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745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745A
KR20170016745A KR1020150110228A KR20150110228A KR20170016745A KR 20170016745 A KR20170016745 A KR 20170016745A KR 1020150110228 A KR1020150110228 A KR 1020150110228A KR 20150110228 A KR20150110228 A KR 20150110228A KR 20170016745 A KR20170016745 A KR 20170016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condensed water
air
condenser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9107B1 (ko
Inventor
정주식
김재형
강형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0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107B1/ko
Priority to PCT/KR2016/007891 priority patent/WO2017022984A1/ko
Priority to EP20190436.4A priority patent/EP3770316B1/en
Priority to US15/227,275 priority patent/US10337137B2/en
Priority to EP16182558.3A priority patent/EP3128069B1/en
Priority to CN201610632967.0A priority patent/CN106436240A/zh
Publication of KR20170016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107B1/ko
Priority to US16/419,662 priority patent/US1098238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Abstract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구비하고, 의류수용부로 순환하는 공기에 열을 가하는 히트펌프 사이클; 상부면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를 안착시키고, 내부에 응축수 수집부를 구비하는 워터커버; 및 상기 워터커버에서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 사이 공간으로 돌출 형성되어, 응축수가 공기 유동에 의해 상기 증발기에서 응축기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응축수 포집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CLOTHES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응축수의 비산을 방지하여 건조성능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 또는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이 두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발생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리프레쉬 기능 또는 살균 기능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건조시키는 드럼 타입의 건조기, 의류를 걸어두고 건조시키는 캐비닛 타입의 건조기 및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리프레셔 등이 개발되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리프레셔, 또는 건조기 등은 열원공급부를 구비하여 공기를 가열함에 따라 의류로 열풍을 공급한다. 이러한 열원공급부는 열원에 따라 가스를 연소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가스식 히터와, 전기저항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는 전기식 히터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히트펌프 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 히트펌프시스템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히트펌프 시스템을 구비하는 의류건조기는 드럼과 같은 의류수용부에서 배출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증발기와 응축기로 통과시켜, 고온 다습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다시 의류수용부로 유입될 공기에 열을 가함에 따라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히트펌프 사이클을 적용한 의류건조기 또는 세탁 겸용 건조기는 히트펌프 사이클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고풍량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높임에 따라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순환속도를 증가시키며, 고풍량이 히트펌프 사이클에 제공된다. 증발기는 드럼에서 배출되는 고풍량의 공기로부터 더 많은 열량을 흡수하고, 응축기는 고풍량의 공기로 더 많은 열량을 방출하여 고풍량의 열풍을 드럼으로 제공한다. 이에 의해, 건조기의 성능 및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러나, 히트펌프 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 및 응축기가 열교환기 커버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증발기를 고풍량으로 통과할 경우에 물 자체의 표면장력 및 공기유동에 의한 전단응력에 의해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증발기 하부로 떨어지지 않고 응축기로 비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응축기의 온도가 떨어지므로, 건조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D1: 등록특허 KR 10-1121152호(2012. 02. 21.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고풍량이 요구되는 히트펌프 시스템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증발기의 응축수가 물 자체의 표면장력 및 공기유동에 의한 전단응력에 의해 증발기로부터 응축기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구비하고, 의류수용부로 순환하는 공기에 열을 가하는 히트펌프 사이클; 상부면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를 안착시키고, 내부에 응축수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워터커버; 및 상기 워터커버에서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 사이 공간으로 돌출 형성되어, 응축수가 공기 유동에 의해 상기 증발기에서 응축기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응축수 포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포집부는, 응축수 수집부와 연결되는 포집바디; 상기 포집바디의 전방면에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 및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를 유입시키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포집바디 외부로 유출시키는 공기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입구와 공기유출구를 통해 포집바디 내부에 수평방향의 공기유동을 형성할 수 있고, 포집바디 내부의 공기유동에 의해 포집바디 내부로 응축수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유출구는 상기 포집바디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기유출구의 크기 및 갯수에 따라 공기유동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유출구는 상기 포집바디의 상부면에서 상기 응축기를 향해 한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기 유동에 의한 전단력을 증가시켜 포집바디 내부로의 공기 및 응축수 유입을 더 많이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유입구는 상기 증발기의 후단과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응축수가 비산되는 증발기 후단의 하부를 포집바디의 유입구가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포집바디는 하부에 응축수 수집부와의 연결을 위한 응축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응축수의 포집과 수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워터커버는, 상기 증발기를 안착시키는 제1안착부; 및 상기 응축기를 안착시키는 제2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포집부는 상기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수집부는 제1안착부 및 제2안착부 내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포집부는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수집부에 수집된 응축수는 배수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유입구 및 공기유출구는 서로 수직 또는 직교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집바디 내부에서 공기 유동 방향은 포집바디 외부의 공기 유동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공기 및 응축수가 분리되는 방향은 중력방향으로 자연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증발기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워터커버 하부로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응축기로 비산되는 응축수를 방지하여 의류건조기의 성능을 개선하고,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 사이클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포집부를 구비하는 워터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응축수 포집부를 일 측면에서 본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비산 방지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응축수 비산 방지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건조기 또는 세탁 겸용 건조기, 스팀공급장치를 구비하여 리프레쉬 기능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드럼 타입의 건조기 및 캐비닛 타입의 건조기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 사이클(140)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00)는 드럼 타입의 건조기를 예시한 것이며, 캐비닛, 의류수용부, 구동부, 송풍팬(130), 히트펌프 사이클(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캐비닛은 제품의 외형을 형성한다.
캐비닛 내부에 의류수용부가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할 수 있다. 드럼타입의 의류건조기의 경우 캐비닛 내부에 드럼(110)이 설치되어 의류를 수용할 수 있다. 드럼(110)은 캐비닛 내부에 수평방향 또는 일정각도로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드럼(110)은 속이 빈 원통형상을 가지며, 건조대상물인 의류를 투입하여 건조시키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한다. 드럼(110)의 전방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캐비닛의 전방면에 투입구가 형성되며, 개구부와 투입구가 서로 연통되어, 의류를 드럼(110)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도어가 캐비닛에 힌지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건조대상물인 의류를 효율적으로 건조하기 위해, 드럼(110)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드럼(110) 내부에 리프터(lifter)가 구비되어, 리프터에 의해 의류를 텀블링(Tumbling)시킬 수 있다.
구동부는 모터 등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제공하고, 모터의 출력축과 드럼(110)이 벨트 등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며, 모터의 회전력이 드럼(110)으로 전달되어, 드럼(1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공기유로는 드럼(110)과 연결되어, 공기의 순환을 위한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유로는 공기덕트(120)로 마련될 수 있다. 드럼(110)의 전단 하부에 공기의 배출을 위한 드럼(110) 출구가 형성되고, 드럼(110)의 배면에 공기의 유입을 위한 드럼(110) 입구가 형성되며, 공기덕트(120)는 드럼(110) 출구 및 입구와 연통되어, 공기의 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
송풍팬(130)의 설치위치는 드럼(110) 출구에서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증발기(141)로 연장되는 공기덕트(120) 또는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응축기(142)에서 드럼(110) 입구로 연장되는 공기덕트(120) 내부 일 수 있다. 송풍팬(130)은 별도의 팬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공기에 동력을 가하여 드럼(110) 내부를 통과시키며, 드럼(110)에서 배출된 공기를 다시 드럼(110)으로 순환시킨다.
드럼(110) 출구에 린트필터가 설치되어,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린트필터를 통과함에 따라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를 포집할 수 있다.
의류('포'라고도 함)는 드럼(110)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수분을 증발시키고, 드럼(110)에서 통과하는 공기는 의류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포함한 채로 드럼(110)에서부터 배출된다.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는 공기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히트펌프 사이클(14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된 후 드럼(110)으로 순환된다.
히트펌프 사이클(140)은 증발기(141), 압축기(143), 응축기(142) 및 팽창밸브(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히트펌프 사이클(140)은 작동유체로 냉매를 사용할 수 있다. 냉매는 냉매배관(145)을 따라 이동하고, 냉매배관(145)은 냉매의 순환을 위한 폐루프를 형성한다. 증발기(141), 압축기(143), 응축기(142) 및 팽창밸브(144)는 냉매배관(145)에 의해 연결되어, 냉매가 증발기(141), 압축기(143), 응축기(142) 및 팽창밸브(144)를 순서대로 통과한다.
증발기(141)는 드럼(110) 출구와 연통되도록 공기유로에 설치되고, 드럼(110) 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켜,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열량을 건조기 외부로 버리지 않고 회수한다.
응축기(142)는 드럼(110) 입구와 연통되도록 공기유로에 설치되고, 증발기(141)를 통과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켜, 증발기(141)에서 흡열된 냉매의 열량을 드럼(110)으로 유입될 공기로 방열시킨다.
증발기(141) 및 응축기(142)는 공기덕트(12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증발기(141)는 드럼(110) 출구와 연결되고, 응축기(142)는 드럼(110) 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증발기(141) 및 응축기(142)는 핀 앤 튜브 타입(fin & tube type)의 열교환기일 수 있다. 핀 앤 튜브 타입은 속이 빈 튜브에 평판 형태의 핀이 부착되는 형태이다. 냉매가 튜브 내부를 따라 흐르고, 공기가 튜브 외부면을 지나면서, 냉매와 공기가 서로 열교환한다. 핀은 공기와 냉매 간의 열교환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141)의 냉매보다 온도가 더 높으므로, 증발기(141)를 통과하면서 공기의 열량을 증발기(141)의 냉매로 빼앗김에 따라, 응축되어 응축수를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141)에 의해 제습(습기가 제거)되고, 응축된 응축수는 증발기(141)의 하부에 구비되는 응축수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응축수 수집 및 배출과 관련된 설명은 추후에 응축수 비산방지 구조에 대한 설명 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증발기(141)에서 흡열된 공기의 열원은 냉매를 매개로 하여 응축기(142)로 이동되고, 증발기(141)(저열원부)에서 응축기(142)(고열원부)로 열원을 이동시키기 위해 증발기(141)와 응축기(142) 사이에 압축기(143)가 위치한다.
압축기(143)는 증발기(141)에서 응축기(142)로 연장되는 냉매배관(145)에 설치되고, 증발기(141)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냉매를 만들며, 고온,고압의 냉매를 냉매배관(145)을 따라 응축기(142)로 이동시킨다. 압축기(143)는 냉매의 토출량을 제어하기 위해 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인버터형 압축기(143)일 수 있다.
팽창밸브(144)는 응축기(142)에서 증발기(141)로 연장되는 냉매배관(145)에 설치되고, 응축기(142)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저압의 냉매로 만들어 증발기(141)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구성에 따른 냉매의 이동경로를 살펴보면, 냉매는 기체 상태로 압축기(143)에 유입되어 압축기(143)의 압축에 의해 고온·고압으로 되고, 고온·고압의 냉매는 응축기(142)로 유입되어 응축기(142)에서 열을 공기로 방출함에 따라 기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한다.
이어서, 액체 상태의 냉매는 팽창밸브(144)로 유입되어 팽창밸브(144)(또는 모세관 등 포함)의 교축작용에 의해 저온·저압으로 변하고, 저온·저압의 액상냉매는 증발기(141)로 유입되어 증발기(141)에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함에 따라 액체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냉매를 증발시킨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 사이클(140)은 압축기(143)→응축기(142)→팽창밸브(144)→증발기(141)로 냉매를 반복해서 순환시키며, 드럼(110)으로 순환되는 공기에 열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증발기(141)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고풍량에 의해 응축기(142)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응축수 포집부(160)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포집부(160)를 구비하는 워터커버(15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응축수 포집부를 일 측면에서 본 일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워터커버(150)는 베이스 상부에 설치된다. 워터커버(150)의 가장자리부에 체결홀(153)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워터커버(150)와 베이스를 체결할 수 있다. 워터커버(150)는 열교환기 커버 하부에 설치되고, 열교환기 커버 내부에 이격 배치되는 증발기(141) 및 응축기(142)가 워터커버(150)의 상부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안착된다.
워터커버(150)의 일측에 제1안착부(151)가 구비되어, 증발기(141)를 안착시킬 수 있다. 워터커버(150)의 타측에 제2안착부(152)가 구비되어 응축기(142)를 안착시킬 수 있다.
제1안착부(151)의 상면에 다수개의 응축수유입홀(154)이 관통 형성되어, 증발기(141)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증발기(141)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이동하며, 응축수유입홀(154)로 유입된다.
제1안착부(151)의 내부에 제1응축수수집부(157)가 형성되어, 응축수유입홀(154)을 통해 유입되는 응축수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제1응축수수집부(157)는 응축수의 수집공간을 최대한 많이 확보하기 위해 제1안착부(151)의 전체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제1안착부(151)의 전방 상단에 전방플레이트(155)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제1응축수수집부(157)의 체적공간을 일정한 깊이로 마련할 수 있다.
제2안착부(152)의 저면에 지지부(159)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제2안착부(152)를 지지하고, 제2응축수수집부(158)의 체적공간을 일정한 깊이로 마련할 수 있다. 지지부(159)는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며, 지지부(159) 내부에 돌기를 삽입함으로 베이스와 제2안착부(152)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2안착부(152)의 내부에 제2응축수수집부(158)가 형성되고, 제2응축수수집부(158)와 제1응축수수집부(157)가 서로 연통되어, 제1응축수수집부(157)에 수집된 응축수의 저장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제2응축수수집부(158)는 제2안착부(152)의 전체 면적의 일부를 차지할 수 있다.
제1안착부(151)의 상면 네 귀퉁이 부분에 결합돌기(156)가 각각 형성되어, 증발기(141)와 제1안착부(151)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2안착부(152)의 상면 네 귀퉁이 부분에도 결합돌기(156)가 각각 형성되어, 응축기(142)와 제2안착부(152)를 결합할 수 있다.
응축수 포집부(160)는 제1안착부(151)와 제2안착부(152) 사이에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응축수 포집부(160)는 공기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안착부(151)와 제2안착부(152)를 가로질러서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 포집부(160)는 제1안착부(151) 및 제2안착부(152)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포집바디(161)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포집바디(161)의 높이는 증발기(141)의 후방면 하단에서 증발기(141)와 응축기(142) 사이의 간격만큼 돌출될 수 있다.
포집바디(161)는 내부에 공기를 통과시키는 상부공간과 응축수를 제1 및 제2안착부(152)의 안착면 아래로 유도하기 위한 하부공간을 포함한다.
포집바디(161)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은 제1응축수수집부(157)와 제2응축수수집부(158)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응축수수집부와 연통되어, 포집바디(161) 내부로 포집되는 응축수가 제1응축수수집부(157) 및 제2응축수수집부(158)로 수집될 수 있다. 포집바디(161)의 하부공간은 응축수 연결부(164)를 형성할 수 있다. 응축수 연결부(164)는 증발기(141) 또는 응축기(142)가 안착되는 안착면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포집바디(161)의 전방면에 유입구(162)가 형성된다. 포집바디(161)의 전방면은 증발기(141)의 후방 하단부와 마주보는 면을 말한다. 예를 들어, 유입구(162)는 제1안착부(151)의 응축수유입홀(154) 중에서 증발기(141)의 후단에 위치한 응축수유입홀(154)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증발기(141)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의 일부가 유입구(162)를 통해 포집바디(16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141)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가 유입구(162)를 통해 포집바디(16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포집바디(161)의 상부면에 공기유출구(163)가 형성된다. 공기유출구(163)는 응축수를 안착면 아래로 유도하기 위한 동력원을 제공한다. 여기서, 동력원이란 공기 유동에 의해 생성되는 힘으로서, 응축수를 증발기(141) 또는 응축기(142)의 저면보다 낮은 응축수 수집부로 유도하기 위한 전단력을 의미한다. 전단력은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한다.
공기유출구(163)는 포집바디(161)의 상면에서 오른쪽, 예를 들어 공기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류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공기유출구(163)가 유입구(162)에서 공기이동방향으로 이격되는 거리가 너무 짧으면 유입구(162)를 통해 공기 흡입량을 원하는 수준 이상 확보하지 못하고 오히려 유입구(162) 위쪽으로 타고 넘어갈 우려가 있으며, 공기유동에 의한 전단력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워서, 응축수를 포집바디(161)의 유입구(162)로 유도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기유출구(163)의 위치(길이방향 중심선의 위치)는 공기유동에 의한 전단력을 확보하기 위해 증발기(141)와 응축기(142) 사이의 이격거리 범위 내에서 포집바디(161)의 유입구(162)로부터 최대한 먼 곳에 위치하는 것이 적당하다.
여기서, 포집바디(161)의 유입구(162)와 유출구(163)는 서로 수직방향 또는 직교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증발기(141)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와 증발기(141)에서 응축되는 응축수가 유입구(162)를 통해 함께 유입되고, 비중 및 밀도가 높은 응축수는 포집바디(161)의 하부공간으로 가라앉으며, 반면에 비중 및 밀도가 낮은 공기는 포집바디(161)의 상부공간을 지나 공기유출구(163)를 통해 응축기(142)로 유입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비산 방지 구조의 작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비산 방지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응축수 비산 방지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증발기(141)에서 응축수 생성과정을 살펴보면, 증발기(141) 내부에 위치하는 냉매배관(145)을 따라 흐르는 냉매와 증발기(141)를 통과하는 공기는 서로 열교환한다. 냉매는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저온이므로, 온도 차이에 의해 냉매배관(145) 및 핀의 외표면에 응축수 방울이 맺히게 된다.
예를 들면, 공기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증발기(141)의 전단부에서 후단부 사이의 구간에서는 응축수와 증발기(141) 표면 간의 표면장력이 공기유동에 의한 전단력(수평방향으로 작용함)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응축수에 대한 중력(수직방향으로 작용함)이 상기 표면장력보다 더 크므로, 응축수가 증발기(141)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며 응축수유입홀(154)을 통해 제1응축수수집부(157)에 수집되는 것이다.
그러나, 고풍량에 의해 공기 이동속도가 빨라지면 증발기(141)의 후단에서는 상황이 달라진다.
즉, 응축수는 표면장력 및 중력에 의해 흘러내려감에 따라 공기유동에 의한 전단력의 영향을 받는다.
종래에는 응축수가 증발기의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고 공기와 함께 응축기로 비산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응축수가 응축수 포집부(160)에 의해 포집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의 이동경로를 살펴보면, 증발기(141)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 즉 증발기(141) 하부 공기는 증발기(141)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의 일부를 포함하고, 응축수가 혼합된 공기는 포집바디(161) 내부의 공기 유동에 따른 전단력에 의해 응축수 포집부(160)의 유입구(162)로 유도된다.
응축수 포집부(160)의 유입구(162)로 유도되는 응축수 혼합 공기는 포집바디(161)의 상부공간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중량이 가벼운 공기는 공기유출구(163)를 통해 포집바디(161)의 상부로 유출되어 응축기(142)로 유입된다. 중량이 무거운 응축수는 비중 차이로 인해 상부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에서 분리되어 하부공간의 응축수 연결부(164)로 하강한다.
이어서, 응축수 연결부(164)로 내려가는 응축수는 응축수 연결부(164)와 연통되는 응축수 수집부로 수집된다.
수집된 응축수는 배수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수호스의 일단부는 응축수 수집부 또는 응축수 연결부(164)와 연결되고, 배수호스의 타단부는 캐비닛 외부와 연결되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증발기(141)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응축기(142)로 비산되는 것이 아니라 워터커버(150) 하부로 효과적으로 수집되며, 의류건조기의 성능을 개선하고,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의류처리장치
110 : 의류수용부
120 : 공기덕트
130 : 송풍팬
140 : 히트펌프 사이클
141 : 증발기
142 : 응축기
143 : 압축기
144 : 팽창밸브
145 : 냉매배관
150 : 워터커버
151 : 제1안착부
152 : 제2안착부
153 : 체결홀
154 : 응축수유입홀
155 : 전방플레이트
156 : 결합돌기
157 : 제1응축수수집부
158 : 제2응축수수집부
159 : 지지부
160 : 응축수 포집부
161 : 포집바디
162 : 유입구
163 : 공기유출구
164 : 응축수 연결부

Claims (11)

  1.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구비하고, 의류수용부로 순환하는 공기에 열을 가하는 히트펌프 사이클;
    상부면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를 안착시키고, 내부에 응축수 수집부를 구비하는 워터커버; 및
    상기 워터커버에서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 사이 공간으로 돌출 형성되어, 응축수가 공기 유동에 의해 상기 증발기에서 응축기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응축수 포집부;
    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포집부는,
    상기 응축수 수집부와 연결되는 포집바디;
    상기 포집바디의 전방면에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 및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를 유입시키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포집바디 외부로 유출시키는 공기유출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출구는 상기 포집바디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출구는 상기 포집바디의 상부면에서 상기 응축기를 향해 한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증발기의 후단과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바디는 하부에 응축수 수집부와의 연결을 위한 응축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커버는,
    상기 증발기를 안착시키는 제1안착부; 및
    상기 응축기를 안착시키는 제2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포집부는 상기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수집부는 제1안착부 및 제2안착부 내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포집부는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수집부에 수집된 응축수는 배수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 및 공기유출구는 서로 수직 또는 직교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50110228A 2015-08-04 2015-08-04 의류처리장치 KR101729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228A KR101729107B1 (ko) 2015-08-04 2015-08-04 의류처리장치
PCT/KR2016/007891 WO2017022984A1 (ko) 2015-08-04 2016-07-20 의류처리장치
EP20190436.4A EP3770316B1 (en) 2015-08-04 2016-08-03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15/227,275 US10337137B2 (en) 2015-08-04 2016-08-03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16182558.3A EP3128069B1 (en) 2015-08-04 2016-08-03 Clothes treating apparatus
CN201610632967.0A CN106436240A (zh) 2015-08-04 2016-08-04 衣物处理装置
US16/419,662 US10982380B2 (en) 2015-08-04 2019-05-22 Clothes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228A KR101729107B1 (ko) 2015-08-04 2015-08-0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745A true KR20170016745A (ko) 2017-02-14
KR101729107B1 KR101729107B1 (ko) 2017-04-21

Family

ID=56567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228A KR101729107B1 (ko) 2015-08-04 2015-08-0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337137B2 (ko)
EP (2) EP3770316B1 (ko)
KR (1) KR101729107B1 (ko)
CN (1) CN106436240A (ko)
WO (1) WO20170229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2584A1 (en) * 2018-08-09 2020-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care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953B1 (ko) * 2016-01-05 2023-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087357B (zh) * 2016-06-27 2018-05-01 江苏科技大学 一种船用干衣机及控制方法
CN109468816A (zh) * 2017-09-08 2019-03-1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热泵模块及洗衣机/干衣机
CN110318235B (zh) * 2018-03-30 2023-07-2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
CN110318234B (zh) * 2018-03-30 2023-07-0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
JP7225223B2 (ja) * 2018-05-24 2023-02-20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DE102018210525A1 (de) * 2018-06-27 2020-01-02 BSH Hausgeräte GmbH Bodengruppe für ein Gerät zum Trocknen von Wäsche
EP3870017A1 (en) * 2018-10-24 2021-09-01 Arçelik Anonim Sirketi A heat pump dishwasher with improved evaporator performance
DE102019212781A1 (de) * 2019-08-27 2021-03-04 BSH Hausgeräte GmbH Wäschebehandlungsgerät
US11174586B2 (en) * 2019-09-10 2021-11-1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Vortex dryer appliance
US10712089B1 (en) 2020-01-23 2020-07-14 Sui LIU Heat pump dryer
CN112054416B (zh) * 2020-09-03 2022-03-01 福建腾力电力发展有限公司 正压空间开关柜
KR20220114284A (ko) * 2021-02-08 202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81A (ko) * 2021-02-08 202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JP1752904S (ja) * 2021-05-21 2023-09-13 衣服用除湿脱臭及びしわ除去機の本体
JP1750999S (ja) * 2021-05-21 2023-08-16 衣服用除湿脱臭及びしわ除去機の本体
WO2023027295A1 (ko) * 2021-08-27 2023-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CN114753088B (zh) * 2022-04-29 2023-09-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装置和洗干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152B1 (ko) 2010-01-07 2012-03-09 경인냉열산업 주식회사 열교환기의 응축수 비산방지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755A (ja) * 2002-10-16 2004-05-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機
JP2007000386A (ja) 2005-06-24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装置
JP4834342B2 (ja) * 2005-07-26 2011-12-14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7330439A (ja) 2006-06-14 2007-12-27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JP4376276B2 (ja) * 2007-06-06 2009-12-02 木村工機株式会社 熱交換コイル
TR201104077A1 (tr) * 2011-04-26 2012-11-21 Arçeli̇k Anoni̇m Şi̇rketi̇ Isı pompalı çamaşır kurutucu.
JP5782938B2 (ja) * 2011-09-09 2015-09-24 株式会社ノーリツ 燃焼装置
EP2612965B1 (en) * 2012-01-05 2018-04-2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ppliance and method for drying laundry
JP6023976B2 (ja) 2012-07-19 2016-11-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衣類乾燥機
ITTO20121001A1 (it) * 2012-11-16 2014-05-17 Indesit Co Spa Macchina adatta ad eseguire almeno un ciclo di asciugatura di panni
JP2014150997A (ja) * 2013-02-08 2014-08-25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KR102078367B1 (ko) * 2013-04-19 2020-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20140311175A1 (en) 2013-04-19 2014-10-23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CN104593992A (zh) 2013-10-30 2015-05-06 海尔集团公司 一种波轮式热泵洗干一体机及烘干方法
JP6276012B2 (ja) * 2013-12-03 2018-02-07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乾燥機
JP6616590B2 (ja) * 2015-05-19 2019-12-04 三星電子株式会社 乾燥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152B1 (ko) 2010-01-07 2012-03-09 경인냉열산업 주식회사 열교환기의 응축수 비산방지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2584A1 (en) * 2018-08-09 2020-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care apparatus
US11028526B2 (en) 2018-08-09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car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36240A (zh) 2017-02-22
US20170037562A1 (en) 2017-02-09
WO2017022984A1 (ko) 2017-02-09
EP3770316B1 (en) 2023-10-25
EP3128069A1 (en) 2017-02-08
US20190271109A1 (en) 2019-09-05
KR101729107B1 (ko) 2017-04-21
EP3128069B1 (en) 2020-09-30
US10982380B2 (en) 2021-04-20
EP3770316A1 (en) 2021-01-27
US10337137B2 (en)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10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613966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30193552A1 (en) Method of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04233735B (zh) 一种热泵干衣机及干衣方法
EP3027800B1 (en) Laundry machine
JP2005253588A (ja) 乾燥機
EP3015591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191055A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JP2008048810A (ja) 衣類乾燥装置
CN106436234B (zh) 热泵烘干机
KR20090105080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9020319A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1809130B1 (ko) 의류건조기
KR20230155400A (ko) 의류처리장치
KR101729108B1 (ko) 의류처리장치
JP2007143712A (ja) 洗濯乾燥機
EP3978678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090013962A (ko) 의류처리장치 및 팬어셈블리
JP2016123770A (ja) 洗濯乾燥機
KR10136627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0549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05022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137504A (ko)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137503A (ko) 의류 처리장치
KR102544464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