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114A - 안전대 거치구조물 - Google Patents

안전대 거치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114A
KR20170017114A KR1020150110542A KR20150110542A KR20170017114A KR 20170017114 A KR20170017114 A KR 20170017114A KR 1020150110542 A KR1020150110542 A KR 1020150110542A KR 20150110542 A KR20150110542 A KR 20150110542A KR 20170017114 A KR20170017114 A KR 20170017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angle
safety
worker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찬
이동호
최승겸
김청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Priority to KR1020150110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7114A/ko
Publication of KR20170017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대 거치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거더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호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세워지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거더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가로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더의 상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거치부와; 복수의 상기 가로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거더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거더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어 장력을 유지하여 작업자의 안전대를 거치시키는 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공사 현장의 높은 장소에서 작업자가 작업시에 추락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안전장치의 불필요한 사용을 줄임으로서 경제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대 거치구조물{SAFTY RACK SUPPOR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건설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장소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구비한 안전대를 거치구조물에 거치함으로써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대 거치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신축되는 건축물은 고층화 및 대형화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고층건물은 H형강으로 제조되는 철골기둥과 상기 철골기둥을 연결시키는 철골보로서 골격을 이루는 철골구조 이거나 철근과 거푸집으로 일정한 형태를 만든뒤 콘크리트를 부어넣어 구조물을 완성시키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철골구조 고층건축물은 철골보들로 구분되는 공간에 바닥구조부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폭이 좁은 철골보의 상부에서 각종 시설작업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작업자는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항시 노출되어있고, 또한 고층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예기치 않은 추락으로 말미암아 생명을 잃게 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추락에 의한 사망사고는 철근콘크리트 구조 또한 마찬가지여서 철근을 배근하고, 틀에 맞는 거푸집을 시공한 후 콘크리트를 부어넣는 과정에서, 항시 외벽의 거푸집을 시공, 콘크리트 부어넣기 , 거푸집 해체 , 상부층으로의 거푸집 인양 이라는 반복되는 작업공정에서 작업자는 추락위험에서 완전하게 방호받지 못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되어 작업중 조그만 실수도 생명과 직결되는 위험을 안고 작업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대 거치구조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안전대 거치구조물은, 거더(1)의 상면에 일정 높이를 갖는 철골기둥(2)을 설치하고, 철골기둥(2)과 철골기둥(2) 간을 임의로 로프(3)로 동여매고, 상기 로프(3)에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대를 거치한 상태에서 작업이 수행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폭이 좁은 철골보의 상부를 이동할때 작업자의 실수로 추락하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철골보의 하부에 추락방지망을 설치하여 작업자의 신체를 잡아주어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는 구조물의 외부에 수직으로 구조용 강관파이프를 일정간격으로 세우고, 가로로 구조용 강관파이프를 기 설치된 수직 강관파이프와 직교시켜 긴결시키며 일정간격마다 구조물의 외벽에 고정한 가시설인 비계에 작업용 발판을 설치하고, 수직 구조용 강관파이프와 인접한 수직 구조용 강관파이프에 상기 철골구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로프시설을 설치하거나, 수평으로 강관파이프를 설치하여 이 추락 방지시설에 안전대를 걸고 작업하여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철골기둥(2)과 철골기둥(2) 사이, 또는 비계기둥과 비계기둥간을 로프로 작업자의 신체와 잡아주는 구조는, 기둥과 기둥사이에서 작업할 때는 유용한 안전시설이 될 수도 있으나, 작업구간이 기둥을 넘어갈 때, 혹은 구조물의 모서리 부위에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안전대 훅을 해제하여 진행할 방향의 로프에 다시 체결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무의식중에 진행할 방향으로 안전대의 훅을 옮기지 않고 이동을 하다보면 로프의 매듭부위인 수직부재에 안전대의 끝단이 걸려 오히려 안전사고를 발생할 위험성이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사 현장의 높은 장소에서 작업자가 작업시에 추락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안전장치의 불필요한 사용을 줄임으로서 경제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안전대 거치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안전대 거치구조물은, 거더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호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세워지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거더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가로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더의 상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거치부와; 복수의 상기 가로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거더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거더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어 장력을 유지하여 작업자의 안전대를 거치시키는 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거더의 상면과 접촉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에는 'ㄱ'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철재앵글이 결합되어 상기 철재앵글의 모서리가 상기 거더의 모서리와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호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상기 지지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는 보강바가 상기 거더의 상면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도록 고정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가로부재 사이에는 보강바가 상기 거더의 상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를 상기 거더의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강바와 상기 거더의 상면에 구비된 전단철근 사이에는 턴버클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기 가로부재의 하면 일측에는 고리 형상의 링형부재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로프는 상기 링형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가로부재를 경유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프는 상호 대향되는 2열을 이루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전대 거치구조물은 공사 현장의 높은 장소에서 작업자가 작업시에 추락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안전장치의 불필요한 사용을 줄임으로서 경제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대 거치구조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 거치구조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 거치구조물의 보강바와 전단철근 사이에 설치된 턴버클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 거치구조물의 지지부재 단부에 설치된 철재앵글이 거더에 안착된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 거치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 거치구조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 거치구조물의 보강바와 전단철근 사이에 설치된 턴버클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며,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 거치구조물의 지지부재 단부에 설치된 철재앵글이 거더에 안착된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 거치구조물은, 거더(1)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호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세워지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110)와,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거더(1)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가로부재(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더(1)의 상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거치부(100)와; 복수의 상기 가로부재(120)를 경유하여 상기 거더(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거더(1)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어 장력을 유지하여 작업자의 안전대를 거치시키는 로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거더(1)는 건설 구조물을 떠 받지는 보를 뜻하는 용어로서, 일반적으로 'I'자형이나 상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중량은 줄이고, 휨이나 비틀림, 수평하중 등에 대하여 입체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거더(1)의 상면에는 일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일부가 거더(1)의 내부로 매립된 상태로 구비되어 거더(1)의 상면에서 철근 조립이나 용접 및 거푸집 작업 등을 포함하는 슬랩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의 전단 철근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슬랩 작업시에 작업자가 거더(1)에서 추락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는 고정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고정대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 거치구조물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안전대 거치구조물은 크게 거치부(100)와 로프(200)로 구성되는데, 거치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거더(1)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호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세워지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110)와,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거더(1)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가로부재(120)로 이루어진다.
지지부재(110)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바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부재의 상부가 일정 각도로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하단부는 거더(1)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거더(1)의 상면과 접촉되는 지지부재(110)의 하단에는 'ㄱ'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철재앵글(111)이 결합되어 철재앵글(111)의 모서리가 거더(1)의 모서리와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철재앵글(111)은 거더(1)의 상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는 영역은 지지부재(110)의 하단에 용접 방식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며, 거더(1)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영역의 내측면은 거더(1)의 측면과 접촉된다.
철재앵글(111)의 일부분이 거더(1)의 측면과 접촉되게 배치되고, 지지부재(110)는 상호 대향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므로 거더(1)의 상면에 안착된 지지부재(110)가 거더(1)의 폭 방향을 따라 유동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호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지지부재(110)와 지지부재(110) 사이에는 보강바(112)가 거더(1)의 상면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도록 고정 결합되고, 지지부재(110)와 가로부재(120) 사이에는 보강바(112)가 거더(1)의 상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고정 결합되어 있다.
지지부재(110)와 지지부재(11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된 보강바(112)에 의하여 지지부재(110)가 상호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110)와 가로부재(120)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된 보강바(112)에 의하여 지지부재(110)와 가로부재(120)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안전대 거치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10)와 지지부재(110) 사이에 설치된 보강바(112)를 이용하여 거치부(100)를 거더(1)의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보강바(112)와 거더(1)의 상면에 구비된 전단철근(1a) 사이에는 턴버클(130)이 설치되어 있다.
가로부재(120)는 상호 대향되게 거더(1)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지지부재(110)의 상단과 지지부재(110)의 상단 사이에 거더(1)의 상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설치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가로부재(120)의 하면 일측에는 고리 형상의 링형부재(121)가 고정 결합되고, 로프(200)는 링형부재(121)를 통과하여 가로부재(120)를 경유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거치부(100)는 거더(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로 거더(1)의 상면에 배치되며, 거치부(100)가 배치된 상태에서 로프(200)가 거치부(100)의 가로부재(120)에 구비된 링형부재(121)를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그 양단부는 로프(200)가 팽팽할 수 있도록 거더(1)의 상면 일측에 고정된다.
거치부(100)에 의하여 거더(1)의 상부에 팽팽하게 설치된 로프(200)에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전대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작업자는 거더(1)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로프(200)의 양단부가 각각 거더(1)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팽팽하게 설치됨은 작업자가 거더(1)의 상부에서 작업 중에 추락하더라도 작업자가 매달리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추락하면서 거더(1)의 측면에 부딪히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로프(200)는 상호 대향되는 2열을 이루도록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작업자가 거더(1)의 상부에서 서로 교차되게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속한 슬랩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가로부재(120)의 하면에 설치되는 링형부재(121)는 가로부재(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한 쌍이 배치되어 있으며, 하나의 로프(200)는 일측의 링형부재를 통과하며 다른 하나의 로프(200)는 타측의 링형부재를 통과하여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 거치구조물은 공사 현장의 높은 장소에서 작업자가 작업시에 추락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안전장치의 불필요한 사용을 줄임으로서 경제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안전대 거치구조물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 : 거더 1a : 전단철근
100 : 거치부 110 : 지지부재
111 : 철재앵글 112 : 보강바
120 : 가로부재 121 : 링형부재
130 : 턴버클 200 : 로프

Claims (6)

  1. 거더(1)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호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세워지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110)와,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거더(1)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가로부재(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더(1)의 상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거치부(100)와;
    복수의 상기 가로부재(120)를 경유하여 상기 거더(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거더(1)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어 장력을 유지하여 작업자의 안전대를 거치시키는 로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 거치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1)의 상면과 접촉되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하단에는 'ㄱ'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철재앵글(111)이 결합되어 상기 철재앵글(111)의 모서리가 상기 거더(1)의 모서리와 접촉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 거치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호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상기 지지부재(110)와 지지부재(110) 사이에는 보강바(112)가 상기 거더(1)의 상면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도록 고정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110)와 상기 가로부재(120) 사이에는 보강바(112)가 상기 거더(1)의 상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 거치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0)를 상기 거더(1)의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강바(112)와 상기 거더(1)의 상면에 구비된 전단철근(1a) 사이에는 턴버클(1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 거치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재(120)의 하면 일측에는 고리 형상의 링형부재(121)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로프(200)는 상기 링형부재(121)를 통과하여 상기 가로부재(120)를 경유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 거치구조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200)는 상호 대향되는 2열을 이루도록 복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 거치구조물.
KR1020150110542A 2015-08-05 2015-08-05 안전대 거치구조물 KR20170017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542A KR20170017114A (ko) 2015-08-05 2015-08-05 안전대 거치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542A KR20170017114A (ko) 2015-08-05 2015-08-05 안전대 거치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114A true KR20170017114A (ko) 2017-02-15

Family

ID=5811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542A KR20170017114A (ko) 2015-08-05 2015-08-05 안전대 거치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71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271A (ko) * 2020-08-31 2022-03-08 루엔텍스 엔지니어링 & 컨스트럭션 씨오., 엘티디. 워플 슬래브에서 몰드를 분리하는 기기 및 방법
CN114150885A (zh) * 2021-11-17 2022-03-08 中建一局集团第五建筑有限公司 一种钢结构施工安全带悬挂装置及使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271A (ko) * 2020-08-31 2022-03-08 루엔텍스 엔지니어링 & 컨스트럭션 씨오., 엘티디. 워플 슬래브에서 몰드를 분리하는 기기 및 방법
CN114150885A (zh) * 2021-11-17 2022-03-08 中建一局集团第五建筑有限公司 一种钢结构施工安全带悬挂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0397B2 (en) Fall protection system
KR101941885B1 (ko) 철골 구조물
KR20110110494A (ko)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JP4659563B2 (ja) 解体用仮設足場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超高構造物の解体方法
KR20170017114A (ko) 안전대 거치구조물
JP2016089445A (ja) 安全ネットおよび足場の支持装置
KR100808291B1 (ko) 거더타입 교량용 안전장치
CN212895962U (zh) 一种用于悬灌梁张拉作业的可拆卸式操作平台
CN206554484U (zh) 临时操作平台三角架
JP5356091B2 (ja) 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方法および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装置
JP3977400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構築方法
JP6013770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用親綱支柱
KR20130132072A (ko)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
JP2021075967A (ja) 吊り足場
JP5723202B2 (ja) 構造物の下部に設けられる作業用足場の移動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られる作業用足場
JP7112146B1 (ja) 移動連結吊り足場及びその使用方法
KR100883186B1 (ko) 교량의 거더용 철재빔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
CN210420883U (zh) 一种桥梁施工横梁施工操作平台
CN219059723U (zh) 湿接缝连接模组
RU22105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т повреждения альпинистской веревки
CN211868183U (zh) 一种张拉千斤顶位置调节吊架
CN219908594U (zh) 一种盖梁抱箍法施工安全绳固定装置
CN213894944U (zh) 吊车滑触线安装用可移动式吊笼
CN219364328U (zh) 一种桥面底模拆卸及桥梁检修简易装置
CN217840808U (zh) 高空施工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