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22984A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22984A1
WO2017022984A1 PCT/KR2016/007891 KR2016007891W WO2017022984A1 WO 2017022984 A1 WO2017022984 A1 WO 2017022984A1 KR 2016007891 W KR2016007891 W KR 2016007891W WO 2017022984 A1 WO2017022984 A1 WO 201702298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air
evaporator
condenser
mixed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789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주식
김재형
강형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702298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229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a decrease in drying performance by preventing the condensate from scattering.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erforms a function of washing clothes or drying clothes after washing, or 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both functions.
  •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steam generator has been developed to have a refreshing function or a sterilizing function such as removing wrinkles, removing odors, static electricity, and the like.
  • drum-type dryers for drying clothes after washing For example, drum-type dryers for drying clothes after washing, cabinet-type dryers for hanging clothes and drying them, and refreshers for supplying hot air to clothes and refreshing clothes have been developed.
  • a refresher or a dryer includes a heat source supply unit to supply hot air to the clothes as the air is heated.
  • the heat source supply unit uses a gas heater for burning air by burning gas according to the heat source, an electric heater for heating air by electric resistance, and a heat pump cycle for circulating refrigerant through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 a heat pump system having an advantage of excellent energy efficiency has been actively developed.
  • a clothes dryer equipped with a heat pump system passes hot and humid air discharged from the clothes container such as a drum through an evaporator and a condenser to absorb heat from the hot and humid air and heat the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clothes container again. In this way, energy efficiency can be improved.
  • the clothes dryer or a combined dryer for a heat pump cycle may require a high air volume in order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the heat pump cycle.
  • the circulation speed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is increased, and a high wind volume is provided to the heat pump cycle.
  • the evaporator absorbs more heat from the high wind volume of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and the condenser releases more heat into the high wind volume of air to provide high wind volume hot air to the drum. Thereby, the performance and drying time of a dryer can be shortened.
  •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constituting the heat pump cycl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heat exchanger cover, and whe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at a high wind volume, Shear stress can cause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to splash to the front of the condenser at the rear of the evaporator. For this reason, since the temperature of a condenser falls, there exists a problem of reducing drying performance.
  • Patent Document 1 Registered Patent KR 10-1121152 (2012. 02. 21. Registra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a heat pump system requiring a high air flow amount, wherein condensed water of the evaporator can be prevented from scattering from the evaporator to the condenser by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itself and the shear stress caused by the air flow. It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chieved by a condensate collecting unit provided to protrude between an evaporator and a condenser to collect condensate to be scattered to the condenser in the evaporator.
  •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n evaporator, a compressor, a condenser and an expansion valve, the heat pump cycle for applying heat to the air circulating to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A water cover seated on the evaporator and a condenser to exchange heat with the air, and having a condensate storage space therein; And a condensate collec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water cover into a space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to prevent condensate from being scattered from the evaporator to the condenser by air flow.
  • the condensate collecting unit may include: a collecting body connected to the condensate collecting unit; An inlet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ollection body and configured to introduce a portion of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an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And it may include an air outlet for outflow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to the outside of the collection body.
  • a horizontal air flow can be formed inside the collecting body through the inlet and the air outlet, and the inflow of condensate into the collecting body can be induced by the air flow inside the collecting body.
  • the air outlet may be formed at least one or mo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on body.
  • the air outlet may be formed to be biased toward one side of the condense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on body.
  • the shear force by the air flow can be increased to induce more air and condensate inflow into the collection body.
  • the inlet may be formed to face the rear end of the evaporator.
  • the inlet of the collection body can cover the lower part of the rear end of the evaporator where the condensate is scattered.
  • the collection body may include a condensate communication unit for connection with a condensate collector at the bottom.
  • the water cover includes: a first seating part for seating the evaporator; And a second seating part for seating the condenser, wherein the condensate collecting par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ating part and the second seating part.
  • the condensate collecting unit may be formed in the first seating unit and the second seating unit, respectively.
  • the condensate collecting part may be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seating part and the second seating part.
  • the condensate collected in the condensate collection un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drain hose.
  • the inlet and the air outlet may be formed in a perpendicular or orthogonal direction to each other.
  • the air flow direction in the collecting body is the same as the air flow direction outside the collecting body,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and the condensate are separated may be naturally formed by the natural force in the gravity direction.
  •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llect 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in the evaporator under the water cover, to prevent the condensed water scattered by the condens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clothes dryer,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drying time.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a heat pump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cover having a condensate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condensate collecting part of FIG. 2 viewed from one side;
  • FIG. 4 is a side view of FIG. 2.
  • FIG. 5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condensate splash preven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densate scattering prevention structure of FIG.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lothes dryer having a drying function or a laundry dryer and a steam supply device having a drying function and having a refresh function and a sterilization function. It may also be applied to a drum type dryer and a cabinet type dryer.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100 having a heat pump cycle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100 illustrated in FIG. 1 illustrates a drum type dryer, and may include a cabinet, a clothes accommodating part, a driving part, a blowing fan 130, and a heat pump cycle 140.
  • the cabinet forms the appearance and the body of the product.
  • a clothes accommodating portion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accommodate the clothes.
  • the clothing accommodating part may include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Washing water may be stored inside the tub.
  • a drum 110 is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to accommodate clothes.
  • the drum 110 may rotate about a rotation axis disposed to be inclined at a horizontal direction or at an angle behind the tub.
  • the drum 110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provides a receiving space for drying the clothes to be dried.
  • An opening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drum 110, an inlet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the opening and the inle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clothing can be introduced into the drum (110).
  • the door may be installed in a hinge structur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inlet.
  • the drum 110 is rotatably installed.
  • Lifter (lifter) is provided inside the drum 110, the garment to be washed may be tumbling by being lifted to the top of the drum by the lifter and then dropped to the bottom of the drum by gravity.
  • the driving uni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by using a motor or the like, and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ub.
  •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drum 110,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drum 110,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drum (110).
  • the air flow path may be connected to the drum 110 to form a closed loop for circulation of air.
  • the air flow path may be provided as the air duct 120.
  • An outlet of the drum 110 for discharging air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rum 110, and an inlet of the drum 110 for inflow of air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drum 110, and the air duct 120 is a drum.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and the inlet, it is possible to induce circulation of air.
  •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lower fan 130 is an air duct 120 extending from the outlet of the drum 110 to the evaporator 141 of the heat pump cycle 140 or the drum 110 in the condenser 142 of the heat pump cycle 140. It may be inside the air duct 120 extending to the inlet.
  • the blowing fan 130 may be driven by a separate fan motor, applies power to the air to pass through the drum 110, and circulate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110 back to the drum 110.
  • a lint filter is installed at the outlet of the drum 110, and a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110 passes through the lint filter, the lint included in the air may be collected.
  • Clothing also referred to as 'foam' evaporates moisture by the hot air supplied into the drum 110,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rum 110 is discharged from the drum 110 with the moisture evaporated from the garment.
  • the hot and humid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110 is circulated to the drum 110 after being heated by receiving heat from the heat pump cycle 140 while moving along the air passage.
  • the heat pump cycle 140 includes an evaporator 141, a compressor 143, a condenser 142, and an expansion valve 144.
  • the heat pump cycle 140 may use a refrigerant as a working fluid.
  • the coolant moves along the coolant pipe 145, and the coolant pipe 145 forms a closed loop for circulation of the coolant.
  • the evaporator 141, the compressor 143, the condenser 142 and the expansion valve 144 are connected by the refrigerant pipe 145 so that the refrigerant is evaporator 141, the compressor 143, the condenser 142 and the expansion valve. Pass 144 in order.
  • the evaporator 141 is installed inside the air duct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of the drum 110, and heat exchanges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drum 110, the heat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110 to the outside of the dryer Recover without discarding.
  • the condenser 142 communicates with the inlet of the drum 110 and is installed inside the air duc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vaporator in the air moving direction, and heat-exchanges the refrigerant and heat through the evaporator 141 to heat the refrigerant. Heat radiation into the air to be introduced into (110).
  • the evaporator 141 and the condenser 142 may be installed in the air duct 120.
  • the evaporator 141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drum 110, and the condenser 142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drum 110.
  • the evaporator 141 and the condenser 142 may be a fin & tube type heat exchanger.
  • the fin and tube type is a type in which a flat pin is attached to a hollow tube. As the coolant flows along the inside of the tube and the air passes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the coolant and the air exchange with each other. Fins are used to expand the heat exchange area between air and refrigerant.
  • the hot and humid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110 has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refrigerant of the evaporator 141, the heat of the air is lost to the refrigerant of the evaporator 141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41. Generates.
  • the hot and humid air is dehumidified by the evaporator 141 (dehumidifier is removed), and the condensed condensed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being collected through the condensed water collection unit provided under the evaporator 141. Descriptions relating to condensate collection and discharg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in the discussion of condensate shatterproof structures.
  • the heat source of air endothermic in the evaporator 141 is moved to the condenser 142 via the refrigerant, and between the evaporator 141 and the condenser 142 to move the heat source from the evaporator 141 to the condenser 142.
  • Compressor 143 is located.
  • the compressor 143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nt pipe 145 extending from the evaporator 141 to the condenser 142 and compresses the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evaporator 141 to make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and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 the compressor 143 may be an inverter-type compressor 143 which may vary in frequency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of the refrigerant.
  • the expansion valve 144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nt pipe 145 extending from the condenser 142 to the evaporator 141, and expands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condenser 142 to a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refrigerant to the evaporator 141. To pass.
  •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into the compressor 143 in the gas state to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by the compression of the compressor 143,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flows into the condenser 142 As the heat is released from the condenser 142 to air, the condenser 142 changes from a gaseous state to a liquid state.
  • the liquid refrigerant flows into the expansion valve 144 and changes to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by the throttling action of the expansion valve 144 (or capillary tube, etc.), and the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liquid refrigerant flows into the evaporator 141.
  • the evaporator 141 absorbs heat from the air, the refrigerant evaporates from the liquid state to the gas state.
  • the heat pump cycle 140 circulates the refrigerant repeatedly through the compressor 143 ⁇ condenser 142 ⁇ expansion valve 144 ⁇ evaporator 141 and provides a heat source to the air circulated to the drum 110. .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densate collecting unit 160 that can prevent condensate generated in the evaporator 141 from being scattered to the condenser 142 by a high air volume.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cover 150 having a condensate collecting uni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condensate collecting unit of FIG. 2 viewed from one side
  • FIG. 4 is a side view of FIG. to be.
  • the water cover 150 is installed on the base.
  • the fastening holes 153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t the edges of the water cover 150 to fasten the water cover 150 and the base by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 the water cover 150 is installed under the heat exchanger cover, and the evaporator 141 and the condenser 142 which are spaced apart in the heat exchanger cover are moun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cover 150, respectively.
  • the first seat 151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water cover 150 to seat the evaporator 141.
  • the second seating part 152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water cover 150 to seat the condenser 142.
  • a plurality of condensate inlet holes 154 ar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ating part 151 so that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141 mov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vaporator 141 to the lower surface. 154).
  • the first condensate collection part 157 is formed inside the first seating part 151 to temporarily store the condensate flowing through the condensate inlet 154.
  • the first condensate collection unit 157 may occupy most of the total area of the first seating unit 151 in order to secure as much as possible the collection space of the condensate.
  • the front plate 155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in the front upper end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151 to provide a volume space of the first condensation collecting portion 157 to a predetermined depth.
  • the support part 159 protrudes downwar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eating part 152 to support the second seating part 152, and provide a volume space of the second condensation collecting part 158 to a constant depth.
  • the support part 159 may have a hollow part therein, and the base and the second seating part 152 may be coupled by inserting a protrusion into the support part 159.
  • the second condensation collecting unit 158 is formed inside the second seating part 152, and the second condensing collecting unit 158 and the first condensing collecting unit 157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first condensing collecting unit (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storage space of the condensate collected in 157).
  • the second condensation collecting unit 158 may occupy a part of the total area of the second seating unit 152.
  • Coupling protrusions 156 are form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ating part 151, respectively, so that the evaporator 141 and the first seating part 151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 coupling protrusions 156 may be formed at four corner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eating part 152, respectively, to couple the condenser 142 and the second seating part 152.
  • the condensate collecting part 160 may be disposed to protrude between the first seating part 151 and the second seating part 152.
  • the condensate collector 160 may be formed to cross the first seating portion 151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152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ir movement direction.
  • the condensate collecting unit 160 includes a collecting body 161 protruding upward between the first seating unit 151 and the second seating unit 152.
  • the collecting body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surface portion, a rear portion and a side portion.
  • the rear part may extend to protrude upward from an upstream side of the condenser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ixed fluid in which air and condensate are mixed.
  • the upper surface portion may extend fo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rear portion.
  • the side portion may connect both side surfaces of the upper and rear portions, respectively.
  • the height of the collection body 161 may protrude upward by a distance between the evaporator 141 and the condenser 142 at the bottom of the rear surface of the evaporator 141.
  • the collection body 161 includes an upper space through which air passes and a lower space for guiding condensed water below a seating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152.
  •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of the collection body 161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densation collection unit 157 and the second condensation collection unit 158, and communicate with these condensation collection units to collect the collection body 161.
  • the condensed water may be collected into the first condensed water collector 157 and the second condensed water collector 158.
  • the lower space of the collection body 161 may form a condensate communication unit 164.
  • the condensate communication unit 164 may be form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evaporator 141 or the condenser 142 is seated.
  • An inlet 162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llection body 161.
  • the front surface of the collection body 161 is disposed to face the rear lower end of the evaporator 141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air and refers to the surface into which the air and condensed water are introduced.
  • the inlet 16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condensate inlet hole 154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evaporator 141 among the condensate inlet holes 154 of the first seating part 151. As a result, a part of the condensate generated by the evaporator 141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llection body 161 through the inlet 162.
  • a portion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41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llection body 161 through the inlet 162.
  • An air outlet 163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ng body 161.
  • the air outlet 163 provides a power source for guiding the condensate down the seating surface.
  • the power source is a force generated by the air flow, and means a shear force for directing condensate to a condensate collection unit lower than the bottom of the evaporator 141 or the condenser 142.
  • the shear force act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ir travels.
  • the air outlet 163 is preferably formed to be bias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on body 161, for example, based on the air movement direction.
  • the inlet 162 may not secure the air intake amount more than the desired level, but rather may ride over the inlet 162.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secure the shear force due to air flow, so that condensate may not be guided to the inlet 162 of the collection body 161.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air outlet 163 (the position of the center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he inlet port of the collection body 161 within the separation distance range between the evaporator 141 and the condenser 142 to secure the shear force by the air flow. It is appropriate to be located as far as possible from 162).
  • the inlet 162 and the outlet 163 of the collection body 161 may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r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a part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41 and 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in the evaporator 141 flows in together through the inlet 162, and the condensed water having a high specific gravity and density goes to the lower space of the collection body 161.
  • air having a low specific gravity and density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ndenser 142 through the air outlet 163 through the upper space of the collecting body 161.
  • FIG. 5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condensate scattering preven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condensate scattering prevention structure of FIG.
  • the refrigerant flowing along the refrigerant pipe 145 located inside the evaporator 141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41 exchanges heat. Since the refrigerant of the evaporator is relatively lower than air, condensate drops form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frigerant pipe 145 and the fin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 the surface tension between the condensate and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41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shear force (ac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ue to air flow. Since the gravity of the condensate (ac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surface tension, the condensate flows dow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41 and is the first condensate collecting part 157 through the condensate inlet hole 154. To be collected.
  • the condensate is affected by the shear force caused by the air flow as it flows down by the surface tension and gravity.
  • the condensate is collected by the condensate collector 160.
  • a part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41 that is, the air below the evaporator 141 includes a part of the condensate generated from the evaporator 141, the air mixed with the condensate
  • the collection body 161 is guided to the inlet 162 of the condensate collection unit 160 by the shear force according to the air flow.
  • Air mixed with condensate guided to the inlet 162 of the condensate collecting unit 160 moves in an upper space of the collecting body 161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light air is collected through the air outlet 163. Outflow to the top of the 161 is introduced into the condenser 142. Heavy condensate is separated from the air moving along the upper space due to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and descends to the condensate communication unit 164 of the lower space.
  • the condensate flowing down to the condensate communication unit 164 is collected by the condensate collec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condensate communication unit 164.
  • Collected condensat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hose.
  • One end of the drain hose may be connected to the condensate collecting unit or the condensate communicating unit 164, and the other end of the drain hose may b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to discharge the condensate to the outside.
  • 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in the evaporator 141 is not scattered to the condenser 142, but is effectively collected under the water cover 150, and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clothes dryer and shorten the drying time. have.
  •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It may 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구비하고, 의류수용부로 순환하는 공기에 열을 가하는 히트펌프 사이클; 상부면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를 안착시키고, 내부에 응축수 수집부를 구비하는 워터커버; 및 상기 워터커버에서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 사이 공간으로 돌출 형성되어, 응축수가 공기 유동에 의해 상기 증발기에서 응축기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응축수 포집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본 발명은 응축수의 비산을 방지하여 건조성능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 또는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이 두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발생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리프레쉬 기능 또는 살균 기능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건조시키는 드럼 타입의 건조기, 의류를 걸어두고 건조시키는 캐비닛 타입의 건조기 및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리프레셔 등이 개발되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리프레셔, 또는 건조기 등은 열원공급부를 구비하여 공기를 가열함에 따라 의류로 열풍을 공급한다. 이러한 열원공급부는 열원에 따라 가스를 연소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가스식 히터와, 전기저항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는 전기식 히터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히트펌프 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 히트펌프시스템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히트펌프 시스템을 구비하는 의류건조기는 드럼과 같은 의류수용부에서 배출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증발기와 응축기로 통과시켜, 고온 다습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다시 의류수용부로 유입될 공기에 열을 가함에 따라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히트펌프 사이클을 적용한 의류건조기 또는 세탁 겸용 건조기는 히트펌프 사이클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고풍량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높임에 따라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순환속도를 증가시키며, 고풍량이 히트펌프 사이클에 제공된다. 증발기는 드럼에서 배출되는 고풍량의 공기로부터 더 많은 열량을 흡수하고, 응축기는 고풍량의 공기로 더 많은 열량을 방출하여 고풍량의 열풍을 드럼으로 제공한다. 이에 의해, 건조기의 성능 및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러나, 히트펌프 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 및 응축기가 열교환기 커버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증발기를 고풍량으로 통과할 경우에 물 자체의 표면장력 및 공기유동에 의한 전단응력에 의해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증발기 의 후단에서 응축기의 전단으로 비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응축기의 온도가 떨어지므로, 건조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D1: 등록특허 KR 10-1121152호(2012. 02. 21.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고풍량이 요구되는 히트펌프 시스템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증발기의 응축수가 물 자체의 표면장력 및 공기유동에 의한 전단응력에 의해 증발기로부터 응축기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와 응축기 사이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응축기로 비산될 응축수를 포집하는 응축수 포집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구비하고, 의류수용부로 순환하는 공기에 열을 가하는 히트펌프 사이클; 상부면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를 안착시키고, 내부에 응축수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워터커버; 및 상기 워터커버에서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 사이 공간으로 돌출 형성되어, 응축수가 공기 유동에 의해 상기 증발기에서 응축기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응축수 포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포집부는, 응축수 수집부와 연결되는 포집바디; 상기 포집바디의 전방면에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 및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를 유입시키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포집바디 외부로 유출시키는 공기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입구와 공기유출구를 통해 포집바디 내부에 수평방향의 공기유동을 형성할 수 있고, 포집바디 내부의 공기유동에 의해 포집바디 내부로 응축수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유출구는 상기 포집바디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기유출구의 크기 및 갯수에 따라 공기유동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유출구는 상기 포집바디의 상부면에서 상기 응축기를 향해 한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기 유동에 의한 전단력을 증가시켜 포집바디 내부로의 공기 및 응축수 유입을 더 많이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유입구는 상기 증발기의 후단과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응축수가 비산되는 증발기 후단의 하부를 포집바디의 유입구가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포집바디는 하부에 응축수 수집부와의 연결을 위한 응축수 연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응축수의 포집과 수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워터커버는, 상기 증발기를 안착시키는 제1안착부; 및 상기 응축기를 안착시키는 제2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포집부는 상기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수집부는 제1안착부 및 제2안착부 내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포집부는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수집부에 수집된 응축수는 배수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유입구 및 공기유출구는 서로 수직 또는 직교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집바디 내부에서 공기 유동 방향은 포집바디 외부의 공기 유동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공기 및 응축수가 분리되는 방향은 중력방향으로 자연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증발기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워터커버 하부로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응축기로 비산되는 응축수를 방지하여 의류건조기의 성능을 개선하고,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 사이클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포집부를 구비하는 워터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응축수 포집부를 일 측면에서 본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비산 방지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응축수 비산 방지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건조기 또는 세탁 겸용 건조기, 스팀공급장치를 구비하여 리프레쉬 기능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드럼 타입의 건조기 및 캐비닛 타입의 건조기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 사이클(140)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00)는 드럼 타입의 건조기를 예시한 것이며, 캐비닛, 의류수용부, 구동부, 송풍팬(130), 히트펌프 사이클(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캐비닛은 제품의 외형 및 몸체를 형성한다.캐비닛 내부에 의류수용부가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할 수 있다. 의류수용부는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tub)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가 저장될 수 있다.
드럼타입의 의류건조기의 경우 캐비닛 내부에 드럼(110)이 설치되어 의류를 수용한다. 드럼(110)은 터브의 후방에 수평방향 또는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드럼(110)은 속이 빈 원통형상을 가지며, 건조대상물인 의류를 투입하여 건조시키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한다. 드럼(110)의 전방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캐비닛의 전방면에 투입구가 형성되며, 개구부와 투입구가 서로 연통되어, 의류를 드럼(110)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도어가 캐비닛의 전방면에 힌지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건조대상물인 의류를 효율적으로 건조하기 위해, 드럼(110)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드럼(110) 내부에 리프터(lifter)가 구비되고, 세탁대상물인 의류는 리프터에 의해 드럼의 상부로 올려진 후 중력에 의해 드럼의 하부로 낙하함으로 텀블링(Tumbling)될 수 있다.
구동부는 모터 등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제공하고, 터브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모터의 회전축이 드럼(110)의 후방부와 연결되며, 모터의 회전력이 드럼(110)으로 전달되어, 드럼(1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공기유로는 드럼(110)과 연결되어, 공기의 순환을 위한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유로는 공기덕트(120)로 마련될 수 있다. 드럼(110)의 전단 하부에 공기의 배출을 위한 드럼(110) 출구가 형성되고, 드럼(110)의 배면에 공기의 유입을 위한 드럼(110) 입구가 형성되며, 공기덕트(120)는 드럼(110) 출구 및 입구와 연통되어, 공기의 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
송풍팬(130)의 설치위치는 드럼(110) 출구에서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증발기(141)로 연장되는 공기덕트(120) 또는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응축기(142)에서 드럼(110) 입구로 연장되는 공기덕트(120) 내부 일 수 있다. 송풍팬(130)은 별도의 팬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공기에 동력을 가하여 드럼(110) 내부를 통과시키며, 드럼(110)에서 배출된 공기를 다시 드럼(110)으로 순환시킨다.
드럼(110) 출구에 린트필터가 설치되어,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린트필터를 통과함에 따라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를 포집할 수 있다.
의류('포'라고도 함)는 드럼(110)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수분을 증발시키고, 드럼(110)에서 통과하는 공기는 의류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포함한 채로 드럼(110)에서부터 배출된다.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는 공기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히트펌프 사이클(14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된 후 드럼(110)으로 순환된다.
히트펌프 사이클(140)은 증발기(141), 압축기(143), 응축기(142) 및 팽창밸브(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히트펌프 사이클(140)은 작동유체로 냉매를 사용할 수 있다. 냉매는 냉매배관(145)을 따라 이동하고, 냉매배관(145)은 냉매의 순환을 위한 폐루프를 형성한다. 증발기(141), 압축기(143), 응축기(142) 및 팽창밸브(144)는 냉매배관(145)에 의해 연결되어, 냉매가 증발기(141), 압축기(143), 응축기(142) 및 팽창밸브(144)를 순서대로 통과한다.
증발기(141)는 드럼(110) 출구와 연통되도록 공기덕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드럼(110) 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켜,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열량을 건조기 외부로 버리지 않고 회수한다.
응축기(142)는 드럼(110) 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증발기와 공기이동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공기덕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증발기(141)를 통과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켜, 냉매의 열량을 드럼(110)으로 유입될 공기로 방열시킨다.
증발기(141) 및 응축기(142)는 공기덕트(12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증발기(141)는 드럼(110) 출구와 연결되고, 응축기(142)는 드럼(110) 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증발기(141) 및 응축기(142)는 핀 앤 튜브 타입(fin & tube type)의 열교환기일 수 있다. 핀 앤 튜브 타입은 속이 빈 튜브에 평판 형태의 핀이 부착되는 형태이다. 냉매가 튜브 내부를 따라 흐르고, 공기가 튜브 외부면을 지나면서, 냉매와 공기가 서로 열교환한다. 핀은 공기와 냉매 간의 열교환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드럼(110)에서 배출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141)의 냉매보다 온도가 더 높으므로, 증발기(141)를 통과하면서 공기의 열량을 증발기(141)의 냉매로 빼앗김에 따라, 응축되어 응축수를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141)에 의해 제습(습기가 제거)되고, 응축된 응축수는 증발기(141)의 하부에 구비되는 응축수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응축수 수집 및 배출과 관련된 설명은 추후에 응축수 비산방지 구조에 대한 설명 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증발기(141)에서 흡열된 공기의 열원은 냉매를 매개로 하여 응축기(142)로 이동되고, 증발기(141) 에서 응축기(142) 로 열원을 이동시키기 위해 증발기(141)와 응축기(142) 사이에 압축기(143)가 위치한다.
압축기(143)는 증발기(141)에서 응축기(142)로 연장되는 냉매배관(145)에 설치되고, 증발기(141)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냉매를 만들며, 고온,고압의 냉매를 냉매배관(145)을 따라 응축기(142)로 이동시킨다. 압축기(143)는 냉매의 토출량을 제어하기 위해 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인버터형 압축기(143)일 수 있다.
팽창밸브(144)는 응축기(142)에서 증발기(141)로 연장되는 냉매배관(145)에 설치되고, 응축기(142)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저압의 냉매로 만들어 증발기(141)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구성에 따른 냉매의 이동경로를 살펴보면, 냉매는 기체 상태로 압축기(143)에 유입되어 압축기(143)의 압축에 의해 고온·고압으로 되고, 고온·고압의 냉매는 응축기(142)로 유입되어 응축기(142)에서 열을 공기로 방출함에 따라 기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한다.
이어서, 액체 상태의 냉매는 팽창밸브(144)로 유입되어 팽창밸브(144)(또는 모세관 등 포함)의 교축작용에 의해 저온·저압으로 변하고, 저온·저압의 액상냉매는 증발기(141)로 유입되어 증발기(141)에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함에 따라 액체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냉매를 증발시킨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 사이클(140)은 압축기(143)→응축기(142)→팽창밸브(144)→증발기(141)로 냉매를 반복해서 순환시키며, 드럼(110)으로 순환되는 공기에 열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증발기(141)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고풍량에 의해 응축기(142)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응축수 포집부(160)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포집부(160)를 구비하는 워터커버(15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응축수 포집부를 일 측면에서 본 일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워터커버(150)는 베이스 상부에 설치된다. 워터커버(150)의 가장자리부에 체결홀(153)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워터커버(150)와 베이스를 체결할 수 있다. 워터커버(150)는 열교환기 커버 하부에 설치되고, 열교환기 커버 내부에 이격 배치되는 증발기(141) 및 응축기(142)가 워터커버(150)의 상부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안착된다.
워터커버(150)의 일측에 제1안착부(151)가 구비되어, 증발기(141)를 안착시킬 수 있다. 워터커버(150)의 타측에 제2안착부(152)가 구비되어 응축기(142)를 안착시킬 수 있다.
제1안착부(151)의 상면에 다수개의 응축수유입홀(154)이 관통 형성되어, 증발기(141)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증발기(141)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이동하며, 응축수유입홀(154)로 유입된다.
제1안착부(151)의 내부에 제1응축수수집부(157)가 형성되어, 응축수유입홀(154)을 통해 유입되는 응축수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제1응축수수집부(157)는 응축수의 수집공간을 최대한 많이 확보하기 위해 제1안착부(151)의 전체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제1안착부(151)의 전방 상단에 전방플레이트(155)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제1응축수수집부(157)의 체적공간을 일정한 깊이로 마련할 수 있다.
제2안착부(152)의 저면에 지지부(159)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제2안착부(152)를 지지하고, 제2응축수수집부(158)의 체적공간을 일정한 깊이로 마련할 수 있다. 지지부(159)는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며, 지지부(159) 내부에 돌기를 삽입함으로 베이스와 제2안착부(152)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2안착부(152)의 내부에 제2응축수수집부(158)가 형성되고, 제2응축수수집부(158)와 제1응축수수집부(157)가 서로 연통되어, 제1응축수수집부(157)에 수집된 응축수의 저장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제2응축수수집부(158)는 제2안착부(152)의 전체 면적의 일부를 차지할 수 있다.
제1안착부(151)의 상면 네 귀퉁이 부분에 결합돌기(156)가 각각 형성되어, 증발기(141)와 제1안착부(151)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2안착부(152)의 상면 네 귀퉁이 부분에도 결합돌기(156)가 각각 형성되어, 응축기(142)와 제2안착부(152)를 결합할 수 있다.
응축수 포집부(160)는 제1안착부(151)와 제2안착부(152) 사이에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응축수 포집부(160)는 공기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안착부(151)와 제2안착부(152) 사이를 가로질러서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 포집부(160)는 제1안착부(151) 및 제2안착부(152)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포집바디(161)를 포함한다.
상기 포집바디는 상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후면부는 공기와 응축수가 혼합된 혼합유체의 이동방향을 기준하여 응축기의 상류측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될 수 있다.
상면부는 상기 후면부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는 상기 상면부 및 후면부의 양측면을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집바디(161)의 높이는 증발기(141)의 후방면 하단에서 증발기(141)와 응축기(142) 사이의 간격만큼 상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포집바디(161)는 내부에 공기를 통과시키는 상부공간과 응축수를 제1 및 제2안착부(152)의 안착면 아래로 유도하기 위한 하부공간을 포함한다.
포집바디(161)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은 제1응축수수집부(157)와 제2응축수수집부(158)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응축수수집부와 연통되어, 포집바디(161) 내부로 포집되는 응축수가 제1응축수수집부(157) 및 제2응축수수집부(158)로 수집될 수 있다. 포집바디(161)의 하부공간은 응축수 연통부(164)를 형성할 수 있다. 응축수 연통부(164)는 증발기(141) 또는 응축기(142)가 안착되는 안착면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포집바디(161)의 전방면에 유입구(162)가 형성된다. 포집바디(161)의 전방면은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증발기(141)의 후방 하단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공기 및 응축수가 유입되는 면을 말한다. 예를 들어, 유입구(162)는 제1안착부(151)의 응축수유입홀(154) 중에서 증발기(141)의 후단에 위치한 응축수유입홀(154)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증발기(141)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의 일부가 유입구(162)를 통해 포집바디(16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141)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가 유입구(162)를 통해 포집바디(16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포집바디(161)의 상부면에 공기유출구(163)가 형성된다. 공기유출구(163)는 응축수를 안착면 아래로 유도하기 위한 동력원을 제공한다. 여기서, 동력원이란 공기 유동에 의해 생성되는 힘으로서, 응축수를 증발기(141) 또는 응축기(142)의 저면보다 낮은 응축수 수집부로 유도하기 위한 전단력을 의미한다. 전단력은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한다.
공기유출구(163)는 포집바디(161)의 상면에서 오른쪽, 예를 들어 공기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류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공기유출구(163)가 유입구(162)에서 공기이동방향으로 이격되는 거리가 너무 짧으면 유입구(162)를 통해 공기 흡입량을 원하는 수준 이상 확보하지 못하고 오히려 유입구(162) 위쪽으로 타고 넘어갈 우려가 있으며, 공기유동에 의한 전단력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워서, 응축수를 포집바디(161)의 유입구(162)로 유도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기유출구(163)의 위치(길이방향 중심선의 위치)는 공기유동에 의한 전단력을 확보하기 위해 증발기(141)와 응축기(142) 사이의 이격거리 범위 내에서 포집바디(161)의 유입구(162)로부터 최대한 먼 곳에 위치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공기유출구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포집바디의 내측 상부공간(응축수 수면의 상부공간)에 공기가 채워지면서 포집바디의 내측의 압력이 외측보다 상승하게 되어, 포집바디의 유입구측에서 와류가 발생하므로, 포집바디의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고 포집바디의 외측 상부로 이동하여, 결국 응축수를 포집바디 내부로 유도하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포집바디(161)의 유입구(162)와 유출구(163)는 서로 수직방향 또는 직교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증발기(141)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와 증발기(141)에서 응축되는 응축수가 유입구(162)를 통해 함께 유입되고, 비중 및 밀도가 높은 응축수는 포집바디(161)의 하부공간으로 가라앉으며, 반면에 비중 및 밀도가 낮은 공기는 포집바디(161)의 상부공간을 지나 공기유출구(163)를 통해 응축기(142)로 유입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비산 방지 구조의 작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비산 방지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응축수 비산 방지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증발기(141)에서 응축수 생성과정을 살펴보면, 증발기(141) 내부에 위치하는 냉매배관(145)을 따라 흐르는 냉매와 증발기(141)를 통과하는 공기는 서로 열교환한다. 증발기의 냉매는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저온이므로, 온도 차이에 의해 냉매배관(145) 및 핀의 외표면에 응축수 방울이 맺히게 된다.
예를 들면, 공기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증발기(141)의 전단부에서 후단부 사이의 구간에서는 응축수와 증발기(141) 표면 간의 표면장력이 공기유동에 의한 전단력(수평방향으로 작용함)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응축수에 대한 중력(수직방향으로 작용함)이 상기 표면장력보다 더 크므로, 응축수가 증발기(141)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며 응축수유입홀(154)을 통해 제1응축수수집부(157)에 수집되는 것이다.
그러나, 고풍량에 의해 공기 이동속도가 빨라지면 증발기(141)의 후단에서는 상황이 달라진다.
즉, 응축수는 표면장력 및 중력에 의해 흘러내려감에 따라 공기유동에 의한 전단력의 영향을 받는다.
종래에는 응축수가 증발기의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고 공기와 함께 응축기로 비산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응축수가 응축수 포집부(160)에 의해 포집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의 이동경로를 살펴보면, 증발기(141)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 즉 증발기(141) 하부 공기는 증발기(141)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의 일부를 포함하고, 응축수가 혼합된 공기는 포집바디(161) 내부의 공기 유동에 따른 전단력에 의해 응축수 포집부(160)의 유입구(162)로 유도된다.
응축수 포집부(160)의 유입구(162)로 유도되는 응축수가 혼합된공기는 포집바디(161)의 상부공간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중량이 가벼운 공기는 공기유출구(163)를 통해 포집바디(161)의 상부로 유출되어 응축기(142)로 유입된다. 중량이 무거운 응축수는 비중 차이로 인해 상부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에서 분리되어 하부공간의 응축수 연통부(164)로 하강한다.
이어서, 응축수 연통부(164)로 내려가는 응축수는 응축수 연통부(164)와 연통되는 응축수 수집부로 수집된다.
수집된 응축수는 배수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수호스의 일단부는 응축수 수집부 또는 응축수 연통부(164)와 연결되고, 배수호스의 타단부는 캐비닛 외부와 연결되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증발기(141)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응축기(142)로 비산되는 것이 아니라 워터커버(150) 하부로 효과적으로 수집되며, 의류건조기의 성능을 개선하고,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의류수용부로 순환하는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을 통해 상기 공기에 열을 가하는 히트펌프 사이클;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를 상호 이격되게 지지하고,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내부에 수집하기 위한 응축수 수집부를 구비하는 워터커버; 및
    상기 워터커버에서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 사이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에서 응축기로 유동하는 공기와 응축수의 혼합유체 중 공기로부터 상기 응축수를 중력에 의해 분리하여 포집하는 응축수 포집부;
    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포집부는,
    상기 응축수 수집부와 연통되고, 상기 공기와 응축수의 혼합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전방면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서 통해 유입되는 혼합유체 중 공기를 상측에서 유출시키는 공기유출구를 구비하는 포집바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바디의 상부면은 증발기 및 응축기의 안착면보다 높게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불어오는 공기 및 응축수의 혼합유체가 포집바디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출구는 상기 포집바디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출구는 상기 포집바디의 상부면 전단으로부터 상기 응축기를 향해 후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증발기의 후단부를 향해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바디는 하부에 응축수 수집부와의 연결을 위한 응축수 연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커버는,
    상기 증발기를 상면에 안착시키는 제1안착부; 및
    상기 응축기를 상면에 안착시키는 제2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포집부는 상기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수집부는 제1안착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응축수 수집부와, 제2안착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응축수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포집부는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7항 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수집부에 수집된 응축수는 배수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 및 공기유출구는 서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터브 및 드럼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공기의 순환을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덕트;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공기덕트를 통과하여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공기를 드럼으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공기덕트의 내부에 공기이동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증발기 및 응축기;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증발기에서 불어오는 공기 및 응축수의 혼합유체 중 공기를 상기 응축기로 흘려 보내고 상기 공기와 분리된 응축수를 포집하는 응축수 포집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덕트는,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의 하부를 각각 지지하고, 상기 증발기를 지지하는 상면에 복수의 응축수 유입홀을 구비하는 워터커버; 및
    상기 워터커버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상기 복수의 응축수 유입홀을 통해 유입시켜 응축수를 수집하는 응축수 수집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포집부는,
    상기 워터커버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의 불어오는 방향으로 전방면에서 상기 혼합유체를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며 상부면에서 상기 혼합유체 중 응축수와 분리된 공기를 유출시키는 공기유출구를 구비하는 포집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수집부는,
    상기 증발기를 안착시키는 제1안착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응축수 수집부와 상기 응축기를 안착시키는 제2안착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응축수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바디는 내측에 상기 제1응축수 수집부와 제2응축수 수집부를 연통시키는 응축수 연통부를 구비하여, 중력에 의해 상기 혼합유체 중 공기로부터 응축수를 분리하여 상기 응축수 연통부를 통해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의류를 수용하며 열풍에 의해 상기 의류를 건조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덕트;
    상기 의류수용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의류수용부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공기덕트의 내부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증발기 및 응축기를 구비하고, 상기 응축기의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켜 상기 의류수용부로 유입될 공기에 열원을 제공하는 히트펌프 사이클; 및
    상기 공기덕트 내부에 수용된 증발기 및 응축기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와 상기 증발기의 냉매와 열교환에 따른 응축수의 혼합유체를 포집하되, 상기 포집된 혼합유체 중 공기는 공기덕트로 유출시키고 상기 공기로부터 분리된 응축수를 포집하는 응축수 포집부;
    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포집부는,
    상기 혼합유체를 내측에 임시적으로 가두기 위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포집바디;
    상기 증발기에서 불어오는 혼합유체를 향하여 상기 포집바디의 전방면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유입구; 및
    상기 혼합유체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포집바디의 상부면에서 상기 유입구와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포집바디 내측의 혼합유체에서 분리된 공기를 상기 공기덕트 중으로 유출시키는 공기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바디는 상기 혼합유체의 이동방향을 기준하여 응축기의 상류측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 및 후면부의 양측면을 각각 연결하는 측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의류수용부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를 지지하는 워터커버;
    상기 워터커버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증발기의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생성된 응축수와 상기 증발기를 지나는 공기의 혼합유체를 내측으로 유입시킨 후 상기 혼합유체 중 공기를 상측에 구비된 공기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시키고 상기 혼합유체 중 응축수를 중력에 의해 내측 하부로 포집하는 응축수 포집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PCT/KR2016/007891 2015-08-04 2016-07-20 의류처리장치 WO201702298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228 2015-08-04
KR1020150110228A KR101729107B1 (ko) 2015-08-04 2015-08-0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22984A1 true WO2017022984A1 (ko) 2017-02-09

Family

ID=56567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7891 WO2017022984A1 (ko) 2015-08-04 2016-07-20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337137B2 (ko)
EP (2) EP3770316B1 (ko)
KR (1) KR101729107B1 (ko)
CN (1) CN106436240A (ko)
WO (1) WO20170229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953B1 (ko) * 2016-01-05 2023-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087357B (zh) * 2016-06-27 2018-05-01 江苏科技大学 一种船用干衣机及控制方法
CN109468816A (zh) * 2017-09-08 2019-03-1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热泵模块及洗衣机/干衣机
CN110318235B (zh) * 2018-03-30 2023-07-2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
CN110318234B (zh) * 2018-03-30 2023-07-0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
JP7225223B2 (ja) * 2018-05-24 2023-02-20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DE102018210525A1 (de) * 2018-06-27 2020-01-02 BSH Hausgeräte GmbH Bodengruppe für ein Gerät zum Trocknen von Wäsche
KR102613456B1 (ko) * 2018-08-09 2023-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EP3870017A1 (en) * 2018-10-24 2021-09-01 Arçelik Anonim Sirketi A heat pump dishwasher with improved evaporator performance
DE102019212781A1 (de) * 2019-08-27 2021-03-04 BSH Hausgeräte GmbH Wäschebehandlungsgerät
US11174586B2 (en) * 2019-09-10 2021-11-1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Vortex dryer appliance
US10712089B1 (en) 2020-01-23 2020-07-14 Sui LIU Heat pump dryer
CN112054416B (zh) * 2020-09-03 2022-03-01 福建腾力电力发展有限公司 正压空间开关柜
KR20220114284A (ko) * 2021-02-08 202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81A (ko) * 2021-02-08 202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JP1750999S (ja) * 2021-05-21 2023-08-16 衣服用除湿脱臭及びしわ除去機の本体
JP1752904S (ja) * 2021-05-21 2023-09-13 衣服用除湿脱臭及びしわ除去機の本体
JP1750997S (ja) * 2021-05-21 2023-08-16 衣服用除湿脱臭及びしわ除去機の本体
WO2023027295A1 (ko) * 2021-08-27 2023-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CN114753088B (zh) * 2022-04-29 2023-09-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装置和洗干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932B1 (ko) * 2007-06-06 2008-09-23 키무라코우키 가부시키가이샤 열교환코일 및 공기조화기
JP2013057464A (ja) * 2011-09-09 2013-03-28 Noritz Corp 燃焼装置
JP2014150997A (ja) * 2013-02-08 2014-08-25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KR20140125531A (ko) * 2013-04-19 2014-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5107156A (ja) * 2013-12-03 2015-06-11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755A (ja) 2002-10-16 2004-05-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機
JP2007000386A (ja) 2005-06-24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装置
JP4834342B2 (ja) * 2005-07-26 2011-12-14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7330439A (ja) 2006-06-14 2007-12-27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KR101121152B1 (ko) 2010-01-07 2012-03-09 경인냉열산업 주식회사 열교환기의 응축수 비산방지구조
TR201104077A1 (tr) * 2011-04-26 2012-11-21 Arçeli̇k Anoni̇m Şi̇rketi̇ Isı pompalı çamaşır kurutucu.
EP2612965B1 (en) * 2012-01-05 2018-04-2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ppliance and method for drying laundry
JP6023976B2 (ja) * 2012-07-19 2016-11-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衣類乾燥機
ITTO20121001A1 (it) * 2012-11-16 2014-05-17 Indesit Co Spa Macchina adatta ad eseguire almeno un ciclo di asciugatura di panni
US20140311175A1 (en) 2013-04-19 2014-10-23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CN104593992A (zh) * 2013-10-30 2015-05-06 海尔集团公司 一种波轮式热泵洗干一体机及烘干方法
JP6616590B2 (ja) * 2015-05-19 2019-12-04 三星電子株式会社 乾燥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932B1 (ko) * 2007-06-06 2008-09-23 키무라코우키 가부시키가이샤 열교환코일 및 공기조화기
JP2013057464A (ja) * 2011-09-09 2013-03-28 Noritz Corp 燃焼装置
JP2014150997A (ja) * 2013-02-08 2014-08-25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KR20140125531A (ko) * 2013-04-19 2014-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5107156A (ja) * 2013-12-03 2015-06-11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9107B1 (ko) 2017-04-21
CN106436240A (zh) 2017-02-22
EP3128069A1 (en) 2017-02-08
KR20170016745A (ko) 2017-02-14
EP3770316A1 (en) 2021-01-27
US10337137B2 (en) 2019-07-02
US20170037562A1 (en) 2017-02-09
US10982380B2 (en) 2021-04-20
EP3770316B1 (en) 2023-10-25
EP3128069B1 (en) 2020-09-30
US20190271109A1 (en) 2019-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22984A1 (ko) 의류처리장치
KR100712849B1 (ko) 세탁물 처리 기기의 응축 구조
RU250732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101366273B1 (ko) 의류처리장치
BR112015017081B1 (pt) Aparelho de tratamento de roupas configurado para ser operado em um ciclo de secagem e um ciclo de lavagem
WO2011108865A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090013947A (ko) 의류처리장치
WO2011074840A2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10008162A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0242271A1 (ko) 의류 처리장치
KR101694158B1 (ko) 세탁물 처리장치
JP2001120899A (ja) 衣類乾燥システム
KR101430458B1 (ko) 의류처리장치
WO2011105729A2 (ko) 세탁물 처리장치
WO2018034482A1 (ko) 의류처리장치
CN214328219U (zh) 一种热泵式衣物烘干装置
KR101366275B1 (ko) 의류처리장치
CN218480859U (zh) 一种烘干机的节能装置
FI80081C (fi) Anordning i ett torkrum foer tvaett.
EP409530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633222B1 (ko) 의류처리장치
EP4095300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0411466Y1 (ko) 세탁물 건조기 탑재형 솔벤트 회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332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332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