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457A -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457A
KR20170021457A KR1020150115833A KR20150115833A KR20170021457A KR 20170021457 A KR20170021457 A KR 20170021457A KR 1020150115833 A KR1020150115833 A KR 1020150115833A KR 20150115833 A KR20150115833 A KR 20150115833A KR 20170021457 A KR20170021457 A KR 20170021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water
boiling
gas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4187B1 (ko
Inventor
유형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5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18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1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02Regulating fuel supply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24C3/027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의 끓는 시점을 정확하게 알려주는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버너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에 설치되어 개폐 작동하는 밸브; 상기 밸브를 통해 가스를 개폐하는 신호를 받는 MPU; 대화력과 미세화력을 조정하도록 신호를 받는 비례장치; 조리용기의 바닥 온도를 감지하여 물끓음을 판별하는 온도센서; 물끓음을 판단하여 가스를 차단하는 프로세서를 조정하는 셀렉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셀렉터장치는 물끓음판단시작온도측정을 포함하여 적어도 2단계 이상의 복수 회의 물끓음판단을 수행하되, 상기 복수 회의 물끓음판단 중 최후 두 단계에서 각각 측정된 온도 차이값이 소정의 온도 이하인 경우 알림을 주고 가스를 차단하는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를 제공하여, 가스레인지에 있어서 물이 끓었을 경우를 알려주는 물끓음 프로세서를 통해 사용자가 물이 끓었음을 직접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주고 자칫 부재중에 물이 증발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A boiler for gas range}
본 발명은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의 끓는 시점을 정확하게 알려주는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레인지는 화력을 이용하여 조리 등을 수행하기 때문에 조리에 필요한 온도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화재의 예방을 수행하는 것 또한 가스레인지 사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가스레인지는 다양한 화재 예방 기술들을 탑재하고는 있으나 물의 양에 따라 물이 끓었는지에 대한 정확한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가스레인지는 아직까지 등장하지 않았다.
가스레인지로 물을 끓일 때 물이 끓었는지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끓은 물이 모두 증발하여 결국 조리용기 과열로 화재로 이어질 수도 있는 위험이 있다.
종래의 과열방지 가스레인지나 종래의 화재 예방 기능을 탑재한 가스레인지의 경우 조리 용기의 무게가 가벼워짐에 따라 가스를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는 기술들도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화재 예방 기능은 조리 용기에 물이 모두 소진될 때까지는 그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보다 적극적인 화재 예방 기능을 수행함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즉, 가스레인지에 있어서 물이 끓었을 경우를 물이 끓었음을 직접 확인하는 것은 사용자가 일일이 물이 끓었는지를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주고 자칫 부재중에 물이 증발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미연에 차단시켜 주는 것으로 매우 중요한 일인 것이다.
따라서 물이 끓었음을 자동으로 알려주는 물 끓음 프로세서를 적용하는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물의 양을 잘못 파악함으로써 실제와 다른 끓는 시점을 알려주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5리터 이상을 끓이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부정확한 판단을 통하여 잘못되니 알림을 주는 등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갖고 있었던 것이다.
한편, 종래의 물 끓이기 장치는 물을 끓이기 직전에 다른 조리를 통해 높아진 조리용기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갖는데, 이와 같은 온도센서의 온도가 종래의 물끓이기 프로세서를 통해 작동된 경우에는 전혀 물 끓음을 감지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예를 들어 물이 끓기 전인 섭씨 60도의 온도에서 물이 끓었음을 잘못 인지하여 물 끓음을 알려주기 때문에 제품을 사용함에 있어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특허문헌 1) KR2015-0084482 A
(특허문헌 2) KR2014-0072277 A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다 정밀한 물 끓음을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이용함으로써 물 끓음 알림에 대한 신뢰도 향상을 통해 화재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물이 끓었음을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편리를 제공하도록 자동 물 끓임 판별이 가능한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너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에 설치되어 개폐 작동하는 밸브; 상기 밸브를 통해 가스를 개폐하는 신호를 받는 MPU; 대화력과 미세화력을 조정하도록 신호를 받는 비례장치; 조리용기의 바닥 온도를 감지하여 물끓음을 판별하는 온도센서; 물끓음을 판단하여 가스를 차단하는 프로세서를 조정하는 셀렉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셀렉터장치는 물끓음판단시작온도측정을 포함하여 적어도 2단계 이상의 복수 회의 물끓음판단을 수행하되, 상기 복수 회의 물끓음판단 중 최후 두 단계에서 각각 측정된 온도 차이값이 소정의 온도 이하인 경우 알림을 주고 가스를 차단하는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셀렉터장치는 상기 조리용기 내의 물이 끓는지를 판단하는 물끓음판단시작온도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면서 판단한 시간을 물끓음판단시작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물끓음판단시작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인 제1시간이 경과된 후 제2의 물끓음판단온도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면서 판단된 온도를 제1온도로 저장하고, 상기 제1온도가 상기 제2의 물끓음판단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물끓음판단시작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인 제2시간만큼 더 가열하고, 상기 제1온도가 상기 제2의 물끓음판단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물끓음판단시작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인 제3시간만큼 더 가열한 다음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면서 당시의 온도를 제2온도로 저장하며, 상기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인 제4시간씩 경과할 때마다 측정된 제4의 물끓음판단온도와 상기 제2온도와의 온도차를 반복적으로 저장하여, 상기 온도차가 소정의 온도 이하인 경우 알림을 주고 가스를 차단하는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온도차는 섭씨 1도 이상 섭씨 10도 이하인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끓음판단시작온도(S120)는 섭씨 70도 이상 섭씨 80도 미만이며, 상기 제2의 물끓음판단온도(S140)는 섭씨 80도 이상 섭씨 90도 미만이며, 상기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S160)는 섭씨 100도 이상 섭씨 110도 미만인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스를 차단하는 시점은 상기 알림이 발생하기 전 1분 이내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스레인지에 있어서 물이 끓었을 경우를 알려주는 물끓음 프로세서를 통해 사용자가 물이 끓었음을 직접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주고 자칫 부재중에 물이 증발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물양에 따른 정확한 판단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온도센서의 온도가 이미 과열된 상태에서도 보다 세분화된 프로세서의 도입을 통해 물의 끓음을 보다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물끓음을 판단하는 제1프로세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물끓음을 판단하는 제2프로세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3 물끓음을 판단하는 제3프로세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4 물끓음을 판단하는 제4프로세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스레인지는 밸브, MPU, 비례장치, 온도센서, 셀렉터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밸브는 가스레인지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에 설치되어 가스유로를 개폐한다. MPU는 밸브를 통해 가스가 차단되거나 공급되도록 신호를 담당한다.
비례장치는 대화력과 미세화력을 조정하도록 신호를 제공 받는다.
온도센서는 조리용기 바닥의 온도를 감지하여 물끓음을 판별한다.
셀렉터장치는 물끓음을 판단하여 가스를 차단하는 프로세서를 조정한다.
셀렉터장치는 물끓음판단시작온도측정을 포함하여 적어도 2단계 이상의 복수 회의 물끓음판단을 수행하되, 복수 회의 물끓음판단 중 최후 두 단계에서 각각 측정된 온도 차이값이 소정의 온도 이하인 경우 알림을 주고 가스를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설명될 제1의 물끓음판단온도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 제2의 물끓음판단온도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 제4의 물끓음판단온도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여기에서 말하는 복수 회의 물끓음판단에 해당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복수 회의 물끓음판단 중 최후 두 단계는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 제4의 물끓음판단온도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인 프로세스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다.
상기 셀렉터장치는 상기 조리용기 내의 물이 물끓음판단시작온도(S120)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면서 판단한 시간을 물끓음판단시작시간(S120a)로 저장하고, 상기 물끓음판단시작시간(S120a)로부터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제1구간의 시간(S130) 에서의 제2의 물끓음판단온도(S140)가 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제2구간의 시간(S150) 혹은 제3구간의 시간(S150a)으로 진행한다. 상기 두 조건 중 하나의 시간으로 진행하여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S160)가 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제4의 물끓음 판단온도(S170a)가 될 때까지 해당 되는 프로세서(S170)가 반복된다. 이때 프로세서(S170)는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S160)와 제4의 물끓음판단온도(S170a)의 조건별 온도 차를 판단하여 저장하고, 그 온도 차의 저장은 연속적으로 행한다. 온도 차가 소정의 온도 이하인 경우 알림을 주고 가스를 차단하는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온도 차는 섭씨1도 이상 섭씨1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물끓음판단시작온도(S120)는 섭씨70도 이상 섭씨80도 미만이며, 제2의 물끓음판단온도(S140)는 섭씨80도 이상 섭씨90도 미만이며,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S160)는 섭씨100도 이상 섭씨110도 미만인 것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작동원리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제1물끓음을 판단하는 제1 프로세서는 조리용기를 올리고 점화하여 셀렉터장치를 통해 물 끓음을 개시하면, 물끓음판단시작온도(S120)가 되었는지 판별하여, 예를 들어 섭씨72도의 온도를 감지하며, 그 당시의 물끓음판단시작시간(S120a)을 저장한다.
물끓음판단시작시간(S120a)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인 제1구간의 시간(S130)만큼, 예를 들어 제1구간의 시간(S130)이 85초라 할 때, 85초가 경과한 후 제2의 물끓음판단온도(S140)가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제2의 물끓음판단온도(S140)가 섭씨90도이고, 실제 측정된 조리용기의 온도가 섭씨100도일때, 온도가 섭씨90도 이상임을 판별함과 동시에 미리 정한 소정의 시간인 제2구간의 시간(S150)이 경과한 뒤 온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때 측정된 온도가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S160) 이상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구간의 시간(S150)이 160초라면 물끓음판단시작시간(S120a)으로부터 160초가 경과 후 조리용기의 온도를 측정한다.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S160)가 섭씨110도 일 때, 실제 측정된 온도가 섭씨120도이면, 미리 정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다음 제4의 물끓음판단온도(S170a)와의 온도 변화를 수 회 반복 저장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4의 물끓음판단온도(S170a)와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S160)와의 온도 차를 반복적으로 저장하여 온도 차가 소정의 온도 이하인 경우 알림을 주고 가스를 차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4의 물끓음판단온도(S160)가 섭씨125도라 할 때,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S160)가 섭씨120도 일 때, 시간은 10초 내외로 하며 온도 차는 섭씨5도 이하임을 판별하는 과정을 수회반복하고 반복된 최초의 온도와 최종의 온도와의 온도 차가 섭씨7도 이하임을 판별하면, 물이 완전하게 끓었다고 판단하여 , 약 20초 후에 물 끓이기 알림을 발생하고, 가스를 차단한다.
한편, 알림을 발생한뒤 약 1분 이후에 가스를 차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와 같이 제2 물끓음을 판단하는 제2 프로세서는 조리용기를 올리고 점화하여 셀렉터장치를 통해 물 끓음을 개시하면, 물끓음판단시작온도(S120)가 되었는지 판별하여, 예를 들어 섭씨72도의 온도를 감지하며, 그 당시의 물끓음판단시작시간(S120a)을 저장한다.
물끓음판단시작시간(S120a)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인 제1구간의 시간(S130)만큼, 예를 들어 제1구간의 시간(S130)이 85초라 할 때, 85초가 경과한 후 제2의 물끓음판단온도(S140)가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제2의 물끓음판단온도(S140)가 섭씨90도이고, 실제 측정된 조리용기의 온도가 섭씨80도일때, 온도가 섭씨90도 이하임을 판별함과 동시에 미리 정한 소정의 시간인 제3구간의 시간(S150a)이 경과한 뒤 온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때 측정된 온도가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S160) 이상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3구간의 시간(S150a)이 240초이고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S160)가 섭씨100도 라면, 물끓음판단시작시간(S120a)으로부터 240초 경과 후의 조리용기의 측정온도가 섭씨110도 인 경우에 미리 정한 설정온도 예를 들어 섭씨113도 이후 제4의 물끓음판단온도(S170a)와의 온도 변화를 수 회 반복 저장하여, 온도 차가 섭씨1도 이하임을 판별하고, 약 30초 후에 물 끓이기 알림을 발생하고, 가스를 차단한다.
한편, 알림을 발생한뒤 약 1분 이후에 가스를 차단할 수도 있다.
도 5와 같이 제3 물끓음을 판단하는 제3 프로세서는 조리용기를 올리고 점화하여 셀렉터장치를 통해 물끓음을 개시하면, 물끓음판단시작온도(S120)가 되었는지 판별하여, 예를 들어 섭씨72도의 온도를 감지하며, 그 당시의 물끓음판단시작시간(S120a)을 저장한다.
물끓음판단시작시간(S120a)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인 제1구간의 시간(S130)만큼, 예를 들어 제1구간의 시간(S130)이 85초라 할 때, 85초가 경과한 후 제2의 물끓음판단온도(S140)가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제2의 물끓음판단온도(S140)가 섭씨90도이고, 실제 측정된 조리용기의 온도가 섭씨100도일때, 온도가 섭씨90도 이상임을 판별함과 동시에 미리 정한 소정의 시간인 제2구간의 시간(S150)이 경과한 뒤 온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때 측정된 온도가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S160) 이상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구간의 시간(S150)이 160초라면 물끓음판단시작시간(S120a)으로부터 160초가 경과 후 조리용기의 온도를 측정한다.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S160)가 섭씨110도 일 때, 실제 측정된 온도가 섭씨100도이면, 미리 정한 설정온도 예를 들어 섭씨113도 이후 제4의 물끓음판단온도(S170a)와의 온도 변화를 수 회 반복 저장하여, 온도 차가 섭씨1도 이하임을 판별하고, 약 30초 후에 물 끓이기 알림을 발생하고, 가스를 차단한다.
한편, 알림을 발생한뒤 약 1분 이후에 가스를 차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과 같이 제4 물끓음을 판단하는 제4 프로세서는 조리용기를 올리고 점화하여 셀렉터장치를 통해 물 끓음을 개시하면, 물끓음판단시작온도(S120)가 되었는지 판별하여, 예를 들어 섭씨72도의 온도를 감지하며, 그 당시의 물끓음판단시작시간(S120a)을 저장한다.
물끓음판단시작시간(S120a)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인 제1구간의 시간(S130)만큼, 예를 들어 제1구간의 시간(S130)이 85초라 할 때, 85초가 경과한 후 제2의 물끓음판단온도(S140)가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제2의 물끓음판단온도(S140)가 섭씨90도이고, 실제 측정된 조리용기의 온도가 섭씨80도일때, 온도가 섭씨90도 이하임을 판별함과 동시에 미리 정한 소정의 시간인 제3구간의 시간(S150a)이 경과한 뒤 온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때 측정된 온도가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S160) 이하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3구간의 시간(S150a)이 240초이고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S160)가 섭씨100도 라면, 물끓음판단시작시간(S120a)으로부터 240초 경과 후의 조리용기의 측정온도가 섭씨90도 인 경우에 미리 정한 설정온도 예를 들어 섭씨130도 이후 제4의 물끓음판단온도(S170a)와의 온도 변화를 수 회 반복 저장하여, 온도 차가 섭씨2도 이하임을 판별하고, 수 회 반복 저장된 온도 차의 합이 섭씨3도 이하임도 판별되면 약 30초 후에 물 끓이기 알림을 발생하고, 가스를 차단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물끌음판단시작온도(S120)를 측정하는 이유는 상수도로부터 공급받은 물의 경우 최초 가열되는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동안에서 온도 변화값이 가장크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임을 이해하면 좋을 것이다.
또한, 제2의 물끓음판단온도(S140)를 측정하는 이유는 조리용기 내에 담긴 물의 양을 가늠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의 물끓음판단온도(S140)를 측정하였을 때, 소정의 온도 이상이라면 조리용기 내의 물의 양이 5리터 이하로 볼 수 있으며, 소정의 온도 이하라면 아직 덜 가열된 것으로서 물의 양이 5리터 이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한편,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S160)를 측정하는 이유는 앞서 간주된 물의 양이 만일 5리터 이하로 판단되는 경우에 있어 그렇다면 물의 양이 5리터 이내에서 몇 리터인가를 세부적으로 가늠해볼 수 있게 하기 위함인 것이다.
다시 말해서, 측정된 제2온도가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S160) 이상이라면 1리터의 물의 양 밖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예로서 10초 정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계속하여 온도를 측정하면서 제4의 물끓음판단온도(S170)를 측정하여 측정된 제4의 물끓음판단온도(S170)와 제2온도와의 온도 차이값을 수 차례 반복적으로 저장한 다음 온도 차이값이 신뢰할 만한 수준의 소정의 온도범위 이내로 들어오는 경우 조리용기의 물이 완전하게 끓었다고 판단하여 소화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S120 : 물끓음판단시작온도
S120a : 물끓음판단시작시간
S130 : 제1구간의 시간
S140 : 제2의 물끓음판단온도
S150 : 제2구간의 시간
S150a : 제3구간의 시간
S160 :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
S170a : 제4의 물끓음판단온도

Claims (5)

  1. 버너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에 설치되어 개폐 작동하는 밸브;
    상기 밸브를 통해 가스를 개폐하는 신호를 받는 MPU;
    대화력과 미세화력을 조정하도록 신호를 받는 비례장치;
    조리용기의 바닥 온도를 감지하여 물끓음을 판별하는 온도센서;
    물끓음을 판단하여 가스를 차단하는 프로세서를 조정하는 셀렉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셀렉터장치는,
    물끓음판단시작온도 측정을 포함하여 적어도 2단계 이상의 복수 회의 물끓음판단을 수행하되, 상기 복수 회의 물끓음판단 중 최후 두 단계에서 각각 측정된 온도 차이값이 소정의 온도 이하인 경우 알림을 주고 가스를 차단하는,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터장치는,
    상기 조리용기 내의 물이 끓는지를 판단하는 물끓음판단시작온도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면서 판단한 시간을 물끓음판단시작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물끓음판단시작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인 제1시간이 경과된 후 제2의 물끓음판단온도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면서 판단된 온도를 제1온도로 저장하고,
    상기 제1온도가 상기 제2의 물끓음판단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물끓음판단시작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인 제2시간만큼 더 가열하고, 상기 제1온도가 상기 제2의 물끓음판단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물끓음판단시작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인 제3시간만큼 더 가열한 다음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면서 당시의 온도를 제2온도로 저장하며,
    상기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인 제4시간씩 경과할 때마다 측정된 제4의 물끓음판단온도와 상기 제2온도와의 온도차를 반복적으로 저장하여, 상기 온도차가 소정의 온도 이하인 경우 알림을 주고 가스를 차단하는,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차는 섭씨 1도 이상 섭씨 10도 이하인,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끓음판단시작온도는 섭씨 70도 이상 섭씨 80도 미만이며,
    상기 제2의 물끓음판단온도는 섭씨 80도 이상 섭씨 90도 미만이며,
    상기 제3의 물끓음판단온도는 섭씨 100도 이상 섭씨 110도 미만인,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를 차단하는 시점은 상기 알림이 발생하기 전 1분 이내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
KR1020150115833A 2015-08-18 2015-08-18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 KR102324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833A KR102324187B1 (ko) 2015-08-18 2015-08-18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833A KR102324187B1 (ko) 2015-08-18 2015-08-18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457A true KR20170021457A (ko) 2017-02-28
KR102324187B1 KR102324187B1 (ko) 2021-11-09

Family

ID=5854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833A KR102324187B1 (ko) 2015-08-18 2015-08-18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1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937A (ja) * 1991-08-09 1993-02-23 Rinnai Corp こんろの制御装置
JPH11287449A (ja) * 1998-03-31 1999-10-19 Harman Co Ltd 加熱調理器
KR101256476B1 (ko) * 2011-11-29 2013-04-2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레인지용 라면조리장치
KR101301997B1 (ko) * 2012-05-22 2013-08-3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조리물의 평형상태에 따른 안전타이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937A (ja) * 1991-08-09 1993-02-23 Rinnai Corp こんろの制御装置
JPH11287449A (ja) * 1998-03-31 1999-10-19 Harman Co Ltd 加熱調理器
KR101256476B1 (ko) * 2011-11-29 2013-04-2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레인지용 라면조리장치
KR101301997B1 (ko) * 2012-05-22 2013-08-3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조리물의 평형상태에 따른 안전타이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187B1 (ko)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2302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oktop fire mitigation
US9769883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KR20060115333A (ko) 스팀 오븐으로부터 물을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256476B1 (ko) 가스레인지용 라면조리장치
KR101433657B1 (ko) 자동 화력 조절 기능을 가지는 가스 레인지
KR100779429B1 (ko) 조리기구의 과열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22945A (ko) 가스레인지용 안전 장치
JP2012223473A (ja) 炊飯器
KR101787392B1 (ko) 가스곤로
KR20170021457A (ko) 가스레인지용 물 끓이기 장치
KR101993851B1 (ko) 조리온도를 활용하는 화재 예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420390B1 (ko) 조리용기의 과열 방지장치
JP2010014372A (ja) ガステーブルの天ぷら火災防止装置
JP2000283467A (ja) コンロの湯沸かし装置
JP4127386B2 (ja) 加熱調理機器
KR200289753Y1 (ko) 주방용 쿠킹레인지의 안전 제어 장치
JP4673824B2 (ja) 加熱調理機器
KR200427338Y1 (ko) 조리기구의 과열방지장치
KR101981592B1 (ko) 가스레인지용 비등검지장치
JP5204190B2 (ja) 調理装置
JP7296811B2 (ja) 加熱調理装置
KR20180093567A (ko) 가스레인지 및 그 가스레인지의 끓음 감지 방법
KR101564720B1 (ko) 화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는 다중 화력 기반 가스레인지
JP2002013740A (ja) 加熱調理器
KR102431458B1 (ko) 알람쿡 가스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