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9390A - 풍력발전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 Google Patents

풍력발전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9390A
KR20170019390A KR1020170014657A KR20170014657A KR20170019390A KR 20170019390 A KR20170019390 A KR 20170019390A KR 1020170014657 A KR1020170014657 A KR 1020170014657A KR 20170014657 A KR20170014657 A KR 20170014657A KR 20170019390 A KR20170019390 A KR 20170019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ir
vehicle
typ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록
Original Assignee
김용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록 filed Critical 김용록
Priority to KR1020170014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9390A/ko
Publication of KR20170019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2Wind-driven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8/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L8/006Converting flow of air into electric energy, e.g. by using wind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2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moving objects, e.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K2016/006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wind power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8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36Vehicles designed to transport cargo, e.g. trucks
    • B60L2230/2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0Energy harvesting concepts as power supply for auxiliaries' energy consumption, e.g. photovoltaic sun-ro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주행시 앞 범퍼에 부딪히는 맞바람의 공기 저항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에 충전한다. 이를 차량의 주동력 또는 보조 동력 및 기타 전기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장치에 공급한다. 자동차의 주행에 소요전력(에너지)을 공급(충전)하여 계속 주행하는 전기 자동차 또는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의 구동원을 하이브리드화하여 최소의 연비로 경제성을 높이고 화석연료에서 수반하는 CO2의 환경 공해 및 소음방지 또는 저감에 대처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풍력발전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Air Energy Electric Car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 주행시 앞범퍼에 부딪히는 맞바람의 공기 저항을 차체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본체 앞 부분에 장치된 닥트형 하우징 횡형 직 4각 깔데기형 공기흡입구로 흡입한 공기가 주행시 속도에 정비례하여 높아지는 배출 공기압을 역이용, 프레임 내외부에 장착한 복수의 발전 유닛을 통과하면서 연속 발전하고 발전한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에 충전하여 차량의 주동력 또는 보조 동력 및 기타 전기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장치에 공급하고, 발전 유닛을 통과한 배출 공기압을 이용 비행기의 비행 원리를 원용한 비행기형 비행 날개 등 내부에 구성된 장치를 이용, 그 양력으로 차중의 경감, 차량의 수평 수직 유지하고 공기 흡입구 개폐 에어 브레이크 및 발전 유닛의 고장, 유무 등을 인식 자동제어 작동하는 전자 감지 제어시스템이 갖추어진 전기 자동차 또는 고성능 하이브리드 자동차로서 자동차의 주행에 소요전력(에너지)을 공급(충전)하여 계속 주행하는 전기 자동차 또는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의 구동원을 하이브리드화하여 최소의 연비로 경제성을 높이고 화석연료에서 수반하는 CO2의 환경 공해 및 소음방지 또는 저감에 대처하는 발명이다.
풍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술은 이미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주행시 발생하는 풍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축적하여 이를 이용한다.
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우선 해결하여야 할 과제는
승용차
버스
화물자동차 등 3개의 차종으로 분리하여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서 각 차형에 맞추어 프레임의 형태, 구조 등을 이 발명에 부합하도록 차종별로 각각의 프레임을 닥트형 하우징으로 겸용(이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하고 프레임 겸용 닥트형 하우징 내부에 발전유닛이 설치공간을 구분하는 내부하우징이 설치되어야 하고,
프레임 겸용 닥트형 하우징의 앞 범퍼부에 장치되는 공기흡입구가 강우, 강설, 폭풍, 서행, 정차 등 차량운행시 내외부 여건에 따라 개구, 폐구, 일부 개구 및 발전유닛 고장, 승용차의 경우에 에어브레이크 작동 등이 전자자동인식센서가 제어자동작동 되고
승용차 버스의 경우 뒤 엔진모터 뒷구동(Rear Engine Motor·Rear Drive)의 RR방식 화물자동차의 경우 앞엔진모터 4륜구동(Front Engine Motor, 4 Wheel Drive) 방식 등 엔진모터 장착위치에 따라 트랜스미션과 연결전달하는 구동축 구동구(120)가 각 차형별로 엔진모터(306)부 아래쪽 프레임(101∼103)에 설치되어야 하고 버스 화물자동차의 경우 공기흡입구 장치공간이 차량 앞부분에 확보되어야 하는 과제가 있고 각 차종의 닥트형 하우징 프레임 하부에 발전유닛의 점검 수리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위에서 적시한 과제들의 해결 수단으로서는 차체를 지지하는 기본축인 프레임을 이 발명에 부합하는 닥트형 하우징으로 겸용하는 프레임(101∼103)으로 설계 변경 제작되고
프레임(101∼103) 앞부분 3각부에 도6, 도23, 도35와 같이 공기흡입구(109)가 경첩형으로 장치되어 도15∼17 공기흡입구 개폐순서도와 같이 전자감지시스템의 인식에 따라 자동제어 개폐되고
프레임 내부에 각 차종 각차형에 따라 도10, 도24, 도36과 같이 전후방을 수직각으로 하는 6각 직장방형 내부하우징(113) 설치되어
공기흡입구(107)로 흡입된 공기를 내부 하우징(113) 양측 외부 공간(114) 양방향으로 분리배출하며
주행시 공기흡입구(109)로 흡입된 공기배출압으로 팬(202)의 회전력을 극대화하고
내부하우징(113)에 발전기(201)와 양측 외부 공간(114)에 두 개의 팬(202)이 결합 일체화된 복수의 발전유닛을 장착하여 최대의 전기에너지를 생산하여 배터리에 충전하며
프레임(101∼103) 내부 하우징(113) 발전유닛(201∼202) 장착부 하부판을 사다리(123)형으로 제작하여 도11, 도26, 도40, 도42와 같이 사다리공간 덮개(208, 208-1, 208-2)를 볼트로 고정하게 하고
발전유닛 점검 수리시 커버(208∼208-1)를 열어(개구) 점검수리공간을 제공하고, 도14, 도29와 같이 경첩형(108) 덮개(커버)(208, 208-1)를 볼트로 밀폐 고정하고, 화물자동차 앞엔진 4륜구동(Front Engine Motor, 4 Wheel Drive)형의 경우 도42, 도43과 같이 볼트형 커버(208-2)를 개구할 수 있게 한다.
공기흡입구(109)의 개구, 폐구, 일부 개구, 발전유닛(201∼202)의 고장 유무확인 및 승용차 프레임(101) 내부에 장치된 플랩(302) 등은 전자자동감지 시스템(303∼305)의 자동인식으로 자동제어 작동되거나 확인되고
승용차는 뒤엔진모터구동(Rear Engine Motor·Rear Drive) 즉 RR방식으로 전환되고 버스는 현존의 R. R. 방식대로 화물자동차는 앞엔진모터 4륜구동(Front Engine Motor, 4 Wheel Drive) 방식 등이 적용되며
각 차종 차형별로 엔진모터(306) 장착부 아래쪽 프레임(101∼103)에 도10, 도24, 도36과 같이 엔진모터(306) 구동력을 트랜스미션에 연결하는 구동축 구동구(120)가 설치된다.
현재 운행중인 자동차의 대부분이 화석연료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내연기관 차량인 바, 운행상의 경제성뿐만 아니라 탄소배출로 인한 지구환경 오염이 국제적으로 이슈화되고 있고 그 규제가 점점 강화되는 추세임에 비추어 볼 때, 화석연료 소비를 최소화하는 친환경 자동차를 생산하는 것이 글로벌 시대인 현금의 자동차 생산업체는 사활의 과제일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일 것이다.
현재 전기자동차는 배터리 충전용량의 한계로 인해 주행거리가 제한되어 재충전해야 한다는 불편과 시간적 손실이 수반되고 또한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일부 운행되고 있으나 발전시스템이 이 발명과 전혀 상이한 구조로서 발전량이 극히 미미하여 그 효율성, 경제성, 친환경성 등에서 충분한 대응이 될 수 없다고 본다.
그러므로 이 발명이 추구하는 주된 목표는 화석연료 에너지원으로 하여 현재 운행 중인 모든 자동차가, 운행 중 자동차 앞범퍼부 닥트형 하우징 겸용 프레임 공기흡입구로 흡입한 공기압으로 발전유닛을 통해 생산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hybrid) 차량화에 적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 고안으로서,
차량 주행 속도에 정비례하여 공기배출 압력이 높아져 복수의 발전유닛을 통과하면서 공기의 와류현상(팬현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팬의 회전력을 극대화함으로써 얻는 전기에너지를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에서 발전유닛의 핵심부인 발전기가 운행속도에 비례하는 공기압의 강약에 따라 발전량이 자동조절 발전되는 즉 오토메이션 기어시스템이 결합된 발전기를 장착한다면 이 발명이 추구하는 최상의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화 하는데 획기적인 발명이 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이 발명은 자동차 앞 범퍼부에 부딪히는 공기저항을 프레임(닥트형 하우징)의 공기흡입구로 흡수 역이용 고효율의 다단계 연속발전시스템으로 발전하여 그 전력을 보조동력원 기타 전기 에너지 소요 장치에 공급하는 것이다.
모 지상파 매체(T.V.) 보도에 의하면, 독일의 모선박 회사에서 대형 패러글라이더형 부양체에 풍력발전유닛을 장착 공중에 띄워 운행한 결과, 공기저항값을 상쇄하고도 37%의 연료 절감 효과가 있었다는 보도를 감안하거나 최근 폭스바겐 계열사 생산 차량 연비 및 분진 배출 저감 장치 조작 등이 글로벌 이슈화 된 것을 보더라도 이 발명은 경제성, 친환경성, 소음 절감 등에서 탁월하다고 할 수 있다.
도 1a 승용차 대표(모형) 전면 입체도
도 1b 승용차 대표(모형) 후면 입체도
도 2a 버스 대표(모형) 전면 입체도
도 2b 버스 대표(모형) 후면 입체도
도 3a 화물차 대표(모형) 전면 입체도
도 3b 화물차 대표(모형) 전면 입체도
도 3c 화물차 대표(모형) 후면 입체도
도 4 승용차 닥트형 하우징 프레임 내부 구성 투시도
도 5 승용차 닥트형 하우징 프레임 내부 구성 측면도
도 6 승용차 닥트형 하우징 프레임의 모형도
도 7 공기흡입구를 구성하는 상하양측판 모형도
도 8 공기흡입구를 구성하는 상하양측판 모형도
도 9a 공기흡입구를 구성하는 상하양측판 모형도
도 9b 공기흡입구를 구성하는 상하양측판 모형도
도 10 승용차 닥트형 하우징 겸용 프레임의 내외부를 구성한 전체 모형도
도 11 승용차 닥트형 하우징 겸용 프레임 하판 사다리형 구성 모형도
도 12 승용차 닥트형 하우징 겸용 프레임 하판 사다리형 내부도
도 13 승용차 닥트형 하우징 겸용 프레임 하판 내부 폐구도
도 14 승용차 닥트형 하우징 겸용 프레임 하판 내부 개구도
도 15 승용차 공기흡구 개폐 순서도
도 16 승용차 공기흡구 개폐 순서도
도 17 승용차 공기흡구 개폐 순서도
도 18 승용차 공기흡구 부분 상세도
도 19 각 차종 공기 배출 진행도
도 20 각 차종 닥트형 하우징 프레임 하부 사다리형 내부 공간 덮개(커버) 구성도
도 21 버스 프레임 내외부 구성 투시도
도 22 버스 프레임 내외부 구성 측면도
도 23 버스 닥트형 하우징 겸용 프레임의 모형도
도 24 버스 닥트형 하우징 겸용 프레임의 내부를 구성한 전체 모형도
도 25 버스 닥트형 하우징 겸용 프레임의 내부를 구성한 부분 상세도
도 26 버스 닥트형 하우징 겸용 하부 사다리형 모형도
도 27 버스 닥트형 하우징 겸용 하부 사다리형 내부 공간 표시 상세도
도 28 버스 닥트형 하우징 겸용 하부 사다리형 덮개(커버) 장착 모형도
도 29 버스 닥트형 하우징 겸용 하부 사다리형 덮개(커버) 개폐 모형도
도 30 버스 화물자동차 공기흡입구 개폐 순서도
도 31 버스 화물자동차 공기흡입구 개폐 순서도
도 32 버스 화물자동차 공기흡입구 개폐 순서도
도 33 화물자동차 프레임 내부 구성 투시도
도 34 화물자동차 프레임 내부 구성 측면도
도 35 화물자동차 닥트형 하우징 겸용 프레임 모형도
도 36 화물자동차 닥트형 하우징 겸용 프레임 내외부 구성 투시도
도 37 화물자동차 닥트형 하우징 겸용 사다리형 내부구성 상세도
도 38 화물자동차 닥트형 하우징 겸용 하부 사다리형 모형도
도 39 화물자동차 닥트형 하우징 겸용 하부 사다리형 내부 공간 상세도
도 40 화물자동차 닥트형 하우징 겸용 하부 사다리형 내부 공간 모형도
도 41 화물자동차 닥트형 하우징 겸용 하부 사다리형 내부 공간 개조대도
도 42 화물자동차 닥트형 하우징 겸용 하부 사다리형 내부 공간 모형도
도 43 화물자동차 닥트형 하우징 겸용 하부 사다리형 내부 공간 덮개(커버) 모형도
첨부된 각 도면과 같이 승용차, 버스, 화물자동차 등 3개의 차종 등의 자동차 프레임(101∼103)을 닥트형 하우징 겸용으로 하기 위하여 각 차종의 차체에 부합하도록 형태, 구조 등이 개조되어야 하고 닥트형 하우징 겸용 프레임의 물리적 원리와 같으나 내부 구조, 구성요소, 장착위치 방법 등이 서로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① 승용차
② 버스
③ 화물자동차로 각각 분리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고
위 3개 차종에 장착되는 프레임 겸용 닥트형 하우징은 이후부터는 실시 예를 설명할 때 프레임 겸용 닥트형 하우징 용어의 표시를 생략하고 프레임(101∼103)으로만 적시 설명하며
그 형태 구조 기능 위치 등이 같을 때에는 각 차종에서 같은 실시 예가 중복될 경우, 먼저 기술한 차종의 실시 예와 같음을 적시 설명하고 구체적 실시 예 내용은 생략되며
또한 위 3차종의 실시 예 내용 설명 중 그 기능 즉 공기흡입구(109) 개폐, 발전유닛(201∼202) 및 장착부, 내부하우징(113), 전자제어작동 시스템(303∼305), 구동축 구동구(120) 기타 등의 형태, 구조, 장착 부위 등이 다르더라도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승용차
승용차 프레임(하우징 겸용)(101)은 도8과 같이 공기흡입구(109)가 장치되는 일체형 프레임으로서 앞부분 3각부를 제외한 본체의 상판 앞부분이 점차 축소 하향 직곡하다가 반원통형(110)으로 제작되고
하판(105)은 역시 도10과 같이 점차 상판 규격과 같게 축소상향 직곡하여 앞바퀴(111) 축 윗부분에서 깔데기형으로 횡직4각형의 병목형으로 공기배출구가 좁혀진 다음 운전석 밑으로 하향 만곡확대(111)된 후 뒷좌석 설치부 뒤쪽 차바퀴축부(112) 위쪽(상부)으로 만곡상향 후 하향하면서 점차 넓어져 트렁크 밑바닥이 되는 일체형 프레임(101) 구조로서
공기흡입구(109)의 상판(104) 하판(105) 측양측상판(106) 측양측하판(107)이 프레임(101) 본체 앞부분 3각부에 도10과 같이 경첩형(108)으로 장치고정되고
프레임(101) 내부 중앙부에 도10과 같이 전후방을 수직각으로 하는 직6각장방형 내부 하우징(113)이 이중으로 설치된다.
또한 프레임(101) 하부 일부가 도6과 같이 사다리형(123)으로 프레임 내부에 발전유닛을 장착 밑에서 상향작업(점검 및 수리)할 수 있는 공간(124)을 확보하면서 뒤바퀴 축부(112)가 만곡상향 제작되어 뒷바퀴축이 장착되고
뒷 차바퀴 축부(112) 윗부분에 도10과 같이 엔진 모터(306)의 구동력을 트랜스미션에 연결 전달하는 구동축 구동구(120)로 구동축이 연결 구동된다.
공기흡입구(109)의 기능은 차량주행시 부딪히는 맞바람을 흡입한 공기압을 이용 1차 2차 발전유닛이 발전하는 풍력을 흡입하면서
강우, 강설, 폭풍, 서행, 정차 등 주행여건의 내외부 변화에 대응하는 전자감지센서의 인식에 따라 공기흡입구(109) 개폐순서도(도15∼17)과 같이 상하 양측판(106, 107) 경첩부(108)이 동시에 공기흡입구(109) 내부로 접히고 도17과 같이 상판(104)은 아래로 하판은(105)은 위로 접히는 자동감지센서의 제어 작동으로 폐구되고
정상운행시 개구는 역시 전자감지시스템 자동제어 작동에 따라 폐구시 작동순서와 정반대 순서대로 작동되어 개구 또는 일부 개구된다
프레임 본체 상판 반원통부(110)에 회전 날개(팬)(202)와 일체화 고정된 휠(203)이 앞부분에 장착된 발전기(201)와 고정일체화된 휠(204)를 벨트(205) 연결하는 하나의 발전유닛이 주행시 흡입되는 공기압을 이용 1차 발전한 다음
배출하는 공기를 내부 하우징(113)의 양측면 양측 공간(114) 앞부분에 도19 공기배출 진행 세부도와 같이 만곡하향하는 공기유도판(115)을 설치하여 공기유도판(115) 하부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공기압을 높여 내부 하우징 내외부(113,114)에 장착된 복수의 발전유닛을 통해 연속발전하고 그 전기에너지를 배터리(206)에 충전한 후 모터 등 전기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장치에 공급한다.
또한 도18 공기흡입구(109) 개폐부 부분 상세도와 같이 공기흡입구(109)의 상판(104)의 측면을 하향직곡(118)하고 하판(105) 측면은 상향직곡(119) 제작하여 개구시 양측판(106, 107)을 상하에서 지지하며
상판(104) 앞부분을 만곡부(117)가 폐구시 하판(105)과의 틈새를 덮어(커버) 주행 또는 정차시 이물질·빗물 등의 유입을 차단하게 하고
이를 도18 부분 상세도에서 공기흡입구(109) 장치인 경첩형(108) 접이 고정부 및 공기 흡입구(109) 상판(104) 앞부분 곡부(117) 및 측상하판(106, 107)을 지지하는 상판(104) 측면 하향 직곡부(118) 및 하판(105)의 상향 직곡부(119)를 도시하였다
프레임(101) 내부에 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113)이 설치된 도11과 같이 하부 사다리(123) 판 위에는 발전기(201)가 양측 공기배출공간(114)에는 팬(202)이 발전기와 결합 연결 일체화된 복수의 발전유닛(201∼202)이 장착되어 연속적으로 2차 발전하고
장착된 발전유닛(201∼202) 및 비행기형 날개부(301) 덮개(커버)(208, 208-1)는 도20과 같은 구조로서 도13, 도28, 도40과 같이 한쪽 고정부가 양분되어 외부쪽을 볼트로 고정하고
다른 한쪽 고정부는 볼트만으로 고정하여 도14와 같이 프레임 본체 하부 사다리(123) 판 및 측판에 빗물, 습기, 분진, 공기 등의 유입을 방지하는 밴드를 접착하여 볼트(209)에 고정하고
발전유닛(201∼202)에 장치된 전자감지센서(304)의 인식에 의하여 고장 또는 점검을 요할 때 도14와 같이 볼트를 풀어 덮개(커버)를 열고 점검 수리 후 원상대로 고정한다.
프레임(101) 엔진모터 탑재부(306) 뒷부분 엔진모터(306) 탑재 하부는 도4와 같이 뒷부분이 넓어지는 역4각형 하우징 내부 구성은 도10과 같이 프레임(101) 상하판을 직립접합 배출공기의 흐름을 양분하여 배출공기 쏠림현상을 방지하는 복수의 배출공기 유도판(116)이 직립상하판에 접착 고정되고
중앙판은 길고 양측방(116)쪽으로는 점차 짧아져 배출공기의 흐름을 양분한 다음 다시 분산하며
배출공기 유도판(116) 상하부 중간부에 도10과 같이 비행기 비행원리를 원용하는 비행기 날개형 날개(301)와 이중형 플랩(302)을 장치하여 배출 공기압의 압력을 이용 차중의 감소와 차체의 수평 수직을 유지하며
비행기형 날개(301) 뒷부분에 장착된 비행기형 날개에 장치된 이중겹(미도시)으로 된 플랩(302)이 브레이킹시 장치된 전자감지시스템(305)의 자동작동에 따라 상과 하로 수직으로 펴지면서 배출 공기흐름을 차단하는 보조 브레이크 역할을 담당하며
최종공기 배출구(121) 프레임 본체 상하판 및 양측판을 도10과 같이 만곡상향(124)하게 하여 주행시 노면 분진발생을 예방한다.
버스
공기흡입구(109) 장착부위는 도22와 같이 앞범퍼부의 형태를 일부 변형하거나 차량설계에 따라 현재의 형태를 유지할 수도 있을 것이고
그 구조는 승용차 공기흡입구(109) 상판의 1차 발전유닛부(201∼202)를 생략한 도24와 같고
버스용 프레임(102)은 닥트형 하우징으로 겸용되는 프레임(102)으로서 도23과 같이 차형에 맞추어 제작되고
프레임(102) 내부에 전후방을 수직각으로 하는 6각 장방형 내부 하우징(113)의 설치, 발전유닛(201∼202) 장착 위치, 구성, 장착 방법 및 구조
프레임 내부 발전유닛 장착 하부 사다리(123)형의 형태와 구조 제작방법과 그 기능 또한 도30∼32 개폐순서도와 같이 공기흡입구가 운행 여건에 따라 전자감시센서의 자동 제어 개폐 또는 일부 개구가 자동작동하는 기능(303) 및 발전유닛(201∼202) 이상 유무의 인식(304), 점검수리덮개(커버)(208)의 고정개폐 방법 등이 승용차 실시 예와 같다.
공기흡입구(109) 뒤 앞바퀴 차축부(111)는 도24와 같이 만곡하향하고 뒷바퀴 차축(112)부 역시 만곡상향후 다시 만곡하향하고
앞엔진 앞 모터(front engine motor)이거나 뒤엔진 뒤 모터(rear engine rear motor)일 때 각각 엔진모터부(306) 프레임(102) 하부에 엔진모터(306)의 구동력을 트랜스미션과 연결구동하는 구동축 구동구(120)가 설치되며
공기최종배출구(121)가 만곡상향하여 노면 분진 발생을 예방하는 것 등이 승용차의 실시 예와 또한 같다.
화물자동차
화물자동차 프레임(103) 역시 버스 프레임(102)과 같이 닥트형 하우징으로 이 발명에 부합하도록 변형 개조하여야 하고 프레임(103) 내부에 도28과 같은 형태의 내부 하우징(113) 및 도36과 같이 발전 유닛부 하부가 사다리형으로 제작되고
발전 유닛(201∼202) 공기흡입구(109) 장착 위치 방법과 기능 발전유닛(201∼202) 장착부 덮개(208)(커버)의 수리 점검시 해체 및 교정방법과
공기흡입구(109)의 개폐 발전유닛 이상유무 확인 등 전자감지센서(303∼304)의 인식에 따라 자동제어 작동하는 기능 등이 승용차 2차 발전유닛부(201∼202) 및 버스의 실시 예와 같으며
공기흡입구(109) 뒤쪽 앞바퀴 차축부(111)는 도36과 같이 횡형 4각 깔데기형 만곡하향하고 뒤바퀴 차축부(112)가 상향만곡 후 다시 만곡하향하는 형태이고
엔진모터(306) 하부 프레임(103)에 트랜스미션과 연결하는 구동축 구동구(120)가 설치되고
앞엔진모터 앞구동(front engine motor front drive)식 버스의 실시 예와 같으나
다만 앞엔진모터 4륜구동(front engine motor 4 wheel)식 일 때, 발전유닛커버 밑으로 트랜스미션과 뒤차축 어셈블리를 연결 구동하는 프로펠러 샤프트가 장착되어 있어
발전유닛 수리 점검시 도42과 같이 커버(208-2) 전체가 볼트만으로 고정되고
최종공기배출구(121) 역시 버스 실시 예와 같다.
닥트형 하우징 겸용 프레임 승용차 101
닥트형 하우징 겸용 프레임 버스 102
닥트형 하우징 겸용 프레임 화물자동차 103
닥트형 하우징 겸용 프레임 공기흡입구 접이부 상판 104
닥트형 하우징 겸용 프레임 공기흡입구 접이부 하판 105
닥트형 하우징 겸용 프레임 공기흡입구 접이부 측상판 106
닥트형 하우징 겸용 프레임 공기흡입구 접이부 측하판 107
닥트형 하우징 겸용 프레임 공기흡입구 접이부 각판 경첩형 접이부 108
공기흡입구 109
공기흡입구 승용차 반원통형 110
각 차종 앞바퀴 만곡부 111
각 차종 뒤바퀴 만곡부 112
각 차종 프레임 내부 하우징 113
각 차종 프레임 내부 양측 공간 114
각 차종 프레임 내부 공기유도관 115
승용차 프레임 내부 직립 공기유도관 116
공기흡입구 앞 만곡 접이부 117
공기흡입구 상판 접이부 118
공기흡입구 하판 접이부 119
구동축 구동구 120
각 차종 프레임 공기배출 최종 상향부 121
승용차 프레임 엔진 통풍구 122
각 차종 프레임 하부 사다리형 123
각 차종 프레임 하부 공간 124
프레임(101) 비행기형 날개 공간 125
발전기 201
팬 202
휠(大) 203
휠(小) 204
벨트 205
배터리 206
사다리형 덮개(경첩) 208
사다리형 덮개(볼트) 208-1
사다리형 덮개(볼트고정공) 209
비행기형 날개 301
비행기형 플랩 302
운행여건 감지센서 303
발전유닛 플랩 감지센서 304
브레이크 감지센서 305
엔진모터부 306

Claims (9)

  1. 승용차 프레임(101) 버스 프레임(102) 화물 자동차 프레임(103)은 차체를 탑재 지지하는 본체로서 도6, 도23, 도35와 같이 닥트형 하우징을 겸용하는 프레임(101∼103)의 형태 및 구조, 기능

    도7∼도9-2에 도시한 공기흡입구(109) 상판(104) 하판(105) 양측 상판(106) 하판(107)을 각 차종의 프레임(101∼103) 앞쪽 3각부에 경첩형으로 고정장착한 도10, 도24, 도36과 같은 형태의 구조로 된 장치 및 기능

    각 차종별 프레임(101∼103)의 공기흡입구(109) 기능이 도7∼도9-2에 도시된 상판(104) 하판(105) 양측 상판(106) 양측 하판(107)을 도10, 도24, 도36과 같이 조립(장착)하여 도15∼17 공기 흡입구(109) 개폐순서도와 같이 양측 상판(106)과 하판(107)이 동시에 내부로 접히면서 상판(104)은 하향 하판(105)은 상향하면서 횡 직4각 깔데기형으로 공기배출구(111)가 축소되어 공기 배출압을 높이는 형태와 구조 및 기능

    강우, 강설, 폭풍, 서행, 정차 등 주행시 내외부 여건에 따라 공기흡입구(109)가 도15∼17 개폐구 상세도와 같이 전자감지센서(303)의 인식에 따라 자동제어 작동되어 개폐되는 기능 및 방법

    프레임(101∼103)의 내부에 도6, 도24, 도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을 수직각으로 하는 6각 장방형 내부 하우징(113)이 설치되어 배출되는 공기를 양분하는 이중 하우징 구조, 형태, 기능

    공기흡입구(109)가 차량 주행시 부딪히는 맞바람을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내부 하우징(113)의 바깥쪽 양측 공간(114)으로 배출하는 구조 형태 및 기능

    프레임(101)의 닥트형 하우징 내부 구성 중 비행기형 날개 뒷부분에 도10과 같이 장치된 겹으로 된 이중판 플랩(302)(미도시)이 브레이킹시 이를 인식, 상하로 양분되어 펴지면서 배출공기를 차단하는 보조 브레이크 기능의 방법이 포함되고 브레이킹시 이를 인식 자동제어 작동하는 전자제어 시스템(305)의 기능

    프레임(101∼103) 닥트형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발전 유닛(201∼202)의 고장유무를 감지하는 전자감지시스템(304)

    내부하우징(113)에 발전기(201)가 장착되고 양측 공간(114)에 두 개의 팬(202)이 이 발전기(201)와 결합 일체화된 복수의 발전유닛의 형식과 장착부위 및 기능

    각 차종 프레임(101∼103) 아랫부분(밑바닥) 발전유닛 및 비행기형 날개 장착부가 도11, 도23, 도35와 같이 사다리(123)형 구조로서 도13, 도28, 도40과 같이 한 쪽이 경첩형(108)인 덮개(커버)(208, 208-1)를 덮어 볼트로 고정하고,

    4륜구동하는 자동차는 도42와 같이 덮개(커버, 208-2)를 볼트만으로 고정하여 발전유닛 및 프레임(101) 보조 브레이크용 플랩(302)의 이상 유무를 전자감지센서(304)(305)의 감지에 따라 개구 점검 수리 공간을 제공하는 사다리형(123) 프레임(101∼103)의 형식·구조·방법

    각 차종 엔진 모터부(306) 하부 프레임(101∼103)에 엔진모터(306)의 구동력을 트랜스 미션에 연결 전달하는 구동축 구동구(120)의 형식과 구조

    프레임(101∼103) 내부하우징(113) 양측 공간(114)의 앞 공기배출 입구에 만곡 하향하는 배출공기를 하부로 유도하는 유도판(115)이 도19 공기배출 진행도와 같이 하우징 양측공간(114) 높이의 1/2까지 장치가 포함되고 최종 배출구(121)가 만곡상향하여 도로 분진 발생을 방지하는 구조

    승용차 프레임(101)에 있어서 도10과 같이 공기흡입구(109) 뒤 부분 프레임(101)의 상판이 만곡반원통형(110)으로 제작되어 그 내부에 팬(202)이 휠(203)과 결합 일체화되어 장착된 앞부분에 발전기(201)와 휠(204)이 조합 장착된 다음 벨트(205)와 연결 1차 발전하는 발전 유닛의 구조 장착 위치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시 3차종 프레임(101∼103)이 도10, 도24, 도36과 같이 공기흡입구(109)가 양측 상판(106)과 하판(107)이 안쪽으로 접힌 후 상판(104)은 하향하고 상판(105)은 상향하며 횡직 4각 깔데기형의 닥트형 하우징으로 겸용되면서 위 3차종 차체를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가 되는 형태, 구조, 기능
  3. 청구항 1에 있어서
    위 3차종 공기흡입구를 각각의 프레임(101∼103) 도6, 도23, 도35 본체 앞 3각부에 상판(104) 하판(105) 양측판 상판(106) 하판(107) 경첩형으로 고정 장치되고 강우, 강설, 폭풍, 서행, 정차 등 운행 내외부 여건에 따라 전자감지센서(303)의 인식으로 개구, 폐구, 일부 개구 등이 자동제어 작동되는 형태와 구조 및 기능
  4. 청구항 1에 있어서
    위 각각의 프레임(101∼103) 본체 내부에 도10, 도24, 도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을 수직각으로 하는 6각 장방형 내부 하우징(113)이 설치되고 내부 하우징(113) 내에 발전기(201)와 양측방 공간(114)에 두 개의 회전 날개(팬)(202)가 결합 일체화된 복수의 발전유닛(201∼202)이 장착되는 구조 및 형태 방법과 기능
  5. 청구항 1에 있어서
    위 각 차종 프레임(101∼103) 내부에 발전유닛부가 장착된 프레임 밑부분을 도11, 도26, 도38과 같이 사다리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포함되고, 도28과 같이 한쪽이 경첩형(208, 208-1) 또는 볼트형 덮개(208-2)로 사다리형(123) 내부발전유닛부 공간을 덮어 볼트로 고정한 후 발전유닛의 고장 등 이상유무를 전자감지센서(304)의 인식에 따라 고장 점검 공간을 제공하는 형식과 형태 구조, 방법 및 기능
  6. 청구항 1에 있어서
    위 각 차종 엔진모터부(306) 하부 프레임(101∼103)에 엔진모터의 구동력을 트랜스미션에 연결전달하는 구동축 구동구(120)가 포함되고 프레임(101∼103) 내부 하우징(113) 양측공간(114) 공기배출구 앞쪽(입구)에 만곡하향하는 배출공기 유도판(115) 및 최종 배출구 유도판(121)이 만곡상향 제작되는 구조 방법 및 기능
  7. 청구항 1에 있어서
    도10과 같이 공기흡입구(109) 뒷부분 프레임(101) 상판이만곡반원통형(110)으로 제작되어 내부의 팬(202)과 외부에 휠(203)이 일체화 조립 장착되고 앞부분에 발전기(201)와 휠(204)이 조립 일체화되어 벨트(205)와 연결 1차 발전유닛이 발전하는 프레임의 구조, 발전유닛 장착 위치 및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레임(101) 뒷바퀴 차축부부터 뒷부분이 도10과 같이 전협후광의 역4각형 하우징 형태와 구조 및 뒷바퀴 차축부(112) 만곡상향부에 엔진모터(306)부 공냉용 통풍구(122)가 포함되고 복수의 직립 최종공기 배출유도판(116) 구조 형태 및 배열 방식과 기능
  9. 청구항1에 있어서
    프레임(101)의 비행기형 날개(301)의 구조 및 차체 양력 기능과 비행기 날개형 하부 공간을 커버(208-1)가 포함되고 플랩(302)이 이중형 겹플랩이 브레이킹시 자동인식센서(305)의 인식에 따라 상과 하로 펴지면서, 자동작동(미도시)하는 보조 에어 브레이크 기능
KR1020170014657A 2017-02-01 2017-02-01 풍력발전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KR20170019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657A KR20170019390A (ko) 2017-02-01 2017-02-01 풍력발전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657A KR20170019390A (ko) 2017-02-01 2017-02-01 풍력발전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779A Division KR101934835B1 (ko) 2018-06-05 2018-06-05 풍력발전 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390A true KR20170019390A (ko) 2017-02-21

Family

ID=58313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657A KR20170019390A (ko) 2017-02-01 2017-02-01 풍력발전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939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3905B1 (ja) * 2017-05-18 2017-10-18 株式会社光風エネルギー 移動体設置型発電装置
KR20190070390A (ko) 2017-12-12 2019-06-21 최기호 전기차용 포터블 발전기
KR20200005677A (ko) 2020-01-02 2020-01-15 최기호 전기차용 포터블 발전기
KR102103409B1 (ko) * 2018-10-15 2020-04-24 정성호 풍력발전기를 구비하는 전기 자동차
CN113581220A (zh) * 2021-06-18 2021-11-02 王金同 电动机车风力发电系统
CN115352266A (zh) * 2022-09-06 2022-11-18 南京十里文化有限公司 一种汽车行驶过程中的风力发电应用系统及应用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3905B1 (ja) * 2017-05-18 2017-10-18 株式会社光風エネルギー 移動体設置型発電装置
JP2018193943A (ja) * 2017-05-18 2018-12-06 株式会社光風エネルギー 移動体設置型発電装置
KR20190070390A (ko) 2017-12-12 2019-06-21 최기호 전기차용 포터블 발전기
KR102103409B1 (ko) * 2018-10-15 2020-04-24 정성호 풍력발전기를 구비하는 전기 자동차
KR20200005677A (ko) 2020-01-02 2020-01-15 최기호 전기차용 포터블 발전기
CN113581220A (zh) * 2021-06-18 2021-11-02 王金同 电动机车风力发电系统
CN115352266A (zh) * 2022-09-06 2022-11-18 南京十里文化有限公司 一种汽车行驶过程中的风力发电应用系统及应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9390A (ko) 풍력발전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KR101934835B1 (ko) 풍력발전 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US20070163829A1 (en) Vehicle comprises a wind turbine coupled to an electrical generator
CN103879465A (zh) 一种货车
US20220082088A1 (en) Translationally movable wind power plant
CN205440235U (zh) 一种可调节车内温度的机动车
CN102050010B (zh) 后置客车发动机舱强制排风散热结构
US20220371449A1 (en) Renewable Power Generation System for Vehicles
CN203995626U (zh) 一种增程式电动客车
CN204222868U (zh) 一种铁路客车风冷柴油发电机组
CN213291919U (zh) 汽车通风装置
CN201494326U (zh) 风力发电电动汽车
CN206107376U (zh) 纯电动汽车前舱减阻装置
CN202463824U (zh) 轨道车辆机械式废排装置
CN104747377A (zh) 一种车辆风阻发电装置
CN205149864U (zh) 一种新型的米轨交流传动内燃机车
CN205595427U (zh) 一种纯电动公路客车电池引风装置
CN209852443U (zh) 一种纯电动汽车全封闭底护板布置结构
CN202243491U (zh) 高速轨道车辆端部新风装置
CN211493579U (zh) 一种双层客车后置空调引风道的安装结构
CN202480829U (zh) 大中型机动车外配制冷装置
CN201951230U (zh) 后置客车发动机舱强制排风散热结构
CN109572442A (zh) 利用空气阻力发电、充电的汽车、轮船
CN201073924Y (zh) 汽车进气装置
CN217864138U (zh) 一种适用于高速磁浮列车的夹层通风机和轨道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