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467U - 수전용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수전용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467U
KR20160001467U KR2020140007800U KR20140007800U KR20160001467U KR 20160001467 U KR20160001467 U KR 20160001467U KR 2020140007800 U KR2020140007800 U KR 2020140007800U KR 20140007800 U KR20140007800 U KR 20140007800U KR 20160001467 U KR20160001467 U KR 201600014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aving
faucet
aerator
sa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용칠
Original Assignee
대신건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건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신건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7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467U/ko
Publication of KR201600014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46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4Jet regulators with aer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6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asily mountable on the outlet of t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전용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전의 토수구에 절수부속을 대체하여 일반형 에어레이터와 와셔가 결합 장착된 절수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토수량을 절감하여 절수효과를 도모함과 아울러 수압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토수 성능을 유지하여 소비자의 사용 만족도를 충족하도록 하는 수전용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전용 절수장치 {WATER-SAVING DEVICE FOR FAUCET}
본 고안은 수전용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전의 토수구에 절수부속을 대체하여 일반형 에어레이터와 와셔가 결합 장착된 절수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토수량을 절감하여 절수효과를 도모함과 아울러 수압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토수 성능을 유지하여 소비자의 사용 만족도를 충족하도록 하는 수전용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나 샤워기, 개수대 등의 각종 설비에 있어서 물의 공급을 단속하거나 물이 흐르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급수관의 말단부에는 수전이 설치되며, 수전(수도꼭지)의 소정 부위에는 레버나 핸들이 부착되어 이들의 개폐조작에 의해 토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수전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양치를 하거나 머리에 샴푸를 할 때와 같이 물을 필요로 하지 않은 순간에도 수전을 잠그는 것을 잊은 채 물을 그대로 흘려보내거나 또는 일일이 잠그기가 불편하고 귀찮다는 이유로 물이 흐르도록 버려두는 등 물을 불필요하게 낭비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레버나 핸들을 조작하여 토수량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아주 적은 양만의 물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레버나 핸들을 미세하게 조작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미세 조작이 쉽지 않고 번거로움이 있는데다가 토수량을 조절하는 동안에 사용하지 못한 물이 버려지는 것과 같이 실제로 수전의 토수구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가 어려운 편이다.
이와 같이 많은 양의 깨끗한 물이 제대로 사용되지도 못하고 그대로 버려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물 부족 현상이 점차 심각해지고 있는 환경 하에서 물의 소비를 제한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물을 절약하기 위하여 수전의 내부구조를 변경하거나 수전의 토수구에 절수를 위한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는 등 절수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절수장치는 절수를 위한 부품의 개수가 많거나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수전의 가공치수 조정으로 물이 적게 흐르도록 하여 절수효과를 나타내고자 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수압의 변동에 따라 각 설치장소마다 토수량의 조정이 불가능한바, 즉, 수압이 높아야 절수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저압에서는 토수량이 너무 적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만큼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불만을 야기할 뿐 아니라 오히려 물의 사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절수효과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 특허등록 제1273399호의 "수전용 절수기", 제1376692호의 "절수형 수전" 등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바, 본 고안은 종래의 절수효과를 가진 수전의 기능을 지속하되, 종래의 수전용 절수장치에 저압에서도 적절한 토수량을 가지도록 기능이 보강된 절수장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 특허등록 제1273399호의 "수전용 절수기" (2013.06.04) 한국 특허등록 제1376692호의 "절수형 수전" (2014.03.14) 한국 특허등록 제695734호의 "절수형 수전금구" (2007.03.09) 한국 특허등록 제1135338호의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 (2012.04.03)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수기능이 없는 일반형 수전과 저압에서 토수량이 부족한 절수형 수전의 단점을 개선하여, 수압 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적정한 범위의 토수량을 유지하여 절수효과를 기대함과 아울러 소비자의 사용 만족도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전용 절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전용 절수장치는, 수전의 토수구에 설치되는 절수장치에 있어서, 수전의 토수구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물의 배출속도를 줄이는 에어레이터부재; 상기 에어레이터부재의 상부에 안착되어 에어레이터부재에 유입되는 수량을 조절하는 와셔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삽입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와셔부재는 상기 에어레이터부재의 상면과 형상이 일치되도록 중심 부위가 가장자리 부위에 비하여 수전 토수구를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와셔부재는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직경은 4~6파이(φ)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와셔부재는 스테인리스 소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전용 절수장치에 따르면, 수전 본체의 가공치수를 조정하거나 또는 절수부속을 이용하여 수전에서 흐르는 물의 양을 줄임으로써 절수효과를 나타내는 종래의 절수장치와는 달리, 수전의 토수구에 와셔와 일반형 에어레이터(aerator)를 결합하여 장착함으로써 레버나 핸들을 간편하게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토수량 조절에 따른 절수효과를 가짐과 아울러 수전 토수구에서 배출되는 수압의 변동에 따른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
이에 따라 토수 수압이 높거나 토수량이 많은 지역에서의 절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토수 수압이 낮은 지역에서도 사용자가 만족할 정도의 토수량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분해사시도
도3은 도1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도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전용 절수장치(D)는, 수전의 토수구에 결합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물의 배출속도를 줄이는 에어레이터부재(20); 상기 에어레이터부재의 상부에 안착되어 에어레이터부재에 유입되는 수량을 조절하는 와셔부재(30);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삽입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10)은 수전의 토수구(100)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부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11)이 형성되어 토수구 내측 둘레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수전(F)과 일체를 이루며, 이에 따라 후술하는 에어레이터부재 및 와셔부재를 수전의 토수구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레이터부재(20)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을 통해 수전의 토수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에어레이터부재는 공지의 절수형이 아닌 일반형이 사용되며 물에 공기를 혼합하여 거품을 발생시키고 후술하는 와셔부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모아주는 기능을 한다.
에어레이터부재(20)는 그 상부(전면) 즉, 수전을 향하는 측면에 중심 부위가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의 망(21)이 구비되어 수전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의 흡입을 원활하게 하고, 망의 하부에는 하우징에 삽입 고정되는 캡볼트(22)가 구비되고, 이러한 망과 캡볼트는 패킹(23)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와셔부재(30)는 상기 에어레이터부재의 상부(전면)에 안착되어 에어레이터부재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와셔부재에 의해 절수효과를 가짐과 아울러 적절한 양의 물이 유출된다.
상기 와셔부재(30)는 대략 원형의 패널 형상이되 상기 에어레이터부재의 망과 그 형상이 일치하도록 중심 부위가 가장자리부에 비하여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며, 수전에서 배출되는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에는 관통공(31)이 형성된다.
와셔부재(30)의 직경은 에어레이터부재(20) 및 수전의 토수구(100) 직경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고, 이때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31)의 직경은 4~6파이(φ)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5파이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와셔부재(30)는 인장강도가 높고 연실율 및 내식성이 좋은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온의 물과 압력에서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내열성 및 내구성을 가진 것이라면 합성수지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패킹부재(4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금속재로 된 하우징(10)과 수전 토수구(100)의 결합 부위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밀봉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이러한 패킹부재의 중앙에는 수전에서 배출되는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배수공(41)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절수장치의 토수 성능 즉, 토수압 변화에 따른 토수량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시험대상은 FFL 0813 원홀세면용 수전(대붙이 한개레버식 온냉수 혼합꼭지)으로 하되, 시험구로는 본 고안에 따른 일반형 에어레이터부재에 4,5,6π의 와셔부재가 각각 결합된 것(순서대로 시험구1,2,3)을 대상으로 하고, 대조구로는 일반형 에어레이터부재, 절수형 에어레이터부재, 절수형 에어레이터부재에 4,5,6π의 와셔부재가 각각 결합된 것(순서대로 대조구1,2,3,4,5)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또한, 토수 수압은 98kPa에서부터 294kPa에 이르기까지 19.6kPa씩 단계적 증가에 따른 토수량의 변화를 확인하고, 그 시험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Figure utm00001
[1] 토수 성능 비교
상기 표1의 결과에 따르면, 시험구1 내지 3은 저압과 고압에서의 토수량의 차이가 적게 나타날 뿐 아니라 대조구들에 비하여 저압에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토수량을 나타내고 있어 사용자가 물을 사용하기에 적합하였으며, 특히 시험구2의 경우 수압에 따른 토수량의 차이가 가장 적게 나타남에 따라 사용자의 불편함도 없고 절수효과도 좋았다.
반면, 대조구1 및 5의 경우 수압 변동에 따른 토수량의 차이가 많이 나고 있으며, 대조구2 내지 4의 경우 수압 변동에 따른 토수량의 차이는 적게 나타나고 절수효과가 양호하였으나, 저압에서의 토수량이 너무 적은 편이며 특히 대조구3의 경우에는 수압이 293kPa에서도 토수량이 3.2L/min에 불과하여 실제 사용자가 물을 사용 시 불편함을 느낄 수 있을 정도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전형 절수장치는, 수전의 토수량을 절감하여 물을 절약하고 현장의 수압 변동에 따른 토수량에 대한 영향을 극복하되, 종래의 일반형 수전보다는 토수량을 줄이고 절수형 수전보다는 토수량을 많게 조절함으로써 적절한 정도의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절수장치는 수전뿐만 아니라 샤워기의 샤워헤드 부위와 호스 부위 사이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물론이다.
10 : 하우징 11 : 나사산
20 : 에어레이터부재 21 : 망
30 : 와셔부재 31 : 관통공
40 : 패킹부재 41 : 배수공
D : 절수장치

Claims (4)

  1. 수전의 토수구에 설치되는 절수장치에 있어서,
    수전의 토수구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물의 배출속도를 줄이는 에어레이터부재;
    상기 에어레이터부재의 상부에 안착되어 에어레이터부재에 유입되는 수량을 조절하는 와셔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삽입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용 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부재는 상기 에어레이터부재의 상면과 형상이 일치되도록 중심 부위가 볼록하게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용 절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부재는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직경은 4~6파이(φ)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용 절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부재는 스테인리스 소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용 절수장치.
KR2020140007800U 2014-10-27 2014-10-27 수전용 절수장치 KR201600014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00U KR20160001467U (ko) 2014-10-27 2014-10-27 수전용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00U KR20160001467U (ko) 2014-10-27 2014-10-27 수전용 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67U true KR20160001467U (ko) 2016-05-09

Family

ID=56023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800U KR20160001467U (ko) 2014-10-27 2014-10-27 수전용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46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569B1 (ko) * 2019-11-28 2020-04-02 주식회사 미소지음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569B1 (ko) * 2019-11-28 2020-04-02 주식회사 미소지음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345B2 (en) Flow control apparatus
US6227464B1 (en) In-line basket filter and anti-siphon valve assembly for spray spout and the like
US4573639A (en) Shower head
CA2647104C (en) Spout including a stream straightener
CA2625559A1 (en) Shower having a water saving system
KR100934003B1 (ko) 단계별 절수조절수단이 구비된 샤워기
EP2054653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ap adaptors
KR20160001467U (ko) 수전용 절수장치
US10022734B2 (en) Variable dual flow fitting
JP4030828B2 (ja) シャワヘッド
JP2011172892A (ja) シャワー用節水器具
CN208734916U (zh) 一种可调节水花的水龙头
JP2004181328A (ja) シャワーヘッド
CN205715784U (zh) 一种新型水龙头
KR20120004030U (ko) 복수 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
RU156978U1 (ru) Насадка на кран или смеситель умывальника "эконом-клапан"
CN203604725U (zh) 旋转出水嘴巴及手喷出水双模式水龙头
CN214743623U (zh) 一种出水高度可控的水龙头
CN210344385U (zh) 一种降低重金属析出的龙头水道结构
CN212596481U (zh) 一种隐藏式起泡器
EP2817461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blutionary fittings
AU2009100154A4 (en) Mixer fitting
US11920329B2 (en) Bath faucet system
TWM424419U (en) Waste water pipe with air gap of faucet
CN219774870U (zh) 一种多方位转动出水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