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790A - 투명 적층체 - Google Patents

투명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790A
KR20170021790A KR1020167035514A KR20167035514A KR20170021790A KR 20170021790 A KR20170021790 A KR 20170021790A KR 1020167035514 A KR1020167035514 A KR 1020167035514A KR 20167035514 A KR20167035514 A KR 20167035514A KR 20170021790 A KR20170021790 A KR 20170021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transparent laminate
structure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0942B1 (ko
Inventor
마사야스 가키누마
마사키 다케노우치
에이지 오타
사토시 가와무라
마키 오가와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1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84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protection for the eyes, e.g. using shield or vi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9Additional functions or features, e.g. protection for other parts of the face such as ears, nose or mouth; Screen wipers or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54Forming anti-misting or drip-proof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56Forming hydrophilic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8Anti-reflection coatings having sub-optical wavelength surface structures designed to provide an enhanced transmittance, e.g. moth-eye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적어도 투명성 기판과 구조체층을 갖고, 상기 구조체층은, 표면에 볼록부 및 오목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갖고, 인접하는 상기 볼록부의 평균 거리 또는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의 평균 거리가 가시광의 파장 이하이고, 상기 구조체층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중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의 조성물을 함유하고,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의 조성물이 이하의 (A) 및 (B) 중 적어도 어느 것과, (C) 와, (D) 를 함유하고,
(A) 주사슬과 측사슬이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3 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B)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 A 의 에스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C)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D) 주사슬이 직사슬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2 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상기 구조체층의 표면의 물 접촉각이 26°이상 74°이하이고, 또한 상기 구조체층의 180 ℃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이 0.5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적층체이다.

Description

투명 적층체{TRANSPARENT LAMINATE}
본 발명은 투명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외과 수술 등에 있어서, 안면에의 비래물로부터 안면을 보호하기 위해, 시계 (視界) 를 확보하면서 안면을 보호할 수 있는 안면 실드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안면 실드로서,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을 아이실드로서 안면 마스크에 장착한 구조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외과 수술을 실시하는 수술실에서는 매우 강도가 높은 외과 조명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와 같은 조명 시스템에서는, 안면 실드에는, 높은 반사 방지 특성을 갖는 투명체일 것이 요구된다. 또, 내흠집성 등의 기계적 강도도 요구된다.
반사 방지 특성을 갖는 투명 구조체로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미세한 요철 구조를 갖는 투명 구조체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및 3 참조).
특허문헌 2 에는, 요철층 표면의 물 접촉각을 25°이하로, 또한 요철층의 표면의 탄성률을 200 ㎫ 이상으로 함으로써, 방오성이나 내찰상성을 갖는 투명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 에는, 3 관능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24.8 % 이상, 또한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를 37.2 % 이상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하여 구조체를 형성하고, 180 ℃ 이상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을 0.5 ㎬ 이상으로 함으로써, 방오성이나 내찰상성을 갖는 투명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안면 실드 등의 의료용 안면 보호 마스크 등에 대한 실용화를 고려하면, 상기 개시된 기술에서는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의료용 안면 보호 마스크의 제조, 사용에 적합한 투명 구조체로 하기 위해서는, 그 투명 구조체가 방오성이나 내찰상성을 갖는 것 외에, 이하와 같은 특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방담성 (1) 이나, 그 의료용 안면 보호 마스크로 제조·가공할 때에 표면 보호 필름을 사용하지만, 그 표면 보호 필름의 사용 선택성의 향상 (2) 이나 그 표면 보호 필름에 의한 악영향 방지 (3), 마스크 형상으로 타발 가공할 때, 금을 발생시키지 않는 내크랙성 (4) 을 가질 필요가 있다.
방오성이나 내찰상성 외에, 상기 (1) ∼ (4) 의 특성도 포함한, 모든 특성을 만족시키는 투명 구조체는 제공되지 않아, 의료용 안면 보호 마스크 등에 실용화할 수 있는 투명 구조체의 제공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78117호 일본 특허 제4796659호 일본 특허 제5042386호
본 발명은 종래에 있어서의 상기 여러 문제를 해결하여, 이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방오성, 방담성, 내찰상성이 우수하고, 또한 의료용 안면 보호 마스크 등의 제조·가공시에 사용하는 표면 보호 필름의 선택성 향상이나 그 표면 보호 필름에 의한 악영향 방지, 마스크 형상으로 타발 가공할 때의 내크랙성이 우수한 투명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이하와 같다. 즉,
<1> 적어도 투명성 기판과 구조체층을 갖고,
상기 구조체층은, 표면에 볼록부 및 오목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갖고, 인접하는 상기 볼록부의 평균 거리 또는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의 평균 거리가 가시광의 파장 이하이고,
상기 구조체층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중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의 조성물을 함유하고,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의 조성물이, 이하의 (A) 및 (B) 중 적어도 어느 것과, (C) 와, (D) 를 함유하고,
(A) 주사슬과 측사슬이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3 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B)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 A 의 에스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C)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D) 주사슬이 직사슬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2 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상기 구조체층 표면의 물 접촉각이 26°이상 74°이하이고,
또한 상기 구조체층의 180 ℃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이 0.5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적층체이다.
<2>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의 조성물이 상기 (A), (B), (C) 및 (D) 를 함유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투명 적층체이다.
<3>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의 조성물이, 상기 (A) 및 (B) 중 어느 것과, (C) 와, (D) 를 함유하고, 상기 물 접촉각이 26°이상 60°이하인 상기 <1> 에 기재된 투명 적층체이다.
<4> 상기 (A) 주사슬과 측사슬이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3 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투명 적층체이다.
<5>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24.8 질량% 미만인 상기 <4> 에 기재된 투명 적층체이다.
<6> 상기 (C)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가, 에틸렌옥사이드 (EO) 사슬의 반복 단위가 8 보다 큰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투명 적층체이다.
<7> 상기 구조체층의 인장 파단 신도가 0.65 % 이상인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투명 적층체이다.
<8> 안면 보호용 광학 소자로서 사용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투명 적층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있어서의 상기 여러 문제를 해결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방오성, 방담성, 내찰상성이 우수하고, 또한 의료용 안면 보호 마스크 등의 제조·가공시에 사용하는 표면 보호 필름의 선택성 향상이나 그 표면 보호 필름에 의한 악영향 방지, 마스크 형상으로 타발 가공할 때의 내크랙성이 우수한 투명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는,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b 는,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의 표면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 는,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의 배열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a 는, 전사 원반인 롤 원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 는, 도 3a 에 나타낸 롤 원반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c 는, 도 3b 의 트랙 (T) 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롤 원반을 제조하기 위한 롤 원반 노광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a 는, 롤 원반을 제조하는 공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5b 는, 롤 원반을 제조하는 공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5c 는, 롤 원반을 제조하는 공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5d 는, 롤 원반을 제조하는 공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5e 는, 롤 원반을 제조하는 공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6a 는, 롤 원반에 의해 미세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전사하는 공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6b 는, 롤 원반에 의해 미세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전사하는 공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6c 는, 롤 원반에 의해 미세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전사하는 공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7a 는, 롤 원반에 의해 미세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전사하는 공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7b 는, 롤 원반에 의해 미세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전사하는 공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7c 는, 롤 원반에 의해 미세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전사하는 공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8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안면 보호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8b 는, 안면에 착용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안면 보호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9a 는, 인몰드 성형에 의해 본 발명의 물품을 제조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9b 는, 인몰드 성형에 의해 본 발명의 물품을 제조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9c 는, 인몰드 성형에 의해 본 발명의 물품을 제조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9d 는, 인몰드 성형에 의해 본 발명의 물품을 제조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9e 는, 인몰드 성형에 의해 본 발명의 물품을 제조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9f 는, 인몰드 성형에 의해 본 발명의 물품을 제조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10a 는,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의 제 1 변형예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b 는, 도 10a 의 단면도이다.
도 10c 는, 도 10a 의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의 제 2 변형예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a 는,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의 제 3 변형예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2b 는, 도 12a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 (B) 이다.
(투명 적층체)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는, 적어도 투명성 기판과 구조체층을 갖고, 또한 필요에 따라, 그 밖의 부재를 갖는다.
상기 구조체층은, 표면에 볼록부 및 오목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갖고, 인접하는 상기 볼록부의 평균 거리 또는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의 평균 거리가 가시광의 파장 이하이다.
상기 구조체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중합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의 조성물을 함유한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의 조성물은, 이하의 (A) 및 (B) 중 적어도 어느 것과, (C) 와, (D) 를 함유한다.
(A) 주사슬과 측사슬이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3 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B)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 A 의 에스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C)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D) 주사슬이 직사슬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2 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상기 구조체층의 표면의 물 접촉각은 26°이상 74°이하이고,
또한 상기 구조체층의 180 ℃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은 0.5 ㎬ 미만이다.
본 발명자들은, 의료용 안면 보호 마스크에 적용할 수 있는 안면 보호용 광학 소자로서, 투명 기재에 미세하고 또한 치밀한 요철 (모스아이 ; 나방의 눈) 구조를 갖는 투명 적층체에 대해 연구한 결과, 그 투명 적층체가 방오성, 내찰상성이 우수한 것은 물론이거니와, 그 이외에도, 사용면이나 제조·가공면의 관점에서, 이하에 기재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실용화를 도모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인식에 이르렀다.
과제 1. 의료용 안면 보호 마스크 (이하, 「마스크」 라고도 한다) 로서 사용했을 때의 호기 (呼氣) 에 의한 마스크 표면의 흐림을 방지한다 (방담성의 향상).
과제 2. 마스크로 제조·가공할 때, 투명 적층체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표면 보호 필름을 사용하지만, 그 표면 보호 필름의 선택성을 향상시켜, 그 표면 보호 필름에 의한 악영향을 방지한다.
과제 3. 마스크 제조시에, 마스크 형상에 맞춘 투명 적층체의 타발 가공을 실시하지만, 그 가공할 때, 투명 적층체에 금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내크랙성의 향상).
상기 과제 1 및 과제 2 는, 투명 적층체 표면의 표면 에너지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 척도로서 물 접촉각으로 나타낼 수 있다. 과제 3 은, 투명 적층체의 탄성률 (≒ 경도의 지표) 에 의존하고 있다.
과제 1 은, 투명 적층체를 구성하는 재료에 의거하여, 물 접촉각을 낮게 하는 (친수성을 갖게 하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호기 중 수분을 젖어 퍼지게 하여 방담 작용을 갖게 하여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 재료에 친수성을 갖게 하면, 과제 2 로서 표면 보호 필름이 투명 적층체 표면에 지나치게 밀착되어,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제가 투명 적층체 표면의 요철 내부에 잔류하거나,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 박리력이 상승함으로써, 투명 적층체 표면의 미세 요철이 파괴되거나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로써, 광학 특성, 방오성, 방담성 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과제 3 은, 마스크를 제조할 때, 가요성을 갖는 수지 기재 상에 구조체층을 첩부 (貼付) 하고, 수지 기재째 마스크의 형상으로 타발 가공을 실시하지만, 그 가공할 때, 구조체층의 탄성률이 지나치게 높으면 투명 적층체에 금이 생겨, 불량품의 발생으로 연결된다.
요컨대, 마스크에의 실용화를 고려하면, 물 접촉각은 낮게 하기만 하면 (친수성을 갖게 하면) 된다는 것은 아니며, 방오성이나 방담성 이외에도, 표면 보호 필름과의 밀착성 등의 관점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고, 또, 탄성률은 높게 하기만 하면 된다는 것은 아니며, 내흠집성 이외에도, 내크랙성의 관점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물 접촉각이나 탄성률과 같은 물성값 이외에도 투명 적층체를 구성하는 성분에 의해, 상기 각 특성은 영향을 받으므로, 이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투명 적층체를 구성하는 재료의 조성, 및 그 투명 적층체가 나타내는 특성에 대해 검토를 거듭한 결과, 특정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고, 또한 물 접촉각이나 탄성률이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투명 적층체가, 상기 과제에 예시한 방오성, 방담성, 내찰상성, 표면 보호 필름의 선택성 향상이나 그 표면 보호 필름에 의한 악영향 방지, 내크랙성의 모든 항목에 있어서 균형 있게,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물 접촉각이나 탄성률의 값은, 상기 특허문헌 1 이나 2 에서 개시하는 범위와는 상이하며, 본 발명자들은 개시된 기술 범위와는 상이한 범위의 특성을 나타내는 투명 적층체가, 의료용 안면 보호 마스크 등에의 실용화를 생각했을 때, 최적인 양태가 되는 것을 알아낸 것이다.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의 구성의 단면도의 일례를 도 1a 및 1b 에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투명 적층체 (1) 는, 표면에 수십 ㎚ ∼ 수백 ㎚ 의 가시 파장 영역 이하의 미세 요철 구조 (이하, 「모스아이 구조」 라고도 한다) 를 갖는다.
투명 적층체 (1) 는, 투명성 기판 (11) 과, 표면에 가시광의 파장 (360 ㎚ ∼ 830 ㎚) 이하의 간격으로 볼록부 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구조체 (12a) 를 복수 갖는 구조체층 (12) 을 갖는다.
구조체층 (12) 의 표면에는 볼록상 또는 오목상의 구조체 (12a) 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복수의 구조체 (12a) 는 복수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a 에는, 표면이 볼록상의 구조체층 (12) 을 갖는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의 사시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또, 도 2b 에는,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의 배열의 평면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는, 미세한 요철 구조체 (12a) 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체층 (12) 을 투명성 기판 (11) 의 표리 양면에 가지고 있어도 된다 (도 1b).
양면에 각각 미세하고 또한 치밀한 요철을 갖는 투명 적층체는, 그 투명 적층체와 공기의 계면에서의 반사를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 투명 적층체는, 투과 특성 및 반사 특성 등의 시인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양태라고 할 수 있다.
그 투명 적층체 (1) 는, 예를 들어, 가시광에 대해 투명성을 가지고 있고, 그 굴절률 (n) 로는, 1.40 이상 2.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43 이상 2.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파장 550 ㎚ 의 광에 대해 투과율은, 98.5 % 이상이 바람직하다.
구조체층 (12) 의 굴절률은, 투명성 기판 (11) 의 굴절률과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반사를 억제하여,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투명성 기판>
상기 투명성 기판의 재질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투명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 유리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유리로는, 예를 들어, 소다라임 유리, 납 유리, 경질 유리, 석영 유리, 액정화 유리 등 (「화학 편람」 기초편, P.I-537, 일본 화학회 편 참조) 을 들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재료로는, 투명성, 굴절률 및 분산 등의 광학 특성, 나아가서는 내충격성, 내열성 및 내구성 등의 여러 특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다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등과 같은 비닐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등의 (메트)아크릴계 수지 ; 폴리카보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 (CR-39) 등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 (브롬화) 비스페놀 A 형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의 단독 중합체 내지 공중합체, (브롬화) 비스페놀 A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의 우레탄 변성 모노머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 등과 같은 열경화성 (메트)아크릴계 수지 ;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우레탄, 에폭시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케톤,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상품명 : 아톤, 제오노아),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 내열성을 고려한 아라미드계 수지의 사용도 가능하다. 여기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또, (메트)아크릴계 수지란, 아크릴계 수지 또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의미한다.
상기 투명성 기판으로서, 가요성을 갖는 수지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가요성의 투명성 기판을 사용한 투명 적층체는, 안면 보호용 광학 소자로서 의료용의 안면 보호 마스크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구조체층 (12) 과 투명성 기판 (11) 을 별도로 성형하고, 투명성 기판 (11) 으로서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플라스틱 표면의 표면 에너지, 도포성, 평면성 등을 보다 개선하기 위해서, 표면 처리로서 하도층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하도층으로는, 예를 들어, 오르가노알콕시메탈 화합물,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또, 하도층을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투명성 기판 (11) 의 표면에 대해 코로나 방전 처리, UV 조사 처리 등을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구조체층 (12) 과 투명성 기판 (11) 을 별도로 성형하고, 투명성 기판 (11) 이 플라스틱 필름인 경우에는, 투명성 기판 (11) 은,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수지를 신연 (伸延), 혹은 용제에 희석 후 필름상으로 성막하여 건조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투명성 기판 (11) 의 평균 두께는, 투명 적층체 (1) 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0 ㎛ 이상 5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50 ㎛ 이상 5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 이상 300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안면 보호용 광학 소자로서 사용한 경우, 10 ㎛ 이상이면 비래물로부터의 보호 성능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한편, 500 ㎛ 이하이면 경량화시킬 수 있고, 또 가요성을 가짐으로써 곡면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보호 부재로서의 장착감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상기 투명성 기판의 형상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필름상, 플레이트상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필름에는 시트가 포함된다.
<구조체층>
상기 구조체층은, 표면에 볼록부 및 오목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갖고, 인접하는 상기 볼록부의 평균 거리 또는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의 평균 거리가, 가시광의 파장 이하이다.
상기 구조체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중합물을 함유한다.
상기 구조체층의 평균 두께 (L) (㎛) 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0.8 ㎛ ∼ 10 ㎛ 가 바람직하고, 1 ㎛ ∼ 4 ㎛ 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평균 두께 (L) 는, 두께계 (주식회사 미츠토요, 라이트매틱 VL-50S-B) 를 사용하여 투명 적층체의 총두께와 투명성 기판의 두께를 각 10 회 측정하여 그 평균 두께를 구하고, 투명 적층체의 평균 두께로부터 투명성 기판의 평균 두께를 뺌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볼록부 및 오목부>>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구조체 (12a) 는, 투명성 기판 (11) 상에 형성된 구조체층 (12) 의 표면에 2 차원 배열되어 있다. 구조체 (12a) 는, 반사의 저감 또는 투과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광의 파장 대역 이하의 짧은 간격 (평균 배치 피치) 으로 주기적으로 2 차원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간격 (피치) 이란, 인접하는 볼록부의 거리, 또는 인접하는 오목부의 거리를 말한다.
복수의 구조체 (12a) 는, 각각 구조체층 (12) 의 표면에 있어서 복수열의 트랙 (T1, T2, T3, …) (이하 총칭하여 「트랙 (T)」 이라고도 한다) 을 이루는 배치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트랙이란, 복수의 구조체 (12a) 가 열을 이루어 늘어선 부분을 말한다. 트랙 (T) 의 형상으로는, 직선상, 원호상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 형상의 트랙 (T) 을 워블 (사행) 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트랙 (T) 을 워블시킴으로써, 외관상의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트랙 (T) 을 워블시키는 경우에는, 각 트랙 (T) 의 워블은, 동기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워블은, 싱크로나이즈드 워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워블을 동기시킴으로써, 육방 격자 또는 준육방 격자의 단위 격자 형상을 유지하고, 충전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워블된 트랙 (T) 의 파형으로는, 예를 들어, 사인파, 삼각파 등을 들 수 있다. 워블된 트랙 (T) 의 파형은, 주기적인 파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주기적인 파형으로 해도 된다. 워블된 트랙 (T) 의 워블 진폭은, 예를 들어 10 ㎚ ∼ 1 ㎛ 정도로 선택된다.
구조체 (12a) 는, 예를 들어, 인접하는 2 개의 트랙 (T) 간에 있어서, 반피치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접하는 2 개의 트랙 (T) 간에 있어서, 일방의 트랙 (예를 들어 T1) 에 배열된 구조체 (12a) 의 중간 위치 (반피치 어긋난 위치) 에, 타방의 트랙 (예를 들어 T2) 의 구조체 (12a) 가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3 열의 트랙 (T1 ∼ T3) 간에 있어서 a1 ∼ a7 의 각 점에 구조체 (12a) 의 중심이 위치하는 육방 격자 패턴 또는 준육방 격자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조체 (12a) 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육방 격자란, 정육각 형상의 격자를 말한다. 준육방 격자란, 정육각 형상의 격자와는 상이하고, 변형된 정육각 형상의 격자를 말한다. 예를 들어, 구조체 (12a) 가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준육방 격자란, 정육각 형상의 격자를 직선상의 배열 방향 (트랙 방향) 으로 길게 늘여 변형시킨 육방 격자를 말한다. 구조체 (12a) 가 원호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준육방 격자란, 정육각 형상의 격자를 원호상으로 변형시킨 육방 격자, 또는 정육각 형상의 격자를 배열 방향 (트랙 방향) 으로 길게 늘여 변형시키고, 또한 원호상으로 변형시킨 육방 격자를 말한다. 구조체 (12a) 가 사행하여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는, 준육방 격자란, 정육각 형상의 격자를 구조체 (12a) 의 사행 배열에 의해 변형시킨 육방 격자, 또는 정육각 형상의 격자를 배열 방향 (트랙 방향) 으로 길게 늘여 변형시키고, 또한 구조체 (12a) 의 사행 배열에 의해 변형시킨 육방 격자를 말한다.
구조체 (12a) 가 준육방 격자 패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 트랙 (예를 들어 T1) 내에 있어서의 구조체 (12a) 의 배치 피치 (P1) (예를 들어 a1 ∼ a2 간 거리) 는, 인접하는 2 개의 트랙 (예를 들어 T1 및 T2) 간에 있어서의 구조체 (12a) 의 배치 피치, 즉 트랙의 연장 방향에 대해 ±θ 방향에 있어서의 구조체 (12a) 의 배치 피치 (P2) (예를 들어 a1 ∼ a7, a2 ∼ a7 간 거리) 보다 길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조체 (12a) 를 배치함으로써, 구조체 (12a) 의 충전 밀도의 추가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구조체 (12a) 의 구체적인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추체상, 주상 (柱狀), 침상, 반구체상, 반타원체상, 다각형상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상을 채용하도록 해도 된다. 추체상으로는, 예를 들어, 정부 (頂部) 가 날카로운 추체 형상, 정부가 평탄한 추체 형상, 정부에 볼록상 또는 오목상의 곡면을 갖는 추체 형상을 들 수 있지만, 이들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부에 볼록상의 곡면을 갖는 추체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방물면상 등의 2 차 곡면상을 들 수 있다. 또, 추체상의 추면을 오목상 또는 볼록상으로 만곡시키도록 해도 된다. 후술하는 롤 원반 노광 장치 (도 4 참조) 를 사용하여 롤 원반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구조체 (12a) 의 형상으로서, 정부에 볼록상의 곡면을 갖는 타원추 형상, 또는 정부가 평탄한 타원추 사다리꼴상을 채용하고, 그들의 저면을 형성하는 타원형의 장축 방향을 트랙 (T) 의 연장 방향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타원, 구체, 타원체 등의 형상에는, 수학적으로 정의되는 완전한 타원, 구체, 타원체 등의 형상뿐만 아니라, 다소의 변형이 부여된 타원, 구체, 타원체 등의 형상도 포함된다. 평면 형상으로는 타원형에 유사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이어도 된다.
광학 조정 기능의 향상의 관점에서 보면, 정부의 기울기가 완만하여 중앙부로부터 저부로 서서히 급준한 기울기의 추체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 광학 조정 기능의 향상의 관점에서 보면, 중앙부의 기울기가 저부 및 정부보다 급준한 추형 (錐形) 형상, 또는 정부가 평탄한 추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체 (12a) 가 타원추 형상 또는 타원추 사다리꼴상을 갖는 경우, 그 저면의 장축 방향이 트랙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체 (12a) 는, 그 저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정부로부터 하부의 방향을 향해 완만하게 높이가 저하되는 곡면부 (15) 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적층체 (1) 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투명 적층체 (1) 를 원반 등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곡면부 (15) 는, 구조체 (12a) 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일부에만 형성해도 되지만, 상기 박리 특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보면, 구조체 (12a) 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전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체 (12a) 의 주위의 일부 또는 전부에 돌출부 (14) 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구조체 (12a) 의 충전율이 낮은 경우에도, 반사율을 낮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돌출부 (14) 는, 성형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보면, 이웃하는 구조체 (12a) 의 사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구조체 (12a) 의 주위의 일부 또는 전부의 표면을 거칠게 하여,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이웃하는 구조체 (12a) 사이의 표면을 거칠게 하여,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구조체 (12a) 의 표면, 예를 들어 정부에 미소한 구멍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1a, 도 1b, 도 2a 및 도 2b 에서는, 각 구조체 (12a) 가 각각 동일한 크기, 형상 및 높이를 가지고 있지만, 구조체 (12a) 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체 표면에 2 종 이상의 크기, 형상 및 높이를 갖는 구조체 (12a)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트랙의 연장 방향 (X 방향) 에 있어서의 구조체 (12a) 의 높이 (H1) 는, 트랙의 배열 방향 (Y 방향) 에 있어서의 구조체 (12a) 의 높이 (H2)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구조체 (12a) 의 높이 (H1, H2) 가 H1 < H2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H1 ≥ H2 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구조체 (12a) 를 배열하면, 트랙의 연장 방향의 배치 피치 (P1) 를 길게 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에, 트랙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구조체 (12a) 의 충전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충전율이 저하되면, 광학 조정 기능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구조체 (12a) 의 높이 (H1, H2) 는 모두 동일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각 구조체 (12a) 가 일정한 높이 분포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높이 분포를 갖는 구조체 (12a) 를 형성함으로써, 광학 조정 기능의 파장 의존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우수한 광학 조정 기능을 갖는 투명 적층체 (1) 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높이 분포란, 2 종 이상의 높이를 갖는 구조체 (12a) 가 구조체층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준이 되는 높이를 갖는 구조체 (12a) 와, 이 구조체 (12a) 와는 상이한 높이를 갖는 구조체 (12a)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기준과는 상이한 높이를 갖는 구조체 (12a) 는, 예를 들어 구조체층 (12) 의 표면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랜덤) 으로 형성된다. 그 주기성의 방향으로는, 예를 들어, 트랙의 연장 방향, 열 방향 등을 들 수 있다.
구조체층 (12) 의 표면에 형성된 구조체 (12a) 의 볼록부의 평균 애스팩트비 (상기 볼록부의 평균 높이/인접하는 상기 볼록부의 평균 거리) 또는 오목부의 평균 애스팩트비 (상기 오목부의 평균 깊이/인접하는 상기 오목부의 평균 거리) 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0.66 ∼ 1.96 이 바람직하고, 0.76 ∼ 1.96 이 보다 바람직하다. 평균 애스팩트비가 0.66 이상이면, 저반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평균 애스팩트비가 1.96 이하이면, 이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조체 (12a) 의 평균 배치 피치 (P) (인접하는 볼록부의 평균 거리, 또는 인접하는 오목부의 평균 거리라고 한다) 는, 광학 조정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광의 파장 대역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광학 조정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광의 파장 대역이란, 예를 들어, 가시광의 파장 대역 (360 ㎚ ∼ 830 ㎚ 의 파장 대역) 이하를 말한다.
구조체 (12a) 의 볼록부의 평균 높이 (H), 또는 오목부의 평균 깊이 (H) 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100 ㎚ ∼ 300 ㎚ 가 바람직하고, 190 ㎚ ∼ 300 ㎚ 가 보다 바람직하고, 180 ㎚ ∼ 230 ㎚ 가 더욱 바람직하다. 구조체 (12a) 의 볼록부의 평균 높이 (H), 또는 오목부의 평균 깊이 (H) 가 100 ㎚ 이상이면, 저반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구조체 (12a) 의 볼록부의 평균 높이 (H), 또는 오목부의 평균 깊이 (H) 가 300 ㎚ 이하이면, 이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평균 배치 피치 (평균 거리 (Pm)), 및 볼록부의 평균 높이 또는 오목부의 평균 깊이 (Hm) 는,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할 수 있다.
[Pm (㎚), Hm (㎚) 의 측정]
먼저,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갖는 상기 구조체층의 표면 (S) 을 원자간력 현미경 (AFM : Atomic Force Microscope) 에 의해 관찰하여, AFM 의 단면 프로파일로부터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피치, 및 볼록부의 높이 또는 오목부의 깊이를 구한다. 이것을 상기 구조체층의 표면으로부터 무작위로 골라내진 10 지점에 있어서 반복 실시하여, 피치 P(1), P(2), …, P(10) 과, 높이 또는 깊이 H(1), H(2), …, H(10) 을 구한다.
여기서, 상기 볼록부의 피치는, 상기 볼록부의 정점간의 거리이다. 상기 오목부의 피치는, 상기 오목부의 최심부간의 거리이다. 상기 볼록부의 높이는, 상기 볼록부 사이의 골부의 최저점을 기준으로 한 상기 볼록부의 높이이다.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오목부 사이의 산부의 최고점을 기준으로 한 상기 오목부의 깊이이다.
다음으로, 이들 피치 P(1), P(2), …, P(10) 및 높이 또는 깊이 H(1), H(2), …, H(10) 을 각각 단순하게 평균 (산술 평균) 을 내어,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평균 거리 (Pm), 및 볼록부의 평균 높이 또는 오목부의 평균 깊이 (Hm) 로 한다.
또한, 상기 AFM 관찰에 있어서는, 단면 프로파일의 볼록부의 정점, 또는 오목부의 저변이, 입체 형상의 볼록부의 정점, 또는 오목부의 최심부와 일치하도록 하기 위해, 단면 프로파일을, 측정 대상이 되는 입체 형상의 볼록부의 정점, 또는 입체 형상의 오목부의 최심부를 지나는 단면이 되도록 잘라내고 있다.
구조체 (12a) 가 이방성을 갖는 형상 (예를 들어 타원추 형상이나 타원추 사다리꼴상 등) 인 경우에는, 각 피치 P(1), P(2), …, P(10) 은, 각각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할 수도 있다.
도 2b 에서 나타내는 각 피치 P1, P2 에 대해 이하의 식 (1) 과 같이 하여 피치 P(1) 을 구하고, 이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P(2), …, P(10) 을 구하고, 무작위로 골라내진 10 지점에 있어서의 피치 P(1), P(2), …, P(10) 으로부터, 이들의 평균을 취함으로써, 평균 배치 피치 (Pm) 를 구해도 된다.
피치 P = (P1 + P2 + P2)/3 … (1)
단, P1 : 트랙의 연장 방향의 배치 피치 (트랙 연장 방향 주기), P2 : 인접하는 트랙간의 구조체의 배치 피치. 또한, 트랙의 연장 방향에 대한 트랙간의 구조체의 배열 방향 (θ) 은, θ = 60°- δ 로 나타내고, δ 는, 바람직하게는 0°< δ ≤ 11°, 보다 바람직하게는 3°≤ δ ≤ 6°이다.
또, 구조체 (12a) 의 높이는, 트랙간 방향 (Y 방향) 의 높이이다. 통상적으로 구조체 (12a) 의 트랙 연장 방향 (X 방향) 의 높이 (H1) 는, 트랙간 방향 (Y 방향) 의 높이보다 작고, 또, 구조체 (12a) 의 트랙 연장 방향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높이는 트랙간 방향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언급이 없는 한, 구조체 (12a) 의 높이를 트랙간 방향의 높이로 대표한다. 또한, 구조체 (12a) 가 오목부인 경우, 구조체 (12a) 의 높이 (Hm) 는, 구조체 (12a) 의 깊이 (Hm) 로 한다.
구조체 (12a) 의 배치가 육방 격자 패턴 또는 준육방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트랙의 연장 방향의 구조체 (12a) 의 배치 피치를 P1, 인접하는 트랙간에 있어서의 구조체 (12a) 의 배치 피치를 P2 로 했을 때 (도 2b 참조), 비율 P1/P2 가 1.00 ≤ P1/P2 ≤ 1.1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치 범위로 함으로써, 타원추 또는 타원추 사다리꼴상을 갖는 구조체 (12a) 의 충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광학 조정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조체층 (12) 의 표면에 있어서의 구조체 (12a) 의 충전율은, 100 % 를 상한으로 하여, 40 % 이상이고, 65 % 이상이 바람직하고, 73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6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충전율을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반사 방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충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접하는 구조체 (12a) 의 하부끼리를 접합하거나, 또는 구조체 (12a) 의 저면의 타원율을 조정 등 하여 구조체 (12a) 에 변형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구조체 (12a) 의 충전율 (평균 충전율) 은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한 값이다.
먼저, 투명 적층체 (1) 의 표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을 사용하여 Top View 로 촬영한다. 다음으로, 촬영한 SEM 사진으로부터 무작위로 단위 격자 (Uc) 를 골라내고, 그 단위 격자 (Uc) 의 배치 피치 (P1), 및 트랙 피치 (Tp) 를 측정한다 (도 2b 참조). 또, 그 단위 격자 (Uc) 의 중앙에 위치하는 구조체 (12a) 의 저면의 면적 (S) 을 화상 처리에 의해 측정한다. 다음으로, 측정한 배치 피치 (P1), 트랙 피치 (Tp), 및 저면의 면적 (S) 을 사용하여, 이하의 식 (2) 로부터 충전율을 구한다.
충전율 = (S (hex.)/S (unit)) × 100 … (2)
단, 구조체 (12a) 의 배치가 육방 격자 패턴 또는 준육방 격자 패턴인 경우의 단위 격자 면적 : S (unit) = P1 × 2Tp
단위 격자 내에 존재하는 구조체 (12a) 의 저면의 면적 : S (hex.) = 2S
상기 서술한 충전율 산출의 처리를, 촬영한 SEM 사진으로부터 무작위로 골라내진 10 지점의 단위 격자에 대해 실시한다. 그리고, 측정값을 단순하게 평균 (산술 평균) 을 내어 충전율의 평균율을 구하고, 이것을 투명 적층체 표면에 있어서의 구조체 (12a) 의 충전율로 한다.
구조체 (12a) 가 중첩되어 있을 때나, 구조체 (12a) 의 사이에 돌출부 (14) 등의 부구조체가 있을 때의 충전율은, 구조체 (12a) 의 높이에 대해 5 % 의 높이에 대응하는 부분을 임계값으로 하여 면적비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충전율을 구할 수 있다.
구조체 (12a) 가 그 하부끼리를 중첩하도록 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인접 관계에 있는 구조체 (12a) 의 일부 또는 전부의 하부끼리가 중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트랙 방향, θ 방향 또는 그것들 양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조체 (12a) 의 하부끼리를 중첩시킴으로써, 구조체 (12a) 의 충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조체 (12a) 끼리는 사용 환경하의 광의 파장의 최대값의 1/4 이하의 부분에서 중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우수한 광학 조정 기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배치 피치 (P1) 에 대한 구조체 저면의 직경 (2r) 의 비율 ((2r/P1) × 100) 은, 85 % 이상이 바람직하고, 9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5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구조체 (12a) 의 충전율을 향상시키고, 광학 조정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비율 ((2r/P1) × 100) 이 커져, 구조체 (12a) 의 중첩이 지나치게 커지면 광학 조정 기능이 저감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굴절률을 고려한 광로 길이에서 사용 환경하의 광의 파장 대역의 최대값의 1/4 이하의 부분에서 구조체 (12a) 끼리가 접합되도록, 비율 ((2r/P1) × 100) 의 상한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배치 피치 (P1) 는, 구조체 (12a) 의 트랙 연장 방향 (X 방향) 의 배치 피치이고, 직경 (2r) 은, 트랙 연장 방향 (X 방향) 의 구조체 (12a) 의 저면의 직경이다. 또한, 구조체 (12a) 의 저면이 원형인 경우, 직경 (2r) 은 직경이 되고, 구조체 (12a) 의 저면이 타원형인 경우, 직경 (2r) 은 장경이 된다.
구조체 (12a) 가 준육방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구조체 (12a) 의 저면의 타원율 (e) 은, 100 % < e < 1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함으로써, 구조체 (12a) 의 충전율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광학 조정 기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투명성 기판 (11) 의 평균 두께는, 투명 적층체 (1) 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고, 용도에 따른 가요성이나 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범위에서 형성되면 된다.
또, 구조체층 (12) 은, 용도에 따라, 또는 투명성 기판의 편면 및 양면 중 어느 것에 형성되는지에 의해, 적당한 평균 막두께로 형성되지만,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범위에서 형성되면 된다. 또, 양면에 형성되는 경우, 반드시 양측의 구조체층의 평균 막두께가 동일한 필요는 없다.
구조체층 (12) 을 투명성 기판의 양면에 형성했을 경우, 투명성 기판 (11) 의 편면에 형성된 구조체층 (12) 의 구조체 (12a) 의 높이를 Ha, 투명성 기판 (11) 의 평균 두께를 T, 투명성 기판 (11) 의 타면 (높이 (Ha) 의 구조체층이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 에 형성된 구조체층 (12) 의 구조체 (12a) 의 높이를 Hb 로 했을 경우에, 실드를 고정화시켜 변형이 없는 안정적인 시계가 얻어지는 점에서, Ha : T : Hb = 18 ∼ 30 : 800 ∼ 300000 : 18 ∼ 30 이 바람직하고, Ha : T : Hb = 18 ∼ 30 : 1000 ∼ 50000 : 18 ∼ 30 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는, 적어도 하기에 나타내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의 조성물을 갖고, 또한 필요에 따라, 광 중합 개시제나, 그 밖에, 필러나 각종 기능성 첨가제 등의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의 조성물로는, 이하의 (A) 및 (B) 중 적어도 어느 것과, (C) 와, (D) 를 함유한다.
(A) 주사슬과 측사슬이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3 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B)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 A 의 에스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C)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D) 주사슬이 직사슬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2 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여기서 말하는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란, 분자 중에, 산기 (산무수물이나 산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와 수산기의 반응으로 얻어진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이고, 우레탄 결합도 실록산 결합도 갖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A) 및 (B)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함유하는이란, (A) 를 함유하고, (B) 를 함유하고, 및 (A) 와 (B) 를 함유하는 어느 양태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A) 주사슬과 측사슬이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3 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주사슬과 측사슬을 갖고, 또한 수산기를 갖는 3 가의 알코올과, (메트)아크릴산의 반응 생성물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B)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 A 의 에스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구조 중에 갖는 에틸렌옥사이드 (EO) 사슬의 반복 단위의 합계수를 n 으로 했을 때에 n = 4, 10, 17 인 것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구조 중에 갖는 에틸렌옥사이드 사슬의 반복 단위의 합계수 n = 4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C)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는, 에틸렌옥사이드 (EO) 사슬의 반복 단위가 8 보다 큰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D) 주사슬이 직사슬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2 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디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24.8 질량%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37.2 질량%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 중합 개시제-
상기 광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 광산 발생제, 비스아지드 화합물,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테트라메톡시글리코유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에톡시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디메틸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디클로르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1-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1,2-디페닐에탄디온, 메틸페닐글리옥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광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0.1 질량% ∼ 10 질량% 가 바람직하고, 0.5 질량% ∼ 8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필러-
상기 필러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무기 미립자 및 유기 미립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무기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SiO2, TiO2, ZrO2, SnO2, Al2O3 등의 금속 산화물 미립자를 들 수 있다.
-기능성 첨가제-
상기 기능성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레벨링제, 표면 조정제, 소포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이 조사됨으로써 경화된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자선, 자외선, 적외선, 레이저 광선, 가시광선, 전리 방사선 (X 선, α 선, β 선, γ 선 등), 마이크로파, 고주파 등을 들 수 있다.
<<구조체층의 특성>>
상기 구조체층 표면의 물 접촉각은 26°이상 74°이하이고,
또한 상기 구조체층의 180 ℃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은 0.5 ㎬ 미만이다.
특히,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의 조성물이, 상기 (A) 주사슬과 측사슬이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3 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B)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 A 의 에스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의 양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물 접촉각은 26°이상 74°이하의 범위에서, 본 발명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의 조성물이, 상기 (A) 주사슬과 측사슬이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3 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상기 (B)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 A 의 에스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물 접촉각은 26°이상 60°이하의 범위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물 접촉각, 상기 저장 탄성률, 및 상기 표면 탄성률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할 수 있다.
[물 접촉각 (°)]
쿄와 계면 과학사 제조 CA-V 형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1 ㎕ 의 물을 샘플 표면에 적하한 후, 11 초 후의 접촉각을 측정한다. 측정은, 샘플에 물을 적하하는 위치를 바꾸어 3 회 실시하고, 그들의 평균값을 구한다.
[저장 탄성률 (㎬, 180 ℃)]
두께 50 ㎛ 의 이형 처리된 PET 필름 상에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배치하고, 또한 두께 50 ㎛ 의 이형 처리된 PET 필름 사이에 끼우고, 애플리케이터로 PET 필름 상으로부터 미끄러지게 하면서 고르게 하고, UV 광을 적산 광량이 1000 mJ/㎠ 가 되도록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경화 후에 이형 처리된 PET 필름을 양면 박리하고,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의 두께를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한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대해서는, 두께 100 ㎛ 정도가 되도록 애플리케이터의 클리어런스를 조정하고, 최종 경화물의 두께를 각각 계측하여, 저장 탄성률 측정에 사용한다.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DMA) 로서, TA instruments 제조 RSA-3 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그 밖의 부재>
상기 그 밖의 부재로는, 중간층, 보호층, 점착층, 접착층 등을 들 수 있다.
<<중간층>>
여러 가지 목적에 따라, 상기 투명성 기판과, 상기 구조체층 사이에 중간층을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간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투명성 기판과 상기 구조체층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의 굴절률은, 간섭 불균일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구조체층의 굴절률과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중간층의 굴절률은, 상기 구조체층의 굴절률과 상기 투명성 기판의 굴절률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층은, 예를 들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형성해도 된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는, 상기 구조체층의 구성 성분과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 도포의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와이어 바 코팅, 블레이드 코팅, 스핀 코팅, 리버스 롤 코팅, 다이 코팅, 스프레이 코팅,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립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커튼 코팅, 콤마 코트법, 딥핑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의 평균 두께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0.01 ㎛ ∼ 10 ㎛ 가 바람직하고, 0.1 ㎛ ∼ 5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보호층>>
상기 보호층으로는, 상기 구조체층이 형성된 상기 투명 적층체를 제조 또는 성형 가공할 때, 상기 구조체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층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상기 투명 적층체를 사용할 때에는 박리된다.
<<점착층, 접착층>>
상기 점착층 및 상기 접착층으로는, 상기 투명성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투명 적층체를 피가공물, 피착체 등에 접착시키는 층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적층체는, 인몰드 성형용 필름, 인서트 성형용 필름, 오버레이 성형용 필름에 특히 적합하다.
상기 투명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하에 기재하는 제조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적층체의 제조 방법>
상기 투명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미경화 수지층 형성 공정과, 구조체층 형성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을 들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그 밖의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미경화 수지층 형성 공정>>
상기 미경화 수지층 형성 공정으로는, 투명성 기판 상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미경화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투명성 기판으로는, 상기 투명 적층체의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는, 상기 투명 적층체의 상기 구조체층의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상기 미경화 수지층은, 상기 투명성 기판 상에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를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미경화 수지층은, 고체의 막이어도 되고,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저분자량의 경화성 성분에 의해 유동성을 갖는 막이어도 된다.
상기 도포의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와이어 바 코팅, 블레이드 코팅, 스핀 코팅, 리버스 롤 코팅, 다이 코팅, 스프레이 코팅,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립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커튼 코팅, 콤마 코트법, 딥핑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미경화 수지층은, 활성 에너지선이 조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경화되어 있지 않다.
상기 미경화 수지층 형성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층이 형성된 상기 투명성 기판의 상기 중간층 상에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기 미경화 수지층을 형성해도 된다.
상기 중간층으로는, 상기 투명 적층체의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구조체층 형성 공정>>
상기 구조체층 형성 공정으로는, 상기 미경화 수지층을 미세한 볼록부 및 오목부 중 어느 것을 갖는 전사 원반에 밀착시키고, 상기 전사 원반이 밀착된 상기 미경화 수지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미경화 수지층을 경화시켜 상기 미세한 볼록부 및 오목부 중 어느 것을 전사함으로써, 구조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전사 원반-
상기 전사 원반은, 미세한 볼록부 및 오목부 중 어느 것을 갖는다.
상기 전사 원반의 재질, 크기, 구조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전사 원반의 미세한 볼록부 및 오목부 중 어느 것의 형성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갖는 포토레지스트를 보호막으로 하여 상기 전사 원반의 표면을 에칭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상기 활성 에너지선으로는, 상기 미경화 수지층을 경화시키는 활성 에너지선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투명 적층체의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여기서, 상기 구조체층 형성 공정의 구체예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갖는 포토레지스트를 보호막으로 하여 전사 원반의 표면을 에칭함으로써 미세한 볼록부 및 오목부 중 어느 것을 형성한 전사 원반을 사용하여 구조체층을 형성한다.
[전사 원반의 구성]
도 3a 는, 전사 원반인 롤 원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 는, 도 3a 에 나타낸 롤 원반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c 는, 도 3b 의 트랙 (T1, T3 ‥) 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롤 원반 (31) 은, 상기 서술한 구성을 갖는 투명 적층체를 제조하기 위한 전사 원반,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조체층의 표면에 복수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성형하기 위한 원반이다. 롤 원반 (31) 은, 예를 들어, 원주상 또는 원통상의 형상을 갖고, 그 원주면 또는 원통면이 구조체층의 표면에 복수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면이 된다. 이 성형면에는, 예를 들어, 복수의 구조체 (32) 가 2 차원 배열되어 있다. 도 3c 에 있어서, 구조체 (32) 는, 성형면에 대해 오목상을 가지고 있다. 롤 원반 (31) 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유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 재료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롤 원반 (31) 의 성형면에 배치된 복수의 구조체 (32) 와, 상기 구조체층의 표면에 배치된 복수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는 반전된 요철 관계에 있다. 즉, 롤 원반 (31) 의 구조체 (32) 의 배열, 크기, 형상, 배치 피치, 높이 또는 깊이, 및 애스팩트비 등은, 상기 구조체층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와 동일하다.
[롤 원반 노광 장치]
도 4 는, 롤 원반을 제조하기 위한 롤 원반 노광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 롤 원반 노광 장치는, 광학 디스크 기록 장치를 베이스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레이저 광원 (41) 은, 기록 매체로서의 롤 원반 (31) 의 표면에 착막 (着膜) 된 레지스트를 노광하기 위한 광원이고, 예를 들어, 파장 λ = 266 ㎚ 의 기록용 레이저 광 (34) 을 발진하는 것이다. 레이저 광원 (41) 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 (34) 은, 평행 빔인 채로 직진하여, 전기 광학 소자 (EOM : Electro Optical Modulator) (42) 에 입사한다. 전기 광학 소자 (42) 를 투과한 레이저 광 (34) 은, 미러 (43) 에 의해 반사되어, 변조 광학계 (45) 로 유도된다.
미러 (43) 는, 편광 빔 스플리터로 구성되어 있고, 일방의 편광 성분을 반사하고 타방의 편광 성분을 투과하는 기능을 갖는다. 미러 (43) 를 투과한 편광 성분은 포토 다이오드 (44) 로 수광되고, 그 수광 신호에 기초하여 전기 광학 소자 (42) 를 제어하여 레이저 광 (34) 의 위상 변조를 실시한다.
변조 광학계 (45) 에 있어서, 레이저 광 (34) 은, 집광 렌즈 (46) 에 의해, 유리 (SiO2) 등으로 이루어지는 음향 광학 소자 (AOM : Acousto-Optic Modulator) (47) 에 집광된다. 레이저 광 (34) 은, 음향 광학 소자 (47) 에 의해 강도 변조되어 발산된 후, 렌즈 (48) 에 의해 평행 빔화된다. 변조 광학계 (45) 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 (34) 은, 미러 (51) 에 의해 반사되어, 이동 광학 테이블 (52) 상에 수평 또한 평행하게 유도된다.
이동 광학 테이블 (52) 은, 빔 익스팬더 (53), 및 대물 렌즈 (54) 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 광학 테이블 (52) 로 유도된 레이저 광 (34) 은, 빔 익스팬더 (53) 에 의해 원하는 빔 형상으로 정형된 후, 대물 렌즈 (54) 를 개재하여, 롤 원반 (31) 상의 레지스트층에 조사된다. 롤 원반 (31) 은, 스핀들 모터 (55) 에 접속된 턴테이블 (56) 상에 재치 (載置) 되어 있다. 그리고, 롤 원반 (31) 을 회전시킴과 함께, 레이저 광 (34) 을 롤 원반 (31) 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롤 원반 (31) 의 둘레측면에 형성된 레지스트층에 레이저 광 (34) 을 간헐적으로 조사함으로써, 레지스트층의 노광 공정이 실시된다. 형성된 잠상은, 원주 방향에 장축을 갖는 대략 타원형이 된다. 레이저 광 (34) 의 이동은, 이동 광학 테이블 (52) 의 화살표 (R)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실시된다.
노광 장치는, 도 2b 및 도 3b 에 나타낸 육방 격자 또는 준육방 격자의 2 차원 패턴에 대응하는 잠상을 레지스트층에 형성하기 위한 제어 기구 (57) 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기구 (57) 는, 포매터 (49) 와 드라이버 (50) 를 구비한다. 포매터 (49) 는, 극성 반전부를 구비하고, 이 극성 반전부가, 레지스트층에 대한 레이저 광 (34) 의 조사 타이밍을 제어한다. 드라이버 (50) 는, 극성 반전부의 출력을 받아, 음향 광학 소자 (47) 를 제어한다.
이 롤 원반 노광 장치에서는, 2 차원 패턴이 공간적으로 링크되도록 1 트랙마다 극성 반전 포매터 신호와 회전 컨트롤러를 동기시켜 신호를 발생하고, 음향 광학 소자 (47) 에 의해 강도 변조되어 있다. 각속도 일정 (CAV) 하고 적절한 회전수와 적절한 변조 주파수와 적절한 이송 피치로 패터닝함으로써, 육방 격자 또는 준육방 격자 패턴을 기록할 수 있다.
[레지스트 성막 공정]
먼저, 도 5a 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주상 또는 원통상의 롤 원반 (31) 을 준비한다. 이 롤 원반 (31) 은, 예를 들어, 유리 원반이다. 다음으로, 도 5b 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 원반 (31) 의 표면에 레지스트층 (예를 들어, 포토레지스트) (33) 을 형성한다. 레지스트층 (33) 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유기계 레지스트, 무기계 레지스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계 레지스트로는, 예를 들어, 노볼락계 레지스트, 화학 증폭형 레지스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계 레지스트로는, 예를 들어, 금속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노광 공정]
다음으로, 도 5c 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 원반 (31) 의 표면에 형성된 레지스트층 (33) 에 레이저 광 (노광 빔) (34) 을 조사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 에 나타낸 롤 원반 노광 장치의 턴테이블 (56) 상에 롤 원반 (31) 을 재치하고, 롤 원반 (31) 을 회전시킴과 함께, 레이저 광 (노광 빔) (34) 을 레지스트층 (33) 에 조사한다. 이 때, 레이저 광 (34) 을 롤 원반 (31) 의 높이 방향 (원주상 또는 원통상의 롤 원반 (31) 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 으로 이동시키면서, 레이저 광 (34) 을 간헐적으로 조사함으로써, 레지스트층 (33) 을 전체면에 걸쳐서 노광한다. 이로써, 레이저 광 (34) 의 궤적에 따른 잠상 (35) 이, 예를 들어 가시광 파장과 동일한 정도의 피치로, 레지스트층 (33) 의 전체면에 걸쳐서 형성된다.
잠상 (35) 은, 예를 들어, 롤 원반 표면에 있어서 복수열의 트랙 (T) 을 이루도록 배치됨과 함께, 육방 격자 패턴 또는 준육방 격자 패턴을 형성한다. 잠상 (35) 은, 예를 들어, 트랙의 연장 방향에 장축 방향을 갖는 타원 형상이다.
[현상 공정]
다음으로, 예를 들어, 롤 원반 (31) 을 회전시키면서, 레지스트층 (33) 상에 현상액을 적하하여, 레지스트층 (33) 을 현상 처리한다. 이로써, 도 5d 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지스트층 (33) 에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레지스트층 (33) 을 포지티브형의 레지스트에 의해 형성한 경우에는, 레이저 광 (34) 으로 노광한 노광부는, 비노광부와 비교하여 현상액에 대한 용해 속도가 증가하므로, 도 5d 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상 (노광부) (35) 에 따른 패턴이 레지스트층 (33) 에 형성된다. 개구부의 패턴은, 예를 들어 육방 격자 패턴 또는 준육방 격자 패턴 등의 소정의 격자 패턴이다.
[에칭 공정]
다음으로, 롤 원반 (31) 상에 형성된 레지스트층 (33) 의 패턴 (레지스트 패턴) 을 마스크로 하여, 롤 원반 (31) 의 표면을 에칭 처리한다. 이로써, 도 5e 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체 형상을 갖는 구조체 (오목부) (32) 를 얻을 수 있다. 추체 형상은, 예를 들어, 트랙 (T) 의 연장 방향에 장축 방향을 갖는 타원추 형상 또는 타원추 사다리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칭으로는, 예를 들어, 드라이 에칭, 웨트 에칭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에칭 처리와 애싱 처리를 교대로 실시함으로써, 예를 들어, 추체상의 구조체 (32) 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롤 원반 (31) 이 얻어진다.
[전사 처리]
도 6a 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미경화 수지층 (36) 이 형성된 투명성 기판 (11) 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도 6b 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 원반 (31) 과, 투명성 기판 (11) 상에 형성된 미경화 수지층 (36) 을 밀착시키고, 미경화 수지층 (36) 에 활성 에너지선 (37) 을 조사하여 미경화 수지층 (36) 을 경화시켜 미세한 볼록부 및 오목부 중 어느 것을 전사한다. 미세한 볼록부 및 오목부 중 어느 것 (12a) 이 형성된 구조체층 (12) 과 일체가 된 투명성 기판 (11) 을 박리함으로써,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 (1) 가 얻어진다 (도 6c).
또, 상기 투명 적층체가,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성 기판의 양측에 구조체층을 갖는 것인 경우에는, 추가로 이하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편측에 구조체층이 형성된 투명 적층체 (1) 를 사용하고 (도 7a), 또한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 원반 (31) 과, 편면에 구조체층이 형성된 투명성 기판 (11) 의 반대측의 표면 상에 도포된 미경화 수지층 (36) 을 밀착시킨 후, 자외선 등의 에너지선을 에너지 선원 (37) 으로부터 미경화 수지층 (36) 에 조사하여 미경화 수지층 (36) 을 경화시키고, 경화된 구조체층 (12) 과 일체가 된 투명성 기판 (11) 을 박리한다. 이로써, 도 7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구조체 (12a) 를 갖는 구조체층 (12) 을 투명성 기판 (11) 의 양면에 갖는 투명 적층체 (1) 가 얻어진다.
<<투명 적층체의 다른 제조 방법>>
상기 투명 적층체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롤 원반을 사용하여,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제조한 롤 원반 상에, 소정량의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흘리고, 투명성 기판을 씌워, 롤 원반 전체에 롤러로 펴고, 그 후, 투명성 기판측으로부터 자외선 등의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전사 재료인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를 실시한 후, 전사 재료가 경화되어 생긴 구조체층과 일체가 된 투명성 기판을 롤 원반으로부터 이형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가 얻어진다.
<투명 적층체의 변형예>
<<제 1 변형예>>
도 10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적층체 (1) 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구조체 (12a) 가, 인접하는 트랙 (T) 간에 있어서 사방 격자 패턴 또는 준사방 격자 패턴을 이루도록 해도 된다. 또, 동일하게, 투명 적층체 (1) 의 이면에 형성된 복수의 구조체 (12a) 가, 인접하는 3 열의 트랙 (T) 간에 있어서 사방 격자 패턴 또는 준사방 격자 패턴을 이루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사방 격자란, 정사각 형상의 격자를 말한다. 준사방 격자란, 정사각 형상의 격자와는 상이하고, 변형된 정사각 형상의 격자를 말한다. 예를 들어, 구조체 (12a) 가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준사방 격자란, 정사각 형상의 격자를 원호상으로 변형시킨 사방 격자, 또는 정사각 형상의 격자를 배열 방향 (트랙 방향) 으로 길게 늘여 변형시키고, 또한 원호상으로 변형시킨 사방 격자를 말한다. 구조체 (12a) 가 사행하여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는, 준사방 격자란, 정사각 형상의 격자를 구조체 (12) 의 사행 배열에 의해 변형시킨 사방 격자, 또는 정사각 형상의 격자를 배열 방향 (트랙 방향) 으로 길게 늘여 변형시키고, 또한 구조체 (12) 의 사행 배열에 의해 변형시킨 사방 격자를 말한다.
구조체 (12a) 가 사방 격자 패턴 또는 준사방 격자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동일 트랙 내에 있어서의 구조체 (12a) 의 배치 피치 (P1) 는, 인접하는 2 개의 트랙간에 있어서의 구조체 (12a) 의 배치 피치 (P2) 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동일 트랙 내에 있어서의 구조체 (12a) 의 배치 피치를 P1, 인접하는 2 개의 트랙간에 있어서의 구조체 (12a) 의 배치 피치를 P2 로 했을 때, P1/P2 가 1.4 < P1/P2 ≤ 1.5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치 범위로 함으로써, 타원추 또는 타원추 사다리꼴상을 갖는 구조체 (12a) 의 충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광학 조정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트랙에 대해 45 도 방향 또는 약 45 도 방향에 있어서의 구조체 (12a) 의 높이 또는 깊이는, 트랙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구조체 (12a) 의 높이 또는 깊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트랙의 연장 방향에 대해 경사진 구조체 (12a) 의 배열 방향 (θ 방향) 의 높이 (H3) 는, 트랙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구조체 (12a) 의 높이 (H1)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구조체 (12a) 의 높이 (H1, H3) 가 H1 > H3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변형예>>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구조체 (12a) 를 투명 적층체 (1) 의 표면에 랜덤 (불규칙) 하게 2 차원 배열하도록 해도 된다. 구조체 (12a) 의 형상, 크기 및 높이의 적어도 1 개를 랜덤하게 변화시키도록 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구조체 (12a) 를 갖는 투명 적층체 (1) 를 제조하기 위한 원반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기재 등의 금속 기재의 표면을 양극 산화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 방법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변형예에서는, 복수의 구조체 (12a) 를 랜덤하게 2 차원 배열하고 있으므로, 외관상의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 3 변형예>>
도 1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적층체 (1) 가 전체적으로 띠상의 형상을 갖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투명 적층체 (1) 를 롤·투·롤 공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롤상 등에 투명 적층체 (1) 를 권회하여 원단 (原反) 으로 함으로써,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투명 적층체 (1) 의 구성으로서 상기 서술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도 1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적층체 (1) 의 최표면에, 구조체 (12a) 를 보호하는 보호층 (6) 을, 점착층 (2) 을 개재하여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투명 적층체 (1) 를 권회하여 원단으로 하는 경우에도, 구조체 (12a) 의 파손을 억제하여, 광학 조정 기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보호층 (6) 이나 점착층 (2) 은, 투명 적층체 (1) 의 사용시에는 제거된다.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의 적용예>
본 발명의 상기 투명 적층체는, 반사 방지 특성, 투과성, 방오성, 방담성, 보호 특성 등 모든 항목에 대해 균형 있게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이들의 이점을 살려, 안면 보호 마스크, 디스플레이 필름, 배전반이나 분전반 등의 표시부에 사용하는 표시면 필름 (특히 방담성이 우수하므로, 내측에 사용하는 필름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오토바이의 표시 기기의 표시면에 사용하는 표시면 필름 (특히 방담성이 우수하므로, 내측에 사용하는 필름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경마 등에 사용하는 스포츠용 고글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상기 투명 적층체를 의료용의 안면 보호용 광학 소자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면 보호용 광학 소자>>
본 발명의 상기 투명 적층체의 반사 방지 특성, 투과성, 방오성, 방담성, 보호 특성 등의 이점을 살려, 상기 투명 적층체를 안면에의 비래물로부터 안면을 보호하면서 필요한 시계를 확보하는 의료용의 안면 보호용 광학 소자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면 보호용 광학 소자를 사용한 의료용의 안면 보호 마스크는, 방오성, 내찰상성이 우수하고, 또한 호기에 포함되는 수분을 순식간에 평활화시켜 흐림을 방지하므로, 흐림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투과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물품)
본 발명의 상기 투명 적층체를 사용하여, 또한 필요에 따라, 그 밖의 부재를 사용하여 물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물품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술한 안면 보호 마스크, 디스플레이 필름, 배전반이나 분전반 등의 표시부, 오토바이의 표시 기기의 표시부, 스포츠용 고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를 안면 보호용 광학 소자로서 사용하여, 외과 수술시나 치과 치료시 등에 사용하는 의료용의 안면 보호 마스크 등의 물품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면 보호용 광학 소자를 고글형, 안면 마스크형 등의 광학 소자의 장착 지그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또는 안면 마스크에 고착됨으로써, 안면 보호구를 얻을 수 있다.
도 8a 는, 안면 마스크 (71) 에 본 발명의 안면 보호용 광학 소자 (1) 를 아이실드 (73) 로서 고착한 안면 보호구 (70) 의 일 실시형태의 평면도이고, 도 8b 는, 안면에 착용되어 있는 안면 보호구 (70) 의 사시도이다.
안면 마스크 (71) 는, 착용자의 코, 입 및 턱의 일부를 가리고, 끈 (72) 등으로 안면에 유지된다. 안면 마스크 (71) 로는, 임의의 의료용 안면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통기성을 갖고, 또한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층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안면 보호용 광학 소자 (1) 는, 착용자의 시계를 차단하지 않고, 착용자의 눈에 액체나 비산물이 비래하는 것을 방지하는 아이실드 (73) 로서, 안면 마스크 (71) 에 접합 영역 (74a, 74b) 에서 고착되어 있다.
아이실드 (73) 는, 안면 마스크 (71) 의 폭에 대해 충분히 큰 폭을 갖고, 착용자의 눈의 주위를 넓게 가릴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또, 아이실드 (73) 는, 하변 중앙에 오목부 (75) 를 가지고 있다. 안면 보호구 (70) 를 안면에 착용했을 경우에, 이 오목부 (75) 가 있음으로써, 아이실드 (73) 는 착용자의 코의 주위에서 구부러져, 아이실드 (73) 가 안면을 따른 곡면이 된다.
접합 영역 (74a, 74b) 은, 안면 마스크 (71) 의 좌우 양단부로서, 착용시에 코의 측방이 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접합 영역 (74a, 74b) 에 있어서의 아이실드 (73) 와 안면 마스크 (71) 의 고착 방법으로는, 초음파 용착, 열접착, 리벳 등의 기계적 접합 등을 들 수 있다. 접합 영역 (74a, 74b) 의 크기는, 아이실드 (73) 를 고정시킬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폭 3 ∼ 15 ㎜, 길이 5 ∼ 30 ㎜ 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아이실드 (73) 를 끈 (72) 으로 안면에 가압하는 것이 불필요해져, 안면 보호구 (70) 를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아이실드 (73) 로서 사용하는 본 발명의 안면 보호용 광학 소자 (1) 는, 안면 마스크 (71) 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해도 된다.
상기에서 아이실드로서 사용하는 안면 보호용 광학 소자 (1) 는, 상기 서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투명 적층체로서 얻어진 후, 안면 보호구에 장착하기 위해 소정의 사이즈로 재단됨으로써 사용된다. 또한, 이 재단 공정을 포함하는 안면 보호구 등의 물품을 제조, 가공할 때, 투명 적층체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표면 보호 필름을 투명 적층체 표면에 배치해도 된다.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를 갖는 물품은, 인몰드 성형, 인서트 성형, 오버레이 성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적층체는, 상기 물품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전체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이하의 인몰드 성형에 의한 제조 방법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를 갖는 물품의 제조 방법>>
상기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가열 공정과, 투명 적층체 성형 공정과, 사출 성형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을 들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그 밖의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가열 공정>>
상기 가열 공정으로는, 투명 적층체를 가열하는 공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적층체는, 본 발명의 상기 투명 적층체이다.
상기 가열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적외선 가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 온도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상기 투명성 기판이 수지제 기재인 경우에는, 상기 수지제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 근방 혹은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 시간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투명 적층체 성형 공정>>
상기 투명 적층체 성형 공정으로는, 가열된 상기 투명 적층체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공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소정의 금형에 밀착시키고, 공기압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공정 등을 들 수 있다.
<<사출 성형 공정>>
상기 사출 성형 공정으로는,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된 상기 투명 적층체의 투명성 기판측에 성형 재료를 사출하고, 상기 성형 재료를 성형하는 공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성형 재료로는, 예를 들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로는, 예를 들어, 올레핀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AB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A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페닐렌옥사이드·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이미드, 액정 폴리에스테르, 폴리알릴계 내열 수지, 각종 복합 수지, 각종 변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사출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소정의 금형에 밀착시킨 상기 투명 적층체의 투명성 기판측에, 용융된 상기 성형 재료를 흘려 넣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물품의 제조 방법은, 인몰드 성형 장치, 인서트 성형 장치, 오버레이 성형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를 갖는 물품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제조 방법은 인몰드 성형 장치를 사용한 제조 방법이다.
먼저, 투명 적층체 (500) 를 가열한다. 가열은 적외선 가열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한 투명 적층체 (500) 를, 제 1 금형 (501) 과 제 2 금형 (502)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다. 이 때, 투명 적층체 (500) 의 투명성 기판이 제 1 금형 (501) 을 향하고, 구조체층이 제 2 금형 (502) 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도 9a 에 있어서, 제 1 금형 (501) 은 고정형이고, 제 2 금형 (502) 은 가동형이다.
제 1 금형 (501) 과 제 2 금형 (502) 사이에 투명 적층체 (500) 를 배치한 후, 제 1 금형 (501) 과 제 2 금형 (502) 을 형 체결한다. 계속해서, 제 2 금형 (502) 의 캐비티면에 개구되어 있는 흡인공 (504) 에서 투명 적층체 (500) 를 흡인하여, 제 2 금형 (502) 의 캐비티면에 투명 적층체 (500) 를 장착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캐비티면이 투명 적층체 (500) 로 부형된다. 또, 이 때, 도시되지 않은 필름 누름 기구로 투명 적층체 (500) 의 외주를 고정시켜 위치 결정해도 된다. 그 후, 투명 적층체 (500) 의 불필요한 부위를 트리밍한다 (도 9b).
또한, 제 2 금형 (502) 이 흡인공 (504) 을 갖지 않고, 제 1 금형 (501) 에 압공공 (壓空孔) (도시 생략) 을 갖는 경우에는, 제 1 금형 (501) 의 압공공으로부터 투명 적층체 (500) 로 압공을 보냄으로써, 제 2 금형 (502) 의 캐비티면에 투명 적층체 (500) 를 장착한다.
계속해서, 투명 적층체 (500) 의 투명성 기판을 향해, 제 1 금형 (501) 의 게이트 (505) 로부터 용융된 성형 재료 (506) 를 사출하고, 제 1 금형 (501) 과 제 2 금형 (502) 을 형 체결하여 형성한 캐비티 내에 주입한다 (도 9c). 이로써, 용융된 성형 재료 (506) 가 캐비티 내에 충전된다 (도 9d). 또한, 용융된 성형 재료 (506) 의 충전 완료 후, 용융된 성형 재료 (506) 를 소정의 온도까지 냉각시켜 고화한다.
그 후, 제 2 금형 (502) 을 움직여, 제 1 금형 (501) 과 제 2 금형 (502) 을 형 개방한다 (도 9e). 그렇게 함으로써, 성형 재료 (506) 의 표면에 투명 적층체 (500) 가 형성되고, 또한 원하는 형상으로 인몰드 성형된 물품 (507) 이 얻어진다.
마지막으로, 제 1 금형 (501) 으로부터 돌출 핀 (508) 을 압출하여, 얻어진 물품 (507) 을 취출한다.
또, 보다 형상이 복잡한 경우에는, 미리 상기와 동일한 공정에서, 상기 성형 재료의 추가 수지를 첨가하지 않고 프리폼을 실시하고, 그 후 본성형에 제공함으로써 물품의 제조를 실시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 측정 및 평가는 이하와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물 접촉각 (°)>
쿄와 계면 과학사 제조 CA-V 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 ㎕ 의 물을 샘플 표면에 적하한 후, 11 초 후의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샘플에 물을 적하하는 위치를 바꾸어 3 회 실시하고, 그들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저장 탄성률 (㎬, 180 ℃)>
두께 50 ㎛ 의 이형 처리된 PET 필름 상에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배치하고, 또한 두께 50 ㎛ 의 이형 처리된 PET 필름 사이에 끼우고, 애플리케이터로 PET 필름 상으로부터 미끄러지게 하면서 고르게 하고, UV 광을 적산 광량이 1000 mJ/㎠ 가 되도록 조사하여 경화시켰다. 경화 후에 이형 처리된 PET 필름을 양면 박리하고,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의 두께를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하였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대해서는, 두께 100 ㎛ 정도가 되도록 애플리케이터의 클리어런스를 조정하고, 최종 경화물의 두께를 각각 계측하여, 저장 탄성률 측정에 사용하였다.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DMA) 로서, TA instruments 제조 RSA-3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표면 탄성률 (㎬, 실온)>
Fisher instruments 제조 PICODENTOR HM500 을 사용하여 투명 적층체의 표면의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맨드릴 시험 (㎜)>
JIS K5600-5-1 에 준거하여, 테스터 산업 주식회사 제조, PI-801 도막 굴곡 시험기를 사용하고, 맨드릴 직경을 순차 바꾸어, 투명 적층체 상의 구조체층에 크랙이 발생한 맨드릴 직경을 측정하였다. 맨드릴 직경이 작을수록 굴곡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또, 최소의 맨드릴 직경은 2 ㎜ 이기 때문에, 2 ㎜ > 의 기재는 크랙의 발생이 없는 것을 나타낸다.
<인장 파단 신도 (%)>
두께 50 ㎛ 의 이형 처리된 PET 필름 상에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배치하고, 또한 두께 50 ㎛ 의 이형 처리된 PET 필름 사이에 끼우고, 경화물층의 두께가 약 100 ㎛ 가 되도록 클리어런스를 조정한 애플리케이터로 PET 필름 상으로부터 미끄러지게 하면서 고르게 하고, UV 광을 적산 광량이 1000 mJ/㎠ 가 되도록 조사하여 경화시켰다. 경화 후에 이형 처리된 PET 필름을 양면 박리하고,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의 두께를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하였다.
상기 경화물층을 폭 10 ㎜ × 80 ㎜ 길이의 단책상 (短冊狀) 으로 타발하여 샘플로 하였다.
인장 시험기 (시마즈 제작소 주식회사 제조 오토그래프 AG-X 5kN) 를 사용하여, 샘플의 양단을 고정시키고, 인장 속도 300 ㎜/min 로 인장하고, 파단했을 때의 초기로부터의 샘플의 신장률을 측정하였다.
<타발 시험 (재단시의 크랙 발생 유무)>
주식회사 마텍스 정공 제조 핸드 토글 프레스를 사용하여, 0.7 ㎜ 두께·칼끝 42°의 톰슨 칼날형에 의해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의 샘플에 대해 타발 시험을 실시하고, 타발 후의 절단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크랙의 발생 유무를 확인하였다. 이하의 판정 방법에 기초하여, 크랙의 발생의 유무 및 크랙의 크기를 평가하였다.
판정 방법 : 투명 적층체 단면의 에지부로부터 90 도 방향의 크랙 단부까지의 거리 (L1) 를 측정하였다. 이것을 크랙이 발생한 10 점 지점에 있어서 실시하였다. 그 L1 의 10 점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이것을 크랙 길이로 하여, 이하의 판단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판단 기준-
크랙 큼 : 크랙의 길이가 100 ㎛ 이상
크랙 중간 : 크랙의 길이가 50 ㎛ 이상, 100 ㎛ 미만
크랙 작음 : 크랙의 길이가 5 ㎛ 이상, 50 ㎛ 미만
크랙 없음 : 크랙의 길이가 5 ㎛ 미만
<프로텍트 필름 박리력 (N/25 ㎜)>
JIS Z-0237 에 준거하여, 90 도 박리 시험으로 측정하였다. 25 ㎜ 폭으로 잘라낸 시판되는 아크릴 점착층을 갖는 프로텍트 필름을 투명 적층체 상의 구조체층에 첩부하고, 24 h 정치 (靜置) 시켰다. 그 후, 이마다 제작소 주식회사 제조, 인장 압축 시험기 SV-55C-2H 를 사용하여, 인장 속도 300 ㎜/min 으로 샘플로부터 프로텍트 필름을 박리하고, 박리했을 때의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박리력은, 취급상의 관점에서 0.1 N/25 ㎜ ∼ 0.8 N/25 ㎜ 가 바람직하다.
<내지문성 (지문 제거성)>
샘플 (투명 적층체 상의 구조체층) 에 지문을 찍은 후, 와이핑 클로스로 물걸레질하여, 지문의 제거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1 회 물걸레질과 5 회 물걸레질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와이핑 클로스는, 클린 룸용 와이핑 클로스의 사비나 미니맥스 (KB 세렌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였다.
<방담성>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의 샘플을, 입으로부터 약 2.5 ㎝ 의 거리에 두고, 샘플에 입김을 붐으로써 방담성을 평가하였다. 입김을 분 시간은 약 3 초간으로 하였다. 3 회 연속해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흐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 흐림이 발생한 경우를 × 로 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미세한 오목부를 갖는 전사 원반 (유리 롤 원반) 의 제조>
먼저, 외경 126 ㎜ 의 유리 롤 원반을 준비하고, 이 유리 롤 원반의 표면에 이하와 같이 하여 레지스트층을 형성하였다. 즉, 시너로 포토레지스트를 질량비로 1/10 으로 희석시키고, 이 희석 레지스트를 딥핑법에 의해 유리 롤 원반의 원주면 상에 평균 두께 70 ㎚ 정도로 도포함으로써, 레지스트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유리 롤 원반을, 도 4 에 나타낸 롤 원반 노광 장치에 반송하고, 레지스트층을 노광함으로써, 1 개의 나선상으로 늘어섬과 함께, 인접하는 3 열의 트랙간에 있어서 육방 격자 패턴을 이루는 잠상이 레지스트층에 패터닝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육방 격자상의 노광 패턴이 형성되어야 할 영역에 대해, 0.50 mJ/m 의 레이저 광을 상 모양 (像樣) 으로 조사하여 육방 격자상의 노광 패턴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유리 롤 원반 상의 레지스트층에 현상 처리를 실시하여, 노광된 부분의 레지스트층을 용해시켜 현상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되지 않은 현상기의 턴테이블 상에 미현상의 유리 롤 원반을 재치하고, 턴테이블째 회전시키면서 유리 롤 원반의 표면에 현상액을 적하하여 그 표면의 레지스트층을 현상하였다. 이로써, 레지스트층이 육방 격자 패턴으로 개구되어 있는 레지스트 유리 원반이 얻어졌다.
다음으로, 롤 에칭 장치를 사용하여, CHF3 가스 분위기 중에서의 플라즈마 에칭을 실시하였다. 이로써, 유리 롤 원반의 표면에 있어서, 레지스트층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육방 격자 패턴의 부분만 에칭이 진행되고, 그 밖의 영역은 레지스트층이 마스크가 되어 에칭은 되지 않고, 타원추 형상의 오목부가 유리 롤 원반에 형성된다. 이 때, 에칭량 (깊이) 은 에칭 시간에 의해 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O2 애싱에 의해 완전히 레지스트층을 제거함으로써, 오목 형상의 육방 격자 패턴을 갖는 유리 롤 원반을 얻었다.
<투명 적층체의 제조>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롤 원반을 사용하여, UV 임프린트에 의해 투명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모스아이 형상을 갖는 상기에서 제조한 원반 상에 하기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UV 경화 수지 조성물 (성분표를 하기 표 1-1 에 나타낸다) 을 여러 방울 흘리고, 투명한 기체로서 폴리카보네이트제 필름 (C000,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을 씌우고, 원반 전체에 롤러로 폈다.
그 후, 폴리카보네이트제 필름측에서 자외선을 1000 mJ/㎠ 로 조사하여, 수지의 경화를 실시한 후, 원반으로부터 이형하여, 투명 적층체를 얻었다.
-구조체층용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miramer M300 (Miwon 제조)) 24.27 질량%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NK 에스테르 A-600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 (주))) 23.00 질량%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miramer M200 (Miwon 제조)) 45.73 질량%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중합 개시제 : Lucilin TPO (BASF S. E 제조)) 7.00 질량%
또한, 상기 Miwon 이란, Miwon specialty chemical Co., Ltd 이다.
얻어진 투명 적층체의 구조체층의 평균 두께는 3 ㎛, 볼록부의 평균 거리 (Pm) 는 178 ㎚, 볼록부의 평균 높이 (Hm) 는 245 ㎚, 평균 애스팩트비 (Hm/Pm) 는 1.38 이었다.
얻어진 투명 적층체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서술한 방법에 따라, 물 접촉각 (°), 저장 탄성률 (㎬, 180 ℃), 표면 탄성률 (㎬, 실온), 맨드릴 시험 (㎜), 인장 파단 신도 (%), 타발 시험, 프로텍트 필름 박리력 (N/25 ㎜), 내지문성, 방담성의 각 항목에 대해,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 6)
실시예 1 에 있어서, 구조체층용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하기 표 1-1 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투명 적층체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1 에 나타냈다.
(비교예 1 ∼ 7)
실시예 1 에 있어서, 구조체층용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하기 표 1-2 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투명 적층체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2 에 나타냈다. 또한, 비교예 4 는, 방담성의 결과가 나빠,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방담 성능은 얻어지지 않았다. 그 때문에, 남은 평가 항목에 있어서는, 측정하지 않았던 것도 있으며, 그 경우에는, 그 취지를 표 중에 나타냈다.
[표 1-1]
Figure pct00001
[표 1-2]
Figure pct00002
[표 2-1]
Figure pct00003
[표 2-2]
Figure pct00004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는, 표면 보호 필름과의 적당한 밀착성을 담보하고 있어, 표면 보호 필름과의 밀착성이 지나치게 양호하여 발생하는 미세한 요철 형상의 파괴라는 폐해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방오성, 방담성 등이 우수한 투명 적층체인 것, 또한 구조체층이 적당한 경도와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내크랙성이 우수한 투명 적층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는, 반사 방지 필름이나 보호 시트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필름, 배전반이나 분전반 등의 표시부에 사용하는 표시면 필름, 오토바이의 표시 기기의 표시면에 사용하는 표시면 필름, 스포츠용 고글 등에 적용할 수 있고, 또 특히 외과 수술시나 치과 치료시 등에 사용하는 의료용의 안면 보호 마스크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1 투명 적층체
6 보호층
11 투명성 기판
12 구조체층
12a 구조체
14 돌출부
15 곡면부
31 롤 원반
32 구조체
33 레지스트층
34 레이저 광
35 잠상
36 미경화 수지층
37 활성 에너지선
41 레이저 광원
42 전기 광학 소자
43 미러
44 포토 다이오드
45 변조 광학계
46 집광 렌즈
47 음향 광학 소자
48 렌즈
49 포매터
50 드라이버
51 미러
52 이동 광학 테이블
53 빔 익스팬더
54 대물 렌즈
55 스핀들 모터
56 턴테이블
57 제어 기구
70 안면 보호구
71 안면 마스크
72 끈
73 아이실드
74a, 74b 접합 영역
75 오목부

Claims (8)

  1. 적어도 투명성 기판과 구조체층을 갖고,
    상기 구조체층은, 표면에 볼록부 및 오목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갖고, 인접하는 상기 볼록부의 평균 거리 또는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의 평균 거리가 가시광의 파장 이하이고,
    상기 구조체층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중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의 조성물을 함유하고,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의 조성물이, 이하의 (A) 및 (B) 중 적어도 어느 것과, (C) 와, (D) 를 함유하고,
    (A) 주사슬과 측사슬이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3 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B)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 A 의 에스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C)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D) 주사슬이 직사슬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2 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상기 구조체층 표면의 물 접촉각이 26°이상 74°이하이고,
    또한 상기 구조체층의 180 ℃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이 0.5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적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의 조성물이 상기 (A), (B), (C), 및 (D) 를 함유하는, 투명 적층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의 조성물이, 상기 (A) 및 (B) 중 어느 것과, (C) 와, (D) 를 함유하고, 상기 물 접촉각이 26°이상 60°이하인, 투명 적층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주사슬과 측사슬이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3 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인, 투명 적층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24.8 질량% 미만인, 투명 적층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가, 에틸렌옥사이드 (EO) 사슬의 반복 단위가 8 보다 큰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투명 적층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층의 인장 파단 신도가 0.65 % 이상인, 투명 적층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면 보호용 광학 소자로서 사용하는, 투명 적층체.
KR1020167035514A 2014-07-30 2015-07-09 투명 적층체 KR1020609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54450 2014-07-30
JPJP-P-2014-154450 2014-07-30
JPJP-P-2015-057618 2015-03-20
JP2015057618A JP6684046B2 (ja) 2014-07-30 2015-03-20 透明積層体
PCT/JP2015/069710 WO2016017391A1 (ja) 2014-07-30 2015-07-09 透明積層体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254A Division KR20190018048A (ko) 2014-07-30 2015-07-09 투명 적층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790A true KR20170021790A (ko) 2017-02-28
KR102060942B1 KR102060942B1 (ko) 2019-12-31

Family

ID=552172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514A KR102060942B1 (ko) 2014-07-30 2015-07-09 투명 적층체
KR1020197004254A KR20190018048A (ko) 2014-07-30 2015-07-09 투명 적층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254A KR20190018048A (ko) 2014-07-30 2015-07-09 투명 적층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53560B2 (ko)
EP (1) EP3176613B1 (ko)
JP (1) JP6684046B2 (ko)
KR (2) KR102060942B1 (ko)
TW (1) TWI649199B (ko)
WO (1) WO20160173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18479B2 (ja) 2016-09-16 2021-01-20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原盤の製造方法
JP6778768B2 (ja) * 2017-02-17 2020-11-04 シャープ株式会社 防汚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WO2018155317A1 (ja) * 2017-02-23 2019-12-12 シャープ株式会社 防汚性フィルム
EP3508889A1 (en) * 2018-01-09 2019-07-10 Danmarks Tekniske Universitet Anti-fogging transparent surface
US11944139B2 (en) * 2020-03-27 2024-04-02 Jeremy Scott Filko Protective shield for individual respirators and face masks
EP4153089A2 (en) * 2020-05-19 2023-03-29 Groman Inc. Flexible face mask for various dental and medical uses
JP7091438B2 (ja) * 2020-12-25 2022-06-27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原盤、および転写物
US20220235503A1 (en) * 2021-01-28 2022-07-28 Aviram F Industrie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sk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2386A (ko) 1973-07-25 1975-04-17
JPH07178117A (ja) 1993-10-27 1995-07-18 Minnesota Mining & Mfg Co <3M> 調節自在な顔面シールド
JP4796659B2 (ja) 2007-02-09 2011-10-19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透明成形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反射防止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2768B2 (ja) * 1991-09-24 2001-02-05 日本化薬株式会社 紫外線硬化性透過型スクリーン用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KR100404289B1 (ko) 1995-06-09 2005-01-17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내찰상성유기경질코트층및흐림방지형유기경질코트층을가진수지성형품,그의제조방법및이를사용한피복재
JP4938675B2 (ja) 2005-10-04 2012-05-23 株式会社Dnpファインケミカル 特定の表面形状と物性を有する構造体及びその構造体形成用の(メタ)アクリル系重合性組成物
JP4626721B1 (ja) * 2009-09-02 2011-02-09 ソニー株式会社 透明導電性電極、タッチパネル、情報入力装置、および表示装置
CN102791755B (zh) 2010-03-17 2015-02-18 三菱丽阳株式会社 活性能量线固化性树脂组合物以及表面具有微细凹凸结构的物品
US20130011611A1 (en) * 2010-03-24 2013-01-10 Tokio Taguchi Laminate
RU2013143556A (ru) 2011-03-31 2015-05-20 Дексириалс Корпорейшн Оптический элемент, диспле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данных
JP2013238808A (ja) * 2012-05-17 2013-11-28 Dnp Fine Chemicals Co Ltd 特定の表面形状を有する構造体及び該構造体の製造方法
JP5641036B2 (ja) * 2012-11-15 2014-12-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反射防止物品、及び画像表示装置
JP6565186B2 (ja) * 2012-12-25 2019-08-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こ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6493900B2 (ja) * 2013-08-09 2019-04-03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透明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保護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2386A (ko) 1973-07-25 1975-04-17
JPH07178117A (ja) 1993-10-27 1995-07-18 Minnesota Mining & Mfg Co <3M> 調節自在な顔面シールド
JP4796659B2 (ja) 2007-02-09 2011-10-19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透明成形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反射防止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17391A1 (ja) 2016-02-04
EP3176613A1 (en) 2017-06-07
US10653560B2 (en) 2020-05-19
EP3176613A4 (en) 2018-01-24
TWI649199B (zh) 2019-02-01
EP3176613B1 (en) 2023-11-01
TW201607753A (zh) 2016-03-01
JP2016033647A (ja) 2016-03-10
KR102060942B1 (ko) 2019-12-31
US20170209308A1 (en) 2017-07-27
KR20190018048A (ko) 2019-02-20
JP6684046B2 (ja)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4046B2 (ja) 透明積層体
JP5985100B1 (ja) 透明積層体
EP2947483B1 (en) Optical element for facial protection
WO2016143522A1 (ja) 防曇防汚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防汚方法
JP6164085B2 (ja) 光学素子、表示装置および入力装置
JP2014159154A (ja) 親水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防汚用積層体、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防汚方法
JP6071696B2 (ja) 親油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10464255B2 (en) Lipophilic lamin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article
JP2013195579A (ja)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透明基材、表示装置、入力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JP6393479B2 (ja) 親水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629033B1 (ja) 親水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防汚用積層体、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防汚方法
WO2015053275A1 (ja) 親油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物品
JP6540840B2 (ja) 顔面保護用光学素子
JP6343224B2 (ja) ゴーグ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080992A (ja) 防曇防汚積層体、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防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50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213

Effective date: 201910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