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27295A1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27295A1
WO2023027295A1 PCT/KR2022/007105 KR2022007105W WO2023027295A1 WO 2023027295 A1 WO2023027295 A1 WO 2023027295A1 KR 2022007105 W KR2022007105 W KR 2022007105W WO 2023027295 A1 WO2023027295 A1 WO 20230272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area
condenser
dryer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710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종현
권오진
명성렬
박재룡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4336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031747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7/842,33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064492A1/en
Publication of WO20230272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272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Definitions

  • the disclosed invention relates to a dryer with improved drying performance by facilitating the discharge of condensed water.
  • a dryer is a device that dries laundry with hot dry air.
  • the dryer may include a cabinet, a heat pump device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including a condenser and an evaporator, a fan generating air flow inside the cabinet, and a drum in which laundry is accommodated.
  • Air inside the cabinet may be introduced into the drum through an evaporator and a condenser by a flow of air generated by a fan.
  • a flow of air generated by a fan When moist ai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ld surface of the evaporator, condensation forms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 Condensed water may be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condenser by being discharged through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located below the evaporator.
  • some of the condensed water is not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and may move to the condenser by the flow of air.
  • Water that has moved to the condenser may be vaporized due to the high temperature of the condenser. As the water around the condenser evaporates, the humidity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increases.
  • drying times may increase and energy consumption may increase. That is, the drying performance of the dryer may deteriorate.
  • One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is to provide a dryer with improved drying performance by facilitating condensate discharge.
  • One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is to prevent water condensed in the evaporator from moving to the condenser due to air flow inside the dryer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structure on which the evaporator is seated.
  •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ryer with improved drying performance without an increase in material cost.
  • the dryer includes a cabinet, a drum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 first area provided under the cabinet, and a second area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rea.
  • a support plate for forming a circulating airflow passing through the drum, and a heat pump for heating air supplied to the drum, wherein the heat pump include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and supplying a refrigerant;
  • An evaporator seated in a first region and a condenser seated in the second region, wherein the first region is provided to discharge water collected in the first region and extends in a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irculating air flow direction.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ain hole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direction of the circulation airflow.
  • the first reg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ribs extending along a direction of the circulation airflow and partitioning each of the plurality of drainage holes.
  • the first area may include an evaporator mounting portion contacting the evaporator between two adjacent drain holes among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ibs are provided to be positioned below the evaporator mounting portion.
  • Edges of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may be formed to be rounded so that water around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is guided to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 An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ribs may be convexly provided along a first direction to guide water downward, and may be provided concavely along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 the first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width direction.
  • the second direction may correspond to a direction of the circulation airflow.
  •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ib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 the second region may include a condenser seating portion positioned below the evaporator seating portion.
  • the support plate may include a prevention rib provided to prevent water in the first area from moving to the second area by the circulation airflow.
  • the prevention rib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extend along the width direction.
  • the support plat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including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first area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second area so as to connect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 the second end of the connection part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first end of the connection part.
  • the prevention rib may be disposed at the second end.
  • the evaporator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n evaporator support portion that is provided flat to increase a contact area with the evaporator.
  • the evaporator seating portion may include a curved portion convex upward toward the evaporator.
  • a dryer includes a cabinet, a drum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a support plate provided under the cabinet,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gion. and a support plat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including a connection area connecting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 evaporator seated on the first area, and a support plate seated on the second area. It may include a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and a fan provided to generate a circulation airflow that circulates through the condenser and the drum.
  • the first area includes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provided to discharge water collected in the first area and extending in a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of the circulation airflow, each of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being provided to discharge the water collected in the circulation airflow.
  • the connection area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provided to discharge water collected in the first area.
  • the first area is located higher than the second area, and the connection area flows from the first area to the second area to discharge water collected in the first area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provided in the connection area. It may be provided with a downward slope.
  •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ng ribs extending along a direction of the circulation airflow to part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and reinforcing strength of the first region.
  • the plurality of connection ribs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one surface of the first region to guide water condensed in the evaporato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drainage holes.
  • connection rib may include a portion inclined toward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so that the condens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 the drying performance of the dryer may be improved by facilitating the discharge of condensat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3 is a view separately showing a base plate, an evaporator, and a condenser in a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4 is a view in which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are removed from FIG. 3 .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B of FIG. 4 .
  • FIG.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C-C of FIG. 5;
  • FIG. 7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5;
  • FIG. 8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 FIG. 9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a cross section of a dr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rst and second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or any one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 the area where the evaporator is seated may refer to the evaporator seat.
  • the area where the condenser is seated may indicate the condenser sea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dryer 1 may include a cabinet 10 forming an exterior and a drum 20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10 .
  • the cabinet 10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 a laundry inlet 31 may be formed on the front of the cabinet 10 to put or take out clothes (not shown), which are objects to be dried, into or out of the drum 20 .
  • the laundry inlet 31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12 .
  • a control panel 1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yer 1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cabinet 10 .
  •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n operation of the dryer 1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11 in the form of a rotatable jog dial,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bout the dryer 1 may be provided.
  • the control pane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put units and display units.
  • a cylindrical drum 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
  • the drum 20 may be rotatably provided by receiving the power of the driving device.
  • the cabinet 10 includes a front cover 30 forming the front, a top cover 13 forming the upper surface, a side cover 14 forming the side surface, a rear cover 15 forming the rea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It may include a support plate 100 to 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ront cover 30, top cover 13, side cover 14, rear cover 15, and support plate 100 forming the front of the cabinet 10 are provided separately. can be assembled Alternatively, at least two of the front cover, top cover, side cover, rear cover, and base plate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dryer 1 may include a door 12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laundry inlet 31 opened to the front cover 30 . After opening the door 12, the user can insert or discharge the object to be dried into the drum 20 through the laundry inlet 31.
  • a heat exchanger cover 32 enabling a user to access the evaporator 60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front cover 30 of the cabinet 10 .
  • the dryer 1 may include a filter device 40 detachably mounted on the front cover 30 .
  • the filter device 40 may be provided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inside the drum.
  • the drum 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to be rotatable about a rotating axis provid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 a lifter 21 may be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20 to lift the object to be dried when the drum 20 rotates. As the drum 20 rotates, the object to be dried can be raised and then dropped by the lifter 21 repeatedly.
  • a roller 22 supporting the drum 20 to rotate smoothly may be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 the drum 20 may be rotatably installed by receiving power from a driving device.
  • the driving device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10 .
  • the driving device may be mounted on the base.
  • the driving device may include a motor (not shown), a pulley (not shown) and a belt (not shown) for transmitting power of the motor to the drum 20 .
  • the pulley may be connected to a rotation shaft (not shown) connected to the motor. When the rotating shaft is rotated by the motor, the pulley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 the belt may be installed to be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pulle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20 . When the belt rotates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he drum 20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belt.
  • the drum 20 is provided to accommodate an object to be dried therein so that drying can be achieved.
  • a flow path 80 for circulating dry air to the drum 20 may be formed in the cabinet 10 .
  • a fan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rear of the cabinet 10 to flow air along the flow path 80 . The fan may form a circulating airflow passing through the drum 20 within the cabinet 10 .
  • the passage 80 includes a discharge passage 81 for discharging air from the inside of the drum 20 to the outside of the drum 20, a connection passage 82 for dry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20, and dry air to the drum. (20) It may include a supply passage 83 for supplying to the inside.
  • a filter device 40 is disposed in the discharge passage 81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inside the drum 20 .
  • An evaporator 60 and a condenser 70 may be continuously disposed in the connection passage 82 . Air may become hot and dry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82 . Air that has been filtered out of foreign matter and dried at high temperat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81 and the connection passage 82 may be supplied back into the drum 20 through the supply passage 83 . Drying materials inside the drum 20 may be dried by the hot dry air. The air that has dried the object to be dried becomes hot and humid, and the hot and humid air inside the drum 2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rum 20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81 .
  • the dryer 1 may dry the object to be dried inside the drum 20 while repeating the above process.
  • the dryer 1 may include a discharge duct 50 forming the discharge passage 81 .
  • the discharge duct 50 form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ir inside the drum 20 is discharged, and the filter duct 51 in which the filter device 40 is disposed, and the filter duct 51 to the heat exchangers 60 and 70 It may include a guide duct 52 for guiding air.
  • the heat exchangers 60 and 70 may include an evaporator 60 and a condenser 70 .
  • a compressor and an expansion valve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10 . Accordingly, the evaporator, condenser, compressor, and expansion valve may constitute a heat pump.
  • FIG. 3 is a view separately showing a base plate, an evaporator, and a condenser in a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4 is a view in which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are removed from FIG. 3 .
  • the dryer 1 may include a base plate 90 form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abinet 10 .
  • An evaporator 60 and a condenser 70 as heat exchangers may be mounted on the base plate 90 .
  • the evaporator 60 and the condenser 70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ir flow generated by a fan (not shown) may flow into the condenser 70 afte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60 .
  • the circulation airflow formed by the fan may circulate inside the cabinet 10 through the evaporator 60 , the condenser 70 , and the inside of the drum 20 sequentially.
  • the high-temperature, high-humidity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drum 20 may become condensate and low-temperature, low-humidity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60 having a cold surface.
  • condensed water i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60, and the condensed water moves downward along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60 by gravity.
  • the condensed water moved under the evaporator 60 may move to the base plate 90 through the opening 113 provided below the evaporator 60 .
  • the water moved to the base plate 90 may move along the inclined surface to a sump (not shown) in which condensed water is stored.
  • the evaporator mounting portion 110 on which the evaporator 60 is seated and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120 on which the condenser 70 is seated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 the support plate 100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base plate 90 may include an evaporator seating portion 110 and a condenser seating portion 120 .
  • the evaporator mounting portion 110 and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vaporator seating part and the condenser seating part may be provided separately, and each may be coupled to the base plate.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B of FIG. 4 .
  • the evaporator mounting portion 110 includes an evaporator support portion 111 provided to support the evaporator 60 by contacting the evaporator 60, and a drain hole 112 penetrating the evaporator support portion 111.
  • an evaporator support portion 111 provided to support the evaporator 60 by contacting the evaporator 60, and a drain hole 112 penetrating the evaporator support portion 111.
  • the drain hole 112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60 to the base plate 90 .
  • the drainage hole 112 may be provided to extend along the first direction.
  • the first direction may indicate the Y-axis direction shown in FIG. 5 . Also, the first direction may refer to a width direction of a circulating airflow formed by the fan.
  • the evaporator seating par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11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 the first direction may indicate the X-axis direction shown in FIG. 5 .
  • the second direction may refe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circulation airflow formed by the fan travels.
  • a connection rib 130 may be provided in the drainage hole 112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 the connection rib 130 may partition the drain hole 112 by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within the drain hole 112 .
  • the connection rib 130 may form a plurality of openings 113 in the drain hole 112 by partitioning the drain hole 112 .
  • the plurality of openings 113 spaced apart in the first direction may form a drainage hole 112 .
  • connection rib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ribs 13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drain hole 112 extends.
  • the drain hole 1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ain holes 11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 connection rib 130 may not only partition the drainage hole 112 but als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evaporator mounting portion 110 . If the connection rib 130 is not provided in the drainage hole 112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the plurality of evaporator supports 111 spaced apart along the second direction cannot support the evaporator 60 and may be damaged. there is.
  • the connection rib 130 may be provided to connect two adjacent evaporator supports 111 within the drain hole 112 .
  • the strength of the evaporator support 111 may be reinforced by connecting the two evaporator supports 111 adjacent to each other with the connecting rib 130 . Accordingly, the evaporator support 111 can stably support the evaporator 60 .
  • the edge 114 of the drain hole 112 may be formed round.
  • An edge 114 of the drain hole 112 may be formed round so that water around the drain hole 112 is guided to the drain hole 112 .
  • the edge 114 of the drain hole 112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evaporator support 111 toward the drain hole 112 and may be provided in a curved shape. With this structure, water located at the periphery of the drain hole 112 may be guided to the drain hole 112 along the rim 114 of the drain hole 112 .
  • FIG.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C-C of FIG. 5; 7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5;
  • connection rib Accordingly, a structure of a connection rib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 a connection rib 130 may be provided to cross the drainage hole 112 .
  • the connection rib 130 may partition the drain hole 112 by crossing the drain hole 112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 the connection rib 130 may form a plurality of openings 113 in the drain hole 112 by partitioning the drain hole 112 .
  • connection rib 130 may be provided concavely along the second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131 of the connection rib 130 may be provided to have a concave curved shape along the second direction. Accordingly, water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131 of the connecting rib 130 may be guided downward of the connecting rib 130 .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irculation airflow.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necting rib 130 by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may be formed such that both ends are rounded.
  • the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ng rib 130 by the plane may include a flat portion 132 disposed in the center, and a first round portion 133 and a second round portion 134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lat portion 132. .
  • the water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131 of the connecting rib 130 is guided by the first round part 133 and flows to one side of the connecting rib 130, or by the second round part 134. It may be guided and flow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rib 130. Water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131 of the connection rib 130 may be guided downward by the first round part 133 and the second round part 134 .
  • connection rib 130 may be convexly provided along the first direction.
  • connection rib 130 may be provided convexly so that the central point in the first direction is located at the highest level.
  • the upper surface 131 of the connecting rib 130 may not include a flat surface and may be provided as a curved surface in the entire section along the first direction.
  • the first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irculation airflow.
  • connection rib 130 is convexly provided along the first direction means that both side ends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nection rib 130 by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are formed round, and the connection rib 130 ) may include providing a convex curved surface over the entire section along the first direction.
  • connection rib 13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evaporator support 111 . Since the connection rib 130 is located below the evaporator support 111 , the connection rib 130 may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water located on the evaporator support 111 .
  • connection rib 130 may be concavely provided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convexly provid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 the connecting rib 130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and may be provided with an inclination also to the second direction.
  • the connection rib 130 may be provided to have a double inclined structure. Since the connection ribs 130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water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131 of the connection rib 130 may be guided down the connection rib 130 . That is,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base plate 90 through the opening 113 .
  • some of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is not discharged through a plurality of drain holes located below the evaporator, but is moved toward the condenser by air flow by a fan.
  • the heat of the condenser vaporizes the water. Due to the vaporized water,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becomes hot and humid air, not high-temperature and low-humid air.
  • high-temperature, high-humidity air is introduced into the drum, drying efficiency is lowered, which increases drying time and energy consumption. That is, the drying performance of the dryer deteriorates.
  • the edge 114 of the drain hole 112 is formed to be rounded so that water around the drain hole 112 may be guided to the drain hole 112 .
  • the drain hole 112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openings 113 by providing a connection rib 130 partitioning the drain hole 112 .
  • the connection rib 130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drain hole 112 extends, and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Water positioned on the connecting rib 130 may be guided down the connecting rib 130 by this inclined structure.
  •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60 by the edge 114 of the drain hole 112 formed in a round shape and the connecting rib 130 having a double slope does not move to the condenser 70, and the plurality of openings 113 ) can be released through
  • the evaporator seat 110 has the above structure, water condensed in the evaporator 60 can be effectively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openings 113 . Accordingly, the amount of water moving around the condenser 70 can be reduced, and drying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dryer 1 can be prevented.
  • the drain hole 1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ain holes 11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 the reason why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112 are spaced apart along the second direction is that the evaporator 60 and the condenser 70 are spaced apart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fter the air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60, the condenser This is because it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to flow into (70).
  • the condensed water may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flow of air. Since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112 are spaced apart in the second direction, even if the condensed water is not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112, the second drain hole 112 spaced apart in the second direction can be released through
  • FIG. 8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 the condenser seating part 12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evaporator seating part 110 .
  • the volume of the condenser seated on the condenser seating part 120 may increase.
  • the height of the condenser 70 may increase by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evaporator seating part 110 and the condenser seating part 120 .
  • the evaporator 60 and the condenser 70 have height limitations due to their surrounding configuration. That is, the maximum height of the space that can be occupied by the evaporator 60 and the condenser 70 within the cabinet 10 is the same.
  • One of the ways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condenser 70 in this situation is to lower the height of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120 .
  • the length of the condenser 70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increased, and accordingly, the volume of the condenser 70 can be increased.
  • the volume of the condenser 70 increases,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condenser 70 may be improved, which may lead to improvement in drying efficiency of the dryer 1 .
  • the support plate 100 may include a prevention rib 150 .
  • the prevention rib 150 may extend along the first direction.
  • the prevention rib 150 protrudes upward to prevent water from moving from one side of the prevention rib 150 to the other side. That is, the prevention rib 150 may function as a wall preventing the movement of water.
  • the prevention rib 150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condenser seating part 120 .
  • One end of the condenser seating portion 120 may indicate an area of the condenser seating portion 120 closest to the evaporator seating portion 110 .
  • it may indicate a second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40 to be described later.
  • the prevention rib 15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condenser seating portion 120, the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60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seating portion 110 and the connecting portion 140, and finally reaches the prevention rib 150. Its movement can be limited by That is, water moving to the prevention rib 150 can be minimized.
  • the support plate 100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140 provided to connect between the evaporator seating portion 110 and the condenser seating portion 120 .
  • the connection part 140 may include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evaporator seating part 110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condenser seating part 120 .
  • the first end of the connection part 14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second end.
  • a plurality of holes 141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140 .
  • the aforementioned prevention rib 150 may be disposed at the second end of the connection part 140 .
  • the connecting part 140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evaporator seating part 110 and the condenser seating part 120 having different heights.
  • the connection part 140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141 so that water moved from the evaporator seating part 110 to the connection part 140 can be discharged downward.
  • an evaporator mounting portion 110 may include a flat evaporator support portion 111 .
  • the evaporator support 111 may be provided flat to increase a contact area with the evaporator 60 . A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evaporator support 111 and the evaporator 60 increases, the evaporator support 111 can stably support the evaporator 60 .
  • the dryer 1 prevents condensed water condensed in the evaporator 60 from moving to the condenser 70 by partially changing the shape of the evaporator mounting portion 110 without additionally added parts. can do. Through this, deterioration in drying performance of the dryer 1 may be prevented. In addition, deterioration in drying performance of the dryer 1 can be prevented by partiall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evaporator seating part 110 without any additional components. Accordingly, the drying performance of the dryer 1 can be improved without increasing the material cost.
  • FIG. 9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a cross section of a dr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0 is an enlarged view of E.
  • an evaporator mounting portion 210 may include a curved portion 211 that is convex upward toward the evaporator 60 .
  • the curved portion 211 may be convexly provid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 Other configurations except for the curved portion 211 may be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the curved portion 211 is provided convexly along the second direction, water condensed in the evaporator 60 may be guided to the drain hole 112 .
  • Water on the curved portion 211 may be guided downward by the convex shape of the curved portion 211 and gravity. Accordingly, water condensed in the evaporator 60 can be more effectively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112 .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응축수 배출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건조 성능이 개선된 건조기를 개시한다. 건조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통과하는 순환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팬 및 상기 드럼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트펌프를 포함하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는, 냉매를 압축 및 공급하는 압축기와,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순환 기류 상에서 상기 증발기의 하류에 배치되는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기는,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증발기가 안착되는 영역에는, 상기 순환 기류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증발기의 폭 길이에 대응하는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순환 기류의 방향을 따라 상기 배수홀이 복수 개 배열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기
개시된 발명은 응축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건조 성능이 개선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건조기는 세탁물을 고온 건조한 공기로 건조하는 장치이다. 건조기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응축기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히트 펌프 장치와, 캐비닛 내부에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과,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 내부의 공기는 팬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증발기와 응축기를 거쳐 드럼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습한 공기와 증발기의 차가운 표면이 접촉하면, 증발기의 표면에 응축수가 생긴다. 응축수는 증발기의 아래에 위치한 복수의 배수홀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응축기로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다만, 응축수의 일부는 배수홀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공기의 유동에 의해 응축기로 이동할 수 있다. 응축기로 이동한 물은 응축기의 고온으로 인해 기화될 수 있다. 응축기 주변의 물이 기화되면, 응축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습도가 올라간다.
응축기를 통과한 공기의 습도가 올라가면, 건조 시간이 길어지고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할 수 있다. 즉, 건조기의 건조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응축수 배출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건조 성능이 개선된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증발기가 안착되는 구조물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증발기에서 응축된 물이 건조기 내부의 공기 유동으로 인해 응축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재료비의 상승 없이 건조 성능이 개선된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건조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과, 상기 캐비닛 하부에 마련되고,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과 이격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드럼을 통과하는 순환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팬 및 상기 드럼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트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펌프는, 냉매를 압축 및 공급하는 압축기와, 상기 제1영역에 안착되는 증발기 및 상기 제2영역에 안착되는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1영역에 수집된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순환 기류 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수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배수홀 각각은 상기 순환 기류의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순환 기류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배수홀 각각을 구획하는 복수의 연결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은, 상기 복수의 배수홀 중 인접한 두 개의 배수홀 사이에서 상기 증발기와 접촉하는 증발기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 리브는 상기 증발기 안착부 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건조기.
상기 복수의 배수홀의 테두리는, 상기 복수의 배수홀 주변부의 물이 상기 복수의 배수홀로 가이드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 리브 각각은, 물을 하방으로 가이드하도록 그 상면이 제1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은 상기 폭 방향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순환 기류의 방향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 리브는,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증발기 안착부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응축기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영역의 물이 상기 순환 기류에 의해 상기 제2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방지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지 리브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1영역과 연결되는 제1단과, 상기 제2영역과 연결되는 제2단을 포함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2단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1단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방지 리브는 상기 제2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안착부는, 상기 증발기와의 접촉 면적을 늘리도록 편평하게 마련되는 증발기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안착부는 상기 증발기를 향해 위로 볼록한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건조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과, 상기 캐비닛 하부에 마련되는 지지 플레이트로서,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과 이격되는 제2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영역에 안착되는 증발기와, 상기 제2영역에 안착되는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 및 상기 드럼을 통과하여 순환하는 순환 기류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1영역에 수집된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순환 기류의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수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배수홀 각각은 상기 순환 기류의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 영역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영역에서 수집된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2영역보다 높게 위치하고, 상기 연결 영역은 상기 제1영역에서 수집된 물을 상기 연결 영역에 마련되는 상기 복수의 홀을 통해 배출하도록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영역으로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배수홀은, 상기 복수의 배수홀 각각을 구획하도록 상기 순환 기류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영역의 강도를 보강하는 복수의 연결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 리브는, 상기 증발기에서 응축된 물이 상기 복수의 배수홀을 통해 배출되게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영역의 일 면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리브는, 상기 응축된 물이 상기 복수의 배수홀을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배수홀을 향해 경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응축수 배출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건조기의 건조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증발기가 안착되는 구조물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증발기에서 응축된 물이 건조기 내부의 공기 유동으로 인해 응축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재료비의 상승 없이 건조 성능이 개선된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증발기 및 응축기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증발기와 응축기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C-C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D-D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A-A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E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증발기가 안착되는 영역은 증발기 안착부를 가리킬 수 있다. 또한, 응축기가 안착되는 영역은 응축기 안착부를 가리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건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2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면에는 건조 대상물인 의류(미도시)를 드럼(20)으로 투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세탁물 투입구(31)가 형성될 수 있다. 세탁물 투입구(31)는 도어(1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면 상측에는 건조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패널(11)이 마련될 수 있다. 제어 패널(11)에는 건조기(1)의 동작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가 회전 가능한 조그 다이얼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건조기(1)에 관한 각종 정보를 도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어 패널은 다양한 형태의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원통 형상의 드럼(20)이 마련될 수 있다. 드럼(20)은 구동장치의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커버(30)와,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 커버(13)와,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커버(14)와,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커버(15) 및 하면을 형성하는 지지 플레이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커버(30)와, 상면 커버(13)와, 측면 커버(14)와, 후면 커버(15) 및 지지 플레이트(100)는 별도로 마련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면 커버, 상면 커버, 측면 커버, 후면 커버 및 베이스 플레이트 중 적어도 두 개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건조기(1)는 전면 커버(30)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세탁물 투입구(31)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1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12)를 개방한 후 세탁물 투입구(31)를 통해 건조 대상물을 드럼(20) 내부에 투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면 커버(30)에는 사용자의 증발기(60)에 대한 접근을 가능케 하는 열교환기 커버(32)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기(1)는 전면 커버(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장치(40)는 드럼 내부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건조기(1)의 기본적인 동작과, 건조기(1) 내부에서의 공기의 유동에 대해 설명한다.
드럼(20)은 지면과 대략 수평하게 마련되는 회전축(rotating axi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캐비닛(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드럼(20)의 내주면에는 드럼(20)이 회전할 때, 피건조물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리프터(21)가 마련될 수 있다. 드럼(20)이 회전함에 따라 피건조물은 리프터(21)에 의해 상승하였다가 낙하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드럼의 외주면에는 드럼(20)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롤러(22)가 마련될 수 있다.
드럼(20)은 구동장치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동장치는 캐비닛(1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장치는 베이스에 장착될 수 있다.
구동장치는 모터(미도시)와, 모터의 동력을 드럼(20)에 전달하기 위한 풀리(미도시) 및 벨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풀리는 모터와 연결된 회전 샤프트(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에 의해 회전 샤프트가 회전하면 회전 샤프트와 함께 풀리가 회전할 수 있다. 벨트는 풀리의 외면과 드럼(20)의 외면에 감기도록 설치될 수 있다.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벨트가 회전하면 벨트와 함께 드럼(20)이 회전할 수 있다.
드럼(20)은 내부에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여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다. 캐비닛(10)에는 드럼(20)으로 건조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유로(8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10)의 하측 후방에는 상기 유로(80)를 따라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해 팬(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팬은 캐비닛(10) 내에서 드럼(20)을 통과하는 순환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유로(80)는 드럼(20) 내부로부터 드럼(20)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 유로(81)와,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건조시키는 연결 유로(82)와, 건조한 공기를 드럼(20)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 유로(8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유로(81)에는 필터 장치(40)가 배치되어 드럼(20) 내부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연결 유로(82)에는 증발기(60)와 응축기(70)가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유로(82)를 통과하면서 공기는 고온 건조해질 수 있다. 배출 유로(81) 및 연결 유로(82)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고 고온 건조해진 공기는, 공급 유로(83)를 거쳐 다시 드럼(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고온 건조한 공기에 의해 드럼(20) 내부의 피건조물이 건조될 수 있다. 피건조물을 건조시킨 공기는 고온 다습한 상태가 되고, 드럼(20) 내의 고온 다습한 공기는 배출 유로(81)를 통해 드럼(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건조기(1)는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드럼(20) 내부의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기(1)는 배출 유로(81)를 형성하는 배출 덕트(5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덕트(50)는, 드럼(2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필터 장치(40)가 배치되는 필터 덕트(51)와, 필터 덕트(51)로부터 열교환기(60, 70)로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 덕트(52)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60, 70)는 증발기(60)와 응축기(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캐비닛(10)의 하부에는 압축기와 팽창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및 팽창밸브는 히트펌프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증발기 및 응축기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증발기와 응축기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는 캐비닛(10)의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9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90)에는 열교환기인 증발기(60)와 응축기(70)가 장착될 수 있다.
증발기(60)와 응축기(70)는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팬(미도시)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은 증발기(60)를 거친 후 응축기(70)로 유입될 수 있다. 팬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 기류는 증발기(60)와, 응축기(70)와, 드럼(20) 내부를 순차적으로 거쳐 캐비닛(10) 내부를 순환할 수 있다. 드럼(20) 내부를 거친 고온 다습한 공기는 표면이 차가운 증발기(60)를 거치면서 응축수와 저온 저습한 공기가 될 수 있다. 이 때, 증발기(60)의 표면에는 응축수가 발생되고, 응축수는 증발기(60)의 표면을 따라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한다. 증발기(60)의 아래로 이동한 응축수는 증발기(60)의 아래에 마련되는 개구부(113)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90)로 이동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90)로 이동한 물은 경사면을 따라 응축수가 저장되는 섬프(미도시)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증발기(60)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증발기 안착부(110)와, 응축기(70)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응축기 안착부(120)는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90)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지지 플레이트(100)는 증발기 안착부(110)와 응축기 안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 안착부(110)와 응축기 안착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증발기 안착부와 응축기 안착부는 별도로 마련될 수 있고,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의 B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증발기 안착부(110)는, 증발기(60)와 접촉함으로써 증발기(60)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증발기 지지부(111)와, 증발기 지지부(111)를 관통하는 배수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홀(112)은 증발기(60)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베이스 플레이트(90)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수홀(112)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방향은 도 5에 도시된 Y축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또한, 제1방향은 팬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 기류의 폭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증발기 안착부(110)는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배수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방향은 도 5에 도시된 X축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또한, 제2방향은 팬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 기류의 진행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수홀(112)에는 연결 리브(130)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리브(130)는 배수홀(112) 내에서 제2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배수홀(112)을 구획할 수 있다. 연결 리브(130)는 배수홀(112)을 구획함으로써 배수홀(112) 내에 복수의 개구부(113)를 형성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부(113)는 배수홀(112)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 리브(130)는 배수홀(112)이 연장되는 제1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 리브(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홀(112)은 제2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배수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리브(130)는 배수홀(112)을 구획할 뿐만 아니라 증발기 안착부(11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배수홀(112)에 연결 리브(130)가 마련되지 않으면, 제2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증발기 지지부(111)가 증발기(60)를 지지하지 못하고 파손될 수 있다. 연결 리브(130)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증발기 지지부(111)를 배수홀(112) 내에서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리브(130)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증발기 지지부(111)를 연결함으로써 증발기 지지부(111)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기 지지부(111)가 증발기(6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홀(112)의 테두리(114)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112)의 테두리(114)는, 배수홀(112)의 주변의 물이 배수홀(112)로 가이드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수홀(112)의 테두리(114)는 증발기 지지부(111)로부터 배수홀(112)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고, 곡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배수홀(112)의 주변부에 위치한 물은 배수홀(112)의 테두리(114)를 따라 배수홀(112)로 가이드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C-C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D-D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리브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리브(130)는 배수홀(112)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리브(13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수홀(112)을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가로지름으로써 배수홀(112)을 구획할 수 있다. 연결 리브(130)는 배수홀(112)을 구획함으로써 배수홀(112) 내에 복수의 개구부(113)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 리브(130)는 제2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 리브(130)의 상면(131)은 제2방향을 따라 오목한 곡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리브(130)의 상면(131)에 위치한 물은 연결 리브(130)의 하방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방향은 순환 기류의 진행 방향과 대응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 의한 연결 리브(130)의 단면 형상은, 양 측 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리브(130)의 상기 평면에 의한 단면은, 중앙에 배치되는 플랫부(132)와, 그 양 측에 배치되는 제1라운드부(133) 및 제2라운드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연결 리브(130)의 상면(131)에 위치한 물은 제1라운드부(133)에 의해 가이드되어 연결 리브(130)의 일 측으로 흐르거나, 제2라운드부(134)에 의해 가이드되어 연결 리브(130)의 타 측으로 흐를 수 있다. 연결 리브(130)의 상면(131)에 위치한 물은 제1라운드부(133) 및 제2라운드부(134)에 의해 하방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달리, 연결 리브(130)는 제1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연결 리브(130)는 제1방향으로의 중앙 지점이 가장 높게 위치하도록 볼록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리브(130)의 상면(131)이 평면을 포함하지 않고 제1방향을 따라 전(全) 구간이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방향은 순환 기류에 대한 폭 방향과 대응될 수 있다.
연결 리브(130)의 상면이 제1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마련된다는 것은, 제2방향과 수직한 평면에 의한 연결 리브(130)의 단면 형상의 양 측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과, 연결 리브(130)의 상면이 제1방향을 따라 전(全) 구간에 걸쳐 볼록한 곡면으로 마련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리브(130)는 증발기 지지부(111) 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리브(130)가 증발기 지지부(111) 보다 아래에 위치함으로써, 연결 리브(130)가 증발기 지지부(111) 상의 위치한 물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리브(130)는 제1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마련되고, 제2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리브(130)는 제1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고, 제2방향에 대해서도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리브(130)는 이중 경사 구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리브(130)가 서로 수직한 제1방향과 제2방향에 대해 각각 경사지게 마련됨으로써 연결 리브(130)의 상면(131)에 위치한 물은 연결 리브(130)의 아래로 가이드될 수 있다. 즉, 개구부(113)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90)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종래에는 증발기에서 생성된 응축수의 일부가 증발기 아래에 위치한 복수의 배수홀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팬에 의한 공기 유동에 의해 응축기를 향해 이동하였다. 응축기로 물이 이동하면 응축기의 열로 인해 물이 기화한다. 기화한 물로 인해 응축기를 통과한 공기는 고온 저습한 공기가 아닌 고온 다습한 공기가 된다. 고온 다습한 공기가 드럼 내부로 유입되면, 건조 효율이 저하되어 건조 시간이 늘어나고 에너지 소비 또한 늘어난다. 즉, 건조기의 건조 성능이 저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홀(112)의 테두리(114)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배수홀(112)의 주변의 물이 배수홀(112)로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배수홀(112)을 구획하는 연결 리브(130)가 마련됨으로써 배수홀(112)을 복수의 개구부(113)로 나눌 수 있다. 연결 리브(130)는 배수홀(112)이 연장되는 제1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고,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에 대해서도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 구조에 의해 연결 리브(130) 상에 위치한 물은 연결 리브(130)의 아래로 가이드될 수 있다.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배수홀(112)의 테두리(114)와, 이중 경사를 갖는 연결 리브(130)에 의해 증발기(60)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응축기(70)로 이동하지 않고, 복수의 개구부(1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증발기 안착부(110)가 상기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증발기(60)에서 응축된 물이 복수의 개구부(113)를 통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기(70) 주변으로 이동하는 물의 양을 줄일 수 있고, 건조기(1)의 건조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배수홀(112)은 제2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배수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배수홀(112)이 제2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이유는, 증발기(60)와 응축기(70)가 제2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공기가 증발기(60)를 통과한 후 응축기(70)로 유입되도록 제2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공기의 유동에 의해 응축수는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배수홀(112)이 제2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응축수가 제1의 배수홀(112)을 통해 배출되지 않더라도 제2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의 배수홀(11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A-A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응축기 안착부(120)는 증발기 안착부(110) 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응축기 안착부(120)가 증발기 안착부(110) 보다 아래에 위치함으로써 응축기 안착부(120)에 안착되는 응축기의 체적이 커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증발기 안착부(110)와 응축기 안착부(120)의 높이 차이만큼 응축기(70)의 높이가 커질 수 있다. 증발기(60)와 응축기(70)는 주변 구성으로 인해 높이의 제한이 있다. 즉, 캐비닛(10) 내에서 증발기(60)와 응축기(70)가 차지할 수 있는 공간의 최대 높이는 같다. 이러한 상황에서 응축기(70)의 체적을 증가시키는 방법 중 하나는 응축기 안착부(120)의 높이를 낮추는 것이다. 응축기 안착부(120)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응축기(70)의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응축기(70)의 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응축기(70)이 체적이 증가하면, 응축기(70)의 열 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이는 건조기(1)의 건조 효율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다만, 응축기 안착부(120)가 증발기 안착부(110) 보다 아래에 위치하면, 증발기 안착부(110) 상의 물이 공기의 유동에 의해 제2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응축기 안착부(120)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한 연결 리브(130)의 구조 및 배수홀(112)의 테두리(114) 구조를 통해 응축기 안착부(120)로의 물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일부의 물이 하방으로 배출되지 않고 응축기 안착부(12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100)는 방지 리브(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지 리브(150)는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방지 리브(150)는 상방으로 돌출됨으로써 물이 방지 리브(150)의 일 측으로부터 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방지 리브(150)는 물의 이동을 막는 벽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지 리브(150)는 응축기 안착부(120)의 일 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 안착부(120)의 일 단은 증발기 안착부(110)와 가장 가까운 응축기 안착부(120)의 일 영역을 가리킬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연결부(140)의 제2단을 가리킬 수 있다.
방지 리브(150)가 응축기 안착부(120)의 일 단에 배치됨으로써 증발기(60)에서 생성된 물은 증발기 안착부(110)와 연결부(140)를 지난 후, 최종적으로 방지 리브(150)에 의해 그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방지 리브(150)까지 이동하는 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지 플레이트(100)는 증발기 안착부(110)와 응축기 안착부(12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40)는 증발기 안착부(110)와 연결되는 제1단과, 응축기 안착부(120)와 연결되는 제2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40)의 상기 제1단은 상기 제2단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140)에는 복수의 홀(14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방지 리브(150)는 연결부(140)의 제2단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40)는 높이가 차이나는 증발기 안착부(110)와 응축기 안착부(12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40)는 복수의 홀(141)을 포함함으로써 증발기 안착부(110)로부터 연결부(140)로 이동한 물을 아래로 배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안착부(110)는 편평한 증발기 지지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 지지부(111)는 증발기(60)와의 접촉 면적을 늘리도록 편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증발기 지지부(111)와 증발기(60)의 접촉 면적이 늘어남으로써 증발기 지지부(111)는 증발기(6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는 별도로 추가되는 부품 없이 증발기 안착부(110)의 형상을 일부 변경함으로써 증발기(60)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응축기(70)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조기(1)의 건조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추가되는 부품 없이 증발기 안착부(110)의 구조만 일부 변경함으로써 건조기(1)의 건조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재료비 상승 없이 건조기(1)의 건조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E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안착부(210)는 증발기(60)를 향해 위로 볼록한 만곡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만곡부(211)는 제2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마련될 수 있다. 만곡부(211)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상기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만곡부(211)가 제2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마련됨으로써 증발기(60)에서 응축된 물은 배수홀(112)로 가이드될 수 있다. 만곡부(211) 상의 물은 만곡부(211)의 볼록한 형상과 중력에 의해 아래로 가이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기(60)에서 응축된 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배수홀(11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 하부에 마련되고,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과 이격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드럼을 통과하는 순환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팬; 및
    상기 드럼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트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펌프는,
    냉매를 압축 및 공급하는 압축기;
    상기 제1영역에 안착되는 증발기; 및
    상기 제2영역에 안착되는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1영역에 수집된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순환 기류 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수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배수홀 각각은 상기 순환 기류의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순환 기류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배수홀 각각을 구획하는 복수의 연결 리브를 포함하는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복수의 배수홀 중 인접한 두 개의 배수홀 사이에서 상기 증발기와 접촉하는 증발기 안착부를 포함하는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리브는 상기 증발기 안착부 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수홀의 테두리는, 상기 복수의 배수홀 주변부의 물이 상기 복수의 배수홀로 가이드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건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리브 각각은, 물을 하방으로 가이드하도록 그 상면이 제1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마련되는 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폭 방향과 대응되고,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순환 기류의 방향과 대응되는 건조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리브는,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건조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증발기 안착부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응축기 안착부를 포함하는 건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영역의 물이 상기 순환 기류에 의해 상기 제2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방지 리브를 포함하는 건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 리브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건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1영역과 연결되는 제1단과, 상기 제2영역과 연결되는 제2단을 포함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물을 배출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건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2단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1단보다 낮게 위치하고,
    상기 방지 리브는 상기 제2단에 배치되는 건조기.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안착부는,
    상기 증발기와의 접촉 면적을 늘리도록 편평하게 마련되는 증발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건조기.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안착부는 상기 증발기를 향해 위로 볼록한 만곡부를 포함하는 건조기.
PCT/KR2022/007105 2021-08-27 2022-05-18 건조기 WO202302729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842,337 US20230064492A1 (en) 2021-08-27 2022-06-16 Clothes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13898 2021-08-27
KR10-2021-0113898 2021-08-27
KR10-2021-0143365 2021-10-26
KR1020210143365A KR20230031747A (ko) 2021-08-27 2021-10-26 건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7/842,337 Continuation US20230064492A1 (en) 2021-08-27 2022-06-16 Clothes dry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7295A1 true WO2023027295A1 (ko) 2023-03-02

Family

ID=8532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7105 WO2023027295A1 (ko) 2021-08-27 2022-05-18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02729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107B1 (ko) * 2015-08-04 2017-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20170343272A1 (en) * 2016-05-31 2017-11-30 Wuxi Little Swan Co., Ltd. Base Of Heat Pump System And Heat Pump System For Drier Or Washer-Drier
US20190284749A1 (en) * 2018-03-14 2019-09-1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ryer appliance
KR20210020445A (ko) * 2019-08-14 202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210080039A (ko) * 2019-12-20 202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107B1 (ko) * 2015-08-04 2017-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20170343272A1 (en) * 2016-05-31 2017-11-30 Wuxi Little Swan Co., Ltd. Base Of Heat Pump System And Heat Pump System For Drier Or Washer-Drier
US20190284749A1 (en) * 2018-03-14 2019-09-1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ryer appliance
KR20210020445A (ko) * 2019-08-14 202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210080039A (ko) * 2019-12-20 202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45408A1 (ko) 의류건조기
EP1710339B1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WO2020032584A1 (en) Clothes care apparatus
WO2017030364A1 (ko) 건조기
WO2020040451A1 (ko) 의류관리장치
WO2015016571A1 (en) Laundry machine
EP2393973A2 (en) Laundry treatment device
WO2015084007A1 (en) Clothing dryer
WO2020096432A1 (en) Bearing assembly and clothes dryer having the same
WO2017034187A1 (ko) 건조기
WO2023027295A1 (ko) 건조기
WO2017119641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0242271A1 (ko) 의류 처리장치
WO2021071276A1 (en) Air conditioner and ventilation apparatus for the same
WO2021125689A1 (ko) 의류 건조기
WO2018236178A1 (en) DRYER
WO2018016903A1 (en) Clothes dryer
WO2019107857A1 (ko) 의류 처리 장치
WO2018135751A1 (ko) 팬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세탁기
WO2020197098A1 (ko) 의류건조기
WO2021153892A1 (ko) 의류 건조기
WO2021020745A1 (ko) 의류관리장치
WO2022055115A1 (ko) 의류 건조기
WO2023163358A1 (ko) 건조 겸용 세탁기
WO2020055090A1 (ko) 의류 관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615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