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2072A -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2072A
KR20130132072A KR1020120056168A KR20120056168A KR20130132072A KR 20130132072 A KR20130132072 A KR 20130132072A KR 1020120056168 A KR1020120056168 A KR 1020120056168A KR 20120056168 A KR20120056168 A KR 20120056168A KR 20130132072 A KR20130132072 A KR 20130132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center
support
coupled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5254B1 (ko
Inventor
도원태
Original Assignee
도원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원태 filed Critical 도원태
Priority to KR1020120056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254B1/ko
Publication of KR20130132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3Supports therefor, e.g. trip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6Heads therefor, e.g. pivo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멍에재가 항상 멍에지지대의 중앙에 위치하여 움직이지 않고 하부받침대가 경사진 지면을 따라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시스템동바리를 안전하게 유지하여 전복 또는 붕괴와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사각형으로 배열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하측에 설치하여 인접한 지주와 연결하는 링크와 타이바, 상기 지주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에 결합하여 거푸집 저면에 설치되는 멍에재를 받쳐주는 멍에지지대와, 상기 지주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에는 지면과 연접되는 하부받침대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시스템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멍에지지대와 결합하여 멍에재를 센터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센터유지구와, 상기 하부받침대에 결합하여 경사진 지면에 대하여 하부받침대를 수평상태로 유지하여 시스템동바리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수평유지구로 구성되는 밸런스유지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SUPPORTING POST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또는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슬라브의 저면에 설치하는 시스템동바리에 적용하여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면서 멍에를 수평 또는 정확한 센터에 유지시켜주어 시스템동바리의 시공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밸런스유지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수평으로 설치되는 슬래브(Slab)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벽체 또는 기둥이 형성된 상태에서 기둥에 대하여 직교 되는 수평 방향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이 거푸집의 하부에 수평 받침대로서 장선재와 멍에재를 서로 교차 되는 방향으로 상하 배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멍에재(각관)의 하부 측에는 시스템동바리를 설치하여 멍에재를 받쳐 지지함으로서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동바리는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시스템동바리를 도 7을 통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인 시스템동바리(1)는, 사각형이 되도록 배열되고 지면에서 거푸집을 받쳐줄 수 있는 높이를 가지는 지주(2)가 구비되고, 상기 지주(2)의 상,하단에는 나사(3)를 형성한다.
상기 지주(2)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3)에는 거푸집 저면에 설치되는 멍에재(4)를 받쳐주기 위한 멍에지지대(5)가 결합되고, 지주(2)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3)에는 지면과 연접되는 하부받침대(6)를 결합한다.
상기 지주(2)의 상,하측에는 인접한 지주(2)와 링크(7)와 타이바(8)와 같은 수평연결재로 연결하여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시스템동바리는, 지면이 수평인 위치에 건축물 또는 구조물을 설치하면 하부받침대는 정확한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나 지면이 항상 수평을 유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힘들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10 ∼ 20%에 이르는 기울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하부받침대와 지면 사이에 목재질의 끼움부재를 끼워 넣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안정된 상태로 하부받침대를 받치는 것이 힘들게 되고, 작업 과정에서 끼움부재가 쉽게 이탈하고 이 경우에는 하부받침대의 어느 한 부분만이 지면과 연접되는 형태가 되어 그 부분에 하중이 집중된다.
이와 같이 하부받침대의 어느 한 부분에 하중이 집중될 경우에는 하부받침대의 변형을 가져오고, 심할 경우에는 경사진 지면에 의하여 미끄러지는 현상과 더불어 인접한 여러 개의 하부받침대 중 어느 하나는 지면과 연접되지 못하고 공중 부양된 상태가 발생하여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게 된다.
그리고, 지주의 상단에 결합 되는 멍에지지대에는 개략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대(9)에 멍에(10)가 놓여지게 되는 데, 받침대의 폭이 멍에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멍에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쇄기를 이용하여 고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는 공사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하부받침대와 멍에지지대에 쇄기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을 생략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이로 인하여 슬라브 작업과정에서 멍에가 움직여 슬라브의 붕괴를 야기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멍에지지대의 받침대의 중심에 정확하게 멍에가 위치한 상태에서 멍에가 움직이지 않아야 슬라브 거푸집의 설치시 작업자가 거푸집 위에서 안전하게 움직일 수 있으나, 멍에가 받침대의 중앙에 있지 못하고 어느 한 방향으로 편중될 경우에는 하중 또한 편중되어 전달되므로 쉽게 움직이게 되므로 쉽게 무너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설치된 슬라브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무게는 물론, 콘크리트를 고르게 다지기 위한 다짐기와 작업자의 무게 및 다짐기에서 발생하는 진동까지 더하여 멍에로 전달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멍에가 멍에받침대의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슬라브를 안정되게 받쳐주지 못하고 결국에는 무너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멍에지지대가 금속재질로 구성되고 멍에재 또한 금속각관으로 구성되어 쉽게 잘 미끄러지기 때문에 더욱 멍에재의 움직임이 심하게 되고, 멍에재와 받침대 사이에 목재질의 쇄기를 박아 넣더라도 견고한 고정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쇄기를 해체시에는 수거하여 재활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실제 작업현장에서는 쇄기의 사용 없이 단순하게 멍에는 안치하는 형태의 작업을 수행하여 언급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반복되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사각형으로 배열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하측에 설치하여 인접한 지주와 연결하는 링크와 타이바, 상기 지주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에 결합하여 거푸집 저면에 설치되는 멍에재를 받쳐주는 멍에지지대와, 상기 지주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에는 지면과 연접되는 하부받침대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시스템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멍에지지대와 결합하여 멍에재를 센터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센터유지구와, 상기 하부받침대에 결합하여 경사진 지면에 대하여 하부받침대를 수평상태로 유지하여 시스템동바리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수평유지구로 구성되는 밸런스유지장치를 더 구비하여;
멍에재가 항상 멍에지지대의 중앙에 위치하여 움직이지 않고 하부받침대가 경사진 지면을 따라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시스템동바리를 안전하게 유지하여 전복 또는 붕괴와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시스템동바리를 구성하는 하부받침대와 멍에지지대에 결합하여 수평을 유지하고 센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밸런스유지장치를 더 구비하여 안정되게 슬라브를 구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유지하고, 설치와 해체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시공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효율적인 동바리 설치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인 밸런스유지장치가 적용된 시스템동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를 구성하는 수평유지구를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를 구성하는 센터유지구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를 구성하는 센터유지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를 구성하는 수평유지구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를 구성하는 센터유지구의 사용상태도.
도 7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동바리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인 밸런스유지장치가 적용된 시스템동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를 구성하는 수평유지구를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를 구성하는 센터유지구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를 구성하는 센터유지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를 구성하는 수평유지구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를 구성하는 센터유지구의 사용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시스템동바리(100)는, 사각형이 되도록 배열되고 지면에서 거푸집을 받쳐줄 수 있는 높이를 가지는 지주(101)가 구비되고, 상기 지주(101)의 상,하측에는 인접한 지주(101)와 링크(102)와 타이바(103)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주(101)의 상,하단에는 나사(104)를 형성하고, 지주(101)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104)에는 거푸집 저면에 설치되는 멍에재(105)를 받쳐주기 위한 멍에지지대(106)를 결합하고, 지주(101)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104)에는 지면과 연접되는 하부받침대(107)를 결합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멍에지지대(106)와 하부받침대(107)에 결합하여 시스템동바리(100)가 지면에 관계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밸런스유지장치(110)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런스유지장치(110)는 멍에지지대(106)와 결합하여 멍에재(105)를 센터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센터유지구(111)와, 상기 하부받침대(107)에 결합하여 경사진 지면에 대하여 하부받침대(107)를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유지구(112)로 구성한다.
상기 센터유지구(111)는, 멍에지지대(106)를 구성하는 개략 ∪형상의 받침대(113)에 수납될 수 있도록 중앙에 멍에재(105)가 삽입될 수 있도록 멍에홈(115)을 형성한 센터바디(116)를 구비한다.
상기 센터바디(116)에 형성되는 멍에홈(115)의 크기는 사용되는 멍에재(105)의 규격에 따라 여러 형태로 구성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며, 경사슬라브 시공시 적용할 수 있도록 멍에홈(115)의 바닥에 경사면(117)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센터바디(116)의 저면 중심에는 멍에지지대(106)의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홀(118)과 결합하여 멍에지지대(106)를 쉽게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지돌기(120)를 일체로 더 형성한다.
상기 수평유지구(112)는, 경사진 지면에 위치하는 하부받침대(107)와 지면(121)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평평한 상면(122)과 경사를 가지는 저면(123)을 가지는 수평바디(125)를 구비한다.
상기 수평바디(125) 중 높이(H)가 높은 위치(낮은 지면에 위치하는)의 중앙에는 쇄기(126)를 이용하여 경사진 지면에 의하여 수평바디(125)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쇄기홈(127)을 더 형성한다.
물론, 상기 수평바디(125)의 상면 중앙에는 하부받침대(107)를 구성하는 베이스(128)가 삽입되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베이스홈(129)을 더 형성하여도 되며, 상기 수평바디(125)의 저면(123)에 형성하는 경사는 10 ∼ 20% 범위의 경사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를 10 ∼ 20% 범위로 주는 것은 시스템동바리(100)가 설치될 수 있는 지면의 통상적인 경사가 이 범위에 해당되고, 20% 경사범위를 넘어갈 경우에는 시스템동바리(100)의 설치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 밸런스유지장치(110)를 구성하는 센터유지구(111)와 수평유지구(112)의 재질은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면서 현장에서 작업자재 또는 도구에 의하여 쉽게 손상되지 않으면서 마찰력이 높아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 우레탄 또는 고무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동바리(100)용 밸런스유지장치(11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스템동바리(100)를 설치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치과정의 설명은 생략하고, 시스템동바리(100)를 구성하는 멍에지지대(106)와 하부받침대(107)에 밸런스유지장치(110)를 구성하는 센터유지구(111)와 수평유지구(112)를 결합하여 멍에재(105)가 항상 멍에지지대(106)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하부받침대(107)가 수직상태를 바르게 유지하여 경사진 지면(121)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현상 없이 슬라브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센터유지구(111)는 멍에지지대(106)를 구성하는 받침대(113)에 센터바디(116)를 결합한 후, 센터바디(116)의 저면 중앙에 돌출되는 유지돌기(120)를 받침대(113)에 형성되는 관통홀(118)에 결합시켜 센터바디(116)가 움직이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받침대(113)에 결합된 센터유지구(111)의 센터바디(116) 중앙에 형성된 멍에홈(115)에 멍에재(105)를 결합함으로써 멍에재(105)가 항상 센터에 위치하면서 움직이거나 미끄러지는 현상 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수평유지구(112)의 경우에는, 경사진 지면(121)에 위치한 하부받침대(107)의 저면에 수평바디(125)를 개재하는 데, 상면(122) 중앙에는 하부받침대(107)의 베이스(128)가 위치하도록 하고, 저면(123)은 지면(121)과 연접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높이(H)가 높은 위치의 수평바디(125)에 형성되는 쇄기홈(127)에는 쇄기(126)를 지면에 박아 쇄기(126)에 의하여 수평바디(125)가 경사진 지면(121)을 따라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멍에재가 항상 멍에지지대의 중앙에 위치하여 움직이지 않고 하부받침대가 경사진 지면을 따라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시스템동바리를 안전하게 유지하여 전복 또는 붕괴와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00; 시스템동바리 101; 지주
105; 멍에재 106; 멍에지지대
107; 하부받침대 110; 밸런스유지장치
111; 센터유지구 112; 수평유지구
115; 멍에홈 116; 센터바디
120; 유지돌기 122; 상면
123; 저면 125; 수평바디
127; 쇄기홈

Claims (3)

  1. 사각형으로 배열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하측에 설치하여 인접한 지주와 연결하는 링크와 타이바;
    상기 지주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에 결합하여 거푸집 저면에 설치되는 멍에재를 받쳐주는 멍에지지대와;
    상기 지주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에는 지면과 연접되는 하부받침대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시스템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멍에지지대와 결합하여 멍에재를 센터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센터유지구와;
    상기 하부받침대에 결합하여 경사진 지면에 대하여 하부받침대를 수평상태로 유지하여 시스템동바리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수평유지구로 구성되는 밸런스유지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유지구는, 멍에지지대를 구성하는 받침대에 수납되는 센터바디와;
    상기 센터바디의 중앙에 멍에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멍에홈과;
    상기 센터바디의 저면 중심에 형성하여 멍에지지대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결합하여 센터바디의 이탈현상을 방지하는 유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구는, 하부받침대와 경사진 지면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평평한 상면과 경사를 가지는 저면을 가지는 수평바디와;
    상기 수평바디의 높이가 높은 위치 중앙에 쇄기를 이용하여 경사진 지면을 따라 수평바디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하는 쇄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
KR1020120056168A 2012-05-25 2012-05-25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 KR101415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168A KR101415254B1 (ko) 2012-05-25 2012-05-25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168A KR101415254B1 (ko) 2012-05-25 2012-05-25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072A true KR20130132072A (ko) 2013-12-04
KR101415254B1 KR101415254B1 (ko) 2014-07-04

Family

ID=49981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168A KR101415254B1 (ko) 2012-05-25 2012-05-25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2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207B1 (ko) 2021-12-27 2022-07-13 주식회사 서남산업 시스템 동바리의 대각재 이탈방지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033B1 (ko) 2019-07-24 2020-08-28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트리플 유헤드 비정형 서포트 구조
KR102322585B1 (ko) 2021-03-02 2021-11-10 황동근 거푸집용 멍에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615Y2 (ja) * 1992-08-31 1998-11-25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セットバックにおける枠足場取付用のジャッキベース受金物
KR200345059Y1 (ko) * 2003-12-22 2004-03-18 김상영 슬래브 거푸집용 멍에 지지구
KR20110135259A (ko) * 2010-06-10 2011-12-16 (주)거혁산업 서포터의 드럽장치
KR101157588B1 (ko) * 2010-07-07 2012-06-18 삼광선재 주식회사 슬라브 폼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철골조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207B1 (ko) 2021-12-27 2022-07-13 주식회사 서남산업 시스템 동바리의 대각재 이탈방지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254B1 (ko) 201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994B1 (ko) 폼 트래블러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JP2015531437A (ja) パネル支持ブラケット
CN111980389A (zh) 一种临边作业操作平台
KR101415254B1 (ko)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
CN107201719B (zh) 高架桥防撞墙模板吊装转运机及防撞墙施工方法
CN213234220U (zh) 一种临边作业操作平台
KR101759710B1 (ko) 건축물의 보 성형을 위한 보 거푸집 받침방법
JP4185901B2 (ja) 軌道スラブ敷設位置調整装置
KR20190041189A (ko) 장대교량 주탑용 철근 선시공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KR101645469B1 (ko) 하로교용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로교 시공방법
JP5577538B2 (ja) 移動型安全体感設備用架構および安全体感教育方法
KR20150082331A (ko) 집합형 굴뚝 해체를 위한 발판 장치 및 그 발판 장치를 이용한 집합형 굴뚝 해체 방법
US3703269A (en) Adjustable support beam
CN204475182U (zh) 一种铁路桥墩墩顶吊篮的安装工装
US20090050405A1 (en) Scaffold base device for stabilizing scaffolding
CN204662929U (zh) 一种跨线行走式防护操作装置
CN104499435B (zh) 一种用于自锚式悬索桥散索鞍底座安装的托架
JP2009121145A (ja) 張出し架設機及び張出し架設方法
MX2014000415A (es) Cimbra autolanzable para plataformas portuarias.
CN115288024A (zh) 附墙装置及用于爬模的驱动装置
KR100808291B1 (ko) 거더타입 교량용 안전장치
CN212895962U (zh) 一种用于悬灌梁张拉作业的可拆卸式操作平台
JP6520533B2 (ja) 天井クレーン支持装置及び荷重受け部材
EP4136299A1 (en) Lift shaft scaffolding and related safety rail installation
KR20170017114A (ko) 안전대 거치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