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620A -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 - Google Patents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620A
KR20210128620A KR1020200046471A KR20200046471A KR20210128620A KR 20210128620 A KR20210128620 A KR 20210128620A KR 1020200046471 A KR1020200046471 A KR 1020200046471A KR 20200046471 A KR20200046471 A KR 20200046471A KR 20210128620 A KR20210128620 A KR 20210128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p water
cleaning tool
hot water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9111B1 (ko
Inventor
박명수
Original Assignee
박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수 filed Critical 박명수
Priority to KR1020200046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111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에 관한 것으로, 수도관에서 유입되는 냉수 및 온수 수돗물을 수전금구 본체에서 혼합하여 본체의 토수구와 핸드샤워기와 고정샤워기 및 청소용구로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적절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청소용구는 수돗물이 배출됨에 따라 욕실의 바닥이나 벽면 등의 피세척물 표면을 한손으로도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청소 및 세척할 수 있고 수도관에서 유입되는 수돗물을 깨끗한 정수로 걸러주는 정수필터 조립체를 수전금구의 본체에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수전금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 {faucet with Cleaning tool}
본 발명은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수도관에서 유입되는 수돗물인 냉수 및 온수를 수전금구 본체에서 혼합하여 토수구나 핸드샤워기 또는 고정샤워기로 선택적으로 배출가능하면서도 수돗물이 배출되는 청소용구를 구비하여 욕실의 바닥이나 벽면 또는 욕실에서 사용하는 각종 생활용품 등을 간편하게 청소 및 세척할 수 있는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 설비시설의 수전금구는 냉,온수를 혼합하여 토출시키는 토수구가 구비됨은 물론 샤워기 헤드를 사용자가 손에 들고 사용하는 핸드샤워기와, 샤워기 헤드가 마치해바라기꽃 형태로 되고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샤워기가 구비된다. 따라서 수전금구의 조절노브를 조작하여 토수구나 핸드샤워기 또는 고정샤워기를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전금구의 일 예로 공개특허 제10-2019-0021911호(참고문헌)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참고문헌은 샤워기능을 갖는 혼합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급수밸브와 샤워방향전환밸브가 형성되고, 급수밸브와 연결되는 수도꼭지와, 상부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파이프와. 파이프의 상부에 연결된 샤워헤드로 구성된 고정식 샤워기와, 하부에 연결되는 주름관 호스와, 주름관 호스에 연결된 샤워헤드로 구성된 유동식 샤워기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는 혼합수 안내본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혼합수 안내본체는, 냉,온수가 유입되는 냉수유입구와 온수유입구가 형성되고 급수조절카트리지가 결합되는 제1삽입부; 고정식 샤워기 또는 유동식 샤워기 중 어느 하나로 출수방향을 제어하는 방향전환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제2삽입부; 상기 제1삽입부와 제2삽입부를 통하도록 연결하는 이송통로;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참고문헌의 혼합수전장치는 수도꼭지와 고정식 샤워기 또는 유동식 샤워기만 사용가해 그 용도가 지극히 제한적이다.
특히 이러한 혼합수전장치가 설치되는 욕실 등의 경우 내부는 습기가 높아 물때가 많이 끼게 되고 자주 청소해야 하는데 이 경우 세척솔을 이용해서 피세척면을 닦은 후 유동식 샤워기를 이용해 피세척면에 수돗물을 뿌려주거나, 한쪽 손으로는 세척솔을 이용해서 닦으면서 다른쪽 손으로는 유동식 샤워기를 잡고 욕실 피세척면에 물을 뿌려주어야 이물질을 깨끗히 제거하므로 욕실 청소가 번거롭고 체력소모가 많을 뿐만 아니라 청소 시간 역시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최근의 수돗물은 과거에 비해 수질이 개선되었으나 건물의 배관이나 물탱크가 노후됨에 따라 녹이나 물때와 같은 불순물이 섞여서 배출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참고문헌의 혼합수전장치는 수돗물을 필터링하지 못하여 수돗물의 사용이 세수나 샤워 등으로 제한된다.
참고문헌 : 공개특허 제10-2019-0021911호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도관에서 유입되는 수돗물을 수전금구 본체에서 혼합하여 토수구나 핸드샤워기 또는 고정샤워기로 선택적으로 배출가능하면서도 수돗물이 배출되는 청소용구를 구비하여 욕실의 바닥이나 벽면 등의 피세척면을 한손으로도 간단히 청소 및 세척할 수 있는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도관에서 유입되는 수돗물을 깨끗한 정수로 걸러주어 수돗물을 다양한 용도로 사용가능하고 용도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청소용구를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냉수관 및 온수관이 연결되는 냉수 유입관 및 온수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냉수 및 온수를 혼합하여 배출하는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에서 혼합 배출되는 수돗물을 분배하는 분배기와, 상기 카트리지의 냉수와 온수의 혼합 및 토출을 조절하는 냉온수 조작부와, 상기 분배기의 수돗물 배출 방향을 조절하는 토출 방향 조작부와, 상기 냉온수 조작부 및 토출 방향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수돗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토수구와 고정샤워기와 핸드샤워기 및 청소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본체의 전방에는 분배기에서 배출되는 수돗물을 토출하는 토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분배기에서 배출되는 수돗물을 토출하는 고정샤워기의 파이프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분배기에서 배출되는 수돗물을 토출하는 핸드샤워기의 샤워호스와 청소용구의 청소호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청소용구는 청소호스에 일단이 연결되어 일단에서 타단으로 수돗물이 이동하는 안내유로가 형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타단에 연결되어 수돗물일 공급받아 피세척물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의 표면에는 수돗물이 이동하는 안내유로를 개폐하는 수돗물 조절구가 구비되며, 상기 수돗물 조절구는 상기 손잡이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전후 방향으로 안내공이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상하 양단에 결합되며 손으로 누를 수 있는 버튼부재와, 상기 손잡이의 안내유로에 형성되는 안착부에 끼워지며 수돗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일단에 밀착되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의 타단에 연결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세척몸체와, 상기 세척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욕실 벽면이나 바닥 등의 피세척물의 표면에 묻어있는 물때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세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척몸체에는 상기 손잡이에서 유입되는 수돗물을 세척부로 안내하는 물안내로가 형성되며, 세척몸체 하부에는 물안내로의 수돗물을 상기 세척부로 배출하는 물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는 카트리지와 분배기가 내장되고,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상기 카트리지에서 배출되는 혼합된 형태의 수돗물을 정수필터 조립체로 공급하기 위한 제1 안내로와 상기 정수필터 조립체에 필터링된 수돗물을 분배기로 공급하기 위한 제2 안내로가 형성되는 연결구가 장착되며, 상기 연결구에는 정수필터 조립체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구는 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지지턱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지지공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되며, 상기 몸체의 지지턱 하측테두리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너트가 체결되며; 상기 정수필터 조립체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구되며 하단 내주면에 상기 연결구의 제1 체결부에 형성되는 암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산이 외측에 형성되는 제2체결부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되 중앙 하측에서 유입되는 수돗물이 상측으로 이동가능한 유로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로로 유입되는 수돗물은 측면으로 통과하면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 필터와, 상기 원통형 필터의 하부면에 밀착되되 몸체의 중앙 하측은 연결구의 제1 안내로와 연통되고 상측은 상기 원통형 필터의 유로와 연통되는 유입부가 하향돌출되는 하측지지구와, 상기 원통형 필터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상측지지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카트리지는 냉수관 및 온수관이 연결되는 냉수 유입관 및 온수 유입관을 통해 냉수 및 온수가 유입되면 냉수와 온수를 혼합한 상태의 수돗물을 수돗물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배출하는 정수필터 조립체로 공급하는 제1 유출로와, 청소용구의 청소호스로 공급하는 제2 유출로가 구비되며; 상기 정수필터 조립체에서 이물질이 필터링되어 정수형태로 배출되는 수돗물은 토수구와 고정샤워기와 핸드샤워기 중에 어느 하나로 배출하는 분배기로 공급하며; 상기 냉온수 조작부의 조절 방향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에서 혼합 되는 수돗물은 상기 제1 유출로 또는 제2 유출로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는 냉수관 및 온수관이 연결되는 냉수 유입관 및 온수 유입관을 통해 냉수 및 온수가 유입되면 냉수와 온수를 혼합한 상태의 수돗물을 토수구와 고정샤워기와 핸드샤워기 중에 어느 하나로 배출하는 분배기로 공급하는 제1 유출로와, 청소용구의 청소호스로 공급하는 제2 유출로가 구비되며; 상기 냉온수 조작부의 조절 방향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에서 혼합 되는 수돗물을 상기 제1 유출로 또는 제2 유출로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도관에서 유입되는 냉수 및 온수 수돗물을 수전금구 본체에서 혼합하여 본체의 토수구와 핸드샤워기와 고정샤워기 및 청소용구로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적절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청소용구는 수돗물이 배출됨에 따라 욕실의 바닥이나 벽면 등의 피세척물 표면을 한손으로도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청소 및 세척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수전금구의 본체에 착탈식으로 구비되는 하나의 정수필터 조립체를 구비하여 카트리지에서 공급되는 혼합수의 이물질을 걸러낸 깨끗한 정수를 분배기로 투입하여 토수구나 핸드샤워기 또는 고정샤워기로 선택적으로 배출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정수기능을 토수구나 핸드샤워기 또는 고정샤워기에도 동일하게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토수구와 핸드샤워기 및 고정샤워기에는 각각 정수필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수전금구의 전체적인 구조도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전금구에 구비되는 청소용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전금구에 구비되는 청소용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의 분배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1)는 내부에 수용공간(102)이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냉수관 및 온수관이 연결되는 냉수 유입관(210) 및 온수 유입관(220)으로 유입되는 냉수 및 온수를 혼합하여 배출하는 카트리지(200)와,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어 상기 카트리지(200)에서 혼합 배출되는 수돗물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배출하는 정수필터 조립체(300)와, 상기 정수필터 조립체(300)에서 이물질이 필터링되어 정수형태로 배출되는 수돗물을 분배하는 분배기(4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카트리지(200)의 냉수와 온수의 혼합 및 토출을 조절하는 냉온수 조작부(500)와, 상기 분배기(400)의 수돗물 배출 방향을 조절하는 토출 방향 조작부(60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토출 방향 조작부(600)의 조절 방향에 따라 분배기(400)에서 배출되는 수돗물은 토수구(110)와 고정형의 해바라기 형상의 고정샤워기(120)와 핸드샤워기(130)와 청소용구(140) 중에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배출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본체(100)는 카트리지(200)와 분배기(400)가 설치되는 수용공간(102)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00)의 전방에는 분배기(400)에서 배출되는 수돗물을 토출하는 토수구(11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0)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분배기(400)에서 배출되는 수돗물을 토출하는 고정형의 해바라기 형상의 고정샤워기(120)의 파이프(122)가 연결되고,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상기 분배기(400)에서 배출되는 수돗물을 토출하는 핸드샤워기(130)의 샤워호스(132) 그리고 청소용구(140)의 청소호스(142)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토수구(110)와 고정샤워기(120) 및 핸드샤워기(130)는 공지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청소용구(140)는 청소호스(142)에 일단이 연결되어 일단에서 타단으로 수돗물이 이동하는 안내유로(144a)가 형성되는 손잡이(144)와, 상기 손잡이(144)의 타단에 연결되어 피세척물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구(14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손잡이(144)의 표면에는 수돗물이 이동하는 안내유로(144a)를 개폐하는 수돗물 조절구가 구비된다.
상기 수돗물 조절구는 상기 손잡이(144)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144b)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전후 방향으로 안내공(145a)이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145)와, 상기 슬라이드부재(145)의 상하 양단에 결합되며 손으로 누를 수 있는 버튼부재(145b,145c)와, 상기 손잡이(144)의 안내유로(144a)에 형성되는 안착부(144c)에 끼워지며 수돗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147a)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스프링(144d)의 탄성에 의해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부재(145)의 일단에 밀착되는 가압부재(147)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부재(145)는 상기 손잡이(144)의 가이드부(144b)에 끼워져 상하방향으로 이동시 수돗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두리에 오링(147b)이 장착된 상태로 가이드부(144b)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재(145b,145c)는 상기 슬라이드부재(145)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145)가 상기 손잡이(144)의 가이드부(144b)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제한된 밤위에서 슬라이드부재(145)가 이동되도록 그 외경을 상기 손잡이(144)의 가이드부(144b)의 내경에 비해 크게 형성한다. 특히 상기 버튼부재(145b,145c)의 단부에 피부가 끼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144)의 가이드부(144b) 양단에 제한된 범위로 버튼부재(145b,145c)가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홈(144e)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의 버튼부재(145b,145c) 승강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부재(145)가 이동하여 슬라이드부재(145)의 안내공(145a)이 가압부재(147)의 통로(147a)와 일치하여 연통되면 수돗물이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사용자의 버튼부재(145b,145c)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부재(145)가 이동하여 슬라이드부재(145)의 안내공(145a)이 가압부재(147)의 통로(147a)와 어긋나게 되면 수돗물의 이동이 차단된다. 즉 사용자는 별도의 수도꼭지 레버의 조작 없이도 간단히 수돗물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44)의 타단에는 세척구(146)가 구비된다. 이러한 세척구(146)는 상기 손잡이(144)의 타단에 연결되는 지지부(1461a)가 형성되는 세척몸체(1461)와, 상기 세척몸체(1461)의 하부에 구비되어 욕실 벽면이나 바닥 등의 피세척물의 표면에 묻어있는 물때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세척부(1462)로 이루어진다.
이때, 세척몸체(1461)에는 상기 손잡이(144)에서 유입되는 수돗물을 세척부(1462)로 안내하는 물안내로(1461b)가 형성되며, 세척몸체(1461) 하부에는 물안내로(1461b)의 수돗물을 상기 세척부(1462)로 배출하는 물배출공(1461e)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버튼부재(145b,145c) 조작에 따라 수돗물이 세척구(146)의 물안내로(1461b)를 따라 물배출공(1461e)을 통해 세척부(1462)로 배출되어 피세척물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144)의 타단에서 세척구(146)를 착탈가능하도록 손잡이(144)의 타단 외주면에는 제1 걸림턱(144f)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세척몸체(1461)의 지지부(1461a) 내주면에는 상기 제1 걸림턱(144f)이 지지되는 제2 걸림턱(1461c)과 더이상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돌기(1461d)가 연속적으로 '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손잡이(144) 전단에는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누수방지링(144g)이 끼워진 상태로 제1 및 제2 걸림턱(144f,1461c)이 걸쳐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144)의 타단을 세척구(146)의 지지부(1461a)에 삽입한 후 세척구(146)의 지지부(1461a)를 회전시켜 제1 및 제2 걸림턱(144f,1461c)가 서로 끼워지도록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토퍼돌기(1461d)에 의해 제1 걸림턱(144f)이 더이상 회전하지 않으면서 상기 손잡이(144)의 타단에서 세척구(146)의 지지부(1461a)를 당기더라도 분리되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청소용구(140)는 상기 구조 이외에도 레버(141a)를 당기면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공지의 물분사기(141)를 청소호스(142)에 연결하여 고압 세척용으로 사용하거나,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공지의 구강세정기(143)를 청소호스(142)에 연결하여 구강 세척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분배기(400)에서 배출되는 수돗물은 토수구(110)와 고정형의 해바라기 형상의 고정샤워기(120)와 핸드샤워기(130)와 청소용구(140)구 일체로 구비되는 본체(100)는 욕실 등의 벽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벽면에 노출되는 냉수관 및 온수관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수용공간(102)에는 공지(公知)의 카트리지(200)와 분배기(400)가 내장되고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는 상기 카트리지(200)에서 배출되는 혼합된 형태의 수돗물을 정수필터 조립체(300)로 공급하기 위한 제1 안내로(161)와 상기 정수필터 조립체(300)에 필터링된 수돗물을 분배기(400)로 공급하기 위한 제2 안내로(162)가 형성되는 연결구(160)가 장착되며, 상기 연결구(160)에는 정수필터 조립체(300)가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카트리지(200)는 냉수관 및 온수관이 연결되는 냉수 유입관(210) 및 온수 유입관(220)을 통해 냉수 및 온수가 유입되면 냉수와 온수를 혼합하여 제1 연결관(150)과 연결되는 연결구(160)의 제1 안내로(161)를 통해 정수필터 조립체(300)로 공급한다. 이러한 카트리지(200)는 냉온수 조작부(500)의 조절 정도에 따라 냉수, 온수, 또는 혼합수를 선택하며, 냉수와 온수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필터 조립체(300)에서 배출되는 수돗물은 연결구(160)의 제2 안내로(162)를 통해 제2 연결관(151)과 연결되는 분배기(400)의 유입로(401)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분배기(400)는 상기 유입로(401)를 통해 분배공간(400a)으로 유입되는 수돗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토수구(110)가 연결되는 제1 배출유로(402)와, 고정샤워기(120)의 파이프(122)와 연결되는 제2 배출유로(403)와, 핸드샤워기(130)의 샤워호스(132)와 연결되는 제3 배출유로(404)와, 청소용구(140)의 청소호스(142)가 연결되는 제4 배출유로(405)가 형성된다. 이러한 분배기(400)는 상기 토출 방향 조작부(600)의 조절에 따라 토수구(110), 고정샤워기(120)의 파이프(122), 핸드샤워기(130)의 호스(132), 청소용구(140)의 청소호스(142) 중에 어느 한 방향으로 수돗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중앙 상측에는 지지공(103)이 관통 형성되어 연결구(160)가 장착되고, 상기 연결구(160)에는 정수필터 조립체(300)가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구(160)는 몸체(163)의 테두리를 따라 지지턱(164)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지지공(103)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되며, 상기 몸체(163)의 지지턱(164) 하측테두리에는 수나사산(164a)이 형성되어 고정너트(169)가 체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연결구(160)를 상기 본체(100)의 지지공(103)을 통과시켜 지지턱(164)을 본체(100)의 지지공(103) 가장자리 상면에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의 수용공간(102)에서 고정너트(169)를 나사결합시켜 본체(100)의 지지공(103) 가장자리 하면에 고정너트(169)를 지지함으로서, 연결구(160)를 본체(10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160)의 몸체(163) 상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제1 및 제2 안내로(161,162)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63)의 가장자리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정수필터 조립체(300)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제1 체결부(16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구(160)의 제1 안내로(161) 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 연결관(15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너트부(150a)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2 안내로(162)의 단부 외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 연결관(151)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2 너트부(151a)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200)에서 배출되는 수돗물은 제1 연결관(150)을 거쳐 제1 안내로(161)로 유입되어 정수필터 조립체(300)의 중앙으로 공급되며, 정수필터 조립체(300)에서 정수상태로 필터링되는 수돗물은 제2 안내로(162)를 거쳐 제2 연결관(151)을 통해 분배기(40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160)의 제1 체결부(165)는 몸체(163)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향돌출되며 내주면에 암나사산(165a)이 형성되어 정수필터 조립체(300)와 나사결합된다. 물론 정수필터 조립체(300)를 분리시에도 조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정수필터 조립체(300)를 돌려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정수필터 조립체(300)는 수용부(312)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구되며 하단 내주면에 상기 연결구(160)의 제1 체결부(165)에 형성되는 암나사산(165a)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산(313a)이 외측에 형성되는 제2체결부(313)가 구비되는 하우징(310)과, 상기 수용부(312)에 구비되되 중앙 하측에서 유입되는 수돗물이 상측으로 이동가능한 유로(322)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로(322)로 유입되는 수돗물은 측면으로 통과하면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 필터(320)와, 상기 원통형 필터(320)의 하부면에 밀착되되 몸체(331)의 중앙 하측은 연결구(160)의 제1 안내로(161)와 연통되고 상측은 상기 원통형 필터(320)의 유로(322)와 연통되는 유입부(332)가 하향돌출되는 하측지지구(330)와, 상기 원통형 필터(320)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상측지지구(3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측지지구(330)는 원통형 필터(320)의 하부에 밀착 지지하는데 상기 하측지지구(330)의 유입부(332) 외주면에는 제1링홈(33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160)의 제1안내로(161)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링홈(333)에 대응되는 제2 링홈(166)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누수방지용 오링(167)을 상기 하측지지구(330)의 유입부(332) 외주면 형성되는 제1 링홈(333)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160)의 제1 안내로(161)에 삽입하면 제1 누수방지용 오링(167)의 외측면이 제2 링홈(166)에 삽입되어 제1 안내로(161)를 통해 유입되는 카트리지(200)의 수돗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10)의 수용부(312) 내측 상부에는 가압돌기(314)가 형성되어 상측지지구(340)의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 지지홈(342)에 지지되며 상측지지구(340)를 원통형 필터(320)의 상부에 가압하여 밀착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정수필터 조립체(300)의 하우징(310) 하단에 제2 체결부(313)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160)의 제1 체결부(165)와 착탈식으로 체결되며, 이 경우 상기 제2 체결부(313)는 상기 연결구(160)의 제1 체결부(165)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165a)에 치합되는 수나사산(313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체결부(313)에는 제2 누수방지용 오링(350)이 장착되어 수나사산(313a)을 상기 연결구(160)의 암나사산(165a)에 나사결합한 경우, 원통형 필터(320)를 거쳐 하우징(310)의 수용부(312) 가장자리로 안내되는 수돗물이 나사결합부위를 통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필터(320)는 PP재질로 이루어지는 세디먼트필터, 페브릭필터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필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원통형 필터(320)를 하우징(310)에 삽입시 하우징(310)의 수용부(312) 내주면과 원통형 필터(320) 외주면 사이에는 이격되게 형성함으로서 유로(322)를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을 필터링하여 원통형 필터(320)의 외측면으로 흘러나오는 수돗물이 연결구(160)의 제2 안내로(162)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정수필터 조립체(300)의 하우징(310)은 원통형 필터(320)의 오염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냉온수 조작부(500) 및 토출 방향 조작부(6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동그란 노브(knob)타입의 손잡이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레버 형상의 손잡이로 이루어짐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냉온수 조작부(500)를 조작하면 카트리지(200)에서 냉수 유입관(210) 및 온수 유입관(220)으로 유입되는 냉수 및 온수를 조작 상태에 따라 혼합하여 배출하게 되면 정수필터 조립체(300)를 거쳐 이물질이필터링되어 정수 형태로 분배기(400)로 유입된다. 이에 토출 방향 조작부(600)의 회전 조작 방향에 따라 토수구(110), 고정샤워기(120)의 파이프(122), 핸드샤워기(130)의 호스(132), 청소용구(140)의 청소호스(142) 중에 어느 한 방향으로 수돗물을 배출한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수전금구(1)는 제1 실시 예에서와 같이 본체(100), 카트리지(200), 분배기(400) 등을 포함하지만, 정수필터 조립체(300)가 구비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수전금구(1)는 내부에 수용공간(102)이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냉수관 및 온수관이 연결되는 냉수 유입관(210) 및 온수 유입관(220)으로 유입되는 냉수 및 온수를 혼합하여 배출하는 카트리지(200)와, 상기 카트리지(200)에서 냉수 및 온수가 혼합된 상태로 배출되는 수돗물은 분배기(400)로 직접 유입된다. 이는 정수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 카트리지(200)는 냉수관 및 온수관이 연결되는 냉수 유입관(210) 및 온수 유입관(220)을 통해 냉수 및 온수가 유입되면 냉수와 온수를 혼합하여 배출관(152)과 연결되는 분배기(400)의 유입로(401)로 공급된다.
이러한 카트리지(200)는 냉온수 조작부(500)의 조절 정도에 따라 냉수, 온수, 또는 혼합수를 선택하며, 냉수와 온수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기(400)는 토출 방향 조작부(600)의 회전 조작 방향에 따라 토수구(110), 고정샤워기(120)의 파이프(122), 핸드샤워기(130)의 호스(132), 청소용구(140)의 청소호스(142) 중에 어느 한 방향으로 수돗물을 배출한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수전금구(1)는 제1 실시 예에서와 같이 본체(100), 카트리지(200), 분배기(400) 등을 포함하며, 분배기(400)에서 토수구(110), 고정샤워기(120)의 파이프(122), 핸드샤워기(130)의 호스(132) 중에 어느 한 방향으로 수돗물을 배출하지만, 청소용구(140)의 청소호스(142)는 카트리지(200)와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수전금구(1)는 내부에 수용공간(102)이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냉수관 및 온수관이 연결되는 냉수 유입관(210) 및 온수 유입관(220)으로 유입되는 냉수 및 온수를 혼합 배출하는 카트리지(200)와,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어 상기 카트리지(200)에서 혼합 배출되는 수돗물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배출하는 정수필터 조립체(300)와, 상기 정수필터 조립체(300)에서 이물질이 필터링되어 정수형태로 배출되는 수돗물을 분배하는 분배기(400)를 포함한다.
이때 냉온수 조작부(500)의 조절 방향에 따라 카트리지(200)에서 혼합 배출되는 수돗물은 정수필터 조립체(300)로 공급되거나 청소용구(140)의 청소호스(142)로 배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 카트리지(200)는 냉수관 및 온수관이 연결되는 냉수 유입관(210) 및 온수 유입관(220)을 통해 냉수 및 온수가 유입되면 냉수와 온수를 혼합한 상태의 수돗물을 정수필터 조립체(300)로 공급하는 제1 유출로(204)와, 청소용구(140)의 청소호스(142)로 공급하는 제2 유출로(205)가 구비된다.
따라서 카트리지(200)는 냉온수 조작부(500)의 조절 정도에 따라 냉수, 온수, 혼합수, 오프모드(청소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냉온수 조작부(500)를 조작하여 오프모드(청소모드)를 선택하면 토수구(110)와 고정샤워기(120) 및 핸드샤워기(130)를 사용할 수 없고, 오로지 청소용구(140)만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냉온수 조작부(500)를 조작하여 오프모드(청소모드)를 해제하고 냉수, 온수, 혼합수 등을 선택하면 청소용구(140)를 사용할 수 없지만, 토출 방향 조작부(600)의 회전 조작 방향에 따라 토수구(110), 고정샤워기(120), 핸드샤워기(130)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정수필터 조립체(3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카트리지(200)의 제1 유출로(204)를 분배기(400)와 직접 연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수전금구 100: 본체
110: 토수구 120: 고정샤워기
130: 핸드샤워기 140: 청소용구
160: 연결구 200: 카트리지
300: 정수필터 조립체 310: 하우징
320: 원통형 필터 330: 하측지지구
340: 상측지지구 360: 마감구
400: 분배기 500: 냉온수 조작부
600: 토출 방향 조작부

Claims (9)

  1.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냉수관 및 온수관이 연결되는 냉수 유입관(210) 및 온수 유입관(220)으로 유입되는 냉수 및 온수를 혼합하여 배출하는 카트리지(200)와, 상기 카트리지(200)에서 혼합 배출되는 수돗물을 분배하는 분배기(400)와, 상기 카트리지(200)의 냉수와 온수의 혼합 및 토출을 조절하는 냉온수 조작부(500)와, 상기 분배기(400)의 수돗물 배출 방향을 조절하는 토출 방향 조작부(600)와, 상기 냉온수 조작부(500) 및 토출 방향 조작부(600)의 조작에 따라 수돗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토수구(110)와 고정샤워기(120)와 핸드샤워기(130) 및 청소용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는 분배기(400)에서 배출되는 수돗물을 토출하는 토수구(11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0)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분배기(400)에서 배출되는 수돗물을 토출하는 고정샤워기(120)의 파이프(122)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상기 분배기(400)에서 배출되는 수돗물을 토출하는 핸드샤워기(130)의 샤워호스(132)와 청소용구(140)의 청소호스(14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용구(140)는 청소호스(142)에 일단이 연결되어 일단에서 타단으로 수돗물이 이동하는 안내유로(144a)가 형성되는 손잡이(144)와; 상기 손잡이(144)의 타단에 연결되어 수돗물일 공급받아 피세척물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구(14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44)의 표면에는 수돗물이 이동하는 안내유로(144a)를 개폐하는 수돗물 조절구가 구비되며;
    상기 수돗물 조절구는 상기 손잡이(144)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144b)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전후 방향으로 안내공(145a)이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145)와, 상기 슬라이드부재(145)의 상하 양단에 결합되며 손으로 누를 수 있는 버튼부재(145b,145c)와, 상기 손잡이(144)의 안내유로(144a)에 형성되는 안착부(144c)에 끼워지며 수돗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147a)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스프링(144d)의 탄성에 의해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부재(145)의 일단에 밀착되는 가압부재(14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44)의 타단에 연결되는 지지부(1461a)가 형성되는 세척몸체(1461)와, 상기 세척몸체(1461)의 하부에 구비되어 욕실 벽면이나 바닥 등의 피세척물의 표면에 묻어있는 물때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세척부(1462)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척몸체(1461)에는 상기 손잡이(144)에서 유입되는 수돗물을 세척부(1462)로 안내하는 물안내로(1461b)가 형성되며, 세척몸체(1461) 하부에는 물안내로(1461b)의 수돗물을 상기 세척부(1462)로 배출하는 물배출공(1461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수용공간(102)에는 카트리지(200)와 분배기(400)가 내장되고,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는 상기 카트리지(200)에서 배출되는 혼합된 형태의 수돗물을 정수필터 조립체(300)로 공급하기 위한 제1 안내로(161)와 상기 정수필터 조립체(300)에 필터링된 수돗물을 분배기(400)로 공급하기 위한 제2 안내로(162)가 형성되는 연결구(160)가 장착되며, 상기 연결구(160)에는 정수필터 조립체(300)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60)는 몸체(163)의 테두리를 따라 지지턱(164)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지지공(103)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되며, 상기 몸체(163)의 지지턱(164) 하측테두리에는 수나사산(164a)이 형성되어 고정너트(169)가 체결되며;
    상기 정수필터 조립체(300)는 수용부(312)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구되며 하단 내주면에 상기 연결구(160)의 제1 체결부(165)에 형성되는 암나사산(165a)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산(313a)이 외측에 형성되는 제2체결부(313)가 구비되는 하우징(310)과, 상기 수용부(312)에 구비되되 중앙 하측에서 유입되는 수돗물이 상측으로 이동가능한 유로(322)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로(322)로 유입되는 수돗물은 측면으로 통과하면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 필터(320)와, 상기 원통형 필터(320)의 하부면에 밀착되되 몸체(331)의 중앙 하측은 연결구(160)의 제1 안내로(161)와 연통되고 상측은 상기 원통형 필터(320)의 유로(322)와 연통되는 유입부(332)가 하향돌출되는 하측지지구(330)와, 상기 원통형 필터(320)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상측지지구(3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200)는 냉수관 및 온수관이 연결되는 냉수 유입관(210) 및 온수 유입관(220)을 통해 냉수 및 온수가 유입되면 냉수와 온수를 혼합한 상태의 수돗물을 수돗물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배출하는 정수필터 조립체(300)로 공급하는 제1 유출로(204)와, 청소용구(140)의 청소호스(142)로 공급하는 제2 유출로(205)가 구비되며;
    상기 정수필터 조립체(300)에서 이물질이 필터링되어 정수형태로 배출되는 수돗물은 토수구(110)와 고정샤워기(120)와 핸드샤워기(130) 중에 어느 하나로 배출하는 분배기(400)로 공급하며;
    상기 냉온수 조작부(500)의 조절 방향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200)에서 혼합 되는 수돗물은 상기 제1 유출로(204) 또는 제2 유출로(205)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200)는 냉수관 및 온수관이 연결되는 냉수 유입관(210) 및 온수 유입관(220)을 통해 냉수 및 온수가 유입되면 냉수와 온수를 혼합한 상태의 수돗물을 토수구(110)와 고정샤워기(120)와 핸드샤워기(130) 중에 어느 하나로 배출하는 분배기(400)로 공급하는 제1 유출로(204)와, 청소용구(140)의 청소호스(142)로 공급하는 제2 유출로(205)가 구비되며;
    상기 냉온수 조작부(500)의 조절 방향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200)에서 혼합 되는 수돗물을 상기 제1 유출로(204) 또는 제2 유출로(205)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
KR1020200046471A 2020-04-17 2020-04-17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 KR102409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471A KR102409111B1 (ko) 2020-04-17 2020-04-17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471A KR102409111B1 (ko) 2020-04-17 2020-04-17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620A true KR20210128620A (ko) 2021-10-27
KR102409111B1 KR102409111B1 (ko) 2022-06-15

Family

ID=78287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471A KR102409111B1 (ko) 2020-04-17 2020-04-17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1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54193A (zh) * 2022-05-09 2022-07-15 广东圣玛洛热能科技有限公司 一种内置身高感应装置的抽拉式加热水龙头
KR102530506B1 (ko) * 2022-03-10 2023-05-08 홍기 벽면부착식 선반형 샤워수전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423U (ja) * 2002-12-20 2003-09-19 寛二 尾崎 歯の隙間洗浄シャワー
KR100710423B1 (ko) * 2005-12-01 2007-05-07 (주)에코베이스 측면필터부착이 가능한 선반 일체형 샤워기
KR100881941B1 (ko) * 2007-10-19 2009-02-04 한경희 청소기 연결관
KR20110115213A (ko) * 2010-04-15 2011-10-21 김기철 세척기 겸용 샤워기
US20120192366A1 (en) * 2009-10-06 2012-08-02 Rubbermaid Incorporated Cleaning apparatus with rotating and detachable brush head
KR20170009095A (ko) * 2015-07-15 2017-01-25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
KR20170102624A (ko) * 2016-03-02 2017-09-12 (주)이코존 무세제 병 세척장치
KR20190021911A (ko) 2017-08-24 2019-03-06 이성선 샤워기능을 갖는 혼합수전장치
KR20190137366A (ko) * 2018-06-01 2019-12-11 박학수 샤워 헤드
KR102074796B1 (ko) * 2019-05-28 2020-02-07 주식회사 씨디티 수전 기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423U (ja) * 2002-12-20 2003-09-19 寛二 尾崎 歯の隙間洗浄シャワー
KR100710423B1 (ko) * 2005-12-01 2007-05-07 (주)에코베이스 측면필터부착이 가능한 선반 일체형 샤워기
KR100881941B1 (ko) * 2007-10-19 2009-02-04 한경희 청소기 연결관
US20120192366A1 (en) * 2009-10-06 2012-08-02 Rubbermaid Incorporated Cleaning apparatus with rotating and detachable brush head
KR20110115213A (ko) * 2010-04-15 2011-10-21 김기철 세척기 겸용 샤워기
KR20170009095A (ko) * 2015-07-15 2017-01-25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
KR20170102624A (ko) * 2016-03-02 2017-09-12 (주)이코존 무세제 병 세척장치
KR20190021911A (ko) 2017-08-24 2019-03-06 이성선 샤워기능을 갖는 혼합수전장치
KR20190137366A (ko) * 2018-06-01 2019-12-11 박학수 샤워 헤드
KR102074796B1 (ko) * 2019-05-28 2020-02-07 주식회사 씨디티 수전 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506B1 (ko) * 2022-03-10 2023-05-08 홍기 벽면부착식 선반형 샤워수전
CN114754193A (zh) * 2022-05-09 2022-07-15 广东圣玛洛热能科技有限公司 一种内置身高感应装置的抽拉式加热水龙头
CN114754193B (zh) * 2022-05-09 2023-12-19 广东圣玛洛热能科技有限公司 一种内置身高感应装置的抽拉式加热水龙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111B1 (ko)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8503B1 (en) Filtered fluid dispensing system
US4761839A (en) Sink spray and auxiliary attachment device
US9650767B2 (en) Sink faucet assembly
KR102409111B1 (ko)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
US11976448B2 (en) Filter water spout attached to basin faucet
KR100217896B1 (ko) 여성세척기와 구강샤워기가 일체로 구비된 온냉수겸용 항문세척기
MXPA05001384A (es) Grifo extraible.
US6145670A (en) Bathtub spout with removable filter
US10582830B2 (en) Handheld retractable cleaning sprayer
KR102317962B1 (ko) 비틀림 방지 호스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필터 내장형 욕조수전
KR102349574B1 (ko) 원터치식 착탈 구조를 갖는 샤워 헤드
US7354513B2 (en) Countertop water treatment unit
CA2289004A1 (en) Soap and water dispensing system
KR20220000775U (ko) 수전용 정수필터
KR102290122B1 (ko) 정수 필터 기능을 갖춘 수전금구
JP4030828B2 (ja) シャワヘッド
JP2001220784A (ja) 浄水器付混合水栓
JP2002155549A (ja) 配管システムにおけるカップリング盤構造
KR102409114B1 (ko) 정수 필터 기능을 갖춘 원홀 수전
KR200487101Y1 (ko) 싱크대용 아이워셔
JP4292572B2 (ja) 浄水器付湯水混合水栓及び浄水器専用湯水混合水栓
KR102452264B1 (ko) 샤워바 수전장치
JP7467073B2 (ja) 水抜き装置及び水抜き装置の取り付け方法
CN211501735U (zh) 一种抽取式水龙头
KR200408181Y1 (ko) 측면필터부착이 가능한 선반 일체형 샤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