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613A - 링 볼트에 의한 분전반의 행거장치 - Google Patents

링 볼트에 의한 분전반의 행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613A
KR20170022613A KR1020150117832A KR20150117832A KR20170022613A KR 20170022613 A KR20170022613 A KR 20170022613A KR 1020150117832 A KR1020150117832 A KR 1020150117832A KR 20150117832 A KR20150117832 A KR 20150117832A KR 20170022613 A KR20170022613 A KR 20170022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board
hanger
ring
vertical
hang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만 석 김
만 석 김
Original Assignee
만 석 김
만 석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 석 김, 만 석 김 filed Critical 만 석 김
Priority to KR1020150117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2613A/ko
Publication of KR20170022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 볼트에 의한 분전반의 행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링 볼트를 가로대에 비하여 세로대가 보다 길게 직각으로 절곡하여 가로대에 너트를 체결할 수 있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행거(hanger)를 구비하고
분전반의 상단 좌우 양측에 한 쌍의 체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행거의 가로대를 상기 체결공으로 관통시키어 가로대에 구비된 나사부의 내외 양측에서 너트를 체결하여 분전반에 견고하게 결합된 한 쌍의 행거에 의해 분전반을 지면과 격리된 중공에 수직으로 매어 달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전반이 놓인 바닥을 시공하거나, 바닥이 물이 차이는 경우, 행거에 의해 분전반을 지상과 격리된 중공(中空) 위치에 간편하게 달아 맬 수 있고 또한 분전반이 가로대에 평행하게 현수(懸垂)되어 행거의 링과 절곡부를 수직선상에 위치되게 하면 분전반의 하중에 대한 세로대의 지릿대 작용으로 가로대에 의해 분전반이 안전한 자세로 유지되어 지상에서처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링 볼트에 의한 분전반의 행거장치{HANGER OF DISTRIBUTER WITH RING-BOLT}
본 발명은 링 볼트에 의한 분전반의 행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링 볼트를 가로대에 비하여 세로대가 보다 길게 직각으로 절곡하여 가로대에 너트를 체결할 수 있는 나사부를 형성한 행거(hanger)를 구비하고
분전반의 상단 좌우 양측에 한 쌍의 체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행거의 가로대를 상기 체결공으로 관통시키어 가로대에 구비된 나사부의 내외 양측에서 너트를 체결하여 분전반에 견고하게 결합된 한 쌍의 행거에 의해 분전반을 지면과 격리된 중공에 수직으로 매어 달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전반이 놓인 바닥을 시공하거나, 바닥이 물이 차이는 경우, 행거에 의해 분전반을 지상과 격리된 중공(中空) 위치에 간편하게 달아 맬 수 있고 또한 분전반이 가로대에 평행하게 현수(懸垂)되어 행거의 링과 절곡부를 수직선상에 위치되게 하면 분전반의 하중에 대한 세로대의 지릿대 작용으로 가로대에 의해 분전반이 안전한 자세로 유지되어 지상에서처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분전반은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고 특히 공사장에서 사용되는 분전반은 공사위치에 따라 수시로 이동하여 공사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전동공구의 전원을 분전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공사현장에 인접된 곳의 바닥에 분전반을 놓고 사용하게 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411965(2014.08.27 공고)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20-2015-0002736(2015.07.10공개 등록특허공보 10-1103472(2012.10.24공고)
종래의 분전반은 하우징의 하단부에 구비된 지지 다리에 의해 바닥에 높고 사용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공사의 형태에 따라 분전반을 놓은 바닥을 시공해야 하거나, 어떤 원인으로 바닥에 물이 넘치는 경우에는 분전반을 지면과 격리된 중공(中空) 위치에 놓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분전반을 다른 위치로 옮겨놓으면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작업장과 연결된 전원 케이블을 모두 이동해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링 볼트의 가로대에 비하여 세로대의 길이가 보다 길게 직각으로 절곡하여 절곡된 가로대에 너트로 체결할 수 있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행거를 구비하고 공사장에서 사용하는 분전반의 좌우 상단부에 한 쌍의 체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행거의 가로대를 상기 체결공에 각각 관통시키어 가로대에 구비된 나사부의 내외 양측에서 너트로 체결하여 분전반에 행거를 일체로 결합시키어, 분전반을 바닥에 놓고 사용하는 중 필요에 따라, 분전반을 행거에 의해 중공위치에 간편하게 현수(懸垂)할 수 있는 링 볼트에 의한 분전반의 행거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전반의 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긁기와 강도를 가진 강철제로 된 소정 길이의 링 볼트를 가로대의 길이보다 세로대의 길이가 보다 길게 직각으로 절곡하고 절곡된 가로대에는 너트를 체결할 나사부를 형성하여 행거를 구비하고 분전반의 상단 좌우 양측에는 체결공을 각각 형성하여 한 쌍의 행거의 가로대를 각각 상기 체결공으로 관통시키어 관통된 나사부의 내외 양측에서 너트를 체결하여 분전반에 행거가 일체로 결합된, 링 볼트에 의한 분전반의 행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전반에 결합된 행거의 링을 구조물의 벽면에 돌출된 걸대에 걸거나, 또는 걸고리를 이용하여 분전반의 링을 횡봉에 걸고 행거의 링과 행거의 절곡부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게 ??고부를 받치어 직각 수평으로 뻗은 가로대에 의해 분전반이 안전한 자세로 현수(懸垂)할 수 있는, 링 볼트에 의한 분전반의 행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전반의 중심(重心)과, 행거의 링의 위치가 편위(偏位)되어 있어도 세로대가 링 볼트의 절곡부를 지점으로 하는 지릿대 작용에 의해 분전반의 하중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분전반이 바닥면 뿐 아니라 주위의 구조물과 격리된 중공에 안전하게 현수되어 분전반의 안전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링 볼트에 의한 분전반의 행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사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전동공구의 전원을 분전 공급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분전반의 하우징 뒤판의 상단 좌우 양측에서 분전반 보드의 상단 좌우 양측의 전면으로 관통된 한 쌍의 체결공을 구비한다.
상기 분전반의 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굵기와 강도를 가진, 갈철제로 된 소정의 길이의 링 볼트를 가로대에 비하여 세로대의 길이가 보다 길게 직각으로 절곡하여 ??고부를 형성하고 상기 세로대와 직각방향으로 잘곡된 상기 가로대에 너트를 체결할 나사부를 형성하여 행거(hanger)를 구비한다.
같은 구성으로 된 상기 행거의 나사부의 내 단부에 내측 와셔와 너트를 먼저 끼우고 상기 나사부가 형성된 가로대를 분전반에 형성된 체결공의 뒤쪽에서 삽입하여 분전반 보드의 전면으로 관통하고 관통된 상기 가로대의 나사부 외측 와셔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분전반의 체결공에 행거의 가로대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하우징의 뒷면의 좌우 양측의 수직 상부로 한 쌍의 행거의 세로대가 나란히 뻗어 나와, 상기 세로대의 상단부에 구비된 링에 의해 분전반을 중공 위치에 매어 달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공사현장의 바닥에 놓고 분전반을 사용하는 중 분전반이 놓인 바닥을 공사 하거나 바닥에 어떤 원인으로 물이 차이면, 분전반을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대신, 현 위치에서 행거에 구비된 세로대의 링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벽면에 돌출된 걸대에 걸거나 상기 행거의 링을 걸고리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횡봉에 걸은 다음 행거의 링과 절곡부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게 행거의 절곡부를 각목이나 어떤 구조물을 이용하여 고정시키어 세로대가 수직으로 유지되게 하면 분전반이 바닥면뿐 아니라 분전반 주위의 어떤 구조물과도 격리된 중공 위치에 현수(懸垂)된다.
또한 분전반이 현 위치에서 바닥면과 격리된 중공 위치에 매어 달리게 되어, 분전반에 접속하여 전동공구를 사용하는 케이블을 이동하지 않고 케이블 거치대로 케이블을 거치한 다음 계속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분전반이 행거의 가로대에 수평으로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행거의 세로대를 수직으로 유지시키면 분전반도 수평을 유지하는 가로대에 의해 분전반의 가로변과 세로변이 각각 수평과 수직상태로 유지되어 분전반을 바닥에 놓고 사용하는 것처럼 하우징의 문을 용이 하게 여닫을 수 있고 또한 전동공구의 플러그를 분전반의 소켓에 편리하게 접속,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행거의 가로대에 비하여 세로대의 길이가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대에 걸려 있는 편위된 분전반의 중심(重心)에 대하여 세로대가 직각의 절곡부를 지점으로 하는 지릿대 작용을 대응하기 때문에 분전반이 기울어지는 일이 없고 주위의 어떤 구조물에 접촉되지 않으며, 격리된 중공에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분전반을 벽면이나 구조물에 걸어 중공위치에 두고 사용해도 되고 분전반을 바닥에 놓고 사용해도 되기 때문에 분전반의 효용성이 그만큼 증대된다.
또한 분전반의 행거의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 할 뿐 아니라 고장이 생길 요소가 없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전반을 중공에 현수(懸垂)하기 위하여 소정의 길이로 된 링 볼트를 가로대의 길이에 비하여 세로대의 길이가 보다 길게 직각으로 절곡하고 절곡된 가로대에는 너트를 체결할 나사부를 형성하여 분전반에 체결할 수 있는 행거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행거에 의해 분전반을 간편하게 현수할 수 있다.
또한 분전반의 상단 좌우 양측에 뒷면에서 전면으로 관통된 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에 관통된 가로대의 내외 양측에서 너트로 견고하게 체결하여 분전반의 좌우 상단부 측에 한 쌍의 행거의 세로대가 돌출되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분전반을 벽이나 구조물에 용이하게 매어달아 바닥면과 격리된 중공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중공에 위치된 분전반의 중심(重心)이 행거의 링과 편위되어 있어도 링과 수직선상에 놓인 세로대가 절곡부를 지점으로 하는 지릿대 작용으로 분전반의 하중에 대응하기 때문에 분전반이 흔들림이 없이 바닥면 및 주위의 어떤 구조물과도 격리된 중공 위치에 현수되어 분전반이 안선정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분전반에 행거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분전반을 바닥에 놓고 사용할 수 도 있고 중공위치에 현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종래의 것에 비하여 분전반의 효용성이 그만큼 증대되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분전반에 행거가 결합된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분전반을 중공위치에 현수한 정면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분전반애 행거가 결함된 단면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링 볼트로 형성된 행거의 예시도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및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차단기(s)와 복수의 소켓(c) 및 단자 블록(t) 등이 배치된 분전반의 보드(B)가 하우징(H)에 내장되고 분전반의 하단부에 구비된 다리(R)에 의해 바닥면(E)에 세워 놓고 공사장에서 전동공구의 전원을 분전하는 분전반(D)의 하우징(H)의 상단 좌우 양측의 뒤판에서 분전반 보드(B)의 상단 좌우 양측의 전면으로 각각 관통된 한 쌍의 체결공(h)을 구비한다.
도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전반(D)의 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굵기와 강도를 가진 소정 길이의 강철재질로 된 링 볼트(1)의 가로대(2)의 길이, 즉, 분전반(D)을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는 길이(L1)에 비하여 링(4)이 구비된 세로대(3)의 길이(L2)가 보다 길게, 링 볼트(1)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절곡부(5)를 형성하고 절곡된 상기 가로대(2)의 전 길이(L1)에 걸쳐 와셔(w)와 너틀(n)를 체결할 나사부(2s) 형성하여 같은 행거(6)를 구비한다.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거(6)의 가로대(2)에 형성된 나사부(2s)의 내단부 측에 내측의 와셔(w)와 너트(n)를 끼우고 상기 분전반(D)의 하우징(H) 뒤판에서 분전반 보드(B)의 전면으로 관통된 상기 각 체결공(h)에 한 쌍의 상기 행거(6)의 가로대(2)를 각각 삽입하여 관통하고 보드(B)의 전면으로 관통된 가로대(2)의 외측 나사부(2s)에 외측의 와셔(w)와 너트(n)를 체결하여 상기 가로대(2)에 하우징(H)을 포함하는 분전반(D)이 수평의 일체로 결합되게 하고 도1 및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분전반 하우징(H)의 뒷면의 좌우 양측의 수직 상부로 상기 한 쌍의 행거(6)의 세로대(3)가 나란히 뻗어 나와, 세로대(3)의 상단부에 구비된 링(4)에 의해 분전반(D)을 중공 위치에 걸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은 걸대, 8은 걸고리, P는 횡봉, F은 벽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공사현장의 바닥(E)에 분전반(D)을 다리(r)에 의해 세워놓고 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도시되지 않은 각종 전동공구의 플러그를 분전반(D)의 소켓(c)에 접속하여 전원을 분전하여 작업한다.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분전반(D)의 사용 중 분전반이 놓인 바닥(E)의 공사를 하거나, 바닥에 어떤 원인으로 물이 차이면, 분전반(D)에 결합된 행거(6)의 링(4)에 예를 들면 걸고리(8)를 연결하여 어떤 구조물의 횡봉(P)에 걸어 분전반(D)이 바닥면(E)과 격리된 중공에 위치되게 매어 달 거나,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벽면(F)에 돌출된 걸대(7)에 행거(6)의 링(4)을 걸어 중공위치에 분전반을 현수한다.
이때, 걸대(7)에 걸린 링(4)의 지점(p)을 통과하는 수직선(y) 상에 행거(6)의 세로대(3)가 놓이도록 행거(6)의 직각 절곡부(5)를 받치어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링(4)의 지점(p)과 편심위치에 있는 분전반(D)의 중심(重心)(g)이 편위되어 분전반의 하중이 점선 화살표와 같이 상기 링(4)의 지점(q)을 통과하는 수직선(y)측으로 작용하여도 길이(L2)가 보다 길게 된 세로대(3)가 절곡부(5)를 지점으로 하는 지릿대 작용에 의해 분전반의 하중에 용이하게 대응하게 되어 분전반(D)이 흔들림이 없고 또한 주위의 어떤 구조물과의 접촉이나 부딪침이 없이 중공위치에 안전하게 현수된다.
또한 행거(6)의 세로대(3)가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가로대(2)는 직각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가로대(2)에 결합된 분전반(D)의 가로변과 세로변이 수평과 수직의 안전한 자세로 현수되어. 분전반을 바닥(E)에 놓고 사용하는 것처럼 하우징(H)의 문을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고 분전반(D)의 소켓(c)에 각종 전동 공구의 플러그를 용이하게 접속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분전반(D)이 바닥(E)과 격리된 중공에 위치됨으로 분전반이 놓인 바닥(E)은 분전반의 장해를 받지 않고 원활하게 공사할 수 있고 또한 물이 차이 경우에는 분전반이 물로부터 격리되어 안전성이 확보된다.
분전반(D)에 링 볼트(1)로 된 행거(6)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분전반(D)을 바닥(E)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도2및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분전반(D)을 벽면(F)이나 구조물에 걸어 중공위치에 두고 사용할 수 있어, 종래의 것에 비하여 분전반의 효용성이 그만큼 증대된다.
또한 링 볼트(1)로 형성된 행거(6)의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여 고장이 생길 요소가 없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 링 볼트 2 : 가로대 2s : 나사부 3 : 세로대 4 : 링
5 : 절곡부 6 : 행거 7 : 걸대 8 : 걸고리
D : 분전반 H : 하우징 P: 횡봉 W : 벽면 c : 소켓
s : 전원 차단기 h : 체결공 n : 너트 t : 단자블록 w : 와셔

Claims (3)

  1. 공사장에서 사용되는 분전반의 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굵기와 강도를 가진 소정 길이의 강철제로 된 링 볼트(1)를 가로대(2)의 길이(L1)에 비하여 링(4)이 구비된 세로대(3)의 길이(L2)가 보다 길게 직각으로 절곡하여 절곡부(5)를 형성하고 상기 가로대(2)의 전 길이에 걸쳐 너트(n)를 체결할 나사부(2s)를 형성하여 행거(6)를 구비하며,
    분전반(D)의 상단 좌우 양측에 뒤면에서 전면으로 관통된 한 쌍의 체결공(h)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h)에 상기 행거(6)의 가로대(2)를 관통시키어 가로대(2)의 나사부(2s)의 내외 양측에서 와셔(w)와 너트(n)를 체결하여 분전반(D)에 행거(6)가 일체로 결합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볼트에 한 분전반의 행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분전반(D)에 결합된 행거(6)의 링(4)을 벽면에 돌출된 걸대(7)에 걸거나, 행거(6)의 링(4)에 걸고리(8)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횡봉(p)에 걸고 행거(6)의 절곡부(5)를 상기 링(4)을 통과하는 수직선(y)에 일치되게 받치어 분전반(D)이 주위의 구조물이나 바닥(E)면과 격리된 중공 위치에 懸垂(현수)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볼트에 의한 분전반의 행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분전반(D)이 결합된 행거(6)의 가로대(2)의 길이(L1)에 비하여 세로대(3)의 길이(L2)가 보다 길게 절곡된 절곡부(5)를 지점으로 가로대(2)에 걸린 분전반(D)의 하중에 대하여 세로대(3)의 지릿대 작용으로 대응하여 분전반의 가로변과 세로변이 수평과 수직의 안정된 자세로 현수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볼트에 의한 분전반의 행거장치.
KR1020150117832A 2015-08-21 2015-08-21 링 볼트에 의한 분전반의 행거장치 KR20170022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832A KR20170022613A (ko) 2015-08-21 2015-08-21 링 볼트에 의한 분전반의 행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832A KR20170022613A (ko) 2015-08-21 2015-08-21 링 볼트에 의한 분전반의 행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613A true KR20170022613A (ko) 2017-03-02

Family

ID=5842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832A KR20170022613A (ko) 2015-08-21 2015-08-21 링 볼트에 의한 분전반의 행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261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472B1 (ko) 2007-05-04 2012-01-09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대한 멀티레벨 쉐이핑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1411965B1 (ko) 2007-05-23 2014-07-03 베에스-베르메프로체스테히닉 게엠베하 평탄화된 열교환기 튜브들을 구비한 복열장치 버너
KR20150002736U (ko) 2014-01-02 2015-07-10 강철민 바퀴가 장착된 공사현장용 임시 전기 분전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472B1 (ko) 2007-05-04 2012-01-09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대한 멀티레벨 쉐이핑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1411965B1 (ko) 2007-05-23 2014-07-03 베에스-베르메프로체스테히닉 게엠베하 평탄화된 열교환기 튜브들을 구비한 복열장치 버너
KR20150002736U (ko) 2014-01-02 2015-07-10 강철민 바퀴가 장착된 공사현장용 임시 전기 분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1024C (en) Intrusion-prevention enclosure
KR100847877B1 (ko)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케이블 트레이
KR102047771B1 (ko) 두 프로파일부의 해제가능한 연결을 위한 클램핑 장치
KR20170124218A (ko) 건축용 에이치 빔 파이프 행거 고정용 클램프
KR20120080061A (ko) 3선 삼각배열 전력케이블 조립식 지지대
JP2009108473A (ja) 高所構造物に対する吊り足場架設方法
KR102251075B1 (ko)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KR20170022613A (ko) 링 볼트에 의한 분전반의 행거장치
KR101479289B1 (ko) 전선용 행거
CN205781805U (zh) 一种投影屏幕支撑装置及投影系统
CN212689537U (zh) 挂架的可调悬挑支撑构件
KR100731920B1 (ko) 전기 배관의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한 케이블 트레이.
KR200458155Y1 (ko) 전선거치대
JP5207122B2 (ja) 薄型テレビの壁掛け装置、および壁掛け方法
CN202287361U (zh) 货架
JP6264604B2 (ja) 吊り天井構造及び吊り部材接続用金具
GB2197183A (en) Racking system
CN105470840A (zh) 开关柜仪表室配线装置
KR101230030B1 (ko) 울타리용 메시 연결고정구
JP3205669U (ja) 天井裏足場用金具
JP3669875B2 (ja) ラックの転倒防止装置
CN218541439U (zh) 悬挂式操作平台
DK2805524T3 (en) The carriers used for cable connection of a coupling panel in a switching cabinet.
JP6143091B2 (ja) 吊り天井補強用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吊り天井構造
JP3108762U (ja) 地組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