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166U - 절수기 헤드 - Google Patents
절수기 헤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3166U KR20150003166U KR2020140001051U KR20140001051U KR20150003166U KR 20150003166 U KR20150003166 U KR 20150003166U KR 2020140001051 U KR2020140001051 U KR 2020140001051U KR 20140001051 U KR20140001051 U KR 20140001051U KR 20150003166 U KR20150003166 U KR 2015000316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hole
- switching means
- center
- hinge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수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 및 공공장소의 수도꼭지에 장착되어 유출되는 물의 수량을 조절해주는 수로전환수단의 부품 구조를 간소화 시킴은 물론 헤드 내부에 필터가 내장되어 이물질을 걸러주어 깨끗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절수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내부 공간부를 갖으며, 상부 중앙에는 토수관(1)에 연결되도록 연결돌기부(11)가 형성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중앙에 구비되며, 토수관에 연통되어 물을 유동시키는 유로관(20);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로관(20)을 통해 흐르는 물을 직수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살수로 배출시키도록 중앙에 직수공(31)이 형성되고, 이 직수공(31)의 외주면으로 복수개의 살수공(32)이 형성되며 테두리부 내측 일부분에는 힌지축(51)이 삽입관통되도록 축삽입홀(33)이 형성된 수로분배유출판(30); 상기 수로분배유출판(30)의 축삽입홀(33)에 삽입관통되는 힌지축(51)의 상단에 회전가능토록 볼트고정되어 직수공(31)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시켜주는 수로전환수단(40); 및 상기 수로전환수단(40)의 일단에 볼트고정되어 수로전환수단(40)를 회전작동시켜 수로를 전환시켜주는 수로전환손잡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 헤드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내부 공간부를 갖으며, 상부 중앙에는 토수관(1)에 연결되도록 연결돌기부(11)가 형성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중앙에 구비되며, 토수관에 연통되어 물을 유동시키는 유로관(20);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로관(20)을 통해 흐르는 물을 직수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살수로 배출시키도록 중앙에 직수공(31)이 형성되고, 이 직수공(31)의 외주면으로 복수개의 살수공(32)이 형성되며 테두리부 내측 일부분에는 힌지축(51)이 삽입관통되도록 축삽입홀(33)이 형성된 수로분배유출판(30); 상기 수로분배유출판(30)의 축삽입홀(33)에 삽입관통되는 힌지축(51)의 상단에 회전가능토록 볼트고정되어 직수공(31)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시켜주는 수로전환수단(40); 및 상기 수로전환수단(40)의 일단에 볼트고정되어 수로전환수단(40)를 회전작동시켜 수로를 전환시켜주는 수로전환손잡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 헤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절수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 및 공공장소의 수도꼭지에 장착되어 유출되는 물의 수량을 조절해주는 수로전환수단의 부품 구조를 간소화시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함은 물론 헤드 내부에 필터가 내장되어 이물질을 걸러주어 깨끗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절수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수기는 싱크대, 샤워기, 정수기 등에 사용되는 수전금구의 토수구에 연결하여 사용한는 것으로서, 수전금구에서 토수되는 물이 절수기 헤드를 통하여 흩어지면서 배출되거나 직수로 배출되도록 하여 효율적인 물 사용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부재이다.
대개의 경우 절수기 헤드에는 토수되는 물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버튼식으로 형성되는 수로전환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수로전환수단의 조절에 의하여 토수되는 물을 다수의 작은 구멍으로 흩어서 뿌리게 하는 살수와 하나의 큰 구멍으로 토수되는 직수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절수기 헤드 중에서 실용신안등록 제144884호에 볼을 이용하는 분사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의 절수기 헤드에 구비된 수로전환수단은 헤드의 외부에 위치한 버튼을 밀게되면, 이 버튼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레버가 수로분배관의 수로구멍에 탄력 설치된 볼을 이동시키는 볼 누름방식으로 수로전환이 이루어지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로전환수단은 수로분배판에 볼과 면 접촉되는 패킹을 설치한 후, 상기 볼을 패킹쪽으로 밀착시키기 위하여 하우징에 설치된 탄성부재가 볼을 누르도록 구성됨으로서 많은 부품이 갖춰져야 할뿐만 아니라 상기 부품을 조립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볼 누름방식의 수로전환수단은 패킹이 탄성부재의 압력을 받는 볼과 접촉되어 수로전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반복적인 수로전환으로 인한 패킹의 마모로 살수와 직수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절수기 헤드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가 없기 때문에 배수지 또는 노후된 수도관을 통하여 각 가정으로 물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포함된 물이 그대로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토수관에서 유출되는 물의 수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케이스의 내부에 유동관과 수로전환수단 및 수로전환손잡이가 구비된 수로분배유출판이 장착된 절수기 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제2목적은 수로분배유출판에 형성된 직수공의 하단에 걸음망을 설치하여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물을 직수 또는 살수로 배출되도록 수로를 전환해주는 수로전환수단의 부품구조를 간소화시켜 제조단가를 절감시킴은 물론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절수기 헤드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내부 공간부를 갖으며, 상부 중앙에는 토수관에 연결되도록 연결돌기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 중앙에 구비되며, 토수관에 연통되어 물을 유동시키는 유로관; 상기 케이스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며, 유로관을 통해 흐르는 물을 직수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살수로 배출시키도록 중앙에 직수공이 형성되고, 이 직수공의 외주면으로 복수개의 살수공이 형성되며 테두리부 내측 일부분에는 힌지축이 삽입관통되도록 축삽입홀이 형성된 수로분배유출판; 상기 수로분배유출판의 축삽입홀에 삽입관통되는 힌지축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볼트고정되어 직수공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시켜주는 수로전환수단; 및 상기 수로전환수단의 일단에 볼트고정되어 수로전환수단를 회전작동시켜 수로를 전환시켜주는 수로전환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 헤드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헤드 내부에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망이 구비되어 깨끗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수로전환수단의 부품 구조를 간고화함으로서 부품제작 비용 및 조립비용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다.
또한, 유로관의 하단에는 원통돌기가 형성되어 배출되는 물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절수기 헤드를 나타낸 전체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부분확대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 헤드가 직수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 헤드가 살수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결합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케이스에 유로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부분확대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 헤드가 직수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 헤드가 살수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결합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케이스에 유로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정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적용된 절수기 헤드(1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적용된 절수기 헤드(100)는 내부 공간부를 갖으며, 상부 중앙에는 토수관(1)에 연결되도록 연결돌기부(11)가 형성된 케이스(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돌기부(11)의 내측에는 나사산돌기(11a)가 형성되어있어 토수관(1)에 형성된 나사산돌기(도면에 미도시함)와 맞물려 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중앙에는 토수관(1)에 연통되어 물을 유동시키는 유로관(2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유로관(20)의 내측 하단 중앙에는 토수관(1)에서 흐르는 물이 빠른 유속으로 유동되도록 기둥돌기(21)가 형성되고, 이 기둥돌기(21)의 외주면에는 물이 배출되도록 복수개의 배출구(22)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유로관(20)의 상부는 연결돌기부(11)의 하부 내측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하부에는 유로관(20)을 통해 흐르는 물을 직수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살수로 배출시키도록 중앙에는 직수공(31)이 형성되고, 이 직수공(31)의 외주면으로 복수개의 살수공(32)이 형성되며, 테두리부 내측 일부분에는 힌지축(51)이 삽입관통되도록 축삽입홀(33)이 형성된 수로분배유출판(30)이 장착된다.
더하여, 상기 직수공(31)의 테두리 끝단 일측에는 직수공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해주는 수로전환수단(40)의 차폐원판(41)이 직수공의 상단에 위치되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턱(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로분배유출판(30)에 형성된 직수공(31)의 하부 내측에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걸음망(6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로분배유출판(30)의 축삽입홀(33)에 삽입관통되는 힌지축(51)의 상단에 회전가능토록 볼트고정되어 직수공(31)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시켜주는 수로전환수단(40)이 설치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로전환수단(40)의 일단에는 하단에 반원형의 라운딩부(41a)가 형성된 차폐원판(41)이 형성되어 직수공(31)의 상단에 라운딩부(41a)가 소정깊이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이고, 타단에는 구멍(42)이 형성되어 수로전환손잡이(50)에 돌출형성된 힌지축(51)의 상단에 회전가능토록 볼트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로전환수단(40)의 일단에 볼트고정되어 수로전환수단(40)를 회전작동시켜 수로를 전환시켜주는 수로전환손잡이(5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로전환손잡이(50)의 힌지축(51)은 수로분배유출판(30)에 형성된 축삽입홀(33)의 하단측으로 관통삽입되어 수로전환수단(40)의 일단에 형성된 구멍(42)에 끼워져 볼트고정되거나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상단에 형성된 축삽입홀(33a)의 상단측으로 관통삽입되어 수로전환수단(40)의 일단에 형성된 구멍(42)에 끼워져 볼트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절수기 헤드(100)의 사용방법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수관(1)의 끝단이 케이스(10)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돌기부(11)에 삽입시켜 토수관(1)에 유로관(20)이 연통되도록 설치시킨다.
그런 다음 절수기 헤드(100)를 직수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전환손잡이(50)를 일방향으로 회전작동시켜 직수공(31)의 상단에 위치한 차폐원판(41)을 직수공(31)의 상단에서 완전히 벗어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토수관(1)의 밸브를 오픈하면 연통된 유로관(20)을 통해 흐르는 물이 직수공(31)으로 바로 유입되어 직수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로관(20)의 하단 내측에는 기둥돌기(21)와 복수개의 배출구(22)가 형성되어있어 토수관(1)에서 흐르는 물을 빠른 유속으로 유동시켜 직수공(31)으로 유입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직수공(31)의 하부 내측에는 걸음망(60)이 설치되어있어 유로관(20)을 통하여 직수공(31)으로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서 배출시키므로 사용자에게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절수기 헤드(100)를 살수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전환손잡이(50)를 타방향으로 회전작동시켜 차폐원판(41)이 직수공(31)의 상단을 완전히 덮어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토수관(1)의 밸브를 오픈하면 연통된 유로관(20)을 통해 흐르는 물은 차폐원판(41)에 차단되어 직수공(31)으로 바로 유입되지 못하고 직수공(31)의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된 살수공(32)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본 고안 절수기 헤드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1 - 토수관 10 - 케이스
20 - 유로관 30 - 수로분배유출판
40 - 수로전환수단 50 - 수로전환손잡이
60 - 걸음망 100 - 절수기 헤드
20 - 유로관 30 - 수로분배유출판
40 - 수로전환수단 50 - 수로전환손잡이
60 - 걸음망 100 - 절수기 헤드
Claims (5)
- 내부 공간부를 갖으며, 상부 중앙에는 토수관(1)에 연결되도록 연결돌기부(11)가 형성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중앙에 구비되며, 토수관에 연통되어 물을 유동시키는 유로관(20);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로관(20)을 통해 흐르는 물을 직수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살수로 배출시키도록 중앙에 직수공(31)이 형성되고, 이 직수공(31)의 외주면으로 복수개의 살수공(32)이 형성되며 테두리부 내측 일부분에는 힌지축(51)이 삽입관통되도록 축삽입홀(33)이 형성된 수로분배유출판(30);
상기 수로분배유출판(30)의 축삽입홀(33)에 삽입관통되는 힌지축(51)의 상단에 회전가능토록 볼트고정되어 직수공(31)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시켜주는 수로전환수단(40); 및
상기 수로전환수단(40)의 일단에 볼트고정되어 수로전환수단(40)를 회전작동시켜 수로를 전환시켜주는 수로전환손잡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 헤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수공(31)의 테두리 끝단 일측에는 직수공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해주는 수로전환수단(40)의 차폐원판(41)이 직수공의 상단에 위치되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턱(3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 헤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전환수단(40)의 일단에는 상기 직수공(31)의 상단에 소정깊이 삽입되어 덮어지도록 하단에 반원형의 라운딩부(41a)가 형성된 차폐원판(4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수로전환손잡이(50)에 돌출형성된 힌지축(51)에 삽입고정되어 회전되도록 구멍(4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 헤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20)의 내측 하단 중앙에는 토수관(1)에서 흐르는 물이 빠른 유속으로 유동되도록 기둥돌기(21)가 형성되고, 이 기둥돌기(21)의 외주면에는 물이 배출되도록 복수개의 배출구(2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 헤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분배유출판(30)에 형성된 직수공(31)의 하부 내측에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걸음망(6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 헤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1051U KR20150003166U (ko) | 2014-02-13 | 2014-02-13 | 절수기 헤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1051U KR20150003166U (ko) | 2014-02-13 | 2014-02-13 | 절수기 헤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3166U true KR20150003166U (ko) | 2015-08-21 |
Family
ID=5433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1051U KR20150003166U (ko) | 2014-02-13 | 2014-02-13 | 절수기 헤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03166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60552A (ko) | 2022-05-17 | 2023-11-24 | 이상근 | 온도 제어 가스 튀김장치 |
KR102712699B1 (ko) * | 2023-06-29 | 2024-09-30 | 윤재국 | 수전 헤드용 기능성분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수전 헤드 |
-
2014
- 2014-02-13 KR KR2020140001051U patent/KR20150003166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60552A (ko) | 2022-05-17 | 2023-11-24 | 이상근 | 온도 제어 가스 튀김장치 |
KR102712699B1 (ko) * | 2023-06-29 | 2024-09-30 | 윤재국 | 수전 헤드용 기능성분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수전 헤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RE47552E1 (en) | Aerator with dual spraying functions | |
KR102179943B1 (ko) | 세면기 수도꼭지에 부착되는 필터 토수구 | |
KR100934003B1 (ko) | 단계별 절수조절수단이 구비된 샤워기 | |
KR20150003166U (ko) | 절수기 헤드 | |
KR20130017393A (ko) | 싱크대용 물 분사기 | |
CN106759686B (zh) | 一种具有切换式除垢起泡器的龙头 | |
KR20220001315U (ko) | 샤워기용 기능성 성분 공급모듈 | |
CN205361707U (zh) | 通用型清洗机喷头结构 | |
KR20220000775U (ko) | 수전용 정수필터 | |
CN107234011B (zh) | 节水型水龙头喷嘴 | |
KR101178550B1 (ko) | 미세기포 발생 샤워헤드 | |
JP4030828B2 (ja) | シャワヘッド | |
CN110985708B (zh) | 便于水龙头内腔自清洁的水龙头 | |
GB2512385A (en) | Tank connector, filter and manifold assembly and method | |
CN204084866U (zh) | 储水式热水器 | |
KR101307186B1 (ko) | 샤워헤드 | |
KR20180003628U (ko) | 선반형 샤워수전의 일체형 개폐 및 수로구조 | |
JP3858035B2 (ja) | シャワーヘッドの散水構造 | |
CN113560050A (zh) | 出水装置及花洒、喷枪、龙头 | |
CN104174516A (zh) | 一种方便清洗手柄的花洒 | |
CN107320052B (zh) | 洗碗机用进排水一体管件 | |
KR20170013071A (ko) | 비데용 노즐 | |
CN218091109U (zh) | 垃圾处理器 | |
CN214052136U (zh) | 一种出针状水和喷雾水起泡器 | |
CN204638395U (zh) | 一种卡口式防滴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