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053A -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053A
KR20170021053A KR1020150115368A KR20150115368A KR20170021053A KR 20170021053 A KR20170021053 A KR 20170021053A KR 1020150115368 A KR1020150115368 A KR 1020150115368A KR 20150115368 A KR20150115368 A KR 20150115368A KR 20170021053 A KR20170021053 A KR 20170021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rear shock
mounting bracket
absorber mount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4457B1 (ko
Inventor
차문수
박창욱
윤형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5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45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1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3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5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axle or suspension arm of the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8Details of structures as upper supports for springs or dampers

Abstract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가 개시된다. 리어 쇽 업소버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이 장착되어 지지되는 리어 사이드 멤버;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후방 차체에 연결된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레인포스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레인포스 멤버는 차량의 높이 방향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리어 쇽 업소버의 장착 강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Structure for mounting rear shock absorbe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 쇽 업소버가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을 통해 차체에 강건하게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는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 중에 노면으로부터 받은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하여 승차감과 차량의 주행 안정성 등을 향상시키는 장치로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현가 스프링과, 상기 현가 스프링의 고유 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쇽 업소버 및, 차량의 롤링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 등을 포함한다.
상기 쇽 업소버는 차체에 형성된 휠 하우징에 그 상부가 장착되는 바, 상기 쇽 업소버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하중을 차체가 적절히 흡수해서 분산시켜야 차량의 승차감과 주행 안정성이 향상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차체는 국부적으로 쇽 업소버가 장착되는 부위의 입력점 강성이 높아야 하고, 또한 쇽 업서버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하중을 주변 차체로 잘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쇽 업소버 장착부가 주변 차체와 강건하게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승용 차량의 경우에는 리어 현가장치의 리어 쇽 업소버는 리어 휠 하우징에 그 상부가 장착되고, 그 하부는 리어 휠에 연결되는 데, 후방 차체를 구성하는 리어 사이드 멤버에 리어 쇽 업소버의 상부를 보다 강건하게 장착하여, 리어 쇽 업소버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하중이나 충격에 대해 강건하게 지탱해서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의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켜 리어 쇽 업소버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하중이나 충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리어 사이드 멤버와의 결합 강성을 증대시켜 리어 쇽 업소버를 차체에 보다 안정되게 지지하여 차량의 승차감 및 주행 안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는, 리어 쇽 업소버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이 장착되어 지지되는 리어 사이드 멤버;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후방 차체에 연결된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레인포스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레인포스 멤버는 차량의 높이 방향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레인포스 멤버에는 트랜스밋션을 장착하여 지지하기 위한 제1트랜스밋션 장착 브래킷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에는 엔진을 장착하여 지지하기 위한 엔진 마운팅부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엔진 마운팅부는,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이 리어 사이드 멤버의 상면에 장착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트랜스밋션 장착 브래킷은 상기 엔진 마운팅부보다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트랜스밋션 장착 브래킷과 상기 어느 한쪽 엔진 마운팅부에 제2트랜스밋션 장착 브래킷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은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상면; 상기 상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차량의 높이 방향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의 차량의 높이 방향 상면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내벽 플랜지 및 상기 내벽 플랜지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차량의 높이 방향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에 결합되는 외벽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의 상면과 상기 외벽 플랜지, 상기 내벽 플랜지 및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의 상면에 의해 둘러싸인 폐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면에는, 상기 리어 쇽 업소버의 상부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홀이 관통해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주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홀이 관통해서 형성되며,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장착홀들 사이에는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레인포스 멤버를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에는 차량의 높이 방향 상방으로 솟은 제1보강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가장자리에도 차량의 높이 방향 상방으로 솟은 제2보강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장착홀 보다 반경방향 외측에서 제1보강 리브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보강 리브는 상기 제2보강 플랜지의 한쪽 면을 다른 쪽 면과 원호 형상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 플랜지와 상기 제1보강 리브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2보강 리브가 방사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의 배면에는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장착홀 보다 반경방향 외측에서 제3보강 리브가 원호 형상으로 돌출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3보강 리브 사이에도 방사 방향으로 뻗은 다수개의 제4보강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엔진 마운팅부를 상기 제3보강 리브 및 상기 외측 가장자리를 연결하여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키는 제5보강 리브가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엔진 마운팅부는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장착홀들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제6보강 리브가 배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6보강 리브는 상기 제3보강 리브로부터 상기 외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에 의하면,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의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장착 부위의 주변에 다수의 보강 리브를 적용하여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의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리어 쇽 업소버의 장착 강성이 증대되어, 리어 쇽 업소버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충격이나 하중에 대해 강건하게 지탱할 수 있다.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이 리어 사이드 멤버에 장착되는 장착 부위에도 다수의 보강 리브가 적용되어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과 리어 사이드 멤버 사이의 결합 강성이 증대되어, 리어 쇽 업소버를 차체에 안정되게 지지시켜 차량의 승차감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이 리어 사이드 멤버에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장착되어,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의 장착 강성이 증대됨으로써, 리어 쇽 업소버의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을 통한 차체의 지지 강성이 증대됨으로써, 리어 쇽 업소버가 안정된 장착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의 엔진 및 트랜스밋션이 장착되는 장착 부위에도 다수의 보강 리브가 적용되어 구조적인 강성이 증대됨으로써, 파워트레인의 지지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에 트랜스밋션 장착 브래킷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의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는, 리어 쇽 업소버(10)의 상부가 체결되어 지지되는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20)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20)은 후방 차체(30)를 구성하는 리어 사이드 멤버(32)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리어 사이드 멤버(32)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좌우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20)에는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레인포스 멤버(40)의 일단이 결합되고,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레인포스 멤버(40)의 타단은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후방 차체(3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리어 쇽 업소버(10)는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20)을 통해 후방 차체(30)의 리어 사이드 멤버(32)에 안정되게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고, 또한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레인포스 멤버(40)를 통해 후방 차체에 다른 부위로 연결되어, 리어 쇽 업소버(10)를 통해 입력되는 충격이나 하중이 후방 차체(30)의 리어 사이드 멤버(32)와 다른 부위로 전달 및 분산되어, 차량의 주행 안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레인포스 멤버(40)에는 차량의 폭 방향 내측으로, 즉 차실 쪽을 향해 도시되지 않은 트랜스밋션을 장착하여 지지하기 위한 제1트랜스밋션 장착 브래킷(50)이 체결될 수 있다. 제1트랜스밋션 장착 브래킷(50)은 대체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양변이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레인포스 멤버(40)의 양측면에 덧대어져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20)은 리어 사이드 멤버(32)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면에 장착되고, 도시되지 않은 엔진을 장착하여 지지하기 위한 엔진 마운팅부(22)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20)이 리어 사이드 멤버(32)의 상면에 장착되는 부위에 하나 이상의 엔진 마운팅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트랜스밋션 장착 브래킷(50)은 엔진 마운팅부(22)보다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트랜스밋션 장착 브래킷(60)이 제1트랜스밋션 장착 브래킷(50)과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20)의 어느 한쪽 엔진 마운팅부(22)에 체결될 수 있고, 제2트랜스밋션 장착 브래킷(60)에 도시되지 않은 트랜스밋션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 2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쇽 업소버를 통해 외부에서 입력되는 하중이나 충격은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20)을 통해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레인포스 멤버(40)로 전달되는 제1하중전달경로(T1)와,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20)과, 제2트랜스밋션 장착 브래킷(60), 제1트랜스밋션 장착 브래킷(50)을 통해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레인포스 멤버(40)로 전달되는 제2하중전달경로(T2)로 분산되어, 후방 차체로 전달되므로, 외부 충격이나 하중의 집중에 의한 후방 차체의 국부적인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20)은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상면(23)과; 이 상면(23)의 가장자리로부터 차량의 높이 방향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리어 사이드 멤버(32)의 차량의 높이 방향 상부에 위치하는 상면(322)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내벽 플랜지(24); 및 이 내벽 플랜지(24)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차량의 높이 방향 하부로 연장된 외벽 플랜지(25)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외벽 플랜지(25)는 내벽 플랜지(24)보다 더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외벽 플랜지(25)는 리어 사이드 멤버(32)의 차량의 폭 방향 외측면(324)에 겹쳐져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20)의 상면(23)과 내벽 플랜지(24), 외벽 플랜지(25) 및, 리어 사이드 멤버(32)의 상면(322)에 의해 둘러싸인 폐공간(34)이 형성되어,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20)의 리어 사이드 멤버(32)에 대한 장착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20)이 내벽 플랜지(24) 및 외벽 플랜지(25)를 통해 리어 사이드 멤버(32)에 2중으로 결합되어,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20)의 리어 사이드 멤버(32)에 대한 장착 강성이 더욱더 증대될 수 있다.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20)의 상면(23)에는, 리어 쇽 업소버(10)의 상부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홀(231)이 관통해서 형성되고, 이 삽입홀(231)의 주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홀(232)이 관통해서 형성되며, 리어 쇽 업소버 장착홀(232)들 사이에는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레인포스 멤버(40)를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233)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231)의 가장자리에는 차량의 높이 방향 상방으로 솟은 제1보강 플랜지(234)가 형성될 수 있고, 제1보강 플랜지(234)는 리어 쇽 업소버를 삽입홀(231)에 삽입하여 결합할 때에 결합 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합홈(233)의 가장자리에도 차량의 높이 방향 상방으로 솟은 제2보강 플랜지(235)가 형성되어,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레인포스 멤버(40)를 결합홈(233)에 삽입하여 결합할 때에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레인포스 멤버(40)와의 결합 면적을 증대시켜 결합 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리어 쇽 업소버 장착홀(232) 보다 반경방향 외측에서 제1보강 리브(236)가 대체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보강리브(236)는 제2보강 플랜지(235)의 한쪽 면을 다른 쪽 면과 원호 형상으로 연결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보강 플랜지(234)와 제1보강 리브(236) 사이에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제2보강 리브(237)가 방사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보강 리브(237)는 제1보강 플랜지(234)와 제1보강 리브(236)를 연결하여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보강 리브(236)와 제2보강 리브(237)들은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20)의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켜 리어 쇽 업소버(10)를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20)에 안정된 장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20)의 배면(26)에도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키는 다수개의 보강 리브들이 돌출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리어 쇽 업소버 장착홀(232) 보다 반경방향 외측에서 제3보강 리브(261)가 대체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리어 쇽 업소버의 지지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20)의 외측 가장자리(27)와 제3보강 리브(261) 사이에도 방사 방향으로 뻗은 다수개의 제4보강 리브(262)가 형성되어, 리어 쇽 업소버의 지지 강성을 한층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 마운팅부(22)를 제3보강 리브(261) 및 외측 가장자리(27)를 연결하여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키는 제5보강 리브(263)가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어, 엔진 마운팅부(22)의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켜 엔진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엔진 마운팅부(22)는 리어 쇽 업소버 장착홀(232)들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제6보강 리브(264)가 배면(26)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제6보강 리브(264)는 제3보강 리브(261)로부터 외측 가장자리(27)까지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리어 쇽 업소버
20: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
30: 후방 차체
32: 리어 사이드 멤버
40: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레인포스 멤버
50: 제1트랜스밋션 장착 브래킷
60: 제2트랜스밋션 장착 브래킷

Claims (16)

  1. 리어 쇽 업소버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이 장착되어 지지되는 리어 사이드 멤버; 및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후방 차체에 연결된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레인포스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레인포스 멤버는 차량의 높이 방향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레인포스 멤버에는 트랜스밋션을 장착하여 지지하기 위한 제1트랜스밋션 장착 브래킷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에는 엔진을 장착하여 지지하기 위한 엔진 마운팅부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엔진 마운팅부는,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이 리어 사이드 멤버의 상면에 장착되는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스밋션 장착 브래킷은 상기 엔진 마운팅부보다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에 위치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스밋션 장착 브래킷과 상기 어느 한쪽 엔진 마운팅부에 제2트랜스밋션 장착 브래킷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은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상면;
    상기 상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차량의 높이 방향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의 차량의 높이 방향 상면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내벽 플랜지 및
    상기 내벽 플랜지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차량의 높이 방향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에 결합되는 외벽 플랜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의 상면과 상기 외벽 플랜지, 상기 내벽 플랜지 및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의 상면에 의해 둘러싸인 폐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면에는, 상기 리어 쇽 업소버의 상부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홀이 관통해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주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홀이 관통해서 형성되며,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장착홀들 사이에는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레인포스 멤버를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에는 차량의 높이 방향 상방으로 솟은 제1보강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가장자리에도 차량의 높이 방향 상방으로 솟은 제2보강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장착홀 보다 반경방향 외측에서 제1보강 리브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보강 리브는 상기 제2보강 플랜지의 한쪽 면을 다른 쪽 면과 원호 형상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 플랜지와 상기 제1보강 리브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2보강 리브가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의 배면에는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장착홀 보다 반경방향 외측에서 제3보강 리브가 원호 형상으로 돌출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쇽 업소버 마운팅 브래킷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3보강 리브 사이에도 방사 방향으로 뻗은 다수개의 제4보강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마운팅부를 상기 제3보강 리브 및 상기 외측 가장자리를 연결하여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키는 제5보강 리브가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마운팅부는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장착홀들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제6보강 리브가 배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6보강 리브는 상기 제3보강 리브로부터 상기 외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1020150115368A 2015-08-17 2015-08-17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101724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368A KR101724457B1 (ko) 2015-08-17 2015-08-17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368A KR101724457B1 (ko) 2015-08-17 2015-08-17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053A true KR20170021053A (ko) 2017-02-27
KR101724457B1 KR101724457B1 (ko) 2017-04-07

Family

ID=58315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368A KR101724457B1 (ko) 2015-08-17 2015-08-17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4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3476A (ja) * 1994-12-29 1996-07-16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2006168434A (ja) * 2004-12-13 2006-06-29 Kanto Auto Works Ltd 車両のリヤボディ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3476A (ja) * 1994-12-29 1996-07-16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2006168434A (ja) * 2004-12-13 2006-06-29 Kanto Auto Works Ltd 車両のリヤボディ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457B1 (ko) 2017-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825B1 (ko) 하이브리드 현가암
US20190056023A1 (en) Structure of transmission mount
JP7172875B2 (ja) フレーム車の車体構造
KR100448791B1 (ko) 자동차 플로어의 리어 서스펜션 연결부 구조
KR20160122819A (ko) 자동차용 섀시 시스템
KR100844723B1 (ko) 차량용 리어휠하우스패널의 하중분산 및 강성 보강장치
KR101724457B1 (ko)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US8985605B2 (en) Rear shock absorber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KR20120007608U (ko)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
JP5950407B2 (ja) 車体構造
US20170120708A1 (en) Vehicle spring assembly
KR101371733B1 (ko) 차량의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
KR102227851B1 (ko)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
KR102417402B1 (ko) 차량의 스트럿 어셈블리
KR102614124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시트가 구비된 쇽업소버
KR101703610B1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JP6428225B2 (ja) サスペンションクロスメンバ
KR101639787B1 (ko) 차량용 에어스프링 설치 구조
KR102237071B1 (ko) 서브프레임 부시
KR101916050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보강유닛
KR102617707B1 (ko) 차량용 코일스프링 고정장치
KR20090015686A (ko) 스트럿 베어링
WO2015189909A1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4276518B2 (ja) サブフレームの取付構造
KR100862423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