(320)에 호수(R)를 연결하고 상기 호수(R)의 상단에 핸드샤워기(HS)를 체결하여 벽면의 샤워헤드고리부에 거치 또는 한손으로 파지후 사용하며 상기 제3토수공(330)에는 매쉬 형상의 철망(필터)을 끼움하여 물이 지면 또는 대야 등에 닿을때 물의 튀김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토수부(300)를 통한 복수 방향의 토수를 위하여 제1,2밸브홀(400)(500)에 각각의 제1,2밸브체(600)(700)를 삽입 체결하여 물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복수 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사용상태는 당업자에 따라 변형 및 다양한 타 실시 예가 시행될 수 있다.
먼저 물을 차단 공급할 수 있는 레버(J)를 작동하여 수도관으로부터의 물을 공급받고 상기 수도관을 통한 물이 케이스(K)에 유입되며 유입된 물은 상기 케이스(K)에 체결된 하우징(100)의 저부에 수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유입관(200)을 통해 하우징(100)으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100)으로 물이 유입되면 먼저 물을 상부의 사용자의 머리 상측에 위치한 수직낙하 방식의 고정식샤워기(S)와 연결된 토수부(300)의 제1토수공(310)으로 보낼것인지 제2,3토수공(320)(330)이 위치한 전방으로 보낼것인지를 제1밸브홀(400)에 삽입 체결된 제1밸브체(600)를 동작하여 결정한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1밸브체(600)의 회전체(620) 헤드부(624)를 회전하여 회전체(620)를 후진시키면 유입관(200)을 통해 유입된 물이 제1밸브홀(400)의 제3차홀(430)을 통해 토수부(300)의 제1토수공(310)으로 유입되어 고정식샤워기(S)를 통해 분사되게 되고,
상기 회전체(620)의 헤드부(624)를 전진시키면 상기 하우징(100)의 제1밸브홀(400)의 제3차홀(430)이 밀폐부(628)에 의해 밀폐됨과 더불어 유입관(200)을 통해 하우징으로 유입된 물은 회전체(620)의 밀폐부(628)가 몸체(610)와 분리되어 몸체(610)의 관통된 저면을 통해 상기 몸체(610)의 제1,2차패킹(612)(614)의 중간쯤 위치한 수공(616)을 통해 제2,3토수공(320)(330)이 위치한 전방으로 흐르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밸브홀(400)의 제1,2차홀(410)(420)을 통해 전방으로 흐르는 물은 제2밸브홀(500)에 삽입 체결된 제2밸브체(700)에 의해 제2,3토수공(320)(330) 중 하나로 물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밸브홀(500)에 삽입된 제2밸브체(700)의 회전체(720) 헤드부(724)를 회전하여 회전체(720)를 후진시키면 상기 제1밸브홀(400)의 제1,2차홀(410)(420)을 통해 유입된 물이 제2밸브홀(500)의 제1,2차홀(510)(520)의 사이가 밀폐되어 제2,3차홀(520)(530) 사이로 유입된 물은 제2토수공(320)을 통해 핸드샤워기(HS)로 분사 되고, 상기 회전체(720)를 전진시키면 회전체(720)의 밀폐부(728)가 제3토수공(330)을 밀폐하여 상기 제2밸브홀(500)의 제2,3차홀(520)(530)을 통한 물은 상기 제2밸브체(700)의 몸체(710) 저부를 통해 유입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710)의 수공(716)을 통해 제2밸브홀(500)의 제1,2차홀(510)(520) 전방에 형성된 수로를 거쳐 제3토수공(330)으로 수직 낙하방식의 배출이 된다.
이에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수직 낙하 방식의 고정식샤워기와 손으로 파지하고 일정부분에 수압을 가할 수 있는 핸드샤워기와 대야 등의 수용체에 물을 받아 쓸수 있는 수직 낙하방식의 다양한 형태로 사용 가능한 것이다.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로써,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우징 200 : 유입관
300 : 토수부 310 : 제1토수공
320 : 제2토수공 330 : 제3토수공
400 : 제1밸브홀 410 : 제1차홀
420 : 제2차홀 430 : 제3차홀
500 : 제2밸브홀 510 : 제1차홀
520 : 제2차홀 530 : 제3차홀
600 : 제1밸브체 700 : 제2밸브체
610,710 : 몸체 612,712 : 제1차패킹
614,714 : 제2차패킹 616,716 : 수공
620,720 : 회전체 622,722 : 원형막대
624,724 : 헤드부 626,726 : 누수방지부
628,728 : 밀폐부
S : 고정식샤워기 SH : 핸드샤워기
R : 호수 K : 케이스
J : 레버
100 : 하우징 200 : 유입관
300 : 토수부 310 : 제1토수공
320 : 제2토수공 330 : 제3토수공
400 : 제1밸브홀 410 : 제1차홀
420 : 제2차홀 430 : 제3차홀
500 : 제2밸브홀 510 : 제1차홀
520 : 제2차홀 530 : 제3차홀
600 : 제1밸브체 700 : 제2밸브체
610,710 : 몸체 612,712 : 제1차패킹
614,714 : 제2차패킹 616,716 : 수공
620,720 : 회전체 622,722 : 원형막대
624,724 : 헤드부 626,726 : 누수방지부
628,728 : 밀폐부
S : 고정식샤워기 SH : 핸드샤워기
R : 호수 K : 케이스
J : 레버
Claims (4)
-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저부에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00)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관(200)과;
상기 유입관(200)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0)에 하나 이상 형성된 토수부(3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토수부(300) 중 하나의 토수부(300)로 물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제1,2밸브홀(400)(500) 및 상기 제1,2밸브홀(400)(500)에 각각 삽입 체결되는 복수의 제1,2밸브체(600)(700)로 구성되되,
상기 토수부(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상면에 수직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토수공(310)과;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 중앙에 수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토수공(320)과;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 전방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3토수공(3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방향의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홀(400)은 하우징(100)의 일측 측면의 외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되, 일정간격을 두고 제1,2,3차홀(410)(420)(4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밸브홀(5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되, 일정간격을 두고 제1,2,3차홀(510)(520)(5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방향의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체(600)는,
내측이 관통되어 내주연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몸체(610)와;
상기 몸체(6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체결되고 회전함에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회전체(620)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610)는 외주연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밸브홀(400)의 제1차홀(410)에 끼움되는 제1차패킹(612) 및 제2차홀(420)에 끼움되는 제2차패킹(614)과;
상기 몸체(610)의 외주연 타측에 수공(616)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620)는 상기 몸체(610)에 삽입되는 원형막대(622)와, 상기 원형막대(622)의 최상부에 형성되는 헤드부(624)와;
상기 헤드부(624)의 하방에 상기 몸체(610)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되기 위해 나사산이 일정부분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의 하방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누수방지부(626)와;
상기 누수방지부(626)의 최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밸브홀(400)의 제3차홀(430)을 밀폐하는 주판알형상의 밀폐부(62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방향의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체(700)는,
내측이 관통되어 내주연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몸체(710)와;
상기 몸체(7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체결되고 회전함에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회전체(720)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710)는 외주연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밸브홀(500)의 제1차홀(510)에 끼움되는 제1차패킹(712) 및 제2차홀(520)에 끼움되는 제2차패킹(714)과;
상기 몸체(710)의 외주연 타측에 수공(716)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720)는 상기 몸체(710)에 삽입되는 원형막대(722)와, 상기 원형막대(722)의 최상부에 형성되는 헤드부(724)와;
상기 헤드부(724)의 하방에 상기 몸체(710)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되기 위해 나사산이 일정부분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의 하방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누수방지부(726)와;
상기 누수방지부(726)의 최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밸브홀(500)의 제3차홀(530)을 밀폐하는 주판알형상의 밀폐부(72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방향의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2346U KR20120004030U (ko) | 2010-11-30 | 2010-11-30 | 복수 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2346U KR20120004030U (ko) | 2010-11-30 | 2010-11-30 | 복수 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4030U true KR20120004030U (ko) | 2012-06-08 |
Family
ID=46613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12346U KR20120004030U (ko) | 2010-11-30 | 2010-11-30 | 복수 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04030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0166Y1 (ko) * | 2012-08-20 | 2013-11-29 | 민순심 | 샤워기용 수전밸브구조 |
KR20210034184A (ko) * | 2019-09-20 | 2021-03-30 | 주식회사 디아 | 핸드밸브 수전 |
-
2010
- 2010-11-30 KR KR2020100012346U patent/KR20120004030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0166Y1 (ko) * | 2012-08-20 | 2013-11-29 | 민순심 | 샤워기용 수전밸브구조 |
KR20210034184A (ko) * | 2019-09-20 | 2021-03-30 | 주식회사 디아 | 핸드밸브 수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577932C (zh) | 卫生用排水装置 | |
CN107995879A (zh) | 雾化喷嘴 | |
KR102179943B1 (ko) | 세면기 수도꼭지에 부착되는 필터 토수구 | |
US8695898B2 (en) | Spout including a stream straightener | |
KR20120004030U (ko) | 복수 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 | |
KR101111567B1 (ko) | 급수전 | |
US20090044324A1 (en) | Bidet toilet seat apparatus and system for its use | |
JP4708974B2 (ja) | 自動水栓 | |
CN209067900U (zh) | 一种可调节出水覆盖面积的水龙头 | |
US20090276948A1 (en) | Bidet toilet seat apparatus and system for its use | |
WO2008031431A1 (en) | An exchangeable faucet or fitting | |
JP4030828B2 (ja) | シャワヘッド | |
JP2018009411A (ja) | 水栓 | |
KR20150003166U (ko) | 절수기 헤드 | |
JP5761684B2 (ja) | ボールタップ | |
CN207740543U (zh) | 一种坐便器水箱进水阀的减震降噪机构 | |
CN219639635U (zh) | 一种节水水龙头 | |
CN210386245U (zh) | 一种便于调整的埋墙式花洒 | |
KR101857349B1 (ko) | 수전용 카트리지 | |
KR20160001467U (ko) | 수전용 절수장치 | |
KR102483441B1 (ko) | 배출부재가 결합되어 냉·온수 및 정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수전 | |
CN220523405U (zh) | 一种新型净身龙头 | |
CN217500415U (zh) | 一种洗手池 | |
KR101339338B1 (ko) | 수전금구용 카트리지 | |
CN203776706U (zh) | 饮水机的改良出水龙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