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071A - 외상 치료제 및 외상 치료 재료 - Google Patents

외상 치료제 및 외상 치료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071A
KR20170018071A KR1020177001807A KR20177001807A KR20170018071A KR 20170018071 A KR20170018071 A KR 20170018071A KR 1020177001807 A KR1020177001807 A KR 1020177001807A KR 20177001807 A KR20177001807 A KR 20177001807A KR 20170018071 A KR20170018071 A KR 20170018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alkyl ester
glycerin
diglycerin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7247B1 (ko
Inventor
나오스케 구니모토
겐이치 스즈키
고야 고지마
아키라 하세가와
야스후미 쓰치야
준 가마다
사토시 야마사키
고로 구와무라
다이스케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8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2Hollow drug-filled fibres, tubes of the core-shell type, coated fibres, coated rods, microtubules or nano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2Tissue-regenerating or healing or proliferative agents

Abstract

식(I)로 표시되는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및 식(II)로 표시되는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중 적어도 한쪽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외상 치료제.

Description

외상 치료제 및 외상 치료 재료{THERAPEUTIC AGENT FOR SURFACE WOUND, AND MATERIAL FOR TREATING SURFACE WOUND}
본 발명은 외상 치료제 및 외상 치료 재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폴리올레핀계 섬유로 이루어지고, 투수성을 갖고,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가 포상물(布狀物)에 대해 0.05∼1질량% 부착 잔존하여 이루어지는 포상물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 (A)∼(C) 성분((A) 저급 알코올, (B) (b1) 유기산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b2) 무기산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 (C) 모노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솔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터, 자당 지방산 에스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을, 조성물 전체에 대해 소정의 비율로 함유함과 더불어, (D) 성분으로서 물을 함유하고, 또한 조성물의 원액의 pH가 25℃에서 8∼12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살균 소독제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25℃에서의 점도가 50∼1000mPa·s의 범위인 화장유를 부직포에 함침시키는 것, 및 화장유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를 함유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일본 특허공개 평2-21626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9-17364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6-248908호 공보
그렇지만, 외상 치료에 있어서 소정의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나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가 유효 성분이 될 수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외상에 대해서 치료 효과가 있는 외상 치료제 및 외상 치료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은 이하와 같다.
<1> 아래 식(I)로 표시되는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및 아래 식(II)로 표시되는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중 적어도 한쪽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외상 치료제.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식(I) 중, R1,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R1∼R3 중 적어도 1개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이다. 식(II) 중, R4, R5,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R4∼R7 중 적어도 1개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이다.]
<2> 상기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는 글리세린 팔미테이트 및 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이며, 상기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는 다이글리세린 팔미테이트 및 다이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인 <1>에 기재된 외상 치료제.
<3> 열가소성 수지와, 아래 식(I)로 표시되는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및 아래 식(II)로 표시되는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중 적어도 한쪽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섬유 집합체 또는 필름을 갖는 외상 치료 재료.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식(I) 중, R1,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R1∼R3 중 적어도 1개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이다. 식(II) 중, R4, R5,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R4∼R7 중 적어도 1개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이다.]
<4> 상기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는 글리세린 팔미테이트 및 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이며, 상기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는 다이글리세린 팔미테이트 및 다이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인 <3>에 기재된 외상 치료 재료.
<5>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올레핀계 수지, 유레테인계 수지, 아마이드계 수지, 에스터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타이렌계 수지 및 카보네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지인 <3> 또는 <4>에 기재된 외상 치료 재료.
<6>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올레핀계 수지인 <5>에 기재된 외상 치료 재료.
<7>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한쪽인 <5> 또는 <6>에 기재된 외상 치료 재료.
<8> 상기 섬유 집합체는 부직포인 <3>∼<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상 치료 재료.
본 발명에 의하면, 외상에 대해서 치료 효과가 있는 외상 치료제 및 외상 치료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부직포 A, B를 첩부한 열상(熱傷) 부위에 있어서의, 3일 후, 6일 후 및 9일 후의 피부 증상의 스코어를 나타낸다.
도 2는 0일 후(열상 부위 제작 직후)의 열상 부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화상이다.
도 3은 3일 후의 열상 부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화상이다.
도 4는 6일 후의 열상 부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화상이다.
도 5는 9일 후의 열상 부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화상이다.
도 6은 필름 1∼3을 첩부한 열상 부위 및 무처치부에 있어서의, 3일 후, 6일 후 및 9일 후의 피부 증상의 스코어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로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외상 치료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외상 치료제는, 아래 식(I)로 표시되는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및 아래 식(II)로 표시되는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중 적어도 한쪽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식(I) 중, R1∼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R1∼R3 중, 적어도 1개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이다. 식(II) 중, R4∼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R4∼R7 중, 적어도 1개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외상 치료제는, 소정의 화학 구조를 갖는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및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중 적어도 한쪽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에 의해, 물리적 또는 화학적인 외적 요인(외인)에 의해 일어나는, 피부 등의 체조직의 손상(외상)에 대해서 치료 효과가 있다.
외상으로서는, 물리적 원인에 의한 외상, 화학적 원인에 의한 외상을 들 수 있다. 물리적 원인에 의한 외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기계적 외력에 의한 손상, 열이나 적외선, 자외선에 의한 열상(화상), 전류에 의한 전격상 등이 있다. 화학적 원인에 의한 외상으로서는, 산, 알칼리, 세균이나 미생물 등에 의한 피부 등의 손상을 들 수 있다.
외상 치료제를 이들 외상에 도포하거나, 또는 기재에 도포한(부착시킨) 외상 치료제를 외상과 접촉시키는 것 등에 의해, 외상에 대한 치료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외상 치료제 중에 포함되는 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는, 이하의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07
식(I) 중, R1,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를 나타낸다. R1∼R3 중, 적어도 1개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이다.
그 중에서도, 식(I) 중, R1∼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2∼20의 아실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6∼18의 아실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R1∼R3의 아실기의 구조로서는, C11H23CO-, C13H27CO-, C15H31CO-, C17H35CO-, C19H39CO-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C15H31CO-, C17H35CO-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로서는, 글리세린 팔미테이트, 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가 바람직하다.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로서는, 모노에스터, 다이에스터 또는 트라이에스터를 들 수 있지만, 모노에스터가 바람직하다. 모노에스터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는, 이하의 식(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08
식(II) 중, R4, R5,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이다. R4∼R7 중, 적어도 1개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이다.
그 중에서도, 식(II) 중, R4∼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2∼20의 아실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6∼18의 아실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로서는, 다이글리세린 팔미테이트, 다이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다이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로서는, 모노에스터, 다이에스터, 트라이에스터, 또는 테트라에스터를 들 수 있지만, 모노에스터가 바람직하다. 모노에스터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식(I)로 표시되는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및 상기 식(II)로 표시되는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중 적어도 한쪽의 화합물의 함유량은, 외상에 대해서 치료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필요한 양이 외상 치료제에 함유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외상 치료제 100질량부에 대해서, 0.05질량부 이상 5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질량부 이상 4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질량부 이상 3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 밖의 성분)
외상 치료제는, 필요에 따라서, 종래 공지인 그 밖의 성분을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탄화수소유, 에스터유, 고급 지방산, 실리콘유, 불소계유 등의 유성 성분, 유기산,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무기산, 무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계면활성제, 자외선 흡수제, 피부 자극 완화제, 수용성 용제, 염료, 향료, 방부제, 살균제, 보습제, 피부 수렴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외상 치료 재료]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외상 치료 재료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른 외상 치료제는, 열가소성 수지와, 아래 식(I)로 표시되는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및 아래 식(II)로 표시되는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중 적어도 한쪽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섬유 집합체를 갖는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식(I) 중, R1,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R1∼R3 중 적어도 1개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이다. 식(II) 중, R4, R5,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R4∼R7 중 적어도 1개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외상 치료 재료는, 소정의 화학 구조를 갖는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및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중 적어도 한쪽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섬유 집합체를 갖는 것에 의해, 전술한 외상에 대해서 치료 효과가 있다. 또,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섬유 집합체의 부분을 외상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장시간에 걸쳐 외상에 대한 치료 효과가 얻어진다.
한편, 상기 식(I)로 표시되는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및 상기 식(II)로 표시되는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는, 상기의 외상 치료제에서의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및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와 공통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외상 치료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위생 재료, 의료용 제품, 그들의 소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외상 치료 재료의 사용 형태는, 외상 치료 재료를 외상 부분에 접촉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외상 치료 재료에 점착성이나 접착성을 부여하고, 외상 치료 재료를 외상 부분에 직접 첩부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점착성이나 접착성을 구비하는 기재의 일부에 외상 치료 재료를 첩부하고, 외상 치료 재료를 첩부한 면을 피부에 첩부하여 사용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상 치료 재료로서는, 욕창 방지 또는 욕창의 증상 개선에 이용하기 위한, 시트, 침대의 매트리스 원단, 커버(이불, 베개 등의 커버), 침대 패드, 속옷·T셔츠, 환자복, 검사복, 팬츠; 살갗이 틈 등의 절창(切創)의 방지 또는 증상 개선에 이용하기 위한, 장갑, 양말, 붕대; 구강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잇몸 충전재, 근관(根管) 충전재;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하는 섬유 집합체로서는, 부직포, 직물, 편물, 고면(固綿), 초지(抄紙) 등의 시트 형태를 한 섬유 시트, 또는 합연사, 끈목이나 로프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부직포로서는, 스펀본드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멜트블론 부직포 등의 각종 부직포를 들 수 있다.
부직포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여러 가지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습식법(초지 방식), 건식법(에어레이 방식, 카딩 방식), 멜트블로법, 스펀본드법 등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 초지에서 이용되는 분산제, 점제, 지력제 등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서 배합해도 된다. 부직포 섬유의 형상으로서는 환형, 각형, 각종 이형 등 여러 가지 공지의 단면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하는 부직포로서는, 모노컴포넌트형이어도 되고, 심초형·분할형·해도형으로부터 선택되는 복합 섬유이어도 된다. 이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상기 식(I)로 표시되는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및 상기 식(II)로 표시되는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중 적어도 한쪽은 복합 섬유 전체에 포함되어도 되고, 복합 섬유를 형성하는 일부의 수지에 포함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하는 부직포로서는, 2종류 이상의 섬유가 혼합되어 있어도 된다. 혼합 섬유의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상기 식(I)로 표시되는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및 상기 식(II)로 표시되는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중 적어도 한쪽은 2종류 이상의 섬유 전체에 포함되어도 되고, 일부의 섬유에만 포함되어도 된다.
(열가소성 수지)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에는,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라고 칭해지고, 온도의 상승과 함께 연화되어 유동성을 나타내며, 냉각되면 비교적 딱딱하고 강도가 있는 상태가 되지만, 고무상 탄성을 갖지 않는 고분자 화합물뿐만 아니라, 결정성이고 융점이 높은 하드 세그먼트 또는 높은 응집력의 하드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폴리머와, 비결정성이고 유리 전이 온도가 낮은 소프트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폴리머를 갖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온도의 상승과 함께 연화되어 유동성을 나타내며, 냉각되면 비교적 딱딱하고 강도가 있는 상태가 되고, 또한 고무상 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도 포함된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올레핀계 수지, 유레테인계 수지, 아마이드계 수지, 에스터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타이렌계 수지 및 카보네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지를 들 수 있다. 한편, 이들 열가소성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특히 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수지는 생체 적합성이 좋아, 피부에 닿는 용도에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합하다.
유레테인계 수지는 투습성이 있기 때문에, 외상 치료제 용도에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수지, 유레테인계 수지 및 아마이드계 수지는 부드러운 탄성 수지이며, 피접촉체의 요철면에 대해서도 추종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사용 온도 범위가 넓고, 내광성도 우수하므로, 장기간의 사용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올레핀계 수지」란, 올레핀의 단독중합체, 2종 이상의 올레핀의 공중합체, 2종 이상의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폴리머 블렌드 또는 폴리머 얼로이, 또는 올레핀과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한쪽인 것이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에틸렌계 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과, 탄소수 3∼12의 α-올레핀, 스타이렌, 아세트산 바이닐,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아이오노머 등의 각종 바이닐 화합물의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중합체를 들 수 있다.
탄소수 3∼12의 α-올레핀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프로필렌, 1-뷰텐, 1-펜텐, 3-메틸-1-뷰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등을 들 수 있다.
또,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블록형의 프로필렌/에틸렌계 공중합체, 랜덤형의 프로필렌/에틸렌계 공중합체, 블록형의 프로필렌/에틸렌/뷰틸렌 공중합체, 랜덤형의 프로필렌/에틸렌/뷰틸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그 밖에도, 폴리뷰텐, 폴리메틸펜텐 등의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중합체, 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등을 예로서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올레핀계 수지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미쓰이화학주식회사제의 「타프머(등록상표)」 시리즈(예를 들면, A4085S, XM-7070, A20085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올레핀계 수지는, 신축성 및 피접촉체에 대한 추종성의 관점에서,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서는, 예를 들면, 적어도 폴리올레핀이 결정성이고 융점이 높은 하드 세그먼트를 형성하고, 다른 폴리머(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다른 폴리올레핀, 폴리바이닐 화합물 등)가 비결정성이고 유리 전이 온도가 낮은 소프트 세그먼트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하드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뷰텐 등을 예로서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미쓰이화학주식회사제의 「노티오(등록상표)」 시리즈(예를 들면, PN 3560, PN 2060)를 이용할 수 있다.
유레테인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유레테인계 수지는, 기본적으로는, 폴리올 화합물과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을 원료로 하여 중합 부가 반응에 의해 합성된다. 폴리올 화합물 및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국제공개 제2009/051114호에 기재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 다이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폴리에터 폴리올; 폴리에스터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또는 트라이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에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아마이드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아마이드계 수지는, 다이아민 화합물과 다이카복실산 화합물의 중축합, 아미노카복실산 화합물의 중축합, 락탐류의 개환 중합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구체적인 아마이드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6-나일론, 6,6-나일론 등을 들 수 있다.
다이아민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다이아민, 1,2-프로페인다이아민, 헥사메틸렌다이아민, 옥타메틸렌다이아민, o-페닐렌다이아민, m-페닐렌다이아민, p-페닐렌다이아민, 피페라진, 2,5-다이메틸피페라진, 4,4'-다이아미노페닐 에터, 자일릴렌다이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다이카복실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옥살산, 말론산, 석신산, 아디프산, 아세톤다이카복실산, 세바크산, 푸마르산,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프탈산, 아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2-뷰틸테레프탈산, 테트라클로로테레프탈산, 아세틸렌다이카복실산, 1,2-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 ω-폴리(에틸렌옥시)다이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카복실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신, 알라닌, 페닐알라닌, ω-아미노헥산산, ω-아미노데칸산, ω-아미노운데칸산 등을 들 수 있다.
락탐류로서는, 예를 들면, ω-카프로락탐, 아제티디논, 피롤리돈 등을 예로서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마이드계 수지에는, 폴리아마이드계 엘라스토머도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폴리아마이드계 엘라스토머」란, 결정성이고 융점이 높은 하드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폴리머와 비결정성이고 유리 전이 온도가 낮은 소프트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폴리머를 갖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고, 하드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폴리머의 주쇄에 아마이드 결합(-CONH-)을 갖는 것을 말한다.
폴리아마이드계 엘라스토머로서는, 예를 들면, 적어도 폴리아마이드가 결정성이고 융점이 높은 하드 세그먼트를 형성하고, 다른 폴리머(예를 들면, 폴리에스터, 폴리에터 등)가 비결정성이고 유리 전이 온도가 낮은 소프트 세그먼트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아마이드계 엘라스토머로서는, JIS K6418:2007에 규정되는 아마이드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A) 등을 예로서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스터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에스터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아이소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락트산 등을 예로서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n-뷰틸, 아크릴산 t-뷰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아크릴산 2-다이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n-뷰틸, 메타크릴산 t-뷰틸,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크릴산 2-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등의 각종 아크릴산, 아크릴산 에스터, 메타크릴산, 메타크릴산 에스터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타이렌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스타이렌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스타이렌, 폴리(α-메틸스타이렌)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스타이렌계 수지에는, 폴리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도 포함된다. 폴리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로서는, 예를 들면, 적어도 폴리스타이렌이 하드 세그먼트를 형성하고, 다른 폴리머(예를 들면, 폴리뷰타다이엔, 폴리아이소프렌, 폴리에틸렌, 수첨 폴리뷰타다이엔, 수첨 폴리아이소프렌 등)가 비결정성이고 유리 전이 온도가 낮은 소프트 세그먼트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예로서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스타이렌-뷰타다이엔계 공중합체[SB(폴리스타이렌-폴리뷰타다이엔), SBS(폴리스타이렌-폴리(뷰틸렌) 블록-폴리스타이렌), SEBS(폴리스타이렌-폴리(에틸렌/뷰틸렌) 블록-폴리스타이렌)], 스타이렌-아이소프렌계 공중합체[SIS(폴리스타이렌-폴리아이소프렌 블록-폴리스타이렌)], 스타이렌-프로필렌계 공중합체[SEP(폴리스타이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 SEPS(폴리스타이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 블록-폴리스타이렌), SEEPS(폴리스타이렌-폴리(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폴리스타이렌), SEB(폴리스타이렌(에틸렌/뷰틸렌) 블록)] 등을 예로서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사히화성주식회사제의 「터프텍」 시리즈(예를 들면, H1041, H1043, H1051, H1052, H1053, H1062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뷰테인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I)로 표시되는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및 상기 식(II)로 표시되는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중 적어도 한쪽의 화합물의 함유량은, 외상에 대해서 치료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필요한 양이 섬유 집합체에 함유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서, 0.05질량부 이상 5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질량부 이상 4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질량부 이상 3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 집합체는, 필요에 따라서, 종래 공지인 그 밖의 성분을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전술한 외상 치료제에 포함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외상 치료 재료는, 섬유 집합체를 이루는 섬유 내에 열가소성 수지와 식(I)로 표시되는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및 식(II)로 표시되는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섬유 표면에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등의 화합물을 도포 등 하여 부착시킨 형태와 달리, 사용 중에 흘러 내리는 경우가 없어, 유효 성분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외상 치료 효과가 높다.
이와 같은 섬유를 얻기 위해서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섬유 또는 부직포를 얻을 때에, 열가소성 수지 펠렛에 해당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등을 첨가하여 방사하면 된다.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등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펠렛, 이른바 마스터배치를 사용하면, 보다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형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외상 치료 재료로서, 열가소성 수지와, 상기 식(I)로 표시되는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및 상기 식(II)로 표시되는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중 적어도 한쪽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시트(필름)를 갖는 외상 치료 재료로 할 수 있다.
또한, 외상 치료 재료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외상 치료 재료에 대해서 기능을 부여해도 되고, 예를 들면, 수지 시트의 표면에 미세한 볼록부가 형성되고, 점착성 또는 접착성을 외상 치료 재료에 구비시켜도 된다.
점착성 또는 접착성을 구비하는 점착성 시트 또는 접착성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8153254호 명세서,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10/0080951호 명세서, 일본 특허공개 2008-201883호 공보,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11/0271497호 명세서 등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표면에 미세한 볼록부가 형성된 수지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기부(基部)와 상기 기부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주상(柱狀)의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상의 볼록부의 높이가 100nm 이상 200μm 이하이며, 상기 기부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의 투영 면적의 단위 면적당의 상기 주상의 볼록부의 수가 104개/cm2 이상 1010개/cm2 이하이며, 상기 수의 주상의 볼록부가 형성된 상기 기부의 표면의 투영 면적의 단위 면적에 대한, 상기 수의 주상의 볼록부의 정부의 합계 면적의 비율이 1×10-10 이상 1-1×10-10 이하이며, 적어도 상기 기부 및 상기 볼록부에 포함되는 수지가 열가소성 수지이고,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프로브 택 시험법에 의해 측정되는, 25℃에서의 택력이 25N/cm2 이하인 수지 시트를 들 수 있다. 한편,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전술한 각 수지를 이용하면 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프로브 택 시험법에 의해 측정되는 25℃에서의 택력이 25N/cm2 이하이며, 20N/c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N/cm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25℃에서의 택력이 지나치게 강하면, 성형 시에 성형물이 금형으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져, 수지 시트의 성형성이 저하된다. 또한, 성형한 주상의 볼록부끼리가 서로 모여, 들러붙은 채의 상태가 되기 쉬워, 수지 시트의 형상 유지성이 저하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25℃에서의 택력이 25N/cm2 이하이면, 성형 시에 성형물이 금형으로부터 빠지기 쉬워, 성형성이 우수한 수지 시트가 된다. 또한, 성형한 주상의 볼록부끼리가 서로 모이기 어려워서, 들러붙은 채의 상태가 되기 어려워, 형상 유지성이 우수한 수지 시트가 된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25℃에서의 택력의 하한값은 0.01N/cm2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25℃에서의 택력이 지나치게 약하면, 수지 시트의 주상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다른 재질(상기 기부 및 볼록부에 포함되는 수지와는 상이한 수지)의 부재(예를 들면, 지지체 등)를 형성하는 경우에, 부재가 접착하기 어려워진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25℃에서의 택력이 0.01N/cm2 이상이면, 다른 재질의 부재와의 접착성에 문제가 생기기 어렵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25℃에서의 택력은, 태킹 시험기(TAC-II, 주식회사 레스카제)를 이용하여, 이하의 측정 조건에 의해 측정되는 값이다. 실온(25℃)하, 직경 5mm의 스테인레스제 원주상 프로브를,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 시트의 표면에 120mm/분의 속도로 접촉시키고, 200N/cm2의 하중을 1초간 가한 후, 프로브를 수직 방향으로 120mm/분의 속도로 잡아떼고, 이때에 프로브가 점착력에 의해 받는 저항값(하중값)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25℃에서의 택력을 구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 E'로서는, 1MPa 이상 5G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MPa 이상 1G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MPa 이상 500MPa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 E'가 지나치게 크면, 요철을 갖는 면에 수지 시트를 접촉시킨 경우에 추종성이 나빠, 수지 시트에 들뜸이 생기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 E'가 지나치게 작으면, 주상의 볼록부끼리가 서로 모여 들러붙기 쉬워져, 수지 시트의 형상 유지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 E'가 상기 범위 내이면, 주상의 볼록부끼리가 서로 모이기 어려워서, 들러붙은 채의 상태가 되기 어려워, 형상 유지성이 보다 우수한 수지 시트가 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 E'는, 고체 점탄성 측정 장치(RSA-III, 티·에이·인스트루먼츠·재팬 주식회사제)를 이용하여, 이하의 측정 조건에서 측정되는 값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 시트를, 폭 3mm×길이 5cm의 단책상(短冊狀)으로 잘라내고, 척간 20mm로 지그에 세팅하고, 질소 환경하, -50℃부터 100℃까지 3℃/분의 속도로 승온하면서, 측정 주파수 1Hz에서 저장 탄성률 E'를 인장 모드로 측정하는 것에 의해, 25℃에서의 저장 탄성률 E'를 구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연화점이 40℃ 이상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 3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이상 3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연화점이 지나치게 높으면, 성형 중에 수지가 분해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연화점과 실온의 온도차가 지나치게 커지면, 히트 사이클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수지 시트의 제조 효율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연화점이 지나치게 낮으면, 사용 시의 실온에서 수지가 연화되어, 볼록부끼리 들러붙은 상태가 되기 쉬워, 수지 시트의 형상 유지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연화점이 상기 범위 내이면, 수지의 유동성이 좋기 때문에 설계대로의 형상으로 할 수 있고, 더욱이, 볼록부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짧은, 성형성이 보다 우수한 수지 시트가 된다. 또한, 성형 중, 보관 중 및 사용 중을 통하여, 주상의 볼록부끼리 들러붙은 채로 되기 어려워, 형상 유지성이 보다 우수한 수지 시트가 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연화점은, 열기계 분석 장치(TMA-50, 주식회사 시마즈제작소제)를 이용하여, 이하의 측정 조건에서 측정되는 값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 시트를 폭 5mm×길이 15mm의 크기로 잘라내어, 시험편으로 한다. 10℃부터 250℃까지 5℃/분의 속도로 승온하여, 유리 전이 온도 전후에서의 TMA(Thermo Mechanical Analysis) 곡선의 접선의 교점으로부터, TMA 연화 온도(연화점)를 구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파단 강도가 1MPa 이상 1000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MPa 이상 500M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MPa 이상 100MPa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파단 강도가 지나치게 크면, 몰드로의 충전성이 저하되어, 성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파단 강도가 지나치게 작으면, 몰드로부터 수지 시트를 박리할 때에, 주상이 파괴될 우려가 있다.
파단 강도는 ASTM D638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주상의 볼록부는, 열 임프린트법으로 형성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 임프린트법에 의하면, 형(型)의 미세한 형상이 정확하게 전사되므로, 설계대로의 형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변형예에 따른 수지 시트는, 기부의 표면의, 주상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 상에, 기부 및 주상의 볼록부에 포함되는 수지와는 상이한 수지의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수지 시트는, 주상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기부 및 주상의 볼록부에 포함되는 수지와는 상이한 수지의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이한 수지의 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지지체, 접착제층 등을 들 수 있다.
수지의 종류는, 기부 및 주상의 볼록부에 포함되는 수지와 상이한 것이면 되고, 수지 시트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수지의 종류는, 열가소성 수지여도 되고, 열가소성 수지가 아니어도 된다.
수지 시트의 평균 시트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지 시트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수지 시트의 두께는, 경제성, 성형성, 성형 후의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200nm∼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시트는, 성형성, 성형 후의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기부의 두께가 100nm∼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μm∼5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μm∼5m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방법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수지 시트는, 예를 들면, 하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은, 열가소성 수지의 기판을, 해당 열가소성 수지의 연화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공정과, 가열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기판에 형을 꽉 누른 후, 열가소성 수지의 연화점 이하의 온도까지 냉각하는 공정과, 냉각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기판으로부터 상기 형을 박리함으로써, 주상의 볼록부 형상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의 공정은, 이른바 열 임프린트법이라고 칭해지는 성형법의 공정이다.
상기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볼록부가 미세한 구조여도 정밀도 좋게, 설계대로 볼록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해, 액상의 수지를 형에 흘려 넣는 사출 성형법보다도, 볼록부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부직포의 제조>
올레핀계 수지와 상기 식(I)로 표시되는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했다.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융점(Tm): 163℃, MFR: 60g/10분의 프로필렌 중합체(PP-1)를 이용했다. 또한,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로서는, 리켄비타민 주식회사제의 상품명: 포엠 V-100(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을 이용했다. 프로필렌 중합체(PP-1) 99질량부에 대해서, 상기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를 1질량부 가하여 혼합해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조성물-1)을 얻었다.
이 조성물-1을 이용해서, 스펀본드법에 의해 용융 방사하여, 평량이 20g/m2인 장섬유 부직포(부직포 B)를 얻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부직포 B와,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를 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부직포 B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얻어진 부직포 A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동물 시험에 의해 치유 효과를 평가했다.
<동물 실험>
본 동물 시험에서는, 래트 등 부분의 열상 부위에 부직포 A 또는 부직포 B를 붙여, 부직포 A, B의 첩부 후의 치유 효과를 확인했다. 실험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우선, 래트 등 부분을 제모하고, 제모한 부분에 80℃로 가열한 열수를 5초간 접촉시켜 2개소에 열상 부위를 형성했다. 그리고, 열상 부위에 부직포 A(약 2cm×2cm) 및 부직포 B(약 2cm×2cm)를 붙이고, 무침투성 반창고(블렌덤: 3M사) 및 점착성 신축 붕대(실키텍스 3호: 알케어 주식회사)를 이용하여 폐색 첩부를 행했다. 부직포 A, B의 첩부 후 3, 6 및 9일째에 부직포를 제거하여 치유 효과를 확인했다. 또한, 부직포를 제거한 때에 사진 촬영을 행했다.
(시험군 구성)
15마리의 래트에게 2개소의 열상 부위를 형성한 후, 2개소의 열상 부위에 부직포 A 및 부직포 B를 첩부하고, 5마리씩 시험군 A, B, C로 나누었다. 그리고, 3일 후에 시험군 A의 래트의 부직포 A, B의 제거를 행하여, 피부 증상의 판정을 행했다. 또, 6일 후에 시험군 B의 래트의 부직포 A, B의 제거를 행하고, 9일 후에 시험군 C의 래트의 부직포 A, B의 제거를 행하여, 피부 증상의 판정을 행했다.
시험군 A: 경피 투여(투여 경로), 동물 번호 101-105, 수컷 5마리
시험군 B: 경피 투여(투여 경로), 동물 번호 201-205, 수컷 5마리
시험군 C: 경피 투여(투여 경로), 동물 번호 301-305, 수컷 5마리
(체중 측정 및 일반 증상 관찰)
동물의 체중 측정은 입하, 입하 다음날, 검역 종료 시 및 시험 개시 시에 행했다. 일반 상태 관찰은 매일 실시했다.
(군 분류)
검역·순화 기간 종료 후에, 건상(健常)하고 피부에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군 분류 소프트(StatLight 군 분류 2001(C) Yukms corp.)를 이용한 난괴법에 의해 각 군간에 체중의 편향이 없도록 동물을 배분했다.
(평가 방법)
래트의 피부 증상은 이하의 스코어로 평가했다(육안적 판정).
0: 무증상, 1: 경미, 2: 경증, 3: 중등증, 4: 가피(痂皮)의 형성, 5:괴사
(통계학적 해석 처리 방법)
시험 성적은 평균값±표준오차로 표시하고, EXSUS(Version 8.0, 주식회사 CAC 엑시케어) 및 SAS(Version 9.3, SAS Institute Japan 주식회사)를 이용하여 해석을 행했다. 피부 증상의 스코어에 대해서는 Wilcoxon 검정을 실시하고, 유의 수준은 양측 5%로 했다.
(일반 증상에 미치는 영향)
부직포 첩부에 의한 일반 증상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평가 결과를 도 1∼5, 표 1에 나타낸다. 도 1은 부직포 A, B를 첩부한 열상 부위에 있어서의, 3일 후, 6일 후 및 9일 후의 피부 증상의 스코어를 나타낸다. 도 2∼도 5는 0일 후(열상 부위 제작 직후), 3일 후, 6일 후, 9일 후의 열상 부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화상이다. 도 3∼도 5에 있어서는, 정면에서 보아, 좌측이 부직포 A를 제거한 후의 열상 부위이며, 우측이 부직포 B를 제거한 후의 열상 부위이다.
Figure pct00011
도 1 및 표 1에 나타내는 대로, 열상 제작 후, 부직포 A 및 부직포 B 모두 3일 후부터 9일 후까지 스코어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또한, 부직포 A에서는, 3일 후에 1.6, 6일 후에 2.8 및 9일 후에 3.6으로 스코어의 경시적인 증가가 확인되었다. 부직포 B에서는, 3일 후에 1.2, 6일 후에 1.6 및 9일 후에 3.4로 스코어의 증가가 확인되었지만, 부직포 A와 비교하여 스코어는 낮은 값으로 추이(推移)되었다. 부직포 A에서는, 6일 후에 스코어 4의 가피의 형성이 확인되었지만, 부직포 B에서는 6일 후에 스코어 1∼2이며, 부직포 B는 부직포 A와 비교하여 스코어가 낮은 경향이 확인되었다(P=0.0753, Wilcoxon 검정).
부직포 A 및 B 모두, 9일 후에는 스코어는 3∼4였지만, 부직포 B는 부직포 A와 비교하여 스코어가 낮은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 도 2,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상 부위 제작 직후에 차이가 보이지 않았던 2개의 열상 부위는, 6일 후에 큰 차이가 확인되어, 부직포 A가 첩부되어 있던 좌측의 열상 부위보다도 부직포 B가 첩부되어 있던 우측의 열상 부위 쪽이, 피부 증상이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3,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일 후, 9일 후의 각각에 있어서, 부직포 A가 첩부되어 있던 좌측의 열상 부위보다도 부직포 B가 첩부되어 있던 우측의 열상 부위 쪽이, 피부 증상이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부직포 B를 첩부하는 것에 의해, 열상에 대한 피부 증상의 개선 작용이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즉,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가 외상 치료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필름 1의 제조>
〔프리폴리머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환류관,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국제공개 제2009/051114호에 기재된 1,4-BIC3(1,4-비스(아이소사이아네이토메틸)사이클로헥세인 3)을 24.9질량부, 감압 탈수 처리한 PEG2000U(수 평균 분자량 2000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니치유제)를 100.0질량부 장입하고, 질소 분위기하, 80℃에서 1시간 교반했다. 추가로 옥틸산 비스무트(촉매, 상품명: 네오스탄 U-600, 닛토화성사제)를 DINA(제이·플러스사제)에 의해 4질량%로 희석한 용액 0.015질량부를 첨가하고,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량이 5.23질량%가 될 때까지 반응시켜,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유레테인 프리폴리머(이하 프리폴리머라고 약칭한다)를 얻었다.
〔열가소성 폴리유레테인의 합성〕
미리 80℃로 조정한 프리폴리머 100질량부, GA-80(스미토모화학사제 내열 안정제) 1.06질량부, 티누빈 234(BASF사제 자외선 흡수제) 0.32질량부, 아데카스타브 LA-72(주식회사 ADEKA사제 HALS) 0.32질량부를 스테인레스 용기에 넣고, 고속 디스퍼를 사용하여, 1000rpm의 교반하, 약 2분간 교반 혼합하여 혼합액으로 했다. 이어서, 쇄 신장제로서 미리 80℃로 조정한 1,4-BD 5.34질량부, 옥틸산 비스무트(촉매, 상품명: 네오스탄 U-600, 닛토화성사제)를 DINA(제이·플러스사제)에 의해 4질량%로 희석한 용액 0.013질량부를, 혼합액에 첨가하고, 고속 디스퍼를 사용하여, 1000rpm의 교반하, 약 10분간 교반 혼합했다.
이어서, 미리 150℃로 온도 조정한 SUS제 배트에 반응 혼합액을 흘려 넣고, 150℃에서 1시간, 이어서 100℃에서 23시간 반응시켜, 열가소성 폴리유레테인을 얻었다.
그 후, 배트로부터 열가소성 폴리유레테인을 떼어내고, 실온 23℃, 상대습도 55%의 항온 항습 조건하에서, 7일간 양생했다.
얻어진 열가소성 유레테인을, 베일 커터에 의해 주사위 형상으로 절단하고, 분쇄기로 주사위 형상의 수지를 분쇄했다. 이 분쇄 펠렛을 질소 기류하, 80℃에서 하루 동안 건조했다. 단축 압출기(형식: SZW40-28MG, 테크노벨사제)를 이용하여 실린더 온도 150∼245℃의 범위에서 스트랜드를 압출하고, 그것을 커팅하는 것에 의해, 열가소성 폴리유레테인의 펠렛을 얻었다. 얻어진 펠렛을 추가로 질소 기류하, 80℃에서 하루 동안 건조했다.
〔필름 성형〕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열가소성 폴리유레테인(미리 질소 분위기하에서 건조한 수분량이 120ppm인 열가소성 폴리유레테인의 펠렛)을 유레테인계 수지로서 사용하고,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로서는, 리켄비타민 주식회사제의 상품명: 포엠 V-100(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을 이용했다. 우선, 유레테인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서, 상기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를 1질량부 가하여 혼합해서, 혼합물로 했다. 150mm 폭의 코트 행어 다이스를 장착한 구경 20mm의 단축 압출기((주)테크노벨제, 상품명: SZW20), 및 스테인레스제의 캐스팅 롤을 구비한 장치를 필름의 압출 성형에 사용했다. 스크류 회전수를 20rpm, 실린더 온도를 235℃, 다이스 온도를 225℃로 했다. 캐스팅 롤에 대한 냉각수의 온도는 약 22℃이며, 롤 회전수를 3m/min으로 했다. 호퍼로부터 질소를 통기하면서, 혼합물을 압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가 첨가된 두께 40μm의 폴리유레테인 필름(필름 1)을 얻었다.
<필름 2의 제조>
유레테인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서,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를 3질량부 가한 것 이외에는 전술의 필름 1의 제조 순서와 마찬가지로 하여 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가 첨가된 두께 40μm의 폴리유레테인 필름(필름 2)을 얻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필름 1, 2와,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를 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필름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얻어진 두께 40μm의 폴리유레테인 필름(필름 3)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동물 시험에 의해 치유 효과를 평가했다.
<동물 실험>
본 동물 시험에서는, 래트 등 부분의 열상 부위에 필름 1∼3을 각각 붙여, 필름 1∼3의 첩부 후의 치유 효과를 확인했다. 또한, 비교를 위해, 열상 부위를 어떤 처치도 실시하지 않는 무처치부로 하여, 무처치부의 경과를 관찰했다. 실험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우선, 래트 등 부분을 제모하고, 제모한 부분에 80℃로 가열한 열수를 5초간 접촉시켜 2개소에 열상 부위를 형성했다. 그리고, 2개소의 열상 부위에 필름 1(약 2cm×2cm) 및 필름 2(약 2cm×2cm)를 붙이고, 투습성 점착성 신축 붕대(더마포어: 알케어 주식회사) 및 점착성 신축 붕대(실키텍스 3호: 알케어 주식회사)를 이용하여 폐색 첩부를 행했다. 필름 1, 2의 첩부 후 3, 6 및 9일째에 필름을 제거하여 치유 효과를 확인했다.
또한, 전술과 마찬가지로, 다른 래트의 등 부분에 열상 부위를 2개소 형성하고, 한쪽의 열상 부위에 필름 3(약 2cm×2cm)을 붙이고, 전술과 마찬가지로 폐색 첩부를 행하고, 다른 한쪽의 열상 부위는 무처치부로 했다. 필름 3의 첩부 후 3, 6 및 9일째에 필름을 제거하여 치유 효과를 확인하고, 또한 3, 6 및 9일째에 무처치부의 경과를 관찰했다.
(시험군 구성)
30마리의 래트에게 2개소의 열상 부위를 형성했다. 그 중의 15마리의 래트에 있어서의 2개소의 열상 부위에 필름 1 및 필름 2를 첩부하고, 이들 래트를 5마리씩 시험군 A, B, C로 나누었다. 또한, 다른 15마리의 래트에 있어서의 1개소의 열상 부위에 필름을 첩부하고, 다른 한 개소의 열상 부위를 무처치부로 하고, 이들 래트를 5마리씩 시험군 A, B, C로 나누었다. 그리고, 3일 후에 시험군 A의 래트의 필름 1∼3의 제거를 행하고, 또한 무처치부의 경과를 관찰하여, 피부 증상의 판정을 행했다. 또, 6일 후에 시험군 B의 래트의 필름 1∼3의 제거를 행하고, 또한 무처치부의 경과를 관찰하며, 9일 후에 시험군 C의 래트의 필름 1∼3의 제거를 행하고, 또한 무처치부의 경과를 관찰하여, 피부 증상의 판정을 각각 행했다.
시험군 A: 경피 투여(투여 경로), 동물 번호 101-110(동물 번호 101-105: 필름 1, 2 첩부, 동물 번호 106-110: 필름 3 첩부, 무처치부 있음), 수컷 10마리
시험군 B: 경피 투여(투여 경로), 동물 번호 201-210(동물 번호 201-205: 필름 1, 2 첩부, 동물 번호 206-210: 필름 3 첩부, 무처치부 있음), 수컷 10마리
시험군 C: 경피 투여(투여 경로), 동물 번호 301-310(동물 번호 301-305: 필름 1, 2 첩부, 동물 번호 306-310: 필름 3 첩부, 무처치부 있음), 수컷 10마리
(체중 측정 및 일반 증상 관찰)
동물의 체중 측정은 입하, 입하 다음날, 창상(創傷) 제작 시 및 실험 종료 시에 행했다. 일반 상태 관찰은 매일 실시했다.
(군 분류, 평가 방법 및 통계학적 해석 처리 방법)
군 분류, 평가 방법 및 통계학적 해석 처리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과 마찬가지이다.
평가 결과를 도 6, 표 2에 나타낸다. 도 6은 필름 1∼3을 첩부한 열상 부위 및 무처치부에 있어서의, 3일 후, 6일 후 및 9일 후의 피부 증상의 스코어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2
도 6 및 표 2에 나타내는 대로, 열상 제작 후, 필름 1, 3 및 무처치 모두 3일 후부터 9일 후까지 스코어의 경시적인 증가가 확인되었다. 한편, 열상 제작 후, 필름 2에서는 6일 후에서 스코어의 증가가 확인되었지만, 9일째에서 스코어의 저하가 확인되었다.
또, 필름 1, 2에서는, 필름 3 및 무처치와 비교하여 스코어는 낮은 값으로 추이되었다. 필름 1에서는 6일 후, 9일 후에서 필름 3 및 무처치와 비교하여 스코어가 낮은 경향이 확인되었다(6일 후에 무처치와 비교하여 P<0.05, 9일 후에 무처치와 비교하여 P=0.0707, Wilcoxon 검정). 또한, 필름 2에서는 3일 후, 6일 후, 9일 후에서 필름 3 및 무처치와 비교하여 스코어가 낮은 경향이 확인되었다(6일 후에 무처치와 비교하여 P=0.0573, 9일 후에 무처치와 비교하여 P<0.01, Wilcoxon 검정).
이상의 결과로부터, 필름 1, 2를 첩부하는 것에 의해, 열상에 대한 피부 증상의 개선 작용이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즉,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가 외상 치료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2014년 7월 1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4-145189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도입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이 참조에 의해 도입되는 것이 구체적이고 또한 개개에 기록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도입된다.

Claims (8)

  1. 아래 식(I)로 표시되는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및 아래 식(II)로 표시되는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중 적어도 한쪽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외상 치료제.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식(I) 중, R1,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R1∼R3 중 적어도 1개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이다. 식(II) 중, R4, R5,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R4∼R7 중 적어도 1개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는 글리세린 팔미테이트 및 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이며, 상기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는 다이글리세린 팔미테이트 및 다이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인, 외상 치료제.
  3. 열가소성 수지와, 아래 식(I)로 표시되는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및 아래 식(II)로 표시되는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 중 적어도 한쪽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섬유 집합체 또는 필름을 갖는 외상 치료 재료.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식(I) 중, R1,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R1∼R3 중 적어도 1개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이다. 식(II) 중, R4, R5,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R4∼R7 중 적어도 1개는 탄소 원자수 12∼22의 아실기이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는 글리세린 팔미테이트 및 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이며, 상기 다이글리세린 알킬 에스터는 다이글리세린 팔미테이트 및 다이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인, 외상 치료 재료.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올레핀계 수지, 유레테인계 수지, 아마이드계 수지, 에스터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타이렌계 수지 및 카보네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지인, 외상 치료 재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올레핀계 수지인, 외상 치료 재료.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한쪽인, 외상 치료 재료.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집합체는 부직포인, 외상 치료 재료.
KR1020177001807A 2014-07-15 2015-07-15 외상 치료제 및 외상 치료 재료 KR1018672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45189 2014-07-15
JP2014145189 2014-07-15
PCT/JP2015/070302 WO2016010086A1 (ja) 2014-07-15 2015-07-15 外傷治療剤および外傷治療材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071A true KR20170018071A (ko) 2017-02-15
KR101867247B1 KR101867247B1 (ko) 2018-06-12

Family

ID=55078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807A KR101867247B1 (ko) 2014-07-15 2015-07-15 외상 치료제 및 외상 치료 재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70209406A1 (ko)
EP (1) EP3170498A4 (ko)
JP (1) JP6317444B2 (ko)
KR (1) KR101867247B1 (ko)
CN (1) CN106535888B (ko)
MY (1) MY171614A (ko)
TW (1) TWI676474B (ko)
WO (1) WO20160100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8087A1 (ja) * 2018-03-30 2019-10-03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銅張積層板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6265A (ja) 1988-08-22 1990-08-29 Takemoto Oil & Fat Co Ltd ポリオレフイン系繊維からなる透水性を有する布状物
JP2003500556A (ja) * 1999-05-21 2003-01-0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抗菌活性を有する親水性ポリプロピレン繊維
JP2006248908A (ja) 2005-03-08 2006-09-21 Kose Corp 不織布含浸化粧料
KR20070100733A (ko) * 2004-12-13 2007-10-11 사우쓰이스턴 메디칼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생체액 제어제 및 그의 사용 방법
US20090130029A1 (en) * 2007-11-21 2009-05-21 Foamix Ltd. Glycerol ethers vehicl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JP2009173641A (ja) 2007-12-27 2009-08-06 Johnson Diversey Co Ltd 殺菌消毒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殺菌消毒材、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殺菌消毒方法
US20120316517A1 (en) * 2011-06-09 2012-12-13 Pierre Croizat Wound dressing containing foam and ointment base and swelling agent for negative pressure therap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4424A (en) * 1951-04-24 1957-08-27 American Cyanamid Co Method of preparing a tetracycline type antibiotic-containing wound dressing
GB720116A (en) * 1951-04-24 1954-12-15 American Cyanamid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erile, broad-spectrum antibiotic-containing wound dressings
DE60130466T2 (de) * 2000-07-26 2008-06-12 Hououdou Co. Ltd. Antipruritische zusammensetzungen und die wundheilung fördernde zusammensetzungen
DE10151245A1 (de) * 2001-10-17 2003-05-15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oder dermatologische Wirkstoffkombination
US20070059350A1 (en) 2004-12-13 2007-03-15 Kennedy John P Agents for controlling biological flui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8535709B2 (en) 2004-12-13 2013-09-17 Southeastern Medical Technologies, Llc Agents for controlling biological flui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070005935A1 (en) * 2005-06-30 2007-01-04 Khosravi Hormuzd M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nd validating paged memory system
DE102005060461A1 (de) 2005-12-17 2007-07-12 Paul Hartmann Ag Medizinische Zusammensetzung
TWM399588U (en) * 2010-08-05 2011-03-01 Unimicron Technology Corp wiring board
JP5881838B2 (ja) * 2012-09-28 2016-03-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ロチノイド含有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組成物
CN104306212A (zh) * 2014-09-29 2015-01-28 青岛康合伟业商贸有限公司 一种可促进伤口愈合的洗面奶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6265A (ja) 1988-08-22 1990-08-29 Takemoto Oil & Fat Co Ltd ポリオレフイン系繊維からなる透水性を有する布状物
JP2003500556A (ja) * 1999-05-21 2003-01-0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抗菌活性を有する親水性ポリプロピレン繊維
KR20070100733A (ko) * 2004-12-13 2007-10-11 사우쓰이스턴 메디칼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생체액 제어제 및 그의 사용 방법
JP2006248908A (ja) 2005-03-08 2006-09-21 Kose Corp 不織布含浸化粧料
US20090130029A1 (en) * 2007-11-21 2009-05-21 Foamix Ltd. Glycerol ethers vehicl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JP2009173641A (ja) 2007-12-27 2009-08-06 Johnson Diversey Co Ltd 殺菌消毒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殺菌消毒材、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殺菌消毒方法
US20120316517A1 (en) * 2011-06-09 2012-12-13 Pierre Croizat Wound dressing containing foam and ointment base and swelling agent for negative pressure therap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33987A1 (en) 2019-05-09
KR101867247B1 (ko) 2018-06-12
US11058660B2 (en) 2021-07-13
TW201622718A (zh) 2016-07-01
TWI676474B (zh) 2019-11-11
EP3170498A4 (en) 2018-03-14
MY171614A (en) 2019-10-21
EP3170498A1 (en) 2017-05-24
CN106535888B (zh) 2021-08-10
JPWO2016010086A1 (ja) 2017-04-27
CN106535888A (zh) 2017-03-22
WO2016010086A1 (ja) 2016-01-21
JP6317444B2 (ja) 2018-04-25
US20170209406A1 (en)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018B1 (ko) 생분해성 부직웹을 갖는 흡수용품
US8349354B2 (en) Composite layered hemostasis device
TW565578B (en) Biodegradable PHA copolymers
TW200415278A (en) Extensible nonwoven fabric and composite nonwoven fabric comprising the same
CN103209666B (zh) 抗力损失的弹性体组合物
CN101688341A (zh) 弹性无纺布、其制造方法和使用了该弹性无纺布的纤维制品
CN102448449A (zh) 粘贴材料
TW200538478A (en) Film base material for adhesive skin patch and adhesive skin patch
JP6025879B2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CN103209715B (zh) 一种吸收制品
JP2005171456A (ja) 伸縮性不織布およびそれを用いた繊維製品
KR101867247B1 (ko) 외상 치료제 및 외상 치료 재료
US20170304482A1 (en) Porous Polyolefin Material
CN110167999A (zh) 聚合物材料
AU2018390992B2 (en) Tissue repair laminates
JP6954778B2 (ja) 伸縮性構造体および多層伸縮シート
JP2008024849A (ja) 生分解性を有する水環境応答型ポリマーを含む水崩壊性組成物および水崩壊性成形体
JP2020050646A (ja) 治療剤及び治療材料
CN113574131A (zh) 促进与有机硅粘合剂粘结的粘接层化学品
JP7345055B2 (ja) 積層シート、衛生材料、医療材料および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270245B1 (ko) 흡수율 및 통기성 향상을 위한 하이브리드 생리대
JP2020050645A (ja) 創傷治癒期間短縮剤及び創傷治癒期間短縮材料
US11071805B2 (en) Fibrinogen-based tissue adhesive patches
JP2008069324A (ja) 生分解性を有する水環境応答型ポリマーを含む水崩壊性組成物および水崩壊性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