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080A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05080A KR20090105080A KR1020080030333A KR20080030333A KR20090105080A KR 20090105080 A KR20090105080 A KR 20090105080A KR 1020080030333 A KR1020080030333 A KR 1020080030333A KR 20080030333 A KR20080030333 A KR 20080030333A KR 20090105080 A KR20090105080 A KR 200901050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e
- condenser
- accommodation space
- unit
- ai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으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제1 응축부; 및 상기 제1 응축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건조도를 높이는 제2 응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에 의하면, 의류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의류, 응축, 건조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효율적으로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기, 세탁 및 건조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건조겸용 세탁기 및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리프레셔 등이 있다. 또한, 이 중에서 의류를 향해 건조공기를 공급하여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로는 건조기, 건조겸용 세탁기 및 리프레셔 등이 있다.
이와 같이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의류처리장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여 의류를 향해 건조공기를 공급하며, 이 경우 일반적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송풍팬은 고속으로 회전을 하게 되어 구동 중에는 심한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소음을 줄이면서도 의류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으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제1 응축부; 및 상기 제1 응축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건조도를 높이는 제2 응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응축부는 히트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순환덕트 및 상기 순환덕트를 따라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응축부 및 제2 응축부는 상기 순환덕트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응축부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열교환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fi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유닛은 상기 순환덕트의 외부에 구비되는 제1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순환덕트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 열교환부 및 상기 제1 열교환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중에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 우, 상기 냉각부는 냉각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으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제1 응축부, 상기 제1 응축부와 독립적으로 공기를 건조시키는 제2 응축부 및 건조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1, 제2, 제3 모드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응축부, 제2 응축부 및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모드선택단계에서 제1 모드(Normal mode)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1 응축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드선택단계에서 제2 모드(silent mode)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송풍팬을 상기 제1 모드의 회전수의 절반 이하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 응축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드선택단계에서 제3 모드(power mode)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1 응축부 및 제2 응축부를 함께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단계에서 상기 제2 응축부를 구동시키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순환덕트 및 상기 제2 응축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냉각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응축부가 증발기, 압축기 및 응 축기를 구비하는 히트펌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축기를 냉각시키는 순환팬을 더 구비하는 경우, 상기 제2 응축부를 구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순환팬을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으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제1 응축부; 및 상기 제1 응축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건조도를 높이도록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독립적인 제2 응축부를 구비함으로써, 소음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의류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모드 중에 소음발생을 억제하는 사일런트 모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사일런트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 소음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의류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고, 이어서 그 제어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2), 수용공간(12)으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제1 응축부(도 2 참조, 22), 및 제1 응축부(22)와 독립적으로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건조도를 높이는 제2 응축부(도 2 참조, 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공간(12)은 본 실시예에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10)에 의해 형성되며, 수용공간(12)은 도어(14)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와 연통된다. 한편, 수용공간(12)의 내측에는 의류(1)를 걸어둘 수 있는 각종 지지대(16) 등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의류(1)를 지지하는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캐비넷(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12)으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제1 및 제2 응축부(22, 50)가 수용되는 기계실(20)이 형성될 수 있다. 기계실(20)은 바람직하게 수용공간(12)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제1 및 제2 응축부(22, 50) 등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계실(20)이 하부에 위치하는 이유는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는 건조공기는 대체적으로 고온이므로 상승하려는 성질을 가지게 되므로, 기계실(20)이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를 향하여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도 2는 기계실(20) 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계실(2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도 1 참조, 12)으로 건조공기를 제1 응축부(22) 및 제1 응축부와 독립적으로 공기의 건조도를 높이는 제2 응축부(50)를 포함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1 응축부(22)는 히트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히트펌프(22)는 공기조화장치 등에서 사용되는 히트펌프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히트펌프(22)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24), 압축기(26), 응축기(28)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구비하게 되며, 이에 의해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게 된다. 즉, 증발기(24)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압축기(26)를 거쳐 응축기(28)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24)와 응축기(28)가 열교환기의 기능을 하게 되어, 기계실(20)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24)와 응축기(28)를 거쳐 제습 및 가열되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22)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종래의 전기히터를 사용하여 가열된 공기에 비하여 온도는 다소 낮을 수 있지만, 별도의 제습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제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히트펌프(22)에 의해 수용공간(12)으로 다시 공급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저온 건조공기'에 해당하게 된다(여기서, '저온'이란 절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열된 공기에 해당하지만 종래의 가열 공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히트펌프(22)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열풍에 비하여 온도는 낮지만, 별도의 제습장치 없이 제습된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의류를 용이하게 건조시키며 리프레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기계실(20)의 전단 상부에는 수용공간(12)의 공기가 기계실(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1)가 형성될 수 있고, 공기유입구(21)와 증발기(24), 응축기(28) 및 송풍팬(32)을 연결하는 순환덕트(29)에 의해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덕트(29)에 의해 공기유입구(21)를 통해 기계실(20)로 유입된 공기는 히트펌프(22)를 지나면서 제습 및 가열되어 송풍팬(32)에 의해 배출구(33)를 통해 다시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기유입구(21)에는 바람직하게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21)에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수용공간(12)에서 기계실(20)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이물질 등을 여과하여 신선한 공기만을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전술한 히트펌프에 의해 구성되는 제1 응축부(22)와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제2 응축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히트펌프(22)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에 특히 압축기(26)에서 소음발생이 심하므로, 히트펌프(22)를 구동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소음발생이 적은 제2 응축부(50)를 통해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여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2 응축부(50)는 기계실(20)의 내부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순환덕트(29)를 따라 구비된다. 또한, 제2 응축부(50)는 소음발생이 적은 열교환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을 포함하는 제1 열교환부(52)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핀(52)은 순환덕트(29)의 외측을 따라 구비되며, 순환덕트(29)의 내부를 따 라 유동하는 공기와 순환덕트(29)의 외부 공기와의 열교환을 촉진하여 순환덕트(29) 내부 공기의 건조도를 높이게 된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스팀발생장치(30)에 의해 수용공간(12)으로 스팀을 공급하게 되면, 순환덕트(29)로 유입되는 공기는 비교적 고온의 공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제2 응축부(50)에 의해 순환덕트(29) 외부의 비교적 찬 공기와 열교환을 하게 되면, 순환덕트(29) 내부 공기의 온도가 내려가게 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고 건조도가 올라가게 된다.
한편, 이러한 제2 응축부(50)는 순환덕트(29)를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제2 응축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제2 응축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응축부(50)는 순환덕트(29)의 외부에 구비되는 제1 열교환부(52)와 함께 순환덕트(29)의 내부를 따라 구비되는 제2 열교환부(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열교환부(54)는 제1 열교환부(52)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순환덕트(29)를 따라 외부 뿐만 아니라, 내부에도 열교환부를 구비하게 되면 순환덕트(29)의 내부와 외부의 열교환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져 순환덕트(29)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도 3에서는 제1 및 제2 열교환부(52, 54)가 순환덕트(29)를 따라 동일한 위치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1 및 제2 열교환부(42, 54)가 순환덕트(29)를 따라 서로 상이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제2 응축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응축부(50)는 순환덕트(29)의 외부에 구비되는 제1 열교환부(52) 및 제1 열교환부(52)를 냉각시키는 냉각부(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부(60)는 제1 열교환부(52)를 냉각시킴으로써, 제1 열교환부(52)에서 보다 원활하게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냉각부(6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열교환부(52)를 냉각시키는 냉각팬(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서는 제2 응축부(50)가 제1 열교환부(52)와 함께 제2 열교환부(54) 또는 냉각부(60) 중에 어느 하나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응축부(50)가 제1 열교환부(52)와 함께 제2 열교환부(54) 및 냉각부(60)를 모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기계실(20)에는 수용공간(12)으로 스팀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팀발생장치(30)에 의해 수용공간(12)으로 스팀을 공급함에 따라 의류 등에 생길 수 있는 주름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의 효과와 함께 의류 옷감의 부풀림 등에 의한 리프레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스팀발생장치(30)에 의해 스팀을 분사하는 시기는 적절하게 변형이 가능한데,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열풍공급장치(22)에 의해 건조공기를 공급하기에 앞서서 스팀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고 난 후, 건조공기를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스팀발생장치(30)는 내부에 물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구비하게 되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여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게 된다. 스팀발생장치(3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으로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이 사용되거나, 또는 기계실(20)의 일측에 제공되는 컨테이너(container) 타입의 물공급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타입의 물공급원은 바람직하게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물공급원을 기계실(20)에서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다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팀발생장치(3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호스(36) 및 스팀노즐(40)을 통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 스팀호스(36)를 따라 스팀이 이동하는 중에 스팀의 온도가 내려가거나, 또는 스팀이 응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팀호스(36)의 길이는 짧을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계실(20)이 수용공간(12)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팀노즐(40)은 기계실(20)의 상부, 즉 수용공간(12)의 하부를 통해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계실(20)의 배면부에는 순환팬(34)을 구비할 수 있다. 순환팬(34)은 기계실(20) 외부의 공기를 기계실(20)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전술한 히트펌프(22), 특히 압축기(26)를 냉각시켜 기계실(20) 내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순서 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의 모드(mode)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단계(S510) 및 선택된 모드에 따라 제1 응축부(22), 제2 응축부(50) 및 송풍팬(3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단계(S5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에 의류를 투입한 다음, 의류처리장치의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S510). 이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모드는 하나 이상 의류처리장치에 이미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세가지 모드, 즉 제1 , 제2 및 제3 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드는 일반적인 노멀모드(normal mode)에 해당하며, 제2 모드는 소음발생이 적은 사일런트 모드(silent mode) 또는 나이트 모트(night mode)에 해당하며, 제3 모드는 건조시키고자 하는 의류가 많거나, 의류에 수분이 많은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파워모드(power mode)에 해당한다. 한편, 이러한 모드의 분류는 일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며,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미도시)는 선택된 모드에 따라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게 되며, 특히 제1 응축부(22), 제2 응축부(50) 및 송풍팬(32)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모드선택단계(S510)에서 제1 모드(Normal mode)를 선택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미도시)는 송풍팬(32)을 정상적인 회전수로 구동시키고 제1 응축부(22)를 구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1 모드는 정상적인 노멀모드에 해당하므로, 송풍팬(32)은 소음에 관계없이 정상적인 회전수로 회전하게 되 며, 히트펌프로 구성된 제1 응축부(22)가 구동을 하여 공기 중에 수분을 제거하여 수용공간(12)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모드선택단계(S510)에서 제2 모드(silent mode)를 선택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송풍팬(32)을 제1 모드의 회전수의 절반 이하로 회전시키고, 제2 응축부(50)를 구동시키고 제1 응축부(22)는 구동시키지 않는다.
제2 모드는 사일런트 모드에 해당하여 사용자가 소음을 원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독서를 하거나, 밤에 취침을 하는 경우에 주로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일런트 모드에서는 소음발생이 심한 송풍팬(32)을 정상적인 노멀 모드의 회전수의 절반 이하의 회전수로 회전시켜 소음발생을 억제하면서, 공기를 송풍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사일런트 모드에서는 제1 응축부(22)를 구동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 하면, 히트펌프로 구성된 제1 응축부(22)를 구동시키게 되면, 히트펌프를 구성하는 압축기(26)에서 다량의 소음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일런트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제1 응축부(22)를 구동시키지 않는 대신, 소음발생이 없는 제2 응축부(50)를 구동시키게 된다. 제2 응축부(50)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미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2 응축부(50)에 의해 공기를 건조시키는 경우에 제2 응축부(50)에 제1 열교환부(52) 뿐만 아니라 냉각팬(60)을 더 구비하게 되면 냉각팬(60)도 함께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팬(60)의 구동에 의해 소음이 어느 정도 발생하게 되지만, 이러한 소음은 의류처리장치의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32)의 소음에 비하여 아주 소량이므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제2 응축부(50)를 구동시키는 경우에 제2 응축부(50)가 냉각팬(60)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압축기(26)를 냉각시키는 순환팬(34)을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래 순환팬(34)은 압축기(26)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기계실(20)의 내부가 협소하여 압축기(26)에 인접하여 순환덕트(29) 및 제2 응축부(50)가 구비되므로, 순환팬(34)을 구동시킴으로써 제2 응축부(50)의 열교환을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일런트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송풍팬(32)을 노멀모드의 절반 이하의 회전수로 회전시키고, 소음발생이 현저히 적은 제2 응축부(50)에 의해 건조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소음에 의한 불쾌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모드선택단계(S510)에서 제3 모드(power mode)를 선택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송풍팬(32)을 회전시키고, 제1 응축부(22) 및 제2 응축부(50)를 함께 구동시키게 된다.
사용자가 제3 모드, 즉 파워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건조시키고자 하는 의류가 많거나, 의류에 수분이 많은 경우이므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공기 중의 수분을 보다 많이 제거할 수 있도록 제1 응축부(22) 및 제2 응축부(50)를 함께 구동시키고, 나아가 송풍팬(32)도 노멀모드의 속도, 또는 그 이상의 속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파워모드에서는 건조시키고자 하는 의류가 많은 경우이므로 소음에 관계없이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1 응축부(22) 및 제2 응축부(50)를 모두 구동시키고, 송풍팬(32)을 노멀모드의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응축부(22) 및 제2 응축부(50)를 구동시키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미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응축부로서 히터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제2 응축부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2), 수용공간(12)으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제1 응축부(22) 및 제1 응축부(22)와 독립적으로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건조도를 높이도록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응축부를 형성하는 히터(70)는 순환덕트(29)를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순환덕트(29)에서 공기가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는 배출구(33)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이는 수용공간(12)으로 공기가 공급되기 직전에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것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건조도를 높이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히터(7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전기히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2 응축부를 형성하는 히터는 소음발생이 적을수록 유리하므로,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전기히터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의 제어방법과 매우 유사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의 모드(mode)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단계 및 선택된 모드에 따라 제1 응축부(22), 히터(70) 및 송풍팬(3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의 제어방법에서 제2 응축부가 히터(70)로만 변경되었을 뿐, 유사한 순서에 따라 제어된다.
즉, 모드선택단계에서 제1 모드(Normal mode)를 선택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송풍팬(32)을 구동시키고 제1 응축부(22)를 구동시키게 되며, 제2 모드(silent mode)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는 송풍팬(32)을 제1 모드의 회전수의 절반 이하로 회전시키고, 히터(70)를 구동시키게 되며, 제3 모드(power mode)를 선택하는 경우, 송풍팬(32)을 회전시키고, 제1 응축부(22) 및 히터(70)를 함께 구동시키게 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서 상술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의류처리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서는 의류처리장치로서 건조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리프레셔(refresher)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의류처리장치의 일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되는 의류처리장치는 리프레셔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의류를 향해 건조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건조기, 건조겸용 세탁기 등도 모두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의류처리장치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기계실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제2 응축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 4는 제2 응축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Claims (22)
-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상기 수용공간으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제1 응축부; 및상기 제1 응축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건조도를 높이는 제2 응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응축부는 히트펌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순환덕트 및 상기 순환덕트를 따라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응축부 및 제2 응축부는 상기 순환덕트를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2 응축부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열교환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fin)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열교환유닛은 상기 순환덕트의 외부에 구비되는 제1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열교환유닛은 상기 순환덕트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 열교환부 및 상기 제1 열교환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중에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냉각부는 냉각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으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제1 응축부, 상기 제1 응축부와 독립적으로 공기를 건조시키는 제2 응축부 및 건조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1, 제2, 제3 모드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단계;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응축부, 제2 응축부 및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모드선택단계에서 제1 모드(Normal mode)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1 응축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모드선택단계에서 제2 모드(silent mode)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송풍팬을 상기 제1 모드의 회전수의 절반 이하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 응축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모드선택단계에서 제3 모드(power mode)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1 응축부 및 제2 응축부를 함께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순환덕트 및 상기 제2 응축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응축부를 구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냉각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응축부는 증발기, 압축기 및 응축기를 구비하는 히트펌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축기를 냉각시키는 순환팬을 더 구비하고,상기 제2 응축부를 구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순환팬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상기 수용공간으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제1 응축부; 및상기 제1 응축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건조도를 높이도록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순환덕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응축부 및 히터는 상기 순환덕트를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히터는 상기 순환덕트에서 상기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배출구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으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제1 응축부, 상기 제1 응축부와 독립적으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건조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1, 제2, 제3 모드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단계;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응축부, 히터 및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모드선택단계에서 제1 모드(Normal mode)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1 응축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모드선택단계에서 제2 모드(silent mode)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송풍팬을 상기 제1 모드의 회전수의 절반 이하로 회전시키고, 상기 히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모드선택단계에서 제3 모드(power mode)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1 응축부 및 히터를 함께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0333A KR101467769B1 (ko) | 2008-04-01 | 2008-04-01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US12/383,000 US20090241366A1 (en) | 2008-04-01 | 2009-03-27 |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EP09156728.9A EP2107157B1 (en) | 2008-04-01 | 2009-03-30 |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CN201210128903.9A CN102634966B (zh) | 2008-04-01 | 2009-04-01 | 衣物处理机 |
CN2009101299058A CN101550651B (zh) | 2008-04-01 | 2009-04-01 | 衣物处理机的控制方法 |
JP2009089059A JP2009247899A (ja) | 2008-04-01 | 2009-04-01 | 洗濯処理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0333A KR101467769B1 (ko) | 2008-04-01 | 2008-04-01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5080A true KR20090105080A (ko) | 2009-10-07 |
KR101467769B1 KR101467769B1 (ko) | 2014-12-10 |
Family
ID=4079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0333A KR101467769B1 (ko) | 2008-04-01 | 2008-04-01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090241366A1 (ko) |
EP (1) | EP2107157B1 (ko) |
JP (1) | JP2009247899A (ko) |
KR (1) | KR101467769B1 (ko) |
CN (2) | CN102634966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67754A (ko) * | 2009-12-15 | 2011-06-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 처리장치 |
KR20220150129A (ko) * | 2021-05-03 | 2022-11-10 | 박종근 | 슬라이딩 인출구조를 갖는 의류 건조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5055180A1 (de) * | 2005-11-18 | 2007-05-24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Flusenfiltereinrichtung |
TW200914675A (en) * | 2007-09-27 | 2009-04-01 | Fu Kuang Huan | Flow-dividing device of blowing model for drying and ironing clothing |
KR101328213B1 (ko) | 2010-02-12 | 2013-11-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KR101327131B1 (ko) * | 2010-02-12 | 2013-11-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JP6183633B2 (ja) * | 2012-08-06 | 2017-08-23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乾燥装置 |
KR102364673B1 (ko) * | 2014-10-28 | 2022-02-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N105603698A (zh) * | 2014-11-20 | 2016-05-25 |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 空气冷凝型干衣机和空气冷凝型干衣机的冷源调节装置 |
EP3124679B1 (en) | 2015-07-27 | 2018-03-28 |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 Laundry treating machine |
CN106436230B (zh) * | 2016-10-26 | 2019-03-05 | 吴江市晓昱喷气织造有限公司 | 一种冷凝式烘干机 |
KR102623220B1 (ko) * | 2018-02-01 | 2024-01-10 | 칭다오 하이어 드럼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 의복 처리 장치의 골격체 및 의복 처리 장치 |
USD912338S1 (en) * | 2018-07-26 | 2021-03-02 | Lg Electronics Inc. | Dehumidifying, deodorizing and wrinkle-reducing machine for clothing |
CN113818181A (zh) * | 2020-06-16 | 2021-12-21 |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 衣物处理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331977B (ko) * | 1963-09-13 | 1971-01-25 | Res Dev Co | |
JPH02307414A (ja) * | 1989-05-23 | 1990-12-2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乾燥機能付き洗面化粧台 |
JP2957850B2 (ja) * | 1993-06-23 | 1999-10-06 | 三洋電機株式会社 | ドライクリ−ニング装置 |
IT1267581B1 (it) | 1994-09-01 | 1997-02-07 | Zanussi Elettrodomestici | Macchina lava-asciugabiancheria perfezionata |
JPH08318094A (ja) * | 1995-05-26 | 1996-12-03 | Komatsu Ltd | ランドリー洗浄剤の蒸発・凝縮装置 |
JPH0994388A (ja) * | 1995-09-28 | 1997-04-08 | Sharp Corp | 全自動洗濯乾燥機 |
CN2397169Y (zh) * | 1999-09-30 | 2000-09-20 | 万修森 | 热泵式全能型衣被多用干燥柜 |
JP2002126397A (ja) * | 2000-10-27 | 2002-05-08 | Toyotomi Co Ltd | 除湿乾燥機 |
JP3897037B2 (ja) * | 2004-08-26 | 2007-03-22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衣類乾燥装置 |
CN1766212A (zh) * | 2004-10-27 | 2006-05-03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采用冷冻循环系统的烘干机 |
CN1782615B (zh) * | 2004-11-29 | 2010-05-05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利用冷冻循环的烘干装置 |
JP2006183928A (ja) * | 2004-12-27 | 2006-07-13 | Air Operation Technologies Inc | 除湿装置 |
KR101235193B1 (ko) * | 2005-06-13 | 2013-02-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JP4772471B2 (ja) * | 2005-11-22 | 2011-09-14 | 株式会社東芝 | 衣類乾燥機 |
JP4817816B2 (ja) * | 2005-11-24 | 2011-11-16 | 株式会社東芝 | 衣類乾燥機 |
DE602006011583D1 (de) | 2006-05-03 | 2010-02-25 | Bonferraro Spa | Wäschetrockner mit einer sekundären Kondensationeinheit |
KR100808199B1 (ko) * | 2006-07-28 | 2008-02-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복합 의류 처리 장치 |
KR100774487B1 (ko) * | 2006-10-31 | 2007-11-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 건조기 |
DE102006061212B3 (de) | 2006-12-22 | 2008-03-13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Hausgerät und Verfahren zum Trocknen eines feuchten Gutes |
-
2008
- 2008-04-01 KR KR1020080030333A patent/KR10146776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9
- 2009-03-27 US US12/383,000 patent/US2009024136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03-30 EP EP09156728.9A patent/EP2107157B1/en active Active
- 2009-04-01 CN CN201210128903.9A patent/CN10263496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4-01 JP JP2009089059A patent/JP2009247899A/ja active Pending
- 2009-04-01 CN CN2009101299058A patent/CN101550651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67754A (ko) * | 2009-12-15 | 2011-06-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 처리장치 |
KR20220150129A (ko) * | 2021-05-03 | 2022-11-10 | 박종근 | 슬라이딩 인출구조를 갖는 의류 건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550651B (zh) | 2012-10-03 |
EP2107157A1 (en) | 2009-10-07 |
CN102634966B (zh) | 2015-03-04 |
KR101467769B1 (ko) | 2014-12-10 |
EP2107157B1 (en) | 2017-11-08 |
CN102634966A (zh) | 2012-08-15 |
JP2009247899A (ja) | 2009-10-29 |
US20090241366A1 (en) | 2009-10-01 |
CN101550651A (zh) | 2009-10-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7769B1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351042B1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100861831B1 (ko) | 세탁 건조기 | |
US8539694B2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
KR101414635B1 (ko) | 의류처리장치 | |
JP4388088B2 (ja) | 衣類乾燥機 | |
KR102364673B1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JP2005253588A (ja) | 乾燥機 | |
KR20080089232A (ko) | 건조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세탁 건조기 | |
JP2007135832A (ja) | 衣類乾燥機 | |
JP2007209526A (ja) | 衣類乾燥機 | |
JP2009061163A (ja) | 衣類乾燥機 | |
JP2007319458A (ja) | 洗濯乾燥機 | |
KR20210009694A (ko) |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 |
US20090151188A1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US20090151189A1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
JP4384203B2 (ja) | 衣類乾燥機 | |
KR101467772B1 (ko) | 의류처리장치 | |
JPH10235091A (ja) | 乾燥機及び衣類乾燥機 | |
KR102483851B1 (ko) |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
JP2006087484A (ja) | 洗濯乾燥機 | |
KR101295381B1 (ko) | 의류처리장치 | |
JP4791881B2 (ja) | 衣類乾燥機 | |
JP2006075417A (ja) | ドラム式洗濯乾燥機 | |
JP2002126397A (ja) | 除湿乾燥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