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600A -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 - Google Patents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600A
KR20170018600A KR1020150112434A KR20150112434A KR20170018600A KR 20170018600 A KR20170018600 A KR 20170018600A KR 1020150112434 A KR1020150112434 A KR 1020150112434A KR 20150112434 A KR20150112434 A KR 20150112434A KR 20170018600 A KR20170018600 A KR 20170018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rim
groove
rib
inf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2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9507B1 (ko
Inventor
한민현
김인영
강준
박성근
이우성
윤증섭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2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507B1/ko
Publication of KR20170018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33After-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vulcanising tyres
    • B29D30/0643Cooling during post cure inflation; Post cure inflators us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22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the curing continuing after removal from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yre Mould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류 작업을 마친 타이어가 안착된 림을 포함하는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 본체와, 상기 림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림에 강도를 보강하는 리브와, 상기 리브에 설치되어 팽창작업 시 발생하는 흄 가스를 흡수하는 흡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리브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 {The PCI Device}
본 발명은 가류 후 타이어 팽창작업(PCI, Post Cure Inflation) 시 발생하는 흄 가스를 흡수하는 흡착부재를 포함하는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 제조 시, 원재료인 천연고무에 흑색안료의 일종인 카본블랙(Carbon Black)과 황(Sulfur) 등의 여러 가지 약품을 혼합한 배합고무를 압출한다. 압출한 배합고무를 코드나 와이어 등에 토핑(Topping)하는 압연 공정을 거쳐, 재단된 여러 가지 반제품을 성형기에 조합하는 성형공정을 통하여 그린 타이어를 완성한다.
이러한 그린 타이어를 금형에 넣고 일정시간 동안 고압과 고열을 가하여 배합과정에서 투입된 가류계를 반응시켜 타이어 내의 유황과 고무분자가 완전히 결합하여(화학적 결합) 안정된 고유성질을 얻도록 하는 가류 공정을 거쳐 타이어를 제조한다.
이렇게 가류 공정 직후에 완성된 뜨거운 타이어를 림(1)에 안착한 후 내압을 넣어 냉각시킴으로써 치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합성 섬유인 나일론의 경우, 가류 후 냉각되면서 바로 수축이 발생하여 타이어 트레드의 홈 등이 바로 변형될 가능성이 크며, 이를 그대로 냉각하여 사용 시 타이어 바닥에 무리가 생겨서 주행 중 크랙이 발생하거나 내압에 의한 타이어 성장 또는 치수 불균일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타이어는 일반적으로 1 사이클의 가류 공정과 2 사이클의 팽창공정(PCI, Post Cure Inflation)을 거치게 된다.
이때 가류 공정 직후의 타이어(3)는 흄 가스가 기화되면서 바로 림(1)에 안착되어 응고되며, 응고된 흄이 적층된 림(1)에 타이어(3)가 안착되어 타이어(3) 내측의 오염이 심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도 3의 점선 표시 참조)
또한, 림(1)에 적층된 흄이 림(1)에 장착된 타이어의 비드부 및 타이어 내/외부에도 흘러 들어가 제품의 품질을 저하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흄이 전이된 타이어는 외형상 이물질이 발생하여 부적합 판정을 받고 수리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런 경우 작업자가 팽창기의 가동을 멈추고 청소해야 하고, 수리에 필요한 인력을 추가로 필요하므로, 타이어 제조 비용이 증가하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4-002578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흄을 공기 중에 분산하는 장치도 평가해봤지만 바닥이 미끄러워지고 설비가 오염되는 등 현장 환경에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33571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흄 가스를 제거하도록 흡착부재를 설치하여 품질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의 청구항 1은,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 본체와, 상기 림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림에 강도를 보강하는 리브와, 상기 리브에 설치되어 팽창작업 시 발생하는 흄 가스를 흡수하는 흡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리브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는,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홈에 억지 끼워 맞춤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은, 상기 흡착부재는 스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는, 상기 림은 테프론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청구항 1에 따라서, 흄 가스로 인한 타이어의 오염을 방지하여 타이어의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림의 청소 주기를 연장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라서, 별도의 체결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경량화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라서, 신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흡수성이 뛰어나 많은 양의 흄 가스를 흡수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타이어에 전이되는 흄 가스를 제거하게 되므로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라서, 타이어에 부착된 흄 가스 외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림에 흄 가스 외 이물질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
도 2는 도 1의 림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림에 흄 가스가 많이 응고되는 부분 표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1에 따른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흡착부재 설치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2에 따른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흡착부재 설치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1에 따른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흡착부재 설치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2에 따른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흡착부재 설치도이다.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는, 가류 작업을 마친 타이어가 안착된 림(1)을 포함한다.
상기 림(1)은 테프론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하여 응고된 흄이 상기 림(1)에 눌러붙는 것을 방지하며, 림(1) 청소주기를 연장하게 되며, 작업자가 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는,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 본체(11)와, 상기 림 본체(11)에 형성되며 상기 림(1)에 강도를 보강하는 리브(12)와, 상기 리브에 설치되어 팽창작업(PCI, Post Cure Inflation) 시 발생하는 흄 가스를 흡수하는 흡착부재(140,150)를 포함하되, 상기 리브(12)에는 홈(14,15)이 형성되며, 상기 흡착부재(140,150)는 상기 홈(14,15)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팽창작업(PCI, Post Cure Inflation)이란, 가류기에서 가류 되어 나온 타이어에서 고온의 나일론 코드가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이어 내부에 공기를 넣고 일정 시간 팽창기에 걸어 타이어 원형을 유지하는 작업이다.
즉, 가류된 타이어를 뜨거운 상태로 공기 중에 냉각하게 되면 여러 층으로 된 나일론 코드에 수축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작업인 것이다.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PCI 장치, Post Cure Inflation 장치)는 가류가 이뤄진 타이어를 이송하여 타이어의 비드부와 팽창기의 림을 결합하여 팽창작업(PCI, Post Cure Inflation)을 실시하는 장치이다.
[실시 예 1]
림(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 본체(11)와 리브(12)를 포함한다.
상기 림 본체(11)는 중공(19)이 형성된 원형 형태이며, 타이어가 장착된다.
상기 림 본체(11)의 상면에는 리브(12)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12)는 상기 림(1)에 강도를 보강하도록 한다.
상기 림 본체(11)의 상면과 상기 리브(12)의 측면에는 타이어가 설치되는 타이어 안착면(13)이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리브(12)에는 홈(15)이 형성된다.
상기 홈(14)은 상기 안착면(13)에서 상기 리브(12)의 내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홈(14)은 제1면(141)과 제2면(142)과 제3면(143)과 제4면(144)을 포함한다.
상기 제1면(141)은 상기 림 본체(11)와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면(141)의 일측은 상기 안착면(13)과 연결되고, 상기 제1면(141)의 타측은 상기 제2면(142)과 연결된다.
상기 제2면(142)은 상기 제1면(141)의 일단에서 상부로 형성된다.
상기 제2면(142)의 일측은 상기 제1면(141)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면(142)의 타측은 상기 제3면(143)의 일측과 연결된다.
이러한 제2면(142)은 제1면(141) 및 후술할 제3면(143)과 수직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면(143)은 상기 제2면(142)의 일단에서 림 본체(11)의 외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3면(143)의 일측은 상기 제2면(142)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3면(143)의 타측은 상기 제4면(144)의 일측과 연결된다.
이러한 제3면(143)은 제2면(142)과 수직하도록 형성되고, 제1면(141)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면(144)은 상기 제3면(143)의 일단에서 상부로 형성된다.
상기 제4면(144)의 일측은 상기 제3면(143)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4면(144)의 타측은 상기 안착면(13)과 연결된다.
이러한 제1면(141)과 제2면(142)과 제3면(143)과 제4면(144)으로 이뤄진 홈(14)에는 흡착부재(140)가 설치된다.
상기 흡착부재(140)는 상기 홈(14)에 억지 끼워 맞춤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흡착부재(140)는 스펀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별도의 체결부재가 없더라도 홈(14)에 안전하게 장착하거나 타이어를 림(1)에서 제거할 때 흄을 원활히 제거한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 1의 작용을 설명한다.
흡착부재(140)를 홈(14)에 억지 끼워 맞춤한다.
타이어 팽창작업(PCI, Post Cure Inflation)을 실시한다.
[실시 예 2]
림(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 본체(11)와 리브(12)를 포함한다.
상기 림 본체(11)는 중공(19)이 형성된 원형 형태이며, 타이어가 장착된다.
상기 림 본체(11)의 상면에는 리브(12)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12)는 상기 림(1)에 강도를 보강하도록 한다.
상기 림 본체(11)의 상면과 상기 리브(12)의 측면에는 타이어가 설치되는 타이어 안착면(13)이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리브(12)에는 홈(15)이 형성된다.
상기 홈(15)은 상기 리브(12)의 상면에서 하부로 파인 형태이다.
상기 홈(15)은 제1면(151)과 제2면(152)과 제3면(153)과 제4면(154)과 제5면(155)과 제6면(156)을 포함한다.
상기 제1면(151)은 곡률반경을 가진 곡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타이어의 안착면(13)과 연결된다.
상기 제1면(151)의 일측은 상기 안착면(13)과 연결되고, 상기 제1면(151)의 타측은 제2면(152)과 연결된다.
상기 제2면(152)은 상기 제1면(151)의 일단에서 하부로 형성된다.
상기 제2면(152)의 일측은 상기 제1면(151)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면(152)의 타측은 제3면(153)의 일측과 연결된다.
이러한 제2면(152)은 제1면(151)의 타단과 수직하도록 형성되고, 후술할 제3면(153)과 수직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3면(153)은 상기 제2면(152)의 일단에 형성된다.
상기 제3면(153)의 일측은 상기 제2면(152)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3면(153)의 타측은 후술할 제4면(154)의 일측과 연결된다.
이러한 제3면(153)은 제2면(152)과 수직하도록 형성되고, 후술할 제4면(154)과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4면(154)은 상기 제3면(153)의 일단에서 상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4면(154)은 상기 제3면(153)과 예각을 이루며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4면(154)은 상부로 갈수록 상기 제2면(152)과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홈(15)의 입구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하는 것이다.
상기 제4면(154)의 일측은 상기 제3면(153)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4면(154)의 타측은 후술할 제5면(155)의 일측과 연결된다.
상기 제5면(155)은 상기 제4면(154)의 일단에 형성된다.
상기 제5면(155)의 일측은 상기 제4면(154)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5면(155)의 타측은 상기 제6면(156)의 일측과 연결된다.
이러한 제5면(155)은 제3면(153)과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제4면(154)과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6면(156)은 상기 제5면(155)의 타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6면(156)은 상기 리브(12)의 상면과 연결된다.
이러한 제6면(156)은 곡률반경을 갖는 곡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면(151)과 제2면(152)과 제3면(153)과 제4면(154)과 제5면(155)과 제6면(156)으로 이뤄진 홈(15)에는 흡착부재(150)가 설치된다.
상기 흡착부재(150)는 상기 홈(15)에 억지 끼워 맞춤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흡착부재(150)는 스펀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별도의 체결부재가 없더라도 홈(15)에 안전하게 장착하거나 타이어를 림(1)에서 제거할 때 흄을 원활히 제거한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홈(15)은 흄이 가장 많이 고이게 되는 부분으로, 흡착부재(150)를 설치하게 되면 흄이 외부로 나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타이어 장착 및 탈거 시 흡착부재(150)가 빠질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 2의 작용을 설명한다.
흡착부재(150)를 홈(15)에 억지 끼워 맞춤한다.
타이어 팽창작업(PCI, Post Cure Inflation)을 실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는, 특히, 응고된 흄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에 적합하다.
1: 림 11: 림 본체
19: 중공 12: 리브
13: 안착면
14: 실시 예 1의 홈 141: 제1면
142: 제2면 143: 제3면
144: 제4면 140: 흡착부재
15: 실시 예 2의 홈 151: 제1면
152: 제2면 153: 제3면
154: 제4면 155: 제5면
156: 제6면 150: 흡착부재

Claims (4)

  1. 가류 작업을 마친 타이어가 장착된 림을 포함하는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 본체와,
    상기 림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림에 강도를 보강하는 리브와,
    상기 리브에 설치되어 팽창작업 시 발생하는 흄 가스를 흡수하는 흡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리브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홈에 억지 끼워 맞춤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는 스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림은 테프론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
KR1020150112434A 2015-08-10 2015-08-10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 KR101739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434A KR101739507B1 (ko) 2015-08-10 2015-08-10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434A KR101739507B1 (ko) 2015-08-10 2015-08-10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600A true KR20170018600A (ko) 2017-02-20
KR101739507B1 KR101739507B1 (ko) 2017-05-24

Family

ID=58265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434A KR101739507B1 (ko) 2015-08-10 2015-08-10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5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710B1 (ko) 2013-08-29 2013-12-04 동화산기 (주) 가류 후의 타이어 팽창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6609B2 (ja) * 2003-11-27 2009-04-02 チコーエアーテック株式会社 ヒューム捕集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710B1 (ko) 2013-08-29 2013-12-04 동화산기 (주) 가류 후의 타이어 팽창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507B1 (ko)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37053A (ja) タイヤ加硫モールド
KR101739507B1 (ko) 가류 후 타이어 팽창기
CN106029352B (zh) 用于生轮胎的表面处理的方法和设备
US3120571A (en) Method of tire diameter regulation in post inflation
US11931979B2 (en) Tire vulcanization mol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ire
CN106239955A (zh) 一种轮胎翻新工艺
US10336026B2 (en) Use of vacuum to increase effective skid depth of pre-cured tread
KR102056392B1 (ko) 타이어 가류 장치
JP2008155567A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US20170021671A1 (en) Precured tire tread with fabric reinforcing layer
US2514183A (en) Safety inner tube
JP2004188610A (ja) 更生タイヤの製造方法
KR20100064045A (ko) 타이어 몰드의 청소 방법
KR20040074893A (ko) 자동차 타이어 제조방법
US1258506A (en) Process of making tires.
CN102380962B (zh) 一种轮胎翻新的方法
JPH07246665A (ja) 更生タイヤの製造方法
JP2008093983A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US3194712A (en) Whitewall applying apparatus
RU2811590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шины
WO2015130302A1 (en) Improved tire repair patch application
KR101742277B1 (ko) 벤트리스 플러그가 설치된 타이어 가류 몰드 크리닝 장치
JP2016034710A (ja) タイヤ補修装置
KR102149239B1 (ko) 반제품 변형 및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에이펙스 플레이트
KR0135222Y1 (ko) 타이어가류용 투피스몰드의 타이어 크랙발생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